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541Y1 - 양말 편직기의 양말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양말 편직기의 양말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541Y1
KR840001541Y1 KR2019830007986U KR830007986U KR840001541Y1 KR 840001541 Y1 KR840001541 Y1 KR 840001541Y1 KR 2019830007986 U KR2019830007986 U KR 2019830007986U KR 830007986 U KR830007986 U KR 830007986U KR 840001541 Y1 KR840001541 Y1 KR 840001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
socks
suction
knitting machine
hosi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7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병래
Original Assignee
라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병래 filed Critical 라병래
Priority to KR2019830007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5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말 편직기의 양말 인출장치
제 1도는 본 고안의 대략적인 구성도
제 2도는 본 고안 장치의 확대 단면도.
제 3도 (a)는 양말흡입통의 측면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제 4도 (a)는 양말흡입통의 하측 덮개이고, (b)는 (a)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차단밸브 10 : 양말흡입통
11 : 흡입구 12 : 배출구
13 : 보강테 14 : 하측덮개
15 : 중량물 16 : 중심조절추
17, 17' : 지지구 18, 18' : 괘지홈
19, '9' : 고정볼트
본 고안은 양말편직기의 양말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흡풍기의 흡입력으로 편직된 양말 흡입통 내부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양말흡입력이 차단됨과 동시 양말의 자중에 의해 하측 덮개가 열리면서 양말이 양말 흡입통 외부로 인출되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양말 편직기에 있어서, 편직되는 양말은 편직이 됨에 따라 침통 내부로 하강하게 되는데, 양말은 무게가 아주 가볍기 때문에 자중만으로는 쉽게 하강을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처음에는 편직되는 양말에 고리를 사용하여 무거운 추룰 달아매어 사용하였고, 기계적인 것으로는 국내실용신안공보 제445호 공번 80-569호도 있었으나, 불편한 점이 있고 작동이 완벽하지 않아 사용치 못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 와서는 흡풍기를 이용하여 흡입력으로 양말을 인출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의 구조를 보면, 상측으로부터 내부 중앙까지 연장 부착된 흡입구와 측면으로 배출구가 부착된 흡입구와 측면으로 배출구가 부착되었고, 하측으로는 하측덮개가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된 양말흡입통을 편직기의 침통과 흡풍기 사이에 설치하되, 흡입구는 별도의 연결관으로 침통과 연결하고 배출구는 별도의 연결관으로 흡풍기와 연결하였으며, 별도의 콤푸레샤를 양말 흡입통 내부에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편직되는 과정에서는 흡입력으로 양말이 하측으로 당겨지다가 편직이 완료되는 순간에는 양말이 순간적으로 연결관을 통하여 양말 흡입통의 내부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는 콤푸레샤의 압축공기를 양말 흡입통의 하측 덮개에 순간적으로 뿜어 하축 덮개가 열리도록 하여 양말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콤푸레샤의 소음이 대단히 컸으며, 설치 비용도 막대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콤퓨레샤를 사용치 않고서도 양말이 양말 흡입통내부로 흡입되어지면 양말의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양말 흡입통 밖으로 인출되도록 한 것으로,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측으로부터 내부 중앙까지 연장 부착된 흡입구(11)와 측면으로 배출구(12)가 부착된 양말흡입통(10)을 편직기(1)의 침통과 흡풍기(6) 사이에 설치하되, 흡입구(11)는 별도의 연결관(3)으로 침통과 연결하고 배출구(12)는 별도의 연결관(4)으로 흡풍기(6)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양말 편직기의 양말 인출장치에 있어서, 일측의 돌출부(14')에 중량물(15)을 부착하여 이에 중심조절추(16)를 편심으로 회전 자재하게 착설한 하측덮개(14)를 보강테(13)의 지지구(17)에 유설하되, 제4도의 (b)와 같이 끝이 날카로운 고정볼트(19)(19')를 지지구(17)을 통해서 중량물(15)의 괘지홈(18)(18')과 한 점만이 접촉되도록 하고, 중심조절추(16)를 좌우로 회전시켜 하측덮개(14)가 양말 흡입통(10)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하며 흡풍기(6)와 연결되는 연결관에는 차단밸브(5)를 스프링(7)으로 탄력 설치하여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2)는 흡입파이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측 덮개(14)가 보강테(13)의 지지구(17)(17')에 고정됨에 있어 끝이 뾰족한 고정볼트(19)(19')의 끝이 괘지홈(18)(18')에 가볍게 닿게하여 거의 마찰이 없고 양말 흡입통(10)의 하측과 제3도의 (a)와 같이 거의 평행이 되도록 조절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14)에 조그만 힘만 가하여도 덮개(14)는 제3도의 (b)와 같이 하측으로 열리게 된다.
본 고안은 양말 편직이 시작됨과 동시 흡풍기(6)가 회전을 시작하면 평시에는 차단밸브(5)가 열려있는 상태이므로 연결관(4)을 통해 공기를 빨아드리는데, 이때는 흡입력에 의하여 하측 덮개는 양말 흡입통(10) 저면에 밀착되며 공기가 양말 흡입통(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게 되므로 자연히 공기는 침통(1') 상측을 통해 연결관(3)을 지나 양말 흡입통(10)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구(12)로 흡입되어지므로 편직되는 양말은 자연히 하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양말의 편직이 완료되면 양말은 흡풍기(6)의 흡입력으로 연결관(3)을 통해 양말흡입통(10)내부로 낙하되는데, 이때 흡입구(11)는 양말흡입통 (10)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양말은 배출구(12)로 빨려 들어가지 못하고 양말 흡입통(10)의 하측 덮개(14)에 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차단밸브(5)는 별도의 와이어로 드럼캠(도시생략)과 연결되어 있는데, 드럼캠의 작동으로 차단밸브(5)를 당겨서 흡입력을 차단시키면 하측 덮개(14)에 가하여지던 흡입력이 순간적으로 없어지므로 하측덮개(14)는 양말무게에 의하여 하측으로 열리며 양말이 밖으로 떨어진다. 또 양말이 떨어진 상태에서 하측덮개(14)는 다시 제2도나 제3도(a)와 같은 상태로 되고, 다시 드럼캠의 작동으로 차단밸브(5)를 개방하면 흡입력으로 인하여 하측덮개(14)는 양말흡입통(10)의 하단부에 밀착되어 양말이 다시 떨어질때까지는 절대 열리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양말 흡입통(10)의 하측 덮개(14)를 개량하므로서 흡입력을 차단함에 따라 양말의 자체 중량으로 양말이 양말 흡입통(10) 밖으로 낙하하도록 하여 종전처럼 콤푸레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양말 편직기의 설치와 제조 단가가 저렴해짐은 물론 콤푸레샤의 소음이 전혀 없어 작업환경이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양말흡입통(10)의 흡입구(11)는 연결관(3)으로 침통(1')의 하단과 연결하고, 배출구(12)는 연결관(4)로 흡풍기(6)와 연결하여서되는 양말 편직기의 양말인출장치에 있어서, 하측덮개(14) 일측의 돌출부(14')에 측면으로 괘지홈(18)(18')이 형성된 중량물(15)을 부착하고, 이에 중심조절추(16)를 편심으로 착설한 다음 흡입통(10) 하단의 보강테(13)에 돌출된 지지구(17)(17')에 끝이 뾰족한 고정볼트(19)(19')로 유설하며, 흡풍기(6)와 연결되는 연결관에는 차단밸브(5)를 스프링(7)으로 탄력 설치하여된 양말 편직기의 양말 인출장치.
KR2019830007986U 1983-09-13 1983-09-13 양말 편직기의 양말 인출장치 KR840001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7986U KR840001541Y1 (ko) 1983-09-13 1983-09-13 양말 편직기의 양말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7986U KR840001541Y1 (ko) 1983-09-13 1983-09-13 양말 편직기의 양말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541Y1 true KR840001541Y1 (ko) 1984-08-20

Family

ID=1923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7986U KR840001541Y1 (ko) 1983-09-13 1983-09-13 양말 편직기의 양말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5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36Y1 (ko) * 2018-06-08 2018-12-06 염응국 양말편직기용 흡입력 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36Y1 (ko) * 2018-06-08 2018-12-06 염응국 양말편직기용 흡입력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1541Y1 (ko) 양말 편직기의 양말 인출장치
US3738123A (en) Pneumatic knit fabric tensioning devices for use with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3036449A (en) Fabric tensioning device for knitting machines and method
US3159015A (en) Pneumatic tension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particularly for circular machines for making stockings
US3024839A (en) Suction regulating means
US2995914A (en) Fabric tensioning device
US4242891A (en) Pneumatic take-down devic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02926152B (zh) 理袜机
CN209974985U (zh) 一种色纺纱生产用配棉器
US3096634A (en) Take-up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GB955184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s
CN206768296U (zh) 圆盘抓棉机的收棉斗
CN214882134U (zh) 一种可快速上料的针织机械
IL32580A (en) Tensioning device for stockings
CN213203309U (zh) 一种新型吸纱设备
JPH08246301A (ja) 編地を引っぱる装置を備えたソックス、ストッキング等を製造するダブルシリンダ型円形編機
JP2574900Y2 (ja) 編地引張り装置
JP2538411Y2 (ja) 編成品引出装置
GB80144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2725735A (en) Apparatus for making a double-faced knitted pile fabric
CN214086859U (zh) 一种新型涤纶面料生产用的收卷装置
CN110886053B (zh) 一种服装生产用数控式平缝缝纫机
WO1995019459A3 (de) Vorrichtung zum unschädlichsein und/oder zum beheben der ausbildung einer fadensehne und/oder eines fadenbruches eines mittels einer spinnzentrifuge gesponnenen fadens und verfahren hierzu
CN108266347A (zh) 一种低噪声的真空节能设备
CN212128427U (zh) 一种汽车面料纺织送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19860407

Effective date: 19870213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19870331

Effective date: 198801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19890406

Effective date: 199010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8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