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8013A - 자동차용 루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루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8013A
KR20040048013A KR1020020075759A KR20020075759A KR20040048013A KR 20040048013 A KR20040048013 A KR 20040048013A KR 1020020075759 A KR1020020075759 A KR 1020020075759A KR 20020075759 A KR20020075759 A KR 20020075759A KR 20040048013 A KR20040048013 A KR 20040048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discharge hole
main body
cap
ai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군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5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8013A/ko
Publication of KR20040048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01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버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버스, 승합차 등의 천정에 설치한 냉방 덕트에 설치하는 루버에 관한 것으로서, 풍향 및 풍량 조절이 간편하고, 구조를 단순화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1은 덕트, 2는 상기 덕트(1)에 형성한 통공, 3은 상기 덕트(1)의 구멍(2)에 위치되게 덕트(1)에 고정한 캡, 4는 상기 캡(3)의 내면에 설치한 스폰지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의 지지편(4)이다.
20은 루버 본체로서, 상기 루버 본체(20)는 공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캡(3)내에 지지편(4)에 접촉되어 동심원으로 회전할 수 있게 삽입하고, 그 표면에 토출공(21)(21')을 대칭되게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루버 {LOUV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버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버스, 승합차 등의 천정에 설치한 냉방 덕트에 설치하는 루버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 특히 버스, 승합차 등은 천정의 일측 또는 양측에 냉방 덕트를 설치하여 냉풍을 하향 토출하여 냉방을 하고 있으며, 냉방 덕트의 저면에는 그 풍량 및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루버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탑승자가 직접 원하는 풍량 및 풍향을 조절하고 있다.
종래의 루버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1)에 구멍(2)을 형성하여 횡단면이 원형이고 상·하에 개방부가 형성된 공동을 형성한 호상의 캡(하우징)(3)을 고정하고, 상기 캡(3)의 내면에는 스폰지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의 지지편(4)을 접착 등으로 고정 설치하며, 상기 캡(3)의 공동에는 상·하가 개방된 토출로(6)를 형성함과 동시에 횡단면을 상기 캡(3)과 동일 형상으로 한 루버 본체(5)를 그 외면이 상기 지지편(4)에 접촉되어 회전할 수 있게 삽입하며, 상기 루버 본체(5)의 토출로(6)의 하방 중앙에는 루버 본체(5)에 일체로 지지편(7)을 형성하여 노브(9)를 설치한 베벨 기어(8)를 지지하고, 상기 루버 본체(5)의 베벨 기어(8) 상부에는 2개의 윙(10)(10')을 핀(12)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윙(10)(10')의 하방에는 상기 베벨 기어(8)와 이물림되는 섹터형 베벨 기어(11)(11')를 윙(10)(10')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루버는 풍향을 조절할 때에는 탑승자가 루버 본체(5)를 잡고 루버 본체(5)를 회전시키면 루버 본체(5)의 외면은 캡(3)의 내면에 설치한 지지편(4)에 접촉된 상태로 임의방향으로 회전하여 루버 본체(5)의 토출로(6)의 하방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토출 풍향을 조절하고, 풍량을 조절할 때에는 노브(9)를 정·역회전하면 베벨 기어(8)에 의하여 섹터형 베벨 기어(11)(11')가 회전하여 윙(10)(10')의 상방이 도 3의 화살표와 같이 회전함으로써 윙(10)(10')이 토출로(6)의 횡단면적을 축소 또는 확대하여 토출 풍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루버는 풍량을 조절할 때에는 루버 본체(5)를, 풍향을 조절할 때에는 노브(9)를 조작하여야 함으로써 번잡하고 불편하며, 또한 풍량 조절기구는베벨 기어(8), 노브(9), 윙(10)(10'), 섹터형 베벨 기어(11)(11') 및 핀(12)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되고, 윙(10)(10')은 루버 본체(5)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탑승자가 풍량조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고 감성적으로만 인식하기 때문에 노브(9)를 무리하게 정·역회전하는 경향이 농후하여 고장의 염려가 많은 것이다.
한편 풍향을 조절할 때 루버 본체(5)를 조작하지 않고 노브(9)를 조작하는 탑승자도 일부 있으나 이 경우에 베벨 기어(8)가 회전되어 원하지 않는 풍량도 조절되기 때문에 쾌적성 및 편의성이 저하되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풍향 및 풍량 조절이 간편하고, 구조를 단순화한 자동차용 루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덕트에 형성한 구멍에 고정한 캡과, 상기 캡에 삽입하고 공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토출공을 대칭되게 형성한 루버 본체로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루버 본체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루버 본체의 변형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것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 : 캡20 : 루버 본체21, 21' : 토출공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치 상태 단면도로서, 1은 덕트, 2는 상기 덕트(1)에 형성한 통공, 3은 상기 덕트(1)의 구멍(2)에 위치되게 덕트(1)에 고정한 캡, 4는 상기 캡(3)의 내면에 설치한 스폰지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의 지지편(4)으로서, 상기 구성요소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20은 루버 본체로서, 상기 루버 본체(20)는 공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캡(3)내에 지지편(4)에 접촉되어 동심원으로 회전할 수 있게 삽입하고, 그 표면에 토출공(21)(21')을 대칭되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토출공(21)(21')은 도 2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 본체(20)의 어느 지점을 기준으로 대구경 토출공(210)을 형성하고, 상기 대구경 토출공(210)의 주위에 상기 대구경 토출공(10) 보다 직경이 작은 수개의 중구경 토출공(211)을 형성하며, 상기 중구경 토출공(211)의 주위에 중구경 토출공(211) 보다 그 직경이 작은 소구경 토출공(212)을 다수열을 구분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토출공(21)(21')은 상기한 동심원으로 형성한 것 이외에 도 3과 같이 각 토출공(210)(211)(212)을 각각 집단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풍량 및 풍향을 조절할 때에 루버 본체(20)만을 탑승자가 임의방향으로 회전하면 풍량 및 풍향이 조절되는 바,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서 루버 본체(20)를 하부의 토출공(21')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임의방향으로 캡(3)의 하방 개방부에서 완전히 노출되게 회전하면 상부의 토출공(21)도 완전 노출되어서 최대 풍량이 유지됨으로 풍량은 조절되지 않고 풍향만 360도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풍량 및 풍향을 동시에 조절할 때에는 상기 최대 풍향이 유지되도록 조절할 때와 같이 루버 본체(20)를 임의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토출공(21')의 일부를 캡(3)에 의하여 폐쇄하면 풍향이 조절되고 풍량이 감소되며, 상기 상태에서 루버 본체(20)를 동일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토출공(21')의 폐쇄가 더욱더 커져서 풍향은 더욱더 조절되고 풍량이 더욱더 감소되며, 토출공(21')을 캡(3)으로 완전히 폐쇄되면 풍량은 완전히 토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풍량 및 풍향을 조절할 때 토출공(21)(21')을 대구경, 중구경,소구경 토출공(210)(211)(212)을 동심원상 또는 집단화하여 구분 형성하였음으로 풍량 조절을 다양화함과 동시에 미세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루버 본체(20)를 공형상을 형성하고 토출공(21)(21')을 대칭되게 형성하였음으로 루버 본체(20)만을 회전하면 풍량 및 풍향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절이 간편하여 편의성이 증진되고, 풍량 및 풍향은 탑승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음으로 그 조절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구조가 단순화되어 고장의 염려가 없고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루버 본체를 공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토출공을 대칭되게 형성하여 탑승자가 루버 본체만을 임의방향으로 회전하면 풍량 및 풍향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 조절이 간편하여 편의성이 증진되고, 구조가 단순화되어 고장의 염려가 없는 것이다.

Claims (4)

  1. 덕트에 형성한 구멍에 고정한 캡과, 상기 캡에 삽입하고 공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토출공을 대칭되게 형성한 자동차용 루버.
  2. 제 1 항에 있어서, 토출공은 대구경 토출공, 중구경 토출공, 소구경 토출공을 구분하여 형성한 자동차용 루버.
  3. 제 2 항에 있어서, 대구경 토출공, 중구경 토출공, 소구경 토출공은 동심원상으로 형성한 자동차용 루버.
  4. 제 2 항에 있어서, 대구경 토출공, 중구경 토출공, 소구경 토출공은 각각 집단으로 형성한 자동차용 루버.
KR1020020075759A 2002-12-02 2002-12-02 자동차용 루버 KR20040048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759A KR20040048013A (ko) 2002-12-02 2002-12-02 자동차용 루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759A KR20040048013A (ko) 2002-12-02 2002-12-02 자동차용 루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013A true KR20040048013A (ko) 2004-06-07

Family

ID=3734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759A KR20040048013A (ko) 2002-12-02 2002-12-02 자동차용 루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801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383U (ko) * 1994-09-30 1996-04-12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샤워형 에어 벤틸레이터
JPH10181346A (ja) * 1996-11-25 1998-07-07 Daimler Benz Ag 通風ノズル
JP2002071204A (ja) * 2000-08-25 2002-03-08 Nippon Plast Co Ltd 風向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383U (ko) * 1994-09-30 1996-04-12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샤워형 에어 벤틸레이터
JPH10181346A (ja) * 1996-11-25 1998-07-07 Daimler Benz Ag 通風ノズル
JP2002071204A (ja) * 2000-08-25 2002-03-08 Nippon Plast Co Ltd 風向調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910A (en) Air outlet register for an opening in a vehicle
CN108215722B (zh) 用于调节机动车辆的细长型通风口的气流方向的装置
US20080119125A1 (en) Ventilation System Air Vent For The Passenger Space Of A Vehicle
US20230286355A1 (en) Wind direction controlling device of slim-type air vent for automobile
CN107054008B (zh) 用于车辆的排气装置
CN113306361B (zh) 用于车辆的通风装置
US11370275B2 (en) Fluid discharge device
JP2006264550A (ja) パームレスト部の構造
US11884125B2 (en) Air ventilator for automobile
EP3737574A1 (en) Air vent for a vehicle
KR20040048013A (ko) 자동차용 루버
KR20050064821A (ko) 자동차 냉방장치용 루버
WO2019151416A1 (ja) 車両用空調装置
CN113291129A (zh) 用于车辆的通气道装置
KR20200124493A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JP2005337607A (ja) 風向調整装置
JP2005153775A (ja) 車両用空調装置
JP7372093B2 (ja) 車両用空気吹き出し装置
KR102598164B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CN217532491U (zh) 车辆出风口结构、副仪表台及车辆
US20180105275A1 (en) Coaxial fluid vent and electronic control for a fluid valve for aircraft
KR20070060890A (ko) 차량용 에어밴트
KR20210102549A (ko) 탈착식 차량용 무풍송출구
CN117207754A (zh) 用于车辆的顶蓬内衬通风装置
KR20000004046U (ko)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의 덕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