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066A - 관형상 편성품, 특히 양말 등을 취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관형상 편성품, 특히 양말 등을 취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066A
KR20080030066A KR1020087002329A KR20087002329A KR20080030066A KR 20080030066 A KR20080030066 A KR 20080030066A KR 1020087002329 A KR1020087002329 A KR 1020087002329A KR 20087002329 A KR20087002329 A KR 20087002329A KR 20080030066 A KR20080030066 A KR 20080030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tubular member
article
suction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네리로 그라시
안토니오 마그니
Original Assignee
골든 레이디 컴퍼니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골든 레이디 컴퍼니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골든 레이디 컴퍼니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08003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00Sewing machines for temporarily connecting articles, e.g. pairs of soc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23/007Sewing units for assembling parts of knitted panties or closing the stocking toe par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00Linking machines, e.g. for joining knitted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장치는, 입구 단부와 출구 단부(15A)를 가지며, 흡입 수단과 결합하고 관형상 물품(T)이 출구 단부를 향하여 흡입되는 관형상 부재(15)와; 관형상 물품(T)의 제 1단부(P)와 맞닿고 관형상 부재로부터 물품을 제거하되, 출구 단부를 향하여 이동할 수 이동 픽업 요소와; 관형상 물품의 내부 벽과 연동하며, 관형상 부재의 출구 단부에 가변 형태를 가진 수축부를 형성하는 정형화된 블록을 구비한다. 수축부는 관형상 물품의 통로의 좁고 긴 단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합하며, 상기 관형상 물품은 적어도 제 2단부에서 연신 배치를 강제로 취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관형상 편성품, 특히 양말 등을 취급하는 장치{DEVICE FOR HANDLING TUBULAR KNITTED ARTICLES, IN PARTICULAR SOCKS AND THE LIKE}
본 발명은 관형상 편성품, 예컨대 스타킹류, 양말류 등을 취급하는 장치, 그리고, 특히 후속의 취급 작업, 예컨대 그 단부들 중 하나, 특히 신축성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된 단부를 개방하는 작업을 위한 상기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타킹 또는 양말 등의, 관형상 편성품의 제조에 있어서, 원형 편성기가, 양말을 신는 단부를 형성하는 신축성 가장자리와, 재봉 또는 연결함으로 폐쇄되는 발끝 부분 단부를 가지는, 관형상 물품을 제조하는 데 이용된다. 몇몇의 이들 기계에 있어서, 발끝 부분은, 양말 또는 다른 텍스타일 물품이 머신으로부터 내려지기 전에 폐쇄된다. 한편, 보다 전통적이고 더욱 단순한 구성인 머신에 있어서, 양말 또는 다른 물품은 발가락 부분이 열린 채로 반제품의 형태로 내려진다. 그 다음, 반제품은 용기로 수집되고, 오퍼레이터가 동시에 그들을 픽업하여 재봉 머신을 향하여 물품을 운반하는 이송튜브 위로 그들을 삽입한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의 예에 대하여 US-A-5,040,475호에 개시되어 있다.
재봉 머신을 향하여 이송하기 위하여 튜브 위에 삽입되는 반제품의 자동화된 취급에 있어서 부닥치는 문제점 중의 하나는, 단부 가장자리를 정확하게 개방하는 데 있어서의 곤란함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양한 기구에 대하여 연구되어 왔다.
예를 들면, EP-A-0882829호는, 반제품이 좁은 흡입부를 가진 튜브로 흡입되며, 텍스타일 물품의 단부 가장자리로 삽입되는 로드(rod) 형상 부재인 그 단부에서 위치결정되며, 그것으로 인하여 개방되는, 공기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다음, 연신 부재는 신축성 가장자리에 맞닿으며(engage) 그것을 연신하여 이송튜브 위로 그것을 삽입한다.
양말 등과 같은, 관형상 텍스타일 물품의 신축성 가장자리를 픽업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이전 기술의 해결책은, 만족스러운 해결책을 제공하지 못한다.
<발명의 목적과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재봉 머신을 향하는 이송을 위하여 또는 다른 처리 작업을 위하여 이어서 연신하고 튜브 위에 삽입되는, 양말, 스타킹 등과 같은, 관형상 텍스타일 물품의 신축성 가장자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특히 효율성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더욱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후속의 취급 작업을 위하여, 또는 자동 인식 및 후속의 취급 작업을 위하여, 스타킹 또는 양말과 같은 관형상 편성품을 제조하는 데 특히 적합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실질적으로, 발명의 제 1측면에 의하면, 장치는 관형상 편성품을 취급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흡입수단과 연동하며, 제 1단 부분과 제 2단 부분으로 이루어진, 관형상 물품이 흡입되는, 제 1단과 제 2단을 가진 관형상 부재와; 제 1 단부 부분 또는, 관형상물품의, 제 1단과 맞닿으며 관형상 부재로부터 물품이 제거되며, 상기 관형상 부재의 제 2단부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픽업요소와; 관형상 부재의 내부 부분과 연동하며, 관형상 부재의 제 2단부에 가변구조로 수축부를 형성하는 정형화된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축은 좁고 긴 관형상 물품의 통로의 단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합하며, 상기 관형상 물품은 적어도 제 2단부의 레벨에 연신 배치를 취하도록 된다.
관형상 부재의 제 1단부와 제 2단부는 관형상 물품을 위한 입구부과 출구부 각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형성된 블록은 관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의 부분에 대향하며 실제로 거기에 평행하는 표면 부분을 가지며, 아크 형상으로 횡단면을 가진 수축부를 형성한다. 수축부는 대략 초승달 형태를 가지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동작 스텝에서 동작 동안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관형상 부재의 제 2단부를 향하여 이동가능하며, 에어의 흐름은 상기 관형상 부재에서 발생하며, 제 1단부로부터 제 2단부로 배향되며, 관형상 물품을 끌어당긴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적합한 위치에 있어서 관형상 물품을 차단하며, 차단요소는 흡입 입구로 삽입될 수 있으며, 관형상 물품이 상기 흡입 입구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며 에어의 흐름에 의하여 끌어 당겨지는 관형상 물품을 위한 멈추개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기계적 그리퍼 등, 픽업 요소와 흡입 마우스는 관형상 부재의 측에 평행하게 이동가능한 단일의 유닛을 형성할 수 있지만, 두 개의 요소를 지지하는 독립적인 유닛을 구비하는 등, 다른 해결책이 또한 가능하다. 단일의 유닛으로의 통합은 구조적 단순성과 이동 제어의 관점에서 분명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픽업요소, 정형화된 블록과 흡입 마우스는 배치되고 제공되어 흡입 마우스가 관형상 부재의 제 2단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픽업요소는 정형화된 블록과 상기 흡입 입구 사이에 삽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정형화된 불록은 그 내부 표면의 부분을 향하여 이동하고 당해 내부 표면의 부분에서 멀어지는 이동을 위하여 관형상 부재의 축에 관하여 기울어진 방향에 따른 이동으로 제공된다. 정형화된 블록을 위하여 관형상 부재의 축에 수직하는 움직임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후속하는 픽업을 위한 그 신축성 가장자리를 평평하게 하고 제조한 후 관형상 물품을 취급하기 위하여, 관형상 물품이 관형상 부재로부터 거의 완전하게 제거된 경우, 장치는 연신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관형상 물품의 연신 단부의 부분에 맞닿기 위하여 배치되고 제어되며, 상기 단부 부분이 개방된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발명은 전술한 타입의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흡입수단, 상기 관형상 부재와 상기 픽업 요소는 제어되고 배치되어 상기 관형상 부재의 제 2개구를 통하여 상기 관형상 부재 내 관형상 물품을 부분적으로 삽입하며, 거기로 부터 제거되고, 상기 정형화된 블록은, 상기 물품이 상기 관형상 부재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경우 관형상 부재의 제 2단부의 최대 개구를 위한 위치로 배치되고, 관형상 물품이 관형상 부재로부터 다시 제거되는 경우, 관형상 물품의 통로를 위한 횡단면의 최대 수축의 위치로 배치된다.
또한, 장치는, 차례로 및 별도로 동일한 관형상 물품의 두 개의 상이한 단부부분을 펼치거나 평평하게 하기 위하여 배치되고 형성된, 두 개의 관형상 부재를 가진 이중 스테이션을 갖는다.
상이한 측면에 의하면, 발명은, 개방되고 연신되는 후속 취급을 위하여, 관형상 편성품, 예를 들면 스타킹 또는 양말의 신축성 가장자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제 1단부와 제 2단부를 가지는 관형상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관형상 부재의 상기 제 2단부 부근에 상기 관형상 물품의 단부 부분을 가지는, 관형상 부재 내부에 관형상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관형상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 2단부에 부근에, 통로의 좁고 긴 단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물품이 상기 좁고 긴 단면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상기 물품의 상기 제 1단부 부분을 연신하는 관형상 부재로부터 관형상 물품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물품이 관형상 부재로부터 다소 완전하게 제거되는 경우, 좁고 긴 단면이 수축될 수 있으며, 신축성 가장자리의 두 개의 대향하는 측의 레벨에 차단되어 맞물린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관형상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평평하게 하고 연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내부에 관형상 물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관형상 부재와;
상기 관형상 부재의 횡단면을 수정하며, 관형상 부재의 횡단면의 최대 개구의 적어도 제 1위치와 상기 관형상 부재의 횡단면의 최대 수축의 제 2위치를 취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 2위치는 상기 관형상 부재에서 상기 관형상 물품의 움직임의 방향에 관하여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늘어난 횡단면을 형성하는, 이동 정형화된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흡입 시스템은, 관형상 부재와 결합할 수 있으며, 흡입에 의하여 관형상 부재로 관형상 물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한다. 흡입 시스템은, 가역적일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한쪽 방향 또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관형상 내부로 에어의 흐름을 생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픽업 소자는 관형상 물품이 제거되는 관형상 부재의 단부와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관형상 부재에 관하여 물품에 맞닿아서 이동한다. 픽업소자는 관형상 부재를 통과하는 관형상 물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픽업부재는 관형상 부재의 입구 단부에서 관형상 물품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어, 물품은 관형상 부재의 일정한 부분의 내부로 흡입된다. 다음에, 동일한 픽업 요소는 수축된 횡단면을 개재하여 그것을 끌어 당김으로써 관형상 부재로부터 관형상 물품을 점진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관형상 물품을 평평하게 하거나 또는 길이 이동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관형상 물품을 연신한다.
관형상 부재가 흡입에 의하여 관형상 부재로 각각의 관형상 물품을 삽입하는 흡입 시스템과 결합하는 경우, 차단 소자는 상기 관형상 부재를 통하여 흡입된 관형상 물품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방법은 관형상 편성품의 적어도 부분을 평평하게 하거나 연신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상기 관형상 물품은 관형상 부재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관형상 물품의 공급 방향에 관하여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좁고 긴 통로를 가진 횡단면을 통하여 그 길이방향 신장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는 방향으로 공급된다.
특히 발명에 의한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 관형상 물품의 부분은 관형상 부재로 삽입되며, 상기 관형상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횡단면은, 관형상 물품의 길이방향 신장부에 관하여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늘어나는 좁은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정되며; 상기 관형상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상기 좁고 긴 통로를 개재하여 통과하게 된다.
개선된 방법에 있어서, 관형상 물품은 관형상 부재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관형상 물품의 제 1단부는 픽업 소자에 의하여 맞닿으며; 상기 픽업소자는 관형상 부재로부터 떨어져서 이동되므로, 통로의 상기 좁고 긴 횡단면을 통하여 관형상 물품을 끌어당긴다.
발명에 의한 방법의 실시예에 의하면, 관형상 물품은 관형상 부재 내부로 흡입되며; 관형상 물품의 제 1단부는 픽업 소자에 의하여 맞닿으며; 상기 픽업 소자는 상기 통로의 좁고 긴 횡단면을 통하여 관형상 물품을 끌어당기는 관형상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을 한다.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과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청구항에 개시하며, 발명의 실시예의 비제한적 예를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개시한다.
발명은, 발명의 비제한적 실제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이하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이해된다.
도 1은 발명에 의한 장치를 구체화하는 양말 또는 다른 관형상 텍스타일 물품을 취급하는 머신의 전체적인 입체도.
도 2는 도 1을 상세하게 확장하는 도.
도 3은 비관련 부분이 제거된 발명에 의한 장치의 확대도.
도 4는 다른 부분이 제거되고 상이한 각도에 의한 도 3의 장치를 도시하는 도.
도 5는 발명에 의한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 Ⅵ-Ⅵ를 따른 평면도.
도 7은 발명에 의한 장치에 의하여 평평해진 물품의 신축성 가장자리가 맞닿은 연신 장치의 입체도.
도 8a 및 도 8e는 장치의 작업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
도 9 내지 14는 발명에 의한 장치의 수정된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는 도.
도 15a 내지 도 15f는 제 1장치에 연속적으로 놓여진, 도 9 내지 도 14에 있어서의 장치의 작업의 연속성을 도시하는 도.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도 1 내지 도 8은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개시하며, 상기 각각의 관형상 물품은 용기로부터 픽업되고 물품의 단부 부분(이하에서 또한 단부로 칭함)을 연신하거나 평평하게 하는 장치에 공급된다. 각각의 물품은 픽업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항상 향하는 평평하게 하는 장치 또는 연신하는 장치에 도달한다. 물품이 흡입되는 경우, 발끝 부분이 앞쪽으로 향하고 가장자리가 뒤쪽으로 향하면서, 즉, 공급 방향에 관하여 꼬리 부분인 가장자리와 선두 부분인 발끝 부분을 가지면서, 물품은 연신 또는 평평하게 하는 장치의 관형상 부재에 항상 도달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이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도 1은 전체로서 머신을 도시하며, 발명에 의한 상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원래 공지된, 머신은, 본 발명의 주제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매우 간략하게 개시하며 발명의 주제를 형성하는 장치의 기능과 목적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으로 제한되지만, 이하에서 개시된 것과 다른 머신과 장치에 또한 적용할 수 있으며 이용된다. 도 1에서 머신은 (1)로 표시하며, 예컨대 양말 등의 관형상 편성품이 내부에 랜덤하게 놓여진 용기(3)를 구비한다. 픽업부재(5)는 각각 물품을 픽업하며, 화살표(f5)를 따라서 물품을 상승시켜 각각의 물품이 중간 대기 스테이션(9) 내부에서 흡입되는 흡입 도관(duct)(7)의 입구로 물품을 취하며, 물품은 적합한 공기식 흡입관을 통하여 연신된다.
스테이션(9)의 입구 및 출구부(9A)는, 용기(3)로부터의 물품의 공급 도관(7)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로, 부정확하게 배향된 물품용의 언로딩 도관(11)에도 접속 되어 있고, 상기 도관(11)은 그 자체로 공지된 장치(13)에 의해 종결되고 있고, 이 장치로부터 양말이나 기타 관형상 편성품이 용기(3) 속으로 도로 언로드된다.
스테이션(9)의 단면(9A)은 또한 관형상 부재(15)와 통해 있으며, 이 상부 단부는 본 발명의 장치와 결합하며, (17)로 표시되고,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관형상 물품은, 예를 들면, 1이상의 원형 편성기로부터 오는 공기식 이송 도관을 통하여 관형상부재(15)의 입구에 직접 공급될 수도 있다.
관형상 부재(15)의 측에 개략적으로 표시되는 것은 이송 튜브(19)이며, 각각의 관형상 물품은 이송 튜브(19)의 외부 표면 위에 그 신축성 가장자리를 삽입함으로써 놓인다. 이송 튜브(19)는 운반 장치에 고정되며, 도시되지 않았으며 원래 공지된 타입이며(예를 들면,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 이송 튜브(19) 위에 삽입될 때마다, 재봉 스테이션(도시하지 않음)을 향하여, 관형상 물품을 운반한다.
(21)로 표시되는 장치는 각각의 관형상 물품의 신축성 가장자리를 연신하고 이송 튜브(19)의 외부 표면 위에 그것을 삽입한다. 몇몇의 이송 튜브(19)는 컨베이어 또는 이송 장치 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몇몇의 스테이션을 가진 머신에 적합하며, 관형상 물품에 대한 다양한 취급 작업은 후속하는 재봉을 위하여 제조하기 위하여 행해지며, 이러한 머신 스테이션의 마지막에서 발생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다양한 예비 작업이 행해져서 각각의 이송 튜브 위의 물품을 유지한다.
관형상 부재(15)의 상부 단부와 결합하는 부재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2에 있어서 확대도에서 볼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장치(17)에 관하여, 또한 후속하는 도 3 내지 7에서 볼 수 있다.
관형상 부재(15)는 스테이션(9)의 입구부(9A)에 접속된 입구부와 도 5에서 (15A)로 표시되는 출구부를 구비하며, 관형상 부재(15)로 삽입되는 각각의 관형상 편성품이 이송 튜브(19)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제거된다. 본 발명의 취급 장치(17)는 관형상 부재(15)의 출구 단부(15A)와 결합한다.
본 장치는, 이러한 구체적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요소(23)와 연동하는 고정 요소(21)를 가진 기계적 그리퍼로 구성된 픽업부재를 구비한다. 엑츄에이터(25)는 픽업 요소의 이동 부분(슬라이더 형태)의 양방향 화살표(f23)를 따른 이동을 제어한다. 양방향 화살표(f23)을 따른 움직임은, 슬라이더(23)를 그리퍼의 고정 부분(21)을 향하여 이동하고 멀어지는 이동을 한다.
픽업 유닛을 형성하는 그리퍼(21, 23)는, (27)로 표시되며, 관형상 부재(15)의 축(X)에 평행하여 양방향 화살표(f27)을 따른 움직임을 제공하며, 수직 이동 요소에 의하여 지지된다. 유닛(27)은 모터(31)(도 1)에 의하여 제어되는 벨트(29)에 의하여 양방향 화살표(f27)을 따른 움직임을 형성한다. 이동 유닛(27)은 흡입도관(35)과 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흡입마우스(33)를 형성하며, 그곳을 따라서 개폐 게이트 벨브(37)가 위치결정된다. 이동 유닛(27) 내에 형성된 흡입 마우스(33)는 그리드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정해지며 (37)로 표시되는, 그리드, 메시 또는 다른 등가 차단 요소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폐쇄되며, 그리퍼(21, 23)의 이동 커서(23) 바로 위에 위치결정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리드 또는 다른 차단 소자(37)의 목적은 관형상 부재(15)를 통하여 흡입되는 관형상 물품이 흡입 마우스(33)와 흡입 도관(35) 내부에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관형상 부재(15)의 출구 단부(15A) 부근에서, 블랙켓(41)에 접속된 엑츄에이터(39)가 지지된다. 엑츄에이터(39)는 정형화된 블록(43)의 양방향 화살표(f43)를 따른 제어 움직임으로 디자인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피스톤 실린더 엑츄에이터(39)의 로드(39A)에 압박된다. 정형화된 블록(43)은 관형상 부재(15)의 내부 표면의 프로파일을 따른 굴곡진 가장자리(45)를 구비한다. 관형상 부재(15)의 대향하는 내부 표면을 향하거나 또는 멀어지면서, (f43)을 따라서 정형화된 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부재의 관형상 벽의 내부 표면과 정형화된 블록(43)의 가장자리에 의하여 정해진 관형상 부재(15)의 수축의 횡단면을 변형할 수 있다. 이러한 수축은 그리퍼(21, 23) 및 그리드 또는 다른 차단 부재(37) 아래에서 위치결정되며, 그것의 초승달 형상의 형태에 대하여 관형상 부재(15)의 상부 단부를, 도 6에 있어서 정상도에서 명확하게 도시한다.
장치는 관형상 부재(15) 내부의 관형상 편성품을 수납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앞쪽을 향하여 재봉된 발끝 부분(F로 표시되는 관형상 물품의 공급의 방향에 관하여)과 뒤쪽을 향하는 신축성 가장자리로 배향된다. 정형화된 블록(43)이 쑥 들어간 위치 내에 있는 경우,즉, 가장자리(45)가 관형상 부재(15)의 벽에 관하여 더욱 멀어지는 경우, 비교적 넓은 통로가 만들어지며, 먼저 관형상 부재(15)로 삽입되는, 관형상 물품의 단부는 용이하게 통과하여 그리드(37)에 도달하며, 상기 단부는 흡입 마우스(33)와 흡입 도관(35)을 통하여 흡입으로 인하여 정지한다.
도 8a 내지 도 8e에서 차례대로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장치는 그리퍼(21, 23)를 통하여 물품의 발끝 부분을 잡기 위하여 형성되며 관형상 부재(15)로부터 그것을 제거하고, 관형상 부재(15)의 내부 표면을 향하여 그 가장자리(45)를 가진 정형화된 블록(23)을 이동시킴으로써 수축된 통로의 단면을 구비하는 것이 필수적인 경우, 이 신축성 가장자리는 정형화된 블록(43)의 가장자리와 관형상 부재(15)의 대향 벽에 의하여 형성된 수축부를 통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관형상 부재(15)로부터 관형상 텍스타일 물품의 제거 중, 그 신축성 가장자리로 구성된 단부가 평평하게 되거나 가장자리(45)의 형상을 따르는 곡선을 이루는 위치를 따라서 더욱 정밀하게 배치되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연신 부재에 의한 연속적인 픽업을 편리하게 한다.
특히 도 4에서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형화된 블록(43)의 상부 표면은 시트(43A)를 구비하며, 유닛(27)이 낮은 위치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시트(43A)에 있어서 위치하는 슬라이더(23)를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관형상 부재(15)의 상부 단부(15A)를 둘러싸는 가스켓(51)의 존재에 대하여 도시한다. 이러한 가스켓의 목적은, 유닛(27)이 상기 가스켓에 기댄 하부 위치(도 5의 배치)인 경우, 흡입 마우스(33)와 관형상 부재(15) 사이에 봉함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개시된 장치의 작업은 다음과 같다(도 8a 내지 8e에서 연속적으로 참조). T로 표시되는 관형상 텍스타일 물품은 도관(35)과 흡입 마우스(33)를 통한 흡입으로 인하여 관형상 부재(15) 내부에서 흡입되며, 물품의 흡입의 제 1단계에 있어서 관형상 부재(15)의 상부 단부(15A)의 레벨로 이동한다. 물품(T)은, 예를 들면, 중간 스테이션(9)과 결합된 광 검색 시스템을 통하여, 실행할 수 있는 공지의 방식 중 한쪽으로 사전에 정확하게 배향된다. 그러므로, 관형상 부재(15)의 내부에 도달하는 각각의 물품(T)은, P로 표시되며, 앞쪽으로 향하는, 발끝 부분과, B로 표시되며, 뒤쪽을 향하는 신축성 가장자리를 구비한다. 흡입이 흡입 도관(35)에 의하여 관형상 부재(15) 내부에서 발생하는 경우 발끝 부분(P)은 그리드 또는 다른 차단 요소(37)에 기댄다.
이어서, 슬라이더(23)는 고정된 멈추개(21)를 향하여 밀어내며, 부재 (21)와 (23) 사이에 텍스타일 물품(T)의 발끝 부분(P)을 핀치한다. 이동 유닛(27)은 관형상 부재(15)로부터 관형상 물품(T)을 제거하기 위하여 화살표(f27)를 따라서 들어올려진다. 이러한 단계에 있어서, 흡입은 출구 단부(15A)로 부터 그 내부를 향하여 관형상 부재(15) 내부에서 유지되며, 상기 흡입은 관형상 텍스타일 물품(T), 특히 그 신축성 가장자리(B)를 연신하고 평평하게 하도록 돕는다.
관형상 부재(15)의 내부를 향하는 흡입은, 각각의 게이트 벨브를 적절하게 개폐함으로써, 장치의 다양한 공기식 도관을 따라서 배치된 흡입 마우스를 통하여 달성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흡입 마우스는 (101)(103)으로 표시되며, 게이트 벨브는 (105)(107)(109)(111)로 표시된다.
실질적으로, 아치형상의 대략 초승달 형상의 형태를 가진 통로의 단면은 관형상
부재(15)의 벽의 내면과 상기 정형화된 에지(45)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관형상
부재(15)의 벽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상) 면을 따르게 되며, 이때의 관형상 부재(15)를 통해 관형상 물품(T)이 확산형 배치를 취하면서 강제로 통과하고, 이것은 상기 관형상 부재(14) 속으로 에어의 유입에 의해 용이해진다.
관형상 물품(T)이 관형상 부재(15)로부터 거의 완전하게 제거되는 경우, 그 하부 단부는 광전지(46)(도 8c에서 표시함) 또는 다른 적합한 센서의 정면을 통과하고, 그 정형화된 가장자리(45)를 가진 정형화된 블록(43)은 관형상 부재(15)의 벽을 누름으로써 차단될 수 있다. 물품을 기계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이러한 방식으로, 관형상 부재(15) 내부의 흡입이 방해되는 경우 관형상 부재(15)로부터 우연히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관형상 물품(T)은 완전하게 확장된(평평하지 않은 경우라도) 배치에 있어서 신축성 가장자리(B)를 배치하며, 이하에서 개시하고 특히 도 7에서 상세하게 개시하는 연신 수단에 의하여 신축성 가장자리(B)의 연속적인 픽업을 적합하게 편리하게 하며, 여기서 그들은 장치의 다른 부재와 별도로 표현된다. 연신수단은 정형화된 블록(43)에 의하여 해제되기 전 관형상 물품(T)의 신축성 가장자리(B)와 맞닿을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해제한 후, 예를 들면 관형상 부재(15)를 약간 향하여 하부 이동 유닛(27)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관형상 물품에 있어서의 팽팽함을 미리 느슨하게 한다.
(61)로 표현되는, 연신장치는 슬라이드(67)에 일체적인 엑츄에이터(65)에 의하여 지지되는 흡입부재(63)를 구비하며, 모터(73)에 의하여 제어되는 벨트(71)에 의하여 가이드(69)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드(67)는 모터(73)에 의하여 양 방향 화살표(f67)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지만, 엑츄에이터(65)는 양방향 화살표(f53)을 따라서 흡입부재(63)를 이동할 수 있다. (63A)로 개략적으로 표시되는 것은, 가요성 흡입 도관을 위한 커넥터이며, 흡입은 흡입부재(63)의 관통 표면의 레벨에서 발생한다.
흡입 부재(63)의 정면에 배치된 것은, 원래 공지된 타입인, 기계적 수축 부재(75)이며, 피스톤 실린더 엑츄에이터(76)에 의하여 제어되는 양방향 화살표(f75)를 따라서 이동가능하다. 피스톤 실린더 엑츄에이터(76)는 가이드(79)를 따라서 양방향 화살표(f77)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슬라이드(77)에 의하여 지지된다. 양방향 화살표(f77)에 따른 이동은 풀리(83)(84)에 대하여 구동되는 벨트(81)에 의하여 형성되며, 풀리(83)는 샤프트(87)에 의하여 모터(73)로부터의 이동을 수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흡입 부재(63)의 화살표(f67)를 따른 이동과 그리퍼(75)의 화살표(f77)을 따른 이동은 동기화되고 대등하게 된다. (f75)를 따른 움직임으로 인해 기계적 픽업 부재(75)는 흡입 부재(63)를 향해 이동하거나 해당 흡입 부재(63)로 부터 멀어지게 된다.
연신 장치(61)는 부재(63), (75)를 관형상 부재(15)에 대응하는 위치와 그
자체로 공지된 유형의 피스톤 실린더 작동기(93)와 관련된 연신 핑거(91) 군에 대
응하는 위치 사이로 이송할 수 있도록 배치(특히 도 2 참조)되며, 그 기능은 본
발명의 주제를 형성하지 않는 그 자체로 공지된 기준에 따라 상기 연신 장치(61)
에 의해 사전에 개방된 탄성 에지(B) 안으로 이들을 삽입하는 것과, 상기 이송
관(19)을 가로질러 혹은 반전 관(95)을 가로질러 삽입될 수 있도록 이 탄성 에지
를 연신하는 것이다.
관형상 물품(T)이 도 8c에 도시된 위치를 취하면, 연신 장치(61)가 운반되고, 부재(63)(75)가, 관형상 부재(15)의 축의 레벨로 연신하면서, 부재(63)(75)는, 물품(T)의 평평해진 신축성 가장자리(B)의 단부를 맞닿도록 서로를 향하여 이동한다. 물품의 신축성 가장자리를 끼우면서 부재(63)(75)는 서로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가장자리의 대향 표면이 맞닿도록 활성화하는 경우, 그들은 엑츄에이터(76)의 움직임으로 서로로부터 멀어져 왕복 이동하여 흡입 부재(63)와 그리퍼(75) 각각 맞닿는 두 개의 측이 멀어지는 물품(T)의 신축성 가장자리를 연신한다. 정형화된 블록(43)은 관형상 부재(15)의 벽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사전 이동하여, 물품(T)의 신축성 가장자리(B)를 자유롭게 움직이게 한다.
연신 이동에 이어서 또는 동시에(즉, 흡입 부재(63)로부터 그리퍼(75)로 이동), 두 개의 슬라이드(67)(77)는 연신 핑거(91)의 그룹을 향하여 병진 이동한다. 연신 장치(61)와 핑거(91) 사이의 왕복 움직임을 통하여, 핑거(91)는 부분적으로 연신된 가장자리(B) 내부의 폐쇄 위치 내로 삽입되고 이어서 개방되어 다른 연신을 위하여 가장자리를 개방하고 실제로 종래의 방식으로 이송 튜브(19) 위에 삽입한다.
또한, 물품이 일정하지 않은 배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즉, 사전 배향 없이, 선두 단부로서 발끝 부분 또는 가장자리 부분으로 삽입되는 경우 전술한 장치(17)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먼저 한 쪽 부분을 평평하게 하고 다음 다른쪽을 평평하게 하기 위하여, 이중으로 되는 장치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도 9 내지 14는, 이하에서 또한, 연신장치로서 개시되는 장치에 대하여 도시하며, (510)으로 표시하고, 도 1에 도시된 용기(3)와 유사하게, 대량으로 거기에 놓여진 물품의 용기로부터 통하는 도관(duck)인 (7B)에 접속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물품은, 즉, 사전 배향 없이, 일정하지 않게 도관(duck)(7B)으로 진입한다. 장치(510)의 구조는 연속적으로 도 9 내지 14를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컨넥터(7B)를, 관형상 부재를 형성하는 직사각형 섹션(513)을 가진 칸막이로 끌어 들이며, 컨텍터(7B)에 관하여 대향하는 단부에, 칸막이(513)에 의하여 형성된 통로의 단면의 형태를 변형하는 기능을 가지며, 특수한 작업 단계에 있어서 그것을 수축하는 셔터(515)를 구비한다. 셔터(515)는 이동 셔터 요소 또는 정형화된 블록(515A)를 구비하며, 피스톤 실린더 엑츄에이터 또는 (517)로 표시되는 다른 적합한 엑츄에이터에 의하여 칸막이(513)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양방향 화살표(f515)를 따라서 병진하기 위하여 제어된다. 특히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셔터(515)는, 흡입 칸막이(513)의 단부 단면(513A)의 반원 횡단면의 형상과 거의 동일하게, 반원의 하위 가장자리, 또는 일반적으로 곡선모양이며 볼록한 횡단면을 가진 형성을 구비한다. 셔터(515)의 셔터 요소(515A)가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경우, 칸막이(513)의 부분(513A)의 내부 벽이 통로의 좁게 정형화된 횡단면을 형성하고, 대체로 반원주로 신장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형상 물품을 평평하게 하려고 한다.
연신부재(510)에 필수적인 것은 흡입 마우스(521)이며, 흡입 마우스에 접속 된 것은 흡입 도관(523)이며, 단지 최초 부분만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연신부재(510)와 연동하는 것은 기구(525)이며 관형상 물품을 픽업하고, 이것은 연신 부재(510) 내부로 흡입되며 칸막이(513)의 단부 부분(513A)의 내부 벽과 전술한 셔터 요소(515A)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로의 단면을 통하여 각각의 관형상 물품을 끌어 당기는 기능을 구비한다.
기구(525)는, 가이드(529)를 따라서 양방향 화살표(f525)를 따르서 이동가능한, 슬라이드(527)에 의하여 지지된다. 슬라이드(527)의 움직임은 모터(533)에 의하여 작업하는 벨트와 두 개의 풀리 주변에 이끌려 가는 벨트(531)에 의하여 제어된다. 기구(525)는 피스톤-실린더 엑츄에이터(535)에 의하여 슬라이드(527)에 수축되며, 이것은 기구(525)의 양방향 화살표(f525X)를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 움직임을 제어한다. 기구(525)의 상승과 하강 움직임은 연신 부재(510)와 일직선으로 및, 선택적으로 연신부재(510) 위에 상기 기구를 위치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것은, 물품이 셔터요소(515A)에 대하여 끌어당겨지는 것과 같이, 물품이 셔터(515)를 통과하는 경우 물품을 평평하게 하는 것의 효율성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증진시킨다.
기구(525)는, 거의 박스 형상의 칸막이(539)를 구비하며, 그 내부는 개구(541)를 통한 흡입에 의한 진공을 형성할 수 있으며 흡입 박스(543A)를 통한 관형상 커넥터(543)에 접속된다. 관형상 커넥터(543)는 연신 부재(510)의 흡입 마우스(521)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식 접속은 흡입 마우스(521)를 향하고 따라서 연신부재(510)를 향하는 컨넥터(543)를 가진 기구(525)를 화살표(f525)를 따라 서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져서, 요소(510)(525)는 도 29에 도시된 왕복위치를 취하게 된다. 흡입 도관(523)을 통하여 발생된 이러한 배치는 박스 형상의 칸막이(539), 흡입 칸막이(513) 및 도관(7)(7B)을 통한 흡입을 야기시킨다. 박스 형상의 칸막이(539) 내부는 수평에 관하여 기울어진 정면 가장자리(즉, 연신 부재(510)를 향하여 배향됨)를 가진 일련의 톱니부(545A)로 구성된 그리드(545)이다(도 11). 톱니부(545A)에 의하여 형성된 그리드와 관련된 것은 유지 멈춤쇠(547)이며, 양방향 화살표(f547)를 따른 이것의 움직임은, 기구(525)에 의하여 지지되는 피스톤 실린더 엑츄에이터(549)에 의하여 제어된다. 톱니부(545A)와 멈춤쇠(547)로 형성된 그리드(545)와 결합한 것은, 압착기(551)이며, 피스톤 실린더 엑츄에이터(553)에 의하여 제어되는 양방향 화살표(f551)를 따른 수직 움직임을 제공한다. 압착기(551)는 그리드(545)를 향하여 C형상의 개구부를 구비한다. 압착기의 목적은 연신하거나 평평해지는 단계 동안 관형상 물품을 수축하며, 표면이 충분히 넓어져 그 물품 위에 작용하여 물품의 손상을 방지한다.
도 15f는, 길이 방향부에 있어서, (510X)로 표시되는 다른 연신 또는 평평하게 하는 장치는, 연신 부재(510)를 관련하여 개시된 것과 동등한 부재를 구비하며, 문자 X에 의하여 수반되는 동일한 관련 번호를 가진 도형을 표시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한다. 직사각형부를 가진 흡입 칸막이(513X)는 (8B)로 표시되는 흡입 도관에 접속되며 흡입도관(7B)에 해당한다. (525)로 표시되는 것과 같은 기구에 대향하는 것과 같이, 예를 들면, 장치(525)를 가진 것과 근접하는 스테이션에, 위치하는 연신부재(510X)는, 모터(565)에 의하여 부여된 (f563)을 따른 움직임을 제공하는 단 순 컨베이어 벨트 또는 매트(563)와 연동한다. 컨베어어 벨트(563)는, 모터(565) 및 컨베이어 벨트(563)에 움직임을 전달하는 다른 부재와 함께, 슬라이드 패널(567)에 의하여 지지되는 롤러에 끌려가며, 슬라이드 패널(567)은 피스톤 실린더 엑츄에이터(569)에 의하여 수직으로 이동하며, 컨베이어 벨트(563)는 표면(503)을 향하여 이동하거나 해당 표면(503)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이것은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563)는 각각의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즉 그 연장부에 평행하게 이동하며 연신부재(510X) 내부에 각각의 관형상 물품을 취하여 셔터 요소(515A)와 동등한, 셔터 요소가 실질적으로 폐쇄된 위치에 있으며 열린 채로 슬롯을 통하여 흡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관형상 물품은 연신부재로 부터 점진적으로 제거된다. 칸막이(513X)에 의하여 형성된 관형상 부재 내부 관형상 물품의 부분적인 삽입은, 관형상 부재(513X) 의 입구를 향하여 컨베이어 벨트(563)의 점진적인 앞쪽으로의 움직임과 결합된 흡입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563)의 움직임을 반전시킴으로써, 그 횡단면이 셔터 또는 정형화된 이동 블록(515AX)에 의하여 수축된 후, 관형상 물품을 관형상 부재(513X)의 단부로부터 제거된다.
실제로, 도 9 내지 도 14 및 도 15f에 각각 도시된 장치는 결합될 수 있으며, 도 9 내지 도 14에 있어서 장치로부터 제거되는 관형상 물품은, 칸막이(513)에 마지막으로 진입하는 그 단부((또는 단부 부분)의 레벨에서 평평해지고, 즉 확산하며 컨베이어 벨트 또는 다른 지지표면(503)에서 연신한다. 이것은 물품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수직하여 앞쪽으로 이동하며, 도 15f에 장치의 레벨로 취해지며, 여기서 물품의 다른 단부 또는 단부 부분의 평평함을 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품이 흡입관(7B)으로 공급되는 배향에 상관없이, 물품의 양단부의 최적의 평평함 또는 연신 효력을 달성한다.
이러한 작업 사이클은 도 15a 내지 도 15f에서 연속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5a는 그 결합된 위치에서 픽업 기구(525)와 연신 부재의 개략적 길이방향부에 대하여 도시한다. 스타킹 또는 양말 등의 관형상 물품(M)은 도관(7)과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칸막이(513) 내부의 컨넥터(7B)를 통하여 흡입된다. 컨넥터(543)가 흡입 마우스(521)에 접속하고 흡입관(523)에 접속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흡입은 관형상 컨넥터(543)와 흡입박스(543A)를 통하여 발생한 다음, 개구(541)와 그리드(545)를 통하여 발생한다. 흡입으로 인하여, 그리드(545)에 부딪칠때까지 물품(M)은 화살표(fM)를 따라서 앞쪽으로 이동한다(도 15b). 여기서 물품은 유지 톱니 또는 멈춤쇠(547)에 의하여 맞닿는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물품(M)은 흡입관(7)으로 진입한 다음 신축성 가장자리(B)가 앞쪽으로 향하고 발끝 부분(P)은 뒤쪽을 향하면서 연신부재(510)에 진입한다. 이러한 배향은 완전히 랜덤하며 제품이 용기(1)로부터 어떻게 픽업되는지에 따라서 좌우된다.
물품(M)을 연신하기 위하여, 이러한 점에 있어서 도관(7) 내에서의 흡입은 반전되며 물품은 다시 도관으로 흡입된다. 착오로 두개의 물품이 동시에 칸막이(513)로 진입하는 경우, 유지 멈춤쇠(547)는 치수가 정해져 있어서 두 개의 물품(M)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그들 중 하나는 용기(1)로 도로 반출된다. 도 15 는, 물품(M)이 도관(7)을 향하여 신장되지만 멈춤쇠(547)에 의하여 잡히는 것에 대하여 도시한다. 물품(M)을 평평하게 하고 신장을 행하기 위하여, 이 시점에서, 셔터요소(515A)는 폐쇄 위치에 취해지며, 통로의 좁고 긴 단면을 형성한다. 같은 시간에, 압착기(551)는 물품(M)의 개선된 보유를 위하여 하강한다(도 15d). 유지 기구(525)는 멀어지는 이동을 하고(화살표(f525), 도 15e) 셔터요소(515A)에 의하여 형성된 수축된 횡단면으로부터 물품(M)을 끌어당긴다. 이러한 단계에 있어서, 흡입은 도관(7)을 통하여 활성화되고 상기 도관의 내부를 향하는 물품을 연신한다. 셔터요소(515A)에 의하여 형성된 통로의 횡단면의 좁고 긴 형상 때문에, 이러한 작업의 효력은 길이방향과 상기 모두 가로 질러서 물품을 신장시킨다.
도 15f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이 그 길이방향 연장부에 수직하는 표면(503)을 따라서 한 스텝 만큼 앞쪽으로 이동한 후, 유사한 처리는, 물품의 대향 단부(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가장자리 B)를 위하여 일어난다.
도면은 발명의 실제적 실시예로써 순수하게 제공된 예에 대하여 단지 도시하며, 그러나, 상기 발명이 의거하는 컨셉의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형태와 배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첨부된 청구항의 임의의 참조번호는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청구항의 판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청구항에 의하여 표현된 보호의 영역을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34)

  1. 제 1단부 부분과 제 2단부 부분을 가진 관형상 편성품, 특히 스타킹 및 양말을 취급하는 장치로서,
    흡입수단과 결합하고 관형상 물품이 흡입되는, 제 1단부와 제 2단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관형상 부재와;
    관형상 물품의 제 1단부 부분과 맞닿으며 상기 관형상 부재로부터 관형상 물품을 제거하며, 관형상 부재의 상기 제 2단부와 결합하는 이동 픽업 요소와;
    관형상 부재의 내부 벽과 연동하며, 관형상 부재의 제 2단부에 변화가능한 형태를 가진 수축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축부가 관형상 물품의 통로의 좁고 긴 단면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정형화된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형상 물품은 적어도 그 제 2단부 부분의 레벨에 연신 배치를 강제로 취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요소는 상기 관형상 부재 각각의 상기 제 2단부를 향하거나 또는 멀어지는 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관형상 물품은 상기 제 1단부를 개재하여 상기 관형상 부재에 진입하고 상기 관형상 물품은 상기 제 2단부를 개재하여 상기 관형상 부재로부터 나오도록 상기 흡입 수단과 상기 관형상 부재가 배치되고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4.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수단은 디자인되고 배치되어 상기 관형상 부재 내부의 두 개의 방향으로 흡입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5.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화된 블록은 상기 관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의 부분에 대향하는 표면의 부분을 구비하며 실제로 관형상 부재에 평행하게, 아치형 전개부를 구비하는 횡단면을 가진 수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6.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관형상 부재의 제 2단부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관형상 부재의 제 1단부로부터 제 2단부로 흐르는 에어의 흐름이 상기 관형상 부재에서 발생하는 흡입 마우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요소는 상기 흡입 마우스 내로 삽입되어 관형상 물품이 상기 흡입 마우스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에어의 흐름에 의하여 끌어 당겨지는 관형상 물품을 위한 멈추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요소는 그리드 또는 메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9. 제 6항,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하나의 유닛이 상기 관형상 부재의 제 2단부를 향하거나 또는 멀어지는 이동을 할 때 상기 흡입 마우스와 상기 픽업요소가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픽업 요소를 제어하는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흡입 마우스에 일체적으로 지지되며 거기로 부터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11. 제 6항 내지 제 10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흡입 마우스가 관형상 부재의 상기 제 1단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픽업 요소가 정형화된 블록 및 상기 흡입 마우스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픽업 요소, 상기 정형화된 블록 및 상기 흡입 마우스가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12. 제 5항 내지 제 11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마우스는 관형상 부재의 상기 제 2단부 주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신하는 가스켓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13.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화된 블록은 관형상 부재의 축에 관하여 기울어진 방향을 따른 움직임을 형성하여 상기 관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의 부분을 향하거나 멀어지는 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14.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요소는 기계적 그리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15.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요소는 픽업 요소를 향하는 상기 정형화된 블록의 표면 위에 제공된 시트 내부를 슬라이드 하는 슬라이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16.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청구항에 있어서,
    관형상 물품이 관형상 부재로부터 거의 완전하게 제거되는 경우, 관형상 물품의 연신 배치에 있어서 단부 부분을 맞닿도록 배치되고 제어되며, 상기 단부 부분을 열리게 하는 연신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장치는 상기 관형상 부재의 에지의 두 대향하는 쪽을 연결하기 위한, 서로로부터 멀어지거나 서로를 향하는 왕복 움직임과, 상기 관형상 부재에 대한 얼라인먼트 움직임 및 이로부터 멀어지는 움직임을 제공하는 2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 장치.
  18.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수단, 상기 관형상 부재 및 상기 픽업 요소는 제어되고 배치되어 상기 관형상 부재의 제 2개구를 통하여 상기 관형상 부재로 관형상 물품을 부분적으로 삽입하며, 관형상 부재로부터 관형상 물품이 제거되어, 상기 물품이 상기 관형상 부재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관형상 부재의 제 2단부의 최대 개구 위치와, 관형상 부재로부터 한번 이상 제거되는 경우, 관형상 물품의 통로의 횡단면의 최대 수축 위치에서 상기 정형화된 블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19.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관형상 물품의 두 개의 단부 부분을 연신하기 위하여 두 개의 관형상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 취급장치.
  20. 관형상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평평하게 하거나 연신하는 장치로서,
    상기 관형상 물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관형상 부재와;
    상기 관형상 부재의 횡단면을 변형하고, 관형상 부재의 횡단면의 최대 개구의 적어도 제 1위치와 상기 관형상 부재의 횡단면의 최대 수축의 제 2위치를 취하기 위하여 제어되는 이동 정형화된 블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2위치는 상기 관형상 부재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 물품의 움직임의 방향에 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어진 횡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시스템은 상기 관형상 부재에 결합하며, 흡입에 의하여 관형상 부재로 관형상 물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시스템은 가역적이며, 한쪽 방향 또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에어의 흐름이 상기 관형상 부재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 치.
  23. 제 20항,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요소는 상기 물품을 맞닿게 하기 위하여 상기 관형상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관형상 부재에 관하여 물품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0항 내지 제 23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요소는 상기 관형상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관형상 부재를 통하여 흡입된 관형상 물품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0항 내지 제 24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관형상 물품의 두 개의 단부 부분을 연신하는 두 개의 관형상 부재로 이루어진 장치.
  26. 발끝 부분 및 신축성 가장자리를 가진 스타킹이나 양말과 같은 관형상 편성품의 신축성 가장자리의 개방 및 연신하는 후속 취급을 위한 제조 방법에 서,
    발끝 부분이 관형상 부재의 출구 단부를 향하여 배향되면서, 관형상 부재의 내부에 관형상 물품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출구 단부에 근접하여, 통로의 좁고 긴 단면을 관형상 부재에 제공하는 단계와;
    관형상 물품이 좁고 긴 단면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물품의 신축성 가장자리를 연신하는 관형상 부재로부터 관형상 물품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신축성 가장자리의 개방 및 연신하는 후속 취급을 위한 제조 방법.
  27. 제 24항에 있어서,
    신축성 가장자리의 두 개의 대향하는 측에서 물품을 차단하여 맞닿게 하기 위하여, 물품이 관형상 부재로부터 거의 완전히 제거되는 경우 상기 좁고 긴 단면이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신축성 가장자리의 개방 및 연신하는 후속 취급을 위한 제조 방법.
  28.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발끝 부분을 대략 관형상 부재의 출구 단부에 취하게 하기 위하여 관형상 편성품을 흡입하는 단계와;
    관형상 편성품의 발끝 부분을 맞닿게 하는 단계와;
    관형상 부재로부터 관형상 편성품을 점진적으로 제거하여, 출구 단부로부터 관형상 부재의 내부를 향하여 흡입에 의한 팽팽함을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관형상 편성품의 신축성 가장자리의 개방 및 연신하는 후속 취급을 위한 제조 방법.
  29. 제 26항에 있어서,
    관형상 편성품의 신축성 가장자리가 관형상 부재로부터 거의 완전하게 제거되는 경우, 상기 가장자리는 관형상 물품의 출구 단부에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신축성 가장자리의 개방 및 연신하는 후속 취급을 위한 제조 방법.
  30. 제 24항 내지 제 27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 편성품의 신축성 가장자리는, 관형상 부재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된 후 연신 수단에 의하여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신축성 가장자리의 개방 및 연신하는 후속 취급을 위한 제조 방법.
  31. 관형상 편성품의 적어도 일부를 연신하거나 평평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관형상 편성품은 관형상 부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관형상 물품의 공급의 방향에 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통로의 좁고 긴 횡단면을 통하여 그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제로 평행하는 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신축성 가장자리의 개방 및 연신하는 후속 취급을 위한 제조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 편성품의 적어도 하나는, 관형상 부재로 삽입되며; 상기 관형상 부재의 적어도 한 부분의 횡단면은 관형상 물품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좁고 긴 통로를 형성하도록 변형되며; 상기 관형상 물품의 적어도 한 부분은 상기 좁고 긴 통로를 강제로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신축성 가장자리의 개방 및 연신하는 후속 취급을 위한 제조 방법
  33. 제 31항 또는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 물품은 상기 관형상 부재 내부로 흡입되며; 상기 관형상 물품의 제 1단부는 픽업 요소에 의하여 맞닿으며; 상기 픽업 요소는 상기 통로의 좁고 긴 횡단면을 통하여 관형상 물품을 끌어당기는 관형상 부재로 부터 멀어지는 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신축성 가장자리의 개방 및 연신하는 후속 취급을 위한 제조 방법.
  34. 제 31항, 제 32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 물품은 상기 관형상 부재 내부에서 흡입되며; 상기 관형상 물품의 제 1단부는 픽업 요소에 의하여 맞닿으며; 상기 픽업 요소는 상기 통로의 좁고 긴 횡단면을 통하여 관형상 물품을 끌어당기는 관형상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신축성 가장자리의 개방 및 연신하는 후속 취급을 위한 제조 방법.
KR1020087002329A 2005-06-29 2006-03-24 관형상 편성품, 특히 양말 등을 취급하는 장치 KR200800300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143A ITFI20050143A1 (it) 2005-06-29 2005-06-29 Dispositivo per manipolare manufatti tubolari a maglia, in specie calzini e simili
ITFI2005A000143 2005-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066A true KR20080030066A (ko) 2008-04-03

Family

ID=3660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329A KR20080030066A (ko) 2005-06-29 2006-03-24 관형상 편성품, 특히 양말 등을 취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90107375A1 (ko)
EP (1) EP1896638A1 (ko)
JP (1) JP2008545069A (ko)
KR (1) KR20080030066A (ko)
CN (1) CN101213334A (ko)
BR (1) BRPI0612880A2 (ko)
CA (1) CA2612632A1 (ko)
IT (1) ITFI20050143A1 (ko)
MX (1) MX2007016434A (ko)
RU (1) RU2008103188A (ko)
WO (1) WO20070007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959B1 (ko) * 2012-11-27 2013-06-13 이원생 양말 정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3022A1 (de) * 2012-06-29 2014-04-24 Liebherr-Verzahntechnik Gmbh Vorrichtung zur automatisierten Handhabung von Werkstück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54001C2 (de) * 1976-11-27 1986-02-06 Harald 5210 Troisdorf Feuerherm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aus thermoplastischem Kunstoff bestehenden Hohlkörpern
US5040475A (en) * 1989-01-28 1991-08-20 Sara Lee Corporation Material handling system
EP0679746B1 (en) * 1994-04-26 1998-08-05 Sangiacomo S.p.A. Device for handling knitted products manufactured on circular stocking knitting machines
IT1293116B1 (it) * 1997-06-02 1999-02-11 Matec Srl Dispositivo per la divaricazione di un'estremita' di un manufatto tubolare
US6158367A (en) * 1999-03-17 2000-12-12 B. B. & S. Knitting Consultant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orienting hosiery articles for closing toe ends thereof
JP4215932B2 (ja) * 2000-06-09 2009-01-28 永田精機株式会社 靴下を裏返して機外に搬出する搬出方法および搬出装置
ITPI20010021A1 (it) * 2001-03-21 2002-09-21 S R A S R L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l'orientamento longitudinale di articoli di calzetteria
ITFI20010164A1 (it) * 2001-08-28 2003-02-28 Metalworking And Finance Group Dispositivo per il trasferimento di un manufatto tubolare in tessuto a maglia dalla macchina che lo produce a mezzi di chiusura della punta
ITMI20030896A1 (it) * 2003-04-30 2004-11-01 Lonati Spa Dispositivo per perfezionare il posizionamento della punta
ITFI20040259A1 (it) * 2004-12-10 2005-03-10 Golden Lady Co Spa Dispositivo e metodo per manipolare manufatti tubolari a maglia come calzini o simili per eseguire la cucitura della punt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959B1 (ko) * 2012-11-27 2013-06-13 이원생 양말 정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12632A1 (en) 2007-01-04
WO2007000782A1 (en) 2007-01-04
ITFI20050143A1 (it) 2005-09-28
BRPI0612880A2 (pt) 2010-12-07
MX2007016434A (es) 2008-03-07
EP1896638A1 (en) 2008-03-12
RU2008103188A (ru) 2009-08-10
CN101213334A (zh) 2008-07-02
US20090107375A1 (en) 2009-04-30
JP2008545069A (ja)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4885A (ko) 스타킹 및 양말 등과 같은 관형상 편성품 취급 장치 및방법
US4133280A (en) Automatic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ing a toe end of a hose utilizing a straight line stitch
KR20040035740A (ko) 관형상 편성품을, 해당 편성품을 작성한 기계로부터발가락부분을 봉합하는 수단으로 이송하는 장치
EP0323069B1 (en) Hosiery toe clo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000010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neumatically spreading an elongated flexible article, such as a stocking or a sock
USRE32481E (en) Boarding apparatus
EP15856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orienting hosiery articles for closing toe ends thereof
US55115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flexible objects
KR20080030066A (ko) 관형상 편성품, 특히 양말 등을 취급하는 장치
KR20040035746A (ko) 관형상 편성품 또는 유사품의 끝머리를 개방하는 장치 및 방법
US4440329A (en) Apparatus for unloading hosiery machinery
JPH1072748A (ja) 管状物品を拾い上げそして動かす方法および装置
EP1073784B1 (en) Device for turning tubular textile products inside out
EP4166706A1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tubular knitted articles
CZ2001428A3 (cs) Zařízení a způsob automatického podávání špičky ponožky do šicího stroje a ponožka
JPH06321215A (ja) 細長い織物の完全自動式載置・折り畳みプロセス及び装置
JP2001049505A (ja) バックパネル状まち入り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の縫製方法と装置
WO2007020668A1 (en) Device for longitudinally spreading a flexible article, such as a tubular knitted article
US20040052591A1 (en) Apparatus for the automatic removal of tubular tex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