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58U -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58U
KR20180000458U KR2020160004567U KR20160004567U KR20180000458U KR 20180000458 U KR20180000458 U KR 20180000458U KR 2020160004567 U KR2020160004567 U KR 2020160004567U KR 20160004567 U KR20160004567 U KR 20160004567U KR 20180000458 U KR20180000458 U KR 201800004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over
contents
cover
present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성신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제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4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458U/ko
Priority to JP2017003651U priority patent/JP3213948U/ja
Publication of KR201800004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65D83/041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the articles being substantially flat and stacked one upon the other and the dispensing-closing device sliding the article to be dispensed along the flat side of the next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외부 커버와 상기 외부 커버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에 복수의 내용물이 적층 보관되며, 일단부가 가압됨에 따라 타단부가 상기 외부 커버에 마련된 하부 개구부를 통해 하강하여 내용물이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내부 커버 및 상기 외부 커버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부착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내용물에 대한 폐기를 위하여 개별적인 제거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점착성 라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Food case for easily drawing contents}
본 고안은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 터치 타입 구조를 적용하여 내부의 내용물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껌과 같은 간식류에 해당하는 음식물은 가벼운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밀폐된 상태로 보관하도록 제조되며, 이후 플라스틱 용기를 개봉하고 껌을 꺼내어 취식할 수 있게 된다.
즉, 최근에는 껌의 종류와 형태도 많이 다양해져 얇은 판상의 껌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껌의 포장에 있어서도 종이를 이용하여 감싸는 것이 아니라 특정의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다수의 껌을 내장하여 제공되는 형태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 용기는 커버를 개방한 후 인출구를 통해 껌을 인출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진 인출구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는데 불편함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인출구를 통해 복수의 껌이 한꺼번에 인출될 수 있기 때문에, 껌의 개별적인 인출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용기는 내부에서 껌이 종이를 통해 개별적으로 감싸진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 아니라 껌 상태 그대로 보관되기 때문에, 껌을 폐기할 경우 이를 위한 별도의 종이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0620호(2008.06.16.)
본 고안의 목적은, 버튼을 가압함에 따라 내부 커버가 하강하면서 개방되어 내용물이 개별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원 터치 타입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껌 등과 같은 내용물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 커버의 라벨을 점착성을 가진 종이를 사용하여 외부 커버에 일체화 시킴으로써, 종이가 라벨의 역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폐기를 위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는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외부 커버와 상기 외부 커버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에 복수의 내용물이 적층 보관되며, 일단부가 가압됨에 따라 타단부가 상기 외부 커버에 마련된 하부 개구부를 통해 하강하여 내용물이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내부 커버 및 상기 외부 커버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부착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내용물에 대한 폐기를 위하여 개별적인 제거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점착성 라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내부 커버는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고, 복수의 내용물이 보관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외부 커버의 내부에 마련된 승강 홈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의 승강 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제공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 커버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 제공부는 상기 승강 홈의 내부에 마련된 탄성 부재에 삽입 및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커버는 상기 몸체부의 승강 위치를 가이드 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부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개구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된다.
한편, 상기 외부 커버는 상기 수용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를 따르며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단차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외부 커버는 중심부를 경계로 하여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는 외주면을 따르며 상기 점착성 라벨이 각각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점착성 라벨은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 내용물에 대한 정보가 프린팅 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은, 버튼을 가압함에 따라 내부 커버가 하강하면서 개방되어 내용물이 개별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원 터치 타입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껌 등과 같은 내용물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 커버의 라벨을 점착성을 가진 종이를 사용하여 외부 커버에 일체화 시킴으로써, 종이가 라벨의 역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폐기를 위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고안은 내용물을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용물 폐기를 위한 별도의 종이를 찾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의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에 대한 동작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에 대한 단차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는 외부 커버(100), 내부 커버(200) 및 점착성 라벨(300)을 포함한다.
먼저, 외부 커버(100)는 식품 용기의 케이스를 이루는 것으로, 사용자의 용이한 파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고, 내부 커버(200)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 공간을 내부에 구비한다.
내부 커버(200)는 외부 커버(10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수용 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내부 커버(200)는 외부 커버(100)의 수용 공간에서 껌과 같은 복수의 내용물(10)이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내부 커버(20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커버(200)의 상부로 돌출된 일단부가 가압됨에 따라 내부 커버(200)의 타단부가 외부 커버(100)에 마련된 하부 개구부(100a)를 통해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10)이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내부 커버(200)는 외부로 노출된 내용물(10)을 사용자가 하나씩 인출할 수 있고, 추후 인출 시에도 내부 커버(200)의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한 내용물(10)을 개별적으로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내부 커버(200)는 돌출된 내부 커버(200)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내용물(10)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원 터치 타입의 구조를 적용하여 내용물(10)의 개별적인 인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껌 등의 내용물이 수용된 종래의 식품 용기의 경우 내용물의 개별적인 인출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개구부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집어 넣어야 함과 동시에 내용물이 위치된 영역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을 수 있게 식품 용기의 각도를 조절하여야 하므로, 내용물을 인출에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로 돌출된 내부 커버(200)의 가압을 통해 내부 커버(200)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10)을 개별적으로 손쉽게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불편함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점착성 라벨(300)은 외부 커버(100)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부착되어 형성되며, 먹고 난 이후의 내용물(10)에 대한 폐기를 위하여 개별적인 제거가 가능하게 구비된다.
점착성 라벨(300)은 중심부를 경계로 하여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으로 분할된 외부 커버(100)의 외주면에 각각 부착되며, 바람직하게는 내부 커버(200)에 보관된 복수의 내용물(10)의 개수 보다 많은 개수로 부착된다.
이러한 점착성 라벨(300)은 일반적인 껌 포장종이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 내용물(10)에 대한 정보가 프린팅 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점착성 라벨(300)은 정보가 프린팅된 상태에서 외부 커버(100)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라벨의 역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10)에 폐기를 위한 용도로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원 터치 타입의 구조 적용을 통해 내부 커버(200)에 보관된 내용물(10)을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점착성 라벨(300)을 외부 커버(100)에 부착하여 내용물(10) 폐기를 위한 별도의 종이를 찾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에 대한 동작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는 외부 커버(100), 내부 커버(200) 및 점착성 라벨(300)을 포함하며, 여기서 내부 커버(200)는 몸체부(210), 탄성 제공부(220) 및 돌출부(230)를 구비한다.
여기서, 몸체부(210)는 외부 커버(10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되고, 내부에 복수의 내용물(10)이 적층되어 보관된다.
이러한 몸체부(210)는 외부 커버(100)의 수용 공간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고,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수용 공간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다.
탄성 제공부(220)는 몸체부(2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외부 커버(100)의 내부에 마련된 승강 홈(H)에 끼움 결합된다.
즉, 탄성 제공부(220)는 몸체부(210)의 일측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한 몸체부(210)의 승강 시 승강 홈(H)의 내부에 마련된 탄성 부재(400)를 가압하여 몸체부(210)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탄성 제공부(220)는 사용자가 몸체부(210)에 대한 가압을 중지하게 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여 몸체부(21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내용물(10)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커버(100)는 몸체부(210)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를 위한 승강 시 승강 위치를 가이드 하도록 몸체부(210)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부 개구부(100b)를 구비하며, 이러한 상부 개구부(100b)에는 후술 될 돌출부(230)가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된다.
즉, 돌출부(230)는 몸체부(210)의 일단부에서 상부 개구부(100b)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몸체부(210)의 초기 위치 복귀 시 외부 커버(10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개구부(100b)에 돌출되도록 위치되어 추후에 내용물(10)의 재인출 시 사용자의 가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에 대한 단차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는 외부 커버(100)를 포함하며, 이러한 외부 커버(100)는 수용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외부 커버(100)는 상부 및 하부를 따라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단차 부재(1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단차 부재(110)는 사용자의 외부 커버(100)에 대한 파지 시 그립감 향상을 위하여 외부 커버(100)의 외주면 상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곡선의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사용자의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 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부 커버(100)의 단차 부재(110) 상에는 소정의 깊이 및 크기 만큼 절곡된 설치 위치 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치 위치 가이드(미도시)는 추후에 점착성 라벨(300)이 안착되는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착성 라벨(300)이 내용물(10)의 폐기를 위하여 사용될 경우 외부 커버(100) 상에서 쉽게 분리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버튼을 가압함에 따라 내부 커버가 하강하면서 개방되어 내용물이 개별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원 터치 타입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껌 등과 같은 내용물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 커버의 라벨을 점착성을 가진 종이를 사용하여 외부 커버에 일체화 시킴으로써, 종이가 라벨의 역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폐기를 위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고안은 내용물을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용물 폐기를 위한 별도의 종이를 찾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의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내용물 100 : 외부 커버
100a : 하부 개구부 100b : 상부 개구부
110 : 단차 부재 200 : 내부 커버
210 : 몸체부 220 : 탄성 제공부
230 : 돌출부 300 : 점착성 라벨
400 : 탄성부재 H : 승강 홈

Claims (7)

  1.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외부 커버;
    상기 외부 커버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에 복수의 내용물이 적층 보관되며, 일단부가 가압됨에 따라 타단부가 상기 외부 커버에 마련된 하부 개구부를 통해 하강하여 내용물이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내부 커버; 및
    상기 외부 커버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부착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내용물에 대한 폐기를 위하여 개별적인 제거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점착성 라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는,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고, 복수의 내용물이 보관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외부 커버의 내부에 마련된 승강 홈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의 승강 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제공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 커버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제공부는,
    상기 승강 홈의 내부에 마련된 탄성 부재에 삽입 및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는,
    상기 몸체부의 승강 위치를 가이드 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부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개구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는,
    상기 수용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를 따르며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단차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는,
    중심부를 경계로 하여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는, 외주면을 따르며 상기 점착성 라벨이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라벨은,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 내용물에 대한 정보가 프린팅 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KR2020160004567U 2016-08-08 2016-08-08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KR20180000458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67U KR20180000458U (ko) 2016-08-08 2016-08-08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JP2017003651U JP3213948U (ja) 2016-08-08 2017-08-08 食品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67U KR20180000458U (ko) 2016-08-08 2016-08-08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58U true KR20180000458U (ko) 2018-02-20

Family

ID=6065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567U KR20180000458U (ko) 2016-08-08 2016-08-08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13948U (ko)
KR (1) KR2018000045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620A (ko) 2002-11-07 2004-05-1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클램프 고정 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620A (ko) 2002-11-07 2004-05-1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클램프 고정 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13948U (ja)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6631A (en) Removable bottle handle
EP3438018B1 (en) Container for accommodating hygienic thin paper
US8459452B1 (en) Disposable tattoo ink container
US20050098561A1 (en) Beverage can
US20100320220A1 (en) Lid for a container for edible fluids and a protective cover for the lid
US20030094464A1 (en) Fluid product dispenser with gripping member
JP2012236629A (ja) ボトル型容器
US7398893B2 (en) Cup and lid combination
US20060157485A1 (en) Cup and lid combination
KR20210015803A (ko) 식품 용기 및 디스펜서
KR20180000458U (ko)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식품 용기
US20170333285A1 (en) Medication vial covers
US20060207910A1 (en) Disposable plate system
AU2019223810A1 (en) Gripping attachment for a bottle
US8070007B2 (en) Herb keeper with flexible projection
JP6017521B2 (ja) 包装容器
US20140048535A1 (en) Disposable Container
JP5690203B2 (ja) 包装容器
KR101368969B1 (ko) 안전 캔 따개
KR20200033447A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 컵
CN109221047A (zh) 用于垂钓的卷铅器
KR200260333Y1 (ko) 햄버거용 포장 케이스
KR200474336Y1 (ko) 음료 용기 캐리어
KR20180135382A (ko) 용수철을 포함한 원통형 과자용기
KR100523925B1 (ko) 껌종이가 구비되는 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