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870A - 내비게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870A
KR20040038870A KR1020030076682A KR20030076682A KR20040038870A KR 20040038870 A KR20040038870 A KR 20040038870A KR 1020030076682 A KR1020030076682 A KR 1020030076682A KR 20030076682 A KR20030076682 A KR 20030076682A KR 20040038870 A KR20040038870 A KR 20040038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entation
current position
point
recommend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하시다케시
오부치데츠유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87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내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경로 탐색부(101)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를 도출한다. 위치검출부(102)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주기적으로 도출한다. 방위 결정부(104)는 복수개의 선택된 점으로부터 표시될 지도의 방위 를 계산한다. 렌더링부(105)는 방위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지도 방위에 따라서 추천 경로를 겹쳐놓은 지도 영상을 RAM(9)에 발생시킨다. 전술한 방식으로 발생된 지도 영상은 표시 유닛(3)의 스크린에 표시되며, 여기서 평균 좌표값에 의해 식별된 점은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바로 위에 위치한다.

Description

내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DEVICE}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를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는 차량과 같은 이동체에 장착되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를 자동적으로 탐색한다. 내비게이션 장치는 모바일 유닛의 여행 방향을 추가로 획득하고, 이후 획득된 여행 방향을 지도 방위(map orientation)으로 결정한다. 추가로, 발견된 추천 경로와 결정된 지도 방위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장치는 표시될 지도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는 모바일 유닛의 여행 방향이 표시 스크린의 상단에 수직이 되고, 추천 경로가 지도상에 겹쳐지게끔 지도를 발생시킨다. 이후 내비게이션 장치는 내비게이션 장치 내에 포함되어 있는 표시 유닛에 그러한 지도가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여행 방향이 표시 스크린의 상단에 수직이 되도록 지도를 표시하는 기능은 헤딩-업(heading-up)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헤딩-업 기능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갖는다. 즉, 이동체가 꼬불꼬불한 도로나 고리 모양의 도로와 같이 방위가 자주 바뀌는 도로를 여행할 때 지도 방위는 자주 바뀌게 된다. 그 결과, 내비게이션 장치는 불편하게도 자주 시간에 따라 조금씩 회전하는 지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한 지도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하는데 매우 힘들 수 있다. 그러한 회전을 억제하기 위해서, 일본공개특허 제 11-2530(1999-2530)호는 이동체의 코너링(cornering) 각도가 소정의코너링 임계값 이하일 때 지도 방위를 변경하지 않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종래의 내비게이션 장치는 방위가 자주 또는 급격히 변하는 도로를 이동체가 여행할 때,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운 추천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제를 완전히 완하시킬 수 없다. 더 구체적으로, 이동체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급격한 휘어지는 커브로 막 들어서려는 경우를 고려해 보자. 이 경우, 종래의 내비게이션 장치는 현재 여행 방향이 스크린의 상단에 수직이 되게끔 지도 영상을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추천 경로는 스크린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방향이 향하게끔 표시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시선은 대략적으로 스크린의 상부 영역의 중심으로 향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스크린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방향이 향해진 추천 경로를 보는 것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여기서, 비록 설명이 급격한 커브를 일례로서 들었지만 이상과 같은 문제는 그러한 커브 뿐만 아니라 방위가 자주 바뀌는 임의의 도로에서도 발생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적으로 인식하기가 쉬운 추천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를 예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내비게이션 장치의 주요 기능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내비게이션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4a는 도 3의 단계(S11)에서 표시된 추천 경로(R)를 도시하는 도식도;
도 4b는 도 3의 단계(S9)에서 표시된 추천 경로(R)를 도시하는 도식도;
도 5a는 도 3의 단계(S6)에서의 기술적 효과를 설명하는 제 1 도식도; 및
도 5b는 도 3의 단계(S6)에서의 기술적 효과를 설명하는 제 2 도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CPU2: 입력 유닛
3: 표시 유닛4: 표시 제어 유닛
7: 저장 유닛101: 경로 탐색부
102: 위치검출부103: 현재 위치 판단부
104: 방위 결정부105: 렌더링부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이동체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를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지향한다. 내비게이션 장치는 다음을 포함한다: 추천 경로를 도출하는 경로 탐색부;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도출하는 위치검출부; 위치검출부에 의해 도출된 현재 위치에서 시작해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segment)로부터 복수개의 점을 추천 경로상에서 선택하고, 추천 경로의 표시 방위를 결정하는 벡터를 선택된 점들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위 결정부; 방위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표시 방위에 따라서 추천 경로를 겹쳐놓은 지도 영상을 발생시키는 렌더링(rendering) 부분; 렌더링부에 의해 발생된 지도 영상을 표시부에 포함되어 있는 스크린에 표시하는 표시부.
구체적인 일례에서, 방위 결정부는 선택된 점들을 이용함으로써 표시 방위 벡터를 정의하는 끝점을 계산하며, 이후 위치검출부에 의해 도출된 현재 위치에서 시작해 계산된 끝점쪽으로의 방위를 추천 경로의 표시 방위로서 결정한다. 예로서, 방위 결정부는 표시 방위 벡터를 정의하는 끝점을 식별할 때 선택된 점들의 평균 좌표값을 계산한다. 대안적으로, 방위 결정부는 선택된 점들의 좌표값으로부터 추천 경로의 중심(barycenter)을 표시 방위 벡터를 정의하는 끝점으로 계산한다.
또다른 구체적인 일례에서, 방위 결정부는 선택된 점들의 좌표값을 이용함으로써 추천 경로를 직선으로 근사화하여, 이후 직선의 방위를 표시 방위로서 결정한다.
또한, 예로서, 렌더링부는 방위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표시 방위가 표시부에 포함되어 있는 스크린의 상단 방향인 지도 영상을 발생시킨다.
추가로, 구체적으로, 소정의 거리가 지도 영상의 축척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만약 위치검출부에 의해 도출된 현재 위치와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만큼 떨어진 점 사이에 교차점이 위치한다면, 방위 결정부는현재점에서 시작하여 교차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로부터 복수개의 점을 추천 경로 상에서 선택한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방위 결정부에 의해 선택된 점들 중 임의의 이웃한 2개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다.
추가로, 내비게이션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이동체가 추천 경로 상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현재 위치 판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체가 추천 경로 상에 위치해 있다는 판단이 현재 위치 판단부에 의해 내려지면, 방위 결정부는 이동체의 여행 방향을 표시 방위로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이동체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를 표시하는 방법을 지향한다.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추천 경로를 도출하는 경로 탐색 단계;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도출하는 위치검출 단계; 위치검출 단계에 의해 도출된 현재 위치에서 시작해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로부터 복수개의 점을 추천 경로상에서 선택하고, 추천 경로의 표시 방위를 결정하는 벡터를 선택된 점들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위 결정 단계; 방위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표시 방위에 따라서 추천 경로를 겹쳐놓은 지도 영상을 발생시키는 렌더링 단계; 렌더링 단계에서 발생된 지도 영상을 스크린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
본 발명의 제 3 국면은 이동체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를 겹여놓은 지도 영상을 발생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지향하며, 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다음을 실행하도록 한다: 추천 경로를 도출하는 경로 탐색 단계;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도출하는 위치검출 단계; 위치검출 단계에 의해 도출된 현재 위치에서 시작해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로부터 복수개의 점을 추천 경로상에서 선택하고, 추천 경로의 표시 방위를 결정하는 벡터를 선택된 점들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위 결정 단계; 방위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표시 방위에 따라서 추천 경로를 겹쳐놓은 지도 영상을 발생시키는 렌더링 단계. 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제 1 내지 제 3 국면에 따라서, 추천 경로로부터 선택된 점들을 이용함으로써, 표시 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스크린에 대한 추천 경로의 표시 방위가 결정된다. 그리하여, 추천 경로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하도록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 방위가 스크린의 상단을 향하는 영상이 발생된다. 이것으로, 추천 경로는 현재 위치로부터 스크린의 상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표시된다. 이것으로, 추천 경로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보다 더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추가로, 소정의 거리가 지도 영상의 축척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것으로, 추천 경로 중에서 표시될 세그먼트는 축척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보다 더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추천 경로를 겹쳐놓은 지도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현재 위치로부터 시작해 교차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로부터 추천 경로 상에서 복수개의 점이 선택된다. 이것으로, 내비게이션에서 중요하고 교차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가 시각적으로 쉽게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방위 결정부에 의해 선택된 점들 중 임의의 이웃한 2개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다. 추천 경로에서 선택된 그러한 균형잡힌 점들로써, 더욱 바람직한 표시 방위가 결정될 수 있다.
추가로, 이동체가 추천 경로 상에 위치해 있지 않다는 판단에서, 이동체의 여행 방향이 표시 방위로서 결정된다. 이것으로, 표시 방위에 관한 독립된 결정은 만약 불필요하다면 요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지도 영상을 효율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것과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국면,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내비게이션 장치는 이동체에 장착되어 있으며, CPU(1), 입력 유닛(2), 표시 유닛(3), 표시 제어 유닛(4), 인터페이스(도 1에서 I/F로 표시되었음)(5), GPS 수신기(5a), 자율 내비게이션 유닛(5b), 제 1 안테나(6), 저장 유닛(7), ROM(8), RAM(9), 오디오 출력 제어 유닛(10), 스피커(11), 버스 라인(12), VICS 유닛(13), FM 수신기(13a), 표지(beacon) 수신기(13b), 제 2 안테나(14a), 제 3 안테나(14b), 모뎀(15)을 포함한다.
CPU(1)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입력 유닛(2)은 내비게이션 장치에 대한 데이터 입력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다. 입력 유닛(2)의 예는 리모콘이다.
표시 유닛(3)은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스크린에 지도 영상을 주로 표시한다.
표시 제어 유닛(4)은 그래픽 제어기(4a)와 비디오 RAM(4b)을 포함한다. 그래픽 제어기(4a)는 표시 유닛(3)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표시 처리를 제어한다. 비디오 RAM(4b)은 그래픽 제어기(4a)가 영상 이미지를 그리고 그 영상 이미지를 표시 유닛(3)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채널을 갖는 메모리이다.
인터페이스(5)는 GPS 수신기(5a)와 자율 내비게이션 유닛(5b)이 연결되어 있다. GPS 수신기(5a)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으로 대표되는 위치확인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제 1 안테나(6)를 통해 라디오파를 수신하며, 이후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인터페이스(5)로 출력한다. 자율 내비게이션 유닛(5b)은 이동체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와 이동체의 각속도를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자율 내비게이션 유닛(5b)은 검출된 가속도를 나타내는 가속도 정보와 검출된 각속도를 나타내는 각속도 정보를 인터페이스(5)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5)는 수신된 위치 정보,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를 CPU(1)로 전달한다.
저장 유닛(7)은 DVD-ROM으로 대표되는 기록 매체(7a)와 기록 매체(7a)를 구동하는 드라이브 유닛(7b)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기록 매체(7a)는 내비게이션을 위해 필요한 지도제작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다. 드라이브 유닛(7b)은 필요한 바대로의 지도제작 데이터를 읽어서 그 지도제작 데이터를 RAM(9)으로 전달한다.
ROM(8)은 내비게이션 장치의 동작을 정의하는 컴퓨터 프로그램(8a)을 적어도 저장한다.
RAM(9)은 내비게이션 장치의 각 구성요소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저장하고, 필요하다면 그러한 정보를 지운다.
오디오 출력 제어 유닛(10)은 스피커(11)에 대한 오디오 출력을 제어한다.
버스 라인(12)은 내비게이션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한다.
VICS 유닛(13)은 FM 수신기(13a) 및/또는 표지 수신기(13b)에 연결되어 있다. FM 수신기(13a)는 소정의 간격(예를 들면, 5분)으로 도로의 교통 상태를 나타내는 교통 정보를 제 2 안테나(14a)를 통해서 수신하여, 수신된 교통 정보를 VICS 유닛(13)으로 출력한다. 표지 수신기(13b)는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표지로부터 전송되는 교통 정보를 제 3 안테나(14b)를 통해서 수신하여, 수신된 교통 정보를 VICS 유닛(13)으로 출력한다. VICS 유닛(13)은 FM 수신기(13a) 및/또는 표지 수신기(13b)에 의해 수신된 교통 정보를 처리하여 처리 결과를 RAM(9)으로 전달한다.
모뎀(15)은 휴대전화(16)에 연결되어 있다. 모뎀(15)은 CPU(1)에 의해 발생된 정보를 휴대전화(16)를 통해서 외부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았음)로 전송하며,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받은 정보를 RAM(9)으로 전달한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내비게이션 장치의 주요 기능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주요 기능은 컴퓨터 프로그램(8a)을 실행하는 CPU(1)에 의해 성취된다. 내비게이션 장치는 경로 탐색부(101), 위치검출부(102), 현재 위치 판단부(103), 방위 결정부(104), 및 렌더링부(105)를 포함한다.
경로 탐색부(101)는 사용자가 입력 유닛(2)을 동작시켜 설정한 두 곳인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를 RAM(9)에서 읽은 지도제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하고, 이후 추천 경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RAM(9)에 저장한다. 대안적으로, 경로 탐색부(101)는 위치검출부(102)에 의해 도출된 현재 위치를 출발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위치검출부(102)는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위치검출부(102)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주기적으로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만약 GPS의 인공위성으로부터 라디오파가 수신가능하다면, 위치검출부(102)는 GPS 수신기(5a)로부터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얻는다. 만약 그러한 라디오파가 수신불가능하다면, 위치검출부(102)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도출하기 위해서 자율 내비게이션 유닛(5b)으로부터의 가속도 정보와 각속도 정보를 이용한다.
현재 위치 판단부(103)는 위치검출부(102)에 의해 도출된 현재 위치가 RAM(9)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의해 표현되는 추천 경로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현재 위치 판단부(103)는 이동체가 추천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현재 위치 판단부(103)가 이동체가 추천 경로상에 있다고 판단하면, 방위 결정부(104)는 추천 경로상에서 복수개의 점을 선택한다. 선택된 점들에 기초하여, 방위 결정부(104)는 추천 경로의 표시 방위를 결정하는 벡터를 계산한다. 예로서, 방위 결정부(104)는 선택된 점들의 전부 혹은 일부의 좌표값의 평균값(이후, 평균 좌표값으로 칭함)을 계산한다. 평균 좌표값에 의해 식별된 한 점은 표시 방위 벡터를 정의하는 끝점으로 취해진다. 이후, 방위 결정부(104)는 표시 방위벡터를 정의하는 끝점이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바로 위쪽의 스크린상의 한 점으로 회전하도록 표시 방위를 결정한다. 추가로, 방위 결정부(104)는 추천 경로를 구성하는 점들이 결정된 표시 방위 주변에 분포되도록, RAM(9)에 저장되어 있는 추천 경로 데이터와 지도제작 데이터를 구성하는 점들을 회전시킨다.
RAM(9)에 저장되어 있는 추천 경로 데이터와 지도제작 데이터를 구성하는 회전된 점들을 이용함으로써, 렌더링부(105)는 추천 경로를 겹쳐놓은 지도 영상을 발생시키며, 이후 RAM(9)에 그 지도 영상을 저장한다. 렌더링부(105)는 이후 발생된 지도 영상을 표시 제어 유닛(4)으로 전달한다. 그 결과, 표시 유닛(3)의 스크린은 표시 방위 벡터를 정의하는 끝점이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지도를 표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서, 도 1 및 2에 예시된 내비게이션 장치의 동작을 아래에서 자세힌 설명한다. 도 3은 내비게이션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에서, 경로 탐색부(101)는 전술한 방식으로 추천 경로를 도출한다(단계(S1)). 이후, 위치검출부(102)는 전술한 방식으로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도출한다(단계(S2)). 이후, 현재 위치 판단부(103)는 이동체가 추천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전술한 방식으로 판단한다(단계(S3)).
만약 이동체가 추천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고 있다고 단계(S3)에서 결정되면, 방위 결정부(104)는 표시 유닛(3)상에 표시될 지도 영상의 축척과 스크린의 크기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만큼 떨어져 있고 또한 추천 경로상에 있는 한 점을 도출한다(단계(S4)). 그러한 한 점은 이후 기준점으로 칭한다. 여기서, 표시 유닛(3)의 스크린에서, 현재 위치의 표시 위치는 일반적으로 고정되며, 예를 들면 스크린의 하부 중심의 바로 약간 위쪽 위치이다. 이 경우, 소정의 거리는 스크린의 세로 길이를 지도의 축척으로 나눔으로써 얻어진 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지도의 축척에 기초하여 소정의 거리가 변화함으로써, 내비게이션 장치는 축척에 기초해서 시각적으로 보다 더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추천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RAM(9)에 저장되어 있는 추천 경로 데이터와 지도제작 데이터로써, 방위 결정부(104)는 현재 위치에서 시작해서 추천 경로상의 기준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에 위치해 있는, 이동체가 방향을 틀어야만 하는 임의의 교차점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5)). 만약 그러한 교차점이 있다고 결정되면, 방위 결정부(104)는 현재 위치에서 시작해 이동체가 우선 방향을 틀어야만 하는 교차점(이후, 표적 교차점이라 칭함)에서 끝나는 세그먼트에 위치해 있고 추천 경로 상에 있는 복수개의 점을 선택하며, 이후 선택된 각 점의 좌표값을 알아낸다. 방위 결정부(104)는 이후 각 좌표 성분에 대해서 전체 좌표값을 계산하고, 이후 각각의 전체 좌표값을 선택된 점의 전체수로 나누며, 그로써 평균 좌표값을 얻는데, 이것은 표시 방위 벡터를 정의하는 끝점의 대표적인 표현이다(단계(S6)). 내비게이션에서 특히나 중요한 것은 이동체가 다음번에 방향을 틀어야만 하는 교차점으로 이동체를 인도하는 것이다. 즉, 내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가 추천 경로상에서 방향을 틀어야만 하는 다음번 교차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를 사용자에게 바람직하게 제공하며, 그리하여 그 세그먼트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하기가 쉽다. 이것을 이루기 위해, 단계(S6)에서와 같이, 추천 경로상의 복수개의 점이 현재 위치에서 시작해서 표적 교차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로부터 선택된다.
만약 어떠한 교차점도 없다고 단계(S5)에서 결정된다면, 방위 결정부(104)는 현재 위치에서 시작해 기준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에 위치해 있고 추천 경로 상에 있는 복수개의 점을 선택하며, 이후 선택된 점들의 좌표값의 평균 좌표값을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한다(단계(S7)).
다음을 주목하라. 즉, 단계(S6 및 S7)에서 균형잡힌 평균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방위 결정부에 의해 선택된 점들 중 임의의 이웃한 2개 사이의 간격은 현재 위치에서 기준점 또는 표적 교차점으로의 방향을 따라서 서로 동일하다. 이것은 제한적인 사항은 아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추천 경로는 도로상의 특징적인 점, 일반적으로 만곡점이나 교차점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개의 노드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노드는 거기에 할당된 특징적 점의 좌표값을 각각 갖는다. 그러므로, 방위 결정부(104)는 추천 경로 데이터로부터 복수개의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S6 또는 S7) 이후, 방위 결정부(104)는 추천 경로와 지도의 표시 방위를 결정하고, 그리하여 단계(S6)나 단계(S7) 중의 하나에서 계산된 평균 좌표값에 의해 식별되는 점은 표시 유닛(3)의 스크린상의 현재 위치 바로 위의 점으로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방위 결정부(104)는 평균 좌표값에 의해 식별되는 점과 현재 위치를 잇는 직선과 스크린의 초상화 방향(portrait orientation)으로의 직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φ)를 우선 도출하고, 이후 지도 영상의 회전의 양(θ)으로 (-φ)를 결정한다. 방위 결정부(104)는 이후 RAM(9)에 저장되어 있는 추천 경로 데이터와 지도제작 데이터를 구성하는 점들을 얻어진 회전량(θ) 만큼 회전시킨다(단계(S8)).
다음으로, 지도제작 데이터와 추천 경로 데이터를 구성하는 회전된 점들을 이용하여, 렌더링부(105)는 추천 경로를 겹쳐놓은 지도 영상을 발생시키며, 이후 RAM(9)에 지도 영상을 저장한다. 이후 렌더링부(105)는 RAM(9)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영상을 표시 제어 유닛(4)으로 전달한다. 그 결과, 표시 유닛(3)의 스크린은 평균 좌표값에 의해 식별되는 점이 스크린상의 현재 위치 바로 위의 점으로 회전된 지도를 표시하였다(단계(S9)).
만약 이동체가 추천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있지 않다고 단계(S3)에서 판단되면, 방위 결정부(104)는 이동체의 여행 방향을 지도 방위로서 헤딩-업 기능으로 알려진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결정한다(단계(S10)). 그 결과, 표시 유닛(3)은 이동체의 여행 방향이 스크린의 상단과 수직이 되는 지도를 표시하였다(단계(S11)). 이로써, 회전량(θ)의 계산은 불필요하다면 요구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내비게이션 장치는 효율적으로 지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위의 단계(S9 또는 S11) 후에, 단계(S2)에서의 처리와 후속 단계가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반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추천 경로로부터 선택된 점들의 평균 좌표값에 의해 식별되는 한 점(표시 방위 벡터를 정의하는 끝점)이 스크린상의 현재 위치 바로 위의 점으로 회전된 지도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내비게이션 장치는추천 경로를 사용자가 쉽게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a, 4b, 5a, 5b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기술적인 효과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4a는 종래의 헤딩-업 기능, 즉 단계(S11)에서 표시되는 대표적인 추천 경로를 도시하는 도식도이다. 도 4a에서, 표시 유닛(3)의 스크린은 적어도 추천 경로(R)와 현재 위치(Pc)를 표시하였다. 또한, 도 4a는, 단지 참조 목적을 위해서, 이동체의 여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A), 평균 좌표값에 의해 식별되는 점(Pa), 현재 위치(Pc)와 평균 좌표값에 의해 식별되는 점(Pa)을 통과하는 점선, 회전량(θ)을 예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헤딩-업 기능에 따르면, 추천 경로(R)는 화살표(A)의 방향이 스크린의 상단에 수식이 되도록 표시된다.
도 4b는 본 내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지도 방위 제어하에서 단계(S9)에서 표시 유닛(3)상에 표시되는 추천 경로를 도시하는 도식도이다. 도 4b에서, 표시 유닛(3)의 스크린은 적어도 추천 경로(R)와 현재 위치(Pc)를 표시하였다. 또한, 도 4b는, 단지 참조 목적을 위해서, 단계(S8)에서 도출된 평균 좌표값에 의해 식별되는 점(Pa), 회전량(θ), 현재 위치(Pc)를 통과하며 스크린의 상단에 수직인 점선을 예시한다.
여기서, 도 4a 및 4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추천 경로(R)가 우측으로 급하게 휘어지는 경우를 고려해 보자. 이 경우, 종래의 헤딩-업 기능에 따르면,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급하게 휘어지는 커브 이후의 부분은 스크린의 우측 영역에 표시된다. 대조적으로, 단계(S8)에서, 스크린의 상단 방향을 나타내는 점선과 평균 좌표값에 의해 식별되는 점(Pa)과 현재 위치(Pc)를 잇는 직선에 의해 형성되는각도(φ)가 우선 도출된다. 이후, 추천 경로(R)는 회전 중심으로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회전량(θ(= -φ)) 만큼 회전된다. 그 결과, 급하게 휘어지는 커브 이후의 부분은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상부 영역에 표시된다.
도 4a 및 4b를 참조한 이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단계(S9)에서, 여행 방향이 급격히 변화하는 세그먼트 이후의 부분은 스크린의 상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내비게이션 장치는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추천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도 3의 단계(S6)의 기술적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식도이다. 여기서, 추천 경로(R)가 현재 위치(Pc)에서 시작하여 기준점(Pr)에서 끝나는 세그먼트에서 표적 교차점(C)을 갖는 경우를 고려해 보자. 이 경우, 방위 결정부(104)는 점(Pa)을 식별하는 평균 좌표값을 구하기 위해서 현재 위치(Pc)에서 시작하여 표적 교차점(C)에서 끝나는 세그먼트로부터 선택된 점들을 우선 이용한다. 이후, 렌더링부(105)는, 도 5b에서 예시된 바대로, 평균 좌표값에 의해 식별되는 점(Pa)이 스크린상에서 현재 위치(Pc) 바로 위의 점으로 회전한 지도 영상을 발생시킨다. 그와 같이 하여, 내비게이션 장치는 현재 위치(Pc)에서 시작해 표적 교차점(C)에서 끝나는 세그먼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그 세그먼트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쉽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은 표시 방위 벡터를 정의하는 끝점의 예로 평균 좌표값에 의해 식별되는 점을 취함으로써 행해졌다. 이것은 제한 사항이 아니다. 대안적으로, 추천 경로로부터 선택된 점들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방위 결정부(104)는 현재 위치에서 시작해 기준점이나 표적 교차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의 중심(barycenter)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후 계산된 중심을 표시 방위 벡터를 정의하는 끝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방위 결정부(104)는 현재 위치에서 시작해 기준점이나 표적 교차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를 그 세그먼트로부터 선택되는 점들의 좌표값을 이용함으로써 직선으로 근사화할 수 있으며, 이후 표시 방위로서 그 직선의 방위를 이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방위 결정부(104)는 현재 위치에서 시작해 기준점이나 표적 교차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로부터 선택된 점들과 현재 위치를 잇는 직선들을 도출할 수 있다. 이후, 방위 결정부(104)는 도출된 직선들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의 기준선에 대한 각도의 평균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후 계산된 평균 각도의 방위를 표시 방위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을 주목하라. 즉, 평균 각도의 방위는 평균 좌표값에 의해 식별되는 점과 현재 위치를 잇는 직선의 방위와 사실상 동일하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 평균 좌표값에 의해 식별되는 점은 스크린상의 현재 위치 바로 위의 점으로 회전된다. 이것은 제한 사항이 아니다. 평균 좌표값에 의해 식별되는 점은 표시 유닛(3)의 스크린의 모서리와 현재 위치를 잇는 직선상에 위치한 점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는 과정에서의 이상의 설명은 모든 측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수많은 수정과 변형이 고안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천 경로로부터 선택된 점들을 이용함으로써, 표시 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스크린에 대한 추천 경로의 표시 방위가 결정된다. 그리하여, 추천 경로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하도록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 방위가 스크린의 상단을 향하는 영상이 발생된다. 이것으로, 추천 경로는 현재 위치로부터 스크린의 상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표시된다. 이것으로, 추천 경로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보다 더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Claims (13)

  1.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체의 추천 경로를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천 경로를 도출하는 경로 탐색부;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도출하는 위치검출부;
    상기 위치검출부에 의해 도출된 상기 현재 위치에서 시작해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만큼 떨어진 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로부터 복수개의 점을 상기 추천 경로상에서 선택하고, 상기 추천 경로의 표시 방위를 결정하는 벡터를 상기 선택된 점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위 결정부;
    상기 방위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표시 방위에 따라서 상기 추천 경로를 겹쳐놓은 지도 영상을 발생시키는 렌더링부; 및
    내장된 스크린에 상기 렌더링부에 의해 발생된 지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위 결정부는 상기 표시 방위 벡터를 정의하는 끝점을 상기 선택된 점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이후 상기 위치검출부에 의해 도출된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계산된 끝점쪽으로의 방위를 상기 추천 경로의 표시 방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위 결정부는 상기 표시 방위 벡터를 정의하는 상기 끝점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점의 평균 좌표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위 결정부는 상기 표시 방위 벡터를 정의하는 상기 끝점으로 상기 선택된 점의 좌표값으로부터 상기 추천 경로의 중심(barycenter)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위 결정부는 상기 선택된 점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추천 경로를 직선으로 근사화하고, 이후 상기 직선의 방위를 상기 표시 방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방위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표시 방위가 상기 표시부에 내장된 상기 스크린의 상부쪽을 향하는 지도 영상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지도 영상의 축척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위치검출부에 의해 도출된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만큼 떨어진 상기 점 사이에 교차점이 존재한다면, 상기 방위 결정부는 상기 현재 위치에서 시작해 상기 교차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로부터 복수개의 점을 상기 추천 경로상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위 결정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점들 중 임의의 이웃한 2개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추천 경로상에 위치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현재 위치 판단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가 상기 추천 경로상에 위치해 있지 않다고 상기 현재 위치 판단부가 판단을 내리면, 상기 방위 결정부는 상기 이동체의 여행 방향을 상기 표시 방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1.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체의 추천 경로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천 경로를 도출하는 경로 탐색 단계;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도출하는 위치검출 단계;
    상기 위치검출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현재 위치에서 시작해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만큼 떨어진 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로부터 복수개의 점을 상기 추천 경로상에서 선택하고, 상기 추천 경로의 표시 방위를 결정하는 벡터를 상기 선택된 점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위 결정 단계;
    상기 방위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표시 방위에 따라서 상기 추천 경로를 겹쳐놓은 지도 영상을 발생시키는 렌더링 단계; 및
    스크린에 상기 렌더링 단계에서 발생된 지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경로 표시 방법.
  12.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체의 추천 경로를 겹쳐놓은 지도 영상을 발생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상기 추천 경로를 도출하는 경로 탐색 단계;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도출하는 위치검출 단계;
    상기 위치검출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현재 위치에서 시작해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만큼 떨어진 점에서 끝나는 세그먼트로부터 복수개의 점을 상기 추천 경로상에서 선택하고, 상기 추천 경로의 표시 방위를 결정하는 벡터를 상기 선택된 점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위 결정 단계; 및
    상기 방위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표시 방위에 따라서 상기 추천 경로를 겹쳐놓은 지도 영상을 발생시키는 렌더링 단계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030076682A 2002-11-01 2003-10-31 내비게이션 장치 KR200400388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19710 2002-11-01
JPJP-P-2002-00319710 2002-1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870A true KR20040038870A (ko) 2004-05-08

Family

ID=32089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682A KR20040038870A (ko) 2002-11-01 2003-10-31 내비게이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416252A2 (ko)
KR (1) KR20040038870A (ko)
CN (1) CN14991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324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097776A (zh) * 2020-08-25 2020-12-18 海南太美航空股份有限公司 用于提高航线地图渲染效率的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4799A (en) * 2004-06-02 2005-12-07 Nec Technologies Visual navigation system
KR100773682B1 (ko) 2004-11-04 2007-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추천경로 저장방법 및 추천경로를 이용한 주행경로탐색방법
CN101666655B (zh) * 2005-02-17 2012-02-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移动履历转换装置及移动履历转换方法
KR101538653B1 (ko) * 2008-06-25 2015-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경로 방향에 기초한 맵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1852619B (zh) * 2010-06-23 2014-07-30 深圳市凯立德欣软件技术有限公司 导航显示方法及装置
CN104596518A (zh) * 2015-02-12 2015-05-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商场出口导航方法和商场出口导航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324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097776A (zh) * 2020-08-25 2020-12-18 海南太美航空股份有限公司 用于提高航线地图渲染效率的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16252A2 (en) 2004-05-06
CN1499175A (zh) 200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8050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複数経路融合方法
JP4948944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交差点案内図の描画方法
US7630833B2 (en) Map display device and map display method
JP4776476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交差点拡大図の描画方法
US6721655B1 (en) Vehicle travel guide device and vehicle travel guide method
US6567744B1 (en) In-vehicle navigation apparatus
JP3555466B2 (ja) ナビゲーションセンタ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766677B1 (ko) 항법 장치
US8731825B2 (en) Trajectory display device
JP3798489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9086293B2 (en) Navig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detour
JP2007298301A (ja) 地図表示装置
JP4835413B2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40038870A (ko) 내비게이션 장치
JP3403774B2 (ja) 案内装置
JP6206510B2 (ja) 地図表示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1799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uターン情報提供方法
JPH08145699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39798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センタ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122074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932945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417039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580468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行程ガイド表示制御方法
JPH11316824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5658974B2 (ja) Poi情報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