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366A -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366A
KR20040054366A KR1020020081399A KR20020081399A KR20040054366A KR 20040054366 A KR20040054366 A KR 20040054366A KR 1020020081399 A KR1020020081399 A KR 1020020081399A KR 20020081399 A KR20020081399 A KR 20020081399A KR 20040054366 A KR20040054366 A KR 20040054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feeding
feeding table
suppor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전양수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8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4366A/ko
Publication of KR20040054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36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피딩되는 스트립의 형상불량 특히 폭방향으로의 휘어짐현상이 발생되어도 하부로 처진 스트립이 피딩 테이블에 접촉되지 않고 진행할 수 있도록 된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중앙부가 폭방향으로 절단되어 두 개로 나뉘어진 좌,우피딩부와, 피딩부의 중앙부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회동수단, 두 개의 피딩부 사이에 피딩테이블의 높이로 설치되어 하강하는 좌우피딩부에 대해 스트립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안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안내장치{Device for guiding strip in Feeding table}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생산라인의 입측설비로서 스트립 끝단의 미압부가 제거되는 피딩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딩테이블 진행시 스트립 하면과 피딩테이블 간에 접촉발생으로 인한 스트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피딩테이블의 스트립 결함 발생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 제품 중 미러재는 스트립 표면의 광택과 조도를 향상시킨 고가품으로 표면에 발생되는 작은 흠집이라도 제품에 치명적인 품질저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미러재 생산시에는 다른 제품보다 더욱 섬세한 작업이 요구되나, 종래에는 스트립의 미압부를 제거하는 설비 진행시 스트립 하면이 피딩테이블과 마찰되면서 스트립 표면에 흠집 발생이 잦은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스트립 미압부가 제거된 스트립이 진행되는 종래의 피딩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으로, 스트립(1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입측 선단과 출측 선단이 각각 설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중앙부가 수평 또는 V자 형태로 회동하여 콘베이어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200)과, 프레임(200)의 양쪽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롤(210)과 피동롤(220), 구동롤(210)에 연결되어 구동롤(2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30), 구동롤과 피동롤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콘베이어밸트(240) 및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설치되어 밸트(240)를 받쳐주기 위한 지지롤(25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피딩테이블은 페이오프릴에 끼워진 코일로부터 풀려져나오는 스트립 진입시 테이블을 수평상태로 유지하여 통판을 원활하게 하고 통판 후에는 테이블 중앙부가 아래로 처지면서 스트립 하면과의 접촉이 방지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구조의 피딩테이블은 스트립의 형상불량에 의한 중파현상(스트립이 휘어진 현상)이 발생한 경우 진행중인 스트립이 피딩테이블의 콘베어밸트에 닿으면서 스트립 하면에 슬립 또는 긁힌 흠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피딩되는 스트립의 형상불량 특히 폭방향으로의 휘어짐현상이 발생되어도 하부로 처진 스트립이 피딩 테이블에 접촉되지 않고 진행할 수 있도록 된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안내장치가 설치된 스트립 피딩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트립 피딩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콘베이어밸트 31 : 흡입홀
32 : 흡입관 33 : 흡입호스
60 : 수직부재 61 : 지지롤
62 : 설치브라켓 63 : 회동축
64 : 유도바 65 : 회동실린더
66 : 레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딩테이블 중앙에 위치하여 하강하는 피딩테이블에 대해 스트립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이 더욱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피딩테이블이 하강하는 경우 피딩테이블과는 달리 현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부가 여전히 스트립을 받쳐주게 되어 스트립이 피딩테이블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딩테이블의 출측에 스트립을 유도하여 상,하핀치롤 사이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을 더욱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안내장치가 설치된 스트립 피딩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피딩테이블은 중앙부가 폭방향으로 절단되어 두 개로 나뉘어진 좌,우피딩부와, 피딩부의 중앙부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회동수단, 두 개의 피딩부 사이에 피딩테이블의 높이로 설치되어 스트립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 및 상기 피딩테이블의 출측에 설치되어 스트립을 상,하핀치롤(110,111) 사이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좌,우피딩부는 외측선단이 설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콘베이어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11)과, 프레임(11)의 양쪽 선단에 각각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구동축과 피동축, 구동축과 피동축에 설치되는 구동롤(12)과 피동롤(14), 프레임(11)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3), 구동축과 피동축 사이에 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설치되는 지지축, 이 지지축에 설치되는 아이들롤(15), 상기 구동롤(12)과 피동롤(14) 간에 걸쳐져 회전되는 각 콘베이어밸트(30) 및 스트립을 콘베이어밸트(30)에 흡착시키기 위한 흡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수단은 상기 프레임(11) 측면을 통해 내측으로 연통되는 흡입관(32)과, 이 흡입관(32)에 설치되고 흡입펌프(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내측 에어를 흡입하는 흡입호스(33) 및 상기 콘베이어밸트(30) 표면에 형성되는 흡입홀(31)을 포함한다.
따라서 흡입펌프가 작동되면 콘베이어밸트(30) 표면에 형성된 흡입홀(3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스트립이 콘베이어밸트에 부착되어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좌우피딩부는 각각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스트립(1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입측 선단과 출측 선단이 각각 설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중앙부가 상기 회동수단에 의해 V자 형태로 회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회동수단은 피딩부의 좌,우측 프레임(11)의 내측 선단에 링크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링크부재(40)와, 중앙부 설비바닥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베이스(41)에 중앙부가 축결합되고 일측 선단은 상기 링크부재(40)에 링크결합되는 작동레버(42)와, 고정베이스(41)와 작동레버(42)의 타측선단에 연결되어 작동레버(42)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좌,우프레임(11)의 내측선단에 설치되는 피동축은 프레임(11) 외측으로 연장하고, 링크부재(40)의 상부에는 좌우측에 각각 장공(44)을 형성하여 상기 좌,우프레임(11)의 각 피동축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장공(44) 형성이유는 링크부재(40)의 회동에 따라 피동축의 위치가 변하기 때문으로, 피동축은 장공(44)을 따라 움직이게 되어 좌,우프레임(11)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베이스(41)는 링크부재(4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수직바(45)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수직바(45)에 작동레버(42)의 중앙부가 축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레버(42)에 걸리는 힘을 분산시키고 링크부재(40)를 정확히 수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작동레버(42)가 병렬구조로 설치되는 데, 링크부재(40)의 좌우측에 놓여진 수직바(45)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두 개씩의 작동레버(42)가 축결합되고 작동레버(42)의 선단은 링크부재(40)에 축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링크부재(40)와 작동레버(42)의 설치구조는, 링크부재(40) 하단부에 돌기를 돌출설치하고 작동레버 선단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장공을 형성되함으로써 링크결합시킨다.
작동레버(22) 선단에 장공을 형성하는 이유는 링크부재에 장공을 형성하는 이유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50)은 구동실린더(43)의 피스톤로드와 연결되는 작동레버(42) 선단에 설치되는 감지편이고, (52,53)은 구동실린더(43)의 브라켓(51)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편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이다.
한편, 상기 지지수단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사항으로 상기 고정베이스(41)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좌우피딩부의 프레임(11) 사이로 연장되는 수직부재(60)와, 이 수직부재(6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트립 폭방향으로 놓여져 스트립을 지지하는 지지롤(61)을 포함한다.
따라서 좌우피딩부가 아래로 하강하더라도 상기 수직부재(60)에 설치된 지지롤(61)은 피딩부가 수평상태일 때의 높이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아래로 쳐지는 스트립(100)을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내수단은 피딩테이블의 출측 프레임(11) 선단에 상부로 돌출설치되는 설치브라켓(62)과, 이 설치브라켓(6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트립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회동축(63), 회동축(63)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스트립 진행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유도바(64), 상기 설치브라켓(62)에 연결설치되고 회동축(63) 선단에 설치되는 레버(66)에 연결되어 회동축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실린더(65)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압부가 제거된 후 최초 스트립(100) 선단이 진행하는 경우에는 피딩부를 이루는 좌,우프레임(11)은 수평상태로 회동되어 스트립(100) 통판을 용이하게 한다.
즉, 구동실린더(43)가 수축작동함에 따라 구동실린더(43)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레버(42)가 수직바(45)와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작동레버(42) 내측 선단이 위쪽으로 회동함에 따라 작동레버(42) 내측선단과 연결되어 있는 링크부재(40)가 들어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링크부재(40)의 장공(44)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좌,우프레임(11)이 각 외측 선단의 회동축(63)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실린더(43) 수축작동에 따라 회동되는 작동레버(42)는 작동레버(42) 선단에 설치된 감지편(50)이 브라켓(51)에 설치된 감지센서(52)에 감지되고 상기 센서(52)의 신호에 따라 구동실린더(43)는 정지됨으로서 프레임(11)을 정확히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11)이 수평을 이루게 되면 각 프레임(11)의 외측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모터(13)가 작동되어 구동축에 고정된 구동롤(12)을 회전시키게 되고 구동롤과 피동축의 피동롤(14)에 걸쳐져 있는 콘베이어밸트(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스트립(100)은 회전하는 콘베이어밸트(30)에 의해 받쳐져 용이한 통판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60) 상단에 설치된 지지롤(61)은 좌우피딩부의 프레임(11) 사이에서 콘베이어밸트(3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여 스트립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흡입펌프의 작동으로 흡입호스(33)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기가 흡입되므로 콘베이어밸트(30)에 형성된 흡입홀(3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스트립(100)은 콘베이어밸트(30) 표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진행하게 되어 스트립 통판과정에서 스트립과 콘베이어밸트와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페이오프릴에 감겨진 코일로부터 풀려나오는 스트립(100)이 피딩테이블(10)의 콘베이어밸트(30)를 타고 진행되어 피딩테이블 출측에 다다르게 되면 본 실시예의 안내수단이 가동되어 스트립 선단을 정확히 상,하핀치롤(110,111) 사이로 진입시키게 된다.
즉, 프레임(11) 출측의 설치브라켓(62)에 설치된 회동실린더(65)가 신장작동되면 레버(66)를 매개로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회동축(63)이 회동되고 이에 따라 회동축(63)에 설치된 유도바(64)가 스트립 선단을 적당한 위치로 눌러 상,하핀치롤(110,111) 사이로 유도하게 되고 스트립은 상,하핀치롤 사이로 정확히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스트립이 핀치롤을 통과하게 되면, 통판작업이 완료되므로 구동모터(13)는 정지하게 되고, 핀치롤까지 진행된 스트립(100)은 핀치롤 상하부에설치된 투광기(도시되지 않음)와 수광기에 의해 감지되고, 수광기의 감지신호에 따라 피딩테이블(10)의 피딩부가 회동하여 형태를 변화시키게 된다.
즉, 상기 수광기의 신호에 따라 고정베이스(41)에 설치된 구동실린더(43)가 신장작동하게 되고, 구동실린더(43)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레버(42)가 신장되는 피스톤로드에 밀려 수직바(45)와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작동레버(42)가 회동함에 따라 작동레버(42)의 내측 선단은 밑으로 하강하게 되고 작동레버(42)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부재(40) 또한 고정베이스(41) 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링크부재(40)의 장홀에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프레임(11)이 설비와의 회동축(63)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내측 선단부가 밑으로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실린더(43)가 계속 작동함에 따라 작동레버(42) 선단에 설치된 감지편(50)이 브라켓(51)에 설치된 감지센서(53)에 감지되면 구동실린더(43)는 작동을 멈춰 프레임(11)을 회동시킨 상태에서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피딩부를 이루는 좌,우측프레임(11)은 중앙이 밑으로 하강하여 전체적으로 V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V자 형태로 하강하는 좌우측프레임(11)과는 반대로 상기 좌우측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수직부재(60)는 최초 좌우측프레임이 수평상태를 유지한 그 높이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수직부재(60)에 설치된 지지롤(61)은 스트립을 받쳐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진행하는 스트립(100)이 밑으로 쳐지는 것을 지지롤(61)이 받쳐줌으로써 스트립(100) 하부가 프레임(11)에 설치된 콘베이어밸트(30)와 접촉되지 않게 되어 스트립(100) 표면에 흠이 빌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안내장치에 의하면, 스트립 피딩시 스트립에 변형이 발생한 경우 스트립의 처짐을 방지하여 스트립이 피딩테이블의 콘베이어밸트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트립 표면의 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최종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중앙부가 폭방향으로 절단되어 두 개로 나뉘어진 좌,우피딩부와, 피딩부의 중앙부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회동수단, 두 개의 피딩부 사이에 피딩테이블의 높이로 설치되어 하강하는 좌우피딩부에 대해 스트립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좌우피딩부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좌우피딩부의 프레임 사이로 연장되는 수직부재와, 이 수직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트립 폭방향으로 놓여져 스트립을 지지하는 지지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안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테이블의 출측 프레임 선단에 상부로 돌출설치되는 설치브라켓과, 이 설치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트립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회동축, 회동축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스트립 진행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유도바, 상기 설치브라켓에 연결설치되고 회동축 선단에 설치되는 레버에 연결되어 회동축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피딩테이블의 출측에서 스트립을 유도하여 상,하핀치롤 사이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안내장치.
KR1020020081399A 2002-12-18 2002-12-18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안내장치 KR20040054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399A KR20040054366A (ko) 2002-12-18 2002-12-18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399A KR20040054366A (ko) 2002-12-18 2002-12-18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366A true KR20040054366A (ko) 2004-06-25

Family

ID=37347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399A KR20040054366A (ko) 2002-12-18 2002-12-18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43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066B1 (ko) * 2004-12-07 2012-05-11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강판의 처짐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066B1 (ko) * 2004-12-07 2012-05-11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강판의 처짐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952B1 (ko)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
KR100785285B1 (ko) 코일 선단부 위치 조정장치
KR20010064200A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브레이크롤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0054366A (ko)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안내장치
KR100467771B1 (ko) 스트립 결함 방지용 피딩 테이블
KR100770197B1 (ko)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결함 발생 방지장치
KR101009010B1 (ko)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20010048999A (ko) 스트립의 표면결함 검출장치
KR100475535B1 (ko) 코일형 냉연제품의 엔드마크 방지용 페이퍼심블자동취부장치
KR100355680B1 (ko) 직물 권취 장치
KR20020025599A (ko) 사이드 트리머의 스트립 에지부 평탄유지장치
KR20010065349A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스트립 교정장치
KR100478724B1 (ko) 수직 루퍼의 판쏠림 교정장치
KR200282912Y1 (ko) 도금층박리시험용시험편자동공급장치
KR200204907Y1 (ko) 강판 후진장치의 구조
KR100750698B1 (ko) 자동 테이핑 장치
KR100784227B1 (ko) 코일에 공급되는 간지의 균등 삽입 유도장치
KR100952643B1 (ko) 용접기 클램프의 스크랫치 방지장치
JPH08324851A (ja) 供給台車からの帯状材料の蛇行修正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417698B1 (ko) 스테인리스 스트립 교정라인의 압하롤 청소장치
KR20020047458A (ko) 루퍼카 스트립 사행 조정 장치
KR100885211B1 (ko) 코일 시편 인출장치
KR20030049958A (ko) 연마캐빈의 롤 위치 조정장치
KR100506412B1 (ko) 권취기의 박판 유도장치
KR100515046B1 (ko) 강판 형상 측정용 샘플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