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620A - 클램프 고정 툴 - Google Patents

클램프 고정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620A
KR20040040620A KR1020020068796A KR20020068796A KR20040040620A KR 20040040620 A KR20040040620 A KR 20040040620A KR 1020020068796 A KR1020020068796 A KR 1020020068796A KR 20020068796 A KR20020068796 A KR 20020068796A KR 20040040620 A KR20040040620 A KR 20040040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lamp
tong
tong rod
grip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원중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0620A/ko
Publication of KR20040040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62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06Supporting devices for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프 고정 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리버스 형태로 굴곡져 형성되는 제 1 집게 로드와, 제 1 집게 로드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제 1 집게 로드와 교차하여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제 2 집게 로드와, 제 1 집게 로드 및 제 2 집게 로드의 교차점에 형성되어 제 1 집게 로드 및 제 2 집게 로드가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이들을 상호 결합하는 연결부와, 일단이 제 1 집게 로드의 내면에 지지되며 타단은 제 1 집게 로드의 내면에 대향되는 상기 제 2 집게 로드의 내면에 지지되는 복원 스프링과, 제 1 집게 로드와 스프링 및 제 2 집게 로드에 관통 삽입되어 제 1 집게 로드와 스프링 및 제 2 집게 로드가 안정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바로 구성되는 클램프 고정 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를 이용한 작업 시에 복원력을 받는 집게 형상의 클램프 고정 툴을 이용하여 스터드의 크기에 관계없이 클램프를 정확하고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터드의 크기에 따라 클램프 고정 툴을 다수 개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작업 시에도 스터드의 크기에 따라 클램프 고정 툴을 수시로 교체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므로 작업 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클램프 고정 툴 {Clamp Fixture Tool}
본 발명은 클램프를 이용한 작업 시에 스터드의 크기에 관계없이 클램프를 가변적으로 탄탄히 고정시킬 수 있는 클램프 고정 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소정의 물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스터드(Stud)와 너트 및 클램프(Clamp)가 사용된다.
도 1은 구조물에 서터드와 너트 및 클램프를 결합시키는 통상적인 형태에 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구조물(1)에 스터드(2)와 너트(3) 및 클램프(4)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구조물(1)에 스터드(2)의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홈을 파고 그 홈에 스터드(2)의 일단을 삽입하여 고정시킨 다음, 고정된 스터드(2)에 클램프(4)를 삽입하고 너트(3)로 조여 체결하게 된다.
그런데, 보통 클램프(4)는 그 결합을 좀더 견고히 하도록 하기 위하여 너트(3)가 조여지는 반대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게 되고, 따라서 너트(3)를 스터드(2)에 체결시킬 때는 클램프(4)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 고정 툴이 필요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클램프 고정 툴을 이용하여 클램프(4)를 고정시켜 너트(3)를스터드(2)에 체결시키는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너트(3)를 쉽게 조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12)와 U자 모양의 클램프 고정부(11)를 구비한 클램프 고정 툴(10)을 이용하여, 벌어진 클램프(4)를 클램프 고정부(11)로 누른 뒤, 스터드(2)의 남은 공간으로 너트(3)를 조여 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클램프 고정 툴(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클램프 고정부(11)가 일정한 크기를 갖는 U자 모양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클램프 고정부(11)의 U자 모양과 스터드(2)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으면 작업 시에 쉽게 이탈되어 작업이 불편하여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클램프 고정부(11)의 크기가 정확하게 스터드(2)와 일치하더라도, 그 클램프 고정부(11)를 정확하게 사이즈가 일치하는 상기 스터드(2)에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여러 가지 사이즈의 스터드가 사용되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작업을 수행할 각각의 스터드의 크기에 일치하는 U자 모양의 클램프 고정부를 구비한 다수의 클램프 고정 툴이 필요하게 되므로 비용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작업 중에 작업자가 스터드 크기에 맞도록 클램프 고정 툴을 자주 교체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작업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클램프를 이용한 작업 시에 스터드의 크기에 관계없이 클램프를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클램프 고정 툴을 제공하여, 그 작업 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구조물에 서터드와 너트 및 클램프를 결합시키는 통상적인 형태에 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클램프 고정 툴을 이용하여 클램프를 고정시켜 너트를 스터드에 체결시키는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고정 툴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고정 툴을 이용하여 클램프를 고정시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클램프 고정 툴
110 : 제 1 집게 로드
120 : 제 2 집게 로드
130 : 연결부
140 : 복원 스프링
150 : 지지바
151 : 탭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버스 형태로 굴곡져 형성되는 제 1 집게 로드와, 제 1 집게 로드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제 1 집게 로드와 교차하여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제 2 집게 로드와, 제 1 집게 로드 및 제 2 집게 로드의 교차점에 형성되어 제 1 집게 로드 및 제 2 집게 로드가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이들을 상호 결합하는 연결부와, 일단이 제 1 집게 로드의 내면에 지지되며 타단은 제 1 집게 로드의 내면에 대향되는 상기 제 2 집게 로드의 내면에 지지되는 복원 스프링과, 제 1 집게 로드와 스프링 및 제 2 집게 로드에 관통 삽입되어 제 1 집게 로드와 스프링 및 제 2 집게 로드가 안정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바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고정 툴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고정 툴(100)은 제 1 집게 로드(110) 및 제 2 집게 로드(120)와, 연결부(130)와, 복원 스프링(140) 및 지지바(150)로 구성된다.
제 1 집게 로드(110)는 리버스 형태로 굴곡져 형성되며, 제 2 집게 로드(120)는 제 1 집게 로드(110)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제 1 집게 로드(110)와 교차하여 겹쳐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집게 로드(110)와 제 2 집게 로드(120)의 교차점에는 연결부(130)가 형성되어 제 1 집게 로드(110) 및 제 2 집게 로드(120)가 집게 형상으로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상호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원 스프링(140)은 일단이 제 1 집게 로드(110) 내면에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제 1 집게 로드(110) 내면에 대향되는 제 2 집게 로드(120)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제 1 집게 로드(110)와 제 2 집게 로드(120)가 스터드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복원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지지바(150)는 제 1 집게로드(110)와 복원 스프링(140) 및 제 2 집게 로드(120)에 관통 삽입되어 이들이 안정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 지지바(150)의 양단에는 관통되어 있는 지지바(15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탭(151)이 각각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고정 툴(100)을 이용하여클램프를 고정시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2)가 구조물(1)에 삽입되어 있으며 그 스터드(2)에는 클램프(4)가 삽입되어 있고, 이때 클램프(4)가 그 특성상 스터드(2) 외부로 이탈하려는 특성을 가지므로, 작업자가 제 1 집게 로드(110)와 제 2 집게 로드(120)의 일단을 잡아 복원 스프링(140)에 힘을 가하여 제 1 집게 로드(110)와 제 2 집게 로드(120)를 벌린 뒤에 스터드(2)에 물리면, 제 1 집게 로드(110)와 제 2 집게 로드(120)가 복원 스프링(140)의 복원력을 받아 클램프(4)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터드(2)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복원 스프링(140)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클램프(4)를 손쉽게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작업자는 이를 이용하여 너트(3)를 용이하게 조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 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를 이용한 작업 시에 복원력을 받는 집게 형상의 클램프 고정 툴을 이용하여 스터드의 크기에 관계없이 클램프를 정확하고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터드의 크기에 따라 클램프 고정 툴을 다수 개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작업 시에도 스터드의 크기에 따라 클램프 고정 툴을 수시로 교체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므로 작업 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리버스 형태로 굴곡져 형성되는 제 1 집게 로드;
    상기 제 1 집게 로드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집게 로드와 교차하여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제 2 집게 로드;
    상기 제 1 집게 로드 및 제 2 집게 로드의 교차점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집게 로드 및 제 2 집게 로드가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상호 결합하는 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 1 집게 로드의 내면에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제 1 집게 로드의 내면에 대향되는 상기 제 2 집게 로드의 내면에 지지되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고정 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게 로드와 상기 복원 스프링 및 상기 제 2 집게 로드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 1 집게 로드와 상기 복원 스프링 및 상기 제 2 집게 로드가 안정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고정 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삽입되어 있는 지지바의 양단에는 상기 지지바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탭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고정 툴.
KR1020020068796A 2002-11-07 2002-11-07 클램프 고정 툴 KR20040040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796A KR20040040620A (ko) 2002-11-07 2002-11-07 클램프 고정 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796A KR20040040620A (ko) 2002-11-07 2002-11-07 클램프 고정 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620A true KR20040040620A (ko) 2004-05-13

Family

ID=37337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796A KR20040040620A (ko) 2002-11-07 2002-11-07 클램프 고정 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06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458U (ko) 2016-08-08 2018-02-20 롯데제과 주식회사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0441A (ko) * 1986-04-12 1987-11-30 한형수 마이크로 콤퓨터의 데이타 전송회로
KR920012766A (ko) * 1990-12-14 1992-07-27 무라타 이찌로 클립형 너트
KR970045696A (ko) * 1995-12-28 1997-07-26 한승준 자동차의 백 도어 유리 고정용 클립
KR19980051087A (ko) * 1996-12-23 1998-09-15 김종진 보텍스튜브를 이용한 수소 분리-정제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0441A (ko) * 1986-04-12 1987-11-30 한형수 마이크로 콤퓨터의 데이타 전송회로
KR920012766A (ko) * 1990-12-14 1992-07-27 무라타 이찌로 클립형 너트
KR970045696A (ko) * 1995-12-28 1997-07-26 한승준 자동차의 백 도어 유리 고정용 클립
KR19980051087A (ko) * 1996-12-23 1998-09-15 김종진 보텍스튜브를 이용한 수소 분리-정제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458U (ko) 2016-08-08 2018-02-20 롯데제과 주식회사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854B2 (en) Clamp for circular objects
JPH03177678A (ja) 配管・配線把持用固定クランプ
KR20180124662A (ko) 파형관 연결장치
JP2009022101A (ja) 送電線用ボルトレススペーサ
EP1744087B1 (en) Fastening member for pipes and cables
KR20040040620A (ko) 클램프 고정 툴
JP3863698B2 (ja) ホースクランプ
JP2008023950A (ja) 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用クランプ装置
JP2019007519A (ja) 吊りボルト固定金具及びブレース連結金具
JP2002181138A (ja) ロープの環状部保持金具
KR102479665B1 (ko) 케이블 포드용 클램프 장치
KR101120626B1 (ko) 파이프용 클램프
JP2017189055A (ja) 分線金物留め具
JP4467002B2 (ja) ケーブルクランプ
JP2024007085A (ja) 固定具
JP2007170433A (ja) クランプ
GB1574982A (en) Cable or pipe clamp
JPH0717465U (ja) ホースクランプ着脱冶具
JPH10156736A (ja) チェーン式クランプ工具
KR200317541Y1 (ko) 클램프장착보조공구
KR20220001631U (ko) 베어링을 구비한 t형 렌치
KR20040066657A (ko) 와이어 연결구 조립체
JPH06241351A (ja) パイプ用クリップ
JPH11166679A (ja) ホース継手締付け工具
HUP0004214A2 (hu) Két cső tengelyirányú összekapcsolására szolgáló feszítőt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