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3375A -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3375A
KR20040043375A KR1020020071615A KR20020071615A KR20040043375A KR 20040043375 A KR20040043375 A KR 20040043375A KR 1020020071615 A KR1020020071615 A KR 1020020071615A KR 20020071615 A KR20020071615 A KR 20020071615A KR 20040043375 A KR20040043375 A KR 20040043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haft
folder
hinge portion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776B1 (ko
Inventor
이충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776B1/ko
Priority to EP03012235A priority patent/EP1422931B1/en
Priority to DE60333534T priority patent/DE60333534D1/de
Priority to AT03012235T priority patent/ATE476057T1/de
Priority to US10/607,551 priority patent/US7418280B2/en
Priority to CNB031466052A priority patent/CN100362878C/zh
Priority to JP2003273114A priority patent/JP3822583B2/ja
Publication of KR20040043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와 본체 케이스를 결합하고 내부에 카메라를 수납하기 위하여 폴더힌지부와 본체힌지부로 구성되는 힌지부와, 힌지부 내에 수납된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폴더가 열릴 때 카메라가 힌지부 외부로 돌출되고, 폴더가 닫힐 때는 카메라가 힌지부 내의 카메라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한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카메라는 렌즈와 촬상용 전자회로가 삽입된 카메라모듈과, 카메라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폴더힌지부와 연동되는 카메라샤프트를 포함한다. 힌지부에는 내부로 돌출 되도록 구동핀이 형성되고, 카메라샤프트에는 외주면에 구동핀이 끼워지는 경사진 가이드홈이 형성되어서 구동핀과 가이드홈이 결합되어 폴더가 세로 방향으로 회전하면 카메라샤프트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폴더를 열면 카메라가 외부로 나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모듈을 카메라 케이스 내에 수납시킨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은 단말기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영상 정보까지 송수신하는 단말기가 생산되고 있다.
카메라가 설치된 종래의 단말기 중에는 카메라를 케이스에 고정시킨 고정형 카메라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카메라를 본체(4)에 결합된 폴드(3)의 일부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하여 수동으로 적당한 각도로 회전시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회전형 카메라도 있다.
이러한 고정형과 회전형의 단말기 카메라의 경우, 고정형 카메라는 카메라의 시야 각도를 조절하기 별도로 조절하지 못하고 단말기 전체를 움직여야 시야 각을 조절가능한 불편이 있고, 또 단말기(100)의 사용 시나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카메라의 모듈(1)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의 것에 있어서는 카메라의 렌즈(2)가 손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며, 주머니나 가방에 넣어 가지고 다닐 경우에도 렌즈(2)의 표면에 손상이 가거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될 소지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가 쉽게 오염되고 손상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하여, 폴더와 본체 케이스를 결합하고 내부에 카메라를 수납하기 위하여 폴더힌지부와 본체힌지부로 구성되는 힌지부와, 힌지부 내에 수납된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폴더가 열릴 때 카메라가 힌지부 외부로 돌출되고, 폴더가 닫힐 때는 카메라가 힌지부 내의 카메라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는 렌즈와 촬상용 전자회로가 삽입된 카메라모듈과, 카메라모듈과 결합되고 폴더힌지부와 연동되는 카메라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힌지부에는 내부로 돌출 되도록 구동핀이 형성되고, 카메라샤프트에는 외주면에 구동핀이 끼워지는 경사진 가이드홈이 형성되어서 구동핀과 가이드홈이 결합되어 폴더가 세로 방향으로 회전하면 카메라샤프트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폴더를 열면 카메라가 외부로 나오고 폴더를 닫으면 내부로 복귀하도록 한 단말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카메라를 가진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를 폴더의 개방 도에 따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카메라 모듈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말기의 카메라 케이스 내에서 돌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카메라 케이스 내에 끼워진 수납형 카메라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카메라 케이스의 가이드 돌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카메라 케이스 내에 카메라 모듈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폴더와 본체로 된 단말기에 있어서 폴더와 본체케이스를 결합하는 힌지부에 카메라를 수납하고, 폴더가 열릴 때 카메라가 힌지부 외부로 돌출되고 폴더가 닫힐 때 카메라가 힌지부 내의 카메라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도록 폴더의 회전과 카메라의 이동을 연동시킨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분해 사시도에서처럼, LCD가 설치되어 있는 폴더(10)와 키패드와 송수신 전자회로들이 설치된 본체케이스(20)와를 결합하는 힌지부를 원통형으로 만들어 내부에 카메라(3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 힌지부는 카메라를 수납하고 폴더와 본체케이스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폴더에 형성된 폴더힌지부(11)와 본체케이스에 형성된 본체힌지부(12)가 서로 결합되어 폴더가 본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만큼, 대략 180도 이내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폴더힌지부(11)와 본체힌지부(12)는 모두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어서 카메라샤프트(40)와 카메라 모듈(31)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폴더힌지부(11)와 본체힌지부(12)와 대략 같은 크기로 카메라케이스(21)가 본체힌지와 함께 그 옆에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상의 수납형 카메라(30)가 폴더를 오픈할 때 돌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여 폴더(10)를 본체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카메라 케이스(21)내에 수납된 카메라가 외부로 돌출되어 나오게 되어 있다.
수납형 카메라의 구조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 카메라(30)는 원통형상의 카메라 모듈(31)과 이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원통형상의 카메라샤프트(40)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31)이 카메라샤프트(40)의 외주면을 감싼 형태로 끼워지며, 그 끼움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스넵링(38) 잡아준다.
즉, 카메라모듈(31)에 카메라샤프트(38)가 끼워질 때, 카메라샤프트(4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환턱(46)은 대응하는 원통형 카메라모듈(31)의 측단부에서 환형으로 내부로 돌출되는 단턱부(37)에 걸리고, 이를 고정하기 위해 카메라샤프트(40)에 형성된 스넵링체결홈(44)에 스넵링(38)을 끼워 넣으면 된다. 그래서 카메라모듈(31)은 카메라샤프트와 체결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원통형의 카메라 모듈(31)이 보다 적은 지름의 카메라샤프트(40)의 외주면을 감싸게 끼워져 있어서 카메라 모듈을 돌리면 카메라샤프트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에는 스넵홈(36)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스넵링(38)에는 스넵돌기(39)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서 모듈의 회전시 일정한 각도만큼씩 돌아갈 때 클릭 감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는 다른 회전력이 더 이상 가하여지지 아니하면 그 위치에 정지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 모듈 내에 샤프트가 결합되고 나면 모듈 내에는 카메라 렌즈(32)와 영상획득을 위한 전자회로들이 설치된 후 마개(33)가 결합되어 모듈 내부가 보호된다. 이 때 마개는 나사식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억지 끼움 방식 또는 완전 밀봉 방식 등을 사용하여 결합시켜도 된다.
폴더힌지부(11)에는 내부로 돌출되도록 구동핀(14)이 형성되어 있고, 카메라샤프트(40)에는 외주면에 이 구동핀(14)이 끼워지는 경사진 가이드홈(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들이 결합되어 캠 역할을 하며 폴더가 세로 방향으로 회전하면 카메라샤프트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한다.
카메라샤프트에는 그 끝단에 걸림후크(45)가 양편이 절개된 탄성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폴더힌지부 내주면에는 걸림환턱(16)이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샤프트가 폴더힌지부에 삽입된 후에는 걸림후크(45)가 걸림환턱(16)에 결려서 쉽게 빠지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카메라샤프트에는 일측에 샤프트 길이 방향으로 직선상의 안내홈(42a)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힌지부(21)의 내주면에는 직선상의 슬라이딩 리브(25a: 도6a)가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샤프트(40)가 본체힌지부(21)에 삽입될 때 이 슬라이딩 리브(25a)가 카메라샤프트의 안내홈(42a)에 결합되어서 카메라샤프트의 이동이 직선적으로 움직이도록 안내된다.
폴더힌지부(11)의 내부로 돌출된 구동핀(14)은 샤프트에 형성된 나선형의 가이드홈에 끼워진 상태이기에 폴더(10)가 펼쳐지며 회전할 경우 나선형의 가이드홈(41)을 타고 미끄러지게 된다. 이 미끄러지는 작동에 의해 카메라샤프트는 미끄러지는 직선거리만큼 우측을 향해 이동되게 되는데, 샤프트와 결합된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케이스(21)의 외부로 돌출 되어 카메라 렌즈(32)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카메라샤프트(40)는 샤프트를 가로지르는 직선상의 안내홈(42a)과 카메라케이스(21)의 내부에 형성된 직선상의 슬라이딩 리브(25a)에 의하여 직선 상으로 운동하게 된다. 폴더를 최대한으로 회전시키면 카메라샤프트 끝단에 형성시킨 걸림후크(45)가 걸림환턱(16)에 대략 가까워지게 된다.
카메라샤프트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는 위의 실시 예와는 다르게 도 5(b)와 도 6(b)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안내홈과 슬라이딩 리브를 서로 반대로 형성할 수가 있다. 즉 샤프트에 슬라이딩 리브(42b)를 형성하고 카메라케이스에 안내홈(25b)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들의 작용 효과는 동일하다
또 폴드힌지부에 두 개의 구동핀을 형성하고 샤프트에 두 개의 가이드홈을 형성하면 동작이 더욱 확실하고 안정적이 된다.
여기서 구동핀과 가이드홈의 형성부위를 서로 교환하여도 되고, 안내홈과 슬라이딩리브, 등도 서로 다른 부위에 반대로 형성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이렇게 구성된 단말기의 종합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폴더가 본체에 닫혀 있던 상태에서 폴더를 열면, 폴더힌지부(11)가 회전을 시작하고 그 내부에 돌출된 구동핀(14)은 샤프트에 형성된 나선형의 가이드홈(41)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므로 카메라샤프트는 미끄러지는 직선거리만큼 우측을 향해 밀려 이동되게 된다. 폴더가 더 회전하여 샤프트와 결합된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케이스(21)의 외부로 노출되어 카메라 렌즈(32)가 완전히 외부로 나오게 된다. 카메라 렌즈가 외부에 노출되면 촬영이 가능하다.
카메라가 노출된 상태에서 카메라를 폴드가 열리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피사체에 따라 임의로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사용자가 폴더를 닫으면 요소들이 역순으로 작동되어 카메라 모듈이 카메라 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보호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 폴더를 열지 않을 때는 카메라 케이스 내에 카메라 모듈이 수납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카메라가 보호된다. 그래서 카메라 렌즈가 특히 보호되고, 카메라를 적당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위에서 든 발명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가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균등한 범위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봄이 합당하다.

Claims (11)

  1. 카메라를 가진 폴더형의 단말기에 있어서,
    폴더와 본체 케이스를 결합하고 내부에 카메라를 수납하기 위하여 폴더힌지부와 본체힌지부로 구성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 내에 수납된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폴더가 열릴 때 카메라가 상기 힌지부 외부로 돌출 되고, 폴더가 닫힐 때는 카메라가 상기 힌지부 내의 카메라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렌즈와 촬상용 전자회로가 삽입된 카메라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폴더힌지부와 연동되는 카메라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이 카메라샤프트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납형 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샤프트의 지름이 카메라 모듈에 형성된 관통공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카메라샤프트의 일측단에는 걸림환턱이 형성되고, 걸림환턱 내측으로 스넵링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카메라샤프트의 걸림환턱보다 작은 지름의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샤프트가 상기 카메라모듈에 끼워진 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스넵링체결홈에 스넵링을 결합시켜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납형 카메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에는 스넵홈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넵링에는 스넵돌기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모듈의 회전시 일정한 각도만큼씩 돌아갈 때마다 스넵홈과 스넵돌기가 결합되어 보다 큰 회전력 필요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납형 카메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내부로 돌출 되도록 구동핀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샤프트에는 외주면에 상기 구동핀이 끼워지는 경사진 가이드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구동핀과 상기 가이드홈이 결합되어 폴더가 세로 방향으로 회전하면 카메라샤프트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납형카메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샤프트 끝단에 걸림후크가 양편이 절개된 탄성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내주면에는 걸림환턱이 내부로 돌출 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카메라샤프트가 상기 힌지부에 삽입된 후에는 걸림후크가 걸림환턱에 결려서 쉽게 빠지지 못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납형 카메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샤프트에는 축의 일면에 샤프트 길이 방향으로 직선상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내주면에는 직선상의 슬라이딩 리브가 형성되어서,
    상기 카메라샤프트가 힌지부에 삽입될 때 이 슬라이딩 리브가 카메라샤프트의 안내홈에 결합되어서 카메라샤프트의 이동이 직선적으로 움직이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납형 카메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샤프트에는 축의 일면에 샤프트 길이 방향으로 직선상의 슬라이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내주면에는 직선상의 안내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카메라샤프트가 힌지부에 삽입될 때 상기 슬라이딩 리브가 안내홈에 결합되어서 카메라샤프트의 이동이 직선적으로 움직이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납형 카메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 두 개의 구동핀을 형성하고
    상기 카메라샤프트에 두 개의 가이드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납형 카메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옆에 카메라 케이스를 별도로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납형 카메라.
KR10-2002-0071615A 2002-11-18 2002-11-18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55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615A KR100455776B1 (ko) 2002-11-18 2002-11-18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EP03012235A EP1422931B1 (en) 2002-11-18 2003-06-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DE60333534T DE60333534D1 (de) 2002-11-18 2003-06-10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mit Kamera
AT03012235T ATE476057T1 (de) 2002-11-18 2003-06-10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mit kamera
US10/607,551 US7418280B2 (en) 2002-11-18 2003-06-27 Mobile terminal having retractable camera
CNB031466052A CN100362878C (zh) 2002-11-18 2003-07-07 带有相机的移动通信终端
JP2003273114A JP3822583B2 (ja) 2002-11-18 2003-07-10 カメラ付き携帯端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615A KR100455776B1 (ko) 2002-11-18 2002-11-18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375A true KR20040043375A (ko) 2004-05-24
KR100455776B1 KR100455776B1 (ko) 2004-11-06

Family

ID=3222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615A KR100455776B1 (ko) 2002-11-18 2002-11-18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18280B2 (ko)
EP (1) EP1422931B1 (ko)
JP (1) JP3822583B2 (ko)
KR (1) KR100455776B1 (ko)
CN (1) CN100362878C (ko)
AT (1) ATE476057T1 (ko)
DE (1) DE60333534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697B1 (ko) * 2004-06-03 2006-09-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자동 팝업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KR100678090B1 (ko) * 2004-04-0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자동 인입/인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339B1 (ko) * 2003-04-30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0739564B1 (ko) * 2003-07-31 2007-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61279B1 (ko) * 2003-08-09 200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TWM241908U (en) * 2003-09-09 2004-08-21 High Tech Comp Corp Rotatable image catching device
FI118667B (fi) * 2003-11-14 2008-01-31 Nokia Corp Kameravälinein varustettu elektroninen laite ja menetelmä elektronisessa laitteessa kameravälineiden hallitsemiseksi
KR100591821B1 (ko) * 2003-12-10 2006-06-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회전 폴더형 휴대폰
US7264171B2 (en) * 2004-05-31 2007-09-04 Wistron Corp. Electronic device with embedded image capture module
KR100653893B1 (ko) * 2004-07-21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드 제어방법
KR100604323B1 (ko) 2004-08-28 2006-07-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내장형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TWI277237B (en) * 2004-09-21 2007-03-21 Ind Tech Res Inst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FI20050106A (fi) * 2005-01-31 2006-08-01 Elcoteq Se Matkaviestinlaite
WO2006103595A2 (en) * 2005-03-30 2006-10-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rotary camera unit
JP4578419B2 (ja) * 2006-02-27 2010-11-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814686B2 (ja) * 2011-08-08 2015-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ヒンジ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CN104458522B (zh) * 2014-11-27 2017-05-03 中盟科创(深圳)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的大气微粒检测系统与检测方法
US10462338B2 (en) 2016-06-29 2019-10-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oating camera module
US10013031B2 (en) * 2016-09-30 2018-07-03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mechanically interfacing camera to hinge of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995B2 (ja) * 1992-10-2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電話装置
JPH07212253A (ja) * 1994-01-17 1995-08-11 Toshiba Corp 携帯型マルチメディア端末
JP3516328B2 (ja) * 1997-08-22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装置
KR100274623B1 (ko) * 1997-12-23 2000-12-15 윤종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CN1302152A (zh) * 1999-12-24 2001-07-04 日本电气株式会社 带有照相机的便携式信息终端
US7046287B2 (en) 1999-12-24 2006-05-16 Ne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KR20010068807A (ko) * 2000-01-10 2001-07-23 윤종용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JP2001245266A (ja) * 2000-02-25 2001-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情報通信端末装置
US6532035B1 (en) * 2000-06-29 2003-03-11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ation of close-up imaging capability in a mobile imaging system
JP3413801B2 (ja) * 2000-10-30 2003-06-09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2002290523A (ja) * 2001-03-22 2002-10-04 Minolta Co Ltd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機器
JP3392831B2 (ja) * 2001-04-03 2003-03-31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JP3483144B2 (ja) * 2001-05-31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KR100539527B1 (ko) * 2001-06-12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KR100438433B1 (ko) * 2001-06-26 2004-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디에이 겸용 디지털 카메라 통신 휴대 장치
KR100442598B1 (ko) * 2001-09-06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성 렌즈 하우징 장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폴더형단말기
JP2003163824A (ja) * 2001-11-28 2003-06-06 Minolta Co Ltd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機器
KR100449451B1 (ko) * 2001-12-08 2004-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KR100450581B1 (ko) * 2002-02-28 200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그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US7136653B2 (en) * 2002-03-28 2006-11-14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base station supporting multiple hyperbands
US6839576B2 (en) * 2002-12-30 2005-01-04 Motorola, Inc. Multiple axis hinge assembly
US6975273B1 (en) * 2003-06-17 2005-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with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radiotele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090B1 (ko) * 2004-04-0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자동 인입/인출 장치
KR100620697B1 (ko) * 2004-06-03 2006-09-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자동 팝업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5776B1 (ko) 2004-11-06
CN1501736A (zh) 2004-06-02
DE60333534D1 (de) 2010-09-09
EP1422931A1 (en) 2004-05-26
JP2004173228A (ja) 2004-06-17
US7418280B2 (en) 2008-08-26
ATE476057T1 (de) 2010-08-15
EP1422931B1 (en) 2010-07-28
JP3822583B2 (ja) 2006-09-20
US20040097262A1 (en) 2004-05-20
CN100362878C (zh)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776B1 (ko)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EP1578113B1 (en) Camera lens module pop-up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8042231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US7246955B2 (en) Automatic camera lens module retracting/extend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7392072B2 (en) Camera lens module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same
EP1484920B1 (en) Pora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03163824A (ja)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機器
JP2007113686A (ja) 携帯端末およびヒンジ機構
KR20050049232A (ko) 휴대용 단말기
JP2004350270A (ja) スライド型移動通信端末機
JP2002111834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KR100293250B1 (ko) 다목적커버장착카메라
KR1005318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04983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200355876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의 줌렌즈 착탈 장치
KR20050112737A (ko) 회전형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98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동장치
KR100664159B1 (ko) 광학필터를 구비한 카메라폰
KR100556886B1 (ko) 카메라 위치 고정기능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04983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200311929Y1 (ko) 카메라가 슬라이드 되어 회전 작동하는 카메라 내장형이동통신단말기
KR200330451Y1 (ko) 카메라가 장착된 폴더형 단말기의 2축 회전힌지 장치
KR20050056400A (ko)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을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40081674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설치구조
KR20030014537A (ko) 컴퓨터카메라 겸용 디지털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