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311A -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할 수 있는 보드게임과 그 게임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할 수 있는 보드게임과 그 게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311A
KR20040039311A KR10-2004-7002952A KR20047002952A KR20040039311A KR 20040039311 A KR20040039311 A KR 20040039311A KR 20047002952 A KR20047002952 A KR 20047002952A KR 20040039311 A KR20040039311 A KR 20040039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piece
mark
dic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와쇼우지
타카토쿠아키히로
Original Assignee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9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3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075Wa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63F2001/0475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with pictures or figures
    • A63F2001/0483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with pictures or figures having symbols or direction indicators for playing the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63F2003/00747Playing pieces with particular sha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4Dice; Dice-boxes; Mechanical dice-throwing devices
    • A63F2009/0486Dice with symbols, e.g. indicating a direction for moving a playing 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외성이 있는 게임전개를 할 수 있으며, 종래의 보드게임보다 플레이어를 훨씬 만족시킬 수 있는 보드게임을 제공한다. 전개할 수 있는 다수의 다이스(dice)에서 선택된 다수의 다이스를 회전시킨다. 다이스 회전 결과에 따라, 다이스(51~61)를 게임판(playing field)(1) 위에 전개시킨다. 상기 전개된 다이스(51~61) 위에는 플레이어의 피스(piece)를 위치시킨다. 또한, 다이스 회전 결과에 따라, 게임 진행에 필요한 비용을 가감산장치에 저축한다. 피스에 대응하는 카드에는 대응되는 피스의 그룹명, 레벨, 및 능력등이 표시된다. 저축된 비용을 지불하여 피스를 진행시키고, 상대방의 피스를 공격하며, 또한 그와 똑같이 저축된 비용을 지불하여 자신을 방어한다. 상대방 플레이어의 특정피스에 소정의 데미지를 입힌 플레이어가 승자가 된다.

Description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할 수 있는 보드게임과 그 게임방법{BOARD GAME PLAYED BY PLAYERS AND ITS PLAYING METHOD}
종래의 일반적인 대결형 보드게임은 피스(piece)의 진행통로 패턴이 표면에 그려져 있어 게임보드위에 미리 가지고 있는 피스를 나란히 놓고, 다수의 플레이어가 순서대로 소정의 규칙에 따라 피스를 진행통로 패턴에 맞추어 이동시킨다. 그리고, 자신의 피스와 상대방의 피스가 소정의 위치관계에 있을때, 각 피스에 관해서 미리 정해진 능력에 따라 상대방 플레이어의 피스를 보드에서 배제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보드게임에 의해 미리 정해진 진행통로 패턴에 맞추어 피스를 움직이는 것은, 진행패턴이 한정되어 게임전개에 의외성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각 피스에 미리 정해진 능력만으로 대결을 하는 경우에도 의외성 있는 게임전개가 되기 어렵다. 또한, 미리 정해진 피스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플레이어가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보드게임에는 단순히 피스의 진행만으로 게임전개를 바꾸는 경우가 많아 다른 요인에 의해 게임의 전개를 바꾸는 것을 지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보드게임은 전략이 단순하여 대결을 시작할때까지는 게임에 대한 플레이어의 전략의식이 높아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보드게임은 게임초기에 플레이어로 하여금 전략을 세우는 즐거움을 느낄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종래의 보드게임은 피스의 능력발휘 조건이 단순하기 때문에, 게임전개가 단순하게 되고 이른바 한번의 기회로 역전되는 게임전개가 발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외성 있는 게임전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더구나 플레이어의 만족도를 종래의 게임보다 높일 수 있는 보드게임 및 그 게임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스의 진행통로의 패턴이 게임을 행하는 것과 함께 변하는 보드게임 및 그 게임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임진행 과정에 있어서 게임전략을 세우는 즐거움을 증대시키는 보드게임 및 그 게임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게임을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게임 진행에 필요한 비용을 저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보드게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피스를 받아 데미지정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보드게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신의 게임 컴포넌트(component)를 타인의 게임 컴포넌트와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는 보드게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한 비용을 지불하여 피스에 능력이 주어지면 공격과 방어를 할 수 있으며, 의외성 있는 게임전개가 되도록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임진행과정에서, 또한 사용되지 않는 피스와 파괴되었다고 볼 수 있는 피스를 순식간에 식별할 수 있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스를 임의로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종 피스를 구비하여, 각종전략을 세우는 것이 가능한 보드게임의 게임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이스를 전개하여 게임의 진행을 원할하게 행할 수 있는 보드게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게임판 위의 점유영역의 크기차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보드게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할 수 있는 보드게임 및 그 게임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에서 사용되는 게임판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에서 사용되는 다이스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3의 (A)~(C)는 다이스 전개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해 전개된 다이스의 전개도의 내면도 및 외면도.
도4의 (A)~(F)는 다이스의 서로 다른 전개례를 나타내는 개략전개도.
도5의 (A)~(D)는 각각의 다이스를 구성하는 다각형판의 외면에 표시된 마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의 (A)~(D)은 각 피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카드의 표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가감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9는 그리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0은 게임의 전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보드게임의 게임개시전 상태를 나타내는사시도.
도12의 (A)~(J)는 각각 다른 형상의 통로판의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보드게임은 연속되는 다수개의 다각형 그리드(grid)를 구비하며, 다수의 플레이어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게임판과 다수의 플레이어가 각각 자신의 플레이를 위해 사용하는 다수개의 게임 컴포넌트 세트로 구성된다. 게임판은 시트형상의 물건으로 종이판등도 되며, 그 재질은 문제되지 않는다. 그리고, 다각형 그리드의 형상은 3각형, 4각형, 및 5각형등도 되나, 후술되는 전개다이스를 탑재하는 것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정다각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게임판의 다수개의 그리드 내에서 게임할 수 있는 플레이어의 수와 동일한 수의 소정의 그리드를 상기 다른 그리드와 식별할 수 있게 표시한다. 예를들면,상기 그리드 만큼 다른 그리드의 색을 변화시키므로서 다른 그리드와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그리드를 눈으로 인식하여 전개된 다이스의 초기 배치상태를 규칙으로 모양을 규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임 컴포넌트 세트는 다수개의 다이스와, 각각 눈으로 식별가능한 특징이 있는 한편 미리 정해진 다수개의 그룹 및/또는 미리 정해진 다수개의 레벨에 속하는 여러 종류의 피스와, 상기 여러종류의 피스에 대응되게 구성되며 적어도 대응되는 피스를 특정하기 위한 표시, 대응되는 피스의 능력(특수능력, 효과등), 상기 능력의 발휘조건 및 피스의 그룹 및/또는 레벨이 표시되는 여러장의 카드를 포함한다.
또한, 다이스는 다각형 그리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윤곽형상 치수를 가지고 있는 n개(n은 3이상의 정수이다)의 다각형판이 전개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 다면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스가 2차원적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n개의 다각형 판이 상호 연결되어 있도록 n개의 다각형판이 각각 2차원적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인접한 다른 다각형판과 연결되어 있다. 다이스를 구성하는 n개의 다각형판은 합성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인접한 2개의 다각형판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 및 다이스를 조립할 때에 이용되는 다수개의 계지부 및 피계지부도 합성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다이스는 종이등의 구부러질 수 있는 시트재료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이스를 구성하는 다각형판의 외면에는 다이스 전개의 결정요소로서 사용되는 전개마크와, 피스를 진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는 진행마크와, 피스의 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는 1이상의 실행마크와, 피스의 그룹 및/또는 레벨을 표시하는 1이상의 식별마크가 표시된다. 상기 1이상의 식별마크에는 공격(능력중 하나)을 행하기 위해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는 공격마크와, 상대방의 공격에 대응하여 수비(능력중 하나)를 행하기 위해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는 수비마크와, 피스에 미리 정해놓은 특수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는 1이상의 특수능력마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전개마크, 진행마크, 실행마크 및 식별마크는 색채, 도형, 모양, 기호,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요소를 교묘하게 조합하여, 1개의 다각형판 위에 보다 많은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1개의 다각형판 외면에는 전개마크, 진행마크, 실행마크 및 식별마크 중에서 선택되는 2이상의 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은 수의 다이스를 굴리는 것에 의해서도, 보다 많은 선택의 가지수를 제작할 수 있다. 1개의 다각형판의 외면에 다수개의 마크를 표시하는 경우, 각 마크의 크기는 임의이다. 또한, 각 마크의 구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1개 마크의 내부에 다른 마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1개 마크의 근처에 첨부한 문자에 따라 다른 마크를 작게 표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의 피스 능력에는, 예를들면 공격능력, 수비능력, 미리 정해진 특수 공격 및 수비능력, 도주로 형성능력, 함정 제작능력, 지뢰 제작능력 등의 각 종류의 능력을 말한다.
다이스를 구성하는 n개의 다각형판의 적어도 1개의 내면에는 다이스를 전개할 때에, 피스가 놓이는 장소를 나타내는 위치지시마크를 놓는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위치지시마크가 있으면, 규칙에 따라 피스의 초기위치를 한정하는 규정을 정할 때에, 플레이어는 위치지시마크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다각형판 위에 피스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위치지시마크는 플레이어를 특정하기 위해 기입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플레이어는 게임종료 후에 위치지시마크에 기입된 것을 눈으로 보아 자신의 다이스(dice)를 간단히 회수할 수 있다.
피스는 게임판에 구비된 베이스(base)와, 상기 베이스에 설정되어 있는 방향성을 표시할 수 있는 특징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피스를 합성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면, 피스를 적정가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다. 상기 특징부는 전부와 후부가 나누어진 형상도 바람직하다. 상기 특징부가 동물, 인간, 가공의 동물(몬스터)등의 도형(figure) 형태인 것도 물론 바람직하다. 특히 동물도형을 이용하는 것과, 특별하게 규정하지는 않았어도, 얼굴이 향해있는 방향이 전방이 되는 것이 플레이어가 직접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는 그 피스의 능력을 특징부의 형상으로 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스에는 플레이어를 특정하기 위해 기입할 수 있는 기입부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입부가 있으면, 게임종료 후에 위치지시마크에 기입된 것을 눈으로 보아 자신의 피스를 간단히 회수할 수 있다.
카드의 기재내용에 따라 특징이 부착된 피스에는, 수비력, 공격력 및 내구력을 지지하는 공격대상 타입의 피스와 상호 플레이어의 피스에 미리 정해놓은 효과만을 발휘하는 효과발휘 타입의 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공격대상 타입의 피스에 대응하는 카드에는 상기 피스의 수비력, 공격력, 내구력이 숫자 및/또는 양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카드에는 상기 피스의 능력 및 능력의 발휘에 필요한 비용이 표시되어 있다. 수비력은 상대방의 공격력에서 감산되어 공격력을 약하게 하는 능력이 있다. 역으로 공격력은 상대방의 수비력에서 감산되어 상대방의 수비력을 약하게 하는 능력이 있다. 체력은 수비력이 0 이 된 상태에서 공격력이 빠지게 되며, 0 이 될때 까지는 상기 피스를 게임상에 존재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카드에 이와 같이 기재되어 있는 것에 따라, 각 플레이어는 다수개의 피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각 피스의 능력을 전부 암기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카드에는 대응하는 피스의 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 필요한 실행마크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표시를 하면, 플레이어는 피스의 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암기하여 셈할 필요가 없으므로 게임을 원할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대응하는 피스에 반드시 수비력, 공격력 및 내구력 전부를 갖출 필요가 없으며, 내구력을 0 으로 하더라도 상기의 힘을 전부 0 으로 하는 특수능력이나 효과만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게임 컴포넌트 세트에는 진행마크 및 1이상의 실행마크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가감산표시부를 구비하여 가감산장치를 다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감산장치를 사용한다면, 각 마크마다 포인트(point)나 비용의 증감은 암기나 메모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확실하게 기록할 수 있으며, 게임진행이 스피드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감산장치에는 진행마크, 공격마크, 수비마크 및 상기 1이상의 특수능력마크를 대응하는 가감산표시부에 인접시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가감산 작업을 혼동시키지 않고 스피드하게 행한다.
또한, 게임 컴포넌트 세트에는 카드에 구비될 수 있는 여러개의 플립(flip)(드롭(drop)과 같은 형상을 한 칩과 같은 파트(parts))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플립을 준비한다면, 게임진행 중에 특정피스의 내구력의 저하량과, 상기 저하량에 대응하는 수의 플립을 카드위에 구비함으로서 플레이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게임진행이 원할하게 된다.
본 발명의 게임방법에는, 상기 보드게임을 이용하여 특정의 규칙에 따라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규칙에는 각 플레이어가 순서대로 1회의 턴(turn)을 실행하고, 1회의 턴에 있어서 각 플레이어가 하기의 (a)~(f)단계를 실행한다.
(a) 자신을 사용하는 게임 컴포넌트 세트에 포함된 다수개의 다이스에서 선택된 다수개의 다이스를 회전판위에 굴리는 다이스 회전단계.
(b) 회전판위에 굴린 다수개의 다이스 중 미리 결정한 수의 다이스를 판단대상이 되는 다각형판의 외면에 전개마크가 각각 포함될 때에는, 전개마크가 포함된 1개의 다이스를 2차원적으로 전개시켜, 전개된 다이스를 게임판 위의 n개의 상호 연결된 그리드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다이스 전개단계.
(c) 회전판위로 굴려진 다수개의 다이스에서 판별되는 그룹 및/또는 레벨을 기초로, 자신이 사용되는 게임 컴포넌트 세트에 포함된 다수개의 피스 중에서 1개의 피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피스를 전개시켜 다이스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다각형판위에 배치되는 피스 배치단계.
(d) 다이스를 전개시킨 경우 및 전개시키지 않은 경우등 어느 경우든지, 상기 회전판위로 굴린 다수개의 다이스의 판단대상이 되는 다각형판의 외면에 진행마크 및/또는 실행마크가 포함될 때에는, 그러한 마크가 나타나는 수를 마크의 종류마다 비용으로 저축하는 저축단계.
(e) 저축된 비용을 지불하여 게임판위에 있는 피스를 전개된 피스위로 진행시키거나 및/또는 피스의 능력을 발휘시켜 상대방 플레이어의 피스를 공격 또는 파괴하는 진행·공격단계.
(f) 진행·공격단계를 실행한 후 또는 진행·공격단계를 실행시키지 않고 당회의 턴(turn)을 종료시키는 종료단계.
각 플레이어가 상호 되풀이한 상기 턴을 실시함에 의해, 전개된 다이스가 게임판위에 피스의 진행통로 패턴을 형성한다. 또한, 각 턴마다 각 플레이어가 전략으로 사용하는 피스에 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 지불한 비용을 저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피스가 진행통로 패턴상에 존재하고 상기 피스의 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 비용을 저축하게 되면, 피스의 진행등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피스끼리 직접 대결이 시작되기 전에도 플레이어는 자신의 전략을 이어나가지 않으면서 피스를 진행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피스에 특정능력을 발휘시킬 수 있으며,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상대방 플레이어의 턴 중인 경우 진행·공격단계에 있어서, 저축된 비용을 지불함에 의해 자신의 피스의 수비 및 상대방 플레이어의 피스의 공격 또는 파괴를 하게 되는 규칙을 정하고, 각 플레이어가 게임판에 나가 있는 피스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시키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가능하다.
게임 컴포넌트 세트에 포함된 다수 종류의 피스중에, 플레이어를 대신하게 되는 마스타피스(master piece)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타피스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게임개시시 까지, 마스타피스를 게임판위에 구비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러한 경우에 게임판위의 마스타피스를 구비한 특정 그리드를 다른 그리드와 식별가능하게 설정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타피스의 능력을 정하는 방법은 임의이다. 예를들면, 마스타피스의 능력을 낮춘만큼 게임에 대한 마스타피스의 수비전략이 중요하게 되는 한편, 전략을 세우는 즐거움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에 정한 바에 따라 1회의 턴을 원칙으로, 전개되는 다이스의 선택, 다이스의 전개에 따른 진행통로의 형성, 피스의 선택, 게임진행에 필요한 비용의 저축 및 저축된 비용을 지불함으로서 행하는 진행·공격의 요부선택 및 실행을 일련의 것으로 행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이, 1회의 턴에 대한 다수횟수의 선택을 조합시킴으로서, 상기와 같이 행한 게임전개가 크게 변한다. 따라서, 1회의 턴 중에 있는 플레이어는 선택을 즐기면서 게임의 전략을 변경할 수 있으며, 종래의 보드게임과 비교하여 의외성 있는 게임전개를 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플레이어의 만족도를 종래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이스를 전개시켜 진행통로를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의 진행통로 패턴이 게임을 행할 때마다 변하기 때문에 게임을 어느횟수로 하더라도, 동일한 게임전개가 되기 어렵고 종래의 보드게임에 비해 오랜시간에 걸쳐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특히, 상대방 플레이어의 턴에 대한 진행·공격단계에 있어서는 저축된 비용을 지불하고 자신의 피스의 수비 및 상대방 플레이어의 피스의 공격 또는 파괴를행하도록 하는 규칙이 정해진다. 이와 같이 하면, 리얼타임(real time)에 대결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횟수의 선택행위를 포함한 턴(turn)이라는 개념을 써서 다른 대결게임과 동일하게 스피드한 대결을 실현할 수 있다.
전개된 다이스를 게임판위의 장소에 따라 전개시키는 것을 특히 규칙으로 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이런 점을 규제함으로서 보다 전략을 세우는 것이 어렵게 된다. 예를들면, 초기 피스 배치단계에 있어서, 자신의 마스타피스를 놓아둔 특정 그리드에 인접한 적어도 1개의 그리드를 커버하도록 전개된 다이스를 배치함으로서, 이후 전개단계에 있어서는 이미 전개되어 있는 다이스와 겹치는 한편 자신으로 전개된 다이스가 커버되어 다수개의 그리드에 인접한 다수개의 그리드를 커버하도록 전개된 다이스를 배치하도록 규칙을 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각 플레이어는 전개된 다이스가 연결되는 동안에 필요한 비용의 저축을 행하기 때문에 게임이 원할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규칙에 따라 차례대로 전개되는 다이스를 진행통로로 하여 피스를 진행시키고, 자신의 피스와 상대방 플레이어의 피스가 특정 위치관계에 있을 조건하에 상대방 플레이어의 피스까지는 마스타피스를 공격할 수 있도록 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공격조건은 한정되기는 하였으나 게임의 진행에 필요한 비용을 적절히 저축하면서 대결을 실행할 수 있다.
피스 대결의 승패는 예를들면, 공격을 받는 피스에 관해서 미리 정해진 내구력이 스스로 수비력을 넘은 상대방 플레이어의 피스 공격력에 의해 저하되며, 내구력이 0 이 됐을 때에 상기 피스가 파괴되는 것으로 의제되는 것을 규칙으로 정해도된다. 이에 따라 행한 1회의 대결에 따르면, 대결 결과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적은 수의 피스를 사용하여 비교적 장시간 게임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게임판위에 전개된 다이스 위에 피스가 놓여질때 까지는 피스를 대응하는 카드 위에 놓아 두고 상기 피스가 게임중에 파괴된(상대방 피스와 대결해서 패한) 후에 대응하는 카드를 뒤집어 그 위에 피스를 배치하여 두는 것 또는 대응하는 카드위에 피스를 횡방향으로 배치하여 두는 규칙을 정하게 되면, 사용가능한 피스와 사용되지 않는 피스가 명확하게 되고, 게다가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피스를 인식하면서 게임을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당한(fair)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게임 컴포넌트 세트에 준비된 다수개의 다이스 및 다수 종류의 피스는 규칙에서 정한 규정의 개수대로 하기는 하였으나, 다수개의 다이스 및 다수 종류의 피스는 각 플레이어가 소유한 스톡(stock)까지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스톡까지 다이스 및/또는 피스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전략을 세워지기 시작하며, 전략의 다양성(variation)이 증대되는 만큼은 아니지만 스톡을 증가하는 즐거움도 증대한다.
게임의 승패를 정하는 방법은 임의이며, 예를들면 마스타피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다음번에 따라 정할 수 있다. 즉, 마스타피스가 미리 정해진 데미지를 받는 시점에서 상기 마스타피스의 소유자의 부담이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공격 뿐만아니라 수비도 게임전략의 중요요소로 되며, 게임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다이스를 전개하여 게임판위에 통로를 형성하지 않고, 미리 통로를 구성한통로판을 준비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이스를 전개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 게임 컴포넌트 세트를 다수개의 다이스와, 각각 눈으로 보아 식별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한편 미리 정해진 다수개의 그룹 및/또는 미리 정해진 다수개의 레벨에 속하는 여러종류의 피스와, 상기 여러종류의 피스에 대응되게 구성되며 적어도 대응되는 피스를 특정하기 위한 표시, 대응하는 피스의 능력, 상기 능력의 발휘조건 및 그룹 및/또는 레벨이 표시된 여러장의 카드와, 게임판위의 연속하는 다수개의 다각형 그리드에 의해 구성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구비한 다수개의 통로판(plate)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개의 통로판은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될 수 있으며, 여러종류의 서로 다른 형상의 통로판을 조합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통로판을 사용하면 부품점수는 많아지기는 하나 다이스를 전개시켜 다이스를 조립하는 수고가 생략되기 때문에 게임을 원할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통로판의 형상을 다르게 하고 통로판의 선택도 전략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포인트가 되기 때문에 게임을 보다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다이스를 n(n은 3이상의 정수)개 외면이 있는 다면체로 한다. 그리고, 다면체의 n개 외면에는 통로판을 게임판 위에 두는 것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사용하게 되는 전개마크, 피스를 진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는 1이상의 실행마크 및 그룹 및/또는 레벨을 표시하는 1이상의 식별마크를 표시한다.
다수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상기 다수개의 통로판을 다른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것과는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각 플레이어가 점유하고 있는 게임판위의 영역의 크기차이를 게임의 승패요인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색 및/또는 모양등을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다수개의 통로판을 표면과 이면이 서로 다른점이 한눈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2인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경우, 일측 플레이어가 표면을 향한 통로판을 사용하고 타측 플레이어가 이면을 향한 통로판을 사용하므로서, 공통의 통로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플레이어가 점유한 영역의 넓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및 게임방법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보드게임은 연속되는 다수개의 다각형 그리드를 구비하고, 다수의 플레이어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게임판과 다수의 플레이어가 각각 자신의 플레이를 위해 사용하는 다수개의 게임 컴포넌트 세트로 구성된다. 도1에 예시된 게임판(1)은 최고 4명의 플레이어가 게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종이, 비닐시트, 목판, 합성수지시트 등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게임판(1)은 다수개의 정사가형 모양의 다각형 그리드(3)가 연속으로 그려져 있으며, 1개의 매트릭스(matrix)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게임판(1)의 다수개의 그리드(3) 내에서 게임할 수 있는 플레이어의 수(4명)와 동일한 수인 4개의 그리드(3a~3d)를 나머지 그리드(3)와 식별가능하게 다른 색을 칠해 놓는다. 식별가능한 그리드(3a, 3c)와 그리드(3b,3d)는 각 플레이어가 자신의 마스타피스를 게임개시 준비단계에서 놓아두는 장소이며, 또한 이후에 설명될 전개된 다이스를 게임판위로 배치하는 경우 초기위치로 인식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게임 컴포넌트 세트는, 도2 내지 도5에서 설명되는 다수개의 다이스(5)와, 도6에서 설명되는 여러종류의 피스(25a~25d)와, 도7에서 설명되는 피스에 대응되는 여러장의 카드(33)와, 도8에 예시된 비용의가감산장치(35)과, 도9에 예시된 것과 같은 여러개의 플립(flip)(39)으로 구성된다.
도3의 (A) 및 (C)에 전개된 상태의 다이스(5)의 외면 및 내면을 나타낸 바에 의하면, 다이스(5)는 다각형 그리드(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윤곽형상의 치수를 구비한 6개의 다각형판(여기서는 정사각형판)(7a~7f)이 전개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6면체(다면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이스(5)는 2차원적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6개의 다각형판(7a~7f)이 상호 연결되는 상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6개의 다각형판(7a~7f) 각각은 2차원적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인접한 다른 다각형판과 연결된다. 상기 다이스(5)를 구성하는 상기 6개의 다각형판(7a~7f)은 합성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인접한 2개의 다각형판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6) 및 다이스를 조립할 때에 이용되는 다수개의 피계지부(9) 및 계지부(11)도 합성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도3의 (B)에 의하면, 피계지부(9)는 횡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 되는 홈부로 구성되며, 계지부(11)는 상기 피계지부(9)를 구성하는 홈에 꼭 끼워지는 돌기로 구성된다. 대응하는 피계지부(9)에 계지부(11)가 끼워짐으로서 상기 다이스(5)는 전개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피계지부(9) 및 계지부(11)의 구조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 및 도3의 (C)에 의하면, 상기 다이스(5)를 구성하는 다각형판(7a~7f)의 외면에는 상기 다이스(5) 전개의 결정요소로서 사용되는 전개마크(13)과, 피스를 진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는 진행마크(15)와, 피스의 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는 4개의실행마크(17~23)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공격마크(17)는 공격(능력중 하나)을 행하기 위해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며, 수비마크(19)는 상대방의 공격에 대응하여 수비(능력중 하나)를 하기 위해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며, 2개의 특수능력마크(21,23)는 각각 피스에 미리 정해진 특수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피스의 그룹(식별마크)을 상기 다이스(5)를 구성하는 다각형판(7a~7f)의 색에 의해 표시하고 있으며, 또한 피스의 레벨(식별마크)을 전개마크(13)의 중심에 표시하는 알파벳 기호에 의해 표시한다.
상기 다이스(5)를 구성하는 6개의 다각형판(7a~7f)에서 1개의 다각형판(7c)의 내면에는 상기 다이스(5)를 전개할 때에 피스가 놓여지는 장소를 나타내는 위치지시마크(25)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위치지시마크(25)는 볼펜이나 펠트펜(felt pen) 등으로 문자를 써 넣는 것이 가능한 실(seal)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수개의 다각형판에 상기 위치지시마크를 형성하여 위치 선택기회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스(5)의 전개패턴은 도3에 예시된 1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4의 (A) 내지 (D)는 사용되는 다이스(5)의 외면에 표시된 마크의 표시조합의 예를 나타낸다. 게임 컴포넌트 장치에 포함된 다수개의 다이스는 1종류의 전개패턴에 속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여러종류의 전개패턴에 속하는 여러종류의 다이스를 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도5의 (A) 내지 (D)는 사용된 다이스(5)의 외면에 표시된 마크의 표시 조합예를 나타낸다. 도5의 (A) 내지 (D)는 각각 1개의 다이스(5) 중 다이스의 6면에 표시된 다수개의 마크의 종류 예이다. 도5의 (A)에서 도5의 (D)를 따라 전개마크의 수가 감소된다. 도5의 (A)의 다이스에 의하면, 전개마크의 수가 많은 것을 선택하면 다이스를 전개하는데 유리하게 되나, 후술하는 비용을 저축하기 어렵다. 역으로, 도5의 (D)의 이용하면, 다이스는 전개하기 어렵기는 하나 비용을 저축하기는 쉽다. 플레이어는 이와 같은 다이스의 특징을 고려하여, 각 다이스 마다 다수개의 다이스를 선택한다. 또한, 도5의 (A) 내지 (D)에 예시된 바에 따르면, 각 마크의 근방에 나타낸 숫자는 상기 숫자가 부착된 마크에 관해서 비용을 상기 숫자의 배수만큼 저축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숫자 대신에 다른 문자나 기호를 병기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6의 (A) 내지 (D)는 각 시각에 따라 식별가능한 특징을 구비하는 한편 미리 정해진 다수개의 그룹 및 미리 정해진 다수개의 레벨에 속하는 여러종류의 피스(25a~25d)의 예시이다. 이러한 피스(25a~25d)는 게임판(1)위에 구비된 베이스(27)와, 상기 베이스(27)위에 설정되어 방향성을 나타내는 특징부(2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는 합성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표면에 도장이 채색되어 있다. 상기 특징부(29)에는 전부와 후부가 분리되도록 각 2개의 눈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특징부(29)는 동물, 인간, 가공의 동물(몬스터)등의 도형 형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베이스(27)에는 플레이어를 특정하기 위해 써 넣는 것이 가능한 기입부(31)가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기입부(31)도 필기구로 플레이어의 이름등을 써 넣을 수 있는 시트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기입부가 있으면, 게임종료후에 상기 기입부(31)에 쓰여 있는 것을 눈으로 보아 자신의 피스를 간단히회수할 수 있다.
도7은 여러종류의 피스(25a)등에 대응되게 구성되며, 적어도 대응되는 피스(25a)등을 특정하기 위한 표시, 대응하는 피스의 능력(특수능력, 효과등), 상기 능력의 발휘조건 및 피스의 그룹 및 레벨이 표시된 카드(33)의 표면 표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각 피스(25a)등은 상기 카드(33)의 기재내용에 따라 특징이 부여된다. 여러종류의 피스(25a)등에는 수비력, 공격력 및 내구력을 구비한 공격대상 타입의 피스와, 상대방 플레이어의 피스에 미리 정해진 효과만큼을 발휘하는 효과발휘 타입의 피스를 포함한다. 각 피스는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또한 각 피스에는 상기 피스의 능력의 높이를 나타내는 레벨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게임판위에 있는 피스는 다이스의 회전에 따라 정해진 그룹에 속하는 피스 중에서 다이스의 회전에 따라 정해진 레벨이 부착된 피스를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피스의 능력에는, 예를들면 공격능력, 수비능력, 미리 정해진 특수한 공격 및 수비능력, 도주로 형성능력, 함정 제작능력, 지뢰 제작능력 등의 각 종류의 능력을 말한다.
도6의 (A)의 피스(25a)는 공격대상 타입의 피스로 되며, 상기 피스에 대응되는 카드에는 도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25a)가 속하는 그룹(33a)인 「그룹 11」이 있는 한편 레벨(33b)인 「레벨 A」가 있으며, 상기 피스의 이름(33c)인 「볼맨(Ball man)」이 있고, 또한 피스의 그림(33d)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상기 카드에는 공격력이 10 포인트되고, 수비력이 40 포인트되며, 내구력이 70 포인트되는 것이, 그러한 능력을 나타내는 마크(33e~33g)와 동일한 숫자 또는 양으로 나타나게 된다. 더우기, 상기 카드에는 특수능력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이 상기 비용의 종류를 나타내는 실행마크(33h)와 숫자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드에는 비용을 지불하여 실행하는 특수능력의 내용(33i)도 기재되어 있다.
상기 수비력은 상대방의 공격력에서 감산 되어 공격력을 약하게 하는 능력이 있다. 또한, 역으로 공격력은 상대방의 수비력에서 감산 되어 상대방의 수비력을 약하게 하는 능력이다. 또한, 체력은 수비력이 0이 된 상태에서 공격력이 감산되어 0이 될 때까지는 상기 피스를 게임상에 존재시키는 것이 가능한 능력이다. 상기 카드에 이러한 능력이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각 플레이어는 여러개의 피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특별히 각 피스의 능력을 전부 암기하지 않고도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게임 컴포넌트 세트에 포함된 여러종류의 피스 중앙에, 플레이어를 대신하여 인접한 마스타피스(도6의 (D)에 예시된 피스)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타피스는 게임개시시 까지 게임판위의 상기의 식별가능한 그리드 위에 구비된다. 상기 마스타피스의 능력을 정하는 방법은 임의이다. 상기 마스타피스의 능력을 낮춘만큼 게임에 대한 마스타피스의 수비전략이 중요하게 되므로 전략을 세우는 즐거움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타피스에 공격력도 수비력 만큼 부여한다. 이러한 점은 상기 마스타피스에 대응하는 카드에 기재된다.
도6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상기 피스의 중심에는, 지뢰에 의해 상기 장소에 온 피스를 파괴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효과발휘 다이스의 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기본구성에는, 이롸 같은 효과발휘 다이스의 피스를 포함하는 것이 반드시필요하지 않다. 상기 효과발휘 다이스의 피스에 대해서도 당연히 카드는 준비된다.
도8의 (A)는 게임 컴포넌트 세트에 포함되며, 진행마크 및 4개의 실행마크에 대응하는 5개의 가감산표시부(35a~35e)를 갖춘 가감산장치이다. 상기 가감산장치(35)는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부에 각각 10개의 홀이 있는 가감산표시부(35a~35e)를 구비한다. 상기 홀에는 도8의 (B)의 핀(pin)(37)을 삽입하고, 상기 핀(37)의 삽입위치가 변함에 따라 비용의 가산 및 감산이 표시된다. 각 가감산표시부(35a~35e)의 횡방향으로 진행마크, 공격마크, 수비마크 및 상기 1이상의 특수능력마크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가감산장치(35)를 이용하면, 각 마크마다 포인트나 비용의 증감을 암기나 메모등을 할 필요가 없으며, 확실하게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도8의 가감산장치(35)는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으로 이용되는 가감산장치가 도8에 나타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 핀(37)등을 이용하지 않고 핀에 상당하는 것을 미리 준비하여 그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감산을 행하는 구조의 가감산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도9는 게임 컴포넌트 세트에 포함된 여러개의 플립(flip)(39) 중 1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플립(39)은 미리 8개 또는 10개 정도 준비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플립(39)을 준비하여 두면, 게임진행중에 특정 피스의 내구력의 저하량을 상기 저하량에 대응하는 수의 플립을 카드위에 구비함으로서 플레이어에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의 보드게임을 이용하여, 2명의 플레이어에 의해 본 발명의 게임방법의실시예를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게임방법에는 상기의 보드게임을이용하여 규칙에 따라 게임을 진행한다. 게임개시 전에,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마스타피스를 게임판(1)위의 그리드(3a,3c)위에 구비한다. 또한, 각 플레이어가 소유한 여러장의 카드를 게임판의 횡방향으로 또는 상대방 플레이어가 보이는 위치에 나란히 놓고, 그 위에 대응하는 피스를 올려 놓는다. 또한, 도6의 가감산장치(35)도 상대방 플레이어가 보이는 위치에 구비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사용된 다이스(5)는 전개된 상태의 패턴이 동일하지 않고, 도4에서와 같이 여러종류의 전개패턴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순서대로 각 플레이어는 규칙이 정해진 이하의 다이스를 행한다. 규칙은 각 플레이어가 1회의 턴에 있어서 후술하는 (a)~(f)의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정하면 된다.
(a) 자신을 사용하는 게임 컴포넌트 세트에 포함된 다수개의 다이스에서 선택된 다수개의 다이스를 회전판위에 굴리는 다이스 회전단계.
(b) 상기 회전판위에 굴린 다수개의 다이스 중 미리 결정한 수의 다이스의 판단대상이 되는 다각형판의 외면에 전개마크가 각각 포함될 때에는, 전개마크가 포함된 1개의 다이스를 2차원적으로 전개시켜 전개된 다이스를 게임판 위의 n개의 상호 연결된 그리드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다이스 전개단계.
(c) 상기 회전판위로 굴려진 다수개의 다이스에서 판별되는 그룹 및/또는 레벨을 기초로, 자신이 사용되는 게임 컴포넌트 세트에 포함된 다수개의 피스 중에서 1개의 피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피스를 전개시켜 다이스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다각형판위에 배치되는 피스 배치단계.
(d) 상기 다이스를 전개시킨 경우 및 전개시키지 않은 경우등 어느 경우든지, 상기 회전판위로 굴린 다수개의 다이스의 판단대상이 되는 다각형판의 외면에 진행마크 및/또는 실행마크가 포함될 때에는, 상기 마크가 나타나는 수를 마크의 종류마다 비용으로 저축하는 저축단계.
(e) 상기 저축되는 비용을 지불하여 게임판위에 있는 피스를 전개된 피스위로 진행시키거나 및/또는 피스의 능력을 발휘시켜 상대방 플레이어의 피스를 공격 또는 파괴하는 진행·공격단계.
(f) 상기 진행·공격단계를 실행한 후 또는 진행·공격단계를 실행시키지 않고 당회의 턴(turn)을 종료시키는 종료단계.
상기 실시예에서, 1회의 턴으로 미리 준비된 다수개의 다이스(5) 중에서 3개의 다이스(5)를 플레이어가 선택한다. 그리고, 플레이어가 선택된 3개의 다이스를 상기 회전판(일반적으로 게임판(1)을 구비한 널판이나 걸상의 윗판)위에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단계에서 3개의 다이스 중 2개의 다이스의 판단대상이 되는 다각형판(7a~7f)의 외면에 전개마크가 각각 포함되어 있는 때에는 전개마크가 포함되어 있는 1개의 다이스를 2차원적으로 전개하여 전개된 다이스를 게임판(1)위의 6개의 상호 연결된 그리드를 커버하도록 배치한다.
도10에서, 도면부호 51~54로 표시된 전개된 다이스는 일측의 플레이어가 게임판(1)위로 전개시킨 다이스 이며, 도면부호 61~63으로 표시된 전개된 다이스는 상대방 플레이어가 게임판(1)위로 전개시킨 다이스 이다. 각 전개시킨 다이스 위에 검은 색의 환모양으로 표시된 것이 각 플레이어의 피스(25)이다.
최초에 전개시킨 다이스(51, 61)를 게임판(1)에 구비한 경우에는, 마스타피스가 구비된 그리드(3a, 3c)와 인접한 그리드를 반드시 커버하도록 전개시킨 다이스(51, 61)를 게임판(1)에 구비하는 것을 규칙으로 정한다. 그런 이후에, 플레이어가 전개시킨 자신의 다이스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판과 인접하는 한편 자기 또는 타인이 전개시킨 판이 겹쳐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각 플레이어가 상기 다이스(5)를 게임판위로 전개한다. 이와 같이 각 플레이어가 반복하여 상기 턴을 실시함에 의해 전개된 다이스가 게임판 위에 피스의 진행통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양자가 전개시킨 다이스가 연결되면, 양자의 피스는 상대방이 전개시킨 다이스 위로도 진행할 수 있다.
다이스를 전개시킨 후에, 회전판위로 굴린 3개의 다이스에서 판별된 그룹 및 레벨에 기초하여 자기가 사용한 게임 컴포넌트 세트에 포함된 다수개의 피스 중에서 1개의 피스를 선택하며, 선택된 피스를 전개된 다이스를 구성하는 여러개의 다각형판위에 배치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피스가 속하는 그룹은 다각형판의 외면의 색으로 판단하며, 레벨은 전개마크의 중심에 기재된 알파벳 문자로 판단한다. 그리고 선택된 피스는 전개된 다이스를 구성하는 6개의 다각형판의 내면에 설정된 위치결정마크를 구비한 다각형판 위에 구비한다. 또한, 피스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스의 전방이 상대방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이에 따라 자신의 피스와 상대방의 피스를 용이하게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1개의 다이스(5)를 전개시킨 경우 및 전개시키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회전판 위로 굴린 3개의 다이스의 판단대상도 되는 다각형판의 외면(돌출된 눈)에 진행마크 또는 실행마크가 포함되어 있을때에는 상기 마크가 나타내는 수를 마크의 종류마다 비용으로 저축한다. 상기 저축에는 도8의 가감산장치(35)를 이용하여 행한다.
그리고 각 턴마다 각 플레이어가 대결하는데 사용하는 피스에 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저축되어 있는 비용을 지불한다. 상기 피스가 진행통로 패턴상에 존재하고, 게다가 상기 피스의 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한 비용이 저축되어 있으면, 상기 피스의 진행등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스끼리 직접 대결을 시작하기 전이라도 플레이어는 자신의 전략을 이어갈 수 있으며, 상기 피스를 진행시키고 경우에 따라 상기 피스의 특정능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각 피스에 능력을 발휘시킬 수 있는지 여부는 플레이어가 소유하고 있는 비용을 고려하여 결정되게 된다. 또한, 상대방 플레이어의 턴 중에서의 진행공격단계에 있어서, 저축되어 있는 비용을 지불함에 의해 자신의 피스의 수비 및 상대방 플레이어의 피스의 공격 또는 파괴를 행하도록 규칙이 정해진다. 따라서, 상기 규칙에 따르면, 각 피스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시켜 대결을 할 수 있다. 1회의 턴 중에서의 능력발휘는 최후에 선택된 능력에서 역 순서로 실행되는 것이 된다.
도10의 상태에서는 진행통로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직접 피스끼리 대결을 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규칙은 원칙적으로 차례로 전개되는 다이스를 진행통로로 하여 피스를 진행시키고, 자신의 피스와 상대방 플레이어의 피스가 특정위치 관계에 있게 되는 조건하에 상대방 플레이어의 피스 또는 마스터피스를 공격할 수 있는 것을 정한다. 전형적인 공격조건은 자신의 피스와 상대방의피스가 서로 인접한 그리드 위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특정피스가 m개(m은 2이상의 정수) 앞에 위치하는 피스를 공격할 수 있는 특수능력을 구비한 경우에는 예외로서 m개 앞에 상대방의 피스를 공격할 수 있다. 또한, 공격내용도 특수능력으로 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비용을 2배 지불함에 따라 4배의 공격력을 얻는 것이 가능하며, 직선전방 위치에 있는 상대방의 피스를 그 사이에 몇 개의 그리드가 있더라도 그 수에 무관하게 공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수능력은 각각 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능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공격받은 경우 원칙적으로 수비력과 내구력의 합계값이 공격력 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피스의 파괴는 방지된다. 단지, 수비력에 가산되는 내구력은 감소되게 된다. 내구력의 감소량은 상기 피스에 대응하는 카드위에 감소량에 상당하는 수의 플립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명시된다. 예를들면, 수비력이 30 포인트, 내구력이 40 포인트의 피스가 공격력 40의 상대방 피스의 공격을 받는 경우에는 내구력이 10 저하되기 때문에 카드위에는 1개의 플립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피스는 이후 동일한 상대방의 피스에 의해 3회 공격을 받고 내구력이 0 이 되기 때문에 게임에서는 파괴된 것으로 의제된다. 공격력 및 수비력은 원칙적으로 각 턴에 있어서, 비용을 지불하게 되므로 1회만큼 그 능력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전 턴에서 수비력을 사용하고 다음 턴에서는 비용을 지불함에 의해 다시 동일한 수비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비용을 지불하기 까지는 가감산장치(35)의 핀을 이동시킨다.
또한, 규칙은 피스가 게임중에 파괴된(상대방 피스와의 대결에서 패하거나지뢰효과가 발휘된) 후에, 대응하는 카드를 뒤집어 그 위에 피스를 배치하여 두고, 또한 대응하는 카드 위에 피스를 횡방향으로 배치하여 두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가능한 피스와 사용가능하지 않은 피스가 명확하게 되며, 게다가 상대방이 구비하고 있는 피스를 인식하면서 게임을 진행시킬 수 있다.
게임의 승패를 정하는 방법은 임의이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마스터피스가 미리 정해진 회수로 파괴된 시점에서(데미지를 받은 시점에서) 상기 마스터피스의 패배가 명확하게 정해지는 것으로 된다.
또한, 규칙은 피스를 진행시킬 때에 전방에 자신의 피스가 거주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피스를 뛰어넘어 피스를 진행시킬 수 있으나, 상대방의 피스가 거주하는 경우에는 상대방의 피스를 뛰어넘어 피스를 진행시킬 수 없는 것으로 정한다. 또한, 다이스 전개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이 갖춰진 경우에는 한번 파괴된 피스를 다시 부활시킬 수 있도록 규칙을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각 피스에 관하여 그룹과 레벨을 정해지게 되는데, 상기 그룹 및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량, 개선 및 변형은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게 된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보드게임의 게임개시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다이스(5)를 전개하고 게임판위에 전개된 다이스를 구비함으로서 통로를 형성한다. 도11의 실시예에서는, 다이스(5')로서 전개되지 않는 일체로 된 다이스를 사용하며, 통로형성용의 다수개의 통로판(50)을 별개로 이용하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와 구별된다. 도11에는 편의적으로 각 플레이어 마다 5개의 다이스(5')와 5개의 통로판(50)을 나타낸다. 그러나, 실제 통로판 개수는 1명 플레이어 마다 15개이며, 다이스의 수는 1명 플레이어 마다 15개 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다이스(5')는 전개시키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2에서 보여준 전개가능한 다이스와 동일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상기 다이스(5')는 n(n은 3이상의 정수)개의 외면을 구비한 다면체이다. 또한, 상기 다면체의 n개 외면에는 통로판을 게임판상에 구비하는 것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이용되는 전개마크, 피스를 진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저축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진행마크, 피스의 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저축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1이상의 실행마크 및 그룹 및/또는 레벨을 표시하는 1이상의 식별마크가 표시되어 있다.
도12는 게임판위의 연속하는 다수개의 다각형그리드에 의해 구성된 영역을(area) 가릴수 있는 형상을 구비한 다수개의 통로판(50)의 예를 보여준다. 도12의 (A) 내지 (E)는 일측의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5종류의 통로판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12의 (F) 내지 (J)는 타측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5종류의 통로판의 평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각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통로판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각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통로판의 색 및/또는 모양을 다르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로판(50)을 사용하는 것과, 부품점수는 많아지기는 하나 다이스를 전개시키고 다이스를 조립하는 수고를 생략하기 때문에 게임을 원할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하는 통로판(50)의 형상을다르게 하는 것과, 상기 통로판(50)의 선택도 전략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게임진행 순서는 다이스를 흔들어 전개가 결정되고, 상기 다이스를 전개시키는 대신에 플레이어가 가지고 있는 다수개의 통로판 중 1개의 통로판을 선택하여 상기 통로판을 게임판위에 구비하여 통로를 형성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먼저 설명한 최초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관하여 게임방법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외성 있는 게임전개를 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욱이 플레이어의 만족도를 종래게임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한 버드게임 및 그 게임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다이스를 전개시켜 진행통로 패턴을 형성하며, 피스의 진행통로 패턴이 게임을 행할 때마다 변하기 때문에, 종래 게임보다도 게임의 의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게임진행과정에 있어서, 비용을 저축할 수 있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게임도중에 전략을 세우는 즐거움을 종래게임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에 특수능력을 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비용을 지불함으로서 게임전개의 변화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비용을 지불하지 못하면 피스에 능력이 있어도 공격 및 방어를 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의외성 있는 게임전개가 될 수 있다.
또한, 피스와 카드의 설치방법을 규제함으로서, 게임진행과정에서 또는 사용되지 않는 피스와 파괴가 의제되는 피스를 바로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페아(fair)나 게임을 전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를 임의로 준비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피스를 갖추어 각종 전략을 세울수 있는 즐거움을 얻게된다.
또한, 플립을 이용하고 각 피스가 받은 데미지 정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 피스 및 각 다이스에 기입부를 구비하면, 자신의 게임 컴포넌트 세트와 타인의 게임 컴포넌트 세트를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게임종료후 마무리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개가능한 다이스를 이용하지 않을 때에 다수개의 통로판을 이용하여 통로를 전개하도록 하는 것과 부품점수는 많아지기는 하나 다이스를 전개시키고 다이스를 조립하는 수고가 생략되기 때문에 게임을 원할하게 진행할 수 있다. 특히, 통로판의 형상을 다르게 하고 통로판의 종류선택이 전략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포인트가 되는 경우가 되므로, 게임을 보다 즐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7)

  1.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할 수 있는 보드게임에 있어서,
    연속되는 다수개의 다각형 그리드(grid)를 구비한, 상기 다수의 플레이어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게임판과,
    상기 다수의 플레이어가 각각 자신의 게임을 위해 사용하는 다수개의 게임 컴포넌트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컴포넌트 세트는 다수개의 다이스와, 각각 눈으로 식별가능한 특징이 있는 한편 미리 정해진 다수개의 그룹 및/또는 미리 정해진 다수개의 레벨에 속하는 여러 종류의 피스와, 상기 여러종류의 피스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적어도 대응되는 상기 피스를 특정하기 위한 표시, 대응되는 상기 피스의 능력, 상기 능력의 발휘조건 및 피스의 그룹 및/또는 레벨이 표시되는 여러장의 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스는 상기 다각형 그리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윤곽형상 치수를 구비한 n개(n은 3이상의 정수이다)의 다각형판이 전개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 다면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스가 2차원적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n개의 다각형판이 상호 연결되어 있도록 상기 n개의 다각형판 각각은 2차원적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인접한 다른 다각형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각형판의 외면에는 상기 다이스 전개의 결정요소로서 사용되는 전개마크와, 상기 피스를 진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는 진행마크와, 상기 피스의 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는 1이상의 실행마크 및 피스의 그룹 및/또는 레벨을 표시하는 1이상의 식별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컴포넌트 세트가 상기 진행마크 및 상기 1이상의 실행마크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가감산표시부를 구비한 가감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컴포넌트 세트가 상기 카드위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한 다수개의 플립(flip)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마크, 상기 진행마크, 상기 실행마크 및 상기 식별마크가 색채, 도형, 모양, 기호,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5. 제 3 항에 있어서,
    1개의 상기 다각형판의 외면에 상기 전개마크, 상기 진행마크, 상기 실행마크 및 상기 식별마크 중에서 선택된 2이상의 마크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스를 구성하는 n개의 상기 다각형판의 적어도 하나의 내면은 상기 다이스를 전개시킬 때에, 상기 피스가 구비되는 장소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지시마크는 플레이어를 특정하기 위해 기입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는 상기 게임판위에 구비된 베이스(base)와, 상기 베이스위에 구비된 방향성을 표시할 수 있는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에는 플레이어를 특정하기 위해 기입이 가능한 기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판의 다수개의 그리드 중에서 게임이 가능한 플레이어의 수와 동일한 수의 소정의 그리드가 나머지 다른 그리드와 식별가능하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컴포넌트 세트 중에 상기 다수개의 피스에는 상기 식별가능하게 표시된 그리드에 구비된 마스타피스(master piece)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에는 대응하는 상기 피스의 수비력, 공격력, 내구력이 숫자 또는 양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에는 대응하는 상기 피스의 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 필요한 상기 실행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14. 다수의 플레이어가 규칙에 따라 게임할 수 있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드게임이
    연속되는 다수개의 다각형 그리드(grid)를 구비한, 상기 다수의 플레이어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게임판과,
    상기 다수의 플레이어가 각각 자신의 게임을 위해 사용하는 다수개의 게임 컴포넌트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컴포넌트 세트는 다수개의 다이스와, 각각 눈으로 식별가능한 특징이 있는 한편 미리 정해진 다수개의 그룹 및/또는 미리 정해진 다수개의 레벨에 속하는 여러 종류의 피스와, 상기 여러종류의 피스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적어도 대응되는 상기 피스를 특정하기 위한 표시, 대응되는 상기 피스의 능력, 상기 능력의 발휘조건 및 피스의 그룹 및/또는 레벨이 표시되는 여러장의 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스는 상기 다각형 그리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윤곽형상 치수를 구비한 n개(n은 3이상의 정수이다)의 다각형판이 전개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 다면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스가 2차원적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n개의 다각형판이 상호 연결되어 있도록 상기 n개의 다각형판 각각은 2차원적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인접한 다른 다각형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각형판의 외면에는 상기 다이스 전개의 결정요소로서 사용되는 전개마크와, 상기 피스를 진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는 진행마크와, 상기 피스의 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는 1이상의 실행마크 및 피스의 그룹 및/또는 레벨을 표시하는 1이상의 식별마크가표시되어 있고;
    상기 규칙은 각 플레이어가 순서대로 1회의 턴(turn)을 실행하고 1회의 상기 턴에 있어서, 각 플레이어는
    (a) 자신이 사용하는 상기 게임 컴포넌트 세트에 포함된 다수개의 다이스에서 선택된 다수개의 다이스를 회전판(rolling place)위에 굴리는 다이스 회전단계,
    (b) 상기 회전판위에 굴린 상기 다수개의 다이스 중 미리 결정한 수의 다이스의 판단대상이 되는 상기 다각형판의 외면에 상기 전개마크가 각각 포함될 때에는, 상기 전개마크가 포함된 1개의 다이스를 2차원적으로 전개시켜 전개된 다이스를 상기 게임판 위의 n개의 상호 연결된 상기 그리드를 커버하도록 구비하는 다이스 전개단계,
    (c) 상기 회전판위로 굴려진 상기 다수개의 다이스에서 판별되는 상기 그룹 및/또는 레벨을 기초로, 자신이 사용하는 상기 게임 컴포넌트 세트에 포함된 다수개의 피스 중에서 1개의 피스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피스를 전개시켜 다이스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상기 다각형판위에 배치하는 피스 배치단계,
    (d) 상기 다이스를 전개시킨 경우 및 전개시키지 않은 경우등 어느 경우든지, 상기 회전판위로 굴린 다수개의 다이스의 판단대상이 되는 상기 다각형판의 외면에 상기 진행마크 및/또는 상기 실행마크가 포함될 때에는, 상기 마크가 나타나는 수를 마크의 종류마다 비용으로 저축하는 저축단계,
    (e) 저축된 상기 비용을 지불하여 상기 게임판위에 있는 피스를 전개된 상기 피스위로 진행시키거나 및/또는 상기 피스의 능력을 발휘시켜 상대방 플레이어의피스를 공격 또는 파괴하는 진행·공격단계,
    (f) 상기 진행·공격단계를 실행한 후 또는 진행·공격단계를 실행시키지 않고 당회의 턴(turn)을 종료시키는 종료단계,
    를 실시하도록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플레이어의 턴 중에서 상기 진행·공격단계에 있어서는, 저축된 상기 비용을 지불하여 자신의 상기 피스의 수비 및 상대방 플레이어의 상기 피스의 공격 또는 파괴를 행하는 것을 규칙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판의 다수개의 그리드 중에서 게임이 가능한 플레이어의 수와 동일한 수의 소정의 그리드가 나머지 다른 그리드와 식별가능하게 표시되며,
    상기 게임 컴포넌트 세트는 상기 식별가능하게 표시된 그리드에 구비된 마스타피스(master piece)를 더 구비하며,
    게임개시시에 상기 마스타피스를 상기 식별가능하게 표시된 특정의 상기 그리드에 구비하며 및 상기 마스타피스에 미리 공격력 및 내구력만을 부여하는 것을 규칙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초기의 상기 피스 배치단계에 있어서는 상기 다이스의 전개는 자신의 마스타피스를 구비한 특정그리드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그리드를 커버하도록 전개시킨 상기 다이스를 배치하는 것과, 이후의 상기 전개단계에 있어서는 이미 전개된 상기 다이스와 겹쳐지지 않으며 자신이 전개시킨 상기 다이스가 커버하는 다수개의 그리드에 인접한 다수개의 그리드를 커버하도록 전개시킨 상기 다이스를 배치하는 것을 규칙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순서대로 전개된 상기 다이스를 진행통로로 상기 피스를 진행시키고, 자신의 상기 피스와 상대방 플레이어의 상기 피스가 특정 위치관계로 있는 조건하에 상대방 플레이어의 상기 피스 또는 상기 마스타피스를 공격할 수 있는 것을 규칙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는 수비력, 공격력 및 내구력을 구비한 공격대상 다이스의 피스와, 상대방 플레이어의 상기 피스에 미리 정해진 효과만을 발휘하는 효과발휘 다이스의 피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격대상 다이스의 피스에 대응하는 상기 카드에는 상기 피스의 수비력, 공격력, 내구력이 숫자 또는 양으로 표시되며, 또한 상기 카드에는 해당 피스의 상기 능력 및 상기 능력의 발휘에 필요한 비용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공격을 받은 상기 피스에 관해서 미리 정해진 내구력은 자신의 상기 수비력을 넘어 상대방 플레이어의 상기 피스의 공격력에 따라 저하되는 것과, 또한 상기 내구력이 0 이 될 때에 상기 피스가 파괴되는 것을 규칙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21. 제 16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타피스가 미리 결정된 데미지를 받은 시점에서 상기 마스타피스의 소유자의 패배가 명확해지는 것을 규칙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판위의 전개된 상기 다이스 위에 상기 피스가 구비되기 까지는 상기 피스를 대응하는 상기 카드의 위에 구비하고, 상기 피스가 게임 중간에 파괴된 후에는 대응하는 상기 카드를 뒤집어 그 위에 상기 피스를 배치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상기 카드의 위에 상기 피스를 횡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을 규칙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컴포넌트 세트는 상기 카드위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한 다수개의 플립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가 데미지를 받아 상기 내구력이 저하되고 그 저하량의 비율에 따른 수의 플립을 상기 피스에 대응하는 상기 카드위에 구비하는 것을 규칙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컴포넌트 세트는 상기 진행마크 및 상기 1이상의 실행마크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가감산표시부를 구비한 가감산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축단계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상기 마크가 나타나는 곳에서 상기 가감산표시부로 가산을 행하고, 상기 진행·공격단계에 있어서는 지불한 상기 비용에 상당하는 감산을 상기 가감산표시부에서 행하는 것을 규칙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가감산장치에서 가산할 수 있는 수가 최대로 저축한 수로 되는 것을 규칙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실행마크에는 공격을 행하기 위한 비용을 저축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공격마크와, 상대방 공격에 대응하여 수비를 행하기 위한 비용을 저축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수비마크, 및 상기 피스에 미리 정해진 특수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 비용을 저축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1이상의 특수능력마크가 포함되며,
    상기 가감산장치에는 상기 진행마크, 상기 공격마크, 상기 수비마크 및 상기 1이상의 특수마크가 대응하는 상기 가감산표시부에 인접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마크, 상기 공격마크, 상기 수비마크 및 상기 1이상의 특수마크가 도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각 마크의 근처 또는 중심에 특정숫자, 문자 또는 기호가 병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마크의 출현에 의해 얻은 비용은 상기 특정숫자, 문자 또는 기호가 의미하는 수의 배수의 비용을 저축할 수 있는 것을 규칙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2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마크는 상기 피스가 속하는 상기 그룹 및 상기 레벨을 나타내는 식별마크와 함께 1개의 상기 다각형판의 상기 표면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보드게임의 게임방법.
  2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스 회전단계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상기 다이스를 선택하도록 규칙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3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다이스는 전개된 상태의 형상이 한가지 모양이 아니며, 상기 다수개의 다이스의 전개된 상태의 형상은 여러종류의 형상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3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컴포넌트 세트에 준비한 상기 다수개의 다이스 및 상기 여러종류의 피스는 규칙에서 정한 규정의 개수가 되지만, 상기 다수개의 다이스 및 상기 여러종류의 피스는 각 플레이어가 소유한 스톡(stock)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의 게임방법.
  32. 다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에 있어서,
    연속되는 다수개의 다각형 그리드(grid)를 구비한, 상기 다수의 플레이어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게임판과,
    상기 다수의 플레이어가 각각 자신의 게임을 위해 사용하는 다수개의 게임 컴포넌트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컴포넌트 세트는 다수개의 다이스와, 각각 눈으로 식별가능한 특징이 있는 한편 미리 정해진 다수개의 그룹 및/또는 미리 정해진 다수개의 레벨에 속하는 여러 종류의 피스와, 상기 여러종류의 피스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적어도 대응되는 상기 피스를 특정하기 위한 표시, 대응되는 상기 피스의 능력, 상기 능력의 발휘조건 및 피스의 그룹 및/또는 레벨이 표시되는 여러장의 카드와, 상기 게임판위의 연속하는 다수개의 상기 다각형그리드에 의해 구성된 영역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을 구비한 다수개의 통로판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스는 n(n은 3이상의 정수)개의 외면을 구비한 다면체이며, 상기 다면체의 n개 외면에는 상기 통로판을 상기 게임판 위에 구비되는 것을 결정하는 요소로 이용되는 전개마크와, 상기 피스를 진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는 진행마크와, 상기 피스의 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저축하는 것을 나타내는 1이상의 실행마크 및 피스의 그룹 및/또는 레벨을 표시하는 1이상의 식별마크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33. 제 32 항에 있어서,
    다수의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상기 다수개의 통로판은 다른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것과 식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통로판은 표면과 이면의 차이가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마크, 상기 진행마크, 상기 실행마크 및 상기 식별마크가 색채, 도형, 모양, 기호,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36.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스 중 1개의 외면에는 상기 전개마크, 상기 진행마크, 상기 실행마크 및 상기 식별마크에서 선택된 2이상의 마크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3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판위에는 상기 피스가 구비되는 장소를 나타내는 위치지시마크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보드게임.
KR10-2004-7002952A 2001-08-31 2002-09-02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할 수 있는 보드게임과 그 게임방법 KR200400393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64013 2001-08-31
JPJP-P-2001-00264013 2001-08-31
PCT/JP2002/008890 WO2003018149A1 (fr) 2001-08-31 2002-09-02 Jeu de table joue par plusieurs joueurs et methode de jeu correspondan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311A true KR20040039311A (ko) 2004-05-10

Family

ID=1909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952A KR20040039311A (ko) 2001-08-31 2002-09-02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할 수 있는 보드게임과 그 게임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239031A1 (ko)
EP (1) EP1428560A4 (ko)
JP (1) JPWO2003018149A1 (ko)
KR (1) KR20040039311A (ko)
CN (1) CN1549737A (ko)
CA (1) CA2458847A1 (ko)
WO (1) WO20030181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292B1 (ko) * 2008-07-10 2010-09-30 송재언 놀이판, 놀이말집합체 및 놀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06124262A (ru) * 2003-12-09 2008-01-20 Адриан Блэр ГАРДИНЕР (NZ) Игра
US6997458B1 (en) 2004-10-20 2006-02-14 Darrick Yokomi Plural sided rolling game piece and method of play
JP4382104B2 (ja) * 2007-03-01 2009-12-09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玩具
US20090309306A1 (en) * 2008-04-18 2009-12-17 Trish Bell Trading card game including spheres in the play pattern
WO2010151155A1 (en) * 2009-06-23 2010-12-29 Yu Leonardo M A board game simulating jungle survival
US8668201B1 (en) * 2012-11-08 2014-03-11 Ludovic Roudy Temporary tattoo game piece for a fighting game and method of play
ES2684409B1 (es) * 2017-03-31 2019-07-09 Maciras Jose Angel Nolasco Juego de lucha sobre tablero
CN108786100B (zh) * 2017-05-03 2021-08-03 施政 一种交互卡片游戏系统
USD815212S1 (en) * 2017-06-29 2018-04-10 Norman Chan Chess board design
USD943860S1 (en) * 2018-09-18 2022-02-15 Jose E. Lopez Meditation cube
CN112657171A (zh) * 2019-10-16 2021-04-16 东北林业大学 秦始皇陵兵马俑文化创意棋
CN115155057B (zh) * 2022-07-26 2024-05-07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6267A (en) * 1967-03-02 1970-04-14 Gordon P Taillie Game apparatus comprising upright board with through openings for cubical playing pieces
US4194742A (en) * 1978-07-31 1980-03-25 Adams Ezra J Land and sea war game apparatus
JPS58192568A (ja) * 1982-05-04 1983-11-10 宮田 善雄 ヘビに模したふだを交互に連らねて食うか食わせるかを争うゲ−ム
US4489946A (en) * 1982-09-30 1984-12-25 Ortiz Burgos Angel A Board game having consistent shape relationship among its parts
JPS5995080A (ja) * 1982-11-25 1984-05-31 平沢 邦彦 多目的ダイス玩具
US4801147A (en) * 1986-08-15 1989-01-31 Miller James R Method of playing a board game
GB8707366D0 (en) * 1987-03-27 1987-04-29 Gilpin W G Apparatus for playing board game
DE8705084U1 (ko) * 1987-04-04 1988-04-28 Fleck, Hellmuth, 2000 Hamburg, De
GB2215623B (en) * 1987-10-23 1991-07-31 Rotation Limited Apparatus for playing a game for one or more players and to games played with the apparatus
JPH079375U (ja) * 1993-07-21 1995-02-10 國雄 中澤 枡目盤双六大学ゲーム
JP3013238U (ja) * 1994-12-28 1995-07-11 株式会社トミー ゲーム装置
US6062563A (en) * 1995-09-11 2000-05-16 De Keller; David Guy Casino game
GB9608313D0 (en) * 1995-11-20 1996-06-26 Liddell Thomas W Hierarchy board g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292B1 (ko) * 2008-07-10 2010-09-30 송재언 놀이판, 놀이말집합체 및 놀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18149A1 (fr) 2003-03-06
CA2458847A1 (en) 2003-03-06
CN1549737A (zh) 2004-11-24
EP1428560A4 (en) 2005-04-13
EP1428560A1 (en) 2004-06-16
US20040239031A1 (en) 2004-12-02
JPWO2003018149A1 (ja)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7957E1 (en) Trading card game method of play
US6601851B1 (en) Card game toy for use in a battle game
US7434806B2 (en) Chess variant and method of play thereof
KR20040062612A (ko) 타일형 보드 게임
US5451050A (en) Interactive board game
KR20040039311A (ko) 다수의 플레이어가 게임할 수 있는 보드게임과 그 게임방법
US20080258387A1 (en) Word spelling and word crossing board game
US10668365B2 (en) Game board with a play surface that is movable around a fixed game piece and related board game rules
JP2003522006A (ja) ゲームピース
US5692754A (en) Advanced chess game and method therefor
US4280704A (en) Method for playing a military warfare board game
US5779239A (en) Chip-A-tak board and dice game
US20060284373A1 (en) Board games with selected player movers and methods for playing same
US4498674A (en) Board game with a common piece having a spinner
US4938472A (en) Game with stacking pieces on inclined surfaces
US8657289B2 (en) Game combining checkers, chess and dice
US20080054569A1 (en) Trading chip game method of play and playing surface designed for game
US6585265B2 (en) Board game played by plural players and method of play thereof
US5803457A (en) Checkers for teams
JP6522709B2 (ja) ゲーム玩具
US5492332A (en) Chess-type game
US20170296910A1 (en) Table top game board system and cooperating components
US20050167915A1 (en) Board game
JP6990208B2 (ja) ゲーム玩具
JP3581850B2 (ja) メンコ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