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747A -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 - Google Patents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747A
KR20040055747A KR1020040034250A KR20040034250A KR20040055747A KR 20040055747 A KR20040055747 A KR 20040055747A KR 1020040034250 A KR1020040034250 A KR 1020040034250A KR 20040034250 A KR20040034250 A KR 20040034250A KR 20040055747 A KR20040055747 A KR 20040055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rimary
variable differential
linear variabl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계록
김철한
김윤진
노정훈
이현철
김호종
정동근
사공건
손정만
김광년
예수영
정도운
조성택
박종덕
이규원
권기식
신성훈
이희정
성명원
Original Assignee
전계록
김철한
김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계록, 김철한, 김윤진 filed Critical 전계록
Priority to KR102004003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5747A/ko
Publication of KR20040055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7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유로이 이동하는 코어(30)의 변위에 비례하여 전기적 출력을 생성하는 선형가변차동변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코일을 감는 포머, 기계적 변위를 감지하는 코어(30), 코어(30)를 지지해주는 지지봉(40), 차폐케이스(50), 그리고 기계적 변위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주는 코일로 구성된 선형가변차동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코어(3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머에 감기는 일차코일(110),(310),(410)을 중심으로 네개의 이차코일(120),(210),(320),(420)이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각 이차코일(120),(210),(320),(420)과 일차코일(110),(310),(410)간의 거리가 d1, d2이며, 여기에서 d1≠d2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몸체의 길이에 비해 Long range까지 측정이 가능하고 코어와 몸체분리형에서도 선형화가 가능하며, 변곡점이 다른 두개의 S자형 출력곡선의 선형화를 실현하여 단일의 변위값을 측정할 수 있는 선형화 구간이 넓어지며, 코어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영점과 시스템의 영점 보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LVDT using double coil type}
본 발명은 자유로이 이동하는 코어의 변위에 비례하여 전기적 출력을 생성하는 선형가변차동변환기로, 특히 이중코일 구조로 형성되어 선형화 구간이 넓고, 시스템의 영점 보정이 용이한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형가변차동변환기(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LVDT)는 상호 인덕턴스(mutual-inductance) 변화를 이용하는 소자이며, 기계적,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움직이게 할 수 있는 코어의 변위에 비례하여 전기적 출력이 발생된다.
가장 간단한 형태로서 선형가변차동변환기는 코일을 감는 포머(former)와 기계적 변위를 감지하는 코어(30), 코어를 지지해주는 지지봉(40), 외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적간섭과 1차측과 2차측 사이에서 발생하기 쉬운 와전류(eddy current)를 제거하기 위한 차폐케이스(50), 그리고 기계적 변위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주는 코일(10),(20)로 구성된다.
전기적 절연이 높은 원통형의 포머는 코일을 감을 수 있게 3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중간 부분에 AC전압을 공급하는 일차코일(primary coil)(10)을 감고, 1차측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대칭적으로 동일한 모양을 가진 이차코일(secondary coil)(20)을 감아서 외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직렬 연결되어 있다.
비자성체 코어(non-magnetic core)(30)의 운동은 각각의 2차측에서 발생되는 여기전압(induced voltage)을 일으키게 하는 1차측과 2차측의 상호 인덕턴스를 변하게 한다.
만약 코어(30)가 2차 권선들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다면 각 2차측에 유기되는 기전력은 동일하고 180°위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출력은 영이 된다. 그런데 코어(30)가 움직여서 중간을 벗어난다면 한편의 2차측과 1차측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는 다른 쪽 2차측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상호 인덕턴스보다 크게 되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2차측 출력단자에서는 차동전압(Differential voltage)이 발생할 것이다.
동작 범위 안에서의 이러한 변위에 따라 발생하는 차동전압은 본질적으로 선형적으로 변한다. 코어와 코어 사이에 실질적인 접촉이 없기 때문에 LVDT의 기계적 부분은 마모되거나 약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출력에 영향을 주는 마찰이 없기 때문에 무한한 분해도를 얻을 수 있으며 히스테리시스(hysteresis)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코어의 크기가 작고 마찰이 적음으로써 동적 측정(Dynamic measurement)에 대하여 응답특성을 높일 수 있고, 기계적 과부하에 의한 영향이 없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선형가변차동변환기를 수학적으로 해석하면 철(iron)을 원통형으로 가공한 코어(30)의 반경을 ri, 길이를 La라 하고 코일의 외부 반경을 rb, 내부 반경을 ri로 한다. 일차코일(10)이 감기는 부분의 넓이를 b, 이차 코일이 감기는 부분의 넓이를 m, 1차측과 2차측 사이의 간격을 d라고 했을 때, 다소간의 수학적 계산을 거치면 다음 수학식 1, 2와 같은 좌측부의 2차측 출력전압과 우측부의 2차측 출력전압을 얻게 된다.
수학식 1과 2에 따라 차동 출력전압은 다음 수학식 3과 같다.
여기에서 K1은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sensitivity(감도)가 되며, K2는 non-linearity(비선형도)의 factor가 되며, K1과 K2는 다음 수학식 4, 5와 같다.
여기에서 xo=(x1+x2)/2이다.
상기 수학식 1과 수학식 2에 의한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출력전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에 따라 S자형 출력형태로 나타나며, 출력전압에 대한 변위는 2개의 값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많은 장점과 폭넓은 응용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기능 확정요구를 받고 있다. 근래에는 자동제어 시스템이 디지털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며, 이런 추세에 발맞추어 주변의 장비들이 디지털화되어 가고 있다.
더욱이 전자공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센서가 소형화되고 있으며, 스마트센서및 인텔리전트 센서로 전환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물로 선형가변차동변환기도 앰프내장형인 DC type의센서가 시장에 출시되고 있으며 일부제품은 디지털화된 제품도 있지만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다른 변위센서와 응용에서 대별되는 장점인 본체와 코어의 분리형으로의 응용에 있어서 디지털화는 근본적인 어려움이 뒤따른다.
기존의 선형가변차동변환기를 디지털화하는데 따른 문제점은 아래와 같다.
(1)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출력전압은 수학식 1과 2에서 나타내듯이 변위에 따라 S자형 출력으로, 한 출력전압에 대해 2개의 상이한 변위값을 가지며, 선형구간이 매우 짧으며, S자형 출력 변곡점 이전까지만 선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변곡점 부근에서는 변위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가 미소하므로 감도가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2)상기와 같은 이유로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전체 길이에 비해 변위 측정구간이 짧다.
(3)선형가변차동변환기를 디지털화하기 위해 출력곡선을 비선형부분까지 확장하여 선형화할 경우 영점을 기준으로 선형화해야 하는데 코어와 몸체분리형의 경우 시스템에 장착했을 때 대칭적인 중점에 장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영점과 시스템의 영점이 다르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앰프에서 전기적으로 영점조정을 하게 되는데, 이것은 선형구간에서만 가능한 일이다. 그리고 선형가변차동변환기를 선형화할 수 있어도 시스템의 영점에 따라 다시 보정이 필요한데 이는 두개의 출력을 이용하면 가능하다.이러한 선형화와 시스템의 영점 보정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으로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선형화를 시도할 경우 S자형 출력 변곡점 이전까지만 선형화할 수 있으며, 또한 몸체와 코어가 변형이 없이 잘 설계된 하나의 모듈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몸체의 길이에 비해 Long range까지 측정이 가능하고 코어와 몸체분리형에서도 선형화가 가능한 이중코일을 가진 선형가변차동변환기를 제공하여, 변곡점이 다른 두개의 S자형 출력곡선의 선형화를 실현하여 선형화 구간이 넓은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 기술에 따른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기본 구조 및 원리를 나타낸 도.
도 2 - 종래 기술에 따른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출력전압 및 변위를 나타낸 도.
도 3 -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를 나타낸 도.
도 4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
도 5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
도 6 - 본 발명에 따른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출력전압을 나타낸 도.
도 7 - 본 발명에 따른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출력전압의 2차원화한 도.
도 8 - 본 발명에 따른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이중 출력전압과 변위와의 일대일 대응 투영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일차코일 20 : 이차코일
30 : 코어 40 : 지지봉
50 : 차폐케이스 100 : 단일코일부
110 : 일차코일 120 : 이차코일
200 : 이중코일부 210 : 이차코일
300 : 단일코일부 310 : 제1일차코일
320 : 제1이차코일 400 : 이중코일부
410 : 제2일차코일 420 : 제2이차코일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코일을 감는 포머, 기계적 변위를 감지하는 코어, 코어를 지지해주는 지지봉, 차폐케이스, 그리고 기계적 변위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주는 코일로 구성된 선형가변차동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머에 감기는 일차코일을 중심으로 네개의 이차코일이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각 이차코일과 일차코일간의 거리가 d1, d2이며, 여기에서 d1≠d2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에서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는, 코어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일차코일 일측과 타측에 이차코일이 각각 형성되고, 일차코일과 이차코일간의 거리가 d1으로 형성된 단일코일부와; 상기 단일코일부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단일코일부의 일차코일 일측과 타측에 이차코일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일차코일과의 거리가 d2로 형성된 이중코일부;로 구성되어, 상기 단일코일부의 이차코일과 상기 이중코일부의 이차코일은 차동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는, 코어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머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일차코일과, 상기 제1일차코일 양측에 제1이차코일이 형성되어 상기 제1일차코일과의 거리가 d1으로 형성된 단일코일부와; 상기 단일코일부의 제1이차코일 양측에 제2일차코일이 형성되어 상기 제1이차코일과 상기 제2일차코일과의 거리가 d1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일차코일 양측에 제2이차코일이 형성되어 상기 제2일차코일과 상기 제2이차코일간의 거리가 d1으로 형성된 이중코일부;로 구성되어, 각 일차코일과 인접하는 이차코일과의 거리는 d1이고, 각 일차코일과 인접하지 않은 이차코일과의 거리는 d2로 형성되어, 상기 제1일차코일과 제2일차코일들은 권선방향으로 상호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이차코일과 제2이차코일들은 각각 차동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몸체의 길이에 비해 Long range까지 측정이 가능하고 코어와 몸체분리형에서도 선형화가 가능하며, 변곡점이 다른 두개의 S자형 출력곡선의 선형화를 실현하여 단일의 변위값을 측정할 수 있는 선형화 구간이 넓어지며, 코어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영점과 시스템의 영점 보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기본 구조 및 원리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출력전압 및 변위를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를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출력전압을 나타낸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출력전압의 2차원화한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이중 출력전압과 변위와의 일대일 대응 투영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코일을 감는 포머, 기계적 변위를 감지하는 코어(30), 코어(30)를 지지해주는 지지봉(40), 차폐케이스(50), 그리고 기계적 변위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주는 코일로 구성된 선형가변차동변환기에 있어서, 코어(3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머에 감기는 일차코일(110),(310),(410)을 중심으로 네 개의 이차코일(120),(210),(320),(420)이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각 이차코일(120),(210),(320),(420)과 일차코일(110),(310),(410)간의 거리가 d1, d2이며, 여기에서 d1≠d2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각기 다른 두개의 출력 특성을 지닌 두개의 개별적인 선형가변차동변환기를 나타낸다. 그 중 하나의 선형가변차동변환기는 몸체의 길이가 다른 선형가변차동변환기보다 길어서 일반적으로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S자형 출력곡선을 고려할 때 변곡점이 다른 선형가변차동변환기보다 뒤쪽에 위치할 것이다.
그리고 각각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출력특성은 단 하나의 변곡점을 가진다고 가정하자. 이때 두 개의 선형가변차동변환기를 직렬로 놓고 코어(30)를 각기 중점에 위치하게 한 후 코어(30)의 상호간을 단단히 막대로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이러면 두 개의 코어(30)의 움직임은 동일한 변위를 가지며 변위에 따른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출력은 두가지가 될 것이다. 이러한 두 개의 출력을 이용하면 변곡점 넘어서까지 선형화를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영점은 코어(30)가 몸체에 대칭적인 중점에 위치할 경우인데, 코어(30)와 몸체의 분리형의 경우 시스템에 장착했을 때 대칭적인 중점에 장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영점과 시스템의 영점이 다른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앰프에서 전기적으로 영점조정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선형구간에서만 가능한 일이다. 선형가변차동변화기를 선형화 할 수 있어도 시스템의 영점에 따라 다시 보정이 필요한데 이 역시 두 개의 출력을이용하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두개로 분리된 선형가변차동변환기를 하나의 코어(30)와 하나의 몸체를 갖도록 형성시킨 것이다.
즉 일차코일(110),(310),(410)을 중심으로 인접되게 형성되어 거리 d1만큼 떨어진 이차코일(120),(210),(320),(420)과의 관계에 있어서 하나의 출력전압이 나타나게 되며, 그 다음 인접되게 형성되어 거리 d2만큼 떨어진 이차코일(120),(210),(320),(420)과의 관계에 있어서 또 하나의 출력전압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두개의 출력전압으로부터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선형화 영역을 넓히고, 시스템의 정확한 영점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실시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3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일차코일(110) 일측과 타측에 이차코일(120)이 각각 형성되고, 일차코일(110)과 이차코일(120)간의 거리가 d1으로 형성된 단일코일부(100)와, 상기 단일코일부(100)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단일코일부(100)의 일차코일(110) 일측과 타측에 이차코일(120)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일차코일(110)과의 거리가 d2로 형성된 이중코일부(200)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일차코일(110)에 네개의 이차코일(120),(210)을 가지고 있으며, 일차코일(110)은 이차코일(120),(210)에 대해 d1, d2만큼 떨어져 있다.
이는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소형화를 주목적으로 할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일코일부(100)의 이차코일(120)과 상기 이중코일부(200)의 이차코일(210)은 차동연결되게 된다.
코어(30)가 움직일 경우 코어(30)의 양끝에서 자력선이 주로 방출되고 자속밀도가 거리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각기 떨어진 거리에 위치한 코일에 쇄교되는 자력선이 달라 출력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제2실시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3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머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일차코일(310)과, 상기 제1일차코일(310) 양측에 제1이차코일(320)이 형성되어 상기 제1일차코일(310)과의 거리가 d1으로 형성된 단일코일부(300)와, 상기 단일코일(300)의 제1이차코일(320) 양측에 제2일차코일(410)이 형성되어 상기 제1이차코일(320)과 상기 제2일차코일(410)과의 거리가 d1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일차코일(410) 양측에 제2이차코일(420)이 형성되어 상기 제2일차코일(410)과 상기 제2이차코일(420)간의 거리가 d1으로 형성된 이중코일부(400)로 구성된다.
각 일차코일(310),(410)과 인접하는 이차코일(320),(420)과의 거리는 d1이고, 각 일차코일(310),(410)과 인접하지 않은 이차코일(320),(420)과의 거리는 d2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일차코일(310),(410)이 세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일차코일(310),(410) 사이에 제1이차코일(320)이 감겨져 있으며, 일차코일(310),(410) 밖에는 제2이차코일(420)이 감겨져 있으며, 포머의 중점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으로 권선이 감겨져 있다.
여기에서 일차코일(310),(410)들은 모두 권선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이차코일(320),(420)들은 모두 차동으로 연결되어 있어 결국 하나의 일차코일과 두 개의 이차코일을 가진 구조로 되게 된다.
물론 이차코일(320),(420)은 코어(30)의 움직임에 대해 다른 자력선수와 쇄교하게 되어 출력특성과 변곡점이 다른 두개의 출력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므로 일차코일(310),(410)이 세부분으로 감겨져 있어 같은 크기의 코어(30)에 대해 측정구간을 크게 할 수 있으며, 각 일차코일(310),(410) 사이에 이차코일(320)(42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d1과 d2의 크기 차이가 많이 나므로, 변위에 따른 출력특성이 상이한 출력을 쉽게 얻을 수 있으며,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설계를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출력전압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개의 출력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중코일에 의한 출력1은 출력2보다 앞선 변곡점을 가지고 있으며, 출력2는 측정범위 끝부분에서도 영이되지 않으므로 선형화를 위한 보정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도 7은 도6에 나타낸 출력전압을 2차원화한 것을 나타낸 도로써, 이중코일에 의한 출력1은 Y좌표에, 이중코일에 의한 출력2는 X좌표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그래프는 곡선상의 임의의 점과 일대일 대응하는 변위값을 부여할 수 있다. 이것은 전 구간에 대해 선형화를 실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선형화를 실현하기 위한 선형화 알고리즘은 두 가지 방법을 수행하여야 한다. 하나는 변위에 따르는 출력1과 출력2의 데이타를 ROM에 써넣는 방법으로, 출력1과 출력2에 해당하는 각각의 버퍼(ROM)를 지정하고 변위의 크기에 따라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그에 해당하는 출력1과 출력2의 데이터 값을 써넣는 방법이다.
둘째는 출력1과 출력2를 측정하여 변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첫 번째 측정에서는 변위에 해당하는 어드레스를 하나씩 증가시키면서 출력1과 출력2의 데이터를 측정한 출력값과 비교하면서 스캔한다. 이때 비교한 값이 설정한 값의 이내에 존재하면 해당 출력Flag를 On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Off한다. 출력1Flag와 출력2Flag가 동시에 On되면 설정한 값을 이용하여 테이블에서 가장 근사한 값으로 데이타 보간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보간법은 매우 빠르게 변곡점을 가진 이중곡선에 대해 보간할 수 있으며, 전 측정 Range에 걸쳐 절대값으로 표시할 수 있어 영점의 이동을 전구간에 대해 자유로이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형화가 끝난 후에는, 이차원 곡선상의 점은 유일한 변위를 가짐을 의미하므로, 센서에서 측정한 두 개의 출력에 상응하는 평면상의 좌표를 찾으므로서 정확히 변위를 측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이중출력전압과 변위와의 일대일 대응 투영도를 나타낸 도이다. 출력1과 출력2의 X-Y평면에 그리는 궤적에 따라 변위값이 변하며 그 값은 유일하다. 영점을 기준으로 곡선을 따라감에 따라 변위값도 측정범위까지 단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몸체의 길이에 비해 Long range까지 측정이 가능하고 코어와 몸체분리형에서도 선형화가 가능하며, 변곡점이 다른 두개의 S자형 출력곡선의 선형화를 실현하여 단일의 변위값을 측정할 수 있는 선형화 구간이 전 구간에 대해 확장되었으며, 코어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선형가변차동변환기의 영점과 시스템의 영점 보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코어와 몸체의 분리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도 디지털화가 가능하여 그 응용범위가 확대될 수 있으며, 선형가변차동변환기를 소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코일을 감는 포머, 기계적 변위를 감지하는 코어(30), 코어(30)를 지지해주는 지지봉(40), 차폐케이스(50), 그리고 기계적 변위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주는 코일로 구성된 선형가변차동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코어(3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머에 감기는 일차코일(110),(310),(410)을 중심으로 네개의 이차코일(120),(210),(320),(420)이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각 이차코일(120),(210),(320),(420)과 일차코일(110),(310),(410)간의 거리가 d1, d2이며, 여기에서 d1≠d2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는,
    코어(3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일차코일(110) 일측과 타측에 이차코일(120)이 각각 형성되고, 일차코일(110)과 이차코일(120)간의 거리가 d1으로 형성된 단일코일부(100)와;
    상기 단일코일부(100)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단일코일부(100)의 일차코일(110) 일측과 타측에 이차코일(210)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일차코일(110)과의 거리가 d2로 형성된 이중코일부(200);로 구성되어,
    상기 단일코일부(100)의 이차코일(120)과 상기 이중코일부(200)의 이차코일(210)은 차동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는,
    코어(3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머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일차코일(310)과, 상기 제1일차코일(310) 양측에 제1이차코일(320)이 형성되어 상기 제1일차코일(310)과의 거리가 d1으로 형성된 단일코일부(300)와;
    상기 단일코일부(300)의 제1이차코일(320) 양측에 제2일차코일(410)이 형성되어 상기 제1이차코일(320)과 상기 제2일차코일(410)과의 거리가 d1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일차코일(410) 양측에 제2이차코일(420)이 형성되어 상기 제2일차코일(410)과 상기 제2이차코일(420)간의 거리가 d1으로 형성된 이중코일부(400);로 구성되어,
    각 일차코일(310),(410)과 인접하는 이차코일(320),(420)과의 거리는 d1이고, 각 일차코일(310),(410)과 인접하지 않은 이차코일(320),(420)과의 거리는 d2로 형성되어,
    상기 제1일차코일(310)과 제2일차코일(410)들은 권선방향으로 상호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이차코일(320)과 제2이차코일(420)들은 각각 차동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
KR1020040034250A 2004-05-14 2004-05-14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 KR20040055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250A KR20040055747A (ko) 2004-05-14 2004-05-14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250A KR20040055747A (ko) 2004-05-14 2004-05-14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747A true KR20040055747A (ko) 2004-06-26

Family

ID=37348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250A KR20040055747A (ko) 2004-05-14 2004-05-14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57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737B1 (ko) * 2006-11-14 2008-05-13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선형 가변 차동 변환기
CN105742003A (zh) * 2016-04-25 2016-07-06 安徽感航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lvdt次级线圈设计方法及应用该方法的间绕工艺
CN109916288A (zh) * 2019-04-10 2019-06-21 西安西灵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差动变压器式线位移传感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737B1 (ko) * 2006-11-14 2008-05-13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선형 가변 차동 변환기
CN105742003A (zh) * 2016-04-25 2016-07-06 安徽感航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lvdt次级线圈设计方法及应用该方法的间绕工艺
CN109916288A (zh) * 2019-04-10 2019-06-21 西安西灵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差动变压器式线位移传感器
CN109916288B (zh) * 2019-04-10 2024-03-19 西安西灵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差动变压器式线位移传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9361B2 (en) Position sensor having tubular detection coil
US4013986A (en) Inductive transducer for rectilinear or rotational displacement
KR100654790B1 (ko) 스트로크 센서
JP4390347B2 (ja) 位置検出装置
KR20040055747A (ko) 이중코일형 선형가변차동변환기
JP4810021B2 (ja) 位置検出装置
US11774229B2 (en) Eddy current sensor device for measuring a linear displacement
KR101402331B1 (ko) 전자기유도 방식을 이용한 선형변위센서 및 이를 이용한 가동물체의 선형변위 측정시스템
JP4464517B2 (ja) 位置検出装置
CN214794973U (zh) 一种两位一体霍尔电流传感器
JP3926902B2 (ja) シリンダ位置検出装置
CN113625038A (zh) 一种电流测量装置及电压电流测量装置
KR200447498Y1 (ko) 피드백 코일이 부가된 변위측정센서
JP2965557B1 (ja) 変位量検出器及び変位量計測装置
JP4115036B2 (ja) 液面検出装置
EP3803277B1 (en) Linear position sensor
JP4682913B2 (ja) ポジションセンサ
JP6962727B2 (ja) 位置検出装置
JP3352983B2 (ja) 滑り誘導子リアクター構造
JP4618192B2 (ja) ポジションセンサ
JP4989919B2 (ja) 誘導型位置検出装置
JPS6033369Y2 (ja) 変位変換装置
JPH10239003A (ja) 変位センサ
JPH112543A (ja) 位置検出装置
JPH0526602A (ja) 変位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