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650A - 벽 두께가 변하는 외과용 벌룬 - Google Patents

벽 두께가 변하는 외과용 벌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650A
KR20040055650A KR1020030092883A KR20030092883A KR20040055650A KR 20040055650 A KR20040055650 A KR 20040055650A KR 1020030092883 A KR1020030092883 A KR 1020030092883A KR 20030092883 A KR20030092883 A KR 20030092883A KR 20040055650 A KR20040055650 A KR 20040055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wall thickness
surgical
wall
ute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힐리마틴
디온도로씨
Original Assignee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55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65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2017/4216Operations on uterus, e.g. endometr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2018/0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the surgical action being effected by a circulating hot fluid
    • A61B2018/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the surgical action being effected by a circulating hot fluid in liquid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different inflatable sections mainly depending on the response to the inflation pressure, e.g. due to different ma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33Uter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측면으로는 벌룬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고 다른 한 측면으로는 벌룬의 내부 중공을 한정하며, 신장 가능한 탄성 물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공 속의 압력에 의해 접힌 상태 내지 팽창된 상태로 신장 가능한 사실상 연속 외벽을 포함하는, 자궁속에 삽입하기 위한 외과용 벌룬을 제공한다. 사실상 연속 외벽은 축과 연결되는 기재 부분, 기재 부분에 인접하는 중간 부분, 및 벌룬의 원위 말단에 위치하고 중간 부분에 인접하는 말단 부분을 갖는다. 기재 부분은 제1 주요 벽 두께를 갖고, 중간 부분은 제2 주요 벽 두께를 가지며, 말단 부분은 제3 주요 벽 두께를 갖는다.

Description

벽 두께가 변하는 외과용 벌룬{Surgical balloon having varying wall thickness}
본 발명은 "벽의 팽창성이 다양한 컨포멀 외과용 벌룬(Conformal Surgical Balloon with Varying Expansibility)"이란 발명의 명칭으로 선행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09/749,077호(2000.12.27)의 일부 계속 출원이며, 당해 특허원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본 발명은 외과용 벌룬(surgical balloon), 보다 특히 체강(body cavity) 속에 세포 절제용 열 전도성 매체(thermally conductive media)를 함유시키기 위해 체강 속으로 도입시키는 데 적합한 벌룬에 관한 것이다.
외과용 벌룬은 체강 내부 세포들을 괴사시키는 데 사용되는 유체의 봉쇄를 포함하여, 각종 용도를 갖는다. 예를 들면, 벌룬 카테터를 자궁 속으로 삽입시키고, 벌룬을 열 전도성 매체로 충전시킨 후, 매체를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자궁내막을 열에 의해 사멸시킴으로써 과도한 월경(월경과다증)을 치료하는 것은 이제 일반화되었다. 외과용 벌룬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열 절제 방법 및 장치는 미국 특허 제5,501,681호(Neuwirth et al.)에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501,68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된 외과용 벌룬은 통상적으로 라텍스로 형성되고, 전구(bulb)형이며, 전구형을 대략적인 구형 또는 대략적인 전구형으로 균일하게 확대시키는 방식으로 팽창한다. 대조적으로, 자궁강의 단면은 Y형이다. 공지된 벌룬의 물질 조성은 다소 비탄성이어서 벌룬이 자궁내 공간에 쉽게 합치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공지된 전구형 외과용 벌룬은 팽창되지 않아 특히 자궁 각(uterine cornua) 영역에서 전체 자궁내막에 접촉하지 못한다. 이러한 접촉 부족은 일부 자궁내막이 치료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벌룬이 팽창되는 경우에 벌룬이 삽입되는 체강과의 접촉 영역이 증가된, 개선된 외과용 벌룬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1 양태에 따르는 팽창된 외과용 벌룬의 투시도이고,
도 2는 공기가 빠진 상태의 도 1의 벌룬의 단면도로서, 팽창된 상태는 허상으로 나타내었고,
도 3은 캐뉼라(cannla) 속에 저장된 도 2의 벌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벌룬의 또 다른 양태의 투시도이고,
도 5는 공기가 빠진 도 1의 벌룬의 팁(tip)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도 1 및 도 5의 벌룬의 또 다른 양태의 팁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또 다른 양태에 따르는 외과용 벌룬의 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는 외과용 벌룬의 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벌룬이 자궁 강 속에서 3단계로 팽창되는 개요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벌룬의 또 다른 양태의 투시도이다.
자궁속에 삽입하기 위한 외과용 벌룬이 제공된다. 당해 외과용 벌룬은 한 측면으로는 벌룬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고 또 다른 측면으로는 벌룬의 내부 중공을 한정하는 사실상 연속 외벽을 포함하는데, 당해 외벽은 신장 가능한 탄성 물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공 속의 압력에 의해 접힌 상태 내지 팽창된 상태로 신장 가능하다. 사실상 연속 외벽은 축과 연결(coupling)되는 기재 부분, 기재 부분에 인접한 중간 부분 및 벌룬의 원위 말단(distal end)에 위치하고 중간 부분에 인접하는 말단 부분을 갖는다. 기재 부분은 제1 주요 벽 두께를 갖고, 중간 부분은 제2 주요 벽 두께를 가지며, 말단 부분은 제3 주요 벽 두께를 갖는다.
하나의 양태에 따라서, 말단 부분의 벽 두께는 약 3 내지 5mil이고,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중간 부분의 벽 두께는 약 4 내지 6mil이며, 또 다른 양태에서, 기재 부분의 벽 두께는 약 5 내지 10mil이다.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제2 주요 벽 두께는 제1 주요 벽 두께보다 얇고, 제3 주요 벽 두께는 제1 주요 벽 두께 및 제2 주요 벽 두께보다 얇다.
또 다른 양태에서, 말단 부분의 형태는 사실상 반구형이다.
한 측면으로는 벌룬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고 또 다른 측면으로는 벌룬의 내부 중공을 한정하는 사실상 연속 외벽을 포함하는, 자궁속에 삽입하기 위한 외과용 벌룬이 또한 제공되는데, 여기서 외벽은 신장 가능한 탄성 물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공 속의 압력에 의해 접힌 상태 내지 팽창된 상태로 신장 가능하다. 사실상 연속 외벽은 카테터와 연결되는 기재 부분과 벌룬의 말단에 위치하고 제1 부분에 인접하는 사실상 반구형 말단 부분을 갖는다. 말단 부분의 주요 벽 두께는 기재 부분의 주요 벽 두께보다 얇다.
한 측면으로는 벌룬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고 또 다른 측면으로는 벌룬의 내부 중공을 한정하는 사실상 연속 외벽을 갖는, 자궁속에 삽입하기 위한 외과용 벌룬이 또한 제공되는데, 여기서 외벽은 신장 가능한 탄성 물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공 속의 압력에 의해 접힌 상태 내지 팽창된 상태로 신장 가능하다. 사실상 연속 외벽은 카테터와 연결되는 기재 부분과 벌룬의 원위 말단에 위치하는 말단 부분을 갖는다. 말단 부분의 주요 벽 두께는 기재 부분의 주요 벽 두께보다 얇다.
본 발명의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되는 대표적인 양태의 다음 상세한 설명을 참고한다.
도 1은 카테터(12)의 말단에 배치된 외과용 벌룬(10)을 나타낸다.카테터(12)는 벌룬(10)의 내부 중공(16)과 통하는 루멘(lumen)(14)을 갖고 압력하에 벌룬(10)으로 열 전도성 유체(18)가 주입되도록 한다.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과용 벌룬은 월경과다증을 치료하기 위한 자궁내막 절제와 같은 수술 과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954,714호는 자궁내막 절제용 외과용 벌룬의 용도에 대한 이의 교시에 있어서 참고로 본원에 인용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벌룬(10)은 절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통상적인 전구형 벌룬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보다 특히, 벌룬(10)을 자궁에 도입시킨 후, 압축된 열 전도성 유체(18), 예를 들면, 식염수를 사용하여 자궁속에서 벌룬(10)을 팽창시킨 후, 당해 유체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킴으로써 벌룬(10)과 접촉하고 있는 세포를 열 부식시킬 수 있다. 벌룬(10)은 바람직하게는 벌룬이 팽창되는 경우, 자궁내 공간의 벽에 합치하도록 특정 형태로 예비성형된다. 벌룬(10)은 접착제 또는 플라스틱 접합에 의해 카테터(12)에 접착된 기재(20)를 갖는다. 벌룬(10)의 몸체(22)는 기재로부터 연장되고 우측 연장부(24) 및 좌측 연장부(26)를 갖는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벌룬(10)의 외부 3차원 형태는 벌룬(10)이 팽창되는 경우에 자궁의 내부 중공과 유사하다. 이런 식으로, 본 발명의 벌룬(10)은 선행 기술의 전구형 벌룬에 비해 벌룬이 삽입되는 자궁의 중공을 보다 완전히 채우고 보다 큰 표면적으로 접촉한다. 보다 특히, 몸체(22)는 자궁 각으로 삽입되는 우측 연장부(24) 및 좌측 연장부(26)를 사용하여 협부로부터 기저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벌룬(10)으로 성취될 수 있는 보다 큰 접촉 면적은 보다 큰 열 전달 및보다 완전한 자궁내막 절제를 제공한다.
도 1은 두께가 변하는 벌룬(10)의 벽(28) 부분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벌룬 벽(28)은 기재 부근에서는 두꺼운데, 이는 카테터(12)에 단단히 부착하도록 하고 팽창시킬 필요가 없다. 벽(28)은 연장부(24) 및 연장부(26)와 같은 최대로 팽창시킬 영역에서는 가장 얇고 중간 팽창을 요구하는 영역, 예를 들면, 몸체(22)에서는 중간 두께이다. 즉, 제공된 압력에 대응해서 얇은 벽은 두꺼운 벽보다 바깥쪽으로 팽창될 것이다. 벽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공기가 빠졌을 때 전구형인 벌룬(10)은 팽창되었을 때 또 다른 형태, 예를 들면, 자궁내 공간과 유사한 형태를 고려할 수 있다. 벌룬(10)의 이러한 형태 전이는 체강에 의해 발휘되는 팽창에 대한 내성에 대한 반응이라기보다는 벌룬(10)의 고유 팽창 특성의 영향하에 이루어진다. 벌룬(10)은 벌룬이 위치하는 체강에 대한 보충 형태를 쉽게 취하기 때문에 벌룬(10)은 체강에 대한 통상적인 벌룬만큼 큰 압력을 가할 필요없이 체강 형태에 합치된다. 또한, 균일한 압력이 벌룬(10)에 의해 자궁의 내부 표면을 가로질러 가해져서 이들 사이에 일관되고 균일한 접촉을 조장하며, 이는 세포의 절제 깊이를 균일하게 한다.
팽창성의 국지적 변화를 야기하는 벽 두께의 변화 이외에 또는 벽 두께의 변화에 대한 대체법으로서, 벽(28)은 열, 방사선 또는 화학약품으로 처리하여 동일한 효과를 성취할 수 있다. 보다 특히, 벌룬(10)을 알루미늄 또는 강(steel)으로 제조된 개구된 마스크(apertured mask)에 삽입시키고 당해 벌룬(10)을 마스킹되지 않은 영역에만 작용하는 열 공급원에 노출시킴으로써, 260 내지 280℉의 온도 범위에서 열에 노출된 선택된 영역을 갖는 벌룬(10)을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벌룬(10)을 신장 프레임(stretching frame)에 장착한 후, 선택된 표면을 가열된 다이로 브랜딩(branding)할 수 있다. 또한, 벌룬(10)은 프레임에서 신장되고, 디메틸 설폭사이드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화학약품(이는 마스크를 통해 인쇄되거나 브러슁되거나 칠해지거나 분무된다)으로 처리될 수 있다.
벌룬(10)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로부터 취입 성형되거나, 실리콘, 천연 라텍스 고무 또는 폴리이소프렌, 합성 고무로부터 침지 성형(dip mold)되거나, 실리콘으로부터 압출 성형되거나,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으로부터 사출 성형되거나, 단편(패턴)들을 함께 열 밀봉시킴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종래,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천연 라텍스 고무 또는 폴리이소프렌을 사용한 침지 성형이다. 상기 방법들 중의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벌룬(10)을 제조할 수 있는 또 다른 화합물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폴리올레핀 및 코폴리에스테르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벌룬(10)은 열 밀봉시켜, 즉 밀봉 가능한 팽창성 물질의 패턴들을 특정 형태로 절단한 후, 2개의 동일한 형태의 말단을 함께 열 밀봉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상부 패턴과 하부 패턴 사이에 체적을 갖는 구조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2개의 물질 시트를 하나의 시트를 다른 시트 위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함께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어서, 성형 다이를 두 시트 중 어느 한 쪽 위에 위치시키고, 다이를 가열시켜 다이의 상응하는 단편들 사이에서 시트의 단편들을 용융시킨다. 이 영역은 냉각되는 경우에 밀봉부를 생성시킨다. 다이의 형태 또는 형상이 벌룬(10)의 형태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벌룬(10)은 고온 절제 과정 및 저온절제시에 사용될 수 있다. 고온 절제 과정에 가장 적합한 물질에는 폴리이소프렌, 실리콘 및 천연 라텍스 고무가 있다. 저온 절제 과정에 가장 적합한 물질은 실리콘이다.
이전에 외과용 벌룬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 라텍스 화합물과는 대조적으로 폴리우레탄은 탄성이 크고, 벽(28)의 유연성을 최소로 변화시키거나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벌룬(10)이 자궁내 공간에 쉽게 합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궁내 형태에 대한 저압 합치를 보장하는, 벽 두께가 일정하거나 변하는 외과용 벌룬을 제조하기 위한 폴리우레탄의 용도를 포함하고자 한다.
도 2는 공기가 빠진 상태의 도 1의 벌룬(10)을 도시한 것이며, 우측 연장부(24)와 좌측 연장부(26)는 당해 영역에서의 벽 박막화로 인해 내부 표면 만입(indentation)으로 나타난다. 벽(28)의 두께는 기재(20)(당해 부분이 가장 두껍다)로부터 몸체(22)(당해 부분이 중간 두께이다) 및 연장부(24) 및 연장부(26)(당해 부분이 가장 얇은 벽이다)로 점차 감소한다. 도 1, 2 및 3에 도시한 벽(28)의 두께의 변화는 설명을 위해서 과장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벽(28)의 박막화는 벌룬(10)의 내부에서 대칭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 표면이 균일하게 팽창되도록 한다. 얇은 벽 부분으로부터 두꺼운 벽 부분으로의 전이는 이런 형상의 벌룬(10)의 외부 표면에서는 평활하다. 벽 두께의 급격한 변화는 응력 강도가 큰 영역을 생성시키는데, 이는 벌룬(10)의 해당 부위를 약화시킨다. 이는 팽창 동안 벌룬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가 빠진 벌룬(10)은 카테터(12)와벌룬(10)을 환자의 자궁에 도입 및 배치를 촉진하는 데 사용되는 캐뉼라 또는 인트로듀서(introducer) 관(30)의 루멘(29) 내에 쉽게 수용된다. 보다 특히, 캐뉼라(30)는 자궁 구(uterine os)를 통해 미끄러져 들어간 후, 캐뉼라(30)의 개방 팁(32) 위에 벌룬(10)이 배치되도록 카테터(12)를 앞으로 밀어넣을 수 있다. 또는, 캐뉼라(30)를 벌룬(10)의 뒤쪽으로 빼서 벌룬을 적소에 노출시킨다. 일단 벌룬(10)을 캐뉼라(30)로부터 빼냈으면, 벌룬은 벌룬(10) 속으로의 열 전도성 유체의 주입의 영향을 받아 팽창될 수 있어, 도 1에 도시한 형태로 팽창된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본원과 동시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 "컨포멀 외과용 벌룬(Conformal surgical balloon)"의 계류중인 특허원 제09/749,180호에는, 이의 예비성형된 형태에 의해 보조된 자궁내 공간에 합치되는 외과용 벌룬이 기재되어 있으며, 당해 계류중인 특허원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궁강 형태와 유사한) 예비성형된 외과용 벌룬을 고려하는데, 여기서 벽 두께 및/또는 벽의 탄성은 본원의 교시에 따라서 변하여 벌룬이 그 속에서 팽창되는 체강에 합치되는 것을 보조한다. 특히, 이러한 예비성형된 벌룬의 연장부(24) 및 연장부(26)가 벌룬의 나머지 부분보다 벽 두께가 얇고 팽창성이 큰 것이 유리하다. 자궁 각으로의 팽장부(24) 및 연장부(26)의 팽창을 보조하는 이외에, 공기가 빠진 예비성형된 벌룬의 박막화된 연장부(24) 및 연장부(26)는 캐뉼라(30) 내에서 저장을 위해 보다 쉽고 치밀하게 접힐 수 있고 보다 쉽게 전개될 수 있다.
이어지는 설명에서, 선행 양태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요소는 100이 증가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넘버링 방식이 사용된다.
도 4는 박막화된 연장부(124) 및 연장부(126)를 갖는 예비성형된 벌룬(110)이 캐뉼라(30)(도 3 참조) 속에 저장되고, 벌룬(110)이 캐뉼라(30)를 벗어나 자궁 속으로 밀어넣어지는 경우에 제어된 전개 및 배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접는 방식을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장부(124) 및 연장부(126)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힌다. 바람직하게는, 벌룬(110)은 접힌 형상으로 저장되어 벌룬(110)을 자궁속에 적절하게 위치시킴으로써 벌룬을 팽창시키고 자궁내 공간을 충전시키는 열 전도성 매체가 벌룬(110)으로 주입되는 경우에 최적 벌룬 대 자궁내막 접촉을 용이하게 한다. 자궁과 같은 방향 감각을 갖는 체강의 치료에 사용하는 경우, 벌룬(110)은 벌룬이 배치되는 체강의 특정 배향에 대해 배향을 요구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캐뉼라(30)(도 3 참조) 및/또는 카테터(112)에 배향 마킹을 제공하여 외과의가 벌룬(10)을 환자에 대해 적합한 배향으로 삽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테터(112) 및 캐뉼라(30)의 상대적인 배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각각을 다른 것에 대해 조정하는 것, 예를 들면, 카테터(112)에 캐뉼라(30) 속의 결합 안내 통로에 적합한 세로 릿지(ridge)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방식으로, 벌룬(110)의 배향은 유지되는 한편, 벌룬(110)은 캐뉼라(30)에 대한 회전이 고정되고 접힌 예비성형 벌룬의 경우, 벌룬(110)의 접힌 위치를 의도와 달리 교란하지 않는다.
벌룬(10, 110)용 물질의 선택은 벌룬(10, 110)이 캐뉼라(30) 속에서 연장 저장 후에 벌룬 자체 또는 캐뉼라(30)에 고착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또는, 벌룬(10, 110)은 활석, 옥수수전분 또는 저점도 실리콘과 같은 통상적인 생체적합성 알레르기 비유발성 윤활제로 피복시키고, 바람직하게는 공기 경화시켜 자가 접착(self-adhesion)을 방지할 수 있다. 접힌 벌룬(110)의 전개를 촉진하기 위해서, 중첩, 겹친 각(fold angle)의 심각성 및 접힌 라인에서 물질의 탄성 한계를 초과하는 압축력을 최소화시키는 방식으로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부(124) 및 연장부(126)는 펼친 상태의 연장부(124) 및 연장부(126)를 함유할 수 있는 자궁강 속의 대향면들 사이의 간격, 예를 들면, 자궁 각의 벽들 사이의 간격 또는 벌룬(110)의 몸체와 자궁 벽 사이의 간격보다 길이가 짧은 간격으로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벽(28) 두께가 본 발명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 3의 벌룬(10)의 말단 부분을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팁(32) 부분 및 몸체(22) 부분의 벽 두께는 외부 직경(Do)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벌룬(10)의 내부 직경을 Db로부터 De로 변화시킴으로써 연장부(24) 및 연장부(26)의 영역에서 박막화된다.
도 6은 내부 직경(Di)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벌룬(210)의 외부 직경(Do)이 몸체(222) 부분의 직경으로부터 연장부(224 및 226)의 보다 작은 직경으로 감소되는, 도 5에 제시된 방법의 또 다른 접근법을 도시한다.
도 7은 외견상 나팔꽃형 몸체(322)(이의 상부 주변 말단(323)은 환자의 자궁 각으로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다)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벌룬(310)을 도시한다. 몸체(322)는 축에 대해 대칭형, 즉 일반적으로 종(bell)형이다. 벌룬(310)의 형태는 도 7에 도시된 벌룬(310)이 일부 팽창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도록 벽 팽창성을변화시키고/시키거나 예비성형시킴으로써 결정할 수 있는데, 즉 선택된 벌룬(310)의 벽의 편재된 팽창 특성으로 인한 형태가 예상된다. 또는, 벌룬(310)은 벌룬이 팽창되는 경우에 도시된 형태로 존재하도록 예비성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가 빠진 형태의 예비성형된 벌룬(310)의 경우, 보다 완전히 팽창되는 경우에 체강에 합치시키는 경우 벌룬(310)을 추가로 보조하기 위해서 벽 팽창성의 변화가 본원에 도입될 수 있다. 팽창시, 벌룬(310)의 전체 형태 및 연질 벽 물질의 상응하는 분포는 상부 주변 말단(323)이 자궁 각으로 팽창하도록 한다. 몸체(322)는 기재(320)로부터 하부 원주(321)로 쉽게 벌어져서 자궁 구에 가깝게 자궁과의 접촉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효과는 아래에 설명하는 도 9에서 설명된다.
도 8은 도 6의 벌룬(310)과 유사한 형태를 갖지만 팽창 가능한 상부 플랜지(424)를 가져 자궁 각으로의 팽창을 용이하게 하는 벌룬(410)을 도시한다. 도 9는 자궁강(U) 속에 존재하는 공기가 빠진 상태의 벌룬(410), 중간 정도 팽창된 상태(점선)의 벌룬(410') 및 거의 완전히 팽창된 상태(점선)의 벌룬(410")을 도시한다. 벌룬(410)이 팽창됨에 따라, 팽창 가능한 플랜지(424, 424', 424")는 자궁 각(C1, C2)에 접근하고 도입된다. 동시에, 하부 원주(421, 421', 421")는 즉각 외부로 팽창되어 자궁 구(O)에 가깝게 자궁강(U)과 접촉한다. 자궁강(U)의 형태에 따라서, 하부 원주(421")는 아래로 돌출되어 기재(420)와 자궁 구(O)에 근접하는 자궁강(U)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또는, 벌룬(410)의 팽창으로 인해 벌룬(410)이 자궁강(U)과 최대로 접촉하도록 기재(420)를 바깥 방향으로(삽입도가적게) 민다. 따라서, 외과용 벌룬(10, 110, 210, 310, 410)은 통상적인 전구형 벌룬보다 신속하게 그리고 완전히 자궁강(U)과 우수하게 접촉한다. 벌룬(10, 110, 210, 310, 410)이 삽입되는 강과 유사한 형태로 보다 쉽게 팽창되기 때문에, 훨씬 큰 압력에서도 접촉 면적이 보다 크고, 이는 보다 우수한 열 전달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박막화된 영역이 체외로 팽창되는 경우에 도넛형 방사상 대칭형을 취하도록 방사상 대칭 박막화 또는 처리된 벌룬(10, 110, 210, 310, 410)을 고려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당해 벌룬이 체내, 예를 들면, 자궁속에서 팽창되는 경우, 박막화된 영역은 연장부(24, 224) 및 연장부(26, 226)가 자궁 각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강 형태에 의해 강요된다. 이러한 상황하에, 벌룬은 방사상 대칭으로 되어, 벌룬을 자궁에 대해서 방사상으로 정렬시키는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또는, 벌룬(10, 110, 210)의 박막화 또는 처리는 편재되어 연장부(24, 124, 224) 및 연장부(26, 126, 226)는 손가락처럼 돌출된다. 이러한 경우, 벌룬(10, 110, 210)을 체강에 정렬시키기 위해 도 4에 대해 위에서 언급한 정렬 수단이 바람직하다.
이제 도 10을 설명하면, 외벽의 두께가 특정 위치에서 변하는 신규한 외과용 벌룬(500)의 또 다른 양태를 제공한다. 벌룬은 한 측면으로는 벌룬의 외부 표면(504)을 한정하고 또 다른 측면으로는 벌룬의 내부 중공(506)을 한정하는 사실상 연속 외벽(502)을 갖는다. 벌룬(500)은 기재 부분(508), 중간 부분(512)을 포함하는 몸체 부분(510) 및 말단 부분(514)을 또한 포함한다. 도시된 양태에서, 말단 부분(514)은 사실상 중심점(P)에 대해 반구형을 형성한다. 말단 부분은 또한단순히 벌룬의 말단 팁(T)에 대해 사실상 대칭일 수 있는데, 이는 반구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벌룬(500)의 연속 외벽은 기재 부분으로부터 말단 부분으로 두께가 감소하고, 각각의 연속 부분은 앞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주요 벽 두께는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명시된 부분의 "주요 벽 두께"는 표준 허용 변화부 및 주요 벽 두께가 상이한 인접 부분으로의 전이 영역을 제외한 부분의 벽 두께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벌룬은 익히 공지된 1회 또는 다수회의 침지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는 침지된 규소 벌룬이고, 여기서 침지 파라미터 및 배향은 목적하는 두께를 수득하도록 조절된다. 사출 성형 또는 기타 성형 기술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기재 부분의 주요 벽 두께는 5 내지 10mil이고, 중간 부분의 주요 벽 두께는 4 내지 6mil이며, 말단 부분의 주요 벽 두께는 3 내지 5mil이다. 위의 범위는 중복되는 것 같지만, 말단 부분의 주요 벽 두께가 중간 부분의 주요 벽 두께보다 얇고, 중간 부분의 주요 벽 두께가 기재 부분의 주요 벽 두께보다 또한 얇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면, 각각 8mil, 5mil 및 4mil이다. 또한, 벌룬의 말단 팁 부분(T)의 두께는 익히 공지된 벌룬 침지 공정의 고유 효과로 인해 말단 부분의 벽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팁 부분은 아래에서 기재하는 바와 같이 벌룬 성능에 악역향을 미치지 않으며, 말단 부분의 "주요 벽 두께"를 고려하는 경우는 제외된다.
위에서 기재한 유형의 벌룬은 말단 부분이 특히 반구형인 경우에 중간 부분보다 크게 팽창되어 자궁의 상부 부분의 내부 윤곽에 보다 잘 합치됨으로써 양쪽 자궁 각을 보다 잘 채운다. 이런 식으로, 접촉 영역은 증가되어 보다 효과적으로치료할 수 있다.
본원에서 기재한 양태는 단지 예시적일 뿐이고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한정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수의 변형 및 변화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화를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 속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벽 두께가 변하는 외과용 벌룬은 팽창되는 경우에 벌룬이 삽입되는 체강과의 접촉 영역이 증가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Claims (10)

  1. 한 측면으로는 벌룬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고 다른 한 측면으로는 벌룬의 내부 중공을 한정하며, 신장 가능한 탄성 물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공 속의 압력에 의해 접힌 상태 내지 팽창된 상태로 신장 가능하며,
    축과 연결되는 기재 부분(base portion), 기재 부분에 인접하는 중간 부분, 및 벌룬의 원위 말단(distal end)에 위치하고 중간 부분에 인접하는 말단 부분을 갖는 사실상 연속 외벽을 포함하는, 자궁속에 삽입하기 위한 외과용 벌룬(surgical balloon)으로서, 기재 부분이 제1 주요 벽 두께를 갖고, 중간 부분이 제2 주요 벽 두께를 가지며, 말단 부분이 제3 주요 벽 두께를 갖는 외과용 벌룬.
  2. 제1항에 있어서, 말단 부분의 벽 두께가 약 3 내지 5mil인 외과용 벌룬.
  3. 제2항에 있어서, 중간 부분의 벽 두께가 약 4 내지 6mil인 외과용 벌룬.
  4. 제3항에 있어서, 기재 부분의 벽 두께가 약 5 내지 10mil인 외과용 벌룬.
  5. 제1항에 있어서, 제2 주요 벽 두께가 제1 주요 벽 두께보다 얇고, 제3 주요 벽 두께가 제1 주요 벽 두께 및 제2 주요 벽 두께보다 얇은 외과용 벌룬.
  6. 제1항에 있어서, 말단 부분의 형태가 사실상 반구형인 외과용 벌룬.
  7. 한 측면으로는 벌룬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고 다른 한 측면으로는 벌룬의 내부 중공을 한정하며, 신장 가능한 탄성 물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공 속의 압력에 의해 접힌 상태 내지 팽창된 상태로 신장 가능하며,
    카테터(catheter)와 연결되는 기재 부분, 및 벌룬의 원위 말단에 위치하고 제 1 부분에 인접하는 사실상 반구형 말단 부분을 갖는 사실상 연속 외벽을 포함하는, 자궁속에 삽입하기 위한 외과용 벌룬으로서, 말단 부분의 주요 벽 두께가 기재 부분의 주요 벽 두께보다 얇은 외과용 벌룬.
  8. 한 측면으로는 벌룬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고 다른 한 측면으로는 벌룬의 내부 중공을 한정하며, 신장 가능한 탄성 물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공 속의 압력에 의해 접힌 상태 내지 팽창된 상태로 신장 가능하며,
    카테터와 연결되는 기재 부분, 및 벌룬의 원위 말단에 위치하는 말단 부분을 갖는 사실상 연속 외벽을 포함하는, 자궁속에 삽입하기 위한 외과용 벌룬으로서, 말단 부분의 주요 벽 두께가 기재 부분의 주요 벽 두께보다 얇은 외과용 벌룬.
  9. 제8항에 있어서, 말단 부분의 형태가 적어도 사실상 반구형인 외과용 벌룬.
  10. 제9항에 있어서, 말단 부분이 벌룬의 말단 점에 대해서 사실상 반구형인 외과용 벌룬.
KR1020030092883A 2002-12-20 2003-12-18 벽 두께가 변하는 외과용 벌룬 KR200400556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26,044 2002-12-20
US10/326,044 US6951569B2 (en) 2000-12-27 2002-12-20 Surgical balloon having varying wall thickne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650A true KR20040055650A (ko) 2004-06-26

Family

ID=3239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883A KR20040055650A (ko) 2002-12-20 2003-12-18 벽 두께가 변하는 외과용 벌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951569B2 (ko)
EP (1) EP1430847A3 (ko)
JP (1) JP2004202237A (ko)
KR (1) KR20040055650A (ko)
AU (1) AU2003268603A1 (ko)
CA (1) CA24528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905B1 (ko) * 2005-02-18 2007-04-27 이근영 양막 삽입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8881C2 (nl) * 2001-05-08 2002-11-25 Blue Medical Devices B V Ballonkatheter met stent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NL1018018C2 (nl) * 2001-05-08 2002-11-19 Blue Medical Devices B V Ballonkatheter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US20050240211A1 (en) * 2004-04-21 2005-10-27 Stefan Sporri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ably treating a fallopian tube
US20050261723A1 (en) * 2004-05-21 2005-11-24 Medtronic Vascular, Inc. Folded balloon for catheter
US7688206B2 (en) 2004-11-22 2010-03-30 Alien Technology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for an item having a conductive layer included or attached
US20070167967A1 (en) * 2006-01-13 2007-07-19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Medical procedure via natural orifice and puncture device
US7803154B2 (en) * 2006-08-03 2010-09-28 Arbel Medical Ltd. Cryogenic probe for treating enlarged volume of tissue
US7425211B2 (en) * 2006-08-03 2008-09-16 Arbel Medical Ltd. Cryogenic probe for treating enlarged volume of tissue
US20080097469A1 (en) 2006-10-18 2008-04-24 Gruber William H Intrauterine access and procedure system with laterally deflectable sheath
US8025656B2 (en) 2006-11-07 2011-09-27 Hologic,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performing gynecological procedures
US9392935B2 (en) 2006-11-07 2016-07-19 Hologic, Inc. Methods for performing a medical procedure
CA2677738A1 (en) 2007-02-09 2008-08-21 B & D Medical Development, Llc Pelvic balloon tamponade
US8951274B2 (en) 2007-04-06 2015-02-10 Hologic, Inc. Methods of high rate, low profile tissue removal
US8574253B2 (en) 2007-04-06 2013-11-05 Hologic, Inc.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tissue removal
US9095366B2 (en) 2007-04-06 2015-08-04 Hologic, Inc. Tissue cutter with differential hardness
US9259233B2 (en) * 2007-04-06 2016-02-16 Hologic, Inc. Method and device for distending a gynecological cavity
US20080281317A1 (en) * 2007-05-10 2008-11-13 Fred Gobel Endometrial Ablation catheter
US8568385B2 (en) * 2007-09-11 2013-10-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vice and method for restricting blood flow to fibroids
US8083733B2 (en) 2008-04-16 2011-12-27 Icecure Medical Ltd. Cryosurgical instrument with enhanced heat exchange
CA2791086C (en) * 2008-08-28 2014-05-27 Marco Antonio Pena Duque Directional expansion of intraluminal devices
US8821486B2 (en) 2009-11-13 2014-09-02 Hermes Innovations, LLC Tissue ablation systems and methods
US8500732B2 (en) 2008-10-21 2013-08-06 Hermes Innovations Llc Endometrial ablation devices and systems
US8197476B2 (en) 2008-10-21 2012-06-12 Hermes Innovations Llc Tissue ablation systems
US8197477B2 (en) 2008-10-21 2012-06-12 Hermes Innovations Llc Tissue ablation methods
US8540708B2 (en) 2008-10-21 2013-09-24 Hermes Innovations Llc Endometrial ablation method
US8372068B2 (en) 2008-10-21 2013-02-12 Hermes Innovations, LLC Tissue ablation systems
US9662163B2 (en) * 2008-10-21 2017-05-30 Hermes Innovations Llc Endometrial ablation devices and systems
US7967814B2 (en) 2009-02-05 2011-06-28 Icecure Medical Ltd. Cryoprobe with vibrating mechanism
WO2010105158A1 (en) 2009-03-12 2010-09-16 Icecure Medical Ltd. Combined cryotherapy and brachytherapy device and method
US11903602B2 (en) 2009-04-29 2024-02-20 Hologic, Inc. Uterine fibroid tissue removal device
US8715278B2 (en) 2009-11-11 2014-05-06 Minerva Surgical, Inc. System for endometrial ablation utilizing radio frequency
US11896282B2 (en) 2009-11-13 2024-02-13 Hermes Innovations Llc Tissue ablation systems and method
US8529562B2 (en) 2009-11-13 2013-09-10 Minerva Surg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dometrial ablation
US9289257B2 (en) 2009-11-13 2016-03-22 Minerva Surgic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dometrial ablation utilizing radio frequency
US7967815B1 (en) 2010-03-25 2011-06-28 Icecure Medical Ltd. Cryosurgical instrument with enhanced heat transfer
KR101170785B1 (ko) * 2010-03-31 2012-08-02 이근호 양막 삽입기구
US7938822B1 (en) 2010-05-12 2011-05-10 Icecure Medical Ltd. Heating and cooling of cryosurgical instrument using a single cryogen
US8080005B1 (en) 2010-06-10 2011-12-20 Icecure Medical Ltd. Closed loop cryosurgical pressure and flow regulated system
US8956348B2 (en) 2010-07-21 2015-02-17 Minerva Surgic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dometrial ablation
US9510897B2 (en) 2010-11-05 2016-12-06 Hermes Innovations Llc RF-electrode surface and method of fabrication
EP2670328B1 (en) 2011-02-01 2019-10-16 Channel Medsystems, Inc. Apparatus for cyrogenic treatment of a body cavity or lumen
US9901394B2 (en) 2013-04-04 2018-02-27 Hermes Innovations Llc Medical abla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US9895183B2 (en) 2013-09-17 2018-02-20 Channel Medsystems, Inc. Liner for cryogenic treatment systems
US9649125B2 (en) 2013-10-15 2017-05-16 Hermes Innovations Llc Laparoscopic device
US10285720B2 (en) 2014-03-11 2019-05-14 Neuravi Limited Clot retrieval system for removing occlusive clot from a blood vessel
US10610279B2 (en) 2014-04-10 2020-04-07 Channel Med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gulating cryogenic treatment
EP3154452A1 (en) 2014-06-13 2017-04-19 Neuravi Limited Devices for removal of acute blockages from blood vessels
US10265086B2 (en) 2014-06-30 2019-04-23 Neuravi Limited System for removing a clot from a blood vessel
US10231770B2 (en) 2015-01-09 2019-03-19 Medtronic Holding Company Sárl Tumor ablation system
US10492856B2 (en) 2015-01-26 2019-12-03 Hermes Innovations Llc Surgical flui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EP3288477A4 (en) 2015-04-29 2018-12-19 Cirrus Technologies Ltd. Medical abl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11229466B2 (en) 2018-01-12 2022-01-25 KyphEZE, Inc. Bone expansion systems and methods
US10052149B2 (en) 2016-01-20 2018-08-21 RELIGN Corporation Arthroscopic devices and methods
JP2019514481A (ja) 2016-04-22 2019-06-06 リライン コーポレーション 関節鏡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10265111B2 (en) 2016-04-26 2019-04-23 Medtronic Holding Company Sárl Inflatable bone tamp with flow control and methods of use
US20180000534A1 (en) 2016-07-01 2018-01-04 RELIGN Corporation Arthroscopic devices and methods
KR102457315B1 (ko) * 2016-08-17 2022-10-24 뉴라비 리미티드 혈관으로부터 폐색 혈전을 제거하기 위한 혈전 회수 시스템
US10779870B2 (en) 2017-10-16 2020-09-22 Medtronic Holding Company Sarl Curved inflatable bone tamp with variable wall thickness
FR3072873B1 (fr) * 2017-10-31 2019-11-08 Eurl Cornier Dispositif d'etirement viscoelastique des tissus pelviens
EP4000540B1 (en) 2019-03-04 2024-02-14 Neuravi Limited Actuated clot retrieval catheter
US20220249812A1 (en) * 2019-06-13 2022-08-11 Iph001 Pty Ltd Balloon for expanding an orifice
US11554214B2 (en) 2019-06-26 2023-01-17 Meditrina, Inc. Fluid management system
JP2021041169A (ja) 2019-09-11 2021-03-18 ニューラヴィ・リミテッド 拡大可能な口腔カテーテル
US11839725B2 (en) 2019-11-27 2023-12-12 Neuravi Limited Clot retrieval device with outer sheath and inner catheter
US11779364B2 (en) 2019-11-27 2023-10-10 Neuravi Limited Actuated expandable mouth thrombectomy catheter
US11633224B2 (en) 2020-02-10 2023-04-25 Icecure Medical Ltd. Cryogen pump
US11484355B2 (en) 2020-03-02 2022-11-01 Medtronic Holding Company Sàrl Inflatable bone tamp and method for use of inflatable bone tamp
US11633198B2 (en) 2020-03-05 2023-04-25 Neuravi Limited Catheter proximal joint
US11944327B2 (en) 2020-03-05 2024-04-02 Neuravi Limited Expandable mouth aspirating clot retrieval catheter
US11883043B2 (en) 2020-03-31 2024-01-30 DePuy Synthes Products, Inc. Catheter funnel extension
US11759217B2 (en) 2020-04-07 2023-09-19 Neuravi Limited Catheter tubular support
US11872354B2 (en) 2021-02-24 2024-01-16 Neuravi Limited Flexible catheter shaft frame with seam
US11937839B2 (en) 2021-09-28 2024-03-26 Neuravi Limited Catheter with electrically actuated expandable mouth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9241A (en) * 1971-10-20 1973-12-18 Ethyl Corp Intrauterine contraceptive device and method for its use
US3924628A (en) 1972-12-01 1975-12-09 William Droegemueller Cyrogenic bladder for necrosing tissue cells
US3923051A (en) * 1974-03-18 1975-12-02 Samuel Soichet Inflatable intrauterine contraceptive device for postpartum use
GB9315473D0 (en) 1993-07-27 1993-09-08 Chemring Ltd Treatment apparatus
US5449380A (en) 1993-09-17 1995-09-12 Origin Med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rgan ablation
US5487377A (en) * 1993-11-05 1996-01-30 Clinical Innovation Associates, Inc. Uterine manipulator and manipulator tip assembly
US5501681A (en) 1993-11-12 1996-03-26 Neuwirth; Robert S. Intrauterine cryoablation cauterizing apparatus and method
US5645560A (en) * 1995-12-15 1997-07-08 Cardiovascular Dynamics, Inc. Fixed focal balloon for interactive angioplasty and stent implantation
US5575788A (en) 1994-06-24 1996-11-19 Stuart D. Edwards Thin layer ablation apparatus
US5902251A (en) 1996-05-06 1999-05-11 Vanhooydonk; Neil C. Transcervical intrauterine applicator for intrauterine hyperthermia
US5954714A (en) 1996-11-20 1999-09-21 Gynecare, Inc. Heated balloon having rotary fluid impeller
US5947991A (en) * 1997-01-07 1999-09-07 Cowan; Robert K. Single balloon device for cervix
US5868735A (en) 1997-03-06 1999-02-09 Scimed Life Systems, Inc. Cryoplasty device and method
US5891457A (en) 1997-05-12 1999-04-06 Neuwirth; Robert S. Intrauterine chemical necrosing method, composition, and apparatus
JP2001514921A (ja) 1997-08-13 2001-09-18 サ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組織収縮のための非侵襲性デバイ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SE9804388D0 (sv) * 1998-12-17 1998-12-17 Wallsten Medical Sa Device and method for medical treatment
AU3749400A (en) 1999-03-16 2000-10-04 Chase Medical Inc. Catheter having varying resiliency balloon
US6607545B2 (en) * 2000-12-27 2003-08-19 Ethicon, Inc. Conformal surgical balloon with varying wall expansibility
US20040127932A1 (en) * 2002-09-12 2004-07-01 Shah Tilak M. Dip-molded polymeric medical devices with reverse thickness gradi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905B1 (ko) * 2005-02-18 2007-04-27 이근영 양막 삽입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53940A1 (en) 2003-08-14
CA2452817A1 (en) 2004-06-20
JP2004202237A (ja) 2004-07-22
AU2003268603A1 (en) 2004-07-08
US20050113857A1 (en) 2005-05-26
EP1430847A2 (en) 2004-06-23
US6951569B2 (en) 2005-10-04
EP1430847A3 (en) 200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55650A (ko) 벽 두께가 변하는 외과용 벌룬
US6607545B2 (en) Conformal surgical balloon with varying wall expansibility
US20020082635A1 (en) Conformal surgical balloon
US6468462B1 (en) Method for making an electrode balloon
ES2304367T3 (es)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 cateter de globo.
JP2010526576A (ja) 子宮内膜用アブレーションカテーテル
JPH0569541B2 (ko)
WO1991017788A1 (en) High-strength, thin-walled single piece catheters
WO2007037877A2 (en) Device for forming a fluid tight seal during a procedure within a hollow organ
JPH07509160A (ja) 個別膨張可能区域を備えたバルーン組立体
JPH02283379A (ja) バルーン拡張カテーテル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8023270A (ja) カテーテル用バル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41971B2 (ko)
JP2019050861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137347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およびバルーンの形状付け方法
JP2023137344A (ja) バルーンの形状付け方法
JP2023137343A (ja) バルーンの形状付け方法
JP2023137341A (ja) バルーンの形状付け方法
JP2023137348A (ja) バルーンの形状付け方法
JP2023137349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およびバルーンの形状付け方法
JP2023137345A (ja) バルーンの形状付け方法
JP2023137346A (ja) バルーンの形状付け方法
JP2009056132A (ja) バルー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