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1411A -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 Google Patents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1411A
KR20050021411A KR1020050009633A KR20050009633A KR20050021411A KR 20050021411 A KR20050021411 A KR 20050021411A KR 1020050009633 A KR1020050009633 A KR 1020050009633A KR 20050009633 A KR20050009633 A KR 20050009633A KR 20050021411 A KR20050021411 A KR 2005002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ail
finger
holder
righ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7526B1 (ko
Inventor
이지봉
Original Assignee
이지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봉 filed Critical 이지봉
Priority to KR10-2005-0009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526B1/ko
Publication of KR2005002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g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다이로 공급되는 전선 및 단자를 압착하여 결합하기 위한 단자결착기에서 단자를 펀치 다이로 정확히 이송시키기 위한 단자이송 조절기구에 관한 것으로, 핑거홀더와, 상기 핑거홀더에 횡방향안내부재를 이용하여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좌우이동블럭과, 하부에 시소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핑거를 연결 설치하여 상기 좌우이동블럭에 직교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후이동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핑거홀더 및 좌우이동블럭 일면에는 조절나사 지지판이 구비되어 상기 조절나사 지지판에 각각 제1조절나사 및 제2조절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조절나사를 이용하여 좌우이동블럭과 핑거홀더 회전축의 축간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핑거의 진행방향에 대해 좌우 이격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제2조절나사를 조절함으로써 단자의 크기에 대응하여 핑거의 전후 위치, 즉 핑거와 이송다이와의 이격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Terminal transfering control device of terminal clamping machine tool}
본 발명은 성형다이로 공급되는 전선 및 단자를 압착하여 결합하기 위한 단자결착기에서 단자를 펀치다이에 정확히 이송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단자이송 조절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핑거의 좌우전후 이동을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한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전원선 및 신호선은 회로구성이 용이하도록 전선의 일단에 단자가 물린 형태로 제품화 되는 바, 이와 같은 형태의 제품은 전선공급기, 단자공급기, 단자결착기, 클램핑머신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킨 장치를 통하여 완성된다.
이때, 단자결착기는 전선 및 단자를 하나씩 성형다이로 이송하는 이송부, 펀치를 소정의 높이로 하강시켜 결착을 완료하는 펀치가동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부는 클램핑머신의 상하 왕복하는 램과 기구적으로 연결되므로 동일한 규격을 지닌 제품의 연속 제조가 가능하다.
종래의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는 등록특허 10-045087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같은 선행기술의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램핑머신의 램에 의하여 펀치다이(2) 내의 펀치홀더(1)가 상하로 작동되며, 펀치홀더(1)와 연동하는 롤러(4)의 롤러홀더를 조절나사(7)로 조절해 핑거홀더(3) 하부에 위치하는 핑거(6)의 단자 이송거리를 조정하는 단자 이송거리 조절기구에 있어서, 하부 일측면에 레일(10)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일단에는 하부에 조절나사 걸림홈(5a)이 구비된 조절나사 지지판(5)을 설치하고 있는 핑거홀더(3)와; 상기 핑거홀더(3)의 레일(1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마주보는 측면에 레일안내홈(9)을 형성하고, 레일안내홈(9) 외측에는 볼트삽입공(12)을 천공하며, 그 하부에 시소판(8)과 연결된 핑거(6)를 연결 설치하여서 되는 이동블럭(11)과; 상기 조절나사 지지판(5)의 하부 걸림홈(5a)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 인접부에 밀림방지용 걸림턱(7a)을 형성하며, 그 선단부는 상기 이동블럭(11)에 나사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나사(7)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단자이송 조절기구는, 이동블럭과 회전축의 축간거리를 길게 조정하여 조절나사에 의한 핑거의 단자 좌우 이격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핑거의 전후 위치 조정이 불가능하므로 단자의 크기에 따른 핑거의 폭을 미세하게 조정하여 설정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단자압착기에 설치되어 단자를 이송시키는 단자이송장치의 간격조절구로서 슬라이딩 홀더를 핑거홀더 하부에 좌우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조절나사에 의해 단자의 이송간격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의 크기에 따라 핑거와 이송다이와의 이격거리를 적절하게 미세 조정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는, 크램핑머신의 램에 의하여 펀치다이 내의 펀치홀더가 상하로 작동되며, 펀치홀더와 연동하는 롤러의 롤러홀더를 조절나사로 조절해 핑거홀더 하부에 위치하는 핑거의 단자 이송거리 및 전후 위치를 조정하는 단자 이송거리 조절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이송다이에 설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면에 조절나사 지지판을 구비하고 있는 핑거홀더와; 핑거의 진행방향에 대해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횡방향안내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핑거홀더에 마주보게 결합되며, 일면에 조절나사 지지판을 구비하고 있는 좌우이동블럭과; 핑거와 이송다이와의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종방향안내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좌우이동블럭에 직교된 방향으로 마주보게 결합되며, 하부에 시소판과 연결된 핑거를 연결 설치하고 있는 전후이동블럭과; 상기 핑거홀더의 조절나사 지지판 및 좌우이동블럭의 조절나사 지지판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제1조절나사 및 제2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안내수단은 핑거홀더에 형성된 레일안내홈과, 이에 대응되게 좌우이동블럭에 돌출 형성되는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종방향안내수단은 좌우이동블럭에 형성된 레일안내홈과, 이에 대응되게 전후이동블럭에 돌출 형성되는 레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안내수단은 핑거홀더에 돌출 형성된 레일과, 이에 대응되게 좌우이동블럭에 형성되는 레일안내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종방향안내수단은 좌우이동블럭에 형성된 레일안내홈과, 이에 대응되게 전후이동블럭에 돌출 형성되는 레일안내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안내수단은 핑거홀더에 형성된 레일안내홈과, 이에 대응되게 좌우이동블럭에 돌출 형성되는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종방향안내수단은 좌우이동블럭에 돌출 형성된 레일과, 이에 대응되게 전후이동블럭에 형성되는 레일안내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안내수단은 핑거홀더에 돌출 형성된 레일과, 이에 대응되게 좌우이동블럭에 형성되는 레일안내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종방향안내수단은 돌출 형성된 레일과, 이에 대응되게 전후이동블럭에 형성되는 레일안내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이동블럭에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핑거홀더에는 볼트삽입공이 횡방향으로 천공된 장홀로 형성되어, 상기 좌우이동블럭의 볼트체결공에 상기 핑거홀더의 볼트삽입공을 관통한 볼트가 체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후이동블럭에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이동블럭에는 볼트삽입공이 종방향으로 절개된 장홀로 형성되어, 상기 전후이동블럭의 볼트체결공에 상기 좌우이동블럭의 볼트삽입공을 관통한 볼트가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핑거홀더에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이동블럭에는 볼트삽입공이 횡방향으로 절개된 장홀로 형성되어, 상기 좌우이동블럭의 볼트체결공에 상기 핑거홀더의 볼트삽입공을 관통한 볼트가 체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후이동블럭에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이동블럭에는 볼트삽입공이 종방향으로 절개된 장홀로 형성되어, 상기 전후이동블럭의 볼트체결공에 상기 좌우이동블럭의 볼트삽입공을 관통한 볼트가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이송 조절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중 요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이송 조절기구에 의하면, 펀치홀더(51)는 클램핑머신의 램(미도시)에 의하여 펀치다이(55) 내에서 상하 왕복운동하면서 하부의 펀치(56)에 의하여 단자(미도시)를 압착시켜 와이어(미도시)의 나선부를 감싸도록 하는 동시에 펀치(56)와 함께 하강하는 스트립퍼(57)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붙어서 공급되는 단자와 단자간을 단락시킨다. 단자의 압착과 단락은 성형다이(58) 상에서 이루어지며, 연속으로 붙은 단자들은 드랙(drag)(59)을 거쳐 스트립 가이드(60) 전방의 가이드 플레이트(61)의 상면을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핑거홀더(70)는 상기한 펀치홀더(51)에 연동하는 것으로서 이송다이(53)에 설치되는 회전축(73)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한다. 핑거홀더(70)의 하부와 펀치다이(55) 사이에는 압축스프링(62)이 설치되어 있어서 핑거홀더(70)에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있다. 핑거홀더(70)의 하부 일측면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부(7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74) 하부에는 횡방향으로 레일안내홈(75)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다이(53)의 일측에는 핑거홀더(70)의 회전각을 일정하게 제한하는 각조절볼트(6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각조절볼트(63)는 핑거홀더(70)가 시계방향으로 일정범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각조절볼트(63)를 조절하면 핑거(113)의 좌우방향 거리가 크게 변한다. 핑거(113)의 좌우방향 거리가 크게 변하므로 연속적으로 붙은 단자와 단자 간의 간격을 맞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같은 단자와 단자 간의 간격의 미세조절은 후술하는 제1조절나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펀치홀더(51)의 측면 상부에는 경사면을 갖는 안내대(52)가 돌출되며, 상기 핑거홀더(70)의 상부에는 펀치홀더(51)의 안내대(52) 경사면을 따라 대각선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마찰운동하는 롤러(7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롤러(71)는 회전축(73) 상부에서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롤러(71) 전방면에는 상기 롤러(71)의 전후좌측면을 커버하여 롤러(71)의 탈기를 방지하도록 롤러커버(72)가 구비된다. 이 롤러(71)의 축은 전방을 향하고 있으므로 측방이 접촉면이 된다. 이때, 상기 롤러(71)는 베어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대(52)는 펀치홀더(51)가 상승할 때 롤러(71)가 하향으로 미끄럼운동하면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것이다.
핑거홀더(70)의 가이드부(74) 일측, 즉 단자 공급방향에는 조절나사 지지판(80)이 설치된다. 이 조절나사 지지판(80)은 일단에 걸림홈(81)을 형성함으로서 여기에 끼워져 설치되는 제1조절나사(103)가 전후방향으로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된 상태에서 공회전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조절나사(103)의 손잡이부 인접부에는 밀림방지용 걸림턱(104)이 형성된다. 이 밀림방지용 걸림턱(104)에 의해 상기 제1조절나사(103)는 조절나사 지지판(80)의 하부 걸림홈(81)에 안정적으로 끼워져 전후 이동이 억제된 상태로 회전운동만이 가능하게 된다.
제1조절나사(103)의 선단부는 좌우이동블럭(90)의 나사공(97)에 나사 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좌우이동블럭(90)은 핑거홀더(70)의 레일안내홈(75)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좌우이동블럭(90)에는 상기 가이드부(74)의 레일안내홈(75)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마주보게 돌기 형태의 레일(95)이 마련된다.
그러므로 제1조절나사(103)를 회전시키면, 조절나사 지지판(80)의 하부 걸림홈(81)에 끼워져 지지된 채 그 선단을 좌우이동블럭(90)의 나사공(97)에 나사결합하고 있는 상기 제1조절나사(103)에 의해서 좌우이동블럭(90)의 레일(95)이 핑거홀더(70)의 레일안내홈(75)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 지지판(80)은, 핑거홀더(70)의 레일안내홈(75)에 볼트(72)로 체결 고정된다. 그러나 이 같은 조절나사 지지판(80)은 핑거홀더(70)와 일체로 가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핑거홀더(70)와 좌우이동블럭(90)간 접촉면의 홈/돌기 결합구조는 핑거홀더(70) 하부에 레일(도시생략)을 돌출 형성하고, 좌우이동블럭(90) 상부에 이에 대응되는 레일안내홈(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좌우이동블럭(90)의 레일(95)과 결합되는 핑거홀더(70)의 레일안내홈(75)에는 볼트삽입공(76)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74)의 레일안내홈(75)은 볼트(77)를 이용하여 볼트삽입공(76)을 관통하여 상기 좌우이동블럭(90)의 레일(95)에 안정적으로 체결된다. 다시 말해, 상부면에 볼트체결공(96)이 형성되어 있는 레일(95)과, 상부면에 볼트삽입공(76)을 횡방향으로 길게 절개하고 있는 레일안내홈(75)은 볼트(77)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조절나사(103)를 느슨하게 풀어주면 상기 좌우이동블럭(90)은 횡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볼트삽입공(76)의 제한된 범위 내에서 레일(95)이 핑거홀더(70)의 레일안내홈(76)을 따라 이동하며 위치가 미세 조정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볼트(77)를 조여 주면 좌우이동블럭(90)은 더 이상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블럭(90) 하부에는 레일안내홈(92)이 구비된 가이드부(9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94) 전방측에는 조절나사 지지판(100)이 설치된다. 이 조절나사 지지판(100)은 하부에 걸림홈(101)을 형성함으로서 여기에 끼워져 설치되는 상기 제2조절나사(120)가 좌우방향으로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된 상태에서 공회전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2조절나사(120)의 손잡이부 인접부에는 밀림방지용 걸림턱(121)이 형성된다. 이 밀림방지용 걸림턱(121)에 의해 상기 제2조절나사(120)는 조절나사 지지판(100)의 하부 걸림홈(101)에 안정적으로 끼워져 좌우 이동이 억제된 상태로 회전운동만이 가능하게 된다.
제2조절나사(120)의 선단부는 전후이동블럭(110)의 나사공(118)에 나사 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전후이동블럭(110)은 좌우이동블럭(90)의 레일안내홈(92)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후이동블럭(110)의 상부면에는 상기 레일안내홈(92)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마주보게 레일(112)이 마련된다.
그러므로 제2조절나사(120)를 회전시키면, 조절나사 지지판(100)의 하부 걸림홈(101)에 끼워져 지지된 채 그 선단을 전후이동블럭(110)의 나사공(118)에 나사결합하고 있는 상기 제2조절나사(120)에 의해서 전후이동블럭(110)의 레일(112)이 좌우이동블럭(90)의 레일안내홈(92)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 지지판(100)은, 좌우이동블럭(90)의 레일안내홈(92)에 볼트(102)로 체결 고정된다. 그러나 이 같은 조절나사 지지판(100)은 좌우이동블럭(90)과 일체로 가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전후이동블럭(110)의 레일(112)과 결합되는 좌우이동블럭(90)의 레일안내홈(92)에는 볼트삽입공(93)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안내홈(92)은 볼트(91)를 이용하여 볼트삽입공(93)을 관통하여 상기 전후이동블럭(110)의 레일(112)에 안정적으로 체결된다. 다시 말해, 상부면에 볼트체결공(117)이 형성되어 있는 레일(112)과, 상부면에 볼트삽입공(93)을 종방향으로 길게 절개하고 있는 레일안내홈(92)은 볼트(91)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조절나사(120)를 느슨하게 풀어주면 상기 전후이동블럭(110)은 종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볼트삽입공(93)의 제한된 범위 내에서 전후이동블럭(110)의 레일(112)이 좌우이동블럭(90)의 레일안내홈(92)을 따라 위치가 미세 조정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91)를 조여 주면 전후이동블럭(110)은 더 이상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전후이동블럭(110)의 하부에는 시소판(116)이 핀(114)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핀(114)을 중심으로 일측이 스프링(115)에 의해 탄설되는 상기 시소판(116)의 일단에는 핑거(113)가 설치되어 있다. 시소판(116)은 핀(114)을 중심으로 양단이 시소 운동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시소운동은 핑거홀더(70)가 회전하더라도 핑거(113)가 항상 일정하게 가이드 플레이트(61) 상의 단자를 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동작을 첨부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클램핑 머신의 램에 의하여 펀치홀더(51)가 상승하면 펀치홀더(51) 일측의 안내대(52)도 동시에 올라간다. 이에 따라 롤러(71)는 안내대(52)의 경사진 접촉면을 따라 미끄럼 마찰운동을 하면서 대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핑거홀더(70)는 회전축(7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핑거(113)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스트립 가이드(60) 전방의 가이드 플레이트(61) 상면에 길게 공급되는 단자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민다.
이어서, 핑거홀더(70)에 조절나사 지지판(80)을 이용하여 설치된 상기 제1조절나사(10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핑거홀더(70)의 레일안내홈(75)에 끼워져 결합되는 좌우이동블럭(90)의 레일(95)이 레일안내홈(75)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조절나사(103)는 일측에 형성된 밀림방지용 턱(104)이 조절나사 지지판(80)의 하부 걸림홈(81)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후, 좌우이동블럭(90)에 조절나사 지지판(100)을 이용하여 설치된 상기 제2조절나사(12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좌우이동블럭(90)의 레일안내홈(92)에 끼워져 결합되는 전후이동블럭(110)의 레일(112)이 좌우이동블럭(90)의 레일안내홈(9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조절나사(120)는 일측에 형성된 밀림방지용 턱(121)이 조절나사 지지판(100)의 하부 걸림홈(101)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좌우이동블럭(90) 및 전후이동블럭(110)이 좌우전후로 이동되면, 전후이동블럭(110)의 저부에 핀(114)으로 연결되는 시소판(116)과 이 시소판(116)의 타측에 볼트로서 결합되는 핑거(113)도 좌우이동블럭(90) 및 전후이동블럭(110)과 같이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제1조절나사(103) 및 제2조절나사(120)의 회동에 의해 좌우이동블럭(90) 및 전후이동블럭(110)이 좌우전후로 이동되면서 단자의 이송간격 및 핑거(113)의 전후위치가 조절 완료되고 나면, 핑거홀더(70)에 횡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볼트삽입공(76)에 끼워져 있는 상기 볼트(77) 및 좌우이동블럭(90)에 종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볼트삽입공(93)에 끼워져 있는 상기 볼트(91)를 조여 주어서 핑거홀더(70)에 좌우이동블럭(90) 및 전후이동블럭(110)을 유동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킨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단자의 이송간격이 간편하게 조절되는 것으로서, 핑거홀더(70)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송단자 간격조절수단을 통해 단자 이송간격의 오차를 줄이면서 단자의 크기를 고려하여 핑거(113)와 이송다이(53)와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하게 단자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펀치(56) 하부의 단자 위에 와이어가 공급되면 다음 순간 램이 펀치홀더(51)를 하강시켜 펀치(56)가 단자를 압착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롤러(71)는 안내대(52)의 경사진 외면을 따라 미끄럼마찰운동을 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다시 말해서 핑거홀더(70)가 압축스프링(62)에 의하여 회전축(7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핑거홀더(70)에 부속하는 좌우이동블럭(90) 및 전후이동블럭(110)과 핑거(113)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핑거홀더(70) 하부에 레일안내홈(75)을 형성하고, 좌우이동블럭(90) 상부에는 상기 레일안내홈(75)에 대응되게 레일(95)을 형성한 구조이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안내홈(75a)을 핑거홀더(70)에 일측면에 형성하고, 레일(95a)을 상기 레일안내홈(75a)에 대응되게 좌우이동블럭(90) 일측면에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볼트체결공(76a)은 핑거홀더(70)의 레일안내홈(75a) 일측면에 형성되고, 볼트삽입공(96a)은 좌우이동블럭(90)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천공된 장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홀더(70)에 레일(75b)을 돌출 형성하고, 좌우이동블럭(90)에는 상기 레일(75b)에 대응되게 레일안내홈(95b)을 형성하며, 상기 좌우이동블럭(90) 하부에는 레일안내홈(92)을 형성하고, 상기 전후이동블럭(110)에는 상기 레일안내홈(92)에 대응되게 레일(112)을 돌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볼트체결공(76b)은 핑거홀더(70)의 레일(75b) 일측면에 형성되고, 볼트삽입공(96a)은 좌우이동블럭(90)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천공된 장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홀더(70)에 레일안내홈(75a)을 형성하고, 좌우이동블럭(90)에는 상기 레일안내홈(75a)에 대응되게 레일(95a)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좌우이동블럭(90) 하부에는 레일(92a)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전후이동블럭(110)에는 상기 레일(92a)에 대응되게 레일안내홈(112a)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홀더(70)에 레일(75b)을 돌출 형성하고, 좌우이동블럭(90)에는 상기 레일(75b)에 대응되게 레일안내홈(95b)을 형성하며, 상기 좌우이동블럭(90) 하부에는 레일(92a)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전후이동블럭(110)에는 상기 레일(92a)에 대응되게 레일안내홈(112a)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요구하는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는데 적합한 일예를 든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핑거홀더와 상기 핑거홀더에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좌우이동블럭과 상기 좌우이동블럭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후이동블럭 및 상기 좌우이동블럭의 이동을 조정하는 제1조절나사와 상기 전후이동블럭의 이동을 조정하는 제2조절나사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1조절나사에 의해 좌우이동블럭과 회전축의 축간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핑거의 좌우 이격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제2조절나사를 조절함으로써 단자의 크기에 대응하여 핑거와 이송다이와의 이격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자이송 조절기구가 설치된 단자결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이송 조절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중 요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펀치홀더, 52:안내대 53:이송다이, 55:펀치다이, 56:펀치, 57:스트립퍼, 58:성형다이, 59:드랙, 60:스트립 가이드. 61:가이드 플레이트, 62,115:스프링, 63:각조절버튼, 70:핑거홀더, 71:롤러, 72:롤러커버, 73:회전축, 74,94:가이드부, 75,92:결합안내홈, 76,93:볼트삽입공, 77,82,91,102:볼트, 80,100:조절나사 지지판, 81,101:걸림홈, 90:좌우이동블럭, 95,112:레일, 96,117:볼트체결공, 97,118:나사공, 103:제1조절나사, 104,121:밀림방지용 걸림턱, 110:전후이동블럭, 113:핑거, 114:핀, 116:시소판, 120:제2조절나사

Claims (7)

  1. 크램핑머신의 램에 의하여 펀치다이 내의 펀치홀더가 상하로 작동되며, 펀치홀더와 연동하는 롤러의 롤러홀더를 조절나사로 조절해 핑거홀더 하부에 위치하는 핑거의 단자 이송거리 및 전후 위치를 조정하는 단자 이송거리 조절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이송다이에 설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면에 조절나사 지지판을 구비하고 있는 핑거홀더와;
    핑거의 진행방향에 대해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횡방향안내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핑거홀더에 마주보게 결합되며, 일면에 조절나사 지지판을 구비하고 있는 좌우이동블럭과;
    핑거와 이송다이와의 이격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종방향안내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좌우이동블럭에 직교된 방향으로 마주보게 결합되며, 하부에 시소판과 연결된 핑거를 연결 설치하고 있는 전후이동블럭과;
    상기 핑거홀더의 조절나사 지지판 및 좌우이동블럭의 조절나사 지지판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제1조절나사 및 제2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안내수단은 핑거홀더에 형성된 레일안내홈과, 이에 대응되게 좌우이동블럭에 돌출 형성되는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종방향안내수단은 좌우이동블럭에 형성된 레일안내홈과, 이에 대응되게 전후이동블럭에 돌출 형성되는 레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안내수단은 핑거홀더에 돌출 형성된 레일과, 이에 대응되게 좌우이동블럭에 형성되는 레일안내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종방향안내수단은 좌우이동블럭에 형성된 레일안내홈과, 이에 대응되게 전후이동블럭에 돌출 형성되는 레일안내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안내수단은 핑거홀더에 형성된 레일안내홈과, 이에 대응되게 좌우이동블럭에 돌출 형성되는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종방향안내수단은 좌우이동블럭에 돌출 형성된 레일과, 이에 대응되게 전후이동블럭에 형성되는 레일안내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안내수단은 핑거홀더에 돌출 형성된 레일과, 이에 대응되게 좌우이동블럭에 형성되는 레일안내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종방향안내수단은 돌출 형성된 레일과, 이에 대응되게 전후이동블럭에 형성되는 레일안내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블럭에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핑거홀더에는 볼트삽입공이 횡방향으로 천공된 장홀로 형성되어, 상기 좌우이동블럭의 볼트체결공에 상기 핑거홀더의 볼트삽입공을 관통한 볼트가 체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후이동블럭에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이동블럭에는 볼트삽입공이 종방향으로 절개된 장홀로 형성되어, 상기 전후이동블럭의 볼트체결공에 상기 좌우이동블럭의 볼트삽입공을 관통한 볼트가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홀더에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이동블럭에는 볼트삽입공이 횡방향으로 절개된 장홀로 형성되어, 상기 좌우이동블럭의 볼트체결공에 상기 핑거홀더의 볼트삽입공을 관통한 볼트가 체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후이동블럭에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이동블럭에는 볼트삽입공이 종방향으로 절개된 장홀로 형성되어, 상기 전후이동블럭의 볼트체결공에 상기 좌우이동블럭의 볼트삽입공을 관통한 볼트가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KR10-2005-0009633A 2005-02-02 2005-02-02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KR100497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633A KR100497526B1 (ko) 2005-02-02 2005-02-02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633A KR100497526B1 (ko) 2005-02-02 2005-02-02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411A true KR20050021411A (ko) 2005-03-07
KR100497526B1 KR100497526B1 (ko) 2005-07-01

Family

ID=3722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633A KR100497526B1 (ko) 2005-02-02 2005-02-02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5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030B1 (ko) * 2014-07-14 2015-07-03 이지봉 클램핑머신의 실린더블럭 이송장치
KR101533031B1 (ko) * 2014-07-14 2015-07-03 이지봉 클램핑머신의 에어공급 제어장치
CN105681997A (zh) * 2014-11-18 2016-06-15 中航航空电子有限公司 一种耳机自动化焊接装置及方法
KR101665920B1 (ko) * 2016-08-23 2016-10-13 이지봉 단자압착기의 핑거 간극 미세 조정기구
EP3820002A1 (de) * 2019-11-08 2021-05-12 Schäfer Werkzeug- und Sondermaschinenbau GmbH Vorschubvorrichtung für eine crimpvorrichtung sowie crimpvorrichtu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030B1 (ko) * 2014-07-14 2015-07-03 이지봉 클램핑머신의 실린더블럭 이송장치
KR101533031B1 (ko) * 2014-07-14 2015-07-03 이지봉 클램핑머신의 에어공급 제어장치
CN105681997A (zh) * 2014-11-18 2016-06-15 中航航空电子有限公司 一种耳机自动化焊接装置及方法
CN105681997B (zh) * 2014-11-18 2019-03-12 中航航空电子有限公司 一种耳机自动化焊接装置及方法
KR101665920B1 (ko) * 2016-08-23 2016-10-13 이지봉 단자압착기의 핑거 간극 미세 조정기구
EP3820002A1 (de) * 2019-11-08 2021-05-12 Schäfer Werkzeug- und Sondermaschinenbau GmbH Vorschubvorrichtung für eine crimpvorrichtung sowie crimp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7526B1 (ko)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7526B1 (ko)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MX2007016399A (es) Dispositivo alimentador de terminales para una maquina de acabado.
KR100450872B1 (ko)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KR101533030B1 (ko) 클램핑머신의 실린더블럭 이송장치
TW557615B (en) Cutting/caulking device for laterally jointed terminal
KR20080100521A (ko)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거리 미세조정 표시장치
CN201783599U (zh) 一种金属棒料定长冲切机
CN104577626A (zh) 端子输送装置、端子压接机及其执行器、压接线制造方法
US8336198B2 (en) Automatic feeding and crimping device of applicator in terminal making machine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cables and cable terminals
JP2602482B2 (ja) 端子テ−プ移動手段を改良した電気端子アプリケ−タ
KR200347680Y1 (ko)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KR200418688Y1 (ko) 터미널의 바렐성형장치
KR200311492Y1 (ko)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KR101665920B1 (ko) 단자압착기의 핑거 간극 미세 조정기구
KR100450873B1 (ko) 단자결착기의 단자 이송 플레이트 간격 조절장치
JP5109514B2 (ja) 曲げ成形機の異常検知装置及びその異常検知装置を備えた曲げ成形機
JP3469357B2 (ja) 電子部品におけるリード端子の曲げ加工装置
JP2929029B2 (ja) ボンダ用クランパ装置
KR100667260B1 (ko) 단자결착기의 전선고정구조
JPH10247577A (ja) 端子圧着装置と端子搬送方法及び端子切断方法並びにクランプ位置決め方法
KR200281257Y1 (ko)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KR20080100522A (ko)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플레이트 간격 미세조정 표시장치
KR200206784Y1 (ko)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CN217492347U (zh) 一种配电箱铜排的加工设备
US5881968A (en) Adjustable tape-positioning apparatus for a chip carrier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