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597A - 폴리디메틸실록산과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과지방산염의 혼합물을 방사 용액에 혼입함으로써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디메틸실록산과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과지방산염의 혼합물을 방사 용액에 혼입함으로써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597A
KR20040055597A KR1020030091044A KR20030091044A KR20040055597A KR 20040055597 A KR20040055597 A KR 20040055597A KR 1020030091044 A KR1020030091044 A KR 1020030091044A KR 20030091044 A KR20030091044 A KR 20030091044A KR 20040055597 A KR20040055597 A KR 20040055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urea
polydimethylsiloxane
weight
fibe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휘테
Original Assignee
바이엘 파제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파제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이엘 파제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5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59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ureth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하게 분산된 또는 용해된 형태의 폴리디메틸실록산과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과 지방산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건식방사 공정 또는 습식방사 공정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디메틸실록산과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과 지방산염의 혼합물을 방사 용액에 혼입함으로써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URETHANE UREA FIBERS BY INCLUDING A COMBINATION OF POLYDIMETHYLSILOXANE, ALKOXYLATED POLYDIMETHYLSILOXANE AND A FATTY ACID SALT IN THE SPINNING SOLUTION}
본 발명은 방사 공정에 들어가기 전에, 점도가 2 내지 20cSt (25℃)인 폴리디메틸실록산 0.1 내지 5 중량%와 수평균분자량이 30,000g/mol 미만이고 점도가 10 내지 5000cSt (25℃)인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0.1 내지 5 중량%와 지방산염 0.01 내지 3 중량% (상기 중량%는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기준으로 함)을 폴리우레탄 우레아 조성물에 첨가하는,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습식방사 공정 또는 건식방사 공정, 특히 건식방사 공정에 관한 것이다.
탄성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란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방향족 및/또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세그먼트 폴리우레탄 85 중량% 이상으로 이루어진 섬유를 말한다.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는 통상적으로 용융방사 공정, 습식방사 공정, 바람직하게는 건식방사 공정으로 용액을 방사함으로써 제조한다. 습식방사 공정 및 건식방사 공정에 적합한 용매는 극성 용매, 예를 들면 디메틸 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및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이다. 이러한 방사 공정은 예를 들면 문헌[Polyurethan-Elastomerfasern, H.Gall 및 M.Kausch, Kunststoff-Handbuch 7, Polyurethane, Ed.: G.Oertel,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3, 679 내지 694 페이지]에 기술되어 있다.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는 탁월한 탄성 및 뛰어난 신장성과 함께 높은 복원력을 나타낸다. 이러한 성질들의 우수한 조합 때문에, 상기 섬유는 의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섬유의 가장 중요한 응용 분야는 내의, 코르셋, 스포츠웨어 (예를 들면, 수용복 및 수영팬츠)용 탄성재 뿐만 아니라 양말 (hosiery)용 가터웰트 (garter welt), 양말, 고무밴드 또는 기저귀이다.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의 제조공정의 경제성은 결정적으로 방사 공정에 달려있다. 건식방사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고점도 방사 용액을 가열된 방사축에 공급하고, 여과하고, 구멍이 여러개 나 있는 노즐을 통해 압출해서, 공급된 뜨거운 방사 공기에 의해 용매를 신속하게 증발시킨다. 가공된 개별 필라멘트를 방사축에서 (원하는 데니어에 따라) 한데 묶어서 실 (yarn)을 형성하고, 가연장치로 함께 결합시켜 사실상 모노필라멘트사를 형성한다. 방사유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 가공사를 최종적으로 보빈에 감는다. 이렇게 하여 예를 들면 480 dtex의 엘라스탄 (elastane)사를 36개의 개별 필라멘트로부터 만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제조공정의 경제성은 결정적으로 트레드 (thread)가 보빈에 감기는 속도에 달려있다. 이 속도가 빠르면, 방사구를 통한 방사 용액의 토출량도 많아진다. 따라서 방사 용액 또는 여기에 함유된 첨가제는 방사 공정 동안에 필터를 폐색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터가 폐색되면, 방사 공정은 중단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관련된 수율 및 경제성도 감소된다. 경제성과 관련하여 두번째의 동등하게 중요한 변수는 텍스타일 트레드 데이타를 방사 공정 내내 일정한 수준으로 달성하는지의 여부다. 트레드 데이타가 방사 공정 동안에 변하면, 사양에 맞지 않는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가 얻어질 수 있다. 사양에 맞지 않는 섬유를 제거하게 되면 경제성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방사 공정 내내 일정한 텍스타일 트레드 데이타를 달성하고 생산성이 증가되도록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제조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방사 공정에 들어가기 전에, 점도가 2 내지 20cSt (25℃)인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0.1 내지 5 중량%와 분자량 (수평균분자량)이 30,000g/mol 미만이고 점도가 10 내지 5000cSt (25℃)인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0.1 내지 5 중량%와 지방산염 0.01 내지 3 중량% (상기 중량%는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기준으로 함)의 혼합물을 폴리우레탄 우레아 조성물의 용액에 첨가하고 방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방사 용액에 순수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혼입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는, 예를 들면, 과열된 증기를 사용하여 데니어가 굵은 엘라스탄 섬유를 제조하는 특수 방사 공정으로 엘라스탄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는 DE-A-3 912 510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는 유량개선제로서 다른 가능한 첨가제 중에서도 실리콘 오일이 언급되었다. 미국 특허 명세서 4 973 647에도 방사 용액에 실리콘 오일을 혼입하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 이들 문헌 중 어떤 것도 특별한 성질을 갖는 오일의 특수한 배합물을 방사 용액에 첨가하는 것은 언급하지 않았다.
아밀실록산-개질된 폴리디메틸실록산 오일을 방사 용액에 혼입하는 것 (본 발명의 청구대상이 아님)이 DE-AS 1 469 452에 공지되어 있다.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 점도가 50 내지 300cSt (25℃)인 폴리디메틸실록산과 점도가 20 내지 150cSt (25℃)인 에톡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의 배합물을 방사 용액에 혼입하는 것이 EP 명세서 643 159에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에서 추천된 혼합물을 방사 용액에 혼입하면 접착방지제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의 효과가 감소한다.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예를 들면 택스타일 직물로 가공하기 위해 필요한 접착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추가량의, 즉 증가된 양의 접착방지제를 섬유 방사 용액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증가된 양의 접착방지제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는 폐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방사 공정에서 필터의 유효 수명을 단축시킨다. 필터를 일찍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방사 공정이 중단되고 수율이 감소된다. 더우기 상기 특허 출원에서 추천된 혼합물은 방사 공정에 공급되는 폴리우레탄 우레아 조성물에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을 첨가하기 전에 시간 및 온도에 따라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의 응집을 유발할 수 있다.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형성되는 응집체 때문에 접착방지제로서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의 효과가 변할 수 있다. 방사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텍스타일 데이타, 예를 들면 접착력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양에 맞지 않는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들을 복잡한 공정으로 제거해야 하므로 수율이 감소된다. 상기 특허에는 사용되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점도가 50cSt (25℃) 미만이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 점도가 2 내지 20cSt (25℃)인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과 점도가 10 내지 5000cSt (25℃)인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과 지방산염의 혼합물을 본 발명에 따라 방사 용액에 혼입하면,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제조의 경제성과 관련해 전술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폴리디메틸실록산과 폴리에테르-개질된 PDMS의 혼합물을 가공된 방사 엘라스탄 트레드에 침지 또는 분사 방법으로 또는 롤러로 도포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JP 57 128 276 또는 JP 03 146 774를 참조하도록 한다). 이렇게 방사유제를 도포하면 정경 및 편직 공정에서 엘라스탄 섬유의 권취성이 개선된다. 이 특허에는 상기 혼합물을 방사 용액에 혼입하는 것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엘라스탄 섬유 방사 용액에 혼합물,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포함시킴으로써 방사 공정의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A) 폴리우레탄 우레아 중합체 99.7 내지 65 중량%, 특히 99.5내지 8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99 내지 85 중량%, (B) 점도가 2 내지 20 cSt (25℃)인 폴리디메틸실록산 0.1 내지 5 중량%, 특히 0.2 내지 3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 중량%, (C) 하기 화학식 1의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수평균분자량)이 30,000g/mol보다 크지 않고 점도가 10 내지 5000cSt (25℃)가 되도록 선택된 하기 화학식 1의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0.1 내지 5 중량%, 특히 0.2 내지 3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 중량%, (D) 포화 또는 불포화, 1작용성 또는 2작용성 C6-C30지방산의 금속염 (여기서, 금속은 원소주기율표의 제1, 제2 또는 제3 주족원소 중에서 선택된 금속 또는 아연임) 0.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 및 (E) 첨가제 0 내지 20 중량%, 특히 0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PE는 1가 라디칼의 -CH2-CH2-CH2-O(eov/pow)mZ이고,
eo는 에틸렌 옥사이드이고,
po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이고,
Z는 수소 또는 C1-C6-알킬 라디칼이고,
v 및 w는 0 이상의 정수이지만, v와 w가 동시에 0은 아니고,
x, y 및 m은 1 이상의 정수이다.
본 발명은 방사 용액을 제조하고, 이 방사 용액을 방사구를 사용하여 방사하고, 이를 건조하거나 또는 침욕에 넣어서 방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방사구 아래에서 트레드를 형성하고, 트레드를 가공하고 권취하는, 건식방사 공정 또는 습식방사 공정, 바람직하게는 건식방사 공정에 의한 개선된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의 제조 방법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방사 용액을 방사하여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제조하기 전에, (B) 점도가 2 내지 20 cSt (25℃)인 폴리디메틸실록산 0.1 내지 5 중량%, 특히 0.2 내지 3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 중량%, (C) 하기 화학식 1의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수평균분자량)이 30,000g/mol보다 크지 않고 점도가 10 내지 5000cSt (25℃)가 되도록 선택된 하기 화학식 1의 폴리디메틸실록산 0.1 내지 5 중량%, 특히 0.2 내지 3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 중량%, (D) 포화 또는 불포화, 1작용성 또는 2작용성 C6-C30지방산의 금속염 (여기서, 금속은 원소주기율표의 제1, 제2 또는 제3 주족원소 중에서 선택된 금속 또는 아연임) 0.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를 폴리우레탄 우레아 용액에 첨가함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PE는 1가 라디칼의 -CH2-CH2-CH2-O(eov/pow)mZ이고,
eo는 에틸렌 옥사이드이고,
po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이고,
Z는 수소 또는 C1-C6-알킬 라디칼이고,
v 및 w는 0 이상의 정수이지만, v와 w가 동시에 0은 아니고,
x, y 및 m은 1 이상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으로 제조된 섬유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는 미세하게 분산된 형태 (도메인 (domain)) 또는 용해된 형태의, (B), (C) 및 (D)에서 언급된 폴리디메틸실록산,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지방산염을 함유한다.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의 도메인은 필라멘트의 종방향 길이가 특히 24㎛ 미만, 바람직하게는 18㎛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미만이다. 이 도메인은 필라멘트의 횡방향 길이가 특히 6㎛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는 세그먼트 폴리우레탄 우레아 중합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합체는 세그먼트 구조를 갖는데, 다시 말해 중합체는 "결정질" 블록 및 "비결정질" 블록 (소위 경질 세그먼트 및 연질 세그먼트)으로 이루어져 있다.
폴리우레탄 우레아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는 특히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고 분자량 (수평균분자량)이 600 내지 6000g/mol인 선형 단독중합체 또는공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디올, 폴리에스테르 디올,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디올, 폴리카르보네이트 디올 또는 이러한 공중합체들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디올과 반응하여 말단 이소시아네이트-작용성 예비중합체를 형성함), 및 사슬연장제로서 디아민 또는 상이한 디아민들의 혼합물 (말단 이소시아네이트-작용성 예비중합체와 반응하여 중합체를 형성함)을 기재로 한다.
이 반응을 통상적으로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과 같은 불활성 극성 용매에서 수행한다. 말단 이소시아네이트-작용성 예비중합체의 제조를 용융물 상태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말단 이소시아네이트-작용성 예비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디올 및/또는 폴리에테르 디올과 함께, 3차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디올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N-알킬-N,N-비스-히드록시알킬아민이 특히 적합하다. 여기에서 언급될 수 있는 성분의 예는 4-3차-부틸-3-아자-2,6-헵탄디올, 4-메틸-4-아자-2,6-헵탄디올, 3-에틸-3-아자-1,5-펜탄디올, 2-에틸-2-디메틸아미노메틸-1,3-프로판디올, 4-3차-펜틸-4-아자-2,6-헵탄디올, 3-시클로헥실-3-아자-1,5-펜탄디올, 3-메틸-3-아자-1,5-펜탄디올, 3-3차-부틸메틸-3-아자-1,5-펜탄디올 및 3-3차-펜틸-3-아자-1,5-펜탄디올을 포함한다.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는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디아민의 예는 에틸렌디아민, 1,2-프로판디아민, 2-메틸-1,5-디아미노펜탄, 이소포론디아민, 1,3-디아미노시클로헥산, 1-메틸-2,4-디아미노시클로헥산 및 1,2-디아미노시클로헥산을 포함한다. 사슬종결제로서 소량의 모노아민, 예를 들면 디에틸아민, 디부틸아민 또는 에탄올아민을 사슬연장 동안에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분자량을 달성할 수 있다. 사슬연장 자체는 지연제로서 CO2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공정, 예를 들면 US 2 929 804, US 3 097 192, US 3 428 711, US 3 553 290 및 US 3 555 115, 및 WO 9 309 174에 기술된 공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탄성 직물, 편직물, 양말 및 기타 섬유제품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기준으로, 점도가 2 내지 20cSt (25℃)인 폴리디메틸실록산을 0.1 내지 5 중량%의 농도로 도입하고, 분자량 (수평균분자량)이 30,000g/mol 미만이고 점도가 10 내지 5000cSt (25℃)인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0.1 내지 5.0 중량%의 농도로 도입하고, 지방산의 금속염을 0.01 내지 3.0 중량%의 농도로 도입한다. 가공된 상태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 대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중량비는, 부성분들 (B), (C) 및 (D)의 조절이 끝난 후,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2이다. 가공된 상태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 대 지방산염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2이다. 농도와 관련된 데이타는 가공된 방사 엘라스탄 필라멘트 중 오일 또는 지방산염의 함량이다.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제조하기 전 조성물의 가공 중 임의의 원하는 시점에서 오일 및 지방산염을 폴리우레탄 우레아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일 및 지방산염을 용액 형태로서 다른 첨가제들의 용액, 분산액 또는 현탁액에 첨가할 수 있다. 섬유로의 가공 공정 동안에, 이들을 섬유 방사구에 대해 상류에 있는 중합체 용액과 혼합하거나 중합체 용액에 주입할 수 있다.
오일 및 지방산염을 폴리우레탄 우레아 조성물에 혼입시키는 공정을 바람직하게는, 오일과 지방산염이 다른 방사보조제와 함께 용매 (예를 들면, 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분산되어 있는 원료 배합물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이어서 이 원료 배합물을 동적 또는 정적 혼합기로 방사 용액과 혼합한다. 통상적인 원료 배합 용액 중 두 실리콘 오일과 지방산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이다.
이어서 이 방사 용액으로부터 습식방사 공정 또는 건식방사 공정, 바람직하게는 건식방사 공정으로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제조한다. 이러한 공정으로 제조된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개별 데니어가 10 내지 1280dtex이다. 개별 데니어를, 모노필라멘트 또는 예를 들면 2 내지 200개의 개별 모세관들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멀티필라멘트 섬유로부터 얻을 수 있다. 섬유가 방사축을 빠져나오면, 섬유에 외부 마감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적합한 지방산염 (D)은 금속이 원소주기율표의 제1 내지 제3 주족원소인 금속 또는 아연인 것이다. 이 지방산은 포화 또는 불포화되며, 6개 이상 내지 30개 이하의 탄소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1작용성 또는 2작용성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방산염은 특히 올레산, 팔미트산 또는 스테아르산의 리튬,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및 아연 염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또는 스테아르산 알루미늄이다.
폴리우레탄 우레아 조성물 또는 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르는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는 첨가제 (E)로서 소광제, 충전제, 산화방지제, 염료, 안료, 착색제, 및 열, 광, 자외선, 염소-함유 물, 화학적 섬유 세제, 특히 염소계 탄화수소 및 증기에 대한 안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 및 열, 광 또는 자외선에 대한 안정제의 예는 입체장애 페놀, HALS 안정제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제), 트리아진, 벤조페논 및 벤조트리아졸의 군에서 선택된 안정제이다. 안료 및 소광제의 예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황산바륨이다. 염료의 예는 산성염료, 분산염료, 피그먼트 염료 및 형광증백제이다. 염소 또는 염소-함유 물에 의해 야기되는 섬유의 열화에 대한 안정제의 예는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탄산 칼슘-마그네슘, 수산화탄산 칼슘-마그네슘 또는 수산화탄산 마그네슘-알루미늄, 특히 히드로탈시트이다. 이 안정제들은 혼합물 형태로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유기 또는 무기 피복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를 통해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지만, 이 실시예가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우레아 용액을 다음 절차에 따라 제조한다:
모든 실시예에서, 아디프산, 헥산디올 및 네오펜틸 글리콜로 이루어지고 메틸렌 비스(4-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MDI, 바이엘 아게 (Bayer AG))로 차폐되고 에틸렌디아민 (EDA)과 디에틸아민 (DEA)의 혼합물로 사슬연장된, 분자량 (수평균분자량)이 2000g/mol인 폴리에스테르 디올로부터 폴리우레탄 우레아 조성물을 제조한다.
각 실시예를 위한 폴리우레탄 우레아 조성물을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한다.
폴리우레탄 우레아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분자량 (수평균분자량)이 2000g/mol인 폴리에스테르 디올 50 중량%를 25℃에서 4-메틸-4-아자-2,6-헵탄디올 1 중량%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C) 36.2 중량%와 MDI 12.8 중량%와 혼합하고, 50℃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110분 동안 정치시켜 NCO 함량이 2.65% NCO인 이소시아네이트-차폐된 중합체를 얻는다.
이 차폐된 중합체를 25℃의 온도로 냉각한 후, 차폐된 중합체 100 중량부를 DMAC 187 중량부 중 EDA 1.32 중량부와 DEA 0.04 중량부의 용액과 급속히 혼합하여, 고형분 함량이 22%인 DMAC 중 폴리우레탄 우레아 조성물을 형성한다.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바이엘 아게)를 첨가함으로써, 점도가 70Pa·s (25℃)가 되도록 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한다.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중합체를 제조한 후, 여기에 첨가제의 원료 배합물을 첨가한다. 이 원료 배합물은 DMAC 65.6 중량%, 시아녹스 (CYANOX, 등록상표) 1790 (1,3,5-트리스(4-3차-부틸-3-히드록시-2,5-디메틸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시텍 (Cytec)) 11.5 중량%, 티누빈 (TINUVIN, 등록상표) 622 (숙신산과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 에탄올로 이루어진, 분자량이 약 3500g/mol인 중합체, 시바 가이기 (Ciba Geigy)) 5.7 중량%, 22% 방사 용액 17.2 중량% 및 염료인 마크로보에비올레트 (MAKROVOEVIOLETT, 등록상표) B (바이엘 아게) 0.001 중량%로 이루어진다. 이 원료 배합물을, 폴리우레탄 우레아 조성물 중 총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시아녹스 1790의 함량이 1.0 중량%가 되고 티누빈 622의 함량이 0.5 중량%가 되도록, 방사 용액에 계량 첨가한다.
이산화티탄 (트로녹스 (TRONOX, 등록상표) TiO2, R-KB-3, 케르-맥기 피그멘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Kerr-McGee Pigments GmbH & Co. KG) 31 중량%, 디메틸아세트아미드 44.5 중량% 및 22% 방사 용액 24.5 중량%로 이루어진 제2 원료 배합물을, 가공 트레드 중 이산화티탄 함량이 가공된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기준으로 0.05 중량%가 되도록, 제1 방사 용액에 첨가한다.
이어서 추가의 원료 배합물을 방사 용액에 첨가한다. 이 추가의 원료 배합물은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피터 그레븐 (Peter Greven)) 5.3 중량%, DMAC 49.6 중량%, 22% 방사 용액 33.8 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 6.0 중량% 및 실웨트 (SILWET, 등록상표) L 7607 (크롬프톤 스페셜리티스 게엠베하 (Crompton Specialities GmbH); 메틸-종결되고 분자량이 1000g/mol이고 점도가 50cSt (25℃)인 에톡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5.3 중량%로 이루어지는데, 이들은 가공된 섬유 중%함량이 실시예 1 내지 3에 기술된%함량이 되게 하는 것으로 선택된다.
실시예 1
가공된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중 첨가제 함량: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28 중량%
실웨트 L 7607 0.28 중량%
베이실론 (BAYSILONE, 등록상표) 오일 M5 (폴리디메틸실록산, GE 바이엘 실리콘스 (GE Bayer Silicones), 점도는 5cSt (25℃)) 0.32 중량%
실시예 2
가공된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중 첨가제 함량: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19 중량%
실웨트 L 7607 0.19 중량%
베이실론 오일 M5 (GE 바이엘 실리콘스, 점도는 5cSt (25℃)) 0.22 중량%
실시예 3 (비교용)
가공된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중 첨가제 함량: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28 중량%
실웨트 L 7607 0.28 중량%
베이실론 오일 M100 (GE 바이엘 실리콘스, 점도는 100cSt (25℃)) 0.32 중량%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폴리우레탄 우레아 조성물을 건식방사 공정에 전형적인 방사장치에서 방사하여 데니어가 11 dtex인 필라멘트를 형성하고, 이러한 개별적인 필라멘트들을 4개씩 합쳐서 44dtex의 합체된 필라멘트사를 형성하고 500m/분의 권취 속도로 권취한다.
이렇게 얻은 필라멘트를 그 기계적 성질에 대해 시험하고 특징을 결정한다. 따라서 특히 번수-관련 강도 (CS: count-related strength) 및 파단신장률 (EB)을DIN 53834 1부에 따라 측정한다. 이를 위해서, 공기-조절된 상태에서 엘라스탄 필라멘트사에 대해 인장시험을 수행한다. 제조된 시편을 측정 헤드의 훅 주위의 루프에 놓고 0.001 cN/dtex의 예비-인장력을 갖는 10㎜ 루프-형성 클램프 주위에 놓는다. 클램핑된 길이는 총 200㎜이다. 알루미늄 호일의 작은 단편을 광 차단 수준으로 정확하게 매달아 놓는다. 슬라이드를 트레드가 끊어질 때까지 400% 변형률/분 (800㎜ 권취)의 속도로 움직이고, 측정 후 다시 출발 위치로 되돌린다. 하나의 시편마다 측정을 20회 수행한다.
우선 3㎜만 제외하고, 500g 분동을 사용하여 보빈 케이스 위의 보빈으로부터 트레드를 떼어냄으로써, 보빈에 대한 트레드의 접착력을 결정한다. 이어서 분동을 트레드에 매달고, 트레드가 보빈으로부터 풀릴 때의 분동의 중량을 결정한다. 이렇게 결정된 접착력은 보빈의 가공성의 척도이다. 접착력이 너무 높으면, 트레드가 끊어지기 쉬우므로 시트 형태의 텍스타일 제품으로 가공하기가 좀 더 어려워진다. 접착력이 너무 낮으면, 건식방사축에서 권취 공정 동안 또는 보빈이 텍스타일 직물로 추가로 가공되는 동안에, 트레드가 보빈으로부터 떼어져서 끊어지므로 추가의 가공을 하지 못할 수 있다.
다음에 기술되는 방법으로 광 균일도 (optical uniformity)를 평가한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데니어가 44dtex인 트레드 1340개를, 엘라스탄 정경기 (오베르하우센 카를 마이어 (Karl Mayer)의 타입 DSE 50/30)의 두개의 분할된 정경 빔 (SWB) 위에서 156%의 예비 드래프트 (preliminary draft) 및 40%의 최종 드래프트로 정경한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스니아 (Snia)의 폴리아미드 44/10 dtex의 두 SWB와 함께 상기 분할된 정경 빔으로부터 탄성 경편직물 (wrap-knitted fabric)을 제조한다. HKS 2/E 32 정경 직기 (오베르하우센 카를 마이어)를 경편직기로서 사용한다.
이렇게 제조된 경편직물을 증열처리 (steaming) 테이블 위에 놓는다. 추가의 공정에서는, 8%의 과잉공급률 (overfeed)로 195℃에서 40초 동안 텐터 프레임에서 예비-세척되지 않은 상태에서 뜨거운 공기로 고정한다. 고정폭은 100㎝이다.
고정된 직물을 텐터 프레임에 별도로 한 번 통과시키면서 저온 상태로 구멍 뚫린 염색 빔에 감는다.
이 직물을, 다음 배합물을 사용하여 빔 염색 장치에서 파란색으로 염색한다:
텔론 (TELON, 등록상표) 리흐트블라우 (Lichtblau) RR 182% (바이엘 아게; 산성염료) 0.90%
텔론 에흐토란지 (Echtorange) AGT 200% (바이엘 아게; 산성염료) 0.05%
아세트산나트륨 2.00g/ℓ
레보갈 (LEVOGAL, 등록상표) FTS (바이엘 아게; 균염제) 1.50% 및
아세트산 0.30㎖/ℓ.
모든 보조제를 첨가하기 전에, 우선 폐쇄된 장치를 물로 채우되 액체가 순환되지 않게 한다. 순환펌프의 스위치를 켜서 2.2 내지 2.0 bar의 목적 압력이 달성된 후, 전술된 보조제를 첨가한다. 액체의 가열을 1℃/분으로 수행하고, 액체의 방향을 80℃ 이하의 온도에서는 외부/내부로 하고, 80℃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액체를 내부에서 외부로 펌핑한다. 일단 98℃의 원하는 최종 온도에 이르면, 추가의처리 시간은 60분이 된다. 이어서 70℃로 간접적으로 냉각하고, 차가운 담수를 공급함으로써 계속 헹구고, 마지막으로 담수로 한 번 더 헹군다.
염색 후, 젖은 직물이 감겨있는 염색 빔을 패딩기로 옮기고, 이를 패딩기에 통과시키는 동안에 헹굼물을 통과시키고, 이를 균일하게 짜내어 건조시킨다.
이어서 중간 건조를 구멍뚫린 원통형 건조기에서 120℃에서 약 7m/분의 이동 속도로 수행한다. 직물을 구멍뚫린 원통형 건조기에 넣을 때에는 직물을 편평하게 접는다.
중간 건조된 직물을 최종적으로 150℃의 온도에서 10m/분의 직물 속도 및 5%의 과잉공급률로 텐터 프레임에서 폭 고정하여, 텐터 프레임을 빠져나가면서 권취되는 매끄러운 가공된 직물을 얻는다.
가공되고 염색된 직물을 투과광 및 반사광 둘 다에서 눈으로 관찰함으로써 광 균일도를 평가하고, 이에 대해 1 내지 9의 등급 (시험 등급)을 매긴다. 본원에서 기술된 44dtex의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의 경우, 4등급은 매우 균일한 직물이며, 5등급은 여전히 우수한 균일도에 해당하며, 6등급은 만족스러운 균일도에 해당한다. 직물이 7등급이면, 이는 특수 목적에만 사용될 수 있다. 8등급 및 9등급 직물은 판매불가능하다.
표 1은 결정된 필라멘트 성질 및 광 균일도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 등급을 보여준다.
트레드 데이타 및 광 균일도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 등급의 비교
실시예 번호 데니어 (dtex) Cs (cN/dtex) EB (%) 접착력 (cN) 시험 등급
1 43.6 1.24 417 0.05 결정못함
2 45.7 1.21 420 0.23 5.0
3 (비교용) 45.2 1.21 402 0.23 5.0
CS: 번수-관련 강도, EB: 파단신장률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실론 오일 M100-기재의 원료 배합물을 넣을 때와 비교해, 베이실론 오일 M5-기재의 원료 배합물을 첨가하면 접착력이 확실히 달라진다. 따라서 베이실론 오일 M100-기재의 원료 배합물을 넣을 때와 비교해, 베이실론 오일 M5-기재의 원료 배합물을 첨가하면 접착력이 상당히 감소된다. 따라서 베이실론 오일 M5-기재의 원료 배합물을 사용하면 접착방지제로서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의 효과가 확실히 증가한다는 것이 입증될 수 있다. 베이실론 오일 M100-기재의 원료 배합물의 경우, 응집체가 생김으로써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의 효과가 감소된다. 방사 용액 중의 베이실론 오일 M5의 혼입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접착력을 베이실론 오일 M100-기재의 원료 배합물 수준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베이실론 오일 M5-기재의 원료 배합물을 방사 용액에 혼입함으로써, 방사 공정에서의 필터의 유효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므로 이에 상응하게 생산성도 증가한다.
번수-관련 강도 (CS) 및 광 균일도는 원료 배합물에 따라 달라지며 일정 수준에서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실시예 4 내지 9에 대한 일련의 시험에서는, 상이한 폴리디메틸실록산과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사용하여 원료 배합물을 제조한다. 원료 배합물은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피터 그레븐) 5.3 중량%, DMAC 49.6 중량%, 30% 방사 용액 33.8 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 6.0 중량% 및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5.3 중량%로 이루어진다.
원료 배합물을 25℃ 및 50℃에서 저장하며, 그 균질성을 제조직후 및 24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에 평가한다.
원료 배합물의 균질성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명시하였다.
원료 배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30% 방사 용액을, 평균분자량 (수평균분자량)이 2000g/mol인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PTHF, 예를 들면 듀퐁 (Du Pont)의 테라탄 (Terathane) 2000)으로 이루어진 폴리에테르 디올로부터 제조한다. 이 디올을 메틸렌 비스(4-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MDI, 바이엘 아게)로 1:1.65의 몰비로 차폐하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C) 중 97:3의 중량비의 에틸렌디아민 (EDA)과 디에틸아민 (DEA)의 혼합물로 사슬연장한다. 예비중합체 중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의 양에 대한 사슬연장제와 사슬종결제의 양의 비는 1.075이다. 이렇게 얻어진 폴리우레탄 우레아 용액의 고형분 함량은 30 중량%이다.
이어서 첨가제의 원료 배합물을 중합체와 혼합한다. 이 원료 배합물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C) 62.7 중량%, 시아녹스 1790 (1,3,5-트리스(4-3차-부틸-3-히드록시-2,5-디메틸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시텍) 10.3 중량%, 30% 방사 용액 27.0 중량% 및 염료인 마크로렉스비올레트 (MAKROLEXVIOLETT, 등록상표) B (바이엘 아게) 0.001 중량%로 이루어진다. 이 원료 배합물을, 시아녹스 1790의 함량이 총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1.0 중량%가 되도록, 폴리우레탄 우레아 조성물에 첨가한다.
실시예 4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5.3 중량%
베이실론 오일 M3 (GE 바이엘 실리콘스, 점도는 3cSt (25℃)) 6.0 중량%
실웨트 L7607 (크롬프톤 스페셜리티스 게엠베하; 메틸-종결되고 분자량이 1000g/mol이고 점도가 50cSt (25℃)인 에톡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5.3 중량%
실시예 5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5.3 중량%
베이실론 오일 M5 (GE 바이엘 실리콘스, 점도는 5cSt (25℃)) 6.0 중량%
실웨트 L7607 (크롬프톤 스페셜리티스 게엠베하; 메틸-종결되고 분자량이 1000g/mol이고 점도가 50cSt (25℃)인 에톡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5.3 중량%
실시예 6 (비교용)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5.3 중량%
베이실론 오일 M100 (GE 바이엘 실리콘스, 점도는 100cSt (25℃)) 6.0 중량%
실웨트 L7607 (크롬프톤 스페셜리티스 게엠베하; 메틸-종결되고 분자량이 1000g/mol이고 점도가 50cSt (25℃)인 에톡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5.3 중량%
실시예 7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5.3 중량%
베이실론 오일 M5 (GE 바이엘 실리콘스, 점도는 5cSt (25℃)) 6.0 중량%
실웨트 L77 (크롬프톤 스페셜리티스 게엠베하; 메틸-종결되고 분자량이 600g/mol이고 점도가 20cSt (25℃)인 에톡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5.3 중량%
실시예 8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5.3 중량%
베이실론 오일 M5 (GE 바이엘 실리콘스, 점도는 5cSt (25℃)) 6.0 중량%
실웨트 L7608 (크롬프톤 스페셜리티스 게엠베하; 수소-종결되고 분자량이 600g/mol이고 점도가 35cSt (25℃)인 에톡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5.3 중량%
실시예 9 (비교용)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5.3 중량%
베이실론 오일 M100 (GE 바이엘 실리콘스, 점도는 100cSt (25℃)) 6.0 중량%
실웨트 L7608 (크롬프톤 스페셜리티스 게엠베하; 수소-종결되고 분자량이 600g/mol이고 점도가 35cSt (25℃)인 에톡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5.3 중량%
원료 배합물의 균질성의 비교:
실시예 번호 제조후 균질성 25℃*에서 24시간 동안 정치후 균질성 50*℃에서 24시간 동안 정치후 균질성
4 매우 양호 매우 양호 매우 양호
5 매우 양호 매우 양호 매우 양호
6 (비교용) 상 분리 상 분리 응집됨
7 매우 양호 매우 양호 매우 양호
8 매우 양호 매우 양호 매우 양호
9 (비교용) 상 분리 상 분리 응집됨
* 원료 배합물의 저장 온도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료 배합물의 균질성은 사용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점도에 따라 많이 달라진다. 베이실론 오일 M100같이 보다 고점도의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사용하면 상 분리가 일어나며 원료 배합물의 균질성은 없어진다. 이러한 원료 배합물의 경우,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제조용 폴리우레탄 우레아 조성물의 제조에서 통상적인 온도인 50℃의 저장 온도에서 심지어 응집체가 생성된다.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의 제조에 있어서, 응집체가 생성되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의 접착력 조절제로서의 효과가 감소되어, 방사 공정 동안 접착력이 변하고 필터의 유효수명도 단축된다. 따라서, 이러한 응집체로 인해서,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의 연속 제조 공정 동안 일정한 텍스타일 섬유 데이타 (접착력)를 달성할 수 없다. 이와 동시에 방사 공정의 생산성도 감소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면,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제조하는 동안 전체 방사 공정 내내 일정한 텍스타일 섬유 데이타가 달성되며 생산성이 증가한다.

Claims (25)

  1. 방사 전, 가공된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B) 점도가 2 내지 20 cSt (25℃)인 폴리디메틸실록산 0.1 내지 5 중량%, (C) 하기 화학식 1의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바람직하게는 수평균분자량이 30,000g/mol보다 크지 않고 점도가 10 내지 5000cSt (25℃)가 되도록 선택된 하기 화학식 1의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0.1 내지 5 중량%, (D) 포화 또는 불포화, 1작용성 또는 2작용성 C6-C30지방산의 금속염 (여기서, 금속은 원소주기율표의 제1, 제2 또는 제3 주족원소 중에서 선택된 금속 또는 아연임) 0.01 내지 3.0 중량%를 폴리우레탄 우레아 용액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우레아 방사 용액을 제조하고, 이 방사 용액을 방사구를 사용하여 방사하고, 이를 건조하거나 또는 침욕에 넣어서 방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방사구 아래에서 트레드 (thread)를 형성하고, 이 방사된 섬유를 가공하고 임의로 가연하고 권취함을 포함하는, 건식방사 공정 또는 습식방사 공정에 의한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PE는 1가 라디칼의 -CH2-CH2-CH2-O(eov/pow)mZ이고,
    eo는 에틸렌 옥사이드이고,
    po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이고,
    Z는 수소 또는 C1-C6-알킬 라디칼이고,
    v 및 w는 0 이상의 정수이지만, v와 w가 동시에 0은 아니고,
    x, y 및 m은 1 이상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공정이 건식방사 공정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양이 0.2 내지 3 중량%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양이 0.3 내지 2 중량%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양이 0.2 내지 3 중량%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양이 0.3 내지 2 중량%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의 양이 0.05 내지 2 중량%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의 양이 0.1 내지 1.5 중량%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방사 용액의 폴리우레탄 우레아 함량을 조절하여 폴리우레탄 우레아 99.7 내지 65 중량%를 함유하는 가공된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얻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폴리우레탄 99.5 내지 80 중량%를 함유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폴리우레탄 99 내지 85 중량%를 함유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B), (C) 및 (D)를, 가공된 섬유 중 폴리디메틸실록산 (B) 대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C)의 중량비가 2:1 내지 1:2이고 폴리디메틸실록산 (B) 대 지방산염 (D)의 중량비가 2:1 내지 1:2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방사 용액에 첨가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폴리디메틸실록산 (B),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C) 및 지방산염 (D)을 성분 (B), 성분 (C) 및 성분 (D)의 양의 합을 기준으로 방사 용매 중 10 내지 25 중량%의 원료 배합 용액 형태로 방사 용액에 첨가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가공된 방사 섬유의 데니어가 10 내지 1280dtex인 방법.
  15. (A) 폴리우레탄 우레아 중합체 99.7 내지 65 중량%, (B) 점도가 2 내지 20 cSt (25℃)인 폴리디메틸실록산 0.1 내지 5 중량%, (C) 하기 화학식 1의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바람직하게는 수평균분자량이 30,000g/mol보다 크지 않고 점도가 10 내지 5000cSt (25℃)가 되도록 선택된 하기 화학식 1의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0.1 내지 5 중량%, (D) 포화 또는 불포화, 1작용성 또는 2작용성 C6-C30지방산의 금속염 (여기서, 금속은 원소주기율표의 제1, 제2 또는 제3 주족원소 중에서 선택된 금속 또는 아연임) 0.01 내지 3 중량% 및 (E) 첨가제 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지방산염은 섬유에 미세하게 분산되거나 용해되는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PE는 1가 라디칼의 -CH2-CH2-CH2-O(eov/pow)mZ이고,
    eo는 에틸렌 옥사이드이고,
    po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이고,
    Z는 수소 또는 C1-C6-알킬 라디칼이고,
    v 및 w는 0 이상의 정수이지만, v와 w가 동시에 0은 아니고,
    x, y 및 m은 1 이상의 정수이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우레아 중합체의 양이 99.5 내지 80 중량%인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우레아 중합체의 양이 99 내지 85 중량%인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양이 0.2 내지 3 중량%인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양이 0.3 내지 2 중량%인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양이 0.2 내지 3 중량%인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양이 0.3 내지 2 중량%인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의 양이 0.05 내지 2 중량%인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의 양이 0.1 내지 1.5 중량%인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양이 0 내지 15 중량%인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25. 제15항의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포함하는 탄성 직물, 편직물 또는 양말 (hosiery).
KR1020030091044A 2002-12-16 2003-12-15 폴리디메틸실록산과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과지방산염의 혼합물을 방사 용액에 혼입함으로써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KR200400555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58587A DE10258587A1 (de) 2002-12-16 2002-12-16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harnstofffasern durch Einspinnen einer Kombination aus Polydimethylsiloxan, alkoxyliertem Polydimethylsiloxan und Fettsäuresalz
DE10258587.3 2002-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597A true KR20040055597A (ko) 2004-06-26

Family

ID=3233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044A KR20040055597A (ko) 2002-12-16 2003-12-15 폴리디메틸실록산과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과지방산염의 혼합물을 방사 용액에 혼입함으로써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40150134A1 (ko)
EP (1) EP1431429A1 (ko)
JP (1) JP2004204422A (ko)
KR (1) KR20040055597A (ko)
CN (1) CN1521289A (ko)
CA (1) CA2453184A1 (ko)
DE (1) DE10258587A1 (ko)
MX (1) MXPA03011345A (ko)
SG (1) SG114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1727A1 (fr) * 2004-06-18 2005-12-23 Arkema Sa Structure multicouche ayant une couche a base de polyamide et de pehd
DE102007016291A1 (de) 2007-04-04 2008-10-09 Wacker Chemie Ag Organopolysiloxanhaltige Faser
CN101704935B (zh) * 2009-11-13 2011-08-10 杭州益邦氨纶有限公司 一种聚合釜清洗的方法
CN103409846B (zh) * 2013-08-26 2015-03-18 浙江华峰氨纶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废弃聚氨酯脲溶液生产消光氨纶丝的方法
DE202014003285U1 (de) * 2014-04-16 2015-04-20 Nextrusion Gmbh Ballspielschlägersaite mit funktioneller Oberfläche für verbesserte Spieleigenschaften
US10729938B2 (en) 2017-09-21 2020-08-04 Acushnet Company Gold balls having covers made with thermoplastic polyurethane and polydimethylsiloxane blend compositions
CN110318106A (zh) * 2019-06-24 2019-10-11 郑州中远氨纶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高回弹粗旦氨纶及其制备方法
CN111118644B (zh) * 2019-12-24 2022-09-06 广州市中诚新型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多功能腈纶纤维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9804A (en) * 1955-01-31 1960-03-22 Du Pont Elastic filaments of linear segmented polymers
DE1183196B (de) * 1958-01-09 1964-12-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ilmington, Del. (V. St. A.) Verfahren zur Herstellung kautschukelastischer Textilfaden
US3296063A (en) * 1963-11-12 1967-01-03 Du Pont Synthetic elastomeric lubricated filament
US3428711A (en) * 1966-02-01 1969-02-18 Du Pont Hindered polymeric tertiary amines as stabilizers for polyurethanes
US3553290A (en) * 1968-04-10 1971-01-05 Du Pont Spandex fibers stabilized with condensates of substituted phenols and divinyl benzenes
DE3912510A1 (de) * 1989-04-17 1990-10-18 Bayer Ag Verspinnung von segmentierten polyurethanharnstoff-elastomeren in dampfatmosphaere
US5027260A (en) * 1989-09-06 1991-06-25 Whelen Technologies, Inc. Vehicular lightbar assembly
DE4330725A1 (de) * 1993-09-10 1995-03-16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astanfasern durch Einspinnen einer Kombination von PDMS und ethoxyliertem PDMS
US5723080A (en) * 1995-07-27 1998-03-03 Bayer Faser Gmbh Process for producing splittable elastane yarns
JPH10310979A (ja) * 1997-05-08 1998-11-24 Matsumoto Yushi Seiyaku Co Ltd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用改質剤
US6285671B1 (en) * 1999-04-22 2001-09-04 Ameritech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acsimile service over a digital subscriber 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04422A (ja) 2004-07-22
EP1431429A1 (de) 2004-06-23
DE10258587A1 (de) 2004-06-24
CA2453184A1 (en) 2004-06-16
SG114643A1 (en) 2005-09-28
CN1521289A (zh) 2004-08-18
US20040150134A1 (en) 2004-08-05
MXPA03011345A (es) 200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3064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混用織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DE60024801T2 (de) Polyurethanharnstofffaser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5168401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09449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及び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の製造方法
KR20040055597A (ko) 폴리디메틸실록산과 알콕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과지방산염의 혼합물을 방사 용액에 혼입함으로써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DE19805130A1 (de) Antistatisch ausgerüstete Polyurethane und Elastan-Fasern
CA2131581C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lastane fibers by inclusion of a combination of pdms and ethoxylated pdms in the spinning solution
KR100660491B1 (ko) 내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우레아 섬유
JP6063210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及びその繊維製品
JPH11229277A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及びその弾性布帛
JP4839455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5056448A1 (de) Polyurethanharnstofffasern, ei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Gewirken, Gestricken oder Geweben
KR100561155B1 (ko) 폴리우레탄 우레아,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US6403712B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pandex and the spandex made thereby
JP7281325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これを用いた繊維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1025294B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pandex and the spandex made thereby
JP5141975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PA02005342A (es) Composicion de una fibra elastica que puede resistir agua que contiene cloro.
KR20230093318A (ko) 용융-방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섬유를 포함하는 염색 가능한 패브릭
KR20230093319A (ko) 용융-방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섬유
JP2023548458A (ja) リサイクル可能な布地から物品を作製する方法
DE102004003997A1 (de) Spinngefärbte Polyurethanharnstofffas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