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198A - 공 발사 장치 - Google Patents

공 발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198A
KR20040035198A KR1020020063958A KR20020063958A KR20040035198A KR 20040035198 A KR20040035198 A KR 20040035198A KR 1020020063958 A KR1020020063958 A KR 1020020063958A KR 20020063958 A KR20020063958 A KR 20020063958A KR 20040035198 A KR20040035198 A KR 20040035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air cylinder
shooting
sensor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6810B1 (ko
Inventor
흥 리 블레쓰
조승호
Original Assignee
흥 리 블레쓰
조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흥 리 블레쓰, 조승호 filed Critical 흥 리 블레쓰
Priority to KR10-2002-0063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8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35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63B2024/0031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at the starting p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 발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을 사람이 아닌 기계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축구 선수)가 혼자서도 연습을 할 수 있고, 발사되는 공의 각도와 방향, 그리고 속도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원격 조정에 의해 공을 발사할 수 있는 공 발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 발사 장치는, 공을 다수 개 수납할 수 있는 공 수납함; 상기 공을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으로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여 발사하는 공 발사대; 및 상기 공 수납함에 있는 공을 상기 공 발사대로 하나씩 공급하는 공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 발사 장치{BALL SHOO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 발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을 사람이 아닌 기계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사할 수 있도록 한 공 발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 혹은 배구공 등의 각종 공을 이용하여 운동하는 자들에게 개인기술의 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해서 감독 또는 코치 등 보조자가 발로 차 주던지 손으로 던져서 공 혹은 배구공을 각 선수들의 훈련 위치에 분배하여 훈련효과를 배가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 따라서 운동을 할 때는 상대방 즉, 보조자가 항상 보조역할을 해야 하며, 상기 보조자는 선수에게 필요한 위치에 정확하게 공을 분배시키기 위한 숙달된 기술을 가진 자이어야만 한다. 따라서, 인력의 소모가 많고, 상기 보조자는 많은 선수들을 상대하게 되면서 힘이 들고 일정한 방향과 각도로 공을 차거나 던져줄 수 없게 되면서 능률적인 연습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공을 사람이 아닌 기계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혼자서도 연습을 할 수 있는 공 발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사되는 공의 각도와 방향, 그리고 속도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공 발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 조정에 의해 공을 발사할 수 있는 공 발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 발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 발사 장치에서 공을 발사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 발사 장치에서 공을 발사 위치에 안착시키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a는 본 발명의 공 발사 장치에서 공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타격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슈팅용 에어실린더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공 발사 장치에서 제 1 내지 제 3 슈팅용 에어실린더가 공에 타격하는 지점을 표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 발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 수납함12 : 본체
14 : 바퀴16 : 공 유출관
18a, 18b : 공 장전용 밸브20 : 공
22 :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22a : 공 받침대
24 : 공발사대 회전용 구동모터
26 : 공발사대 지지대
28 : 공발사대 회전판30 : 공발사대
32 : 램프
34 :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35 : 공 받침대
36, 52, 62, 72 : 공 슈팅용 아암36a : 타격부
36b : 연결축끼움구멍36c : 회전축끼움구멍
38 :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
38a, 50a, 60a, 70a : 피스톤 축40 : 제 1 센서
42 : 제 2 센서
50 : 제 1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
60 : 제 2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
70 : 제 3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
100 : 공 발사 장치
118 : 공 공급 밸브부
200 : 제어부210 : 수신부
220 : 고주파 증폭부230 : 전원부
240 : 입력패드부
250 : 공 발사각도 조정용 구동모터300 : 리모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 발사 장치는,
공을 다수 개 수납할 수 있는 공 수납함;
상기 공을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으로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여 발사하는 공 발사대; 및
상기 공 수납함에 있는 공을 상기 공 발사대로 하나씩 공급하는 공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 수납함, 상기 공 발사대 및 상기 공 유출관을 탑재하는 제 1 몸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몸체부는, 회전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상기 공 발사대를 상기 회전판 위에 설치하는 지지대; 및 상기 공 발사대의 상하 각도를 조정하는 공 발사각도 조정용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 발사 장치는, 상기 제 1 몸체부를 위로 들어올리는 높이조절용 에어실린더; 및 상기 높이조절용 에어실린더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몸체부를 지지하는 제 2 몸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몸체부에는 바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 발사대는, 상기 공 유출관으로부터 공급된 공을 안착하여 슈팅 위치로 이송하는 제 1 공 받침대; 상기 제 1 공 받침대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조정하는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 상기 슈팅 위치에 이송된 상기 공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타격하는 복수개의 공 슈팅용 아암; 및 상기 복수개의 공 슈팅용 아암이 일정 반경을 가지고 각각 움직이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 발사대는, 상기 공이 상기 공 발사대를 빠져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제 1 공 받침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 발사대는, 상기 제 1 센서와 제 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신호에 의해 공의 발사 준비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램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와 상기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는 상기 제 1 센서와 제 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 수납함은, 상기 공 유출관 쪽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 유출관은 일측에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 및 공 받침대가 설치되고, 타측에 공 장전용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 장전용 밸브는 상기 제 1 센서와 상기 제 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공 발사 장치는,
공을 다수 개 수납할 수 있는 공 수납함;
상기 공을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으로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여 발사하는 공 발사대; 및
상기 공 수납함에 있는 공을 상기 공 발사대로 하나씩 공급하는 공 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공 발사대는, 상기 공 유출관으로부터 공급된 공을 안착하여 슈팅 위치로 이송하는 제 1 공 받침대; 상기 제 1 공 받침대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조정하는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 상기 슈팅 위치에 이송된 상기 공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타격하는 복수개의 공 슈팅용 아암; 상기 복수개의 공 슈팅용 아암이 일정 반경을 가지고 각각 움직이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 상기 공이 상기 공 발사대를 빠져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제 1 공 받침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공 유출관은, 일측에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 및 공 받침대가 설치되고, 타측에 공 장전용 밸브가 설치되며,
사용자의 리모컨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한 입력패드부; 및
상기 수신부, 상기 입력패드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 상기 다수개의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 상기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 상기 공 장전용 밸브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 수납함, 상기 공 발사대 및 상기 공 유출관을 탑재하는 제 1 몸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몸체부는, 회전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상기 공 발사대를 상기 회전판 위에 설치하는 지지대; 및 상기 공 발사대의 상하 각도를 조정하는 공 발사각도 조정용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판 구동모터와 상기 공 발사각도 조정용 구동모터는 상기 리모컨과 상기 입력패드부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 발사 장치는, 상기 제 1 몸체부를 위로 들어올리는 높이조절용 에어실린더; 및 상기 높이조절용 에어실린더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몸체부를 지지하는 제 2 몸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용 에어실린더는 상기 리모컨과 상기 입력패드부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몸체부에는 바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 발사대는, 상기 제 1 센서와 제 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신호에 의해 공의 발사 준비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램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 수납함은, 상기 공 유출관 쪽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축구공 발사 장치를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 들었으나 다른 공을 이용한 운동연습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 발사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공 발사 장치(100)에서 공을 발사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 발사 장치(100)는 바퀴(14)가 달린 본체(12) 위에 설치되는 공 발사대(30)와 공 수납함(10)을 구비한다.
상기 공 발사대(30)는 상기 본체(12) 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공발사대 회전판(28) 위에 지지대(26)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26)는 공발사대 각도 조정용 모터(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상기 공 발사대(30)의 각도를 상하로 조절하여 공이 발사되는 각도를 조절한다. 이 때, 상기 공발사대 각도 조정용 모터는 리모컨 또는 입력 패드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공 발사대(30)는 상기 공발사대 각도 조정용 모터에 의해 공이 발사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발사대 회전판(28)은 공발사대 회전용 구동모터(24)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공 발사대(30)의 좌우 방향을 조절한다. 이 때, 상기 공발사대 회전용 구동모터(24)는 상기 리모컨(도 5) 또는 상기 입력 패드부(도 5)의 조작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공 발사대(30)는 상기 공발사대 회전용 구동모터(24)에 의해공이 발사되는 좌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 발사대(30)와 함께 상기 본체(12) 위에 설치된 공 수납함(10)은 다수개의 공을 수납하는 곳이다. 상기 공 수납함(10)과 상기 공 발사대(30) 사이에는 공 유출관(16)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 유출관(16)은 상기 공 수납함(10)에 수납된 공(20)을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22)에 의해 상기 공 발사대(30)로 하나씩 공급한다.
한편, 상기 공 유출관(16)은 상기 공 수납함(10)에서 상기 공 발사대(30)로 공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파이프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 유출관(16)의 유출 단부에는 공 장전용 밸브(18a)(18b)가 설치되고, 상기 공 유출관(16)의 유입 단부에는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22)는 상기 공 수납함(10)에 수납된 공(20)을 자신의 공 받침대(22a)에 하나씩 올려서 상기 공 장전용 밸브(18a)(18b)가 있는 쪽으로 발사한다. 이 때, 상기 공 수납함(10)에 있는 공(20)이 상기 공 받침대(22a)에 하나씩 올라가는 방법은 상기 공 받침대(22a)가 있는 쪽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공 장전용 밸브(18a)(18b)는 상기 공 발사대(30)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20)이 발사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 1 센서(40)(도 2 참조)의 신호에 의해 상기 공 발사대(30)의 내부로 공(20)을 하나씩 공급한다.
또한, 상기 공(20)이 공 발사대(30)에서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는 상기 제 1 센서(40)의 신호에 의해 공이 정 위치에 재 장전된다. 이 때, 공이 정 위치에 재장전되는 동작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공(20)이 발사(발사)되면, 이를 상기 제 1 센서(4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도 5 참조)로 감지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34)를 동작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 받침대(35)를 위로 상승시킨다. 그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 유출관(16) 내부에 있는 공 장전 밸브(18a)(18b)를 동작시켜 공(20) 하나를 상기 공 받침대(35) 위에 올려놓는다. 그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34)를 동작시켜 상기 공 받침대(35)를 발사 위치(정 위치)로 하강시킨다.
상기 공 발사대(30)는 정 위치에 놓여진 공(20)을 발사하기 위한 공 슈팅용 아암(36)을 구비한다. 상기 공 슈팅용 아암(36)은 일측에 공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36a)가 형성되고, 타측에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38)의 피스톤 축(38a)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축끼움구멍(36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 슈팅용 아암(36)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회전축끼움구멍(36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 슈팅용 아암(36)은 상기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38)에 의해 일정한 반경을 가지고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 발사대(30) 위에는 램프(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램프(32)는 상기 공 발사대(30)의 공 받침대(35)가 공(20)을 발사하기 위한 위치(정 위치)에 왔을 때 이를 감지한 제 2 센서(42)에 의해 제 1 램프광(녹색)을 발생한다. 따라서, 운동을 하는 사용자(축구 선수)는 상기 램프(32)에 켜진 제 1 램프광(녹색)을 보고 공을 받을 준비를 한다.
또한, 상기 램프(32)는 상기 공(20)이 발사된 이후 상기 공 받침대(35)가 정 위치를 벗어났을 때에는 이를 감지한 상기 제 2 센서(42)에 의해 제 2 램프광(적색)을 발생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축구 선수)는 제 1 램프광(녹색)이 켜지기 전에 다음 위치로 이동하거나 또는 제 1 램프광(녹색)이 켜질 때까지 잠시 숨을 돌릴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공 발사 장치에서 공(20)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타격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슈팅용 에어실린더(50)(60)(7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슈팅용 에어실린더(50)(60)(70)가 공(20)에 타격하는 지점을 표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슈팅용 에어실린더(50)는 공(20)의 왼쪽 부분(A)을 타격하여 공에 회전을 주도록 한 것이고, 상기 제 2 슈팅용 에어실린더(60)는 공(20)의 정면 하단부(B)를 타격하여 공이 직선으로 날아가도록 한 것이고, 상기 제 3 슈팅용 에어실린더(70)는 공(20)의 오른쪽 부분(C)을 타격하여 공에 회전을 주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슈팅용 에어실린더(50)(60)(70) 및 상기 공 슈팅용 아암(52)(62)(72)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슈팅용 에어실린더(38) 및 상기 공 슈팅용 아암(36)과 구성 및 동작원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 발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 발사 장치(100)는 공 공급 밸브부(118),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22), 공 발사대 회전용 구동모터(24), 램프(32),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34), 제 1 센서(40), 제 2 센서(42), 제 1 슈팅용 에어실린더(150), 제 2 슈팅용 에어실린더(160), 제 3 슈팅용 에어실린더(170), 제어부(200), 수신부(210), 고주파 증폭부(220), 전원부(230), 입력패드부(240), 공 발사각도 조정용 구동모터(250), 리모컨(300)을 포함한다.
상기 공 발사 장치(100)는 상기 리모컨(300) 또는 상기 입력 패드부(240)의 제어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수신부(210)는 상기 리모컨(3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고주파 증폭부(220)는 상기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상기 전원부(230)는 상기 공 발사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부분으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곳으로, 직류 또는 교류 전원을 사용한다.
상기 제 1 센서(40)는 상기 공 발사대(30)에서 공(20)이 발사되는 것을 감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200)로 발생한다.
상기 제 2 센서(42)는 상기 공 받침대(35)의 위치를 검출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200)로 발생한다. 이 때, 상기 공 받침대(35)는 상기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34)에 의해 공(20)을 발사 위치에 갖다 놓는다.
상기 램프(32)는 상기 공 발사대(30)의 공 받침대(35)가 공(20)을 발사하기 위한 위치(정 위치)에 왔을 때 제 1 램프광(녹색)을 발생하고, 상기 공(20)이 발사된 이후 상기 공 받침대(35)가 정 위치를 벗어났을 때에는 제 2 램프광(적색)을 발생한다. 상기 램프(32)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를 받으며,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2 센서(42)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 상기 램프(32)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공 공급 밸브부(118)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를 받으며,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센서(4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 상기 공 공급 밸브부(118)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공 공급 밸브부(118)는 공(20)이 상기 공 발사대(30)로부터 발사(발사)되면 이를 감지한 상기 제 1 센서(40)의 출력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밸브(18a)(18b)를 오픈 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리모컨(300)이나 상기 입력패드부(240)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공 공급 밸브부(118)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22)는 상기 공 수납함(10)에 수납된 공(20)을 자신의 공 받침대(22a)에 올려서 상기 공 장전용 밸브(18a)(18b)가 있는 쪽으로 하나씩 발사한다. 상기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22)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으며,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센서(40)의 출력 신호에 의해 상기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22)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리모컨(300)이나 상기 입력패드부(240)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22)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공 발사대 회전용 구동모터(24)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 발사대(30)를 회전시킨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리모컨(300) 또는 상기 입력패드부(24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 상기 공 발사대 회전용 구동모터(124)를 제어한다.
상기 공 발사각도 조정용 구동모터(25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 발사대(30)의 각도를 상하로 조절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리모컨(300) 또는 상기 입력패드부(24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 상기 공 발사각도 조정용 구동모터(24)를 제어한다.
상기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34)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 받침대(35)를 상하로 움직여서 공(20)을 발사 위치에 올려놓는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센서(40)의 출력 신호에 의해 상기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34)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리모컨(300)이나 상기 입력패드부(240)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34)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슈팅용 에어실린더(50)(60)(7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발사 위치에 놓여진 공(20)을 타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2 센서(42)의 출력 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내지 제 3 슈팅용 에어실린더(50)(60)(7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리모컨(300)이나 상기 입력패드부(240)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내지 제 3 슈팅용 에어실린더(50)(60)(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 발사 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축구 선수)는 상기 공 발사 장치(100)를 적절한 위치에 갖다놓고 리모컨(300)이나 또는 입력 패드부(240)를 이용하여 전원을 턴-온시킨다.
그 후, 상기 공 발사대(30)의 각도와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자(축구 선수)가 원하는 지점으로 공이 날아오도록 조절한다. 이 때, 상기 공 발사대(30)의 각도는 상기 공 발사각도 조정용 구동모터(250)를 조정하여 조절하고, 상기 공 발사대(30)의 방향은 상기 공발사대 회전용 구동모터(24)를 조정하여 조절한다.
상기 공 발사대(30)의 각도와 방향이 조절되었으면, 사용자(축구 선수)는 리모컨(30)의 플레이(play)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눌러 공(20)이 발사되도록 한다.
상기 플레이 버튼에 의해 공(20)이 발사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22)에 의해 상기 공 수납함(10)에 있는 공(20)이 상기 공 유출관(16)을 통해 상기 공 장전용 밸브(18a)로 보내진다. 이 때, 공 수납함(10)에 있는 공(20)은 바닥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22)의 공 받침대(22a)에 하나씩 올려진다.
그 후, 상기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34)에 의해 공 받침대(35)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로 상승된다.
그 후, 상기 공 유출관(16) 내부에 있는 공 장전 밸브(18a)(18b)가 동작하여 공(20) 하나를 상기 공 받침대(35) 위로 올려놓는다.
그 후, 상기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34)에 의해 상기 공 받침대(35)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사 위치(정 위치)로 하강된다.
상기 공 받침대(35)가 발사 위치에 오면, 상기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38)가 동작하여 공 슈팅용 아암(36)이 상기 공(20)을 타격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공(20)이 공 발사대(30)에서 발사되어 날아간다.
여기서, 상기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38) 및 상기 공 슈팅용 아암(36)은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3개가 구성되어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20)의 좌측부(A), 중앙부(B) 및 우측부(C)를 각각 타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공(20)의 좌측부(A)를 타격하면 공이 우측으로 회전하며 날아가고, 우측부(C)를 타격하면 공이 좌측으로 회전하며 날아가고, 중앙부(B)를 타격하며 직선으로 날아간다.
상기 공(20)이 상기 공 발사대(30)를 떠나 날아갈 때, 상기 제 1 센서(40)는 이를 감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센서(4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 상기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22), 공 장전 밸브(18a)(18b), 상기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34) 및 공 받침대(35)를 각각 동작시켜 공(20)을 발사 위치에 갖다 놓는다. 이 때, 상기 공 받침대(35)가 발사 위치에 안착되면 상기 제 2 센서(42)는 이를 감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2 센서(42)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 상기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38) 및 상기 공 슈팅용 아암(36)을 동작시켜 공(20)을 타격한다.
이 이후의 동작은 상기 동작과 반복되어 연속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공(20)을 타격하기 위한 3개의 상기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38) 및 상기 공 슈팅용 아암(36)은 사용자(축구 선수)가 상기 리모컨(30) 또는 상기 입력패드부(240)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 발사 장치는 축구공, 배구공 뿐만 아니라 구기종목에서 사용하는 공을 이용하여 운동 연습을 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 발사 장치는 공을 사람이 아닌 기계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축구 선수)가 혼자서도 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 발사 장치는 발사되는 공의 각도와 방향, 그리고 속도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 발사 장치는 원격 조정에 의해 공을 발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 발사 장치는 비교적 소형, 경량으로서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고 어디든지 쉽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한 힘에 의해 발사되는 공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그리고 연속적으로 발사하게 됨에 따라 운동선수의 기량을 배양시키기에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공 발사 장치에 있어서,
    공을 다수 개 수납할 수 있는 공 수납함;
    상기 공을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으로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여 발사하는 공 발사대; 및
    상기 공 수납함에 있는 공을 상기 공 발사대로 하나씩 공급하는 공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 수납함, 상기 공 발사대 및 상기 공 유출관을 탑재하는 제 1 몸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는,
    회전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상기 공 발사대를 상기 회전판 위에 설치하는 지지대; 및
    상기 공 발사대의 상하 각도를 조정하는 공 발사각도 조정용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4.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 발사 장치는,
    상기 제 1 몸체부를 위로 들어올리는 높이조절용 에어실린더; 및
    상기 높이조절용 에어실린더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몸체부를 지지하는 제 2 몸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부에는 바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 발사대는,
    상기 공 유출관으로부터 공급된 공을 안착하여 슈팅 위치로 이송하는 제 1 공 받침대;
    상기 제 1 공 받침대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조정하는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
    상기 슈팅 위치에 이송된 상기 공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타격하는 복수개의 공 슈팅용 아암; 및
    상기 복수개의 공 슈팅용 아암이 일정 반경을 가지고 각각 움직이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 발사대는,
    상기 공이 상기 공 발사대를 빠져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제 1 공 받침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 발사대는,
    상기 제 1 센서와 제 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신호에 의해 공의 발사 준비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램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와 상기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는 상기 제 1 센서와 제 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 수납함은,
    상기 공 유출관 쪽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 유출관은 일측에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 및 공 받침대가 설치되고,
    타측에 공 장전용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12. 제 7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 장전용 밸브는 상기 제 1 센서와 상기 제 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13. 공 발사 장치에 있어서,
    공을 다수 개 수납할 수 있는 공 수납함;
    상기 공을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으로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여 발사하는 공 발사대; 및
    상기 공 수납함에 있는 공을 상기 공 발사대로 하나씩 공급하는 공 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공 발사대는, 상기 공 유출관으로부터 공급된 공을 안착하여 슈팅 위치로 이송하는 제 1 공 받침대; 상기 제 1 공 받침대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조정하는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 상기 슈팅 위치에 이송된 상기 공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타격하는 복수개의 공 슈팅용 아암; 상기 복수개의 공 슈팅용 아암이 일정 반경을 가지고 각각 움직이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 상기 공이 상기 공 발사대를 빠져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제 1 공 받침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공 유출관은, 일측에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 및 공 받침대가 설치되고, 타측에 공 장전용 밸브가 설치되며,
    사용자의 리모컨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한 입력패드부; 및
    상기 수신부, 상기 입력패드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 장전용 에어실린더, 상기 다수개의 공 슈팅용 에어실린더, 상기 공 유출용 에어실린더, 상기 공 장전용 밸브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 수납함, 상기 공 발사대 및 상기 공 유출관을 탑재하는 제 1 몸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는,
    회전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상기 공 발사대를 상기 회전판 위에 설치하는 지지대; 및
    상기 공 발사대의 상하 각도를 조정하는 공 발사각도 조정용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구동모터와 상기 공 발사각도 조정용 구동모터는 상기 리모컨과 상기 입력패드부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17. 제 14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 발사 장치는,
    상기 제 1 몸체부를 위로 들어올리는 높이조절용 에어실린더; 및
    상기 높이조절용 에어실린더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몸체부를 지지하는 제 2 몸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용 에어실린더는 상기 리모컨과 상기 입력패드부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부에는 바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 발사대는,
    상기 제 1 센서와 제 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신호에 의해 공의 발사 준비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램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 수납함은,
    상기 공 유출관 쪽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발사 장치.
KR10-2002-0063958A 2002-10-18 2002-10-18 공 발사 장치 KR100506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58A KR100506810B1 (ko) 2002-10-18 2002-10-18 공 발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58A KR100506810B1 (ko) 2002-10-18 2002-10-18 공 발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198A true KR20040035198A (ko) 2004-04-29
KR100506810B1 KR100506810B1 (ko) 2005-08-09

Family

ID=3733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958A KR100506810B1 (ko) 2002-10-18 2002-10-18 공 발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81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4464A (zh) * 2016-01-19 2016-06-15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排球喂球装置
CN107050802A (zh) * 2017-03-28 2017-08-18 梁慰爱 一种篮球传球装置
CN108127672A (zh) * 2018-03-09 2018-06-08 石非 一种智能投篮机器人
CN109432742A (zh) * 2018-12-24 2019-03-08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足球射门训练装置
CN110215674A (zh) * 2019-07-12 2019-09-10 许昌学院 一种用于体育训练的发球装置
KR20240047096A (ko) 2022-10-04 2024-04-12 (주) 올리브크리에이티브 내구성이 개선된 모터를 포함하는 슈팅장치
KR20240047097A (ko) 2022-10-04 2024-04-12 (주) 올리브크리에이티브 저항을 차단하는 구조를 가진 슈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321B1 (ko) 2008-11-07 2011-01-13 김성훈 축구 슈팅 장치
WO2018221758A1 (ko) * 2017-05-30 2018-12-06 홍영준 먹이 투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864Y1 (ko) * 1982-04-14 1983-09-24 이상훈 테니스 연습기
KR19990052926A (ko) * 1997-12-23 1999-07-15 유강식 타격연습용 투구기
KR980006750U (ko) * 1998-02-28 1998-04-30 김부경 배구 연습용 볼공급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4464A (zh) * 2016-01-19 2016-06-15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排球喂球装置
CN105664464B (zh) * 2016-01-19 2017-10-17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排球喂球装置
CN107050802A (zh) * 2017-03-28 2017-08-18 梁慰爱 一种篮球传球装置
CN107050802B (zh) * 2017-03-28 2019-02-22 广西驰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篮球传球装置
CN108127672A (zh) * 2018-03-09 2018-06-08 石非 一种智能投篮机器人
CN108127672B (zh) * 2018-03-09 2024-05-07 石一非 一种智能投篮机器人
CN109432742A (zh) * 2018-12-24 2019-03-08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足球射门训练装置
CN110215674A (zh) * 2019-07-12 2019-09-10 许昌学院 一种用于体育训练的发球装置
KR20240047096A (ko) 2022-10-04 2024-04-12 (주) 올리브크리에이티브 내구성이 개선된 모터를 포함하는 슈팅장치
KR20240047097A (ko) 2022-10-04 2024-04-12 (주) 올리브크리에이티브 저항을 차단하는 구조를 가진 슈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6810B1 (ko) 2005-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4855B2 (ja) ボールゲームの練習装置
KR101434251B1 (ko)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KR101505931B1 (ko)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서비스 방법
US51601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batting skills
KR101134187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20010018912A1 (en) Ball-throwing machine
KR101600761B1 (ko) 배구 연습 장치
KR100506810B1 (ko) 공 발사 장치
US6167878B1 (en) Pneumatic ball tossing device
KR101564191B1 (ko) 탁구 연습 장치
KR101622889B1 (ko) 구기 연습 장치
GB15686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jecting of footballs and the like
KR101915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20110152011A1 (en) Ball Toss Up Apparatus for Batting Practice and Game Play
US4767117A (en) Amusement ride and game
WO1995032033A1 (en) Programmable ball ejection machine
KR20150146137A (ko) 공 자동 발사 장치
KR20140078311A (ko) 셔틀콕 발사장치
KR101508523B1 (ko) 자동궤적설정을 위한 피칭 머신
JP7278579B2 (ja) ボール発射装置
JP2719739B2 (ja) ボール発射遊戯機の球供給装置
CN106512365B (zh) 一种毽球训练自动发射装置
JP6194133B1 (ja) バドミントンターゲット装置
KR102261890B1 (ko) 탁구용 스트로크 연습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220032146A1 (en) Game play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