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030B1 - 단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단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030B1
KR100889030B1 KR1020070044129A KR20070044129A KR100889030B1 KR 100889030 B1 KR100889030 B1 KR 100889030B1 KR 1020070044129 A KR1020070044129 A KR 1020070044129A KR 20070044129 A KR20070044129 A KR 20070044129A KR 100889030 B1 KR100889030 B1 KR 100889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plate
finger
transf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8804A (ko
Inventor
송석의
이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70044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03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8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단자를 정확하게 이송시키는 단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자 이송장치에 있어서, 하부베이스판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상부에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상부베이스판과; 상기 상부베이스판을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상부에서 왕복이동 시키도록 상기 상부베이스판 및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이동부와; 상기 상부베이스판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직선으로 왕복 이동되어 단자릴에서 공급되는 단자를 이송시키는 단자이송부와; 상기 단자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이송부가 상기 단자를 일직선으로 이송시키도록 단자를 안내하는 단자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단자를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자, 이송, 가이드, 핑거

Description

단자 이송장치{TRANSFER APPARATUS FOR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간설정부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자안내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부베이스판 20 : 상부베이스판
30 : 베이스판이동부 40 : 구동부
50 : 단자이송부 60 : 단자안내부
본 발명은 단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자동차의 전기배선에 사용되는 와이어하니스의 생산은 대량생산방식에서 소량다품종 생산방식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각종 규격(전선직경, 단선 또는 복선, 연선(燃線) 또는 비연선, 피복색)의 그리고 단자길이가 다른 많은 종류의 전선을 코킹하고 압착하여 전선단말(wire end)처리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선단말 처리시스템은 크게 전선공급장치, 전선필링(peeling)장치, 단자공급장치, 단자이송장치, 단자압착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처리시스템은 하나의 시스템에서 전선과 단자가 투입되어 하나의 완성품이 생산된다.
그러나, 종래의 처리시스템은 하나의 시스템에 여러 종류의 장치들을 구비하여 이들을 동시에 순차적으로 제어하여야 하므로, 제어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여러 종류의 단자 및 전선에 대응하여 복잡한 사전작업이 많고 각각의 장치들의 사전 준비하는데 장시간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단자를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크기 및 형상이 다른 여러 종류의 단자를 이송시킬 수 있는 단자이송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를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단자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종류의 단자에 대응하여 각각의 단자를 이송시킬 수 있는 단자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자 이송장치에 있어서, 하부베이스판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베이스판과; 상기 상부베이스판을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상부에서 왕복이동 시키도록 상기 상부베이스판 및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이동부와; 상기 상부베이스판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직선으로 왕복 이동되어 단자릴에서 공급되는 단자를 이송시키는 단자이송부와; 상기 단자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이송부가 상기 단자를 일직선으로 이송시키도록 단자를 안내하는 단자안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필터부재를 필터삽입홀에 착/탈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에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근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간설정부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자안내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베이스판(10)과; 상기 하부베이스판(10)의 상부에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상부베이스판(20)과; 상기 상부베이스판(20)을 상기 하부베이스판(10)의 상부에서 왕복이동 시키도록 상기 상부베이스판(20) 및 상기 하부베이스판(10)의 사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이동부(30)와; 상기 상부베이스판(2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40)와; 상기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직선으로 왕복 이동되어 단자릴(2)에서 공급되는 단자(1)를 이송시키는 단자이송부(50)와; 상기 단자이송부(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이송부(50)가 상기 단자(1)를 일직선으로 이송시키도록 단자(1)를 안내하는 단자안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후 방향은 x축으로 표시하고, 좌/우 방향은 y축으로 표시하고, 상/하 방향은 z축으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베이스판이동부(30)는 상기 하부베이스판(10)의 양측에 x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면/후면지지부재(31)(32)와; 상기 전면/후면지지부재(31)(32)에 공회전되게 설치되는 볼스크류(33)와; 상기 볼스크류(33)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33)의 정/역회전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상기 상부베이스판(20)과 일체로 결합되게 설치된 나사부재(35)와; 상기 볼스크류(33)를 정/역회전시키도록 상기 볼스크류(33)의 일단에 결합되는 노브(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베이스판(20)은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므로 단자이송부(50) 및 단자안내부(60)의 위치를 조절하여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하부베이스판(10)과 상부베이스판(20)의 사이에 설치된 LM가이드(39)에 의해 상부베이스판(20)은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면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즉, 단자이송부(50) 및 단자안내부(60)의 위치를 조절하여 단자를 단자압착장치(미도시)에 정확하게 이송시키도록 셋팅할 수 있다.
또한, 단자(1)는 단자릴(2)에 롤 형상으로 감겨있는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단자이송부(50)에 공급된다.
여기서, 단자(1)는 띠 형상의 철판을 타공하고 절곡하여 단자형상을 형성한 후 단자릴(2)에 감긴 것으로 동일형상의 단자(1)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단자(1)들이 연결된 부분에는 단자홀(1a)이 형성되어 있고, 단자홀(1a)의 일측에는 단자홈(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이송부(50)는 공급된 단자(1)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단자안내부(60)는 단자이송부(50)에 의해 이송되는 단자(1)가 일직선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단자이송부(50)의 이동구간을 설정하는 구간설정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간설정부(70)는 상기 상부베이스판(20)의 일측에 y축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부재(71)와; 상기 가이드부재(71)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수광소자(73)(75)와; 상기 단자이송부(50)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수광소자(73)(75)를 향하여 빛을 주사하는 발광소자(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간설정부(70)는 상부베이스판(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이송부(50)의 이송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수광소자(73)(75)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시키면 단자이송부(50)는 수광소자(73)(75)들의 사이에서만 이동되므로, 단자이송부(50)의 한계점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수광소자(73)(75)들의 이격거리를 임의로 설정하여 폭이 넓거나 좁은 단자의 종류에 대응하여 단자(1)를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정/역회전되는 모터(41)와; 상기 모터(41)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43)와; 상기 구동풀리(43)와 대응되며 상기 단자이송부(50)에 결합되는 피동풀리(45)와; 상기 구동풀리(43) 및 피동풀리(45)에 게재되는 벨트(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풀리와 벨트를 대신하여 기어와 체인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모터(41)는 정/역회전 할 수 있는 모터를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동부(40)는 단자이송부(50)를 y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단자이송부(50)는 상기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볼스크류(51)와; 상기 볼스크류(51)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51)의 회전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재(53)와; 상기 이동부재(53)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부재(55)와; 상기 수평부재(55)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1)를 이동시키는 핑거부(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부재(53)의 이동에 의해 수평부재(55)가 이동되고, 이동하는 수평부재(55)에 설치된 핑거부(57)가 단자(1)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부베이스판(20)의 상부와 수평부재(55)의 하부에는 LM가이드(52)가 설치되어 수평부재(55)의 왕복이동을 부드럽게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핑거부(57)는 상기 수평부재(55)의 끝단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단자(1)의 단자홀(1a)에 끼워지도록 돌기(571)가 형성된 핑거(573)와; 상기 핑거(573)가 회전되도록 상기 핑거(571)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부재(55)의 끝단에 설치되는 힌지(575)와; 상기 핑거(57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핑거(573)의 상부와 상기 수평부재(55)의 끝단에 설치되는 스프링(57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핑거(573)는 수평상태에서 핑거(573)의 돌기(571)가 단자홀(1a)에 끼워지고 이 돌기(571)는 단자홀(1a)을 끌어서 단자(1)를 이송시키게 된다. 즉, 수평부재(55)가 y축 방향으로 전진하면 핑거(573)는 수평부재(55)와 함께 전진하여 단자(1)를 이송시킨다.
그리고, 수평부재(55)가 y축 방향으로 후진하면 핑거(573)는 힌지(575)를 축으로 회전되어 경사진 상태로 끌리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577)의 탄력에 의해 핑거(573)는 힌지(575)를 축으로 역회전되어 수직상태로 되돌아온다. 이어서, 핑거(573)의 돌기(571)는 이송된 단자(1)의 후방에 위치된 단자(1)의 단자홀(1a)에 끼워진다. 이어서, 수평부재(55)가 전진하면 핑거(573)는 단자(1)를 이송시킨다.
이와 같이, 수평부재(55)의 반복되는 전/후진동작에 의해 단자(1)들은 연속적으로 단자압착장치(미도시)로 공급된다.
상기 핑거(573)는 상기 핑거(573)를 상하 및 전후로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위치고정부(80)는 상기 수평부재(55)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나사홀(81)과; 상기 나사홀(81)에 일단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재(82)와; 상기 나사부재(82)의 타단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나사관통홀(83)이 형성된 핑거판(84)과; 상기 핑거판(84)에 접촉되며 상기 나사관통홀(83)에 대응하도록 수직하게 장홀(85)이 형성된 보조핑거판(86)과; 상기 장홀(85)에 끼워지며 상기 나사관통홀(83)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재(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나사부재(82)는 중앙부분에는 사용자가 회전시킬 수 있는 노브(8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87)는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관통홀(83)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나사부재(82)를 정/역회전시키면 수평부재(55)에서 나사부재(82)에 설치된 핑거판(84)이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그리고, 결합부재(87)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보조핑거판(86)을 상하로 이동시킨 후 결합부재(87)를 조여서 핑거판(84)에 보조핑거판(86)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핑거판(86)에 설치된 핑거(573)는 x축 및 z축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위치가 조절되는 핑거(573)는 여러 종류의 단자(1)에 대응하여 단자(1)를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단자안내부(60)는 상기 상부베이스판(20)의 일측에 상기 단자이송부(50)의 하부까지 수평하게 설치되는 단자안내판(61)과; 상기 단자이송부(5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단자안내판(61)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는 단자안내부재(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단자안내판(61)은 단자(1)의 저면을 수평하게 지지하고, 단자안내부재(62)는 단자(1)의 상면을 지지하여, 단자(1)는 단자안내판(61)에서 들뜨지 않으면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단자안내판(61)은 상기 단자(1)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단자안내판(61)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자턱(63)과; 상기 단자안내판(61)의 외측 면에 형성된 나사홀(65)과; 상기 나사홀(65)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노브(67)와; 상기 회전노브(67)와 결합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노브(67)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단자안내판(61)의 외측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며, 단자안내부재(62)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결합홀(691)이 형성된 외측판(6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외측판(69)의 끝단 상부에는 단자안내부재(62)가 결합되므로, 단자안내부재(62)는 회전노브(67)의 정/역회전에 의해 단자안내판(61)의 외측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된다.
상기 단자안내부재(62)는 상기 단자안내부재(62)의 일측 하부에 단자안내판(61)의 두께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하부돌기(641)(643)의 사이에 형서되어 상기 단자안내판(61)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64)과; 상기 단자안내부재(6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1)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상기 단자(1)의 단자홈(1b)에 삽입되는 안내핑거(66)와; 상기 단자(1)의 크기에 대응하여 단자(1)를 안내하도록 상기 단자안내판(61)에서 상기 단자안내부재(62)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안내핑거(66)는 x축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핑거(573)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단자(1)의 단자홈(1b)을 지지하도록, 핑거(573)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안내핑거(66)를 넓게 형성하여 다수개의 단자(1)들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하고, 안내핑거(66)의 중앙부분에는 핑거(573)가 위치될 수 있 는 핑거홈(661)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높이조절부(68)는 상기 단자안내부재(62)의 외측에서 상기 결합홈(64)에 관통되며 수직으로 형성된 장홀(681)과; 상기 장홀(681)에 결합되는 결합노브(68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노브(683)는 단자안내판(61)의 나사결합홀(691)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결합노브(683)를 분리한 상태에서 장홀(681)이 형성된 단자안내부재(62)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결합노브(683)를 조여서 단자안내부재(6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단자안내부재(62)는 수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높이가 다른 단자(1)들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단자를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으므로, 단자압착장치는 정확하게 이송된 단자를 용이하게 압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류가 다른 압착장치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설계변경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범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은 단자를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단자에 대응하여 각각의 단자를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이송부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단자를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단자 이송장치에 있어서,
    하부베이스판(10)과;
    상기 하부베이스판(10)의 상부에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상부베이스판(20)과;
    상기 상부베이스판(20)을 상기 하부베이스판(10)의 상부에서 왕복이동 시키도록 상기 상부베이스판(20) 및 상기 하부베이스판(10)의 사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이동부(30)와;
    상기 상부베이스판(2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40)와;
    상기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직선으로 왕복 이동되어 단자릴(2)에서 공급되는 단자(1)를 이송시키는 단자이송부(50)와;
    상기 단자이송부(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이송부(50)가 상기 단자(1)를 일직선으로 이송시키도록 단자(1)를 안내하는 단자안내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이동부(30)는
    상기 하부베이스판(10)의 양측에 x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면/후면지지부재(31)(32)와;
    상기 전면/후면지지부재(31)(32)에 공회전되게 설치되는 볼스크류(33)와;
    상기 볼스크류(33)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33)의 정/역회전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상기 상부베이스판(20)에 일체로 설치된 나사부재(35)와;
    상기 볼스크류(33)를 정/역회전시키도록 상기 볼스크류(33)의 일단에 결합되는 노브(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이송부(50)의 이동구간을 설정하는 구간설정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이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설정부(70)는
    상기 상부베이스판(20)의 일측에 y축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부재(71)와;
    상기 가이드부재(71)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수광소자(73)(75)와;
    상기 단자이송부(50)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수광소자(73)(75)를 향하여 빛을 주사하는 발광소자(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는
    정/역회전되는 모터(41)와;
    상기 모터(41)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43)와;
    상기 구동풀리(43)와 대응되며 상기 단자이송부(50)에 결합되는 피동풀리(45)와;
    상기 구동풀리(43) 및 피동풀리(45)에 게재되는 벨트(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이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이송부(50)는
    상기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볼스크류(51)와;
    상기 볼스크류(5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51)의 회전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이동부재(53)와;
    상기 이동부재(53)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부재(55)와;
    상기 수평부재(55)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1)를 이동시키는 핑거부(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이송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57)는
    상기 수평부재(55)의 끝단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단자(1)의 단자홀(1a)에 끼워지도록 돌기(571)가 형성된 핑거(573)와;
    상기 핑거(573)가 회전되도록 상기 핑거(571)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부재(55)의 끝단에 설치되는 힌지(575)와;
    상기 핑거(57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핑거(573)의 상부와 상기 수평부재(55)의 끝단에 설치되는 스프링(57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이송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573)는
    상기 핑거(573)를 상하 및 전후로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이송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80)는
    상기 수평부재(55)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나사홀(81)과;
    상기 나사홀(81)에 일단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재(82)와;
    상기 나사부재(82)의 타단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나사관통홀(83)이 형성된 핑거판(84)과;
    상기 핑거판(84)에 접촉되며 상기 나사관통홀(83)에 대응하도록 수직하게 장홀(85)이 형성된 보조핑거판(86)과;
    상기 장홀(85)에 끼워지며 상기 나사관통홀(83)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 재(8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이송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안내부(60)는
    상기 상부베이스판(20)의 일측에 상기 단자이송부(50)의 하부까지 수평하게 설치되는 단자안내판(61)과;
    상기 단자이송부(5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단자안내판(61)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는 단자안내부재(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이송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안내판(61)은
    상기 단자(1)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단자안내판(61)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자턱(63)과;
    상기 단자안내판(61)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홀(65)과;
    상기 나사홀(65)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노브(67)와;
    상기 회전노브(67)와 결합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노브(67)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단자안내판(61)의 외측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며, 단자안내부재(62)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결합홀(691)이 형성된 외측판(6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이송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안내부재(62)는
    상기 단자안내부재(62)의 일측 하부에 단자안내판(61)의 두께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하부돌기(641)(643)의 사이에 형서되어 상기 단자안내판(61)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64)과;
    상기 단자안내부재(6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1)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상기 단자(1)의 단자홈(1b)에 삽입되는 안내핑거(66)와;
    상기 단자(1)의 크기에 대응하여 단자(1)를 안내하도록 상기 단자안내판(61)에서 상기 단자안내부재(62)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이송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68)는
    상기 단자안내부재(62)의 외측에서 상기 결합홈(64)에 관통되며 수직으로 형성된 장홀(681)과;
    상기 장홀(681)에 결합되는 결합노브(68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이송장치.
KR1020070044129A 2007-05-07 2007-05-07 단자 이송장치 KR100889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129A KR100889030B1 (ko) 2007-05-07 2007-05-07 단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129A KR100889030B1 (ko) 2007-05-07 2007-05-07 단자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804A KR20080098804A (ko) 2008-11-12
KR100889030B1 true KR100889030B1 (ko) 2009-03-19

Family

ID=4028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129A KR100889030B1 (ko) 2007-05-07 2007-05-07 단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163B1 (ko) * 2012-08-24 2014-01-2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단자 공급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057Y1 (ko) 2001-06-04 2001-10-29 정관규 단자압착기
KR200341419Y1 (ko) 2003-11-17 2004-02-11 조진우 단자압착기용 단자이송장치
KR100449420B1 (ko) 2001-06-04 2004-09-30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단자압착기
KR100450873B1 (ko) 2004-05-17 2004-10-01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057Y1 (ko) 2001-06-04 2001-10-29 정관규 단자압착기
KR100449420B1 (ko) 2001-06-04 2004-09-30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단자압착기
KR200341419Y1 (ko) 2003-11-17 2004-02-11 조진우 단자압착기용 단자이송장치
KR100450873B1 (ko) 2004-05-17 2004-10-01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804A (ko) 200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6128C (zh) 用于端接机的接线端进给装置和包括该装置的端接系统
US5941674A (en) Interchangeable electronic carrier tape feeder adaptable to various surface mount assembly machines
US20120217520A1 (en) Led mount bar capable of freely forming curved surfaces thereon
KR102008173B1 (ko) 케이블 단자 자동 연결 장치
US7562552B2 (en) Crimp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20180026382A1 (en) Connector
KR100889030B1 (ko) 단자 이송장치
US5590457A (en) Terminal insertion guiding apparatus
GB1558582A (en) Connectors for insulated conductors
CN109119863A (zh) 多芯线压端子方法及采用该方法的多芯线压端子机
US5661897A (en) Applicator for terminal crimping machine
CN105408683A (zh) Led组件
KR101385860B1 (ko) 플랫 케이블용 단자 압착방법 및 압착장치
US3968555A (en) Electrically operated programmable insertion tool with conductor guide and movable strain relief insertion mechanisms
US6657449B2 (en) Test pin unit for PCB test device and feeding device of the same
US9972958B2 (en) Press-fitting device
US8062058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system and apparatus
KR100768538B1 (ko) 전원단자압착기
EP06995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ying a wire
US47578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wires
JP4080399B2 (ja) 可動式電線送り装置
JP4201670B2 (ja) 電線送り装置
CN105155076A (zh) 电子提花机的电磁阀组件
KR200395624Y1 (ko) 전원단자압착기
JP4252865B2 (ja) 電線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