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8333A -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 파일 배신 방법, 파일 배신 장치 및 파일 배신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 파일 배신 방법, 파일 배신 장치 및 파일 배신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8333A
KR20040048333A KR1020030085549A KR20030085549A KR20040048333A KR 20040048333 A KR20040048333 A KR 20040048333A KR 1020030085549 A KR1020030085549 A KR 1020030085549A KR 20030085549 A KR20030085549 A KR 20030085549A KR 20040048333 A KR20040048333 A KR 20040048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content
multimedia
representative
multimedia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4549B1 (ko
Inventor
후지시마다꾸야
야마우라아쯔시
노구찌아까네
다까하시다꾸야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8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5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대표 화상 등의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가 제공된다. 각각에 재생 개시 타이밍이 지정되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오브젝트와, 이들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1개의 오브젝트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오브젝트로서 지정하는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가 하나의 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서버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외부 장치가 재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그 판정 결과, 해당 외부 장치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외부 장치에 의해 재생 가능한 대표 콘텐츠 파일로 변환하여 그것을 송신하는 한편, 상기 판정 결과, 해당 외부 장치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을 송신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 파일 배신 방법, 파일 배신 장치 및 파일 배신 프로그램{DATA STRUCTURE OF MULTIMEDIA FILE, FILE DISTRIBUTION METHOD, FILE DISTRIBUTION APPARATUS, AND FILE DISTRIBUTION PROGRAM}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배신(配信) 및 데이터 관리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 파일 배신 방법, 파일 배신 장치 및 파일 배신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나 그 밖의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는, 동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등, 복수 종류의 콘텐츠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통신망을 통하여 다른 휴대 단말기 등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고 있다.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서는, 이러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것도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송신원의 사용자에게는 송신해야 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측에서 대응 가능한 정지 화상 등의 콘텐츠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동화상 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의 검색 시스템에 관하여, 검색해야 할 콘텐츠의 개요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해당 콘텐츠 내의 대표적인 신(scene)에서의 정지 화상(이하, 「대표 화상」이라고 함)이나 그 출현 시각 등의 정보를 추출해 두고, 검색 시스템 등에 기록해 두는 기술이 일본 특개평11-232186호 공보, 일본 특개평7-23322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수신측의 기종에 있어서 대응 가능한 콘텐츠의 형식은 각각의 수신측의 기종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송신측의 사용자가 수신측의 기종에 따라 콘텐츠의 변환을 행하는 것은 매우 번잡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표 화상 등의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 파일 배신 방법, 파일 배신 장치 및 파일 배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 등을 적용 가능한 콘텐츠 변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의 (a)는 도 1에 도시한 서버에 있어서 실행되는 업로드 요구 수신 루틴의 흐름도이고, 도 2의 (b)는 서버에 있어서 실행되는 다운로드 요구 수신 루틴의 흐름도.
도 3의 (a)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3의 (b)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구성하는 각 청크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4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4, 6 : 휴대 전화기(외부 장치)
8 : 통신망
10 : 서버
12 : 송수신부
14 : CPU
16 : RAM
18 : ROM
20 : 버스
22 : 하드디스크
24 : 단말기 정보 DB
26 : 변환 엔진
30 : 멀티미디어 파일
32 : 대표 콘텐츠 파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각각에 재생 개시 타이밍이 지정되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오브젝트(102∼110)와, 이들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1개의 오브젝트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오브젝트로서 지정하는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저장하여 이루어지는 하나의 파일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를 제공한다.
이 데이터 구조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오브젝트와,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포함시켰기 때문에,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대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각각에 재생 개시 타이밍이 지정되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함과 함께 표시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오브젝트(102∼108)와, 하나 또는 복수의 타이밍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표시 내용이 나타나는 타이밍으로서 지정하는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저장하여 이루어지는 하나의 파일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각각에 재생 개시 타이밍이 지정되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오브젝트(102∼110)와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기억 장치(22)에 기억시키는 기억 과정(SP2)과, 외부 장치(4, 6)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 과정(SP22)과,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과정(SP24)과, 상기 판정 과정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해 온 외부 장치에 의해 재생 가능한 대표 콘텐츠 파일로 변환하는 변환 과정(SP26)과,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해 온 외부 장치에 대하여, 상기 변환 과정에서의 변환이 실행된 경우에는 상기 대표 콘텐츠 파일을 송신하는 한편, 상기 판정 과정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을 송신하는 송신 과정(SP28)을 포함하며, 상기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1개의 오브젝트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오브젝트로서 지정하는 제1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타이밍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표시 내용이 나타나는 타이밍으로서 지정하는 제2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파일 배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파일 배신 방법은, 상기 송신 과정에서 송신되는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상기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하나의 파일에 저장하여 이루어지는 멀티미디어 파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각각에 재생 개시 타이밍이 지정되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오브젝트(102∼110)와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22)와, 외부 장치(4, 6)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장치와, 상기 판정 장치에 의한 판정 결과가 부정적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해 온 외부 장치에 의해 재생 가능한 대표 콘텐츠 파일로 변환하는 변환 장치와,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해 온 외부 장치에 대하여, 상기 변환 장치에 의한 변환이 실행된 경우에는 상기 대표 콘텐츠 파일을 송신하는 한편, 상기 판정 장치에 의한 판정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을 송신하는 송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1개의 오브젝트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오브젝트로서 지정하는 제1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또는 복수의 타이밍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표시 내용이 나타나는 타이밍으로서 지정하는 제2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파일 배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파일 배신 장치는, 상기 송신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상기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하나의 파일에 저장하여 이루어지는 멀티미디어 파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파일 배신 프로그램으로서, 각각에 재생 개시 타이밍이 지정되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오브젝트와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기억 모듈과,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 모듈과,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모듈과, 상기 판정 모듈에 의한 판정 결과가 부정적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해 온 외부 장치에 의해 재생 가능한 대표 콘텐츠 파일로 변환하는 변환 모듈과,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해 온 외부 장치에 대하여,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한 변환이 실행된 경우에는 상기 대표 콘텐츠 파일을 송신하는 한편, 상기 판정 모듈에 의한 판정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을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1개의 오브젝트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오브젝트로서 지정하는 제1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타이밍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표시 내용이 나타나는 타이밍으로서 지정하는 제2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파일 배신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추가적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실시예의 구성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 등을 적용 가능한 콘텐츠 변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휴대 전화기(외부 장치)(2, 4, 6)는 통신망(8)을 통하여 서로 통화 및 파일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휴대 전화기(2, 4)는 후술하는 데이터 포맷의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기종이지만, 휴대 전화기(6)는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는 대응하지 않는 기종인 것으로 한다. 파일 배신 장치인 서버(10)는 이들 휴대 전화기(2, 4, 6) 사이에서 파일의 송수신이 행해질 때에, 해당 파일을 일시적으로 기억하여, 필요에 따라 파일 형식을 변환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서버(10)의 내부의 송수신부(12)는, 통신망(8)과의 사이에서 각종 파일과 기타 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CPU(14)는, 후술하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버스(20)를 통하여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ROM(18)에는, 이니셜 프로그램 로더 등이 기억되어 있다. RAM(16)은, CPU(14)의 워크 메모리로서 이용된다. 하드디스크(기억 장치)(22)에는, 상기 휴대 전화기(2, 4, 6)를 포함하는 각 휴대 전화기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4)와, 필요에 따라 각 휴대 전화기에 송신하는 파일의 파일 형식을 변환하는 프로그램인 변환 엔진(26)과, 기타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4)에는, 휴대 전화기(2, 4, 6) 등의 각 휴대 전화기의 식별 번호와, 이들 휴대 전화기가 대응 가능한 파일 형식이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2. 실시예의 데이터 구조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포맷을 도 3의 (a), 도 3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데이터 포맷은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 있는 SMAF(등록상표) 방식에 기초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연주 데이터 등, 복수 종류의 콘텐츠로 구성된 것을 말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가 하나의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불문한다. 한편, 「멀티미디어 파일」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하나의 파일에 저장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우선, 도 3의 (a)에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의 (a)에서, 인포 청크(210)에는 콘텐츠의 타입(착신 멜로디, 가라오케 시스템, 커머셜(CM) 시스템), 문자 정보의 언어·문자 코드 체계 등이 기억된다. 옵셔널데이터 청크(220)에는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하는 문자열(텍스트 데이터 오브젝트)이 기억됨과 함께, 대표 화상 등을 특정하는 정보(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상세는 후술함)가 기억된다. 또한, 스코어 트랙 청크(230, …, 230)는 하나 또는 복수, 즉 적어도 1개 존재하며, 악곡의 연주 정보(MIDI)를 각각이 저장한다. PCM 오디오 트랙 청크(240, …, 240)는 하나 또는 복수 존재한다. 하나의 PCM 오디오 트랙 청크(240)는 복수의 파형 데이터(음성 데이터 오브젝트)와, 이들 파형 데이터를 재생하는 타이밍을 규정하는 시퀀스 정보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그래픽 트랙 청크(250, …, 250)는 표시 디바이스에 대한 묘화 시퀀스를 저장한다. 여기서, 「묘화 시퀀스」는, 예를 들면 「지정된 화상 데이터 오브젝트(비트맵 이미지)를 화면 상의 지정 위치에 묘화한다」, 「지정된 화상 데이터 오브젝트를 화면 상에서 소거한다」 등의 일련의 커맨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묘화 위치를 변경하면서 오브젝트의 「묘화」와 「소거」를 반복함으로써 동화상을 표현할 수도 있다. 마스터 트랙 청크(260)는 악곡 전체의 조성, 박자, 템포 등의 정보나,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스템 자체를 제어하는 이벤트(예를 들면, 포즈나 점프 등)를 저장한다. 이들 각 청크(210∼260)에 의해, 파일 청크(200)가 구성되어 있다. 「파일 청크」는 「멀티미디어 파일 그 자체」의 의미와 같다.
다음으로, 상술한 각 청크(200∼260)의 데이터 구조를 도 3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b)에서, 청크(300)는 상기 청크(200∼260)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한다. 청크(300)의 선두 부분에는 고정 길이(8바이트)의 청크 헤더(310)가설치된다. 이 청크 헤더(310)에는 고유의 청크 ID와, 해당 청크의 데이터 사이즈가 기록된다.
또한, 보디부(320)에는 해당 청크(300)에 따른 데이터 본체가 저장된다. CRC부(330)에는 청크 헤더(310) 및 보디부(320) 내의 데이터 열에 대하여 소정의 CRC 생성 다항식을 이용하여 연산을 실시한 연산 결과가 기억된다. 이 CRC부(330)는 파일 청크(200)에 대해서만 형성되는 것으로, 해당 파일 청크(200)가 파괴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청크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3. 실시예의 동작
3. 1. 업로드 처리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휴대 전화기(4, 6)를 송신처로 하여, 휴대 전화기(2)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30)(도 1 참조)이 업로드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휴대 전화기(2)로부터 통신망(8)을 통하여 서버(10)에 대하여 업로드 요구가 송신된다. 이 업로드 요구가 수신되면, 서버(10)에서는 도 2의 (a)에 도시하는 업로드 요구 수신 루틴이 기동된다. 도 2의 (a)에서 처리가 단계 SP2(기억 과정)로 진행되면, 휴대 전화기(2)로부터 통신망(8)을 통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이 송신되어, 서버(10)에서 수신됨과 함께, 해당 파일이 하드디스크(22)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처리가 단계 SP4로 진행되면, 송신처 단말 장치인 휴대 전화기(4, 6)에 대하여, 파일의 업로드가 있었던 취지가 통지된다. 이에 의해, 업로드 요구에 대한 처리가 종료된다.
3. 2. 다운로드 처리
멀티미디어 파일이 업로드된 후, 휴대 전화기(4, 6)의 사용자는 서버(10)에 대하여 파일의 다운로드를 수시로 요구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전화기(4, 6)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면, 서버(10)에서는 도 2의 (b)에 도시하는 다운로드 요구 수신 루틴이 기동된다. 도 2의 (b)에서 처리가 단계 SP22(요구 수신 과정)로 진행되면, 통신망(8)을 통하여, 다운로드 요구원(元)의 휴대 전화기에 관계하는 단말기 정보가 취득된다. 다음으로, 처리가 단계 SP24(판정 과정)로 진행되면,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4)가 참조되어, 취득된 단말기 정보에 관계하는 휴대 전화기가 업로드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가능 여부가 판정된다.
예를 들면, 다운로드 요구를 행한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4)이면, 여기서 「YES」라고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P28(송신 과정)로 진행한다. 이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이 그대로 다운로드 요구원의 휴대 전화기(4)에 송신된다. 한편, 다운로드 요구를 행한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6) 등,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하지 않는 단말기이면, 단계 SP24에서는 「NO」라고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P26(변환 과정)으로 진행된다. 단계 SP26에서는 변환 엔진(26)이 기동되어,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이, 하나 또는 복수의 대표 콘텐츠 파일(32)(도 1 참조)로 변환된다.
여기서, 「대표 콘텐츠」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포함되는 동화상의 하나의 신(scene)인 정지 화상, 해당 동화상에 수퍼 임포즈되는 텍스트 데이터, 해당 동화상에 동기하여 재생되는 음성 데이터 등, 요구원 단말기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로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는 콘텐츠를 말한다. 대표 콘텐츠파일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처리가 단계 SP28로 진행되면, 생성된 대표 콘텐츠가 요구원의 휴대 전화기에 송신된다. 이상에 의해, 다운로드 요구 수신 루틴의 처리가 종료한다.
3. 3.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처리
여기서, 휴대 전화기(4) 등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동작의 개요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횡축은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된 후의 경과 시각이고, 도 4의 장방형의 횡축 방향의 길이는 각 오브젝트가 재생되는 기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시각 t1에 음성 데이터 오브젝트(110)의 재생이 개시되고, 이 음성 데이터의 재생은 시각 t10까지 계속된다. 또한, 시각 t2에서는 화상 데이터 오브젝트(정지 화상)(102)의 재생이 개시되고, 시각 t3에서는 텍스트 데이터 오브젝트(108)의 재생이 개시된다. 따라서, 이러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휴대 전화기(4) 등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면, 시각 t3 직후의 시각 t101에서는 화상 데이터 오브젝트(102)에 텍스트 데이터 오브젝트(108)를 수퍼 임포즈하여 이루어지는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시각 t101의 후, 시각 t4에서는 화상 데이터 오브젝트(106)의 재생이 개시되고, 시각 t5에서는 화상 데이터 오브젝트(102)의 재생이 종료되며, 시각 t6에서는 화상 데이터 오브젝트(104)의 재생이 개시된다. 따라서, 시각 t6의 직후의 시각 t102에서는 화상 데이터 오브젝트(104, 106)에 텍스트 데이터 오브젝트(108)를 수퍼 임포즈하여 이루어지는 화상이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되게 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에는 상술한 것 이외에, 스코어 트랙 청크(230)에 기록된연주 정보 오브젝트(예를 들면, MIDI(SMF) 방식) 등을 포함해도 된다.
3. 4. 데이터 변환 처리(SP26)
다음으로, 도 2의 (b)의 상기 단계 SP26에서의 데이터 변환 처리의 상세를 도 3의 (a), 도 3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옵셔널 데이터 청크(220)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대표 콘텐츠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는 크게 나누어 2종류로 분류된다. 제1 종류의 정보는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 그 자체를 대표 콘텐츠로서 지정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도 4의 예에서는 「화상 데이터 오브젝트(102)」, 「텍스트 데이터 오브젝트(108)」, 「음성 데이터 오브젝트(110)」 등이 각각 대표 콘텐츠로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종류의 정보는 「임의의 시각에서의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대표 콘텐츠로서 지정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도 4의 예에서는 「시각 t101의 표시 상태」, 「시각 t102의 표시 상태」 등이 대표 콘텐츠로서 지정될 수 있다. 단, 실제로 대표 콘텐츠로서 지정되는 내용은 다운로드 요구원의 휴대 전화기(6)의 대응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하에 경우를 나누어 설명한다.
3. 4. 1. 모든 대표 콘텐츠에 대응하는 경우
휴대 전화기(6)가 모든 대표 콘텐츠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SP26에서는 옵셔널 데이터 청크(220)에 포함되는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가 전부 판독된다. 그리고, 제1 종류의 정보에 대해서는 해당 정보에 따른 오브젝트를 개별적으로 저장하는 파일이 대표 콘텐츠 파일로서 생성된다. 즉,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에 의해 화상 데이터 오브젝트가 지정되어 있으면 비트맵 파일이, 텍스트 데이터 오브젝트가 지정되어 있으면 텍스트 파일이, 음성 데이터 오브젝트가 지정되어 있으면 파형 데이터 파일이, 각각 대표 콘텐츠 파일(32)로서 생성되게 된다.
또한,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가 제2 종류의 정보인 경우에는, 지정된 시각에 표시해야 할 화상 데이터 오브젝트가 모두 추출되어, 이들이 합성됨으로써 하나의 비트맵 파일이 작성된다. 도 4의 예에서는, 예를 들면 「시각 t102」가 제2 종류의 정보로서 지정된 것이면, 그 시점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화상 데이터 오브젝트(104, 106)가 검색되어, 이들이 합성됨으로써 대표 콘텐츠 파일(32)인 비트맵 파일이 작성되게 된다. 비트맵 파일을 생성할 때에, 또한 해당 시각 t102에서 표시되는 텍스트 데이터 오브젝트(108)의 내용을 해당 비트맵 파일에 수퍼 임포즈해도 된다.
3. 4. 2. 대응 가능한 대표 콘텐츠에 제약이 있는 경우
또한, 휴대 전화기(6)에 있어서 대응 가능한 대표 콘텐츠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P26에서는 대응 가능한 대표 콘텐츠에 대해서만, 대표 콘텐츠 파일(32)이 생성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6)가 텍스트 데이터에만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텍스트 파일만이 생성되게 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6)는 화상 데이터 파일을 재생 가능한 기종이었다고 해도 한 장만 수신 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화상 데이터 오브젝트(또는 시각)를 지정하는 최초의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에 기초한 화상 데이터 파일만이 생성되게 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6)는 화상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하였다고 해도, 일부의 파일 형식에만 대응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대표 콘텐츠의 원래의 화상 데이터 오브젝트가 JPEG 형식으로 휴대 전화기(6)가 PNG 형식에만 대응하는 경우에는, JPEG 형식으로부터 PNG 형식으로 화상 데이터 파일이 변환되게 된다. 또한, 대표 콘텐츠로서 MIDI 형식으로 기록된 연주 정보가 지정된 경우로서, 휴대 전화기(6)가 PCM 데이터 또는 MFI 형식의 데이터에만 대응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래의 연주 정보에 기초하여 PCM 데이터의 악음(樂音) 신호가 합성되거나, 연주 정보의 형식이 MFI 형식으로 변환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다운로드 요구원의 휴대 전화기 등의 기종에 따라, 대응 가능한 대표 콘텐츠가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파일 내의 옵셔널 데이터 청크(220)에 하나 또는 복수의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포함시켰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대표 콘텐츠를 일체화할 수 있어, 대표 화상, 기타 대표 콘텐츠의 관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에 대응하고 있는 휴대 전화기(4)의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옵셔널 데이터 청크(220)의 내용을 재기입함으로써, 대표 콘텐츠의 내용을 임의로 편집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종류의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혼재하여 옵셔널 데이터 청크(220)에 기억시켜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4. 변형예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1)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서버(10)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의 변환 등의 처리를 행하였지만, 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만을 CD-ROM, 플렉시블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저장하여 반포하거나, 전송로를 통하여 반포할 수도 있다.
(2) 상기 실시예에서의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포맷은, 휴대 전화기와 기타 기기 사이에서의 파일의 배신에 이용할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파일의 검색 시스템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즉, 다수의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하여 정지 화상 등의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지정해 둠으로써, 퍼스널 컴퓨터 상에 있어서 대표 콘텐츠의 일람을 작성하는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파일의 개요를 한 번에 파악할 수 있어, 필요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멀티미디어 파일 내에 기억시켰지만,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는 반드시 동일한 파일에 저장될 필요는 없고, 양자를 다른 파일에 저장해도 된다. 또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자체도 반드시 동일한 파일(멀티미디어 파일)에 저장될 필요는 없고, 각 오브젝트별 개별 파일에 의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해도 된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대표 콘텐츠를 수신하는 측의 휴대 전화기측의 조작에 의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대표 콘텐츠가 다운로드되었지만, 대표 콘텐츠별로 서로 다른 송신 방법을 적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텍스트 데이터 오브젝트만을 전자 메일로서 수신측에 송신함과 함께, 화상 데이터 오브젝트를 수신측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억 매체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 등)가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도 달성된다.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게 되고,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프로그램 코드가 전송 매체 등을 통하여 공급되는 경우도,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의 기억 매체로서는, ROM 외,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 CD-R/RW, DVD-ROM, DVD-RAM, DVD-R/RW, DVD+RW, NV-RAM,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 메모리 카드,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다운로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될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 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여, 그 처리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기입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포함되는 CPU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여, 그 처리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표 화상 등의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 파일 배신 방법, 파일 배신 장치 및 파일 배신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Claims (7)

  1.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에 있어서,
    각각에 재생 개시 타이밍이 지정되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오브젝트(102∼110), 및
    이들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1개의 오브젝트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오브젝트로서 지정하는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저장하여 이루어지는 하나의 파일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
  2.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에 있어서,
    각각에 재생 개시 타이밍이 지정되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함과 함께 표시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오브젝트(102∼108),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타이밍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표시 내용이 나타나는 타이밍으로서 지정하는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저장하여 이루어지는 하나의 파일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
  3. 파일 배신(配信) 방법에 있어서,
    각각에 재생 개시 타이밍이 지정되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오브젝트(102∼110)와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 상기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1개의 오브젝트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오브젝트로서 지정하는 제1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타이밍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표시 내용이 나타나는 타이밍으로서 지정하는 제2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임 - 를 기억 장치(22)에 기억시키는 기억 과정(SP2);
    외부 장치(4, 6)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 과정(SP22);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과정(SP24);
    상기 판정 과정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해 온 외부 장치에 의해 재생 가능한 대표 콘텐츠 파일로 변환하는 변환 과정(SP26); 및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해 온 외부 장치에 대하여, 상기 변환 과정에서의 변환이 실행된 경우에는 상기 대표 콘텐츠 파일을 송신하는 한편, 상기 판정 과정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을 송신하는 송신 과정(SP28)
    을 포함하는 파일 배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과정에서 송신되는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상기 대표콘텐츠 지정 정보를 하나의 파일에 저장하여 이루어지는 멀티미디어 파일인 파일 배신 방법.
  5. 파일 배신 장치에 있어서,
    각각에 재생 개시 타이밍이 지정되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오브젝트(102∼110)와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 상기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1개의 오브젝트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오브젝트로서 지정하는 제1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타이밍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표시 내용이 나타나는 타이밍으로서 지정하는 제2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임 - 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22);
    외부 장치(4, 6)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 장치;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장치;
    상기 판정 장치에 의한 판정 결과가 부정적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해 온 외부 장치에 의해 재생 가능한 대표 콘텐츠 파일로 변환하는 변환 장치; 및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해 온 외부 장치에 대하여, 상기 변환 장치에 의한 변환이 실행된 경우에는 상기 대표 콘텐츠 파일을 송신하는 한편, 상기 판정 장치에의한 판정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을 송신하는 송신 장치
    를 포함하는 파일 배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파일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상기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를 하나의 파일에 저장하여 이루어지는 멀티미디어 파일인 파일 배신 장치.
  7.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파일 배신 프로그램에 있어서,
    각각에 재생 개시 타이밍이 지정되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오브젝트와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 상기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1개의 오브젝트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오브젝트로서 지정하는 제1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타이밍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표하는 표시 내용이 나타나는 타이밍으로서 지정하는 제2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임 - 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기억 모듈;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 모듈;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모듈;
    상기 판정 모듈에 의한 판정 결과가 부정적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대표 콘텐츠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해 온 외부 장치에 의해 재생 가능한 대표 콘텐츠 파일로 변환하는 변환 모듈; 및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해 온 외부 장치에 대하여,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한 변환이 실행된 경우에는 상기 대표 콘텐츠 파일을 송신하는 한편, 상기 판정 모듈에 의한 판정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을 송신하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파일 배신 프로그램.
KR1020030085549A 2002-11-29 2003-11-28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 파일 배신 방법, 파일 배신 장치 및 파일 배신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 매체 KR100614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47046A JP4232445B2 (ja) 2002-11-29 2002-11-29 ファイル配信装置、ファイル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02-00347046 2002-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333A true KR20040048333A (ko) 2004-06-09
KR100614549B1 KR100614549B1 (ko) 2006-08-25

Family

ID=3270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549A KR100614549B1 (ko) 2002-11-29 2003-11-28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 파일 배신 방법, 파일 배신 장치 및 파일 배신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232445B2 (ko)
KR (1) KR100614549B1 (ko)
CN (2) CN1241139C (ko)
HK (1) HK1064159A1 (ko)
TW (1) TWI24332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380B1 (ko) * 2005-12-08 2007-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 치환이 가능한 대화형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0871740B1 (ko) * 2006-08-31 2008-12-05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용 통합 파일 포맷 구조를 가진 데이터를 기록한 기록 매체,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3233B1 (en) 2003-03-12 2010-09-0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note flags
KR100694084B1 (ko) 2005-01-21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 방법, 인쇄 제어 방법, 인쇄 장치 및 멀티미디어제공 장치
JP2006309470A (ja) * 2005-04-27 2006-11-09 Xing Inc コンテンツ提供方法、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KR100830689B1 (ko) * 2006-03-21 2008-05-20 김태정 청킹을 이용한 언어학습용 멀티미디어 재생방법 및 상기 재생방법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070245223A1 (en) * 2006-04-17 2007-10-18 Microsoft Corporation Synchronizing multimedia mobile notes
US8677241B2 (en) * 2007-09-10 2014-03-18 Vantri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to video adaptation
CN101640664B (zh) * 2008-07-31 2014-11-26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互联网门户服务系统及其管理方法
US10970116B2 (en) 2017-02-08 2021-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mory management applicable to distributed data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7008A (ja) * 2000-06-14 2001-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ンテンツ検索配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検索配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380B1 (ko) * 2005-12-08 2007-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 치환이 가능한 대화형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0871740B1 (ko) * 2006-08-31 2008-12-05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용 통합 파일 포맷 구조를 가진 데이터를 기록한 기록 매체,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78496A (ja) 2004-06-24
KR100614549B1 (ko) 2006-08-25
CN1241139C (zh) 2006-02-08
HK1064159A1 (en) 2005-01-21
CN1504920A (zh) 2004-06-16
JP4232445B2 (ja) 2009-03-04
TW200422882A (en) 2004-11-01
CN2692741Y (zh) 2005-04-13
TWI243322B (en) 200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7126A (e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imag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musical accompaniment playing apparatus
US5286907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musical accompaniment information
US5886275A (en) Transporting method of karaoke data by packets
US5454723A (en) Karaoke apparatus and method for medley playback
JP2007522591A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ファイルの歌詞提供システム
KR100614549B1 (ko)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 파일 배신 방법, 파일 배신 장치 및 파일 배신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 매체
JP4513644B2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
US20090037006A1 (en) Device, medium, data signal, and method for obtaining audio attribute data
JP2001283516A (ja) 再生可能なデータをデータ担体上に書き込む方法
JP4400363B2 (ja) 音源システム、楽曲ファイル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楽曲ファイル作成ツール
JP2005164635A (ja) 再生装置、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3178462B2 (ja) 楽曲データ配信装置
JP3183374B2 (ja) カラオケデータ配信装置および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H09152878A (ja) カラオケ装置
JP4546431B2 (ja) 曲データ提供装置、曲データ提供方法、曲データ切り出しプログラム
JP3941616B2 (ja) 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の配信方法
KR20060027973A (ko)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장치 및 방법
JP3381508B2 (ja) カラオケ装置
JP4921033B2 (ja) 楽曲属性データ配信方法および携帯型音楽ファイル再生端末
JP2002203117A (ja) 著作物コンテンツの配信システム及び配信方法
JP2004110342A (ja) コンテンツファイル生成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取出し装置およびそれら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74623B2 (ja) 音源システム及び楽曲ファイル作成ツール
EP2023349A1 (en) Device, program, and method for obtaining audio attribute data
JP2001350483A (ja) データ配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データ配信サーバ
JP2004205888A (ja) カラオケ録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