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6Y1 - 이중판 거푸집 - Google Patents

이중판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6Y1
KR200400386Y1 KR20-2005-0024129U KR20050024129U KR200400386Y1 KR 200400386 Y1 KR200400386 Y1 KR 200400386Y1 KR 20050024129 U KR20050024129 U KR 20050024129U KR 200400386 Y1 KR200400386 Y1 KR 200400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late
concrete
present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탁
Original Assignee
유영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탁 filed Critical 유영탁
Priority to KR20-2005-0024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판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 보관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콘크리트에 함유된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여 부패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증대되며, 콘크리트로부터 떼어내기가 용이하여 떼어낸 후 양질의 콘크리트 표면이 형성되는 이중판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의 합판(10) 일면 테두리에 각재(20)가 부착된 거푸집에 있어서, 한 쌍의 외면판(30, 3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판(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외면판(30, 31)의 마주보는 면의 테두리에 측면판(40)의 전후면이 각각 부착되어, 각 외면판(30, 31)의 전면 및 후면과 측면판(40)의 측면으로 외부면이 형성되며, 그 모든 외부면에 합성수지 등에 의한 코팅층(50)이 형성된 이중판 거푸집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중판 거푸집{Form of dual board}
본 고안은 이중판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 보관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콘크리트에 함유된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여 부패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증대되며, 콘크리트로부터 떼어내기가 용이하여 떼어낸 후 양질의 콘크리트 표면이 형성되는 이중판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짓거나 도로를 포장함에 있어서, 일정한 틀을 연결하여 형성된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부어 일정한 형상을 만드는데, 이때 사용되는 틀이 거푸집이다.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상기 거푸집을 떼어내면 일정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완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합판(10)으로 이루어진 거푸집은 통상 두께가 12mm인 합판(10)의 일면에 폭과 두께가 90mm×45mm인 각재(20)가 부착된 것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콘크리트 작업에서 거푸집의 운반 및 설치 등은 작업자가 직접 하는데, 합판(10)과 각재(20)가 두꺼워서 전체적으로 거푸집이 부피가 크고 무거우므로, 운반 및 보관하기가 불편했다. 또한, 상기의 거푸집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일정한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붓게 되는데, 이 콘크리트에 함유된 수분이 상기 합판(10)에 흡수되어 합판(10)이 무거워지고 더 나아가 부패되므로, 거푸집이 오래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거푸집을 떼어내는 경우, 콘크리트가 거푸집에 묻어 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도로 및 기초용 거푸집은 거푸집과 거푸집을 못으로 박아서 연결하고 파이프 등으로 그 일면을 지지해 주는 방식으로 설치하는데, 작업이 복잡하고 손이 많이 가서 그 설치가 신속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거푸집의 부피 및 무게를 줄여서 보관 및 운반과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거푸집의 일측부에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거푸집간의 연결설치를 간편하게 하는 이중판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거푸집의 외부면 전체를 코팅하여 콘크리트에 함유된 수분의 침투를 차단함으로써, 연결부재의 부식이 방지되고 거푸집의 부패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증대되며, 콘크리트로부터 쉽게 떼어낼 수 있어서 떼어낸 후에도 양질의 콘크리트 표면이 형성되는 이중판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르면, 종래의 합판(10) 일면 테두리에 각재(20)가 부착된 거푸집에 있어서, 한 쌍의 외면판(30, 3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판(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외면판(30, 31)의 마주보는 면의 테두리에 측면판(40)의 전후면이 각각 부착되어, 각 외면판(30, 31)의 전면 및 후면과 측면판(40)의 측면으로 외부면이 형성되며, 그 모든 외부면에 합성수지 등에 의한 코팅층(50)이 형성된 이중판 거푸집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두 번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중판 거푸집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단면 H자 형상으로 그 중앙부에 홀(80)이 형성되고 그 외부면에 코팅층(50)이 형성된 연결부재(6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판 거푸집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이중판 거푸집은 한 쌍의 외면판(30)과 측면판(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외면판(30) 사이에 측면판(40)이 고정 부착되며, 그 전체가 합성수지 등에 의해 코팅층(50)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외면판(30, 31)은 종래 사용되던 합판의 두께인 12mm보다 얇은 것이 사용되고, 종래에는 하나의 합판이 사용되었으나, 본 고안은 제1 및 제2외면판(30, 31)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외면판(30, 31)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합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40)은 종래 사용되던 각재의 폭과 두께인 90mm×45mm보다 얇은 것이 사용되고, 전후면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외면판(30, 31)의 각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그 길이가 형성된다. 또한, 측면판(40)은 하나로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고, 다수개일 수도 있으며,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외면판(31)의 전면 테두리에 측면판(40)의 후면을 부착하고, 제1외면판(30)의 후면 테두리에 측면판(40)의 전면을 부착시키며, 이렇게 형성된 모든 외부면에 합성수지에 의한 코팅층(50)을 형성하면, 본 고안 이중판 거푸집이 완성된다. 이때, 반드시 합성수지로 코팅할 필요는 없으며, 콘크리트에 함유된 수분이 제1 및 제2외면판(30, 31)에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재료이면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외면판(30, 31)과 측면판(40)의 두께를 줄여서 전체적으로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작업시 보관 및 운반 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거푸집의 모든 면을 합성수지 등으로 코팅함으로써, 콘크리트에 함유된 수분이 상기 제1 및 제2외면판(30, 31)에 침투되는 것이 차단되어 제1 및 제2외면판(30)의 무게증대 및 부패가 방지된다. 이에 따라, 거푸집을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떼어내기가 용이하여 떼어낸 후에도 양질의 콘크리트 표면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판 거푸집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그 연결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본 고안 이중판 거푸집을 일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된 연결부재(60)가 구비된 것이며, 이는 비교적 콘크리트의 두께가 두껍지 않은 도로 및 기초공사에 사용된다.
상기 연결부재(60)는 그 단면이 H자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그 외부면에는 코팅층(50)이 형성된다. 그리고, H자 단면의 중앙부에는 홀(80)이 형성되고, 양측 내측부(70)에 거푸집의 일측이 각각 삽입되며, 로드 형상의 지지대(90)가 홀(80)에 삽입 관통되어 거푸집이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60)의 내측부(70)가 본 고안 이중판 거푸집의 일측부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본 고안 이중판 거푸집에 연결부재(60)가 접착제나 고정부재에 의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타측의 내측부(70)에는 다른 거푸집의 연결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일측이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또한, 연결부재(60)를 포함하여 거푸집 전체에 합성수지 등에 의한 코팅층(5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의 거푸집의 일측부에 홀(80)이 형성된 연결부재(60)를 구비함으로써, 도로 및 기초공사에서 거푸집의 연결 설치가 간편하고 신속한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부재(60)를 포함하여 거푸집 전체에 코팅층(50)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로부터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어 금속재인 연결부재(60)의 부식이 방지되고, 거푸집의 부패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 거푸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합판 및 각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고 가벼운 한 쌍의 외면판 및 측면판을 형성하여 거푸집의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보관 및 운반하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도로 및 기초공사 시에 거푸집의 일측에 연결부재가 일체로 구비되어, 이 연결부재의 홀에 지지대를 삽입하여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거푸집간의 연결 설치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거푸집 전체를 합성수지 등으로 코팅함으로써, 콘크리트에 함유된 수분이 연결부재 및 거푸집에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연결부재의 부식이 방지되고 거푸집의 무게증대 및 부패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증대된다. 또한,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거푸집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어서 떼어낸 후에도 양질의 콘크리트 표면이 형성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거푸집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판 거푸집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판 거푸집의 제2실시예의 연결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31 : 외면판 40 : 측면판
50 : 코팅층 60 : 연결부재
80 : 홀 90 : 지지대

Claims (2)

  1. 종래의 합판(10) 일면 테두리에 각재(20)가 부착된 거푸집에 있어서, 한 쌍의 외면판(30, 3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판(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외면판(30, 31)의 마주보는 면의 테두리에 측면판(40)의 전후면이 각각 부착되어, 각 외면판(30, 31)의 전면 및 후면과 측면판(40)의 측면으로 외부면이 형성되며, 그 모든 외부면에 합성수지 등에 의한 코팅층(50)이 형성된 이중판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판 거푸집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단면 H자 형상으로 그 중앙부에 홀(80)이 형성되고 그 외부면에 코팅층(50)이 형성된 연결부재(6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 이중판 거푸집.
KR20-2005-0024129U 2005-08-22 2005-08-22 이중판 거푸집 KR200400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29U KR200400386Y1 (ko) 2005-08-22 2005-08-22 이중판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29U KR200400386Y1 (ko) 2005-08-22 2005-08-22 이중판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6Y1 true KR200400386Y1 (ko) 2005-11-04

Family

ID=4370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129U KR200400386Y1 (ko) 2005-08-22 2005-08-22 이중판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5135B1 (en) Composite build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000155A1 (en) Prefabricated wall panel
KR200400386Y1 (ko) 이중판 거푸집
JP2007046403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梁架構
AU2008241350B2 (en) Permanent formwork system
TW202003976A (zh) 木構造建築物的耐力壁構造及耐力壁施工方法
US20050284078A1 (en) I-beam
JP2829564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プラスチック製パネル
JPH07224530A (ja) コーナー用型枠
JPH0330499Y2 (ko)
CN217518143U (zh) 一种建筑用模板及建筑用板体
JP2003184302A (ja) コンクリート型枠連設用スペーサ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型枠連設構造
US20050284051A1 (en) Column for wood siding
JP2774993B2 (ja) 型 枠
JPS5916059B2 (ja) タイル壁面構築材
JP2800574B2 (ja) 板 材
JP2003301605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JPS5827380B2 (ja) タイルパネルの固定方法
JP3036940U (ja) 壁または天井の下地構造
JP2958424B2 (ja) プレキャスト型枠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2006125145A (ja) コンクリート基礎用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基礎用型枠ユニット
JP2004324386A (ja) 建築用複合パ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JPS63247466A (ja) 木質系化粧床の施工方法
JPH0853888A (ja) 板状形成体並びにその締結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壁面構造
JPS63100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