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155B1 - 폴리우레탄 우레아,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우레아,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155B1
KR100561155B1 KR1020007013586A KR20007013586A KR100561155B1 KR 100561155 B1 KR100561155 B1 KR 100561155B1 KR 1020007013586 A KR1020007013586 A KR 1020007013586A KR 20007013586 A KR20007013586 A KR 20007013586A KR 100561155 B1 KR100561155 B1 KR 100561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ning
diisocyanate
elastane
melt
singl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2482A (ko
Inventor
우베 쯔베링
안드레아스 엔데스펠더
하인쯔 푸들라이너
지그프리트 코르테
토마스 그로스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1005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3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 C08G18/423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54Polyethers containing oxyalkylene groups having four carbon atoms in the alkylene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우레아의 제조 방법, 신규 폴리우레탄 우레아, 엘라스탄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으로 수득되는 엘라스탄 섬유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우레아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 디올,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아민 및 임의로는 2급 지방족 아민으로 제조된다. 엘라스탄 섬유는 양호한 내광견뢰도와 함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폴리우레탄 우레아,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내광견뢰도

Description

폴리우레탄 우레아,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및 그의 제조 방법 {Polyurethane Ureas, Polyurethane Urea Fibr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우레아의 제조 방법, 신규 폴리우레탄우레아, 폴리우레탄우레아 엘라스탄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으로 수득되는 엘라스탄 섬유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우레아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 디올,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아민 및 임의로는 2급 지방족 아민을 기재로 한다. 엘라스탄 섬유는 양호한 내광견뢰도와 함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엘라스탄은 단편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우레아) 85 중량% 이상으로 구성된 모노- 또는 다중필라멘트 연속 단사 (yarn)이다. 섬유-형성 중합체는 단편 구조, 즉 "결정" 및 "무정형" 블록 ("경질 단편" 및 "연질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질 단편은 그의 결정성 때문에 망상조직의 고정점으로서 기능하므로,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또는 섬유의 강도를 결정한다. 이에 반해, 유리 전이 온도가 사용 온도보다 낮아야 하는 연질 단편은 엘라스탄의 탄성을 결정한다.
이러한 엘라스탄은 장쇄 디히드록시 화합물 (마크로디올)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쇄연장제인 저분자량의 디히드록시 또는 디아미노 화합물과 중부가하여 통상적으로 제조한다. (스판덱스로도 알려진) 고급 엘라스탄 필라멘트는 디아민과의 쇄연장에 의해 수득된 폴리(우레탄우레아)를 사용하여 제조되므로, 디올-연장된 폴리(우레탄)과 비교하면, (중합체 쇄 사이의 수소 결합의 수가 더 많으므로) 고도의 경질-단편 융점을 갖는 한편, 우수한 기계적-탄성 성질들을 갖는다. 엘라스탄 섬유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같은 고도로 극성인 용매 중 이러한 단편 폴리(우레탄우레아)의 방사 용액에 의해 소위 건식 방사 공정 또는 습식 방사 공정, 또는 별법으로 방사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용융물로부터 방사되어 통상적으로 제조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라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특히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DI]), 중합체 디올 및 디아민과 모노아민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엘라스탄이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광선, 특히 UV 광선에 노출되면, 또한 염소 또는 질소 산화물과 접촉되면 황변되고 기계적 특성을 잃는다는 심각한 단점을 지닌다. 이러한 이유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통상적으로 시판되는 엘라스탄에 시간 및 질에 있어 한정된 유용성을 갖고 또한 엘라스탄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는 광 및 염소 안정화제를 첨가하였다.
독일특허 제2858773 C2호에는 평균 분자량 800 내지 4000의 마크로디올, 트랜스 이성질체 함량이 95 % 이상인 1,4-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쇄연장제인 히드라진을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된 폴리우레탄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기재된 방법으로 수득된 섬유는 엘라스탄에 대해 만족스럽지 못한 특성, 특히 불충분한 기계적 특성, 예를 들어 불량한 강력을 갖는다. 또한, 쇄연장은 독물학적으로 문제가 되는 히드라진을 사용하여 달성한다. 수득된 방사 용액은 15 중량%의 비교적 낮은 고체 함량을 갖는데, 이는 방사 용매의 제거 및 회수가 매우 고가이므로, 경제적 및 생태학적으로 단점이 된다.
OPI 문헌 독일특허공개 제1 955 725호에는 주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와 같은) 말단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이관능성 저분자량 중합체,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아민으로부터 형성된 탄성 블록 폴리우레탄이 기재되어 있다. 사용된 디이소시아네이트는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4,4'-이소프로필리덴비스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1,4-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그러나, 상기 블록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수득된 엘라트탄은 만족스럽지 못한 기계적 특성 (특히, 저강력)을 갖는데, 이는 십중팔구 수득된 중합체의 과도한 저분자량을 야기한다. 또한, 엘라스토머는 트랜스,트랜스-농축된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제조되는데, 이의 제조에는 매우 비용이 많이 든다.
영국특허 제1 110 868호에는 각각 4,4'-알킬리덴비스시클로헥실기를 포함하는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또한 디아민을 사용하여 수득된 탄성 폴리우레탄 섬유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물질의 기계적 특성 (특히 강력)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더욱이, 사용된 방사 용액은 비교적 낮은 고체 함량 (26 중량% 이하)를 갖는데, 이는 건식 방사 공정이 비경제적이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순수한 지방족 물질 기재의 엘라스탄 물질은 물리화학적 또는 공정에 근거한 단점 때문에 산업 실용성면에서 확증되는데에는 성공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언급할 수 있다 (문헌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y Chemistry, A 10, p. 611 (1987)]과 비교). 지금까지는, 특히 경질 단편으로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연질 단편으로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엘라스탄 섬유의 합성에 방사 점도 개질제로서 1,6-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만을 첨가해야만, 임의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게 되었다 (미국특허 제3,377,308호와 비교).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고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광선의 작용하에 양호한 노화 안정성을 나타내고, 더욱이 양호한 염소 안정성 및 또한 기체에 대해 내변색성을 나타내는, 기계적 특성이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엘라스탄과 동일한 엘라스탄 섬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찬가지로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고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광선의 작용하에 양호한 노화 안정성을 나타내고, 더욱이 양호한 염소 안정성 및 또한 기체에 대해 내변색성을 나타내는, 기계적 특성이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엘라스탄과 동일한 엘라스탄 물질을 기재로 하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목적은 수득된 탄성 섬유의 일부에 대한 저잔류 신장가와 함께 400 % 이상의 고신장능 및 0.9 cN/dtex의 강력 및 170 ℃ 이상의 HDT (가열 변형 온도)가를 특징으로 하는 엘라스탄 섬유, 또는 엘라스탄 섬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방법을 고안 및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자들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결정되고 폴리스티렌 표준과 비교 한) 중량평균 분자량이 특히 50,000 내지 400,000이고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특성의 조합을 나타내는 엘라스탄을 제조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우레아를 제공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다단계 방법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놀랍게도, 특히 양호한 기계적 특성 및 매우 양호한 열 안정성을 갖는 엘라스탄 섬유는 예비중합체 제조에서 먼저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일부만을 중합체 디올과 반응시키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나머지를 쇄연장 단계 직전에 첨가하는 단계적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사 용액을 제조하는 경우 수득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특히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상기 기재된 바람직한 특성의 조합을 나타내는 엘라스탄 섬유를 수득하기 위한 기재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화학식 HO-Q-OH
{여기서, Q는 -[(CH2)nO]m- 또는 -[(CH2)pCH(CH 3)CH2O]o- (여기서, n은 2 내지 10 의 수이고, m은 1 내지 150의 수이고, o는 1 내지 150의 수이고, p는 0 내지 2의 수임)의 기,
아디프산, 세바스산, 숙신산 또는 도데칸디오산 또는 상기 산들의 혼합물을 기재로 하고 화학식 HO-A-OH {여기서, A는 -[(CH2)r(CR1R2 )q(CH2)s]- (여기서, r은 1 내지 5의 수이고, q는 0 또는 1의 수이고, s는 0 내지 5의 수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임)의 기임}의 디올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되, 단 상기 디올의 혼합물 뿐만 아니라 1개의 디올도 사용가능한, 폴리에스테르기,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500 내지 5000인 폴리카프롤락톤기, 또는
폴리(펜탄-1,5-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헥산-1,6-카르보네이트)기와 같은,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500 내지 5000인 폴리카르보네이트기임}의 중합체 디올, 또는
이러한 중합체 디올 A)의 혼합물, 및 또한
B) 지방족 또는 지환족, 특히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1,6-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1,4-부탄 디이소시아네이트 (BDI), 1,4-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CDI),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H12M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TMXDI) 또는 디메릴 디이소시아네이트 (DDI) 또는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을 혼합한 후,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3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40 ℃ 내지 80 ℃로, 용융물 상태의 반응인 경우 60 ℃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80 ℃ 내지 150 ℃로 0.5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시간으로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NCO:OH비가 1.3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3인,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c) 또는 N-메틸피롤리딘 (NMP) 또는 다른 이극성 비양성자성 용매과 같은 용매 중의 용액 상태 또는 용융물 상태의 예비중합체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글리콜"로도 칭함)을 제조하는 제1 단계;
0 ℃ 내지 100 ℃의 온도에서 추가 디이소시아네이트 B)를 반응 혼합물 [A) 및 B)의 제1 단계로부터의 예비중합체]에 혼합하여 성분 A 및 B의 NCO:OH비가 1.7 내지 6.0이 되도록 하는 제2 단계; 및
C) 에틸렌디아민, 1,2-프로필렌디아민, 1,3-프로필렌디아민, 1,4-디아미노부탄, 1,5-디아미노펜탄, 1,3-디아미노시클로헥산, 디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디아민 또는 상기 디아민 및 디에틸렌트리아민과 같은 트리아민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 특히 지환족 디아민, 및 임의로는,
D) 디에틸아민, 에탄올아민, 디-n-부틸아민 또는 시클로헥실아민, 특히 디에틸아민, 에탄올아민, 디-n-부틸아민과 같은 1급 또는 2급,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아민을 사용하는데, 아미노기를 기준으로 한 디아민 대 아민의 몰비가 100:0 내지 100:20, 바람직하게는 100:10이고, 0 내지 25 %,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 %의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단위를 기준으로 한 아민 몰 과량으로 사용하여,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c) 또는 N-메틸피롤리딘 (NMP)와 같은 용매 또는 다른 이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의 존재하 -2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80 ℃의 온도에서, 또는 용융물로서는 10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뱃치식으로 또는 신중히 혼합하면서 연속적으로 쇄연장 반응시키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용액 또는 용융물 상태의 예비중합체를 제조한 후 용액 또는 용융물 상태에서 예비중합체를 쇄연장하는 폴리우레탄우레아의 다단계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중합체 디올 A)가 화학식 HO-Q-OH {여기서, Q는 -[(CH2)nO]m- (여기서, n은 4이고, m은 10 내지 70의 수임)의 기임}의 구조인 방법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디올 A)가 화학식 HO-Q-OH [여기서, Q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숙신산 또는 도데카디오산을 기재로 하고 화학식 HO-A-OH {여기서, A는 -[(CH2)r(CR1R2)q(CH2)s]- (여기서, r은 1 내지 5의 수이고, q는 0 또는 1의 수이고, s는 0 내지 5의 수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임)의 기임}의 디올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기임]의 구조인 것인 방법도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중합체 디올은 임의의 바람직한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B)는 특히 1,4-부탄 디이소시아네이트 (BDI),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H12M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또한, 추가 디이소시아네이트 B)를 제2 단계에서의 반응 혼합물과 혼합 및 반응시키는 것을 20 내지 80 ℃의 온도에서 수행하여, NCO:OH비가 1.7 내지 5.0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제3 단계에서의 쇄연장은 특히 이소시아네이트 구조 대 아민의 제레피티노프 (Zerevitinov)-활성 수소 원자의 몰비가 1.25:1 내지 1:1.25가 되도록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화학식 HO-Q-OH
{여기서, Q는 -[(CH2)nO]m- 또는 -[(CH2)pCH(CH 3)CH2O]o- (여기서, n은 2 내지 10 의 수이고, m은 1 내지 150의 수이고, o는 1 내지 150의 수이고, p는 0 내지 2의 수임)의 기,
아디프산, 세바스산, 숙신산 또는 도데칸디오산을 기재로 하고 화학식 HO-A-OH {여기서, A는 -[(CH2)r(CR1R2)q(CH2 )s]- (여기서, r은 1 내지 5의 수이고, q는 0 또는 1의 수이고, s는 0 내지 5의 수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임)의 기임}의 디올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되, 상기 디올의 혼합물 뿐만 아니라 1개의 디올도 사용가능한, 폴리에스테르기,
폴리카프롤락톤기, 또는 폴리(펜탄-1,5-카르보네이트)디올 또는 폴리(헥산-1,6-카르보네이트)디올기와 같은 폴리카르보네이트기임}의 중합체 디올, 또는
이러한 중합체 디올 A)의 혼합물, 및 또한
B)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C) 에틸렌디아민, 1,2-프로필렌디아민, 1,3-프로필렌디아민, 1,4-디아미노부탄, 1,5-디아미노펜탄, 1,3-디아미노시클로헥산, 디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디아민 또는 상기 디아민 및 디에틸렌트리아민과 같은 트리아민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아민을 기재로 하고, 임의로는,
D) 디에틸아민, 에탄올아민, 디-n-부틸아민 또는 시클로헥실아민과 같은 1급 또는 2급,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아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우레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득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우레아 함유 방사 용액을 방사구를 통해 침니로 방사하고, 용매는 침니 온도 150 ℃ 내지 350 ℃, 바람직하게는 180 ℃ 내지 250 ℃의 온도, 방사 기체 온도 150 ℃ 내지 380 ℃, 바람직하게는 220 ℃ 내지 360 ℃에서 제거하고, 고형화된 단사를 꺼내고, 임의로는 연신하고, 임의로는 세팅, 방사 피니시 및 실패에 권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방사 공정으로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을 방사하는 엘라스탄 섬유, 필라멘트 또는 단사 (이후 간단하게 엘라스탄 단사라 칭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되는 방사 용액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우레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방사 공정으로 응집을 통해 섬유를 형성하는 응집욕으로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을 방사하고, 응집욕 중의 용매를 제거하고, 단사 생성물을 바람직하게는 물로 세척하고, 단사를 건조하고, 임의로는 연신하고, 임의로는 세팅, 방사 피니시하고 실패에 감아서 엘라스탄 섬유, 필라멘트 또는 단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습식 방사 또는 건식 방사로 방사 용액을 방사하기 전에,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은 그에 임의로 및 추가로 대전방지제, 예를 들어 유기산의 염 또는 4급 암모늄 염, 윤활제, 예를 들어 장쇄 카르복실산, 특히 올레산, 스테아르산 및 팔미트산의 금속 염, 특히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염료, 안료, 예를 들어 TiO2, 안정화제 또는 염색 보조제와 같은 첨가제가 첨가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융물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고, 중합체 용융물이 제조된 후 바로 방사되고, 수득된 엘라스탄 섬유가 냉각, 임의로는 연신, 방사 피니시 및 권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중합체 공정으로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융물을 제조하고, 수득된 중합체 용융물을 방사하는 엘라스탄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별도의 용융 방사 방법을 제공한다.
엘라스탄 섬유를 제조하는 바람직한 용융 방사 방법에서, 수득된 중합체 용융물을 쇄연장 후 바로 방사하는 대신 우선 냉각하고, 과립화하고, 수득된 중합체 과립을 용융시키고, 엘라스탄 단사로 용융 방사한다.
단사는 특히 180 ℃ 내지 270 ℃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90 내지 250 ℃의 젯 온도에서 용융 방사된다. 수득된 필라멘트는 예를 들어 공기로 켄칭하여 냉각한다. 단사의 권취 속도는 특히 100 m/분 내지 1000 m/분, 바람직하게는 200 m/분 내지 800 m/분 범위 내의 그의 섬도 (선밀도)에 의존한다.
윤활제 및 안정화제를 혼합한 후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융물을 추가 중간 단계 없이 180 내지 250 ℃의 온도 및 200 내지 1000 m/분의 속도에서 다중 말단 형태로 방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필라멘트를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즉 중간 레이다운 없이 연신한다. 20 내지 50 ℃의 온도에서 1.0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5의 연신비로 냉각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필라멘트를 완화 대역으로 통과시 켜, 엘라스탄에 대해 통상적인 방사 피니시를 완료하고, 200 내지 1200 m/분,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1000 m/분의 속도로 권사한다.
본 발명의 방사 방법으로 모노 및 다중필라멘트 형태의 탄성 단사를 제조할 수 있다. 용융 방사를 사용하여 모노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습식 및 건식 방사를 사용하여 다중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용융 방사 공정으로 수득된 권사된 단사를 임의로 50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96 시간, 바람직하게는 16 시간 내지 48 시간 동안 열적 후처리 (단련)한다.
상기 단련은 진공하 뿐만 아니라 공기 또는 불활성 기체 중에서 수행할 수 있고, 공기 중 단련이 바람직하다.
단련 강력은 단사의 기초 화학 및 물리적 구조, 및 그의 섬도 (선밀도)에 의존한다. 단련 조건은 이러한 처리 후, 추가 가공에서 적합한 비권사 특성이 있는 포장이 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탄성 단사는 본 발명의 주제의 일부를 형성하고, 400 % 이하, 특히 400 내지 650 %의 고극한 인장 응력 신장과 동시에 35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의 저잔류 신장성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엘라스탄의 통상적인 힘/신장 및 이력현상 특성이 관찰된다. 바람직한 섬유의 경우 주로 0.9 cN/dtex가 넘는 강력이 수득된다. 저데니어의 단사를 제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바람직한 엘라스탄 단사의 선밀도는 17 내지 80 dtex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엘라스탄 섬유는 165 ℃가 넘 는 HDT (열 변형 온도)가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열적 응력 및 플라스틱 흐름 하에서 고안정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임의의 방법에 따라 수득할 수 있는 엘라스탄 단사를 제공한다.
탄성 필라멘트는 예를 들어 경 편성, 원형 편성 및 횡 편성 방법을 사용하여 방직물로 가공되는, 단독으로서 또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양모, 면,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다른 필라멘트와의 합사로서 매우 유용하다. 양말용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탄성 단사는 특히 그의 고 열안정성 때문에 특정의 열 고정성이 요구되는 분야의 용품, 예를 들어 속옷, 코르셋, 스포츠웨어, 겉옷 및 커버 직물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사, 특히 다른 합성 및 비합성 단사 섬유 또는 필라멘트와의 합사를 제조하기 위한, 및 연속적 과정 형성 니트, 직조 또는 동시적 과정 형성 니트와 같은 방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라스탄 단사의 용도를 제공한다.
<실시예 1>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히드록시가 56.0) 2395 g을 130 ℃에서 1시간 동안 탈장시켰다. 충분량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1.85:1의 NCO:OH비로 첨가하였다. 13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충분량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50 ℃에서 2.85:1의 총 NCO:OH비로 첨가하였다.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350 g을 첨가한 후, 상기의 80 % 용액을 이소포론디아민 304 g 및 디-n-부틸아민 1.16 g의 혼합물과 (5.2 % 농도의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으로서) 혼합하여, 점도가 약 80.0 Pas인 안정한 방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히드록실가 56.0) 47,000 g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비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혼합기 중에서, 1분 당 예비 중합체 3부를 디메틸아세트아미드 4.5 부로 희석하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의 14 % 농도 용액으로 용해된 이소포론디아민 34.92 g 및 디-n-부틸아민 0.135 g으로 구성된 용액 2.5 부를 연속 계량주입하여, 점도가 약 76.0 Pas인 안정한 방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히드록실가 56.0의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히드록실가 39.3의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의 상응하는 양으로 대체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비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디메틸아세트아미드-희석된 예비중합체 용액 75.5 중량%를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 이소포론디아민 256.3 g, 디-n-부틸아민 0.98 g 및 CO2 151 g의 6.8 % 농도 현탁액에 붓고, 점도가 더 증가되지 않을 때까지 교반하였다. 점도가 약 87.3 Pas인 안정한 방사 용액이 제조되었다.
<실시예 4>
히드록실가 56.0의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아디프산, 1,6-헥산디올, 1,4-부탄디올 및 네오펜틸 글리콜로부터 제조된 히드록실가 33.9의 폴리에스테르의 상응하는 양으로 대체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비중합체를 합성하였다. NCO:OH비는 2.2:1이었다. 반응 시간은 105 분이었다. 그 다음, 충분량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50 ℃에서 3.2:1의 총 NCO:OH비로 첨가하였다.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452 g과의 예비중합체의 75.4 중량% 희석 용액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 이소포론디아민 258.5 g, 디-n-부틸아민 0.49 g 및 CO2 137 g의 6.75 % 농도 현탁액으로 붓고, 점도가 더 증가되지 않을 때까지 교반하였다. 점도가 약 77.0 Pa인 안정한 방사 용액이 제조되었다.
<실시예 5>
사용된 마크로디올이 아디프산, 1,6-헥산디올, 1,4-부탄디올 및 네오펜틸 글리콜로부터 제조된 히드록실가 33.9의 폴리에스테르 및 히드록실가 56.0의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의 7:3 혼합물인 것 외에는 실시예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비중합체를 합성하였다. NCO:OH비는 2.2:1이었다. 반응 시간은 180분이었다. 그 다음, 충분량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50 ℃에서 3.2:1의 총 NCO:OH비로 첨가하였다.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642 g로 희석된 예비중합체의 66.7 % 희석 용액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 이소포론디아민 289.8 g, 디-n-부틸아민 0.55 g 및 CO2 153 g의 7.40 % 농도 현탁액에 붓고, 점도가 더 증가되지 않을 때까지 교반하였다. 점도가 약 76.0 Pas인 안정한 방사 용액이 제조되었다.
<비교예 1>
4,4'-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대신 사용된다는 것 외에는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예비중합체를 합성하였다. NCO:OH비는 1.65:1이었다. 반응 시간은 80 ℃에서 4시간이었다. 에틸렌디아민으로 쇄연장하여 점도 약 100 Pas의 방사 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2>
아디프산, 1,6-헥산디올 및 네오펜틸 글리콜을 기재로 하여 제조된 히드록실가 56의 폴리에스테르를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대신 사용한다는 것 외에 비교예 1에서와 같이 예비중합체를 합성하였다. 에틸렌디아민으로 쇄연장하여 점도 80.0 Pas의 안정한 방사 용액을 얻었다.
사용된 시험 방법을 하기에 설명한다.
-DIN 54004에 따라 광선에 노출함.
-DIN 54025에 따라 NOx와 접촉시킴.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방사 용액을 사용하여 건식 방사 장치 중에서 방사 시험을 하였다. 건식 방사 침니의 총 길이는 5300 m, 직경은 270 ㎜이었다. 권취 장치는 장력 모드 및 완화 모드 모두로 작동될 수 있는 2개의 분리된 고뎃을 갖는 IWKA로부터의 권사기로 구성되어 있었다. 실제적인 권사 장치는 1200 m/분 이하의 속도로 조종할 수 있었다. 건식 방사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모노 및 다중필라멘트의 다수 말단 방사가 가능하였다.
엘라스탄 섬유의 건식 방사 제조 조건은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재연하였다.
방사 조건의 개략표
온도 [℃] 속도 [m/분]
실시예 번호 침니 방사 기체 고뎃 1 고뎃 1 권취 장치
1 250 350 670 780 800
2 250 350 670 780 800
3 250 350 670 780 800
4 250 350 670 780 800
5 250 350 670 780 800
C1 230 270 670 780 800
C2 210 250 370 410 420
IWKA로부터의 권사기, S200 VE형 침니 길이: 5.3 m; 기체 주입량: 30 ㎡/h
이렇게 수득된 필라멘트를 관찰하고, 그의 기계적 및 열적 특성에 대해 특징화하였다. 여기에는 특히 DIN 53834 1부에 따른 강력 및 극한 인장 응력 신장 (UTSE)의 측정이 포함된다. 이를 위해, 상기 조건 상태에서 엘라스탄 필라멘트 단사에 대해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제조된 시험편을 측정 헤드의 훅 둘레 및 100 ㎜ 래핑 클램프 둘레의 루프에 0.001 cN/dtex의 예비인장력을 사용하여 배치하였다. 총 클램프 길이는 200 ㎜이었다. 알루미늄 호일의 작은 단편을 표지로서 광 차단층의 정확한 수준에 부착시켰다. 캐리지는 400 %/분의 신장율 (800 ㎜ 권사)로 이동하여, 단사를 파단시키고, 측정 후 그의 원 위치로 되돌아왔다. 샘플 1개당 20 회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열기계적 분석기 (TMA)를 사용하여 열 변형 온도 (HDT)를 측정하였다. 여기에는 온도를 20 ℃/분으로 연속 상승시키는 동안, 약간 예비인장된 (0.2 ㎎/dtex) 엘라스토머 단사 (100 ㎜)의 연장 특성이 포함된다. 특정 온도 (HDT) 이상에서, 단사는 온도의 다른 추가 상승 없이도 연장된다. HDT는 상응하는 곡선에 대해 45。 탄젠트로 배치하여 측정한다. 수득되는 HDT가 높아질수록, 경질 단편의 상응하는 상호작용은 더 커진다. 표 2에는 측정된 필라멘트 특성을 나타내었다.
단사 데이터의 개략적인 비교
실시예 번호 선밀도 (dtex) 강력 (cN/dtex) UTSE (%) HDT (℃)
1 44.9 1.01 432 183
2 44.5 0.99 428 185
3 47.0 1.01 579 169
4 47.2 0.91 435 184
5 46.8 0.96 424 181
C1 45.9 0.81 516 187
C2* 49.6 1.18 461 171
UTSE: 극한 인장 강도 신장; HDT: 열 변형 온도 섬유는 800 m/분의 귄취 속도에서 수득되었다. *섬유는 420 m/분의 귄취 속도에서 수득되었다.
건식 방사 방법으로 평균 선밀도가 45 dtex인 다중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특히 비교적 고분자량 (M=2900)인 폴리에테르를 사용하면 매우 양호한, 몇몇 경우 동일한 조건하에 제조된 (4,4'-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분자량 M= 2000인 폴리에테르로 구성된) 표준 시스템(C1)의 것보다 훨씬 더 우수한 기계적 피라멘트 특성이 제공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표준 시스템의 열적 데이터는 특히 분자량 M= 2000의 폴리에테르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방법은 종래의 시스템과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몇몇의 경우 훨씬 더 우수한 필라멘트 특성을 갖는 모든 지방족 구성단위, 폴리우레탄우레아 엘라스탄을 기재로 하는 간단한 합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수득된 섬유 물질을 광선 및 공기 함유물 (특히 NOx)에 대한 그의 견뢰도, 및 그의 백색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시험은 ISO 105-B02 (내광 견뢰도), ISO 105-G01 (내NOx 견뢰도) 및 데이터컬러 (Datacolor) 3890 (백색도)에 따라 수행 하였다. 최종적으로, 섬유 물질을 양말 편물로 가공하고, 비처리된 원료로서 또는 산성 또는 알칼리성 표백 후에 상대적인 견뢰도 및 백색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표 3에 표백 방법에서의 표백제 조성을 상술하였다.
엘라스탄 섬유 샘플에 대한 표백 방법
산화/ 알칼리성 환원/ 산성 섬유 첨가
산화/알칼리성 환원/산성
디아다빈 (Diadavin) NSE 200 % 0.5 ㎖/ℓ 엘라스탄 20 %
H2O2 (35 % 농도) 6.0 ㎖/ℓ 30 g
워터글래스 (Waterglass) 2.0 ㎖/ℓ
MgSO4 0.2 g/ℓ 면 80 %
블랭코포어 (Blankophor) BA 용액 1.0 % 120 g
NaOH pH 11
디아다빈 NSE 200 % 0.5 ㎖/ℓ 엘라스탄 20 %
블랭킷 (Blankit) CP 3.0 g/ℓ 30 g
블랭코포어 CA 42067 1.8 % 폴리아미드 80 %
아세트산/아세트산 나트륨 pH 5 120 g
방법: 실온에서 혼합하고, 90 ℃로 30 분 동안 상승시키고, 90 ℃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하고, 냉각하고, 세정하고, 공기-건조함
표 4 및 5는 처리된 엘라스탄 물질의 견뢰도 및 백색도 수준을 제공한다.
내광 및 내NO 견뢰도의 개략 비교
샘플 번호 원료 산화/알칼리성 표백 후 환원/산성 표백 후
광선 1xNOx 3xNOx 광선 1xNOx 3xNOx 광선 1xNOx 3xNOx
1a 5 3 2-3 5-6 2-3 2-3 5 3 2-3
1b 5-6 2-3 2-3 5-6 3-4 3 5 4-5 3-4
5a 5-6 3 2-3 5-6 2-3 1-2 5-6 2-3 2
5b 5-6 2-3 2 5 2-3 2 4 3 2-3
C1 3 2-3 2 2-3 2 1 2 1-2 1
C2 5 3 2-3 4 2 1-2 4 1-2 1
1a 및 5a에는 안정화제가 없음; 1b, 5b, C1 및 C2에는 안정화제로서 (총 고체를 기준으로) 1중량%의 시아녹스 (Cyanox) 1790이 있음
보고된 숫자는 1(불량) 내지 6 (매우 양호)에 이르는 등급으로 색의 가시적 인 평가 등급을 나타낸 것이다.
데이터칼라 3890 버거 (Berger) 백색도 데이터의 개략적인 비교
샘플 번호 원료 산화/알칼리성 표백 후 환원/산성 표백 후
비처리 광선 3xNOx 비처리 광선 3xNOx 비처리 광선 3xNOx
1a 82.1 56.4 60.8 67.2 54.2 48.4 95.3 67.8 70.6
1b 74.2 56.7 54.9 62.3 50.4 49.2 86.9 62.2 78.4
5a 85.0 74.3 62.3 72.8 54.4 40.9 114.9 101.6 85.4
5b 74.8 60.6 44.9 68.6 42.1 43.7 111.5 72.3 85.6
C1 83.4 63.7 58.0 81.3 43.9 38.5 86.5 45.6 -17.6
C2 62.7 17.3 29.1 59.2 0.7 4.6 77.7 1.9 16.1
1a 및 5a에는 안정화제가 없음; 1b, 5b, C1 및 C2에는 안정화제로서 (총 고체를 기준으로) 1중량%의 시아녹스 1790이 있음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고 시험된 모든 지방족 물질은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비교 시스템보다 광선 또는 NOx 기체로 처리한 후 그의 견뢰도 및 또한 그의 백색도에 있어 상당히 더 안정하다는 것이 명백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표백 처리, 특히 환원/산성 표백을 수행한 후 표 4 및 5의 데이터과 비교할 때 특히 명백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엘라스탄 물질은 상대적인 예비처리 (표백)과 상관없이 광선 및 공기 함유물 시험에서 유사한 수치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이러한 필라멘트 물질의 우수한 안정성은 예를 들어 시아녹스 1790과 같은 안정화제의 첨가 없이도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이 특히 주목된다.
따라서, 모든 지방족 구성단위를 기재로 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엘라스탄 물질은 종래의 방향족 엘라스탄 시스템에 비해 양호 내지는 매우 양호한 단사 특성 뿐만 아니라 오염 기체 및 광선에 대해 상승된 내성을 갖게 됨으로써, 이러한 물질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는다는 것이 주목된다.

Claims (14)

  1. A) 화학식 HO-Q-OH
    {여기서, Q는 -[(CH2)nO]m- 또는 -[(CH2)pCH(CH3)CH2O]o- (여기서, n은 2 내지 10 의 수이고, m은 1 내지 150의 수이고, o는 1 내지 150의 수이고, p는 0 내지 2의 수임)의 기,
    아디프산, 세바스산, 숙신산 또는 도데칸디오산 또는 상기 산들의 혼합물을 기재로 하고 화학식 HO-A-OH {여기서, A는 -[(CH2)r(CR1R2)q(CH2)s]- (여기서, r은 1 내지 5의 수이고, q는 0 또는 1의 수이고, s는 0 내지 5의 수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임)의 기임}의 디올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되, 단 상기 디올의 혼합물 뿐만 아니라 1개의 디올도 사용가능한, 폴리에스테르기,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500 내지 5000인 폴리카프롤락톤기, 또는
    폴리(펜탄-1,5-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헥산-1,6-카르보네이트)기와 같은,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500 내지 5000인 폴리카르보네이트기임}의 중합체 디올, 또는
    이러한 중합체 디올 A)의 혼합물, 및 또한
    B) 지방족 또는 지환족, 특히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1,6-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1,4-부탄 디이소시아네이트 (BDI), 1,4-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CDI),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H12M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TMXDI) 또는 디메릴 디이소시아네이트 (DDI) 또는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을 혼합한 후,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3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40 ℃ 내지 80 ℃로, 용융물 상태의 반응인 경우 60 ℃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80 ℃ 내지 150 ℃로 0.5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시간으로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NCO:OH비가 1.3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3인,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c) 또는 N-메틸피롤리딘 (NMP) 또는 다른 이극성 비양성자성 용매과 같은 용매 중의 용액 상태 또는 용융물 상태의 예비중합체 ("이소시아네이트-캡핑된 글리콜"로도 칭함)을 제조하는 제1 단계;
    0 ℃ 내지 100 ℃의 온도에서 추가 디이소시아네이트 B)를 반응 혼합물에 혼합하여 총 NCO:OH비가 1.7 내지 6.0이 되도록 하는 제2 단계; 및
    C) 에틸렌디아민, 1,2-프로필렌디아민, 1,3-프로필렌디아민, 1,4-디아미노부탄, 1,5-디아미노펜탄, 1,3-디아미노시클로헥산, 디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디아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 특히 지환족 디아민, 또는 상기 디아민 및 디에틸렌트리아민과 같은 트리아민의 혼합물, 및 임의로는,
    D) 디에틸아민, 에탄올아민, 디-n-부틸아민 또는 시클로헥실아민, 특히 디에틸아민, 에탄올아민, 디-n-부틸아민과 같은 1급 또는 2급, 지방족 또는 지환족 아민을 사용하는데, 아미노기를 기준으로 한 디아민 대 아민의 몰비가 100:0 내지 100:20, 바람직하게는 100:10이고, 0 내지 25 %,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 %의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단위를 기준으로 한 아민 몰 과량으로 사용하여,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c) 또는 N-메틸피롤리딘 (NMP)와 같은 용매 또는 다른 이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의 존재하 -2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80 ℃의 온도에서, 또는 용융물로서는 10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뱃치식으로 또는 신중히 혼합하면서 연속적으로 쇄연장 반응시키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용액 또는 용융물 상태의 예비중합체를 제조한 후 용액 또는 용융물 상태에서 예비중합체를 쇄연장하는 폴리우레탄우레아의 다단계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 디올 A)가 화학식 HO-Q-OH {여기서, Q는 -[(CH2)nO]m- (여기서, n은 4이고, m은 10 내지 70의 수임)의 기임}의 구조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합체 디올 A)가 화학식 HO-Q-OH [여기서, Q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숙신산 또는 도데카디오산을 기재로 하고 화학식 HO-A-OH {여기서, A는 -[(CH2)r(CR1R2)q(CH2)s ]- (여기서, r은 1 내지 5의 수이고, q는 0 또는 1의 수이고, s는 0 내지 5의 수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임)의 기 임}의 디올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기임]의 구조인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B)가 1,4-부탄 디이소시아네이트 (BDI),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H12M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 디이소시아네이트 B)를 제2 단계에서의 반응 혼합물과 혼합 및 반응시키는 것을 20 내지 80 ℃의 온도에서 수행하여, NCO:OH비가 1.7 내지 5.0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3 단계에서의 쇄연장을 이소시아네이트 구조 대 아민의 제레피티노프-활성 수소 원자의 몰비가 1.25:1 내지 1:1.25가 되도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수득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우레아 함유 방사 용액을 방사구를 통해 침니로 방사하고, 용매를 150 ℃ 내지 350 ℃, 바람직하게는 180 ℃ 내지 250 ℃의 침니 온도, 150 ℃ 내지 380 ℃, 바람직하게는 220 ℃ 내지 360 ℃의 방사 기체 온도에서 제거하고, 고형화된 단사를 꺼내고, 임의로는 연신하고, 임의로는 세팅, 방사 피니시 및 실패에 권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방사 공정으로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을 방사하는 엘라스탄 섬유, 필라멘트 또는 단사 (이후 간단하게 엘라스탄 단사라 칭함)의 제조 방법.
  8. 사용되는 방사 용액이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우레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방사 공정으로 응집을 통해 섬유를 형성하는 응집욕으로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을 방사하고, 응집욕 중의 용매를 제거하고, 단사 생성물을 바람직하게는 물로 세척하고, 단사를 건조하고, 임의로는 연신하고, 임의로는 세팅, 방사 피니시하고 실패에 감는 엘라스탄 섬유, 필라멘트 또는 단사의 제조 방법.
  9.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융물이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고, 중합체 용융물을 제조한 후 바로 방사하고, 수득된 엘라스탄 섬유를 냉각, 임의로는 연신, 방사 피니시 및 권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중합체 공정으로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융물을 제조하고, 수득된 중합체 용융물을 방사하는 엘라스탄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용융 방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수득된 중합체 용융물을 쇄연장 후 바로 방사하는 대신 우선 냉각하고, 과립화하고, 수득된 중합체 과립을 용융시키고, 엘라스탄 단사로 용융 방사하는 엘라스탄 섬유의 제조 방법.
  11. A) 화학식 HO-Q-OH
    {여기서, Q는 -[(CH2)nO]m- 또는 -[(CH2)pCH(CH3)CH2O]o- (여기서, n은 2 내지 10 의 수이고, m은 1 내지 150의 수이고, o는 1 내지 150의 수이고, p는 0 내지 2의 수임)의 기,
    아디프산, 세바스산, 숙신산 또는 도데칸디오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기재로 하고 화학식 HO-A-OH {여기서, A는 -[(CH2)r(CR1R2)q(CH2)s]- (여기서, r은 1 내지 5의 수이고, q는 0 또는 1의 수이고, s는 0 내지 5의 수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임)의 기임}의 디올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되, 상기 디올의 혼합물 뿐만 아니라 1개의 디올도 사용가능한, 폴리에스테르기,
    폴리카프롤락톤기, 또는 폴리(펜탄-1,5-카르보네이트)디올 또는 폴리(헥산-1,6-카르보네이트)디올기와 같은 폴리카르보네이트기임}의 중합체 디올, 또는
    이러한 중합체 디올 A)의 혼합물, 및 또한
    B)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C) 에틸렌디아민, 1,2-프로필렌디아민, 1,3-프로필렌디아민, 1,4-디아미노부탄, 1,5-디아미노펜탄, 1,3-디아미노시클로헥산, 디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디아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아민 또는 상기 디아민 및 디에틸렌트리아민과 같은 트리아민의 혼합물을 기재로 하고, 임의로는,
    D) 디에틸아민, 에탄올아민, 디-n-부틸아민 또는 시클로헥실아민과 같은 1급 또는 2급, 지방족 또는 지환족 아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우레아.
  12. 제7항에 따른 방법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엘라스탄 단사.
  13. 제12항에 따른 엘라스탄 단사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사, 특히 다른 합성 및 비합성 단사 섬유 또는 필라멘트와의 합사.
  14. 제12항에 따른 엘라스탄 단사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연속적 과정 형성 니트(consecutive course formation knit), 직조(woven) 또는 동시적 과정 형성 니트(simultaneous course formation knit)와 같은 방직물.
KR1020007013586A 1998-06-02 1999-05-20 폴리우레탄 우레아,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61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24332 1998-06-02
DE19824332.4 1998-06-02
DE19841512.5 1998-09-11
DE19841512A DE19841512A1 (de) 1998-06-02 1998-09-11 Elastanfasern aus aliphatischen Diisocyana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482A KR20010052482A (ko) 2001-06-25
KR100561155B1 true KR100561155B1 (ko) 2006-03-15

Family

ID=786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586A KR100561155B1 (ko) 1998-06-02 1999-05-20 폴리우레탄 우레아,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61155B1 (ko)
DE (2) DE198415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342A (ko) * 2002-02-08 2003-08-14 주식회사 효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그 폴리우레탄 및 그를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탄성사
SE526106C2 (sv) * 2002-06-20 2005-07-05 Artimplant Ab Linjär blockpolymer samt fiber, film, poröst material och implantat innefattande polymeren
KR101167377B1 (ko) * 2009-12-31 2012-07-19 주식회사 효성 열세트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의 제조방법
KR20180044532A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효성 높은 신도를 갖는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41512A1 (de) 1999-12-09
DE59904640D1 (de) 2003-04-24
KR20010052482A (ko) 200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0407B1 (en) Elastic polyurethane-urea fi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0692039B1 (en) High-speed spun polyether-based spandex
JPH0219511A (ja) 共重合体軟質セグメントを有するスパンデックス繊維
KR101972611B1 (ko) 탄성 직물
KR20060070447A (ko) 낮은 열고정 온도를 갖는 스판덱스 및 이것의 제조를 위한물질
US5086150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uh elastomer threads and films resistant to light and exhaust gases and elastomer threads having the required composition
KR100561155B1 (ko) 폴리우레탄 우레아, 폴리우레탄 우레아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TW499450B (en) Polyurethaneureas, polyurethaneurea fibre and preparation thereof
JP2717148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の軟らかいセグメントをもつたスパンデツクス成形品
JP6063210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及びその繊維製品
JPH11229277A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及びその弾性布帛
JP4839455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70884A (ko) 초저온에서의 열세트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의 제조방법
EP4190954A1 (en) Polyurethane urea elastic yarn dyeable with reactive dy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3637503B2 (ja) ポリウレタン系繊維、衣料および衣料用副資材
CN107849747A (zh) 具有良好的耐氯性的氨纶纤维
MXPA02005342A (es) Composicion de una fibra elastica que puede resistir agua que contiene cloro.
JPH04100919A (ja) 有機溶剤に不溶のポリウレタン弾性糸の製造法
JP2009114595A (ja) ポリウレタンウレア弾性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100611A (ko) 스판덱스 섬유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제조된 스판덱스 섬유
JP2003113535A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
JPH08337631A (ja) ポリウレタンウレア組成物
KR20080100612A (ko) 스판덱스 섬유용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제조된 스판덱스 섬유
JPH10102319A (ja) 弾性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