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870A -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870A
KR20040044870A KR10-2004-7003481A KR20047003481A KR20040044870A KR 20040044870 A KR20040044870 A KR 20040044870A KR 20047003481 A KR20047003481 A KR 20047003481A KR 20040044870 A KR20040044870 A KR 20040044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contrast
luminance
approximately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7507B1 (ko
Inventor
마스미쯔 이노
마사히로 오찌아이
히데마사 야마구찌
도시까즈 마에까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293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8768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29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84681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4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6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constructional aspects of navigation devices, e.g. housings, mountings,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Incandescent lamp or gas discharge lamp
    • G02B6/0071Incandescent lamp or gas discharge lamp with elongated shape, e.g. tub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23Arrangements for providing a switchable view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에서의 표시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표시 화상의 사이드 유리로의 투영을 없앤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및 이것을 모니터로서 이용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이다. 대쉬 보드 중앙부에 액정 표시 장치를 배치한 경우에,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까지 대략 20㏈(10배) 이하가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인성을 최적으로 하고, 또한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 이상에서 대략 -20㏈ 이상 감소하도록 설정한다.

Description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CAR-MOUNTED DISPLAY AND CAR NAVIGATION SYSTEM}
최근,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급속히 보급되어 왔다. 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안전성의 관점에서 차가 주행 중일 때에는 조수석의 동승자가 표시 장치의 표시 화상을 보고 운전자에게 알려주지만, 동승자가 없는 경우나 운전자가 혼자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차를 정차시켜 표시 화상을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석 및 조수석 양쪽에서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을 확실하게 시인하여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표시 장치로, 소형이며 저소비 전력의 특징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동일한 액정 전압에 대하여 표시 화면을 보는 각도에 따라 투과율이 달라 시야각 의존성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시야각 의존성이 크면 표시 화면을 보는 각도의 범위가 한정된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 종래 동일한 신호 전압에 대하여 하나의 화소 내 또는 인접 화소에서 다른 액정 화소 전압을 얻음으로써, 액정 패널 전체적으로 시야각을 넓힐 수 있고, 또한 보상 전위의 값을 화면의 상부로부터 하부로의 주사에 대응시켜 순차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화면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액정 전압을 순차 변화시켜서, 화면의 시각에 의한 시야각 의존성을 없애도록 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제3011072호 공보 참조).
또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정면 방향에서 가장 높은 휘도를 나타내고, 소정의 시야각을 넘은 방향에서는 시야각의 증가에 수반하여 완만하게 저하하는 휘도 분포를 갖도록 한 기술도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제3106055호 공보 참조).
그러나, 전자의 종래 기술에서는 TV(텔레비전)나 컴퓨터 등의 모니터로서 이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전제로 하여 적극적으로 시야각을 넓게 취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로 이용하는 경우에 시야각이 필요 이상으로 넓으면 차의 좌우 사이드 유리로의 표시 화면이 넓은 시야각에 의한 투영이 발생하여, 차의 회전이나 보행자의 확인 등 좌우의 시야를 확인할 때 운전에 장해가 된다.
한편, 후자의 종래 기술에서는,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액정 TV, 비디오 일체형 액정 TV 등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전제로 하여, 정면 방향에서 가장 높은 휘도를 나타내고, 소정의 시야각을 넘은 방향에서는 시야각의 증가에 수반하여 완만하게 저하하는 휘도 분포를 갖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휘도 분포가 완만하게 저하하면 차의 좌우 사이드 유리로의 표시 화면의 휘도에 의한 투영이 발생하여, 차의 회전이나 보행자의 확인 등 좌우의 시야를 확인할 때 운전에 장해가 된다.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컴퓨터 용도나 TV 용도와는 달리, 표시 장치의 시야각, 휘도 분포에 지향성을 갖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특히,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용도의 액정 표시 장치는 운전석측과 조수석측 양쪽으로부터의 시인성의 향상이 요구된다. 더구나, 그 이외의 부분, 특히 사이드 유리에 대해서는 운전자의 운전에 장해가 되지 않도록, 액정 표시 장치에 나타난 화상의 투영이 없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으로부터의 표시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하고, 또한 표시 화상의 사이드 유리로의 투영을 없앤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를 모니터로서 이용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는, 차 내 전방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정점을 가짐과 함께,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대략 -20㏈보다도 작고 또한 대략 0㏈보다도 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다. 이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그 모니터로서 이용된다.
상기 구성의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또는 이것을 모니터로서 이용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대략 -20㏈보다도 작고 또한 대략 0㏈보다도 크도록 설정함으로써,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시야각 내에서 10배 이내로 억제되어, 휘도와 콘트라스트가 양호한 조건이 되기 때문에 표시 화상의 시인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는 차 내 전방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25°∼대략 35° 사이에 정점을 갖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다. 그 외의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그 모니터로서 이용된다.
상기 구성의 다른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또는 이것을 모니터로서 이용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표시면에 대하여 좌우 각각 대략 30°의 각도에 조수석 및 운전석이 위치하기 때문에, 표시 화면의 좌우 각각 대략 25°∼대략 35° 사이에 정점을 갖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가짐으로써,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으로부터의 표시 화상의 시인성이 최적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는, 차 내 전방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정점을 100%로 했을 때, 표시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 사이에서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30% 이상 변화하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다. 이 또 다른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그 모니터로서 이용된다.
상기 구성의 또 다른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또는 이것을 모니터로서 이용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 사이에서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30% 이상 변화하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가짐으로써, 좌우 사이드 유리에 대한 휘도 혹은 콘트라스트가 운전석측이나 조수석측보다도 극단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표시 화상의 좌우 사이드 유리로의 투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의 대쉬 보드 중앙부에 배치되어 이용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및 이것을 모니터로서 이용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용 액정 표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광 제어 필름을 제외한 배면 광학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실시예 1에 따른 휘도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실시예 1에 따른 콘트라스트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하향 프리즘 시트에서의 배향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상향 프리즘 시트에서의 배향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액정 표시 장치의 V-T 특성도.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실시예 2에 따른 휘도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실시예 2에 따른 콘트라스트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실시예 3에 따른 휘도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실시예 3에 따른 콘트라스트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용 액정 표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A와 도 14B는 도광판 내에 배치되는 광 반사 부재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4A는 그 사시도, 도 14B는 그 정면도.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의 실시예 1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의 실시예 2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의 실시예 3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제2 실시 형태의 실시예 4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의 실시예 5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의 실시예 6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 및 콘트라스트를 측정할 때의 측정 개소의 정의의 설명도.
도 22는 표시 영역 상의 실제의 측정 개소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22의 (A)는 액정 표시 장치의 측면도, 도 22의 (B)는 그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예를 들면 차량 탑재용 액정 표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액정 패널(11)은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 각 화소의 스위칭 소자인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나 표시 전극 등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TFT 어레이 기판(12)과, 대향 전극 등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대향 기판(13)을 갖고, 양 기판(12, 13) 사이에 액정이 봉입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TFT 어레이 기판(12) 및 대향 기판(13)으로서는 투명 절연 기판, 예를 들면 유리 기판이 이용된다.
액정 패널(11)의 전면 및 배면에는, 광 시야각 필름을 갖고, 특정한 편광 성분을 투과 또는 흡수하는 편광판(14, 15)이 각각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액정 패널(11)은 개구부(16A)를 갖는 케이스 형상의 샤시(16)에 대하여, 패널 위치 결정 스토퍼(17)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그 개구부(16A)에 부착되어 있다. 이 샤시(16) 내부에는 냉음극 형광관 등의 백 라이트(18A, 18B)가 액정 패널(11)의 배치 영역보다도 상측(도면의 우측) 및 하측(도면의 좌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액정 패널(11)의 배면측에는 광 제어 필름(19), 상향 프리즘 시트(20), 확산 시트(21), 하향 프리즘 시트(22), 도광판(23) 및 반사 시트(24)가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구성 부재는 백 라이트(18A, 18B)와 함께 배면 광학계를 구성하고 있다. 도 2는 광 제어 필름(19)을 제외한 배면 광학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배면 광학계에서 백 라이트(18A, 18B)는 액정 표시를 위한 광원으로,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광 제어 필름(19)은 운전자 또는 조수석의 동승자(이하, 단순히 「운전자」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음)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광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상향 프리즘 시트(20)는 도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삼각 기둥형 프리즘 렌즈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프리즘면이 상향(광의 출사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운전자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광을 집광시키는 작용을 한다.
확산 시트(21)는 백 라이트(18A, 18B)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액정 패널(11)에 대하여 균일하게 조사하여 휘도의 평활화를 도모하는 작용을 한다. 하향 프리즘 시트(22)는 도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삼각 기둥형 프리즘 렌즈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프리즘면이 하향(광의 입사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백 라이트(18A, 18B)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광판(23)은 백 라이트(18A, 18B)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액정 패널(11)측에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반사 시트(24)는 도광판(23)에 입사한 광을 액정 패널(11)측에 반사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구조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용 액정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모니터로서 이용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 내 전방의 중앙부, 구체적으로는 대쉬 보드 중앙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대쉬 보드 중앙부에 액정 표시 장치를 배치한 경우, 그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대하여 좌우 각각 대략 30°의 각도로 조수석 및 운전석이 위치하게 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정점을 갖는 휘도 분포에서, 휘도의 변동이 대략 -20㏈(10배)보다도 작고 또한 대략 0㏈(1배)보다도 크도록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정점을 갖는 콘트라스트 분포에서,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대략 -20㏈(10배)보다도 작고 또한 대략 0㏈(1배)보다도 크도록 설정한다.
상술한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에 대해서는, 본래 액정의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중심에 분포하는 것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 프리즘 시트(22)를 이용하여 분산시켜서 평활화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덧붙여서, 액정 패널(11)의 액정에 인가하는 신호의 진폭 전압의 흑(黑) 신호를 억제함으로써 시야각에 의존한 콘트라스트 차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하향 프리즘 시트(22)에서의 분산에 의한 광의 감쇠분을 보간하기 위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 프리즘 시트(20)를 사용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광을 집광시키게 한다. 이에 의해, 특히 액정 패널(11)의 상하 방향의 광을 중심으로 집광시켜서 차량 탑재용으로서 사용 가능한 휘도와 콘트라스트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콘트라스트 분포에 대해서는 액정 패널(11)의 액정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의 진폭을 조정하거나 편광판(14, 15)에서의 광 시야각 필름의 시야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 액정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 V와 액정의 투과율 T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액정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 V에 대하여 그 투과율 T를 변화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콘트라스트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전압 V의 진폭을 작게 함으로써 투과율 T에 대표되는 콘트라스트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쉬 보드 중앙부에 액정 표시 장치를 배치한 경우에,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정점을 갖고,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대략 -20㏈(10배)보다도 작고 또한 대략 0㏈(1배)보다도 크도록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설정함으로써,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시야각 내에서 10배 이내로 억제된 액정 표시의 휘도와 콘트라스트가 양호한 조건이 되기 때문에, 표시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사람의 감각은 데시벨 표시로 대표되듯이, 수치가 10배 이상이 되면 인식할 수 있다. 화상의 변화에 대해서도 이 법칙이 성립하여,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10배 이내이면 사람은 시인성이 저하한다고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차량 탑재용 액정 표시 장치에서도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시야각 내에서 10배 이내로 함으로써, 표시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정점을 갖는 휘도 분포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도의 변동이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까지 정점으로부터 대략 -20㏈(10배) 이하로, 또한 대략 -6㏈(50%)보다도 크도록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정점을 갖는 콘트라스트 분포에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까지 정점으로부터 대략 -20㏈ 이하, 대략 -6㏈ 이상이 되도록 설정한다.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에 대해서는, 하향 프리즘 시트(22)를 이용하여 광을 분산시키고 평활화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콘트라스트에 대해서는 액정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의 진폭 조정이나 광 시야각 필름의 시야각도 조정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정점을 갖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에서,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을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까지 대략 10배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운전석 및 조수석에서 본 표시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액정 표시 장치를 차의 대쉬 보드의 중앙부에 배치한 경우, 운전석과 조수석이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정확하게 좌우 대략 30°의 각도 방향에 위치하기 때문에, 운전자 혹은 조수석 동승자의 자리에서의 미동을 고려하면, 좌우 대략 40°까지는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을 10배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운전석 및 조수석에서 본 표시 화상의 시인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대략 -6㏈(50%)의 변동은 일반적인 특성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정점을 갖는 휘도 분포에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도가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 이상에서 대략 -20㏈(10배) 이상 감소하도록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정점을 갖는 콘트라스트 분포에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라스트가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 이상에서 대략 -20㏈ 이상 감소하도록 설정한다.
이 경우에도,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향 프리즘 시트(22)를 이용하여 광을 분산시켜 평활화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콘트라스트에 대해서는 액정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의 진폭 조정이나 광 시야각 필름의 시야각도 조정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인성을 최적으로 한 상태에서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를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 이상에서 대략 -20㏈ 이상 감소시킴으로써, 휘도 또는 시야각이 대략 40° 이상으로 급격히 저하하기 때문에, 운전석측에서 본 좌우 사이드 유리로의 휘도 분포 또는 시야각 분포에 의한 투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화상이 차의 좌우 사이드 유리에 투영하는 것에 기인하는 차의 운전 장해를 회피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예를 들면 차량 탑재용 액정 표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로, 도 13에서 도 1과 동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용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백 라이트(18A, 18B)로부터 공급되는 광(이하, 「백 라이트 광」이라고 기재함)을 액정 패널(11)측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하는 도광판(23) 내에, 크고 작은 광 반사 부재(25)가 다수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용 액정 표시 장치와 구조 상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이들 광 반사 부재(25)는 도 14A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5면체의 형상을 이루고 있고, 백 라이트 광을 액정 패널(11)의 법선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이 때, 수평 방향의 백 라이트 광은 도 14A와 도 14B의 A면 혹은 B면에 입사하고, 이들 반사면 A, B에서 반사된다. 이들 반사면 A, B의 반사각 C, D를 조정함으로써 액정 패널(11)의 휘도 분포를 설정할 수 있다.
또, 광 반사 부재(25)의 구조에 관해서는 상기한 5면체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면체 이상의 복수 면체의 구조이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하향 프리즘 시트(22)의 프리즘 렌즈의 배열 분포를 바꿈으로써, 원하는 휘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조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용 액정 표시 장치도, 예를 들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모니터로서 이용되고, 차 내 전방의 중앙부, 구체적으로는 대쉬 보드 중앙부에 배치된다(도 3 참조).
(실시예 1)
그래서, 실시예 1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특성에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각각 대략 25°∼대략 35°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좌우 각각 대략 30°에 정점을 갖도록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설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휘도 분포에 대해서는 하향 프리즘 시트(22)의 프리즘 렌즈의 분포를 조정하거나 도광판(23) 내에 배치된 광 반사 부재(25)의 반사면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좌우 각각 대략 25°∼대략 35° 사이에 휘도의 피크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콘트라스트 분포에 대해서는, 액정 패널(11)의 액정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의 진폭을 조정하거나 편광판(14, 15)에서의 광 시야각 필름의 시야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좌우 각각 대략 25°∼대략 35° 사이에 콘트라스트의 피크를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하는 V-T 특성도에서, 액정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 V에 대하여 그 투과율 T를 변화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콘트라스트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쉬 보드 중앙부에 액정 표시 장치를 배치한 경우에, 표시면에 대하여 좌우 각각 대략 30°의 각도에 조수석 및 운전석이 위치하기 때문에, 좌우 각각 대략 25°∼대략 35°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좌우 각각 대략 30°에 정점을 갖도록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설정함으로써,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에서의 표시 화상의 시인성이 최적이 된다.
또, 도 15의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분포도에서, 운전석측의 피크값과 조수석측의 피크값을 거의 동일해지도록 설정하였지만, 조수석에 동승자가 없는 경우도 있어, 운전석측이 주체가 되기 때문에, 조수석측의 피크값보다도 운전석측의 피크값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운전석측으로부터의 표시 화상의 시인성을 보다 최적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이, 좌우 각각 대략 25°∼대략 35° 사이에,바람직하게는 좌우 각각 대략 30°에 정점을 갖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에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에서 값이 30% 이상 감소하도록 설정하도록 한다.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휘도에 대해서는 하향 프리즘 시트(22)의 프리즘 렌즈의 분포 조정이나 도광판(23) 내에 배치된 광 반사 부재(25)의 반사면의 각도 조정에 의해 실현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에 대해서는 액정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의 진폭 조정이나 광 시야각 필름의 시야각도 조정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인성을 최적으로 한 상태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에서 값이 30% 이상 감소하도록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설정함으로써, 좌우 사이드 유리에 대한 휘도 혹은 콘트라스트가 운전석측이나 조수석측보다도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표시 화상의 좌우 사이드 유리로의 투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화상이 차의 좌우 사이드 유리에 투영하는 것에 기인하는 차의 운전 장해를 회피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좌우 각각 대략 25°∼대략 35°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좌우 각각 대략 30°에 정점을 갖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에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 이상에서 값이 50% 이하로 감소하도록 설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휘도에 대해서는 하향 프리즘 시트(22)의 프리즘 렌즈의 분포 조정이나 도광판(23) 내에 배치된 광반사 부재(25)의 반사면의 각도 조정에 의해 실현할 수 있고, 콘트라스트에 대해서는 액정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의 진폭 조정이나 광 시야각 필름의 시야각도 조정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인성을 최적으로 한 상태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에서 값이 50% 이하로 감소하도록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설정함으로써, 실시예 2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확실하게 표시 화상의 좌우 사이드 유리로의 투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대략 0°)에 정점을 갖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에 있어서,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에서 값이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감소하도록 설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휘도에 대해서는 하향 프리즘 시트(22)의 프리즘 렌즈의 분포 조정이나 도광판(23) 내에 배치된 광 반사 부재(25)의 반사면의 각도 조정에 의해 실현할 수 있고, 콘트라스트에 대해서는 액정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의 진폭 조정이나 광 시야각 필름의 시야각도 조정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심에 정점을 갖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의 경우에는, 운전석과 조수석 중간에서의 시인성이 최적이 되고,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인성이 약간 떨어지지만,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에서 값이 30% 이상 감소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좌우 사이드 유리에 대한 휘도 혹은 콘트라스트가 운전석측이나 조수석측보다도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표시 화상의 좌우 사이드 유리로의 투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좌우 대략 35°까지 일정한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에서 값이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감소하도록 설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휘도에 대해서는 하향 프리즘 시트(22)의 프리즘 렌즈의 분포 조정이나 도광판(23) 내에 배치된 광 반사 부재(25)의 반사면의 각도 조정에 의해 실현할 수 있고, 콘트라스트에 대해서는 액정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의 진폭 조정이나 광 시야각 필름의 시야각도 조정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가 중심으로부터 좌우 대략 35°까지 일정함으로써,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인성을 그 중간 위치도 포함시켜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더구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에서 값이 30% 이상 감소하도록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설정함으로써, 좌우 사이드 유리에 대한 휘도 혹은 콘트라스트가 운전석측이나 조수석측보다도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표시 화상의 좌우 사이드 유리로의 투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6)
실시예 6에서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대략 0°)에 정점을 갖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 사이에서 값이 10% 정도까지 급격히 감소하도록 설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휘도에 대해서는 하향 프리즘 시트(22)의 프리즘 렌즈의 분포 조정이나 도광판(23) 내에 배치된 광 반사 부재(25)의 반사면의 각도 조정에 의해 실현할 수 있고, 콘트라스트에 대해서는 액정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의 진폭 조정이나 광 시야각 필름의 시야각도 조정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심으로 정점을 갖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인 경우에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중간에서의 시인성이 최적이 되고,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인성이 약간 떨어지지만,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 사이에서 값이 10% 정도까지 급격히 감소하도록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설정함으로써, 좌우 사이드 유리에 대한 휘도 혹은 콘트라스트가 운전석측이나 조수석측보다도 급격히 낮아지기 때문에, 표시 화상의 좌우 사이드 유리로의 투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 및 콘트라스트의 측정에 대하여, 도 21 및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측정 개소를 정의하는 설명도이고, 도 22는 표시 영역 상의 실제의 측정 개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의 (A)는 액정 표시 장치의 측면도, 도 22의 (B)는 그 평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 및 콘트라스트를 측정함에 있어서는 표시 영역의 한가운데에 수평 방향으로 기준선 C를 그어서, 이를 따라 휘도 및 콘트라스트를 측정한다. 이 때, 중앙의 D점을 0°로 하여, 좌우에 시야각을 파라미터로 하여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가 얻어지도록, 휘도에 대해서는 하향 프리즘 시트(22)의 프리즘 렌즈의 분포나 도광판(23) 내에 배치된 광 반사 부재(25)의 반사면의 각도를 조정하고, 콘트라스트에 대해서는 액정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의 진폭이나 광 시야각 필름의 시야각도를 조정한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셀로서 액정 셀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셀로서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EL) 소자를 이용한 EL 표시 장치 등의 다른 표시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여, 요컨대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게 할 수 있으면 된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3에서, 위치 추측부(31)에는 거리 센서(32) 및 방위각 센서(33)가 접속되어 있다. 위치 추측부(31)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거리 센서(32) 및 방위각 센서(33)로부터 각각 이동 거리 및 방위각 변동 정보를 판독하여, 이들 정보에 기초하는 추측 항법에 의해서 차량의 현재 위치를 추측한다.
위치 추측부(31)에는 또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34)가 접속되어 있다. 위치 추측부(31)는 GPS 수신기(34)로부터 방위·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추측 결과를 보정하는 처리를 행하고, 최종적인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모니터(35)에 공급한다. 모니터(35)에는 CD-ROM 등의 기록 매체(36)에 기록되어 있는 지도 정보가 드라이버(37)를 통하여 공급됨으로써 현재지 주변의 지도가 표시됨과함께, 그 지도 상에 위치 추측부(31)로부터 공급되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다.
상기 구성의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그 모니터(35)로서 전술하고 제1,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즉 제1 실시 형태의 실시예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혹은 제2 실시 형태의 실시예 1∼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가 이용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실시예 1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표시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실시예 2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인성을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실시예 3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인성을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음과 함께, 표시 화상의 좌우 사이드 유리로의 투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5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인성을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실시예 5의 경우에는 표시 화상의 좌우 사이드 유리로의 투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형태의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인성을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음과 함께, 표시 화상의 좌우 사이드 유리로의 투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6에 따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인성이 약간 떨어지지만, 표시 화상의 좌우 사이드 유리로의 투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것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그 모니터(35)로서 전술한 제1,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운전자나 조수석 동승자에 최적의 표시 상태로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과 함께, 표시 화상의 좌우 사이드 유리로의 투영도 없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최적의 운전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적용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를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모니터로서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 적용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차량 탑재용 TV의 모니터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또는 이것을 모니터로서 이용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그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대략 -20㏈보다도 작고 또한 대략 0㏈보다도 크도록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시야각 내에서 10배 이내로 억제되어,휘도와 콘트라스트가 양호한 조건이 되기 때문에, 표시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25°∼대략 35° 사이에 정점을 갖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표시면에 대하여 좌우 각각 대략 30°의 각도에 조수석 및 운전석이 위치하기 때문에,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으로부터의 표시 화상의 시인성이 최적이 된다.
또한,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 사이에서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30% 이상 변화하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좌우 사이드 유리에 대한 휘도 혹은 콘트라스트가 운전석측이나 조수석측보다도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표시 화상의 좌우 사이드 유리로의 투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6)

  1. 차 내 전방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정점을 가짐과 함께,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대략 -20㏈보다도 작고 또한 대략 0㏈보다도 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까지 정점으로부터 대략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대략 -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 이상에서 대략 -20㏈ 이상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어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표시 셀이 액정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유도하는 광학계 내에, 광을 산란시키는 하향 프리즘 시트를 갖고,
    상기 하향 프리즘 시트에 의해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분산시켜 평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셀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의 진폭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콘트라스트 분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는 광 시야각 필터를 갖고, 특정한 편광 성분을 투과 또는 흡수하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광 시야각 필터의 시야각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콘트라스트 분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9. 차 내 전방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25°∼대략 35° 사이에 정점을 갖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그 정점을 100%로 했을 때,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 사이에서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30% 이상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 이상에서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50% 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어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표시 셀이 액정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유도하는 광학계 내에 광을 산란시키는 하향 프리즘 시트를 갖고,
    상기 하향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 렌즈의 분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휘도 분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유도하는 광학계 내에 광 반사 부재를 내장하고,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상기 광 반사 부재에 의해 반사하여 상기 표시 패널측에 유도하는 도광판을 갖고,
    상기 광 반사 부재의 반사면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휘도 분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셀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의 진폭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콘트라스트 분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는 광 시야각 필터를 갖고, 특정한 편광 성분을 투과 또는 흡수하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광 시야각 필터의 시야각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콘트라스트 분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17. 차 내 전방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정점을 100%로 했을 때, 표시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 사이에서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30% 이상 변화하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 중심에 정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35°까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 사이에서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10% 정도로 급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어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표시 셀이 액정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유도하는 광학계 내에 광을 산란시키는 하향 프리즘 시트를 갖고,
    상기 하향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 렌즈의 분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휘도 분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유도하는 광학계 내에 광 반사 부재를 내장하고,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상기 광 반사 부재에 의해 반사하여 상기 표시 패널측에 유도하는 도광판을 갖고,
    상기 광 반사 부재의 반사면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휘도 분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셀에 인가하는 신호 전압의 진폭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콘트라스트분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는 광 시야각 필터를 갖고, 특정한 편광 성분을 투과 또는 흡수하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광 시야각 필터의 시야각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콘트라스트 분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26. 차 내 전방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모니터로서,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정점을 가짐과 함께,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대략 -20㏈보다도 작고 또한 대략 0㏈보다도 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까지 정점으로부터 대략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의 변동이 대략 -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 이상에서 대략 -20㏈ 이상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30. 차 내 전방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모니터로서,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25°∼대략 35° 사이에 정점을 갖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그 정점을 100%로 했을 때,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 사이에서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30% 이상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 이상에서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50% 이하가 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33. 차 내 전방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모니터로서, 정점을 100%로 했을 때, 표시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 사이에서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30% 이상 변화하는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를 갖는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 중심에 정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35°까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또는 콘트라스트 분포는,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각각 대략 40°∼대략 60° 사이에서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가 10% 정도로 급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KR1020047003481A 2001-09-10 2002-09-10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KR100917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72930A JP2003087688A (ja) 2001-09-10 2001-09-10 車載用表示装置および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JP-P-2001-00272929 2001-09-10
JPJP-P-2001-00272930 2001-09-10
JP2001272929A JP2003084681A (ja) 2001-09-10 2001-09-10 車載用表示装置および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PCT/JP2002/009204 WO2003030130A1 (fr) 2001-09-10 2002-09-10 Ecran installe dans un vehicule et systeme de navigation pour vehicu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880A Division KR101000660B1 (ko) 2001-09-10 2002-09-10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870A true KR20040044870A (ko) 2004-05-31
KR100917507B1 KR100917507B1 (ko) 2009-09-16

Family

ID=266218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880A KR101000660B1 (ko) 2001-09-10 2002-09-10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KR1020047003481A KR100917507B1 (ko) 2001-09-10 2002-09-10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880A KR101000660B1 (ko) 2001-09-10 2002-09-10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254716A1 (ko)
EP (2) EP1426913A4 (ko)
KR (2) KR101000660B1 (ko)
WO (1) WO20030301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985B1 (ko) 2019-06-04 2020-02-24 윤호근 화공약품 폐액 수거용 키 코드 타입 캠락 연결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5010112D1 (de) 2004-10-25 2008-11-1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nzeigevorrichtung
JP2007041489A (ja) * 2004-12-14 2007-02-15 Fujitsu Ten Ltd 表示装置、枠部材および反射抑制部材
CN100434893C (zh) * 2005-03-09 2008-11-19 浙江大学 液晶显示器视角自动测量系统
US20090303157A1 (en) * 2005-09-16 2009-12-10 Akira Imai Display device
JP4369953B2 (ja) * 2006-12-06 2009-11-25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画像補正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US8368823B2 (en) * 2007-09-18 2013-02-05 Denso Corporation On-vehicle display apparatus
US20110205756A1 (en) * 2010-02-19 2011-08-25 Pixtronix, Inc. Light guides and backlight systems incorporating prismatic structures and light redirectors
FR2961335B1 (fr) * 2010-06-11 2013-10-04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affichage a concentrateur de flux lumineux
JP5159872B2 (ja) 2010-12-27 2013-03-13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5032651B2 (ja) 2010-12-27 2012-09-26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電子機器
EP2624096B1 (en) * 2012-02-02 2015-12-16 BlackBerry Limited Display arrangement with optical structure for reducing halo effect
US8833959B2 (en) 2012-02-02 2014-09-16 Blackberry Limited Display arrangement with optical structure for reducing halo effect
KR20140052819A (ko) * 2012-10-24 2014-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6395541B2 (ja) 2014-09-26 2018-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EP3570266A1 (en) 2018-05-15 2019-11-20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Image processing method based on peripheral reduction of contrast
KR20220094849A (ko) 2020-12-29 202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형 렌즈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5050342B (zh) * 2022-07-04 2023-02-28 深圳市坚美欧电子有限公司 一种车载显示屏的亮度控制方法及车载显示屏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7400B (en) * 1989-10-27 1994-04-20 Eev Ltd Control of liquid crystal display visual properties
JP3162833B2 (ja) * 1992-11-02 2001-05-0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06301019A (ja) * 1993-04-12 1994-10-28 Hitachi Ltd 表示装置
JPH0736031A (ja) * 1993-07-22 1995-02-07 Idemitsu Kosan Co Ltd 反射型液晶表示パネル
JPH07261674A (ja) * 1994-03-18 1995-10-13 Takiron Co Ltd 遮光用格子付き表示装置
JPH07306411A (ja) 1994-05-13 1995-11-21 Hayashi Telempu Co Ltd 乗物内機器用表示部の照明装置
JPH08234183A (ja) * 1995-02-28 1996-09-13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素子
FR2737313B1 (fr) * 1995-07-25 1997-08-22 Sextant Avionique Ecran de visualisation a cristal liquide
TW332870B (en) * 1995-08-17 1998-06-01 Toshiba Co Ltd LCD and optical anisotropy device
DE69624774T2 (de) * 1995-12-05 2003-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intergrundbeleuchtete Farbanzeige
JP3441612B2 (ja) * 1997-01-10 2003-09-0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視野角設定回路
JP3824772B2 (ja) * 1998-03-24 2006-09-20 新日本石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978557B2 (ja) * 1998-09-22 2007-09-1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偏光成分を増加させる導光体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0222924A (ja) * 1999-01-28 2000-08-11 Hitachi Chem Co Ltd 狭視野角面光源素子
KR100417918B1 (ko) * 1999-03-12 2004-02-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셀 구성을 최적화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KR20010065169A (ko) * 1999-12-29 2001-07-11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 표시장치
JP2001195913A (ja) * 2000-01-07 2001-07-19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
US6359671B1 (en) 2000-02-23 2002-03-19 Planar Systems, Inc. High contrast liquid crystal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985B1 (ko) 2019-06-04 2020-02-24 윤호근 화공약품 폐액 수거용 키 코드 타입 캠락 연결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26913A4 (en) 2005-04-20
KR20090081017A (ko) 2009-07-27
EP1650728A2 (en) 2006-04-26
WO2003030130A1 (fr) 2003-04-10
EP1426913A1 (en) 2004-06-09
KR101000660B1 (ko) 2010-12-10
US20040254716A1 (en) 2004-12-16
EP1650728A3 (en) 2012-04-18
KR100917507B1 (ko)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507B1 (ko)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및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US8363181B2 (en) Backlight device for dual-view display
KR20220098382A (ko) 축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090096937A1 (en) Vehicle Rearview Assembly Including a Display for Displaying Video Captured by a Camera and User Instructions
US20100066925A1 (en) Head Up Display
CA2644710A1 (en) Vehicle rearview assembly including a high intensity display
EP212409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470109B1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1026756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backlight
EP329681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headup display device
JP2006208606A (ja) 車載用表示装置
US7944524B2 (en) Display apparatus with particular light control and light reflecting
KR100600223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CN211180488U (zh) 背光模块
US9779692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EP3249456B1 (en) Head-up display device
WO2021041202A1 (en) Directional illumination apparatus and privacy display
JP2003084681A (ja) 車載用表示装置および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TW202131073A (zh) 背光模組以及顯示器之視角調整方法
CN108152960B (zh) 车载平视显示方法及系统
JP2003087688A (ja) 車載用表示装置および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825925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831062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1027764A (ja) 光拡散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9080321A (ja) 表示装置、偏光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