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728A -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및 트롤리 와이어서스펜션에서의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및 트롤리 와이어서스펜션에서의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728A
KR20040035728A KR10-2004-7002003A KR20047002003A KR20040035728A KR 20040035728 A KR20040035728 A KR 20040035728A KR 20047002003 A KR20047002003 A KR 20047002003A KR 20040035728 A KR20040035728 A KR 20040035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motion control
control device
magnetically actuated
actuated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칼르슨제이.
윌더리차드
피. 코에스터스테판
에이치. 마조람로버트
Original Assignee
로드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드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로드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35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72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8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and characterised by damping force adjust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3Arrangements for suspending trolley wires from catenary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3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incorporating yielding means or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6Magnetic or electro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최소한 하나의 이산 제1가동부재 :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에 근접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제2가동부재 : 및 자장이 자장 발생기에 의하여 공급될 때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가 제2가동부재를 압착하도록 하는 자장 발생기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및 트롤리 와이어 서스펜션에서의 그의 용도{Magnetically Actuated Motion Control Device And Its Use In Trolley Wire Suspension}
전류의 전달을 전동기에 유지 및 제공하기 위한 하중지지 카테너리 서스펜션 와이어 및 트롤리 와이어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트롤리 와이어는 전차의 팬터그래프와 접촉하고 있고, 트롤리 와이어는 하중지지 카테너리 와이어와 트롤리 와이어 사이로 연장되는 다수의 서스펜션 장치에 의하여 매달린다. 그와같은 서스펜션 장치는 예컨대 매 4.5m(15.0 ft)의 일정간격 이격된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된다. 그와같은 서스펜션 장치의 존재로 인하여, 트롤리 와이어 및서스펜션 와이어는 그들의 소망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유지된다.
그와같은 공지의 와이어 서스펜션 시스템에 있어서, 트롤리 와이어는 팬터그래프가 트롤리 와이어를 따라 이동될 때 진동하며, 그와같은 트롤리 와이어 진동은 트롤리 와이어와 팬터그래프의 바람직하지 않는 분리를 야기시킨다. 트롤리 와이어의 진동을 억제하면 트롤리 와이어와 팬터그래프 사이의 분리가 감소되며, 전차의 집전능력 및 트롤리 와이어의 유효수명의 증가에 기여한다는 것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게다가, 그와같은 진동 억제는 와이어와 팬터그래프 사이의 반복되는 단속 접촉으로 인하여 와이어에 대한 마멸을 방지하여 준다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특히, 전차가 고속으로 작동되고 있을때 트롤리 와이어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트롤리 와이어 서스펜션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그와같은 공지 장치는 마멸저항 및 스프링 힘에 기초한 제동력을 생성하며, 그와같은 공지 장치의 일예가 일본 특허 공개 평 6-171402호에 발표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 6-171402호에서, 피스톤 및 스프링은 보조 서스펜션 와이어에 매달려 있는 실린더 내부에 위치되어 있고, 피스톤은 스프링에 의하여 편중되어 압축된다. 피스톤 링 및 실린더의 마찰계수에 기초한 진동 흡수 기능을 갖는 피스톤 링이 또한 실린더에 위치되어 있다. 피스톤 링은 실린더와 마찰하여 제동력을 제공한다. 피스톤 막대는 일측 막대 단부에서 피스톤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에 위치되며 보존 서스펜션 와이어와 평행한 트롤리 와이어가 피스톤 막대의 하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공지 장치는 트롤리 및 보조 서스펜션 와이어를 그들의 소망 위치 및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역활을 한다.
상술한 트롤리 와이어 서스펜션 장치에서, 피스톤 링은 실린더와 마찰 접촉을 통하여 제동력을 제공하므로 피스톤 링이 마멸되며, 그 결과, 마찰 제동 강도가 마멸에 따라 감소되고, 결국 트롤리와 서스펜션 와이어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에 충분한 제동력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그와같은 장치가 적당한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공지 장치를 규칙적으로 검사,수리 및 수선을 할 필요가 있다. 그와같은 검사, 수리 및 수선과정은 필연적으로 상당히 엄격하며, 구성 부품은 조심스럽게 교환된다. 또한, 소망하는 제동력을 발생하도록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필요로하는 마찰저항을 얻기 위하여, 구성 부품은 정밀하게 제작되어 구성부품 사이에 필요한 공차를 달성하여야만 한다. 그와같은 필요한 정밀도의 결과, 그와같은 공지 서스펜션 장치의 제작은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어렵다.
본 발명은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댐퍼같은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운동제어장치는 서스펜션 와이어 또는 보조 서스펜션 와이어하에서 전차의 팬터그래프와 마찰하는 트롤리 와이어를 매달기 위한 서스펜션 장치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트롤리 와이어 서스펜션 장치로서 사용시, 본 발명의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는 팬터그래프가 댐퍼를 지나갈 때 트롤리 와이어의 진동을 흡수하여 트롤리 와이어와 팬터그래프 사이의 접촉이 유지되게 하는 댐퍼기능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운동제어장치의 종단면이고,
도2는 도1의 트롤리 와이어 서스펜션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3은 도1의 장치의 제1작동상태의 단면도이고,
도4는 도1의 장치의 제2작동상태의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여 지지되는 트롤리와 서스펜션 와이어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댐퍼의 등축도이며,
도7은 도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댐퍼의 종단면도이고,
도8은 도6의 다른 실시예의 댐퍼의 단일 제1가동부재의 등축도이며,
도9는 도8의 9-9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10은 제1가동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등축도이며,
도11은 제1가동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등축도이고,
도12는 도7에서 원(13)으로 애워쌓인 본 발명의 장치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며,
도13은 제1실시예의 가동부재가 가변 크기 자기 흡인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도8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가동부재의 등축도이고,
도14는 제1실시예의 가동부재가 가변크기 자기 흡인력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포함하는 도8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가동부재의 등축도이며,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운동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하우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16은 도7의 장치의 제1가동부재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17은 도7의 장치의 제1가동부재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일예로서 트롤리 와이어 서스펜션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는 운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장치는 엄격하고 조심스러운 검사 및 부품을 요하지 않으며, 장치의 제작은 조립된 구성부품 사이에 일정한 정도의 상대 정밀도를 요하지 않는 간단한 장치 구성으로 인하여 비교적 복잡하지 않으며,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신뢰할 만한 제동력을 제공하여 준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 :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에 가장 근접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제2가동부재 : 및 자장이 자장 발생기에 의하여 공급되면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가 제2가동부재를 압착하게 하는 자장 발생기로 구성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공지의 운동제어장치의 단점을 극복하여 준다.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는 이산 핑거 또는 슬래트 일 수 있거나 또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슬로트에 의하여 한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운동제어장치에 의하여, 필요한 제동력이 신뢰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방식으로 공급된다.
특히, 본 발명의 운동제어장치(1)를 포함하는 종래의 와이어 서스펜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도1 및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장치와 관련하여, 공지 장치와 관련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a) 트롤리 와이어(T)에 연결되거나 또는 트롤리 와이어(T)상부에 위치되는 서스펜션 와이어(M)에 연결되는 단부를 가지며 대향하는 하우징 단부에 하우징 개구부(5d)를 갖는 비자성 원통형 케이싱(5) :(b) 케이싱(5) 및 하우징(6)의 수직축이 수직 정렬되도록 케이싱(5) 내측에 위치되며 자성 물질을 포함하고 또한 방사방향으로 수축하도록 된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6b)를 형성하도록 장치의 수직축을 따라 배향되는 최소한 하나의 이산 가동부재(6b) 또는 슬로트(6a)를 갖는 원통형 하우징(6) : (c) 수직축을 따라 하우징에서 직선으로 이동가능하며 일측 막대 단부에서 막대(7b)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막대는 케이싱(5)의 개구부(5d)를 통하여 연장되며, 대향 막대 단부는 서스펜션 와이어(M) 또는 트롤리 와이어(T)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7)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7)은 하우징(6) 내측에 위치되어 있고, 일측 피스톤 당부는 하우징(6)의 일측 단부에 위치되고 타측 피스톤 단부는 압축 스프링(8)과 인접 위치되어 있다. 피스톤(7)은 자장 발생 영구자석(7c)에 의하여 그리고 자석, 극편 및 제1가동부재의 조합에 의하여 여자되는 자기 극편(7a)을 포함하며, 자장이 최소한 하나의 부재(6)를 피스톤(7)을 향하여 당기어 피스톤을 파지하도록 형성되고, 이에 의하여 필요한 제동력이 공급된다.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에서, 스프링(8)은 막대(7b)에 의하여 규정된 힘으로 트롤리 와이어(T)를 일정하게 당긴다. 트롤리 와이어(T)가 팬터그래프의 통과에 의하여 변위되면, 피스톤(7)은 막대(7b)에 의하여 케이싱 단부 캡(5a)을 향하여 상향 변위된다. 팬터그래프가 통과되면, 피스톤의 변위가 중단되고, 스프링(8)은 피스톤(7)이 하우징(6)에서 그의 원래 위치로 복귀되게 한다. 피스톤, 자석 및 극편이 축방향으로 변위되면, 제1가동부재(6b)는 피스톤(7)의 영구자석 디스크(7c)에 의하여 공급되는 자기 흡인력의 인가에 의하여 방사방향으로 압압되며, 부재의 내측 주위 표면은 피스톤(7)과 접촉된다. 따라서, 피스톤(7)이 상승 및 하강하는 동안, 규정된 접촉이 피스톤과 부재(6) 사이에서 일어나고, 이 접촉은 트롤리 와이어 진동을 제한하여 와이어와 팬터그래프를 접촉 상태로 유지하는 역활을 하는 제동력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운동제어장치는 도1-5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운동제어장치의 단면도이고, 도2는 도1의 제1실시예의 운동 제어장치의 측면도이며,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운동제어장치의 다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운동제어장치에 의하여 지지되는 트롤리와 서스펜션 와이어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전차 와이어의 서스펜션 가선(stringing)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T는 전차의 팬터그래프(도시안됨)와 마찰하는 트롤리 와이어이고, M은 트롤리 와이어(T)상에 매달리는 서스펜션 와이어이며, C는 서스펜션 와이어에 부착된 보호커버이고, 1은 일정한 간격으로 서스펜션 와이어(M)과 트롤리 와이어(T)사이에 제공되는 서스펜션 장치이다. 서스펜션 장치(1)는 서스펜션 와이어(M)아래에 트롤리 와이러(T)를 지지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스펜션 장치(1)는 댐퍼(2), 상기 댐퍼(2)를 서스펜션 와이어(M)에 연결하는 행거(3), 및 상기 댐퍼(2)를 트롤리 와이어(T)에 연결하는 역활을 하는 이어(ear)(4)로 구성되어 있다.
댐퍼(2)는 도3 및 도4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원통형 케이싱(5)은 스테인레스강 같은 비자성 재료로 구성되며, 원통형 케이싱은 핸들(5b)을 포함하는 단일 커버 또는 단부 캡(5a)을 포함하고 있고, 단부 캡은 케이싱의 일측 단부와 이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은 중앙 개구부(5d)를 포함하는 커버 또는 단부 캡(5c)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목적으로 케이싱이 원통형으로 도시되고 기술되긴 하였지만, 케이싱은 다른 적당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자성재료로 제조된 원통형 하우징(6)이 케이싱(5)에 위치되어 있다. 하우징(6)은 어떠한 허용가능한 형상을 취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원통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하우징(6)은 케이싱(5)의 수직축과 정렬하는 수직축을 갖고 있으며, 또한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로트(6a)에 의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제1가동부재(6b)를 포함하고 있다. 슬로트는 수직의 정렬된 중앙축에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고 방사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수직 중앙축을 향하여 방사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다. 도1, 2 및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6)은 원통형이며, 네개의 동일하게 일정간격 이격된 슬로트(6a)가 제공되어 있어 이를 네개의 부재(6b)로 균일하게 분할한다. 하우징(6)은 원통형상을 갖는 것 이외에 관상부재일 수 있으며, 하나의 슬로트(6a)일수도 있다. 또한 슬로트(6a)는 하우징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도시된 작동 형태에서처럼, 양 단부에 미침이 없이 종단될 수 있거나, 또는 하우징(6)의 일측 단부에 미침이 없이 종단될 수도 있다. 슬로트(6a)가 하우징(6)의 전체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경우, 부재(6b)는 분리되어 각각 독립적이다. 독립부재는 하우징 슬로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재(6b)의 탄성을 함유할 수 없지만, 그와같은 독립부재는 자장 발생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기 흡인력의 존재에 응답하여 약간의 방사상 거리로 변위 될 수 있어야만 한다.
피스톤(7)은 하우징(6) 내측에 삽입되는 자성체(7a)(도3 및 4)를 갖고 있고, 자성체(7a)의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막대(7b)를 포함하고 있다. 자성체(7a)는교대로 배치된 다수의 영구자석 디스크(7c) 및 상기 영구자석 디스크(7c) 사이에 위치되는 자기 극편(7d)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장이 영구자석 디스크(7c), 극편(7d) 및 부재(6d)사이에 발생되며, 자장의 존재에 의하여, 부재(6b)는 자장의 자기 흡인력에 의해 피스톤(7)을 향하여 방사상 내측 방향으로 당기어진다. 막대 단부에 고정된 너트는 자석과 극편의 적층을 너트와 막대 사이에 적절히 고정시킨다. 영구자석 디스크(7c)는 영구자석 디스크의 외주면이 부재(6b)의 내주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자기 디스크형 극편(7d) 보다 직경이 약간 작다.
막대(7b)는 자성체(7a)를 통과하는 소형 직경 부분(7e), 및 상기 소형 직경 부분(7e)의 양 단부에 부착되는 코튼(cotton) 디스크(7f) 같은 한쌍의 비자성 부재를 포함하며, 막대 길이를 따라 단일 본체로서 영구자석 디스크(7c) 및 자기 극편(7d)을 유지시킨다. 막대(7b)의 타측 단부는 케이싱(5)의 커버(5c)에서 개구부(5d)를 통과하며 케이싱(5)의 외측에 미친다. 막대(7b)의 상기 타측 단부는 핸들 부재인 이어(4)에 고정된다. 이어(4)는 한쌍의 이어 편(4a)으로 트롤리 와이어(T)를 파지하고, 트롤리 와이어(T)는 볼트(4b)로 고정시키므로서 유지된다. 한쌍의 이어편(4a)에 연결되는 설편(4c)은 핀(4d)에 의하여 막대(7b)에 연결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8)이 하우징(6)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8)의 일측 단부는 스프링 수용 시이트를 갖는 하우징 커버(5a)에 유지되는 반면에, 타측 단부는 자성체(7a)의 단부에 유지된다. 명확하게 할 목적으로,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자성체는 또한 자장 발생기로서 칭하여질 수도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성체(7a)는 상향으로 압착되며, 그 결과 자성체(7a)는 스프링에 의하여 내향으로 편중되고, 따라서 막대(7b)는 케이싱(5)으로 당기어진다. 스프링(8)은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롤리 와이어(T)와 서스펜션 와이어(M) 사이의 거리가 고정되도록 트롤리 와이어(T)가 현수되는 상태에서 규정된 정도로 압축되며, 그와같은 거리는 와이어에 작용하는 외부 힘이 최소에 있을 때 최소가 된다.
행거(3)는 스테인레스강 같은 비자성 재료로 제조된 벨트로 구성되며 사용시 U-형상을 취한다. 행거(3)는 너트 및 볼트 조합(3a)에 의하여 케이싱(5)의 핸들(5b)에 연결된 양 단부를 가지며, 만곡부분에서 서스펜션 와이어(M)상으로 지나가며, 서스펜션 와이어(M)의 바로 아래에서 행거(3)를 통과하는 핀(3b)에 의하여 적절히 유지된다(도3 참조). 행거는 적당한 형상을 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또한 본 명세서에 발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음을 물론이다.
제1실시예의 운동제어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차(도시되지 않음)의 팬터그래프가 장치(1)의 근처를 지나가면, 팬터그래프는 트롤리 와이어(T)를 매다는 막대(7b)가 하우징(6)속에서 더욱 상향으로 압압되도록 트롤리 와이어(T)에 대하여 압착한다. 막대(7b)가 상향으로 변위되며, 피스톤 부재는 막대와 함께 변위되고, 스프링(8)은 피스톤과 막대가 각각 케이싱과 하우징(5 및 6)에 재배치될 때 연장된다. 팬터그래프가 장치를 지나가면 막대(7b)와 피스톤(7)의 변위는 정지되고, 그 다음 스프링은 압축되어 피스톤(7)과 막대(7b)를 단부 캡(5c)을 향하여 하우징(6) 속으로 당긴다. 피스톤이 단부 캡(5a) 및 단부 캡(5c)을 향하여 하우징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되면, 가동부재(6b)는 가동부재(6b)에 근접한 자장 발생기의 존재로 인하여 자장 발생기(7c)에 의한 자기 흡인력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당기어진다. 영구자석 디스크(7c)의 자기 흡인력으로 인하여, 부재(6b)는 발생기를 향하여 당기어지고, 핑거의 내주면은 규정된 압력으로 극편(7d)과 접촉한다. 따라서 피스톤(7)이 상승 및 하강하는 동안, 마찰저항이 피스톤과 하우징(6) 사이에서 발생되고, 이는 트롤리 와이어에 대한 진동 제어력으로서 작용하여 진통을 감쇠시킨다. 피스톤(7)과 부재(6b)의 반복 마찰로 인하여 마멸이 마찰부분에서 일어나더라도, 자장의 존재로 인하여 방사방향으로 수축될 때 부대(6b)는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피스톤(7)과 접촉하기 때문에, 일정한 마찰 저항이 장치(1)를 수리하거나 수선할 필요없이 얻어질 수 있다. 이외에, 장치는 널리 알려진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제작되고 조립될 수도 있다. 공지 장치와 관련된 제작 정밀도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장치(1)에 대하여는 유지될 필요가 없다.
댐퍼(2)는 트롤리 와이어(T)의 진동을 반대 축방향으로 흡수하며, 팬터그래프와 트롤리 와이어(T) 사이의 힘을 완화시키고, 팬터그래프와 트롤리 와이어(T)에 대한 손상은 물론 트롤리 와이어(T)와 서스펜션 와이어(M) 사이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부품에 대한 손상을 적게 한다.
더욱이, 댐퍼(2)가 역방향으로 설치되고, 막대(7b)가 트롤리 와이어(T)에 부착된 케이싱(5) 및 서스펜션 와이어(M)에 연결되는 경우, 그 효과는 여기에 기술된 효과와 동일할 수 있다. 피스톤(7)을 하우징(6)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제1가동 부재(6b)는 방사상 내측방향으로 붕괴되거나 또는 수축되게 된다. 피스톤이 하우징 속으로 다시 삽입되는 경우, 가요성인 제1가동부재(6b)는 피스톤의 주위 둘레에 자동 정렬된다. 제1가동부재의 자동정렬 특징은 장치의 조립을 간단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여, 트롤리 와이어(T)의 측방 변위를 일으키는 진동은 스프링 힘 및 마찰 저항에 의하여 잘 흡수되고 완화되며, 팬터그래프로부터 와이어의 적은 분리 및 트롤리 와이어에 대한 마멸의 방지를 위한 계획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진동으로 인한 금속 부속품의 피로 및 이완이 감소되므로 안전 및 집전이 증가되고, 팬터그래프에 의하여 수용되는 충격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위치 변화에 대한 적은 저항으로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보다 가벼운 팬터그래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하우징은 자기력 하에서 피스톤 수축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배열을 갖기 때문에 마멸을 수반하는 부품 교환 및 엄격한 조심스러운 검사에 대한 필요성이 없으며,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고 고도의 기계적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며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
도 6-11은 다른 실시예의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102)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제1실시예의 댐퍼(1)처럼, 운동제어장치(102)는 자성물질로 제조된 최소한 하나의 분리된 제1가동부재(106)을 포함하고, 그와같은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는 예컨대 세장 슬래트 또는 핑거를 포함하며, 분리된 제1가동부재(106)는 예컨대 도6 및 7에 도시된 보스와 같은 돌출 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위치 설정 수단(111)에 의하여 일정한 축방향 배향으로 유지된다. 각각의 분리된 제1가동부재는 슬로트 또는 갭에 의하여 인접 부재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장치는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106)에 대하여 종방향 축(110)을 따라 왕복 부재에서 이동가능한 제2가동부재(107a)를 포함하고 있다. 제2가동 부재(107a)가 축방향으로 변위되면, 자장 발생기(140)는 제2가동부재(107a)와 제1가동부재(106) 사이에 자기 흡인력을 발생하는 자장을 발생한다. 자기 흡인력은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에 대한 제2가동부재의 축방향 변위에 대한 저항으로서 작용한다. 장치(102)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자장 발생기는 극편(113a, 113b)과 함께 영구자석(112)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결과로, 장치(102)에 의하여 제공되는 저항력이 있는 제동력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다. 제2가동부재의 변위 및 자장 발생기에 대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장치(102)는 요구되는 제동력을 정확하고 신뢰가능하며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준다.
장치(102)의 댐퍼가 동반되는 오염물질 및 미립물질이 실질적으로 없는 "크린(clean)"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 제1 및 제2 가동부재(106, 107a) 및 자장 발생기는 하우징에 의하여 애워 쌓여질 필요가 없으며, 도6에 도시된 개방형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가동부재 및 자장 발생기를 주위조건에 노출시켜 두면 댐퍼(102)의 기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게되는 곳에서 댐퍼(102)가 사용되는 경우, 제1 및 제2 가동부재는 도7에 도시된 관상 하우징 부재(105)에 의하여 형성되는 체임버(114)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6 및 7의 개방 및 밀폐장치는 관상 하우징(105) 및 단부 캡(118b)이 도7의 밀폐형상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관상 하우징은 예컨대 플라스틱,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청동 또는 동 같은 적당한 비자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설명할 목적으로, 하우징은 제1 및 제2개방단부(116a, 116b)를 포함하지만, 하우징은 고립 개방 단부에 위치되는 단부 캡으로 단부에서 밀폐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하우징은 하우징이 하우징 단부 사이로연장되므로 테이퍼 또는 드래프트 각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7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은 하우징이 제1단부(116a)로부터 제2단부(116b)까지 연장되므로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다. 이와는 달리, 하우징은 제2단부(116b)로부터 제1단부(116a)까지 연장되므로 내측으로 테이퍼 질수도 있다. 테이퍼는 하우징을 제작하는 데 이용되는 제작 공정중에 제조되며, 그와같은 제조 공정은 예컨대 통상적인 성형 작업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하우징은 하우징 단부 사이에 일정한 내부 치수를 가질수도 있다.
도6에 도시된 장치(102)의 개방형상이 이용되는 경우, 장치(102)는 막대 부재(120)와 제1 단부 캡(118a) 사이에 필요한 허용가능한 상대운동을 발생하도록 단부 캡(118a)에 고정된다. 단부 캡(118a)은 예컨대 브래킷, 훼스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바와같은 적당한 공지수단에 의하여 프레임 또는 기타 구조 부품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7에 도시된 밀폐 장치의 제2단부 캡(118b)은 프레임 또는 기타 지지부재와 일체로 제조되는 훼스너(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된 구멍(119)을 포함하고 있다. 훼스너는 예컨대 볼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밀폐디자인이 이용되는 경우, 막대(120)와 단부 캡(118a) 사이의 필요한 허용가능한 상대운동은 상술한 방식으로 구멍(119)을 통하여 적당한 훼스너를 연장시키므로서 제2단부 캡(118b)을 프레임 또는 기타 부재에 고정시킴에 의하여 발생된다. 도7과 관련하여, 개방 단부(116a 및 116b)는 하우징 단부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 단부 캡(118a 및 118b)에 의하여 각각 밀폐되며,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할 목적으로 단부캡은 하우징 단부로부터 제거할 수 없다. 단부 캡은 당업자에 알려진 에폭시 같은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하우징 단부와 일체로 제조될수 도 있다. 단부 캡은 하우징 단부에서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부 캡은 하우징 단부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이와는 달리, 단부 캡은 나사 결합에 의하여 또는 예컨대 세트 스크류 또는 볼트 같은 통상적이 훼스너에 의하여 하우징 단부와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장치(102)에 의하여 공급되는 제동력을 수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자장 발생기(130) 및/또는 제1가동부재는 단부 캡을 간단히 제거하고 막대(120), 제2 가동부재(107a) 및 제1가동부재(106)로 구성되는 유니트를 하우징 체임버(114)로부터 활주시키므로서 용이하게 접근되어 수정될 수도 있다.
제1가동부재(106)는 강철 같은 자성 재료로 제조되는 다수의 세장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장치(102)의 제1가동부재(106)의 각각은 제1단부(123a), 제조단부 (123b) 및 아치형 측면을 포함하고 있으나, 또한 제1부재는 평탄한 측면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가동부재는 분리되고 이산되어 있으며, 인접부재(106)의 인접한 종방향 변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슬로트(124)에 의하여 그 다음의 인접 제1가동부재(106)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102)는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를 포함하지만, 소망하는 제동력을 발생하는데 요구되는 다수의 제1가동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동부재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할 목적으로, 장치(102)는 중앙 종방향 축(110)의 둘레에 환상 배열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네개의 이산 부재(106)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부재(106)는 종방향 축(110)으로부터 동일한간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그다음의 인접 부재(106)로부터 90°각도로 오프셋 되어있다. 그 결과, 부재(106)는 도6에 도시된 환상 배열 또는 패턴을 형성한다. 제2가동부재(107a)의 상대위치를 설명할 목적으로 네개의 제1가동부재(106)의 하나는 장치(102)로부터 제거되어있고, 제거된 제1가동부재의 변부는 도6에서 대시폰트로 표시되어 있다. 제1가동부재는 부재(106)에 대하여 축(110)을 따라 변위하도록 제2가동부재(107a)를 수용하도록 된 원통형 체임버(122)를 형성한다. 부재(106)의 방사상으로 자유부동하는 특징은 효과적인 작동을 위하여 제1가동부재가 제2부재와 방사상으로 정렬되게 한다. 그와같은 자유 방사상 정렬은 피스톤 부재의 크기, 형상, 또는 윤곽에 대한 고려없이 일어난다. 이와는 달리, 피스톤이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체임버에 삽입하기 위해 부재(106)의 자유단부에 위치되는 경우, 단부(123b)는 피스톤을 수용하도록 방사상 외향으로 자유로히 이동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같이, 제2가동부재가 축(110)을 따라 변위되면, 자석(113a, 113b)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장은 제2가동부재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제1가동부재의 세그먼트를 달성한다. 자장(200)은 도12에서 제1 및 제2 가동부재의 확대도에 대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자장의 존재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제1가동부재의 세그먼트는 도12에서 세그먼트(106s)와 동일하다. 자장(200)의 존재 및 얻어지는 자기 흡인력의 결과, 세그먼트(106s)에서 가동부재는 적은 방사상 거리로 축(110)을 향하여 내측으로 당기어진다. 제2가동부재가 더욱 변위되면, 이에따라 세그먼트(106s)의 위치는 부재(107a)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위치로 변위되며, 이미 내측으로 변위된 세그먼트는 자기 흡인력의 인가전에 축(110)에 대하여 취해지는 세그먼트의 위치로 축(110)으로부터 멀리 외향으로 재배치된다.
도6에 도시된 배향으로 고정된 바와같이, 부재(106)는 축방향으로 단단하지만 방사상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유연성이 있거나 덜 단단하다. 제1부재의 비방사상으로 향한 변위는 위치설정 수단(111)에 의하여 제한된다. 도6 및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위치설정 수단은 축(110)의 둘레에 일정간격 이격되고 축으로부터 떨어져 외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 보스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스 부재는 단부 캡이 제1하우징 단부에 착좌될때 하우징 단부(116a)로부터 내측으로 위치되는 제1단부 캡 부재(118a)의 부분의 주변을 따라 제공된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가동부재는 제1단부(123a)에 근접한 개구부(128)를 포함하며, 개구부는 각각의 보스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로 되어있고, 각각의 개구부는 환상 슬리브(129)에 의하여 둘러쌓여있다. 슬리브는 개구부(128)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적인 천공 공정중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는 도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스를 애워싸서 강성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하여 제1가동부재의 비방사상으로 향한 변위를 더욱 방지하는 역활을 하며, 또한 개구부(128)에서 응력을 제한한다. 전형적으로, 제1가동부재는 스트립 강철로 형성된 스탬프이다. 부재(106)는 축방향 흡인력을 전달하도록 축방향으로 단단하며, 본 발명의 장치가 필요한 크기의 수직력을 확실하고 정밀하게 생성 가능하게 방사상으로 자유로운 부동성 및 유연성이 있다.
제1가동부재에 대한 다수의 다른 형상이 도8,9,10 및 11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발표된 제1가동부재에 대한 다른 형상의 각각은 본 발명의 장치(102)가 장치(102)에 포함되는 독특한 형상의 제1가동부재에 대하여 독특한 특성 감쇠를 제공하게한다. 다른 실시예는 스트립 강철로 제조되며 상술한 바와같이 방사상으로 유연성이 있고 축방향으로 단단하다. 도8 및 9에 도시된 제1가동부재(106a)와 관련하여, 제1가동부재(106a)는 측방향 치수(L) 및 축방향 치수(A)를 포함하고 있다. 측방향 및 축방향 치수는 부재 단부(123a, 123b) 사이에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부재 표면적은 부재 길이를 따라 사실상 일정하며, 일정한 표면적의 결과로, 자장 발생기(130)와 부재(106) 사이에 발생되는 자기 흡인력의 크기는 축(110)을 따라 제1부재(106)에 대하여 변위된다.
다른 실시예의 제1가동부재(106b)가 도10에 도시되어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재(106b)는 부재단부(123a, 123b)에 최대 측방향 치수(Lmax)를 가지며 부재사이의 종방향 거리의 대략 절반 거리(L/2)의 위치에 최소 측방향 치수(Lmin)를 갖는 모래시계 종방향 형상을 갖고있다. 부재(106a)처럼, 부재(106b)는 아치형 측방향 형상을 갖고 있다. 부재 단부는 최대 측방향 치수를 가지며, 최대 측방향 치수는 부재의 중앙에 위치되는 최소 면적까지 점감되어 있다. 최소 치수 면적은 부재 길이를 따라 적당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부재(106b)의 가변 측방향 치수의 결과로, 최대 크기의 자기 흡인력은 제2가동부재가 부재단부(123a, 123b)의 어느 하나에 근접할때 발생되고, 최소크기의 자기 흡인력은 제2가동부재가 Lmin 의 측방향 치수를 갖는 부재 길이에 근접할때 발생된다. 부재(106 및 107a) 사이의 자기 흡인력의 크기는 자장 발생기가 치수(Lmin)를 갖는 부재의 부분과 부재 단부 사이로 제1가동부재에 대하여 변위될 때 단위 길이에 대하여 변한다. 자장은 제2가동부재가 어느 하나의 단부를 향하여 변위될 때 증가하고, 제2가동부재가 부재(106b)의 중앙을 향하여 변위될때 감소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제1가동부재(106c)가 도11에 도시되어 있다. 가동부재(106c)는 관련된 자기 흡인력의 크기가 제1 및 제2단부(123a, 123b) 사이에서 변화될 때 가변 저항력을 제공한다. 부재(106c)는 제1단부(123a)에서 최대 측방향 치수(Lmax)를 가지며, 제2단부(123b)에서 최소 측방향 치수(Lmin)를 갖는다. 자기 흡인력의 크기는 부재(107a)에 수용되는 자장 발생기가 단부(123a)로부터 단부(123b)까지 변위될 때 감소되고, 부재(107a)에 수용되는 자장 발생기가 단부(123b)로부터 단부(123a)까지 변위될 때 증가된다. 가동부재(106c)는 아치형 측방향 형상을 갖고 있다.
부재(106a)가 사용되는 경우, 부재는 가변크기의 제동이 제공되도록 수정될 수도 있다. 도13 및 14는 일정한 측방향 치수를 갖는 부재(106)에서 가변 제동력을 얻기 위한 두개의 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14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로트가 부재에 제공되어 있다. 최소크기의 자기 흡인력은 제2가동부재 및 이와 관련된 자장 발생기가 슬로트에 근접 위치될 때 제공된다. 최대크기의 자기 흡인력은 제2가동부재(107a) 및 이와 관련된 자장 발생기(130)가 어느 하나의 부재 단부(123a, 123b)에 위치될 때 발생된다.
이와는 달리 부재(106a)는 가변크기의 제동을 제공하도록 도14에 도시된 방식으로 수정될 수도 있다. 도14에 도시된 부재(106a)에서, 다수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개구부(142a, 142b, 142c, 및 142d)가 부재단부(123a 및 123b)사이에서 부재 (106a)에 제공되어 있다. 최소크기의 자기 흡인력은 제2가동부재와 자장 발생기가 최대직경의 개구부(142a)에 근접위치될 때 일어난다. 최대크기의 자기 흡인력은제2가동부재 및 이와관련된 자장 발생기가 인접 개구부 사이 또는 부재단부(123a, 123b)에 위치될 때 발생된다. 부재(106a)의 길이를 따라 제공되는 각각의 개구부에 대하여, 제2가동부재 및 이에 관련된 자장 발생기가 각각의 개구부와 정렬될때, 얻어지는 자장은 크기가 개구부(142a)에서보다 개구부(142b)에서 더 크고 : 크기가 개구부(142b)에서 보다 개구부(142c)에서 더 크고 : 크기가 개구부(142c)에서보다 개구부(142d)에서 더 크다. 가변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수단이 제1가동부재(106)의 형상을 수정함으로서 나타나있다. 본 출원인은 도8,9,10,11,13,14에 도시된 제1가동부재(106)의 다른 실시예가 사실상 일정한 자기 흡인력 및 가변적인 자기 흡인력을 제공하기에 적당한 제1가동부재의 실시예임을 제공한다. 제1가동부재의 수정은 소망하는 자기 흡인력을 발생함으로서 소망하는 크기의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제2가동부재(107a)는 제1 및 제2 개방단부(152, 154)를 갖는 외부 중공피스톤 또는 슬리브 부재(150)로 구성되어 있다. 부재(150)는 예컨대 플라스틱 같은 적당한 비자성 재료로 제조된다. 샤프트(120)의 단부(138)는 부재 단부(152)를 통하여 활주하며, 부재(150)의 중공내부에 위치된다. 캡(156)은 제1부재 단부(152)에 위치되어 제1개방단부를 밀폐시키는 역활을 한다. 판 및 샤프트 단부는 일정 거리로 분리되어 있다. 판은 예컨대 적당한 훼스너, 접착물질 또는 압력 맞춤 같은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제1단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자장 발생기(130)는 부재(150)의 중공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자석(112) 및 극편(113a, 113b)은 판(156)과 샤프트 단부(138)사이에서 적층 관계로 배향되어 있고, 극편(113b)은 판(156)에 위치되어있고, 극편(113a)은 막대단부(138)에 위치되어 있으며, 영구자석 부재(112)는 극편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자장(200)은 자석(112), 극편(113a, 113b) 및 제1가공부재(106) 사이에서 발생된다(도12 참조). 도시하고 기술한 바와같이, 제2가동부재는 부재(106)의 배열에 의하여 형성되는 체임버 내에서 이동가능하지만, 그 대안으로서 제2가동부재는 제1가동부재를 애워쌓을수 있고, 제2가동부재가 제1가동부재로부터 외향으로 제1가동부재에 대하여 변위될 때는 제1가동부재가 제2가동부재를 통과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 또는 기타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페이서 부재(115)는 자장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도록 자장을 발생하는 부재사이에 삽입될 수도 있다. 도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페이서 부재(115)는 얻어지는 자장 강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재(112 및 113b)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스페이서 부재는 비자성 물질로 제조된다. 제거 가능한 스페이서 부재는 자장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구성부품에서의 치수 변화를 수용하도록 자장 강도의 용이한 조절을 촉진시킨다. 통상적인 스냅 링(160)이 단부(138)에서 막대(120)의 길이를 따라 홈에 위치되어 있고, 와셔(162)가 스냅 링과 슬리브 단부(154)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당업자에 의하여 알수 있는 바와같이, 스냅 링과 와셔의 조합은 조립 유니트를 유지시키는 역활을 함은 물론 막대와 가동부재(107a) 사이에 사용중에 전개되는 응력을 제한 및 분배한다.
영구자석 부재(112)는 자기적으로 투과가능한 코어에서 고정위치에서 최소한 하나의 전자코일 부재로 대체될 수도 있다. 그와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이상의전자코일은 피스톤(154)에 세트될 수도 있다. 통상적인 전류원이 전자코일과 결합되어 전류를 와이어 같은 통상적인 전기연결을 통하여 코일에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코일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상술한 방식으로 제2가동부재를 향하여 제1가동부재를 당기는 자장을 발생한다. 자장을 생성하기 위해 전자코일 및 전류원의 사용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인 디자인을 가지며 그와같은 결합은 미국특허 제6,378,671호에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다. 전기적으로 스위치가능한 코일 및 전류원은 장치(102)에 의하여 공급되는 제동수준이 소망하는 선택적 방식으로 그리고 필요로 하는 크기로 전류를 인가함으로서 변화되게 한다.
예컨대 코일 스프링 같은 편중부재(170)가 제1단부 캡(118a)과 슬리브(150)의 제2단부(154)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편중 부재는 제2부재 단부(123b)를 향하여 제2가동부재(107a)를 편중시킨다. 편중부재는 자장(200)에 의하여 제공되는 장치(102)의 압축 및 신장에 대한 저항 이외에 장치(102)의 신장에 저항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준다.
도15, 16 및 17은 장치(102)내에서 일정한 축방향 위치에 제1가동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15에서, 제1가동부재(106)는 관상의 비자성 하우징(105a)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비자성 하우징은 탄성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동부재(106)는 하우징과 부재가 예컨대 통상적인 공정중에 제작된 후 결합공정에 의하여 하우징과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하우징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채널(111)을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채널은 한싸의 인접한 제1가동부재(106)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도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채널은 90°의 각도로 그 다음의 인접 채널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있다. 채널은 하우징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외부 하우징 주위를 지나 방상상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채널은 전술한 방식으로 장치(102)에서 부재(106)의 방사상 변위를 용이하게 한다. 이와는 반대로, 부재는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105a)은 전술한 제2가동부재(107a) 및 단부 캡(118a, 118b)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단부 캡(118b)에서 보스 부재는 배제될 수도 있다.
도16에서, 제1가동부재는 부재단부(123a)에서 가동부재(106)를 비자성 플러그(181)과 일체로 제조함으로서 일정한 축방향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플러그는 탄성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부재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이 성형 공정중에 다른 부재와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16의 실시예에서, 부재(106)의 양 단부(123b)는 각각의 가동부재가 캔틸레버 방식으로 지지되도록 자유롭다.
도17에서, 제1가동부재를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또 다른 형상의 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도17의 또 다른 형상에 있어서, 각각의 제1가동부재는 제1부재단부(123a)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27)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을 위해 배향되어 있는 바와같이, 플랜지 부재는 축(110)에 대하여 외향되어 있다. 각각의 부재(106)의 플랜지(127)는 제1가동부재 단부에 위치되는 비자성 칼라(182)의 내부를 따라 제공되는 환상 홈(183)에 착좌되어 있다. 칼라는 플랜지 부재를 덮는다. 제2부재단부(123b)(도시되지 않음)는 가동부재가 캔틸레버 방식으로 지지되도록 자유롭다. 도17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부재는 방사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자유로운 반면에 부재의 축방향 변위는 플랜지 부재와 칼라(182)의 상호연결에 의하여제한된다. 이와는 달리, 플랜지 부재(127)는 방사상 외방으로 향하여 비자성 칼라에 형성된 환상 홈(183)에 위치될 수 있다.
작동시, 진동 요란이 장치(102)에 부여되면, 제2가동부재(107a)는 종방향 축(110)을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부재(107a)가 변위되면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한 이산 제1가동부재(106)는 제1가동부재와 자장 발생기(130)사이에서 자기 흡인력에 의하여 제2가동부재 하우징(154)을 향하여 당기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부재는 방사상 내측으로 당기어 지거나 또는 변위된다. 자기 흡인력은 진동 요란을 오프셋하는데 요하는 제동력을 제공한다. 제동력은 부재(106 및 107a) 사이에서 제2가동부재의 변위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활주 인터페이스에 인가된다. 부재가 시간의 경과로 마멸되면, 수직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외에, 수직력은 구성부품의 크기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5)

  1. (a) 최소한 하나의 이산 제1가동부재 :
    (b)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에 근접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제2가동부재 : 및
    (c) 자장이 자장 발생기에 의하여 공급되어 운동제어력을 발생할 때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가 제2가동부재에 끌어 당기어지게 하는 자장 발생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장치는 다수의 제1가동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2가동부재는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이산 핑거를 포함하는 제1가동부재는 상기 축에 대하여 환상배열로 일정간격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핑거는 체임버를 형성하고, 상기 제2가동부재는 상기 체임버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의 각각은 상기 제2가동부재를 향하여 상기 제2가동부재로부터 떨어져 이동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이산 제1가동부재의 각각은 방사방향으로 제2가동부재에 자기적으로 끌어 당기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의 각각은 위치설정수단에 의하여 필요로하는 종방향 위치에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수단은 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제1가동부재의 상기 최소한 하나는 측방향 치수 및 축방향 치수를 포함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가동부재의 최소한 하나의 측방향 치수는 상기 제1가동부재의 단위 길이에 대하여 가변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의 각각은 대향 단부를 가지며, 측방향 치수는 대향 단부 사이의 대략 절반거리의 위치에서 최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장치는 하우징 체임버를 형성하는 외측 하우징 부재를 또한 포함하고,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 및 제2가동부재는 상기 하우징 체임버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제2가동부재는 두개의 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자장 발생기는 극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극 및 자장 발생기는 제2가동부재 하우징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제2가동부재는 최소한 하나의 전자 코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제2가동부재 하우징은 비자성 재료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장치는 하우징 체임버를 형성하는 외측 하우징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외측 하우징은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포함하며,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 및 제2가동부재는 상기 하우징 체임버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단부는 제1 및 제2단부 캡에 의하여 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장치는 하우징 체임버를 형성하는 외측 하우징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외측 하우징은 제1개방 단부 및 제2 밀폐단부를 포함하며,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 및 제2가동부재는 상기 하우징 체임버에 위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 단부는 제1단부 캡에 의하여 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장치는 제2하우징 단부를 향하여 제2가동부재를 편중시키기 위한 편중 수단을 또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편중수단은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제1단부 캡과 제2가동부재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는 외측 하우징과 일체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외측 하우징은 비자성 재료로 구성되고, 인접 제1가동부재의 각각의 쌍은 가요성 리브에 의하여 일체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제2가동부재는 샤프트 부재와 일체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자장 발생기는 최소한 하나의 영구자석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자장 발생기는 두개의 극, 및 자석과 하나의 극 사이에 위치되는 비자성 스페이서 부재로 또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비자성 스페이서 부재는 자석과 극 사이에 제거가능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장치는 일정한 제동력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장치는 가변 제동력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는 모래시계 형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는 일측 단부에 최대 측방향 치수를 가지며, 대향 단부에 최소 측방향 치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는 제1가동부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개구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는 제1가동부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개구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는 슬로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33. 제1항에 있어서, 장치는 가변 제동력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34. 제26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는 제1치수 및 제2치수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치수는 일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35. (a)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 :
    (b)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에 근접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제2가동부재 : 및
    (c) 자장이 자장 발생기에 의하여 공급되어 운동제어력을 발생할 때 최소한 하나의 제1가동부재가 제2가동부재를 압착하도록 하는 자장 발생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KR10-2004-7002003A 2001-08-27 2002-08-21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및 트롤리 와이어서스펜션에서의 그의 용도 KR200400357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56674A JP4333939B2 (ja) 2001-08-27 2001-08-27 トロリ線の吊架装置
JPJP-P-2001-00256674 2001-08-27
PCT/US2002/026536 WO2003019037A1 (en) 2001-08-27 2002-08-21 Magnetically actuated motion control device and its use in trolley wire suspens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661A Division KR20090125825A (ko) 2001-08-27 2002-08-21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728A true KR20040035728A (ko) 2004-04-29

Family

ID=190844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003A KR20040035728A (ko) 2001-08-27 2002-08-21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및 트롤리 와이어서스펜션에서의 그의 용도
KR1020097021661A KR20090125825A (ko) 2001-08-27 2002-08-21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661A KR20090125825A (ko) 2001-08-27 2002-08-21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21294B1 (ko)
JP (1) JP4333939B2 (ko)
KR (2) KR20040035728A (ko)
DE (1) DE60216778T2 (ko)
TW (2) TW539632B (ko)
WO (1) WO20030190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6471B2 (ja) * 2006-07-11 2011-12-28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トロリ線の吊架装置
FR2920774B1 (fr) 2007-09-06 2009-10-30 Galderma Res & Dev Nouveaux derives de n-phenul acatamide, inhibiteurs de l'enzyme soat-1,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t cosmetiques les contentant
JP5379429B2 (ja) * 2008-08-29 2013-12-25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放熱電車線装置
JP2010230168A (ja) * 2010-05-06 2010-10-14 Lord Corp 磁気作動運動制御装置
CN101898525B (zh) * 2010-06-28 2012-08-22 中铁电气化局集团有限公司 铁路电气化接触网工具吊弦
JP2015131621A (ja) * 2014-01-15 2015-07-23 三和テッキ株式会社 トロリ線吊架装置
WO2017112729A1 (en) * 2015-12-21 2017-06-29 Lord Corporation Improved seat-damp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AU2017285763B2 (en) 2016-06-17 2024-02-01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Anti-C5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IT201600077791A1 (it) * 2016-07-25 2018-01-25 Officina Flii Bertolotti S P A Pendino perfezionato per un filo di contatto sospeso di una linea ferroviaria e linea elettrica comprendente tale pendino
CN106930914A (zh) * 2017-03-20 2017-07-07 河南科技大学 一种电动汽车馈能悬架发电装置
CN108930133A (zh) * 2017-05-24 2018-12-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用吊杆组件及波轮洗衣机
CN108843726B (zh) * 2018-07-09 2020-07-31 铜陵市兆林工贸有限责任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避震器
CN109681525B (zh) * 2018-12-10 2020-10-02 南京磁之汇电机有限公司 磁悬浮轴承及电机
IT201900001731A1 (it) * 2019-02-06 2020-08-06 Officina Flii Bertolotti S P A Pendino di supporto per un filo di contatto sospeso di una linea aerea di alimentazione elettrica ferroviaria e linea aerea elettrica ferroviaria comprendente tale pendino
KR102208355B1 (ko) * 2019-04-12 2021-01-28 (주)바이브록 전차선로용 스프링 드로퍼 및 이를 포함하는 절연구분장치
KR102500773B1 (ko) * 2021-02-26 2023-02-15 김학기 마그네틱 스프링장치
CN114033623B (zh) * 2021-10-15 2023-09-08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风力发电机组塔架的位移调谐质量阻尼器
EP4249322A1 (en) * 2022-03-25 2023-09-27 Mosdorfer GmbH Dropper with a spring-damper element for overhead lin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0160A (ja) * 1991-08-27 1993-03-09 Kayaba Ind Co Ltd 電磁式フリクシヨンダンパ
JPH06171402A (ja) 1992-12-04 1994-06-21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ダンパー付ハンガイヤ
JP3696358B2 (ja) * 1996-12-27 2005-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減衰力可変式ダンパ
JPH112277A (ja) * 1997-06-13 1999-01-06 Honda Motor Co Ltd 減衰力可変式ダンパ
US6378671B1 (en) 2000-03-29 2002-04-30 Lord Corporation Magnetically actuated motion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16778T2 (de) 2007-10-18
TW531602B (en) 2003-05-11
EP1421294A1 (en) 2004-05-26
JP4333939B2 (ja) 2009-09-16
EP1421294B1 (en) 2006-12-13
WO2003019037A1 (en) 2003-03-06
KR20090125825A (ko) 2009-12-07
TW539632B (en) 2003-07-01
JP2003080976A (ja) 2003-03-19
DE60216778D1 (de)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35728A (ko)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운동제어장치 및 트롤리 와이어서스펜션에서의 그의 용도
EP0574574B1 (en) Actuator for active vibration control
JP2011505114A (ja) 機械的振動エネルギを電気エネルギに変換する電気機械式発電機
CN101273514B (zh) 用于将机械振动能转化为电能的机电式发电机
US20080174187A1 (en) Vibrator Tube
JP7350004B2 (ja) 機械的振動エネルギーを電気エネルギーに変換するための電気機械発電機
JP2021519571A (ja) 機械的振動エネルギーを電気エネルギーに変換するための電気機械発電機
US20210099064A1 (en) An Electromechanical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JP4846471B2 (ja) トロリ線の吊架装置
JP2005501207A (ja) 磁気作動運動制御装置
CN104393735A (zh) 采用磁性液体和永磁铁组合结构的直线振动能量采集器
CN215120614U (zh) 一种压电式振动能量回收装置
JP2010230168A (ja) 磁気作動運動制御装置
US7280020B2 (en) Magnetic inertial force generator
CN109058361B (zh) 磁性动态阻尼组件
RU2091947C1 (ru) Распорка для проводов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JP2005009625A (ja) トーションバー固定具
KR101202569B1 (ko) 전자석을 이용한 동적흡진기
WO2023190035A1 (ja) 発電機
US2547361A (en) Pickup head using torsional mount for armatures
JPH0993900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H0510545Y2 (ko)
JPS6221342Y2 (ko)
JPH01199029A (ja) 磁石スプリング
CN116015099A (zh) 基于挠性导轨的电磁式振动能源采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17

Effective date: 2010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