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488A -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488A
KR20040042488A KR1020020070795A KR20020070795A KR20040042488A KR 20040042488 A KR20040042488 A KR 20040042488A KR 1020020070795 A KR1020020070795 A KR 1020020070795A KR 20020070795 A KR20020070795 A KR 20020070795A KR 20040042488 A KR20040042488 A KR 20040042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junction box
large current
metal bus
hybrid j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8750B1 (ko
Inventor
장국환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750B1/ko
Publication of KR20040042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정션박스는, 대전류 휴즈용 메탈버스 탭을 형성시킨 인쇄회로가 프린트된 동판의 양면에 절연물질을 도포시킴과 아울러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적층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과의 이격을 위한 안착핀을 일체로 형성시킨 대전류용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기판간의 이격을 위한 안착핀을 대전류용 기판(동판)에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전기적, 기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성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엔진룸과 같은 열악한 환경 등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정션박스{Hybrid junction Box}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전류용 동판의 양면에 절연물질을 도포시킴과 아울러 복수기판간의 이격을 위한 안착핀을 동판에 일체로 형성시켜 조립공정의 단순화 및 대전류에 의한 열전도를 최소화시킨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첨단 전자기술이 적용되는 총합체로 불려지고 있는 자동차의 경우에 수많은 전자부품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이 전자기술의 적용이 더 추가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런한 추세를 반영하기 위해 각 전자부품은 전원공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재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각 전자부품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선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기존에는 이 수많은 배선을 보호하기 위해 휴즈박스를 사용하였으나 이 휴즈박스 내부에 수많은 배선들이 각 전자부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위해 밀집되어 있다. 그런데, 이 휴즈박스는 그 조립과정에서 오조립, 단자밀립 등으로 인해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와 같은 휴즈박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휴즈박스 내부의 배선을 인쇄회로기판, 메탈 레이어 등으로 대체하고 휴즈박스와 배선을 입출력 커넥터로 연결하여 제작한 것이 정션박스이다. 이 정션박스는 그 크기가 콤팩트하여 엔진룸 등에 직접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엔진룸에는 대전류, 소전류, 및 신호전류를 공급하는데 있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소전류 및 신호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메탈 레이어를 통해 대전류의 공급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은 전자부품의 증감에 따라 배선을 다르게 프린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형상, 설치 위치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조립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스페이서나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가조립한 후,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기판 측면에 동일 좌표상에 가공된 도금홀에 개별 안착핀을 관통시키는 방법으로 복수 기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였다. 이 개별 안착핀은 스토퍼 구조가 없거나, 있어도 조립을 개별 조립 제작해야 한다. 이는 조립 표준이 안정치 못할 뿐만 아니라 조립 공정이 복잡하므로 품질의 신뢰도가 많이 떨어진다. 즉, 기존에는 부품투입 -→ 스페이서 조립 -→ BUSS-BAR 조립 -→ 기판 조립 -→ 연결핀 조립 순으로 진행하여 정션박스를 완성하거나, 또는 부품투입 -→ 연결핀 조립 -→ BUSS-BAR 조립 -→ 기판 조립 순으로 진행하여 정션박스를 완성하였다. 이와 같이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품질의 신뢰도가 높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전류를 통전하기 위해 별도의 대전류용 동판(BUSS-BAR)을 기판에 조립 및 납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며, 대전류용 동판에 전기 통전시 발생되는 열이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에 모두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각종 디바이스가 안내되는 상부커버와 입출력 커넥터가 안내되는 하부커버를 갖는 정션박스 내부에는 대전류용 기판과 안착핀이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어 회로를 구성하는데, 상기 대전류용 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 전기적 절연을 위한 절연판을 설치하여 적층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대전류용 동판에서 발생되는 열이 적층된 절연판과 인쇄회로기판에 전도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게다가 자동차 엔진룸에서 발생되는 열이 인쇄회로기판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션박스 내에 수납되는 기판의 이상 현상 및 전기적, 기계적 신뢰성 품질의 안정성이 매우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인쇄회로기판에 디바이스 실장시, 실장된 전자부품에 손상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전류용 기판(동판)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간의 이격을 위한 안착핀을 일체로 형성시켜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조립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하이브리드 정션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조립은 부품투입 -→ 일체형 조립 -→ 기판조립 순으로 진행하여 제조공정을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탈버스 및 릴레이를 포함하여 실장시킨 상부기판과, 메탈버스를 포함하여 실장시킨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간의 회로접속을 위해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방의 양끝을 따라 형성된 접속공에 삽입되는 안착핀과,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메탈버스와 폐회로를 구성하는 메탈버스를 형성시킨 대전류용 기판과, 상기 상부기판과 대전류용 기판간, 하부기판과 대전류용 기판간의 절연을 위해 마련된 절연체와, 그리고 상기 상부기판, 하부기판 및 대전류용 기판을 수용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에 적용되는데,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정션박스는,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에 각각 단자접속을 위한 메탈버스의 일측단자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하기하는 타측단자의 관통이 이루어지는 삽입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대전류용 기판에 단자접속을 위한 메탈버스의 타측단자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대전류용 기판의 양면에 절연물질을 도포시켜 형성시키고, 대전류용 기판과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 각각의 이격을 위해 스토퍼기능을 수행하는 안착핀을 상기 대전류용 기판에 일체로 형성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탈버스 및 릴레이를 포함하여 실장시킨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메탈버스와 폐회로를 구성하는 메탈버스를 형성시킨 대전류용 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대전류용 기판간의 절연을 위해 마련된 절연체와,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대전류용 기판을 수용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에 적용되는데,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정션박스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단자접속을 위한 메탈버스의 일측단자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하기하는 타측단자의 관통이 이루어지는 삽입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대전류용 기판에 단자접속을 위한 메탈버스의 타측단자를 형성시킴과아울러 대전류용 기판의 양면에 절연물질을 도포시켜 형성시키고, 대전류용 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의 이격을 위해 스토퍼기능을 수행하는 안착핀을 상기 대전류용 기판에 일체로 형성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제조과정은, 대전류용 동판을 제조하는 제1 단계; 복수기판간의 회로 연결을 위한 봉형의 안착핀을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각각 제조된 동판과 안착핀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결과물 양면에 절연물질을 도포시키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의 결과물에 인쇄회로기판을 상부 또는 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동판과 안착핀의 결합은 사출성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안착핀이 양측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착핀은 제3 단계 결과물의 사방에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5 단계는, 상부기판 또는 하부기판 각각에 터미널 및 PCB 릴레이, 단자,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소자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결과물을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 1차 가조립 후, 기판을 고정시키는 안착핀을 열융착시키는 단계; 및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에 각각 돌출된 연결단자의 아래,위 돌기머리를 지그를 이용하여 리벳팅 또는 납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상면 및 저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상면 및 저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부분절개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상면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부분절개사시도,
도 8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2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부커버 2 : 하부커버
3, 4 : 안내홈 5 : 대전류용 기판
51 : 대전류 휴즈용 메탈버스 6 : 상부기판
61 : 메탈버스 62 : PCB릴레이
7 : 하부기판 8 : 안착핀
9 : 봉형접속핀 10 : 마운트 브라킷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상면 및 저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상면 및 저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제1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정션박스는 그 외부가 상부커버(1) 및 하부커버(2)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는 각종 전자부품이 안내되도록 안내홈(3)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커버(2)는 입출력 커넥터(미도시)가 안내되는 안내홈(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상부커버(1)와 하부커버(2)에는 각종 기판이 적층되어 수납되게 되는데, 본 제1 실시예에서는 대전류용 기판(5)과 상부인쇄회로기판(이하, 상부기판, 6)과 하부인쇄회로기판(이하, 하부기판, 7)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대전류용 기판(5)에는 접속용 메탈버스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부기판(6)에는 메탈버스(61) 및 PCB릴레이(62) 등이 결합되어 회로를 구성하고 있고, 하부기판(7)에는 입출력 커넥터(미도시) 등이 결합되는 메탈버스(51)들이 접속되어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 메탈버스(51, 61)은 양측단자가 각각 분할되어, 즉 일측단자는 상부기판(6) 또는 하부기판(7)에 형성시키고, 타측단자는 대전류용 기판(5)에 형성시키고 있다.
이 3개의 기판은 상기 대전류용 기판(5)에는 안착핀(8)이 형성되데, 상부기판(6) 또는 하부기판(7)에 형성된 홀(H)에 결합되는 선단부의 직경보다 확경되어 된 단턱이 형성되어 상부기판(6) 및 하부기판(7)이 상하로 각각 안착되도록 하고있다. 여기에 상기 안착핀(8)을 상부기판(6) 및 하부기판(7)으로의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회로적으로 디전류용 기판(5)과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로서 안착핀(8)은 상부기판(6)과 하부기판(7)의 유동을 방지하고 회로의 얼라인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부기판(6) 및 하부기판(7)간의 회로접속은, 대전류용 기판(5)의 상하에 접속되는 상부기판(6) 및 하부기판(7)간의 접속을 위한 봉형접속핀(9)을 매개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대전류용 기판(5)에는 절취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봉형접속핀(9)이 형성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제조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대전류용 기판(5)의 모체가 되는 동판을 제작한다. 이 동판은 상기 안착핀(8)과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그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한다. 이 동판에서 동판 자체의 일부를 절단하여 꺽음으로써 메탈버스(51)를 따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이 동판의 양면에 절연물질을 도포시킴으로써 대전류용 기판(5)이 완성된다. 한편, 안착핀(8)의 제조도 별도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양측 선단부분에서 상부기판(6) 및 하부기판(7)의 안착을 위해 안착핀(8)의 중심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각각 제조된 대전류용 기판(5)과 안착핀(8)을 사출 금형에 넣에서 동시에 사출성형한다. 이 때, 동판의 전기 통전부 및 연결단자의 전기 결합부는 사출 성형이 묻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부기판(6) 및 하부기판(7)을 안착시키는 안착핀(8)은 사출 성형 과정에서 단턱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대전류용 기판(5)과 안착핀(8)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과정과 별도로 상부기판(6) 및 하부기판(7) 각각에는 터미널, PCB릴레이(62), 단자류, 전자부품류 등을 조립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완성된 안착핀(8)이 일체로 형성된 대전류용 기판(5)과 상부기판(6) 및 하부기판(7)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부기판(6)과 하부기판(7)을 안착 및 얼라인시키는 안착핀(8)을 열융착한다. 이 열융착 이후에 상부기판(6) 및 하부기판(7) 각각에 돌출된 연결단자의 아래,위 돌기 머리를 지그를 이용하여 동시에 리벳팅 또는 납땜한다. 이 리벳팅 또는 납땜작업이 끝나면 육안 검사 및 전기적 검사를 진행하여 상부커버(1)와 하부커버(2)에 수납하여 고정시키고, 상부커버(1)와 하부커버(2)를 결합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 정션박스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제작과정은 부품투입 -→ 일체형 조립 -→ 기판조립 -→ 완료 순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한 대전류용 기판(5), 상부기판(6), 및 하부기판(7)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의 대전류용 기판(5)은 여러가지 종류의 전자부품과 접속이 가능하도록 각종 메탈버스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전류 휴즈용 메탈버스(51)만을 형성시키고 있으나, 릴레이접속용 메탈버스, 전기접속용 메탈버스, 전원접속용 메탈버스 등을 필요에 따라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기판(6)과 하부기판(7) 각각에는 메탈버스(61), PCB릴레이(62), 접속단자류 등이 접속되는데, 상기 대전류용 기판(5)과 결합시 슬림화를 위해 일측 상면에만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류용 기판(5)에 안착핀(8)이 기판간의 이격을 위해 일체로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도면설명에서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기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상면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정션박스는 그 외부가 상부커버(1) 및 하부커버(2)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는 각종 전자부품이 안내되도록 안내홈(3)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커버(2)는 제1 실시예와 다르게 특정부위에 부착을 위해 안내홈(4)이 형성시키지 않고 폐쇄된 수납홈을 형성시키고 있다. 한편, 이 상부커버(1)와 하부커버(2)에는 각종 기판이 적층되어 수납되게 되는데,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대전류용 기판(5)과 상부인쇄회로기판(이하, 상부기판, 6)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대전류용 기판(5)에는 접속용 메탈버스(51)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부기판(6)에는 PCB릴레이(62) 및 메탈버스(63) 등이 결합되어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 2개의 기판은 상기 대전류용 기판(5)에는 안착핀(8)이 형성되데, 상부기판(6)에 형성된 홀(H)에 결합되는 선단부의 직경보다 확경되어 된 단턱이 형성되어 상부기판(6)이 안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기판(6)으로의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회로적으로 접속되는 안착핀(8)이 사방으로 측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안착핀(8)은 상부기판(6)의 유동을 방지하고 회로의 얼라인을 위한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하부기판(7)이 없는 상태의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이고, 대전류용 기판(5)과 상부기판과의 회로결선이 측면에 형성된 안착핀(8)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그리고, 표면실장을 위해 하부커버(2)에 마운트 브라킷(mount braket, 10)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제조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대전류용 기판(5)의 모체가 되는 동판을 제작한다. 이 동판은 상기 안착핀(8)과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그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한다. 이 동판에서 동판 자체의 일부를 절단하여 꺽음으로써 메탈버스(51)를 따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이 동판의 양면에 절연물질을 도포시킴으로써 대전류용 기판(5)이 완성된다. 한편, 안착핀(8)의 제조도 별도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일측 선단부분에서 상부기판(6)의 안착을 위해 안착핀(8)의 중심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각각 제조된 대전류용 기판(5)과 안착핀(8)을 사출 금형에 넣에서 동시에 사출 성형한다. 이 때, 동판의 전기 통전부 및 연결단자의 전기 결합부는 사출 성형이 묻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부기판(6)을 안착시키는 안착핀(8)은 사출 성형 과정에서 단턱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대전류용 기판(5)과 안착핀(8)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과정과 별도로 상부기판(6)에는 PCB릴레이(62), 단자류, 전자부품류 등을 조립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완성된 안착핀(8)이 일체로 형성된 대전류용 기판(5)과 상부기판(6)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부기판(6)을 안착 및 얼라인시키는 안착핀(8)을 열융착한다. 이 열융착 이후에 상부기판(6)에 돌출된 연결단자의 아래 돌기 머리를 지그를 이용하여 동시에 리벳팅 또는 납땜한다. 이 리벳팅 또는 납땜작업이 끝나면 육안 검사 및 전기적 검사를 진행하여 상부커버(1)와 하부커버(2) 사이에 수납하여 고정시키고, 상부커버(1)와 하부커버(2)를 결합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 정션박스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제작과정은 부품투입 -→ 일체형 조립 -→ 기판조립 -→ 완료 순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한 대전류용 기판(5) 및 상부기판(6)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의 대전류용 기판(5)은 여러가지 종류의 전자부품과 접속이 가능하도록 각종 메탈버스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전류 휴즈용 메탈버스(51, 63), 릴레이접속용 메탈버스, 전기접속용 메탈버스(63), 전원접속용 메탈버스(63) 등을 필요에 따라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기판(6)에는 PCB릴레이(62) 등이 접속되는데, 상기 대전류용 기판(5)과 결합시 슬림화를 위해 일측 상면에만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상부커버(1)와 하부커버(2)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 및 하부커버(2)에는 이들을 서로 결합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A)가 양측에 다수개 형성시키고 있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측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류용 기판(5)에 안착핀(8)이 이겨 및 회로구성을 위해 접속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은,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기판간의 회로 접속을 위한 안착핀을 대전류용 기판(동판)에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전기적, 기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의 성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엔진룸과 같은 열악한 환경 등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8)

  1. 메탈버스 및 릴레이를 포함하여 실장시킨 상부기판과, 메탈버스를 포함하여 실장시킨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간의 회로접속을 위해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방의 양끝을 따라 형성된 접속공에 삽입되는 안착핀과,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메탈버스와 폐회로를 구성하는 메탈버스를 형성시킨 대전류용 기판과, 상기 상부기판과 대전류용 기판간, 하부기판과 대전류용 기판간의 절연을 위해 마련된 절연체와, 그리고 상기 상부기판, 하부기판 및 대전류용 기판을 수용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에 각각 단자접속을 위한 메탈버스의 일측단자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하기하는 타측단자의 관통이 이루어지는 삽입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대전류용 기판에 단자접속을 위한 메탈버스의 타측단자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대전류용 기판의 양면에 절연물질을 도포시켜 형성시키고, 대전류용 기판과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 각각의 이격을 위해 스토퍼기능을 수행하는 안착핀을 상기 대전류용 기판에 일체로 형성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류용 기판의 상하에 형성된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간의 회로접속을 위해 상기 대전류용 기판의 측면에 절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핀은 대전류용 기판의 모퉁이 사방에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4. 메탈버스 및 릴레이를 포함하여 실장시킨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메탈버스와 폐회로를 구성하는 메탈버스를 형성시킨 대전류용 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대전류용 기판간의 절연을 위해 마련된 절연체와,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대전류용 기판을 수용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정션박스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단자접속을 위한 메탈버스의 일측단자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하기하는 타측단자의 관통이 이루어지는 삽입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대전류용 기판에 단자접속을 위한 메탈버스의 타측단자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대전류용 기판의 양면에 절연물질을 도포시켜 형성시키고, 대전류용 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의 이격을 위해 스토퍼기능을 수행하는 안착핀을 상기 대전류용 기판에 일체로 형성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핀은 대전류용 기판의 양측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핀 또는 메탈버스는 리벳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핀 또는 메탈버스는 납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핀은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 또는 인쇄회로기판과 회로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KR10-2002-0070795A 2002-11-14 2002-11-14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KR100458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795A KR100458750B1 (ko) 2002-11-14 2002-11-14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795A KR100458750B1 (ko) 2002-11-14 2002-11-14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090U Division KR200302435Y1 (ko) 2002-11-14 2002-11-14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488A true KR20040042488A (ko) 2004-05-20
KR100458750B1 KR100458750B1 (ko) 2004-12-03

Family

ID=37339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795A KR100458750B1 (ko) 2002-11-14 2002-11-14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7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543B1 (ko) * 2006-04-07 2007-07-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의 휨방지 가조립구조
KR20190011521A (ko) * 2017-07-25 2019-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3145U (ko) * 1985-04-15 1986-10-28
JP3606471B2 (ja) * 1994-04-15 2005-01-05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US6364670B1 (en) * 1998-11-18 2002-04-02 Robert Bosch Corporation Junction box having function electronics
KR100368202B1 (ko) * 2000-08-10 2003-01-24 영화테크(주) 정션박스
KR200227957Y1 (ko) * 2001-01-16 2001-06-15 홍순범 연결단자를 갖는 인쇄회로기판 적층 정션박스
KR200241093Y1 (ko) * 2001-04-21 2001-10-12 영화테크(주) 사이드 릴레이타입 정션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543B1 (ko) * 2006-04-07 2007-07-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의 휨방지 가조립구조
KR20190011521A (ko) * 2017-07-25 2019-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8750B1 (ko) 200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7262B (zh) 功率半导体模块系统
JP4597659B2 (ja)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
KR100474841B1 (ko) 배선접속방법 및 배선접속구조
JP2004056836A (ja) 電気接続箱とその製造方法
CN103151628B (zh) 连接端子
US7442052B2 (en) Junction block having improved support for its printed circuit board
EP1174973A1 (en) Junction box
JP2004080917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KR200302435Y1 (ko)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KR100368202B1 (ko) 정션박스
KR100458750B1 (ko) 하이브리드 정션박스
JP2000092659A (ja) 電気接続箱
JP2007281138A (ja) 配線基板
JP2001135952A (ja) コンパクトな電気装置、特に回路網部品
JP3698030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および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の組立方法
KR200227957Y1 (ko) 연결단자를 갖는 인쇄회로기판 적층 정션박스
JP2002216870A (ja) 基板用コネクタ
WO2022224677A1 (ja) 回路構成体
JP2002078159A (ja) 電気部品取付構造および該取付構造を備えた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US20230056822A1 (en)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 device and circuit board assembly
JP5633725B2 (ja) 回路構成体及び電気接続箱
JP3503561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2000209742A (ja) 電気回路材および該電気回路材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2022089568A (ja) 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の製造方法
JP4201069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