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959B1 - 양말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양말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959B1
KR101274959B1 KR1020120135137A KR20120135137A KR101274959B1 KR 101274959 B1 KR101274959 B1 KR 101274959B1 KR 1020120135137 A KR1020120135137 A KR 1020120135137A KR 20120135137 A KR20120135137 A KR 20120135137A KR 101274959 B1 KR101274959 B1 KR 101274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ocks
support
outlet
s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생
Original Assignee
이원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생 filed Critical 이원생
Priority to KR102012013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959B1/ko
Priority to IT001369A priority patent/ITMI20131369A1/it
Priority to CN201310408063.6A priority patent/CN103832831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2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pneuma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말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직기 등에서 제직된 다양한 종류의 양말을 일정한 방향 및 위치로 수거하여 정렬하기 위하여 양말의 크기나 무게에 맞게 적절히 배출압력을 조절하고 수거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양말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정렬장치는 일측에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출구가 형성되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관체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방수단;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입구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출구의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를 2개의 구역으로 나누며, 다수개의 공기홈이 형성되는 격판; 시작부는 상기 몸체의 외부에 배치되며, 종단부는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격판의 일부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공기관; 및 상기 공기관의 중간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몸체 내부에 분사되는 공기 압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공압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양말 정렬장치{SOCKS ARRAN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양말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직기 등에서 제직된 다양한 종류의 양말을 일정한 방향 및 위치로 수거하여 정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말의 크기나 무게에 맞게 배출압력을 조절할 뿐 아니라 수거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양말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을 제작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양말의 형태와 무늬에 대한 디자인을 한다. 이를 바탕으로 양말 편직을 위한 원사를 준비한 다음 양말의 형태와 무늬패턴에 적합한 편직기에 넣어 양말을 편직한다. 양말 편직기에서 편직된 양말을 봉제하여 양말의 형태를 갖추도록 한다. 필요한 경우 자수처리 등을 추가한 후 세팅 처리하여 양말을 펴지도록 하여 하나의 양말을 완성한다. 여기서, 양말은 일반적인 남성용 양말이나 여성용 스타킹 등 다양한 종류의 양말이 있으나, 이러한 것들을 통칭하여 양말이라 칭하기로 한다.
위와 같은 양말 제조공정 과정 중에는 다음 공정을 위해서 또는 정리를 위해서 제작되는 양말을 모으고 정렬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편직기에서 제직된 양말은 배출구를 통하여 나오게 되는데 이 때 개별적으로 배출되는 양말들을 모아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출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편직기의 가동이 정상적으로 개시되고 균일한 생산이 이루어져 제품의 질과 생산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처럼 양말을 일정한 방향으로 모으고 정렬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 사용되던 방식은 양말을 신장시킨 상태에서 공기 흐름 속에 두어 임시보관함에 들어가게 한 후, 공기 흐름을 끊고 임시보관함 하부의 개구부를 통해 양말을 방출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양말을 최대로 신장시켜야 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원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한편, 양말이 자유롭게 배출되더라도 목적한 대로 양말이 신장된 상태에서 정렬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공간을 작게 차지하면서도 양말이 목적한 대로 정렬되어 수집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국특허 제4,099,789호에 양말 등을 일정하게 수집하는 장치(DEVICE FOR THE ORIENTED COLLECTION OF STOCKINGS, PANTY-HOSE AND LIKE ARTICLES)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은 양말을 임시수거공간(temporary collection space)에 신장되지 않은 상태로 정렬시켜 수거되도록 한 후 임시수거공간에서 배출될 때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의 중심부에 걸려 늘어짐으로써 신장되도록 하고 있다.
이 발명의 구성은 직육면체 형태의 관으로 형성되어 양말이 한 번에 하나씩들어갈 수 있는 몸체(body), 몸체 하부의 개폐조절수단(controllable door means), 상기 개폐조절수단 아래에 위치하는 지지부재, 다공성 격판(diaphragm having holes), 공기흡입장치에 연결되는 차단밸브(cut-off valve), 공기압축기에 연결된 유연관(flexible tubes)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발명은 일정한 압력만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무게의 양말 등에 적합하게 조절하여 정렬하도록 하지 못하고 있으며, 양말의 수거 위치도 본체 하부 중앙에 고정되어 있어 서로 다른 양말의 크기에 적합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편직기 등에서 제직된 다양한 종류의 양말을 일정한 방향 및 위치로 수거하여 정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말의 크기나 무게에 맞게 배출압력을 조절하고 수거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양말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정렬장치는 일측에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출구가 형성되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관체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방수단;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입구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출구의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를 상부구역 및 하부구역으로 나누며, 다수개의 공기홈이 형성되는 격판; 시작부는 상기 몸체의 외부에 배치되며, 종단부는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격판의 일부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공기관; 및 상기 공기관의 중간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몸체 내부에 분사되는 공기 압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공압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격판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에는 임의의 위치에 배출구가 다수개 장착되며,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공기관의 종단부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일부에는 스위치 조작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기 스위치 조작홀의 일측에는 작동스위치가 부착되며, 상기 스위치 조작홀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상기 작동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판은 상기 입구 측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1차 절곡되어 완화된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출구 측에서 2차로 하방 절곡되어 급격한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판의 상기 공기홈은 상측이 하측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몸체의 하면 일측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문; 및 상기 힌지의 외측에 구비되는 무게봉;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문 및 상기 무게봉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정지상태에서 불안정한 평형을 이루며 상기 배출문이 조금 열린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부에 이격하여 상기 몸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받침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다리의 관통 부위에는 각각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다리가 상기 지지몸체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를 상기 몸체 하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정렬장치에 의하면 편직기 등에서 제직된 다양한 종류의 양말을 일정한 방향 및 위치로 수거하여 정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무게와 크기 등 다양한 양말의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하여 배출압력량을 조절하고, 수거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정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정렬장치의 내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정렬장치의 작동상태도로 공기흡입장치가 작동하여 양말이 하부구역(B)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정렬장치의 작동상태도로 공기흡입장치가 작동을 멈추고 공기압축기가 작동하여 배출문이 열리고 양말이 받침대에 얹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말 정렬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지지대를 틸팅시켜 받침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정렬장치는 일측에는 입구(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출구(12)가 형성되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관체로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방수단(30); 상기 몸체(10)의 내부에서 상기 입구(11)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출구(12)의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를 2개의 구역으로 나누며, 다수개의 공기홈(21)이 형성되는 격판(20); 시작부는 상기 몸체(10)의 외부에 배치되며, 종단부는 상기 몸체(10)를 관통하여 상기 격판(20)의 일부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공기관(40); 및 상기 공기관(40)의 중간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몸체(10) 내부에 분사되는 공기 압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공압조절밸브(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정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정렬장치의 내부 절개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10)는 직관 형태로 형성된다. 몸체(10)의 재질은 무게와 내부투시성 등을 고려하여 투명한 PC 등 합성수지 계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0) 일측에는 공기가 흘러들어올 수 있도록 입구(11)가 형성된다. 입구(11)는 배관 연결에 용이하도록 원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 타측에는 출구(12)가 형성된다. 출구(12)도 배관 연결에 용이하도록 원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입구(11)는 몸체(10)이 길이 방향을 따라 외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반면에, 출구(12)는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몸체(10) 상면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몸체(10)의 출구(12) 측에는 공기흡입장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으며, 공기흡입장치에서 공기를 빨아들이면 입구(11)로부터 몸체(10) 내부를 거쳐 출구(12)를 통해 빠져나가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다.
몸체(10) 하부에 개방수단(30)이 형성된다. 즉, 몸체(10) 하면부가 필요에 따라 열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몸체(10) 내부에 놓여있던 양말이 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몸체(10) 하면은 개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배출문(3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출문(31)은 한 쌍의 힌지(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32)의 타측에는 무게봉(33)이 힌지(32)로부터 편심을 이루도록 약간 이격하여 형성된다. 즉, 힌지(32) 일측은 링크(34) 형태로 형성되며, 힌지(32)를 중심으로 배출문(31)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고정 형성된다. 배출문(31)은 힌지(32)를 중심으로 무게봉(33)과 불안정한 평형을 이루며 몸체(10)로부터 약간 열린 상태에 있다. 즉, 배출문(31)은 몸체(10)의 내부압력에 따라 용이하게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
격판(20)은 몸체(10) 내부에 형성된다. 격판(20)은 몸체(10)의 입구(11)의 상측으로부터 몸체(10)의 출구(12)의 하측까지 가로질러 형성된다. 격판(20)에 의해 몸체(10) 내부는 상부구역(A)과 하부구역(B)으로 나누어지며, 상부구역(A)은 몸체(10)의 출구(12)와 연결되고, 하부구역(B)은 몸체(10)의 입구(11)와 연결된다. 하부구역(B)은 입구(11)를 통해 들어온 양말이 임시로 보관되는 공간이 되며, 입구(11)측이 넓고 출구(12)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격판(20)은 몸체(10) 입구(11)측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1차로 절곡되어 완화된 경사면을 이루고, 출구(12) 측에서 2차로 하방 절곡되어 급격한 경사면을 이룬다.
격판(20)의 일부에는 몸체(10) 내부에서 쉽게 흔들리지 않도록 격판(20)을 고정할 수 있는 지지부(22,23)를 갖는다. 지지부(22,23)는 각각 몸체(10) 상면 및 측면에 나사 결합 등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격판(20)에는 상부구역(A)과 하부구역(B)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공기홈(21)이 다수개 관통 형성된다. 공기홈(21)은 테이퍼 가공되어 상부구역(A)측이 넓고 하부구역(B)측이 좁게 형성된다. 이로써, 출구(12)측에 공기흡입장치가 연결되어 작동할 경우 하부구역(B)에 작용하는 공기흐름이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격판(20) 중간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장공(24)이 형성된다. 장공(24)에는 후술하는 공기관(40)의 종단부가 연결되는 배출구(44)가 장착되며, 배출구(44)는 장공(2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공기관(40)은 플렉시블한 튜브로 이루어지며, 공기관(40)의 시작부는 공기압축기(미도시)에 연결되고, 공기관(40)의 종단부는 격판(20)에 설치되어 몸체(10) 하부구역(B)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기관(40)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각각 몸체(10)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제2,제3공기관(41,42,43)의 세 개로 이루어진 공기관(4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40은 제1,제2,제3공기관을 통칭하는 것이며 개별적으로 지칭하는 경우에는 각각 도면부호 41,42,43로 나타내기로 한다. 한편, 공기관(40)의 시작부에 대해서는 부호 a를 부가하고 종단부에 대해서는 부호 b를 부가하기로 한다. 공기관(40)의 각 시작부(41a, 42a, 43a)는 관연결구(45)에 집합적으로 연결되어 일괄적으로 공기압축기로부터 압축공기를 주입받을 수 있다. 여기서, 공기압축기는 관연결구(45)의 제1구(45a)에 연결된다. 공기관(40)의 각 종단부(41b, 42b, 43b)는 격판(20)에 각각 설치된다.
제1공기관(41)의 종단부(41b)는 격판(20)의 출구측 지지부(23)를 관통하여 형성된 지지부관통홈(25)에 연결된다. 지지부관통홈(25)에는 중앙부에 격판(20) 하부로 향해 공압홈(25a)이 형성된다. 즉, 제1공기관(41)을 통해 들어온 압축 공기는 지지부관통홈(25) 및 공압홈(25a)을 거쳐 하부구역(B)에 분사된다. 한편, 격판(20) 지지부관통홈(25) 외측에는 엘보우 연결구(46)가 장착되어 제1공기관(41)의 종단부(41b)를 지지부관통홈(25)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2,제3공기관(42,43)은 몸체(10) 내부로 관통되며, 제2,제3공기관(42,43)의 종단부(42b,43b)는 격판(20)의 장공(24) 일부에 각각 장착된다. 이를 위해, 일자형 연결구(47)가 몸체(10)의 관통 부위에 설치될 수 있고, 종단부(42b,43b)에는 배출구(44)가 결합될 수 있다. 제2공기관(42) 및 제3공기관(43)의 종단부(42b,43b)가 연결되는 배출구(44)는 하부에 작은 배출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2,제2공기관(42,43)을 통해 들어온 공기가 분사될 수 있으며, 장공(24)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압축공기의 분사 위치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할 수 있게 된다.
각 공기관(40)에는 중간부에 공압조절밸브(50)가 결합된다. 이로써, 공기압축기로부터 유입된 공기량을 조절하여 배출구(44) 또는 공압홈(25a)에서 토출되는 공기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제2,제3공기관(41,42,43)에는 각각 별개의 공압조절밸브(50)가 구비되어 배출구(44) 또는 공압홈(25a)에 토출되는 공기 압력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 입구(11)를 통해 들어온 양말의 길이나 형상, 무게 등에 따라 적절하게 공압조절밸브(50)의 공기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양말이 배출문(31)을 통해 적합한 형태 및 위치로 하강될 수 있게 된다.
몸체(10) 상면에 스위치 조작홀(15)이 관통 형성되며, 스위치 조작홀(15)의 일측에는 작동스위치(60)가 부착된다. 작동스위치(60)는 힌지레버(61)에 의해 온(on)/오프(off)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 기구로서, 작동스위치(60) 일측에는 내부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연결된 단자선(미도시)이 구비되며, 단자선은 이전 공정에 해당하는 편직기 등에 접속된다. 힌지레버(61)의 단부에는 마개(63)가 구비되어, 스위치 조작홀(15)에 형성되는 압력에 따라 힌지레버(61)는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즉, 몸체(10) 내부압력이 낮아지면 몸체(10) 외부로부터 스위치 조작홀(15)을 통하여 몸체(10) 내부로 향하는 기류가 형성되고, 힌지레버(61)는 하강하여 스위치 조작홀(15)을 덮으며 몸체(10) 상면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작동스위치(60)는 온(on) 위치에 놓게 되고, 작동스위치(60)의 단자선에 연결된 편직기 등에 작동신호가 전달된다. 이와 반대로, 몸체(10) 내부압력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면 몸체(10) 외부로부터 스위치 조작홀(15)을 통하여 몸체(10) 내부로 향하는 기류는 사라지며, 힌지레버(61)는 상승하여 스위치 조작홀(15)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작동스위치(60)는 오프(off) 위치에 놓이게 되고, 작동스위치(60)의 단자선에 연결된 편직기 등에는 정지신호가 전달된다.
받침대(70)는 몸체(10) 하부에 이격하여 설치된다. 받침대(7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몸체(10)의 중앙부 하부에 몸체(10)와 직교하는 형태로 놓여, 배출문(31)을 통해 하강하는 양말을 받는다. 받침대(70)는 몸체가 되는 원통체(71)와 몸체(10) 일측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받침걸이(72)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0) 상면 중앙에 상기 받침대(7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75)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75)는 몸체(10) 상면에 부착되는 지지몸체(76)와 지지몸체(76)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다리(77)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다리(77)는 지지몸체(76)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어, 받침대(7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지지몸체(76) 및 지지다리(77)에는 지지다리(77)가 지지몸체(76)를 관통하는 부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돌기부(76a,77a)가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정렬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양말 정렬장치는 양말 제직공정 중의 한 곳에 설치되며, 몸체(10)의 입구(11)에는 편직기 등 양말 제직장치가 연결되고, 몸체(10)의 출구(12) 쪽에는 공기흡입장치가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흡입장치가 가동되면 출구(12) 쪽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따라 몸체(10)의 내부에는 입구(11)로부터 출구(12)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 속에 놓이게 된다. 또한, 몸체(10)의 내부는 압력이 떨어지므로 몸체(10) 외부로부터 몸체(10) 내부로 향하는 압력이 발행하여 배출문(31)은 닫힌 상태가 되고, 스위치 조작홀(15) 상부의 마개(63)가 닫혀 작동스위치(60)는 온(on) 상태가 된다.
작동스위치(60)의 신호에 따라 편직기가 작동하여 양말이 제직되고, 제직된 양말은 공기의 흡입력을 받아 몸체(10) 입구(11)로 빨려들어오면서 몸체(10) 내부의 하부구역(B)에 놓이게 된다.
양말이 몸체(10)의 하부구역(B)에 놓인 상태에서 출구(12)측의 공기흡입장치가 작동을 멈추는 동시에 관연결구(45)의 제1구(45a)에 연결된 공기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공기가 분사된다. 압축된 공기가 각 공기관(40)을 통해 격판(20)에 위치한 공압홈(25a) 및 배출구(44)를 통해 하부구역(b)에 분사되면서, 몸체(10) 하부의 배출문(31)은 열리게 되고, 양말은 분사압력을 받으며 하강하게 된다. 이때, 몸체(10) 상부구역(A)의 압력은 정상으로 돌아오므로 스위치 조작홀(15) 상부의 마개(63)는 열리게 되고 작동스위치(60)는 오프(off)위치에 놓이게 되어 편직기의 작동은 중지된다. 즉, 양말이 하강하는 과정 중에는 편직기의 작동으로 인하여 다른 양말이 몸체(10) 내에 들어오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아래로 떨어진 양말은 받침대(70)의 원통체(71)에 걸려 놓이게 됨으로써 쉽게 집을 수 있는 형태로 된다.
한편, 양말의 크기에 따라 제2,제3공기관(42,43)의 배출구(44)를 격판(20)의 장공(24) 중에서 적합한 위치에 슬라이딩시켜 고정함으로써 압축 공기가 분사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70)의 원통체(71) 위치도 돌기부(76a,77a)를 조절함으로써 지지다리(77)를 지지몸체(76)로부터 틸팅시켜 적절한 위치에 놓이도록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양말의 크기에 대응하여 원하는 위치에 안정되게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게가 다른 양말의 경우에는 각 공기관(40)에 설치된 공압조절밸브(50)의 압력을 조절하여 적합한 세기로 조절하여 분사시키도록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몸체 11 입구
12 출구 15 스위치 조작홀
20 격판 21 공기홈
22,23 지지부 24 장공
25 지지부관통홈 25a 공압홈
30 개방수단 31 배출문
32 힌지 33 무게봉
34 링크 40 공기관
41 제1공기관 41a,42a,43a 시작부
41b,42b,43b 종단부 42 제2공기관
43 제3공기관 44 배출구
45 관연결구 46 엘보우 연결구
47 일자형 연결구 50 공압조절밸브
60 작동스위치 61 힌지레버
63 마개 70 받침대
71 원통체 72 받침걸이
75 지지대 76 지지몸체
76a,77a 돌기부 77 지지다리

Claims (9)

  1. 일측에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출구가 형성되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관체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방수단;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입구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출구의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를 상부구역 및 하부구역으로 나누며, 다수개의 공기홈이 형성되는 격판;
    시작부는 상기 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종단부는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격판의 일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공기관; 및
    상기 공기관의 중간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몸체 내부에 분사되는 공기 압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공압조절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격판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에는 임의의 위치에 배출구가 다수개 장착되며,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종단부가 각각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정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일부에는 스위치 조작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조작홀의 일측에는 작동스위치가 부착되며,
    상기 스위치 조작홀을 통해 형성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상기 작동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정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은 상기 입구 측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1차 절곡되어 완화된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출구 측에서 2차로 하방 절곡되어 급격한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정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의 상기 공기홈은 상측이 하측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정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몸체의 하면 일측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문; 및
    상기 힌지의 외측에 구비되는 무게봉;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문 및 상기 무게봉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정지상태에서 불안정한 평형을 이루며 상기 배출문이 조금 열린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정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 이격하여 상기 몸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양말 정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받침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정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다리의 관통 부위에는 각각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다리가 상기 지지몸체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를 상기 몸체 하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정렬장치.
KR1020120135137A 2012-11-27 2012-11-27 양말 정렬장치 KR101274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137A KR101274959B1 (ko) 2012-11-27 2012-11-27 양말 정렬장치
IT001369A ITMI20131369A1 (it) 2012-11-27 2013-08-08 Apparato per disporre calze.
CN201310408063.6A CN103832831B (zh) 2012-11-27 2013-09-09 袜子排列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137A KR101274959B1 (ko) 2012-11-27 2012-11-27 양말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959B1 true KR101274959B1 (ko) 2013-06-13

Family

ID=4886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137A KR101274959B1 (ko) 2012-11-27 2012-11-27 양말 정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74959B1 (ko)
CN (1) CN103832831B (ko)
IT (1) ITMI2013136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9789A (en) * 1976-07-19 1978-07-11 Calzificio Golden Lady S.A.S. Di Grassi Nerino & C. Device for the oriented collection of stockings, panty-hose and like articles
JP2000311235A (ja) * 1999-03-23 2000-11-07 Matec Spa ストッキング、靴下、パンティーストッキング品などのような織物物品をカウントするための装置並びに方法
US20020124781A1 (en) * 2000-07-21 2002-09-12 Migliorini Pier Lorenzo Method for detecting the orientation of a textile product having two different ends, apparatus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and orientator device associated with said apparatus
KR20080030066A (ko) * 2005-06-29 2008-04-03 골든 레이디 컴퍼니 에스. 피. 에이. 관형상 편성품, 특히 양말 등을 취급하는 장치
KR20090017620A (ko) * 2006-05-31 2009-02-18 골든 레이디 컴퍼니 에스. 피. 에이. 스타킹 또는 양말 등 길게 늘어난 가요성 물품을 공압식으로 펼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4409A (en) * 1967-09-22 1971-04-13 Ltg Lufttechnische Gmbh Apparatus for transporting textile goods or the like
US4239205A (en) * 1979-04-16 1980-12-16 B. B. & D. Associates Small piece stacker and counter
US7044071B2 (en) * 2003-01-24 2006-05-16 B.B. & S Knitting Consultant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orienting hosiery articles for closing toe ends thereof
US8834073B2 (en) * 2010-10-29 2014-09-16 Corning Incorporated Transport apparatus having a measuring system and methods theref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9789A (en) * 1976-07-19 1978-07-11 Calzificio Golden Lady S.A.S. Di Grassi Nerino & C. Device for the oriented collection of stockings, panty-hose and like articles
JP2000311235A (ja) * 1999-03-23 2000-11-07 Matec Spa ストッキング、靴下、パンティーストッキング品などのような織物物品をカウントするための装置並びに方法
US20020124781A1 (en) * 2000-07-21 2002-09-12 Migliorini Pier Lorenzo Method for detecting the orientation of a textile product having two different ends, apparatus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and orientator device associated with said apparatus
KR20080030066A (ko) * 2005-06-29 2008-04-03 골든 레이디 컴퍼니 에스. 피. 에이. 관형상 편성품, 특히 양말 등을 취급하는 장치
KR20090017620A (ko) * 2006-05-31 2009-02-18 골든 레이디 컴퍼니 에스. 피. 에이. 스타킹 또는 양말 등 길게 늘어난 가요성 물품을 공압식으로 펼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32831A (zh) 2014-06-04
CN103832831B (zh) 2016-08-24
ITMI20131369A1 (it)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7126B2 (en) Separation apparatus with screen having fixed, non-uniform openings
CN107499914A (zh) 一种弹簧分离送料装置及方法
KR101274959B1 (ko) 양말 정렬장치
HK1082009A1 (en) Device for dry forming a web of fibres
US4099789A (en) Device for the oriented collection of stockings, panty-hose and like articles
CN103348047B (zh) 简化的单面圆形针织机
US2976625A (en) Devices for removing creases from individual pieces of fabric by means of a current of air
CN201473800U (zh) 蒸汽电熨斗
JP2009538997A (ja) ストッキングや靴下等の細長い柔軟な物品を空気圧で広げる方法及び装置
US3036449A (en) Fabric tensioning device for knitting machines and method
ITMI960528A1 (it) Dispositivo stenditore di calze ad alimentazione pneumatica, utiliz- zabile con impianti di trasporto pneumatico di calze ad aspirazione
JPH05209361A (ja) 管状製品を緊張しかつ裏返すための空気装置
EP2589700A1 (de) Wäschebehandlungsschrank mit Kleiderbügel
CN206428478U (zh) 衣物处理装置和衣物处理装置的底座组件
CN208761810U (zh) 制衣过程中边角料的收集装置
CN218707342U (zh) 一种袜子生产用输送装置
CN218454249U (zh) 一种应用于电脑横机的原料线防潮除湿机构
US2975622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2995914A (en) Fabric tensioning device
US4874241A (en) Apparatus for the inspection of tubular textile products
CN211734765U (zh) 一种女士内衣生产用清洗装置
CN108826870A (zh) 一种用于实验台的玻璃仪器烘干器
ITMI20010336A1 (it) Macchina per cucire per la realizzazione di cuciture con punto a filza
KR840001541Y1 (ko) 양말 편직기의 양말 인출장치
KR102169402B1 (ko) 다중 옷걸이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