KR20040055750A -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750A
KR20040055750A KR1020040034927A KR20040034927A KR20040055750A KR 20040055750 A KR20040055750 A KR 20040055750A KR 1020040034927 A KR1020040034927 A KR 1020040034927A KR 20040034927 A KR20040034927 A KR 20040034927A KR 20040055750 A KR20040055750 A KR 20040055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ate
ram
base plate
transf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0873B1 (ko
Inventor
이지봉
Original Assignee
이지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34824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5575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지봉 filed Critical 이지봉
Priority to KR10-2004-0034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873B1/ko
Publication of KR20040055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05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matt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4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zigzag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 작동에 따른 반복적인 충격에도 불구하고 하우징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한 단자 이송플레이트의 결합 정위치를 안정적이고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일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그 외측에 체결볼트 관통홀을 천공한 베이스플레이트; 측면을 관통하는 볼트삽입홀을 천공하고 있고, 그 저면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이드홈에 끼워지도록 돌출부를 돌설하고 있는 단자 이송플레이트; 상기 단자 이송플레이트의 측면을 관통하는 상기 볼트삽입홀에 끼워져 설치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램하우징 지지몸체에 체결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 이송플레이트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머리부를 가지고, 상기 램하우징 지지몸체에 대해 상기 단자 이송플레이트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스크루; 상기 조절스크루의 머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단자 이송플레이트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스크루의 이탈을 저지하는 이탈저지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Transfer plate interval control device of terminal clamping machine}
본 발명은 단자결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램 작동에 따른 반복적인 충격에도 불구하고 하우징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한 단자 이송플레이트의 결합 정위치를 안정적이고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전원선 및 신호선은 회로구성이 용이하도록 전선의 일단에 단자가 물린 형태로 제품화되는데, 이러한 형태의 제품은 전선공급기, 단자공급기, 단자결착기, 클램핑머신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킨 장치를 통하여 완성된다.
이중에서 소위, 단자결착기라 하는 것은, 전선 및 단자를 하나씩 성형다이로 이송하는 구조와, 램(이를 "펀치"라고도 함)을 소정높이로 하강시켜 결착 및 커팅을 완료하는 구조로 크게 이루어져 동일 규격을 지닌 제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단자결착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후술하기로 하며, 여기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종래의 단자 이송플레이트 및 베이스플레이트 설치부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종래의 단자결착기 중에서 단자 이송플레이트 설치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 결합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판면에는 제1 및 제2협폭가이드(112,113)가 형성되어 있다.
제1협폭가이드(112)에는, 엔빌고정블록(116)이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엔빌고정블록(116)을 사이에 두고 제1협폭가이드(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는 제1 및 제2지지블록(121,123)이 배치되며, 제1 및 제2지지블록(121,123) 사이에는 커터블록(122) 및 가이드블록(114)이 위치 조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제2협폭가이드(113)에는, 고정블록(140) 및 가동블록(130)이 장착되어 있다. 이 고정블록(140)의 하부에는 제2협폭가이드(113)에 끼워져 고정되는 돌출부(140a)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암나사부(140b)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단자 이송플레이트(170)의 저면에 체결볼트로서 고정되어 있다.
가동블록(13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상단 및 하단돌출부(130a,130b)가 형성되어 있다. 상단돌출부(130a)는 단자 이송플레이트(170)의 하단에 형성된 안내그루브(170a)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단돌출부(130b)는 고정블록(140)의 돌출부(140a)가 배치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2협폭가이드(113)에 끼워진 체 제2협폭가이드(113)의 볼트관통홀(113a) 천공 범위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제2체결볼트(152)로 지지되어 있다.
가동블록(130)의 측면에는, 고정블록(140)의 암나사부(140b) 위치에 형성되고 가동블록(130)의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30c)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30c)에는 제1체결볼트(151)의 축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1체결볼트(151)의 단부는 관통홀(130c)을 통과한 후 고정블록(140)의 암나사부(140b)에 체결된다.
이러한 제1체결볼트(151)의 축부에는, 가동블록(130)의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체결공(130d)으로 삽입되는 핀(155)과 결합되어 제1체결볼트(151) 회전시고정블록(14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핀그루브(151a)가 제공된다.
이에, 핀(155)을 가동블록(130)의 체결공(130d)으로 삽입한 후, 그 단부가 제1체결볼트(151)의 핀그루브(151a)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1체결볼트(151)를 풀거나 조이게 되면, 제1체결볼트(151)의 단부가 고정된 고정블록(140)에 대해 가동블록(130)은 제2협폭가이드(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같이 길이방향의 이동을 마친 후 가동블록(130)은 이동을 위해 풀어주었던 하부의 체결볼트(152)를 다시 조여줌으로서 하우징 지지몸체(153)에 대한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안정된 단자 이송플레이트(170)의 설치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로 단자 이송플레이트(170)를 하우징 지지몸체(153) 및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조립하여 단자결착을 시도하다 보면, 램의 하중과 그 충격력으로 인해 비교적 얇을 두께를 가진 핀(155)이 가동블록(13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혹은 부러지는 단점을 보인다. 다시말해, 핀(155)이 가동블록(13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혹은 부러지면, 제1체결볼트(151)는 구속력을 잃게 됨으로서, 가동블록(130)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반복되는 충격력으로 인해 하부의 체결볼트(152)가 풀리게 되면서 하우징 지지몸체(153) 및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대한 단자 이송플레이트(170)의 결합 정위치를 벗어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누적공차가 커지게 되는 것이며 이로인해 정밀제품을 성형하지 못하게 되는 중대한 결함이 발생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램 작동에 따른 반복적인 충격에도 불구하고 하우징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한 단자 이송플레이트의 결합 정위치를 안정적이고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동작의 신뢰도가 우수하며 유지보수가 또한 용이한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결착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자결착기 중에서 단자 이송플레이트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결합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단자결착기 중에서 단자결착기 중에서 단자 이송플레이트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플레이트, 35: 핑거, 36: 핑거홀더, 39: 로울러홀더, 40: 로울러, 50: 램, 51: 하우징, 53: 생크, 54: 크림퍼, 60: 지지몸체, 62: 걸림쇠, 70: 단자 이송플레이트, 75: 커버플레이트, 81: 체결볼트, 85: 조절스크루, 85a: 축부, 85b: 머리부, 86: 렌치삽입홈, 90: 이탈저지블록, 90a: 공구통과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송된 단자를 커팅 및 결착하도록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가능한 램과, 상기 램을 커버하는 하우징과, 상기 램과 상호작용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갖는 단자결착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 및 그 외측에 제공되는 체결볼트 관통홀; 측면을 관통하는 볼트삽입홀을 천공하고 있고, 그 저면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이드홈에 끼워지도록 돌출부를 돌설하고 있는 단자 이송플레이트; 상기 단자 이송플레이트의 측면을 관통하는 상기 볼트삽입홀에 끼워져 설치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램하우징 지지몸체에 체결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 이송플레이트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머리부를 가지고, 상기 램하우징 지지몸체에 대해 상기 단자 이송플레이트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스크루; 상기 조절스크루의 머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단자 이송플레이트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스크루의 이탈을 저지하는 이탈저지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결착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자결착기 중에서 단자 이송플레이트 설치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자결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단자를 성형하는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상하 왕복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램(50) 및 지지몸체(60)를 갖는다.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 일측에는 단자를 이동시키는 핑거(35)가 마련되어 있고, 핑거(35)의 상부에는 핑거(35)를 지지하는 핑거홀더(36)가 구비되어 있다. 핑거홀더(36)는 지지몸체(60) 상에서 요동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핑거홀더(36)의 요동운동은, 클램핑머신의 램(50)에 의하여 유도되는 상승운동과 제1 및 제2스프링(37,38)의 복원운동을 포함한다.
핑거홀더(36)의 상단에는 선단에 구름이동가능한 로울러(40)를 갖는 로울러홀더(39)가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울러홀더(39)의 전후진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핑거홀더(36) 상에 고정나사(41)가 핑거홀더(36) 상에 형성된 장공(41a)에 장착된다. 고정나사(41)를 풀면 로울러(40)가 로울러홀더(39)와 함께 전후진되고 고정나사(41)를 조이면 로울러홀더(39)와 핑거홀더(36) 간의 상대적 위치는 고정된다.
로울러홀더(39)의 일측에 맞물려 전후진 이동시키도록 핑거홀더(36) 상에는 조절나사(42)가 체결된다. 이 조절나사(42)를 풀고 조이는 정도에 따라 로울러홀더(39)와 핑거홀더(36)의 상대적 위치가 변동된다.
램(50)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마련된 하우징(51) 내에 승강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51)의 전방에는 램(50)의 이동을 안내하는 램가이드(52)가 마련되어 있으며, 램(50)의 상부에는 램(50)의 상하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생크(53)가 마련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후술할 커터(20) 및 엔빌(14)과 상호작용하는 크림퍼(54)가 마련되어 있다.
램(50)의 승강운동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판면에는 엔빌(14)을 고정하기 위한 엔빌고정블록(16)의 하단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지지된다.
한편, 핑거(35)의 주변에는 하우징(51)에 대해 이격거리가 조절가능하게 고정되는 단자 이송플레이트(70)가 마련되어 있다.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버플레이트(75)가 결합된다.
단자 이송플레이트(70)는, 이송플레이트 몸체(70a) 하단 일측에 돌출부(70b)를 갖는다. 이같은 이송플레이트 몸체(70a)는 램하우징(51)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지지몸체(60)의 정면에 배치되며, 돌출부(70b)의 단부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판면에 형성된 가이드(10b)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단자 이송플레이트(7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부로부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판면에 형성된 관통홀(10a)을 향해 삽입된 체결볼트(81)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0)와 부분적으로 고정된다.
이 때, 관통홀(10a)은 장공의 형태를 가지므로, 체결볼트(81)를 풀거나 조여 단자 이송플레이트(7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단자 이송플레이트(70)는 베이스플레이트(10)에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이동은, 가이드(10b)에 이송플레이트 몸체(70a) 저면의 돌출부(70b)가 끼워진 상태로 안내되기 때문에 흔들림이 없이 가능해진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볼트(81)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단에 형성된 볼트수용그루브(10c)에 머리부분이 수용된다.
한편, 이송플레이트 몸체(70a)에는, 가이드(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삽입홀(70c)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볼트삽입홀(70c)에는 램하우징(51) 일체형의 지지몸체(60)에 대해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스크루(85)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조절스크루(85)는, 단자 이송플레이트(70)에 형성된 볼트삽입홀(70c)을 관통하여 끼워지고, 그 노출된 단부가 상기 램하우징 지지몸체(60)의 체결부(60a)에 체결되는 축부(85a)와, 축부(85a)의 단부에 형성되어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머리부(85b)를 갖는다. 한편, 머리부(85b)의 렌치삽입홈(86)이 형성되어 있다. 렌치삽입홈(86)은 "+"나 "-" 형상의 볼트가 아닌 별도의 렌치(98)가 삽입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조절스크루(85)의 축부(85a) 단부가 램하우징 지지몸체(60)의 체결부(60a)에 직접 체결되기 때문에, 렌치(98)를 조절스크루(85)의 렌치삽입홈(86)에 넣어 풀거나 조임으로써, 램하우징 지지몸체(60)에 대해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쉬워진다.
그러나, 반복적인 램(50)의 동작에 기인하여 상기 조절스크루(85)에 충격력이 가해지는 경우, 조절스크루(85)의 풀림이 발생함으로서 램하우징 지지몸체(60) 체결부(60a)와의 결속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절스크루(85)가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볼트삽입홀(70c)으로 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보이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조절스크루(85)의 전방에 이탈저지블록(90)을 마련하고 있다.
도시된 것처럼 이탈저지블록(90)은, 조절스크루(85)의 머리부(85b)를 사이에 두고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일면에 고정되어 조절스크루(85)의 이탈을 저지한다.
이탈저지블록(90)의 판면에는, 렌치삽입홈(86)에 대응하는 위치에 공구(위에서는 이를 "렌치(98)"라 함)가 통과하는 공구통과공(9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구통과공(90a)의 주위에는 고정나사(95)가 단자 이송플레이트(70)에 체결되기 위한 나사공(90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공구통과공(90a)을 통해서 조절스크루(85)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구통과공(90a)의 직경(H1)은 조절스크루(85)의 머리부(85b)의 직경(H2)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단자결착기에서 램하우징(51)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지지몸체(60) 및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단자 이송플레이트(70)를 포함하여 해당 각부의 구성을 설치하는 것에 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돌출부(70b)를 베이스플레이트(10)의 가이드(10b)에 배치한 상태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부로부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판면에 형성된 관통홀(10a)를 향해 체결볼트(81)를 삽입하여,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공(70d)으로 체결한다.
그런 다음,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몸체(70a)에 형성된 볼트삽입홀(70c)로 조절스크루(85)의 축부(85a)를 끼운후, 상기 축부(85a)의 단부가 램하우징 지지몸체(60)의 체결부(60a)에 체결되도록 한다.
그리고는,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전방에 이탈저지블록(90)을 배치하고, 나사(95)를 이탈저지블록(90)의 나사공(90b)으로 삽입하여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체결부(70e)에 체결함으로써, 램하우징(51)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지지몸체(60)에 대해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스크루(85)가 이탈되는 것을 저지한다.
이 상태에서, 램하우징 지지몸체(60)에 대해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고자 한다면, 우선 체결볼트(81)를 풀어 베이스플레이트(70)에 대해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고정을 해제한다.
다음, 이탈저지블록(90)의 판면에 형성된 공구통과공(90a)을 통해 렌치(98)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삽입하여 조절스크루(85)의 머리부(85b)에 형성된 렌치삽입홈(86)에 끼우고, 일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돌출부(70b)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판면에 형성된 가이드(10b)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단자 이송플레이트(70)는 램하우징지지몸체(60)에 대한 이격거리가 조절된다. 물론,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이격거리가 조절된 후 렌치(98)를 빼고, 다시 체결볼트(81)를 조여 베이스플레이트(70)에 대해 단자 이송플레이트(7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단자 결착작업을 행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램하우징 지지몸체(60) 및 베이스플레이트(10)에 대한 단자 이송플레이트(70)의 결합 정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한편, 하우징(51)에 대한 이격거리가 조절되면서도 그 결합강도가 높아져 성형되는 최종 제품에 발생가능한 결함을 최대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이송된 단자를 커팅 및 결착하도록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가능한 램과, 상기 램을 커버하는 하우징과, 상기 램과 상호작용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갖는 단자결착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 및 그 외측에 제공되는 체결볼트 관통홀;
    측면을 관통하는 볼트삽입홀을 천공하고 있고, 그 저면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이드홈에 끼워지도록 돌출부를 돌설하고 있는 단자 이송플레이트;
    상기 단자 이송플레이트의 측면을 관통하는 상기 볼트삽입홀에 끼워져 설치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램하우징 지지몸체에 체결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 이송플레이트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머리부를 가지고, 상기 램하우징 지지몸체에 대해 상기 단자 이송플레이트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스크루;
    상기 조절스크루의 머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단자 이송플레이트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스크루의 이탈을 저지하는 이탈저지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스크루의 머리부에는, 렌치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저지블록의 판면에는, 상기 렌치삽입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머리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공구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KR10-2004-0034927A 2004-05-17 2004-05-17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KR100450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927A KR100450873B1 (ko) 2004-05-17 2004-05-17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927A KR100450873B1 (ko) 2004-05-17 2004-05-17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414U Division KR200347680Y1 (ko) 2004-01-08 2004-01-08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750A true KR20040055750A (ko) 2004-06-26
KR100450873B1 KR100450873B1 (ko) 2004-10-01

Family

ID=3734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927A KR100450873B1 (ko) 2004-05-17 2004-05-17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24B1 (ko) * 2014-11-19 2014-12-26 주식회사 동아중전기 변압조정기 쉘 검사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030B1 (ko) 2007-05-07 2009-03-1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단자 이송장치
KR101039179B1 (ko) 2009-06-18 2011-06-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용접 캐리지의 주행을 위한 클램핑 장치
KR100946292B1 (ko) 2009-12-01 2010-03-08 (주)아세아에프에이 단자커팅삽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24B1 (ko) * 2014-11-19 2014-12-26 주식회사 동아중전기 변압조정기 쉘 검사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0873B1 (ko) 200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3783B2 (en) Slide cam die
EP0229717B1 (en) A vice
MX2007015651A (es) Dispositivo de la cerradura de herramienta para una llave de chaveta.
KR200347680Y1 (ko)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KR100450873B1 (ko)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CN211679641U (zh) 一种双层斜楔机构
KR101533030B1 (ko) 클램핑머신의 실린더블럭 이송장치
KR20050021411A (ko)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US6263721B1 (en) Upper tool holder apparatus in press brake
EP1381124B1 (de) Crimppresse mit Kontaktzuführung
CN201744555U (zh) 切料模的组合机构
KR100877672B1 (ko) 단자결착기의 앤빌위치 조절장치
KR100450872B1 (ko)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EP3431232A1 (en) Terminal cutter for removing terminals from a carrier strip
KR100450874B1 (ko) 광폭가이드를 이용한 단자결착기의 엔빌 설치구조
CN113263220B (zh) 锯条装夹导向装置及锯条装夹导向方法
CN213495728U (zh) 调整装置以及整形装置
CN217193938U (zh) 一种机械加工用固定夹具
CN214815370U (zh) 可调式锯条导向装置
JP2005131686A (ja) プレスブレーキ用ダイホルダ装置
KR100412679B1 (ko) 크롭 블랭킹 다이
JP2914878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フォーク取り付け構造
JP3613458B2 (ja) 端子圧着装置
JP2002052422A (ja) 放電加工用リブ電極材保持具
JP200210475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909

Effective date: 2006092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030

Effective date: 20070531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627

Effective date: 2007092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928

Effective date: 20071130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