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5537A -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있도록 표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있도록 표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5537A
KR20040045537A KR1020020073343A KR20020073343A KR20040045537A KR 20040045537 A KR20040045537 A KR 20040045537A KR 1020020073343 A KR1020020073343 A KR 1020020073343A KR 20020073343 A KR20020073343 A KR 20020073343A KR 20040045537 A KR20040045537 A KR 20040045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anguage selection
selection state
languag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대환
Original Assignee
지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대환 filed Critical 지대환
Priority to KR1020020073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5537A/ko
Publication of KR2004004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53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3Language ident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가 입력창에 입력을 할 때에, 언어선택을 잘못한 상태에서 입력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이미 입력된 것을 지우고 언어선택을 바꾸어서 다시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는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며, 특히 웹사이트에서는 사용자가 처음 로그인을 할 때에 많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언어선택상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언어선택을 잘못한 상태에서 입력하는 불편함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입력창을 비롯한 사용자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위치에 표시를 하면 사용자는 언어선택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방법{the way which every user can easily recognize a language choice of each user}
사용자가 입력창에 글을 입력할 때에 선택된 언어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잘못된 언어선택을 한 상태에서 입력하다가다시 지우고 언어선택을 바꾸어 입력하게 되는 불편함을 줄여주고자 한다.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하였을 때에 입력창에 글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언어선택을 잘못한 상태에서 입력을 하다가 잘못되었음을 발견하고 지운다음, 언어선택을 변경하여 다시 입력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영어로 계정(아이디)를 입력해야 하는 곳에서 언어선택이 되어있어서 한글로 입력하게 되면, 지우고 언어선택을 바꾸어 다시 입력해야 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 만든 MS-window의 경우에는 화면의 하단에 언어선택상태를 보여주기도 하지만, 실제로 입력해야 하는 입력창과 시각적인 거리가 멀기 때문에 사용자는 현재 언어선택된 상태를 쉽게 인식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MS-window에서는 영어와 한글 선택만을 크게 구분하여 표시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영어의 경우에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표시하고, 한글의 경우에는 경음화 여부를 표시해 주기도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언어선택 상태를 직관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지 웹사이트에서만 유용한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에 모두 응용될 수가 있다.
제1도는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방법
제2도는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구분하여 표현하는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
제3도는 언어선택 상태를 입력창의 안쪽, 또는 주변에 표시하는 방법
제4도는 언어선택 상태를 입력 cursor 또는 입력 cursor 주변에 표시하는 방법
제5도는 언어선택 상태를 마우스 포인트 또는 마우스포인트 주변에 표시하는 방법
제6도는 언어선택 상태가 변경되었을 경우에 이를 인식하여 언어선택 상태 표시 이미지를 변경하는 과정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언어선택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입력창 근처에 언어선택된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된 언어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한글 운영체제 사용자는 일반적인 경우에 한글과 영어를 입력할 수가 있다. 그리고 한글을 입력하거나 영어를 입력할 때에 'shift'단추를 누르고 입력하느냐 않느냐에 다르게 입력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한글 선택 상태에서 'shift'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하면 'ㄱ'이라고 입력되어야 하는 것이,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입력하면 'ㄲ'이 된다. 또한 영어 선택 상태에서 'shift'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하면 'a'라고 입력되어야 하는 것이,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입력하면 'A'가 된다.
즉, 사용자의 입력은 영어, 한글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고, 'shift'누르냐 않느냐에 따라 한글에서는 경음화 여부가 영어에서는 대분자인지 소문자인지가 결정한다.
따라서 언어상태 표시는 영어, 한글 상태 표시뿐만 아니라 'shift'기능키를 눌렀는지 여부도 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shift'기능키가 눌러졌는지에 대한 판단이라 함은 단지 'shift'기능키가 눌러졌는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caps lock'키 상태를 포함하여 어떠한 언어선택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제1도는 언어선택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방법을 그림으로 설명한 것이다. 입력창의 안에 back-ground 이미지로 현재 언어선택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넣어 두면, 해당 입력창에 입력을 하려고 하는 사용자는 입력창에 입력을 하려는 순간 직관적으로 언어선택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제2도는 어떠한 이미지를 사용하면 언어선택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식시킬 수있는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언어선택 상태를 입력창 안에 back-ground로 표시할 수가 있다. 표시되는 이미지는 언어선택 상태에 따라 다른데, 그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를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ㄱ', 'ㄲ', 'a', 'A'와 같은 방식으로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가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가나다', '', 'abc', 'ABC'와 같은 방식으로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가 있다. 즉,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에 따라 다르게 입력되게 되는 대표적인 결과를 이미지화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면 되는 것이다. 즉, 언어선택 상태에 따라 조합되어 만들어 질 수 있는 글자를 이미지로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표시방식은 단지 한글과 영어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모든 언어에 응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모든 언어에서 해당언어의 선택상태에 따라 입력되는 대표적인 결과를 이미지화하여 보여주면 되는 것이다.
입력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쉽게 끌 수 있는 것은 '입력창'과 '입력 cursor'와 '마우스 포인트'이다. 따라서 각각의 위치에 표시를 하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제3도는 언어선택 상태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이미지를 입력창 안 또는 입력창의 주변에 표시하는 것을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언어선택 상태 이미지를 입력창 안에 표시하는 방법(300)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언어선택상태를 입력창의 상하좌우에 표시하는 방법(310, 320, 330, 34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4도는 언어선택 상태를 입력 cursor 또는 입력 cursor 주변에 표시하는 것을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언어선택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는 입력 cursor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입력 cursor(420)와 언어선택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430)가 함께 이동하므로 입력 cursor(420)와 언어선택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430)가 실제로는 분리되어 있는지, 아니면 입력 cursor 자체에 언어선택 상태 표시 이미지를 포함시키느냐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
제4도는 언어선택 상태를 마우스포인트 주변에 표시하는 것을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언어선택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510)는 마우스 포인트(500)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마우스 포인트(500)와 언어선택 상태 표시 이미지(510)갈 실제로는 분리되어있는지, 아니면 마우스 포인트 자체에 언어선택상태 표시 이미지를 포함시키는 지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
제5도는 언어선택 상태 변경시 이를 반영하여 언어선택 상태 표시 이미지를 변경하는 과정에 대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언어선택 상태를 변경하면(610) 이를 즉시 인식하여(620) 언어선택상태 표시 이미지를 변경(630)한다.
사용자의 언어선택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잘못된 언어선택으로 인하여 다시 입력하게 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웹상에서 언어선택을 잘못하여 입력하는 경우는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짜증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을 통하여 사용자가 언어선택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게 되면, 사용자가 언어선택을 잘못하여 입력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는 편리함을 줄 것이며, 사용자는 웹사이트의 친절한 배려에 만족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지 웹에서만 유용한 것이 아니며, 사용자가 언어를 입력해야 하는 모든 경우에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입력창 안 또는 입력창 주변에 이미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방법
  2.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입력 cursor 주변에 이미지로 표시하거나 입력 cursor 자체에 언어선택 상태 표시 이미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방법
  3.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마우스 포인트 주변에 이미지로 표시하거나 마우스 포인트 자체에 언어선택 상태 표시 이미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방법
  4. 언어선택 상태가 변경되면 이를 즉시 인식하여 언어선택 상태 표시 이미지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방법
  5. 언어선택 상태에 따라 조합되어 입력될 수 있는 글자를 이용하여 언어선택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방법
  6. 영어 또는 한글처럼 어느 나라의 언어가 선택되었는지 뿐만 아이라 영어의 경우에는 대소문자, 한글의 경우에는 경음화 여부 등의 추가적인 언어표기 상의 정보까지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방법
KR1020020073343A 2002-11-23 2002-11-23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있도록 표시하는 방법 KR20040045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343A KR20040045537A (ko) 2002-11-23 2002-11-23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있도록 표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343A KR20040045537A (ko) 2002-11-23 2002-11-23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있도록 표시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537A true KR20040045537A (ko) 2004-06-02

Family

ID=3734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343A KR20040045537A (ko) 2002-11-23 2002-11-23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있도록 표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553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462A (ko) * 1997-03-14 1998-11-05 김광호 컴퓨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운용방법
JP2001119510A (ja) * 1999-10-20 2001-04-27 Ricoh Co Ltd 操作パネル及び該操作パネル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JP2002292982A (ja) * 2001-03-30 2002-10-09 Casio Comput Co Ltd 印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462A (ko) * 1997-03-14 1998-11-05 김광호 컴퓨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운용방법
JP2001119510A (ja) * 1999-10-20 2001-04-27 Ricoh Co Ltd 操作パネル及び該操作パネル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JP2002292982A (ja) * 2001-03-30 2002-10-09 Casio Comput Co Ltd 印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4282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apability for interpreting user inputs and method therefor
US20190171357A1 (en) Space optimizing micro keyboard method and apparatus
US6160555A (en) Method for providing a cue in a computer system
US8928610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ocument data editing method
KR20040067855A (ko) 텍스트 입력 방법 및 장치
CN107368198B (zh) 输入显示装置以及输入显示方法
US9239657B2 (en) Characters input method
JP2005196250A (ja) 情報入力支援装置及び情報入力支援方法
JPH10124505A (ja) 文字入力装置
JP4030575B2 (ja)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タッチ式キー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21661B2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0045537A (ko) 사용자의 언어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있도록 표시하는 방법
WO2013157157A1 (ja) 入力文字列変換装置、電子機器、入力文字列変換方法、文字列変換プログラム
JP5182304B2 (ja) データ入力装置
JP2004310543A (ja)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キャラクター入力方法、キャラクター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11250180A (ja) 手書き文字入力システムおよび手書き文字入力方法
KR101511778B1 (ko) 컴퓨터용 숫자키패드를 이용한 비연동 숫자입력 및 문자입력 방법 및 그 장치
JP3830538B2 (ja) データ処理装置の表示方法及びデータ処理装置
KR100488042B1 (ko) 리모콘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JP2003288155A (ja) 文字列入力プログラム
KR10035690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
KR100532092B1 (ko) 커서를 이용한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문 대소문자 구분방법 및 그 장치
KR101695377B1 (ko) 목차가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H05250520A (ja) 手書き入力システム
JP5733380B2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