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746A - 관형상 편성품 또는 유사품의 끝머리를 개방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관형상 편성품 또는 유사품의 끝머리를 개방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746A
KR20040035746A KR10-2004-7003071A KR20047003071A KR20040035746A KR 20040035746 A KR20040035746 A KR 20040035746A KR 20047003071 A KR20047003071 A KR 20047003071A KR 20040035746 A KR20040035746 A KR 20040035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tubular
opening
tubular member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그니안토니오
Original Assignee
골든 레이디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골든 레이디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골든 레이디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040035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74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04B9/5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GMECHANICAL OR PRESSURE CLEANING OF CARPETS, RUGS, SACKS, HIDES, OR OTHER SKIN OR TEXTILE ARTICLES OR FABRICS; TURNING INSIDE-OUT FLEXIBLE TUBULAR OR OTHER HOLLOW ARTICLES
    • D06G3/00Turning inside-out flexible tubular or other hollow articles
    • D06G3/02Turning inside-out flexible tubular or other hollow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2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pneumat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transfer of knitted goods from one machine to anoth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5/00Shaping or stretching of tubular fabrics upon cores or internal frames
    • D06C5/005Shaping or stretching of tubular fabrics upon cores or internal frames of articles, e.g.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GMECHANICAL OR PRESSURE CLEANING OF CARPETS, RUGS, SACKS, HIDES, OR OTHER SKIN OR TEXTILE ARTICLES OR FABRICS; TURNING INSIDE-OUT FLEXIBLE TUBULAR OR OTHER HOLLOW ARTICLES
    • D06G3/00Turning inside-out flexible tubular or other hollow articles
    • D06G3/04Turning inside-out flexible tubular or other hollow articles pneuma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원 발명에 의한 장치는, 물품이 삽입되는 관형상부재(5A, 5B)와; 상기 관형상부재의 하나의 출구단부에 배치된, 제 1폐쇄위치와 제 2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복수의 가동파지부재(49)와; 상기 관형상부재에 삽입된 관형상물품을 상기 파지부재를 향해 안내 및 배향하는, 상기 관형상부재의 상기 출구단부에 결합된 안내 및 배향수단(71, 73)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편성품 또는 유사품의 끝머리를 개방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THE EDGE OF A TUBULAR KNITTED ARTICLE OR SIMILAR}
양말, 스타킹, 팬티스타킹 및 다른 관형상 편성품의 제조시에 기계로 제조하는 많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물품의 끝머리(edge)를 개방할 필요성이 자주 발생한다. 이들 물품은 처음의 끝머리와 말단의 끝머리가 모두 개방된 반제품을 언로딩(unloading)하는 편물기계, 일반적으로는 원형의 편물기계를 사용해서 제조된다. 이어서 물품의 토우(toe)를 폐쇄하기 위하여 말단의 끝머리는 꿰매지거나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동작은 편물기계에 의해, 예를들면 바스켓 또는 다른 용기에 미리 방출된 물품을 재봉기부재에 배치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보통 수동으로, 또는 복잡하게 기계적으로 취급하는 장치에 의해서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물품은 다른 환경에서 이후의 동작을 행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포장전에 양말을 다림질하거나 짝을 짓기 위해서 개방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관형상 물품, 예를들면 스타킹 또는 양말 등과 같은 관형상의 편물품의 말단의 끝을 개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 및 유첨 도면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관형상 물품을 안팎으로 뒤짚고, 반송하고, 폐쇄하는 장치의 사시도
도 1A는 도 1에서 부품이 제거된 사시도
도 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장치를 구비한 편물기계의 사시도
도 3은 물품을 개방하는 파지부재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관형상물품을 안팎으로 뒤짚는 개방 및 가압부재를 나타내는 도 3의 유닛의 다른 관점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5는 개방되고, 안팎으로 뒤짚어지고, 토우의 영역에서 폐쇄되는, 장치에 공급되는 물품을 안내하고 배향하는 수단의 분리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관형상물품을 개방하는 파지부재와 관형상물품을 안내하고 배향하는 수단을 가진 관형상부재중 하나의, 두개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을 따라 절단한 2개의 사시도
도 7은 관형상부재에 도달하는 물품에 대한 안내 및 배향수단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는 관형상부재중 하나의 세로면을 따른 사시단면도
도 8B는 공기이송관의 말단부와 관형상부재지지부의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토우가 나중의 단계에서 폐쇄되기 이전에 관형상물품이 안팎으로 뒤짚혀지는 관형상부재의 단부에 관형상물품이 도달할 때 관형상물품이 배치될 수 있는 2개의 가능한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 도 13은 관형상부재의 축에 직교하는 단면에 관형상물품의 탄력성있는 끝머리를 감싸는 개방동작의 이후의 4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 도 18은 세로단면에서 관형상부재의 외표면에서 관형상물품의 탄력성있는 끝머리를 뒤짚는 동작의, 길이방향 단면에서의, 연속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 및 도 20은 관형상부재의 외표면에서 관형상물품을 안팎으로 뒤짚는 동작의 2개의 연속적인 단계를 나타내는 길이방향의 단면도
도 21A ~ 도 21D는 관형상물품의 끝머리를 정렬하는 동작의 이후의 4개의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토우가 폐쇄되는 제 2위치에 반송되기 이전에 외표면에서 물품이 뒤짚혀진 관형상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 ~ 도 28은 토우를 폐쇄하기 위해 물품을 신장하는 동작의, 세로단면도에서의, 연속적인 단계와 토우가 폐쇄된 물품의 언로딩단계의 처음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 및 도 30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안내 및 배향수단을 가진 관형상부재의 2개의 서로 직교하는 길이방향의 면을 따라 절단한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은 관형상 물품의 단부 또는 끝머리, 즉 일반적으로 양말 또는 스타킹의 끝머리를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그리고 완전자동으로 개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형상 편성품, 일반적으로는 스타킹 또는 양말의 처음의 끝머리를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그리고 완전자동으로 개방하는 방법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어지는 본문의 내용에 의해서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이들 목적 및 다른 목적, 그리고 장점들은, 물품이 삽입되는 관형상부재와; 상기 관형상부재의 하나의 출구단부에 배치된, 제 1폐쇄위치와 제 2개방위치에서 이동가능한 복수의 이동가능한 파지부재와; 상기 관형상부재에 삽입된 관형상물품을 상기 파지부재를 향해 안내하고 배향하는 상기 관형상부재의 상기 출구단부에 결합된 안내 및 배향수단으로 이루어진 장치에 의해서 실제적으로 달성된다.
이와같이 관형상물품은 관형상부재를 따라 안내되어서, 상기 물품의 끝머리는 이것을 개방하는 파지부재에 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 및 배향수단은, 관형상부재의 각 출구단부로부터 관형상부재의 내부를 향해서 뻗고, 서로 상기 물품의 통로를 한정하는 2개의 카운터포이즈된 구획몸체(counterpoised contoured body)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로의 횡단면은, 끝머리가 접히고 평평하게된 관형상물품을 상기 통로의 단면을 세로로 연장함으로써 결정되는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하기 위해서 연장될 수 있다. 이것은 파지부재에 의한 관형상 물품의 파지및 개방을 용이하게 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축주위에 서로 90°로 배열된 4개의 파지부재를 생각할 수 있다. 첫번째쌍의 파지부재는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현재의 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개의 구획몸체 (contoured body)의 각각에는 상기 물품의 출처의 방향과 대향하는 경사진 안내 및 배향면이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구획몸체의 경사진 면은 반대의 경사를 가진다. 예를들면, 안내면에는 본질적으로 평평한 부분과 본질적으로 나선형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도착하는 물품을 회전시켜서 안내 및 배향수단에 의해 안정되는 좁고 긴 통로의 내부에서 필요한 위치에 배열한다. 또 구획몸체에는 각각 평평한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하나에 대해서, 그리고 관형상부재의 축에 평행한 2개의 평평한 면은 관형상물품의 긴 횡단면 통로를 세로로 한정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2개의 구획몸체의 각각은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2개의 측부는 상기 관형상부재에 대해서 가동유닛과 일체로 되어있고, 중간부분은 상기 관형상부재와 일체로 되어 있다; 상기 관형상부재와 상기 유닛은 관형상부재의 출구 단부로부터 상기 유닛을 먼곳에 위치시키기 위해 서로 이동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유닛에 파지부재를 삽입하는 하우징을 설치할 수 있다.
가능한 구성에 따르면, 파지부재는 관형상부재의 축을 둘러싸는 환형상 구조체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관형상부재의 축과 평행하게 이동한다. 이 환형상 구조체에는 파지부재에 의해 미리 개방되어 있는관형상 물품의 끝머리를 개방하기 위하여 개방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파지부재는 예를들면 관형상부재의 축과 평행한 복수의 연장가능한 스템(stem)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스템은 관형상부재의 축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동해서 관형상부재의 외표면에서 관형상물품의 끝머리를 안팎으로 뒤짚을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파지부재는, 처음에 관형상물품을 파지하고 개방하는 2개의 카운터포이즈된 파지부재로 이루어진 첫번째쌍을 제어하고, 첫번째쌍의 이동후에 관형상물품을 파지하고 개방하기 위해 서로 카운터포이즈된 2번째쌍의 파지부재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동작한다.
상기 파지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흡입부재를 가지지만, 다른 방법으로 예를들면 집게 또는 다른 기계적 수단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형상의 물품을 관형상부재에 흡입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관형상의 부재를 상기 관형상부재의 출구단부에 대해 상기 파지부재의 반대쪽에 개방부가 위치하는 흡입관에 연결해도 된다. 그러나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력은 공기작동식이라면 파지부재에 의해 직접 얻어져도 된다. 이 경우 관형상부재의 출구단부는 관형상물품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흡출된 공기가 외부로부터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및 닫는 수단과 결합되어 있다. 흡입력이 관형상부재의 출구단부에 일시적으로 끼워져 있는 흡입관에 의해 얻어진다면, 파지부재에 대응해서 관형상의 물품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관형상물품이 흡입관내를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가 형성된다.
가요성의 관형상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 공기작용식으로 상기 물품을 관형상부재의 일단부를 향해 반송하는 단계
- 소정의 위치의 상기 물품의 단부를 복수의 파지부재에 대해서 지향시키는 단계
- 상기 물품을 개방되는 단부에 대응해서 상기 파지부재로 유지하는 단계
- 상기 파지부재를 개방하고, 이에 의해 상기 물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의 부가적인 바람직한 장점 및 형태는 유첨된 청구범위에 예시되어 있고,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어지는 설명에서는, 물품과 물품의 끝머리를 개방하는 부재를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로 그리고 그역으로 물품을 반송하는 특별한 기구로 끝을 폐쇄하는 특별한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한다. 그러나 이것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상황에서 실행할 수 있고, 다른 장치에 삽입가능하며, 그리고 후에 다른 종류의 기계류에 반송되는 물품을 개방하는 것으로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도 1, 도1A 및 도 2는 양말, 스타킹 등과 같은 관형상의 물품을 제조한기 위한 편물기계, 일반적으로는 원형의 편물기계에 적용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는 도면번호(1)로 표시되어 있고, 도 2에서의 도면번호(2)는 상기 장치(1)가 결합된 공지의 원형의 편물기계를 나타낸다.
상기 장치(1)에는 서로 평행한 2개의 관형상부재(5A), (5B)를 유지하는 지지부재(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3)는 상기 2개의 관형상부재(5A), (5B)의 축과 평행한 축(A-A)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 지지부재(3)의 회전운동은 위에 배치되고 고정프레임(9)에 의해 유지되는 액튜에이터(7)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회전운동은 상기 2개의 관형상부재의 하단부를 둘러싸는 기계부품과의 (회정시의)충돌을 피하도록 상기 지지부재, 결과적으로는 상기 관형상부재를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는 축(A-A)을 중심으로 180°회전하고, 2개의 관형상부재 (5A), (5B)는 2개의 위치에서 나란히 양자택일적으로 위치결정된다.
상기 운동은 번갈아 서로 엇갈리는 회전운동(alternating movement) 또는 회전방향을 거꾸로하지 않고 간헐성의 단속적인 회전운동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개방수단은 관형상부재(5A)가 도 1A 및 도 1B에서 위치하고 있는 제 1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개방수단은, 제 1위치에 있는 관형상의 부재에 공급되는 각 물품의 탄력성이 있는 끝머리를 유지하고, 관형상부재 자체의 외표면에서 상기 탄력성이 있는 끝머리를 개방하기 위한 파지부재와 개방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관형상부재의 외표면에서 관형상의 물품을 거꾸로 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위치결정부재의 결합체는 도 1에서 도면번호(11)로 표시되어 있고, 도 1A에서는 명확히 하기위해 상기 부재중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다.
각(角) 배향수단(angular orienting means)과 신장수단이 제 2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폐쇄될 관형상물품의 토우를 끌어당기는 상기 수단은 도면번호(13)로 표시되어 있고, 꿰매거나 다른 조작(예를들면, 이음)에 의해 물품의 토우를 폐쇄하는 폐쇄수단(특히, 재봉기)은 도면번호(15)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물품의 토우를 준비하고 폐쇄하는 여러단계를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물기계(2)로 제조된 관형상의 물품은, 90°의 각도로 구부러진 말단의 만곡부(17A)가 형성되고, 일시적으로 제 1위치에 있는 관형상부재(5A),(5B)중 하나의 제 1단부, 즉 도 1, 도 1A 및 도 2에 도시한 위치에서는 관형상부재(5A)의 제 1단부와 대향하는 공기이송관(17)을 개재해서 상기 장치(1)에 공급된다. 공기이송관 (17)은 편물기계(2)의 니들실린더(needle cylinder)의 하부로부터 통하는 도관(19)에 연결되어 있고, 도면번호(21)로 표시된 차단수단이 공기이송관(17)과 도관(19)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편물기계(12)로 제조되고 니들로부터 방출되는 물품을 모으는데 필요한 흡입력이 일시적으로 차단부재(21)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제 1위치에 있는 관형상부재 (5A) 또는 (5B)를 통하여 이하 설명하는 바와같이 발생한다.
제 2위치에서 재봉기(15)에 의해 폐쇄된 후의 관형상의 물품은 다시 제 1위치로 반송되고, 공기언로딩(unloading) 도관(23)을 통해 흡착되어 제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도관(23)이 공기이송관(17)과 흡입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번갈아 연결되는 부품(fitting)(2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품은 토우를 폐쇄한 후에 재삽입되어있는 관형상의 부재(5A) 또는 (5B)의 내부로부터 흡출되어 공기식으로 언로딩되는 박스(27)에 도달한다. 이 단계에서, 차단수단(21)이 폐쇄된다.
완제품이 언로딩된 후에, 새로운 물품이 도관(19)과 공기이송관(17)을 통해서 흡출된다.
여기에서 설명한 상기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편물기계(2)로 제조된 제 1물품은 도관(19) 및 공기이송관(17)을 통해서 흡입되어 관형상부재(5A)에 도달한다. 상기 물품은 탄력성이 있는 끝머리부터 시작해서 토우에서 종료하면서 편물기계(2)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상기 물품은 관형상부재(5A)에 탄력성이 있는 끝머리가 먼저 도달하고, 토우는 나중에 도달한다. 즉, 진행방향에 대해서 하류로 도달한다. 관형상부재(5A)의 하단부에 도달한 후에, 상기 물품은 관형상부재(5A)의 외표면에서 도면번호(11)로 표시하고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부재에 의해서 안팎이 뒤짚어진다.
위치결정이 된 후에, 지지부재(3)는 180°회전하고, 관형상부재(5A),(5B)의 위치는 거꾸로 되어서, 관형상부재 (5A)는 제 2위치에 있고, 관형상부재(5B)는 제 1위치에 있게 된다. 여기서, 물품의 토우가 끌어 당겨지고, EP-A-1118700호 등에 기재된 것과 본질적으로 같은 방법에 따라 꿰매진다.
인장해서 꿰매는 동작시에, 편물기계(2)로부터 다른 물품이 일시적으로 제 1위치에 있는 관형상부재(5B)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물품은 관형상부재(5B)의 외표면에서 안팎이 뒤짚어지고, 토우를 폐쇄하기 위해 준비된다.
제 2위치에 있는 제 1물품의 토우를 폐쇄하고, 제 1위치에 있는 제 2물품을 위치결정한 후에, 지지부재(3)는 180°회전해서 관형상부재(5A), (5B)를 도 1에 도시한 구성으로 되돌아가게 한다. 제 2물품의 토우가 제 2위치에서 폐쇄되는 동안 제 1물품은 공기이송관(17)과 도관(23)을 통해 흡입되고 언로딩되어 다음 물품의 도입을 허용한다.
상기 물품은, 이하에 설명하는 동작을 하는 수단이 갖추어진 제 1또는 제 2위치에서 토우가 폐쇄된 후에 2번째로 뒤짚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장치(1)는 물품이 기구(3), (5A), (5B)에 의해서 반송되는 2개의 위치에서 동시에 2개의 물품에 작용해서, 토우의 폐쇄동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2개의 물품을 폐쇄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이 겹치고, 결과적으로 토우를 폐쇄하는데 소요되는 전체시간이 단축되고, 상기 장치(1)는 이와 결합된 편물기계(2)로부터의 모든 물품을 폐쇄할 수 있다.
도 3 ~ 도 7은 공기이송관(17)에 의해 하나의 관형상부재 또는 다른 하나의 관형상부재(5A), (5B)중 어느 하나에 각각 공급되는 관형상의 물품을 개방하고 안팎으로 뒤짚는 부재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상기 부재(11)의 조립체는 일시적으로 제 1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관형상의 부재(5A) 또는 (5B)와 동축의 환형상구조체(13)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환형상의 구조체(31)는, 관형상의 부재(5A),(5B)의 축과 평행하게 수직가이드(36)위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드(33)(도 1, 도 1A)에 의해서 반송되고, 또한 각각이 각 액튜에이터 (37)와 결합된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한 프레서(presser)(35)(특히, 도 4 참조)를 가진다. 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같이. 상기 프세서(35)는 관형상의 부재 (5A) 또는 (5B)의 외표면에서 관형상의 물품을 안팎으로 뒤집고, 다른 보조기능을 가진다.
방사상의 프세서(35)의 위에, 환형상의 구조체(31)는 관형상부재(5A), (5B)의 축에 수직인 가이드(43)를 따라 이동하는 각 슬라이더(41)의 이동을 제어하는 4개의 선형액튜에이터(39), 즉 실린더-피스톤 액튜에이터를 가진다. (서로 카운터포이즈된(counterpoised)) 제 1의 파지부재의 쌍을 도면번호(45A)로 표시하고, 제 2의 파지부재의 쌍을 도면번호(45B)로 표시한다. 파지부재와 슬라이더(41)의 이동을 양방향화살표(f41)로 표시하니다.
각 파지부재에는 제 2단부가 가요성관에 의해 흡입라인에 연결된 관(49)의 제 1단부에 연결된 흡입헤드(47)가 설치되어있다. 상기 가요성의 관과 흡입라인은 도면을 간단히 하기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다. 스템은 폐쇄되어야 할 관형상의 물품의 토우와 반대쪽에 있는 상기 물품의 끝머리를 개방하는 개방수단을 형성한다.
각 스템은 각 슬라이더(41)와 일체로 된 가이드(55)위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드(53)에 의해 반송된다. 각 슬아이드(53)는 견인스프링(traction spring)에 의해 각 슬라이더(41)와 일체로 된 부품(59)에 고정되어서, 4개의 스템(51)은 이하에 설명하는 목적을 위해 환형상의 구조체(31)와 관형상의 부재(5A) 및 (5B)의 축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가동유닛(31)은 환형상의 구조체 밑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유닛은 양방향화살표(f63)를 따라서 액튜에이터(도면번호(64)에 의해 개략적으로 나타냄)에 의해 제어되고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지지부재(63)에 의해 유지되는 흡입관(61)의 상단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61)은 가요성의 관에 의해 흡입원(양자의 도시는 생략됨)에 연결되어 있다.
장치의 다른 부품과는 별도로 흡입관(61)을 나타내는 도 5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같이, 흡입관(61)의 상부는 도면번호(65)로 나타낸, 파지부재(45A), (45B)가통과하는 하우징을 형성하고 있다. 하우징(65)의 밑에, 흡입관(61)에는 격자로 이루어진 차단부재(67)가 설치되어서 흡입된 관형상의 부재가 관의 내부를 관통하는 것을 정지시킨다.
도면번호(71A), (71B) 및 (73A), (74B)로 각각 표시된 4개의 구획부품 (contoured appendix)이 4개의 하우징(65)의 사이에서 흡입관(61)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품(71A)와 (73A)는 서로 대칭이고, 마찬가지로 부품(71B)와 (73B)도 서로 대칭이다.
서로 대칭인 구획부품(71C), (73C)는 각 관형상부재(5A), (5B)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도 5에서는 각 관형상의 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다. 구획부품(71C), (73C)의 형상은 구획부품(71A), (71B), (73A), (73C)에 대하여 보완적이고, 흡입관(61)과 일체로 되어 있어서, 그 형상이 부품(71C)이 부품(73A), (73C) 사이에 삽입될 때 부품(73A), (73B), (73C)에 의해 형성되는 것과 대칭인 구획몸체를 형성하는 부품(71A),(71B)사이에 부품(71C)이 삽입된다. 2개의 대칭인 구획몸체는 도 6A 및 도 6B에서 도면번호(71) 및 (73)으로 표시되어 있고, 여기에서 이들은 마치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각 관형상부재 (5A), (5B)는 구획몸체의 형상을 명백히 나타내기 위해서 제거되어 있다.
이하에 명백히 기술된 바와같이, 흡입관(61)은, 일시적으로 파지부재(45A), (45B)에 의한 관형상 물품의 개방을 허용하는 장치(1)의 제 1위치에 있는 관형상의 부재(5A) 또는 (5B)에 대하여 양방향화살표(f63)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부품(71A), (71B), (71C)와 (73A), (73B), (73C)를 결합해서 형성된 구획몸체 (71), (73)는 관형상부재(5A) 또는 (5B)의 하단부에 도달하는 관형상물품을 안내하고 배향하는 수단을 형성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구획몸체(71) 및 (73)에는 주요한 3개의 여러가지의 구획을 가진 면이 형성되고, 각 구획몸체에는 관형상부재(5A) 또는 (5B)의 내부 원주면에 대응해서 도면부호(S71) 및 (S73)으로 각각 나타낸 제 1원주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각 구획몸체에는 도면부호(X71) 및 (X73)으로 나타낸 배향 및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면은 상부영역에서는 본질적으로 평평하고 경사져있으며, 하부영역에서는 본질적으로 나선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면(X71) 및 (X73)은 배향되고 안내되어야 할 관형상 편성품(Knitted article)이 나오는 관형상부재의 단부와 대향하고 있다. 또 각 구획몸체(71), (73)에는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서 평행하고, 또한 관형상부재(5A), (5B)의 출구 근방의 2개의 구획몸체의 하부영역에서 횡단면이 길게 연장된 편성품의 통과영역을 규정하는, 각 관형상부재(5A), (5B)의 축에 평행한 도면부호(Y71) 및 (Y73)으로 표시된 제 3의 평평한 면이 형성되어 있다.
구획몸체(71) 및 (73)를 따르는 것에 의해 관형상부재(5A) 또는 (5B)의 내부에 도달하는 관형상 물품을 배향하고 안내한다. 관형상물품의 위치에서의 구획몸체 (71), (73)형태의 효과에 대해서는 도 7A ~ 7F에 명백히 설명되고 있으며, 여기서 도 7A는 2개의 구획몸체(71)(73)의 사시도이고, 도 7B ~ 도 7F는 도 7A에서 도면부호(B), (C), (D), (E), (F)로 표시한 위치에서 관형상부재(5A) 또는 (5B)의 축에 수직인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면부호(M)는 물품 그자체의 탄력성이 있는 끝머리의 횡단면을 도시한 관형상물품을 나타낸다. 도 7A에서, 물품(M)은 탄력성이 있는 끝머리가 4으로 접혀서 도시되어 있고, 면(Y71), (Y73)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다. 이것은 물품이 공기이송관(17)으로부터 도달할 수 있는 가능한 구성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물품(M)은 항상 이러한 방법으로 거의 접혀서 도달하지만, 관형상부재의 축에 어떠한 각도의 방위를 가지고 도달한다.
화살표(fM)을 따라 구획몸체를 진행시키면, 물품(M)은 면(X71) 및 (X73)과 충돌하고, 강제로 회전되어서 길게 처음의 방향에 대해서 최대 90°회전된 방향을 취한다. 즉, 면(Y71), (Y73)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물품(M)은 구획몸체(71)(73)와 간섭할 때 취하는 위치에 관계없이, 그 면(X71), (X73)은 회전을 야기해서 상기 물품이 도면부호(M1)으로 표시한 최종의 위치, 또는 이 위치에 대해 180°회전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즉, 도 7A ~ 도 7F에 도시한 면(Y71)(Y73)에 항상 평행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이것은 이하 설명하는 바와같이 앞서 설명한 부재에 의해서 물품을 개방하고 안팎으로 뒤짚는 것을 편리하게 한다.
도 6A 및 도 6B에, 그리고 관형상부재(5A), (5B)중 하나의 상단부를 도시한 도 8A에도 상세하게 나타나있는 바와같이, 관형상부재(5A)(5B)는 도 8A에서 도면부호(5X) 및 (5Y)로 표시된, 각각 내부와 외부의, 2개의 동축 관형상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관형상구성요소(5X)는 지지부재(3)에 의해 직접 지지되어 있는 관형상 구성요소(5Y)의 내부에서 짧은 거리를 슬라이드 할 수 있다. 2개의 관형상 구성요소(5X), (5Y) 사이의 간극에 내장되어 있는 나선형의 압축스프링(6)은 내부의 관형상 구성요소(5X)를 위로 가압하기 쉽다. 즉, 관형상구성요소(5Y)의 꼭대기부터 돌출시키기 쉽다. 구획몸체(71)(73)(더욱 정확하게는 이들의 부분(71C), (73C))는 각 관형상부재(5A)(5B)의 내부의 관형상구성요소(5X)와 일체로 되어 있다.
도 8B에 예시되고, 이하 설명하는 부재에 의해서, 내부의 관형상 구성요소(5X)를 밑으로 밀어서 관형상 구성요소(5Y)의 내부를 슬라이드 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스프링(G)의 탄성력을 극복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도 8B 참조), 공기이송관(17)은 칼라(collar)(17D)가 형성된, 포개서 끼워넣는 식으로 연장되는 부분(17C)으로 끝난다. 상기 부분(17C)의 밑으로의 연장은 1쌍의 실린더-피스톤 액튜에이터(18)에 의해 제어되고, 도 8B에는 상기 액튜에이터 중 하나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 도 1A 및 도 2에는 두개가 모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부분 (17C)을 밑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칼라 (17D)는, 관형상구성요소(5X)를 밑으로 밀어서 제 1위치에 일시적으로 위치한 관형상부재(5A) 또는 (5B)의 내부의 관형상 구성요소95X)와 일체로 된 대응하는 칼라 (5E)에서 정지한다. 이렇게하여 내부의 관형상 구성요소(5X)가 외부의 관형상 구성요소(5Y)에 대하여 포개서 끼워넣는 식으로 슬라이딩하게 하고, 관형상부재(5A) 또는 (5B)에 공기이송관(17)을 공기식으로 연결해서, 편물기계(2)로부터의 물품을 공기이송관(17)으로부터 관형상부재(5A) 또는 (5B)로 반송하도록 한다. 관형상 구성요소(5X), (5Y)의 상대적으로 포개어 끼워넣는 식의 슬라이딩 기능은 관형상물품을 안팎으로 뒤짚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락에서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후에 토우를 폐쇄하는 제 1의 위치에 위치한 관형상부재(5A) 또는 (5B)에서 관형상물품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동작은 관형상부재(5A)와 (5B)에서 양자택일적으로 행해진다. 그 동작을 관형상부재(5A)에 대해서 설명한다. 관형상부재(5A)가 편물기계로부터 관형상물품(M)을 받는 것으로 가정한다. 액튜에이터(7)는 도 1 및 도 1A의 위치에 관형상부재(5A)를 배열하도록 하는 각도의 위치에 지지부재(3)를 위치시킨다. 액튜에이터(63)는 흡입관(61)을 위로 이동시키고, 그것과 일체로 된 부속품 (71A), (71B), (73A), (73B)이 관형상부재(5A)의 내부를 관통하게 해서 (부속품 (71C), (73C)를 가진) 구획몸체(71)(73)를 완성한다. 포개서 끼워 넣는 부분(170)을 내려서 공기이송관(17)을 관형상부재(5A)의 내부와 공기식으로 연결한다. 도관(19), 공기이송관(17) 및 관형상부재(5A)내에는 흡입관(17)에 의해 진공이 생긴다(차단수 단(21)은 개방됨). 편물기계(2)에 의해 뜨개질되는 물품이 완성되면, 니들(needle)에 의해 방출되고 관형상부재(5A)를 향해 흡입된다. 상기 물품은 탄력성이 있는 끝머리와 토우 모두를 따라서 개방되어 있고, 공기통로를 따라 끝머리가 앞으로 되고, 토우가 뒤로 된 상태에서 이동한다.
공기통로내의 진공에 의해 관형상물품(M)은 흡입관(61)과 일체로 된 격자 (67)에 충돌할 때까지 끌어당겨진다. 안내 및 배향수단을 구성하는 구획몸체(71) (73)가 존재하기 때문에, 물품은 어떠한 위치에서 관형상의 부재(5A)에 도달하고,격자(67)와 접촉하면 파지부재(45A)의 근방에 뻗어나온 관형상부재(5A)의 축에 대해서 직교하는 단면인 도 9A 및 도 9B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2개의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배치된다.
미리 물품(M)의 도착에 대해서 상기 파지부재(45A), (45B)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같이 위치결정된다: 카운터포이즈된 파지부재(45A)는 카운터포이즈된 파지부재(45B)에 대해서 더욱 먼데에 위치한다. 상기 부재(45A)는 구획몸체(71) (73)의 하부에서 면(Y71), (Y73)으로 규정되는 보다 큰 크기의 길게 연장된 단면갭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부재(45B)는 상기 보다 큰 크기의 갭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파지부재(45A), (45B)는 격자(67) 바로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편물기계(2)로부터 도달하는 양말 또는 관형상물품의 탄력성이 있는 끝머리를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개방하고, 이것을 관형상부재(5A)의 외표면에서 안팎으로 뒤짚을 수 있도록 상기 끝머리가 배치되고, 이 끝머리를 파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물품(M)이 도 9A 및 9B에 도시한 하나의 위치 또는 다른 위치에 도달하면, 흡입관(61)내에서의 흡입을 중단하고, 카운터포이즈된 파지부재(45B)는 각각 폐쇄되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형상물품(M)에 대하여 가압될 수 있다. 이 위치에 도달하면, 파지부재(45B)를 통해서 흡입을 활성화해서 2개의 카운터포이즈된 영역에서 관형상물품의 끝머리를 파지할 수 있다. 동시에, 액튜에이터(63)에 의해 흡입관(61)을 밑으로 이동시켜서 먼데에 둘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파지부재 (45A), (45B)의 주위에 간격이 생기고, 상기 파지부재는 관형상부재(5A)의 하부 끝머리 밑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각 액튜에이터(39)에 의해 제어되는 파지부재(45B)의 개방이동에 의해 관형상부재(5A)의 하부입구로부터 돌출하는 영역의 도 11에 도시한 위치에 있는 관형상물품(M)을 개방한다.
이어서, 파지부재(45A)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파지부재(45B)사이에 형성된 영역에 있는 관형상 물품(M)의 끝머리에 대해 서로 접근해서 가압한다. 파지부재(45A)의 2개의 앞면 사이의 관형상물품(M)을 가압한 후에, 파지부재 (45A)는 관형상 물품이 파지부재에 의해 맞물리도록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활성화 한다.
도 14는 물품(M)의 탄력성이 있는 끝머리를 개방할 때의 관형상부재(5A)의 세로단면도이다. 도면부호(MB)는 물품의 탄력성이 있는 끝머리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MP)는 토우, 즉 장치(1)의 제 2위치에서 폐쇄된 후의 물품의 폐쇄된 토우를 형성하게 될 끝머리이다. 도 15 및 도 20은 동일한 단면에 따라 관형상부재(5A)에서 관형상물품(M)을 안팎으로 뒤짚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15에서 스템(51)이 관형상물품(M)의 개방된 끝머리 (MB)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스템은 파지부재의 비활성화 후에 끝머리를 억제하고, 끝머리(MB)의 직물은 더이상 그것들에 부착하지 않는다.
액튜에이터(39)는 도 16에 도시한 위치에 도달하도록 도 15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51) 을 개방한다. 여기서 4개의 스템(51)(이들중 2개만 단면도에 나타나있음)은 관형상부재의 입구와 떨어져서 물품(M)의 끝머리(MB)가 배치되는 넓게 개방된 위치에 있다.
개방동작은 다른 수단에 의해서, 즉 역시 기계적 방식의 1쌍의 파지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것도 배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여기서 설명하는 구성은 물품을 이루는 직물을 우연히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특히 신뢰성이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M)의 끝머리(MB)의 개방시에는 내부 관형상구성요소(5X)는 오므라든 위치에 있다. 즉, 관형상 구성요소(5Y)를 따라 오므라들어 있다. 이와 같은 것은 공기이송관(17)의 칼라(17D)와 부분(17C)을 위로 되돌림으로써 이루어진다(도 8B). 역으로, 도 16에서는 내부의 관형상 구성요소 (5X)는 하부위치에, 즉 그 입구가 외부의 관형상 구성요소(5Y)의 입구와 정렬된 상태로 다시 밀려진다. 이 이동은 관형상부재(15A)의 하부입구에 대하여 관형상 구성요소(5X)와 일체로 된 부속품(71C), (73C)의 위치를 변경한다.
스템(51)을 유지하는 환형상 구조체(31)를 화살표(f31)에 따라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품(M)의 탄력성이 있는 끝머리 (MB)는 관형상부재(5A)의 외표면에서 안팎이 뒤짚어지게 된다. 스템(51)은 오므라든다.
관형상부재(5A)의 외표면에서 물품(M)의 끝머리(MB)를 회전시킨 후에, 방사상의 프레서는 끝머리 그 자체에 대해서 가압되고, 또한 상기 방사상의 프레서를 가지는 구조체(31)는 더욱 위쪽으로 이동된다(도 19 및 도 20참조). 이러한 방법으로, 방사상의 프레서(35)는 관형부재(5A)의 내부로부터 외표면으로 관형상물품(M)을 안팎으로 뒤짚으면서 이동시키고, 또한 토우의 끝머리에 의해 형성되는 끝머리 (MP)가 관형상부재의 끝머리에서 폐쇄된다. 개방된 방사상프레서(35)가 관형상부재의 (5A)에서 폐쇄된 방사상프레서(35)와 함께 다시 상하로 이동되는 긴 물품의 경우에는 구조체(31)는 하나의 이동이상을 필요로할 수 있다.
폐쇄되는 토우를 형성할 끝부분(MP)이 관형상부재의 외표면에 있을 때, 즉 물품(M)이 관형상부재의 외표면에서 완전히 안팎이 뒤짚어져 있을 때에는, 토우를 폐쇄하는 제 2위치에서 관형상부재(5A)를 가지는 지지부재(3)를 상승, 180°회전 및 하강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스퀀스가 행해진다.
미리 끝머리(MP)는 관형상부재(5A)의 입구에지와 평행하게 정렬되어 위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동작은 제 1 또는 제 2위치에서 행해질 수 있고, 도 21A ~ 도 21D에 예시되어 있다. 도 21A에 있어서, 물품(M)은 관형상부재(M)의 외표면에서 완전히 안팎이 뒤짚어져 있고, 폐쇄된 토우를 형성할 끝머리(MP)는 관형상부재(5A)의 말단의 에지에 대하여 임시로 불규칙하게 오므라든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방사상의 프레서(35)는 끝머리(MP) 밑의 관형상부재의 말단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그 후 방사상의 프레서는 위로 들어 올려져서 끝머리(MP)와 접족하고, 끝머리(MP)가 모든 프레서(35)위에 놓이는 충분한 거리만큼 끝머리를 위쪽으로 슬라이딩하게 한다(도 21B).
이러한 방법으로, 끝머리(MP)는 맨끝의 접선에 방사상프레서(35)가 있는 이상적인 원주위에 대략 정렬된다. 이 점에서, 프레서(35)는 개방되고, 끝머리(MP)바로위의 높이까지 위로 이동하며(도 21C), 관형상물품(M)을 가압하기 위해 폐쇄된다. 다음 단계에서, 폐쇄된 프레서는 하강하며 도 21D의 구성에서 끝머리(MP)를 관형상부재(5A)의 하부말단의 에지와 정렬시킨다. 이 프로세스는 예를 들면 광센서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도 21D에서, 끝머리(MP)는 관형상부재의 축과 직교하고, 관형상부재(5A)의 하부에지를 포함하는 평면에 정렬된다. 끝머리 (MP)를 정렬시키는 절차는 이하에 설명하는 다른 기능을 위한 제 2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같은 방사상의 프레서에 위해서, 제 2위치에서 행할 수 있었다.
도 22는 관형상부재(5A)를 제 2위치에 반송하는 지지부재(3)를 180°회전시키기 이전에 물품을 안팎으로 뒤집고 물품의 끝머리(MP)를 정렬시키는 동작 후의 관형상부재(5A)의 세로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3 및 도 27은 토우를 폐쇄하기 전에 관형상물품을 제 2위치에서 신장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구조체(31)와 같은 환형상의 구조체(81)가 제 2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수직가이드(85)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드(83)에 의해 반송된다(도 1 및 도 2 참조). 방사상의 프레서(35) 및 각 액튜에이터(37)와 마찬가지로, 환형상의 구조체(81)에는 액튜에이터(89)에 의해 동작되는 방사상의 프레서(87)가 형성되어 있다. 방사상의 프레서가 끼워져있는 환형상의 구조체(81)는 제 2위치에 일시적으로 위치해 있는 관형상부재(5A) 또는 (5B)의 축과 일치하는 축에서 각을 이루어 이동 가능하다. 상기 각을 이루는 이동은 액튜에이터(90)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1 ~ 도 2).
이러한 방법으로, 방사상의 프레서(87)는 관형상물품(M)의 외표면에 대해 가압되고, 관형상물품의 끝머리(MP)는 관형상부재(5A)에 대해 각을 이루어 위치결정되고 2개의 끝머리는 접합되어 폐쇄된 토우를 형성하고, 이들을 외부관형상 구성요소(5Y)의 에지로부터 그 말단영역을 따라 정반대로 대향하고 도 25에서 볼 수 있는 2개의 슬롯 또는 홈과 정렬한다. 관형상부재(5A)가 지지부재(3)에 대해 각을 이루어 고정되거나 또는 그 각위치를 알고 있으면, 슬롯(5D)의 각위치는 미리 안다. 예를 들면 적당한 색의 섬유로 짜서 표시를 하는 것에 의해 관형상부재(M)의 정확한 각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광전관 또는 광센서(도 25에 도시함)을 사용할 수 있다. 물품이 끼워진 관형상부재에 대해 관형상물품을 각을 이루어 배향하는 상기 동작을 제 2위치 대신에 제 1위치에서도 행할 수 있다. 또, 관형상부재를 회전시키고 방사상 프레서에 의해 물품을 각을 이루어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을 이루는 배향은 고정된 구성요소가 하나 또는 다른 하나로 될 수 있는 관형상부재에 대해서 물품을 서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얻어진다.
관형상물품(M)(도 23, 도 24)을 각을 이루어 정렬한 후에, 또는 상기 동작 시에, 신장수단(13)에 속하는 2개의 브래킷(13A)을 밑으로부터 관형상부재의 내부에 도입할 수 있다(도 24, 도 25). 각을 이루어 위치결정한 후에,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품의 끝머리(MP)를 신장시키기 위하여 정반대로 대향한 슬롯(5D)을 통해 브래킷(13A)을 관형상부재(5A)로부터 방사상으로 외부로 돌출시키면서 열 수 있다(도 26). 이후에 브래킷(13A)을 밑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관형상부재의 하부에지 밑에 있는 신장된 끝머리를 예를 들면 끝머리(MP)의 직물이 들어가는 재단기를 구비한 재봉기(15) 또는 다른 적당한 수단에 의해 꿰매지는 영역으로 옮긴다.
토우를 폐쇄한 후에, 물품(M)은 관형상부재(5A)를 관통하면서 다시 안팎으로 뒤집혀지고 옮겨질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방사상 프레서에 의해 다시 행해질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폐쇄될 새로운 물품을 공급하고, 페쇄된 물품을 치우기 위해 사용되는 공기이송관(17)이 하나만 있기 때문에, 물품을 뒤집고 그것을 먼 곳에 두는 제 2의 동작은 지지부재(3)가 새롭게 180°회전해서 관형상부재(5A)가 되돌아오는 제 2위치에서 행해진다. 결과적으로 이 경우, 방사상 프레서(35)는 관형상부재(5A)의 내부에 위쪽으로의 흡입력이 발생하는 동안 물품을 안팎으로 뒤집는 제 2의 동작을 행한다. 도 28은 탄력성 있는 끝머리(MP)가 관형상부재(5A)에 흡입될 때까지 방사상 프레서(35)의 하나이상의 교번스트로크(alternating stroke)에 의해 얻어지는 제 2의 안팎으로 뒤집는 동작의 처음의 단계를 나타낸다.
제 2위치의 폐쇄된 물품의 언로딩 가능성은 배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공기이송관(17)과 같은 흡입관을 일시적으로 제 2위치에 있는 관형상부재(17)와 일렬로 반송수단 위에 설치하고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우를 폐쇄한 후 관형상물품을 안팎으로 뒤집는 제 2의 동작은 방사상 프레서(87)에 의해 제 2위치에서 행해진다.
당연히, 이 경우, 2개의 위치사이에서의 여러 단계의 배치는 다르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는, 시퀸스가 탄력성 있는 끝머리(MP)를 개방하고 토우(MP)를 폐쇄하는 동작을 2개의 위치, 즉 제 1위치 및 제 2위치에서 반드시 해야하는 것을 필요로 할 것이다. 한편 나머지 동작은 2개의 위치 중 하나의 위치 또는 다른 하나의 위치에서 행해질 수 있으며, 토우를 폐쇄하기 위해 소요되는 전체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의 필요성을 항상 고려하면서 오퍼레이터의 필요 또는 선택에 따라 배치할 수 있 다. 특히, 물품의 각을 이루는 배향(도 23, 도 24)은 환형상구조체(31)가 각을 이루어 이동할 수 있는 제 1위치에서 행할 수 있다. 끝머리(MP)의 정렬(도 21A ~ 21D)은 원칙적으로 제 2위치에서 방사상 프레서(87)에 의해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물품을 안팎으로 뒤집고 그것을 언로딩하는 제 2의 동작은 제 2위치에서 할 수 있었다.
도 29 및 도 3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단면도와 마찬가지의 2개의 단면도를 따르는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도 6A, 도 6B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품을 나타낸다. 이 제 2실시예는 파지수단에 대해서 위로 안내 및 배향하는 수단의 구성이 다른 앞의 것과는 다르다. 이 경우, 관형상부재(5A) (5B)의 (하부의)말단부는 내부의 관형상물품의 탄력성 있는 끝머리(MP)를 파지부재 (45A)(45B)에 대응해서 배치된 4개의 원주면(103)을 향해 안내하는 내부의 원추대면(frusto -conical surface)(10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관형상물품의 끝머리는 다른 관형상부재의 축위에서 팽팽하게 펴지고 파지수단에 의해 파지된다. 상기한 해결법은, 관형상물품이 배치되는 위치가 결정되지 않고, 파지부재를 개방하기 위해 파지부재를 수차례 반복해서 이동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앞의 것보다는 덜 바람직하다.
또, 제 1실시예에서는 관형상부재(5A)(5B)의 단면을 감소시키기 위해 칼라(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역시 제 2실시예는 앞의 실시예와는 다르다. 칼라에는 관형상물품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획된 인입단면(contoured lead-incross-section)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을 물품이 구획몸체(71)(73)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들어오는 물품을 규제해서 이후의 배향을 위해 배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면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로 부터 일탈하지 않고 여기에서 고찰된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예에 여러 가지 변형을 행할 수 있다. 유첨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상세한 설명에 대해 청구범위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보호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41)

  1. 물품이 삽입되는 관형상부재와; 상기 관형상부재의 출구단부에 배치된, 제 1폐쇄위치와 제 2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복수의 파지부재와; 상기 관형상부에 삽입된 관형상물품을 상기 파지부재를 향해서 안내하고 배향하는, 상기 관형상부재의 상기 출구단부에 결합된 안내 및 배향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및 배향수단은 상기 관형상부재의 출구단부로 부터 상기 관형상부재의 내부를 향해 뻗는 2개의 카운터포이즈된 구획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운터포이즈된 구획몸체는 상기 물품의 통로를 서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에는 긴 횡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4. 상기 청구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4개의 파지부재가 축주위에 서로 90°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서로 카운터포이즈된 상기 2개의 파지부재는 상기 통로의 더 큰 수치의 횡단면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서로 카운터포이즈된 다른 2개의 파지부재는 상기 보다 큰 치수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6. 제 2항 ~ 제 5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구획몸체의 각각에는 상기 물품의 출처의 방향과 대향하는 경사진 안내 및 배향면이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구획몸체의 경사면은 반대의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면의 각각에는 본질적으로 평평한 부분과 본질적으로 나선형의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긴 횡단면 통로를 옆으로 한정하는 2개의 평평한 측면이 형성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몸체의 평평한 측벽은 본질적으로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10. 제 2항 ~ 제 9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몸체의 각각에는 그 형상이 관형상부재의 내면의 형상을 따르는, 본질적으로 원통형상의 측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11. 제 2항 ~ 제 10항 중 하나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구획몸체의 각각은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2개의 측부는 상기 관형상부재에 대해서 가동유닛과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관형상부재와 상기 유닛은 관형상부재의 출구단부로 부터 유닛을 먼곳에 위치시키기 위해 서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유닛에는 상기 파지부재를 삽입하는 하우징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유닛에는 상기 2개의 구획몸체의 각각의 유닛과 일체로 된 2개의 부분사이에 파지부재의 좌(座)가 2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하우징의 각각은 가동유닛이 상기 관형상부재의 출구단부에서 폐쇄될 때 각 구획몸체의, 관형상부재와 일체로 된, 각 부분에 의해서 부가적으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14. 앞의 청구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관형상부재의 축을 둘러싸는 환형상구조체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관형상부재의 축에 평행하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15. 앞의 청구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물품의 끝머리를 개방하기 위해 개방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관형상부재의 축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뻗는 스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17. 제 14항에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장치는 상기 이동가능한 환형상구조체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와 동일한 수의 상기 스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19. 제 16항,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제 1의 서로 폐쇄된 위치와 제 2개방위치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위치사이에서의 상기 스템의 이동은 각 제 1위치와 제 2위치사이에서의 상기 파지부재의 이동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21. 적어도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가동 환형상구조체와 일체로된 가이드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22. 제 17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23. 이전의 청구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적어도 일부 변위되는 이동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24. 제 4항 또는 제 23항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처음에 상기 관형상물품을 파지 및 개방하는 2개의 카운터포이즈된 파지부재로 이루어진 첫번째쌍을 제어하고, 상기 첫번째쌍의 이동후에, 상기 관형상물품을 파지하고 개방하기 위하여 서로 카운터포이즈된 2번째 쌍의 파지부재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25. 제 19항 또는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2번째쌍의 파지부재의 이동에 의해 조정되는 형태로 동작하여 상기 파지부재에 의해 억제되고 이후에 개방되는 물품의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26. 앞의 청구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흡입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27. 앞의 청구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부재는 입구가 상기 관형상 부재의 출구단부에 대하여 상기 파지부재의 반대쪽에 배치된 흡입관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와 상기 흡입관의 입구사이에서 관형상부재를 차단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29. 제 11항과 제 27항, 또는 제 11항과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상기 가동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30. 적어도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를 유지하는 상기 환형상구조체는, 상기 물품을 맞물고 상기 관형상부재에 대해 상기 가동환형상구조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관형상부재의 외표면에서 상기 물품을 슬라이딩하게 하는 방사상 프레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31. 앞의 청구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상기 파지부재에 의해 파지된 것을 확인하는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32. 앞의 청구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부재는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고 각각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2개의 관형상 구성요소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 및 배향수단의 적어도 일부는 가장 안쪽의 관형상 구성요소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바깥쪽의 관형상 구성요소에는 상기 관형상부재의 축에 평행하게 상기 출구단부의 에지로부터 뻗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34. 앞의 청구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부재의 통로단면을 감소시키는 칼라가 상기 관형상물품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안내 및 배향수단에 하류로, 상기 관형상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35. 앞의 청구항 중 하나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물품의 안내 및 배향수단에는 상기 파지부재에 대응해서 4개의 원주형상면을 따르는 원추대면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장치.
  36. -상기 물품을 관형상부재의 일단부를 향해 공기식으로 반송하는 단계와,
    -소정 위치의 상기 물품의 단부를 복수의 파지유닛에 대해 지향시키는 단계와,
    -상기 물품을 개방되는 단부에 대응해서 상기 파지부재로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파지부재를 개방하고, 이에 이해 상기 물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개방단부에 복수의 개방수단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물품을 그 단부에 대응해서 상기 개방수단에 의해 신장하는 단계와,
    -상기 물품의 단부끝머리를 상기 관형상부재의 외표면에서 상기 개방수단에 의해 안팎으로 뒤짚는 단계
    로 이루어진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부재의 외표면에서 전체의 물품을 안팎으로뒤짚는 단계로 이루어진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방법.
  39. 제 36항 ~ 제 38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단부끝은 첫 번째쌍의 상기 카운터포이즈된 파지부재의 각 정렬의 제 1방향에 대략 수직인 형태를 취하도록 배향되고, 2번째쌍의 파지부재는 상기 제 1방향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제 2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카운터포이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방법.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2번째쌍의 파지부재가 상기 물품으로부터 떨어져서 유지되는 동안 상기 물품은 상기 첫번째쌍의 파지부재에 의해 맞물리고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뻗고, 상기 2번째쌍의 파지부재는 이후에 상기 물품에 접근해서, 상기 제 2위치에서 물품을 파지하고 펼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방법.
  41. 제 36항 ~ 제 40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공기식으로 상기 물품을 맞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관형상 물품, 특히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개방하는 방법.
KR10-2004-7003071A 2001-08-28 2002-08-19 관형상 편성품 또는 유사품의 끝머리를 개방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400357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001FI000163A ITFI20010163A1 (it) 2001-08-28 2001-08-28 Dispositivo e metodo per aprire il bord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o simile
ITFI2001A000163 2001-08-28
PCT/IT2002/000543 WO2003018903A1 (en) 2001-08-28 2002-08-19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the edge of a tubular knitted article or simil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746A true KR20040035746A (ko) 2004-04-29

Family

ID=1144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071A KR20040035746A (ko) 2001-08-28 2002-08-19 관형상 편성품 또는 유사품의 끝머리를 개방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40244431A1 (ko)
EP (1) EP1421236A1 (ko)
JP (1) JP2005501187A (ko)
KR (1) KR20040035746A (ko)
CN (1) CN1549879A (ko)
BR (1) BR0212231A (ko)
CA (1) CA2458557A1 (ko)
IT (1) ITFI20010163A1 (ko)
MX (1) MXPA04001817A (ko)
PL (1) PL368621A1 (ko)
RU (1) RU2004109137A (ko)
WO (1) WO2003018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30141A1 (it) * 2003-01-29 2004-07-30 Rumi S P A Ora Rumi S R L Dispositivo e procedimento di cucitura della punta di una calza.
ITFI20040259A1 (it) 2004-12-10 2005-03-10 Golden Lady Co Spa Dispositivo e metodo per manipolare manufatti tubolari a maglia come calzini o simili per eseguire la cucitura della punta
ITMI20061717A1 (it) * 2006-09-08 2008-03-09 Sangiacomo Spa Dispositivo rovesciatore di manufatti tubolari,particolarmente per macchine circolari per maglieria dotate di una stazione di chiusura di un'estremita assiale del manufatto tubolare
ITMI20061720A1 (it) * 2006-09-08 2008-03-09 Sangiacomo Spa Dispositivo rovesciatore di manufatti tubolari,particolarmente per macchine circolari per maglieria dotate di una stazione di chiusura di un'estremita' assiale del manufatto tubolare.
CN103774406B (zh) * 2012-10-22 2016-05-18 际华三五四三针织服饰有限公司 管状织物的折边装置
ITMI20130050A1 (it) * 2013-01-16 2014-07-17 Lonati Spa Procedimento per attuare la chiusura automatizzata di un'estremita' assiale di un manufatto tubolare e il suo scarico in assetto a rovescio ed apparecchiatura per la sua esecuzione.
CN104894738B (zh) * 2015-06-29 2017-01-11 浙江叶晓针织机械有限公司 织袜机翻转装置
CN106037119A (zh) * 2016-07-25 2016-10-26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体鞋面制造方法及一体编织鞋面
CN107700198B (zh) * 2017-11-20 2022-12-30 浙江嘉志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管状织物的缝合装置及方法
CN111876980B (zh) * 2020-07-16 2022-07-12 安徽中科智能高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长卷袜筒自动翻面装置及控制方法
IT202100026129A1 (it) * 2021-10-12 2023-04-12 Bipier S R L Dispositivo e metodo per manipolare manufatti tessili tubolari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1781A (en) * 1979-01-15 1981-08-04 Pope William H Hose ever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IT1176349B (it) * 1984-06-29 1987-08-18 Savio Spa Dispositivo e procedimento di tiraggio con rovesciamento per macchine circolari da maglieria
IT1236086B (it) * 1989-11-03 1992-12-22 Conti Florentia Srl Metodo e dispositivo per rovesciare le calze da uomo fuori della relativa macchina operatrice
GB2249321B (en) * 1990-10-24 1994-06-22 Nagata Seiki Kk A circular knitting machine having apparatus for transferring knitted fabric therefrom
IT1303913B1 (it) * 1998-04-24 2001-03-01 Giovanni Giuseppe De Dispositivo per la rovesciatura di manufatti tessili tubolari
CA2259812A1 (en) * 1999-01-20 2000-07-20 Andre M. Drisdelle Sock tur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FI20010163A1 (it) 2003-02-28
BR0212231A (pt) 2004-10-05
MXPA04001817A (es) 2004-07-23
WO2003018903A1 (en) 2003-03-06
CA2458557A1 (en) 2003-03-06
CN1549879A (zh) 2004-11-24
US20040244431A1 (en) 2004-12-09
PL368621A1 (en) 2005-04-04
RU2004109137A (ru) 2005-02-27
EP1421236A1 (en) 2004-05-26
JP2005501187A (ja)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15279A1 (en) Device for transferring a tubular knitted article from the machine where it is made to means for closing the toe
CN110067054B (zh) 将纱线端部穿纱到钢领钢丝圈内的方法和装置
CN111749001B (zh) 用于在圆型针织机中反转管形针织物品的方法和装置
KR20040035746A (ko) 관형상 편성품 또는 유사품의 끝머리를 개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27401B1 (ko) 발가락 부분의 재봉을 행하기 위한 양말 등의 관형상편성품을 취급하는 장치 및 방법
US70440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orienting hosiery articles for closing toe ends thereof
US55115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flexible objects
JP2578725B2 (ja) 3次元の包袋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5544603A (en) Apparatus for handling flexible objects
WO2008028575A1 (en) Device for reversing tubular articles, particularly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provided with a station for closing an axial end of the tubular article
US7025011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rienting hosiery articles for closing toe ends thereof
US51233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stacking a folded sewn ply such as a V-top shirt pocket
GB2249321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knitted fabric from circular knitting machine
JPH0624418A (ja) 紙袋の開口装置
AU2002337614A1 (en)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the edge of a tubular knitted article or similar
US20010017046A1 (en) Equipment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feeding a sewing machine with a sock tip
KR20080030066A (ko) 관형상 편성품, 특히 양말 등을 취급하는 장치
US20040052591A1 (en) Apparatus for the automatic removal of tubular textiles
WO2007020668A1 (en) Device for longitudinally spreading a flexible article, such as a tubular knitted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