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300A -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300A
KR20040035300A KR1020020064092A KR20020064092A KR20040035300A KR 20040035300 A KR20040035300 A KR 20040035300A KR 1020020064092 A KR1020020064092 A KR 1020020064092A KR 20020064092 A KR20020064092 A KR 20020064092A KR 20040035300 A KR20040035300 A KR 20040035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words
word
vowels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3076B1 (ko
Inventor
강명수
Original Assignee
강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수 filed Critical 강명수
Priority to KR10-2002-0064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076B1/ko
Publication of KR2004003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음과 모음의 구별 및 이에 따른 글자의 구분을 통해 단어의 띄어읽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영어 학습물에 글자를 인쇄함에 있어서, 영어단어(10)를 구성하는 글자(11)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20)와 한글로 읽을 수 있도록 된 한글 표기(30) 각각의 자음(12),(22),(32)과 모음(13),(23),(33)을 각각 다른 색상으로 구별되도록 표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A words indication method for understand and memory work of an English words}
본 발명은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음과 모음의 구별 및 이에 따른 글자의 구분을 통해 단어의 띄어읽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어는 현대를 살아가면서 필수적인 제 2 외국어이며, 이와 같은영어를 배우고자 하는 열풍이 전세계적으로 불고 있다.
그러나, 영어에 처음 입문하는 어린아이들과 노인들에게는 영어 단어 자체가 매우 생소하며 단어 자체를 읽기조차 힘든 것이 현실이며, 이로 인해 대다수 사람들이 흥미를 잃고 쉽게 포기하고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영어단어의 구조 자체가 한글과 매우 상이하여 이를 조합적으로 읽어서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영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어 학습물에는 영어 교과서, 사전, 영어 학습서 등과 같은 서적이나 기타 영어 단어가 인쇄된 책받침 또는 학습보드가 있으며, 이와 같이 지면에 인쇄되는 문자는 하나의 색상(대부분 검정색)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색상으로 표기된 영문자(영어 단어는 각각의 알파벳이 가로로 나열됨)는 자음과 모음의 구별이 난해하여 읽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영어 단어에 따른 발음기호와 이에 해당하는 한글 표기 문자의 구분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영어를 처음 배우는 어린이나 노인들이게는 단어를 이해하거나 암기하기에 매우 난해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자음과 모음의 구별 및 이에 따른 글자의 구분을 통해 단어의 띄어읽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영어 단어의 이해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을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어 학습물에 글자를 인쇄함에 있어서, 영어 단어(10)를 구성하는 글자(11)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20)와 한글로 읽을 수 있도록 된 한글 표기(30) 각각의 자음(12),(22),(32)과 모음(13),(23),(33)을 각각 다른 색상으로 구별되도록 표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기 방법을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영어 단어 11 : 영어 글자
12,22,32 : 자음 13,23,33 : 모음
20 : 영어 발음기호 30 : 한글표기
31 : 한글 글자
본 발명의 설명을 돕기 위한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도 1은 본 발명의 표기 방법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어 학습물에 글자를 인쇄함에 있어서, 영어 단어(10)를 구성하는 글자(11)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20)와 한글로 읽을 수 있도록 된 한글 표기(30) 각각의 자음(12),(22),(32)과 모음(13),(23),(33)을 각각 다른 색상으로 구별되도록 표기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서 된 본 발명을 첨부 도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goat"라는 영어 단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익히고자 하는 영어 단어인 "goat"를 맨 윗줄에 표기하고, 두 번째 줄에 "goat"의 발음기호인 "gout"를 표기하고, 세 번째 줄에 한글 표기인 "고우트"를 표기하며, 마지막 줄에 "goat"의 해석인 "염소"를 표기한다.
이때, 영어 단어 상부에 염소 그림을 그려 넣음으로써 영어 단어를 쉽게 이해하고 암기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표기 방법은 대부분의 영어 학습물이 대동소이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영어 단어, 발음기호, 한글표기 및 해석의 순으로 순차 나열시켜 인쇄 시, 영어 단어의 글자중 자음에 해당하는 "g"와 "t"를 검정색으로 표기하고 모음에 해당하는 "o"와 "a"를 파란색으로 표기하여 영어 단어를 글자의 구간 별로 끊어서 읽을 수 있도록 구획시키고, 발음기호 역시 자음에 해당되는 "g"와 "t"를 검정색으로 표기하고 모음에 해당하는 "o"와 "a"를 파란색으로 표기하여 영어 단어를 글자의 구간 별로 끊어서 읽을 수 있도록 구획시키고, 상기와 같이 구획된 영어 단어에 따라 읽을 수 있도록 된 한글 표기 부분 역시 자음에 해당하는 "ㄱ"과 "ㅌ"을 검정색으로 하고 모음에 해당하는 "ㅗ"와 "ㅜ"를 파란색으로 하여 자음과 모음으로 결합된 각각의 글자가 획실하게 구분되도록 하되, 자음 또는 모음 자체가 하나의글자가되는 부분, 즉, "우" 나 "트"의 경우 "우"에서 자음인 "o"의 경우와 "트"에서 모음인 'ㅡ"의 경우에는 무색으로 테두리만 표시하여 영어 단어를 우리말로 읽기 쉽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과 같이 영어 단어와 이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 및 한글 발음 표기상의 각 글자에 대한 자음과 모음의 색상을 구별시켜 영어 단어를 한글로 읽기 쉽게 되면 영어 단어를 이해하기 쉬울 뿐 아니라, 영어 단어의 스펠링(spelling : 철자)을 암기하기에도 용이하게 되어 많은 양의 영어 단어를 매우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영어 교과서, 사전, 영어 학습서 등과 같은 서적이나 기타 영어 단어가 인쇄된 책받침 또는 학습 보드 등 각종 영어 학습물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자음과 모음의 구별 및 이에 따른 글자의 구분을 통해 단어의 띄어읽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영어 단어의 이해력 및 암기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영어 학습물에 글자를 인쇄함에 있어서, 영어 단어(10)를 구성하는 글자(11)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20)와 한글로 읽을 수 있도록 된 한글 표기(30) 각각의 자음(12).(22),(32)과 모음(13),(23),(33)을 각각 다른 색상으로 구별되도록 표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
KR10-2002-0064092A 2002-10-19 2002-10-19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 KR100453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092A KR100453076B1 (ko) 2002-10-19 2002-10-19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092A KR100453076B1 (ko) 2002-10-19 2002-10-19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300A true KR20040035300A (ko) 2004-04-29
KR100453076B1 KR100453076B1 (ko) 2004-10-15

Family

ID=3733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092A KR100453076B1 (ko) 2002-10-19 2002-10-19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0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7155A2 (en) * 2007-05-31 2008-12-04 Jae Bong Choi Language training contents providing system
KR101232455B1 (ko) * 2012-04-19 2013-02-12 신경순 단어 암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129B1 (ko) * 2011-06-17 2014-05-28 고대건 문자 표시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온라인 한글 교육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7155A2 (en) * 2007-05-31 2008-12-04 Jae Bong Choi Language training contents providing system
WO2008147155A3 (en) * 2007-05-31 2009-02-19 Jae Bong Choi Language training contents providing system
KR101232455B1 (ko) * 2012-04-19 2013-02-12 신경순 단어 암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3076B1 (ko) 200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erhoeven et al. Learning to read across languages and writing systems
Abu–Rabia Reading in a root–based–morphology language: the case of Arabic
Hanley et al. 10 Learning to read Chinese
Abu-Rabia The effect of Arabic vowels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second-and sixth-grade native Arab children
US4443199A (en) Method of teaching the pronounciation and spelling and distinguishing between the written and spoken form of any language
US4030211A (en) Instructional system for teaching and testing word pronunciation and spelling
US8131538B2 (en) Phoneme decoding system and method
Sipra Impact of English orthography on L2 acquisition
KR20060111602A (ko) 언어 발음 시스템 및 언어 발음 방법
WO2000060560A1 (en) Text processing and display methods and systems
KR20070009569A (ko) 알파벳 발음 코딩용 시스템
KR200493135Y1 (ko) 음각 글자가 형성된 한글쓰기 글자판
Barnitz Orthographies, bilingualism and learning to read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KR100453076B1 (ko)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
KR102624420B1 (ko) 중국어 교재
KR200198356Y1 (ko) 한글쓰기 연습장
Tao et al. Oral reading practice in China's elementary schools: A brief discussion of its unique roots in language, culture, and society
KR100733484B1 (ko) 영어 교육용 블럭 세트
KR20090063988A (ko)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JP2005140879A (ja) 英語学習装置及び英語学習用具
Odinye Mandarin Chinese Pinyin: Pronunciation, Orthography and Tone
Grimes et al. Several Kru Orthographies
KR20020040921A (ko)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JP3105025U (ja) 米英単語学習用教材
Schroeder Popularizing a Practical Sinama Orthography Based on its Unique Language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