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777A -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777A
KR20040034777A KR1020020063372A KR20020063372A KR20040034777A KR 20040034777 A KR20040034777 A KR 20040034777A KR 1020020063372 A KR1020020063372 A KR 1020020063372A KR 20020063372 A KR20020063372 A KR 20020063372A KR 20040034777 A KR20040034777 A KR 20040034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camera
memory
control uni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6426B1 (ko
Inventor
박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3337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3477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앤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앤컴
Priority to KR10-2002-006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426B1/ko
Publication of KR20040034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렌즈와, 상기 렌즈를 팬각 또는 틸트각으로 조정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카메라렌즈의 구동을 원격 제어하는 외부 제어장치를 구비한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마이컴은, 복수의 서로다른 프로토콜과 제어프로그램이 수록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토콜 중 설정하고자 하는 특정 프로토콜의 번호 또는 코드를 선택 및 입력하는 프로토콜변경스위치; 상기 프로토콜변경스위치에서 입력되는 프로토콜 선택 어드레스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프로토콜을 독출하여 내부메모리에 저장시킴과 아울러 선택된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제 1 제어부; 상기 제 1 제어부를 통해 선택된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제어장치와 통신함과 아울러 제 1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데이터에 따라 카메라렌즈의 회동 또는 줌을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감시카메라의 보수나 교체시 특정 통신 프로토콜에 관계없이 제품을 교체할 수 있어, 운영의 폭과 유지보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APPARATUS FOR SELECTING MULTI-PROTOCOL IN MONITERING CAMERA}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와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또는 디브이알(DVR; Digital Video Recorder) 간의 통신규약(Protocol)이 제품별로 상이한 데 카메라에 다수의 프로토콜을 내장하여 컨트롤러 또는 디브이알과 일치하는 프로토콜을 스위치로 선택함으로써, 제품의 운영폭을 넓힐 수 있는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이나 할인유통업체 등의 상품진열매장이나 금융기관, 그 밖의 빌딩 등 보안이 필요한 장소에 감시카메라를 다수 설치하게 된다.
상기 감시카메라는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그 하부의 일정범위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은 감시카메라에 있어서는 감시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좌우방향으로 일정각만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감시범위를 좌우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팬(pan) 기능과, 카메라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감시각도를 상하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틸트(tilt) 기능, 그리고 감시 영상 중의 특정 부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줌(zoom)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구역을 감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감시카메라는 단일 컨트롤러 또는 디브이알(DVR; Digital Video Recorder)에 다수개 접속되어 일괄 운용되는 데, 제조사별로 감시카메라와 컨트롤러 또는 디브이알 간의 통신규약이 상이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감시 시스템의 운영 중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거나 고장으로 인해 교체하고자 할 경우 동일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품으로만 교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감시카메라 또는 컨트롤러에 대한 선택의 폭이 대단히 좁았고, 또한 제품 교체시 제품의 우수성보다는 동일한 프로토콜인가라는 항목이 우선 고려됨에 따라 상당히 비효율적이였고, 유지보수에 따른 지출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에 다수의 프로토콜을 내장하여 컨트롤러 또는 디브이알(DVR; Digital Video Recorder)과 일치하는 프로토콜을 사용자 임의로 선택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운영폭과 유지보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감시카메라 및 그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마이컴을 나타낸 상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감시카메라 10: 카메라렌즈
30: 렌즈구동수단 50: 마이컴
51: 메모리 52: 카메라ID입력수단
53: 프로토콜변경스위치 54: 제 1 제어부
55: 제 2 제어부 110: 인터페이스
150: 외부 제어장치(디브이알 또는 컨트롤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카메라렌즈와, 상기 렌즈를 팬각 또는 틸트각으로 조정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카메라렌즈의 구동을 원격 제어하는 외부 제어장치를 구비한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마이컴은, 복수의 서로다른 프로토콜과 제어프로그램이 수록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토콜 중 설정하고자 하는 특정 프로토콜의 번호 또는 코드를 선택 및 입력하는 프로토콜변경스위치; 상기 프로토콜변경스위치에서 입력되는 프로토콜 선택 어드레스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프로토콜을 독출하여 내부메모리에 저장시킴과 아울러 선택된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제 1 제어부; 상기 제 1 제어부를 통해 선택된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제어장치와 통신함과 아울러 제 1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데이터에 따라 카메라렌즈의 회동 또는 줌을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감시카메라 및 그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카메라(1), 인터페이스(110), 제어장치(150) 및 전원공급수단(19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카메라(1)는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마이컴(50)의 제어신호에 따라 팬각 또는 틸트각제어 구동수단(30)이 렌즈(10)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 감시구역을 감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인터페이스(110)는 카메라(1)와 제어장치(150) 사이에 설치되어 카메라(1)와 제어장치(150)간의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카메라(1)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제어장치(150)는 소정의 입력키와 표시수단과 메모리 및 제어수단 등으로 이루어져 각 카메라(1)의 감시영역을 복수의 주감시구역으로 분할하거나 복수의 주감시구역 중 주감시 지점을 지정하거나 카메라의 감시구역에 대한 스캔구역을 설정 및 카메라의 회전속도 등을 지정하는 디브이알 또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져 있고, 전원공급수단(190)은 카메라(1)의 구동에 필요한 적절한 전원을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감시카메라(1)는, 상기 인터페이스(1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ID인지를 판단한 후 각종 촬영방향, 촬영각도 및 줌 동작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50)과, 상기 마이컴(50)의 팬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렌즈(10)를 좌우방향으로 구동하여 촬영방향을 회전시키는 팬제어모터(31)와, 상기 팬제어모터(31)의 회전에 따라 렌즈(10)를 팬각으로 회전시키는 기어 및 벨트로 이루어진 팬각구동수단(33)과, 상기 팬제어모터(31)의 회전축과 연동되는 회전판에 뚫어진 홀을 감지하여 좌우 회전각을 감지하는 팬각감지센서(34)와, 상기마이컴(50)의 틸트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렌즈(10)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여 촬영각도를 조정하는 틸트제어모터(35)와, 상기 틸트제어모터(35)의 회전에 따라 렌즈(10)를 틸트각으로 회동시키는 기어 및 벨트로 이루어진 틸트각구동수단(37)과, 상기 마이컴(50)의 줌제어신호에 따라 렌즈(10)의 줌인 및 줌아웃을 조정하는 줌구동부(4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카메라(1)의 마이컴(50)은 도 1의 제어장치(150)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를 외부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제공받아 카메라렌즈(10)의 방향, 각도 및 줌을 제어하게 되며, 제어장치(15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는 pan right, pan left, pan hold, tilt down, tilt up, tilt hold, zoom in, zoom out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150)로부터 카메라(1)의 ID와 함께 pan right 신호가 전송되면 카메라(1)의 마이컴(50)은 ID를 분석하여 자기 ID인지를 판단한 후 자기 ID일 경우에는 전송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팬제어모터(31)를 구동하여 카메라렌즈(10)를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물론, 여기에서 특별히 카메라(1)의 구동 팬각을 지정하였으면, 지정된 팬각만큼만 카메라렌즈(10)를 회전시키게 되는 데, 팬각은 팬각감지센서(34)를 통해 모터각을 표시하는 홀을 카운트하여 알 수가 있다.
아울러,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팬제어모터(31)의 하우징 내부에는 회전각을 감지하는 광센서(발광 및 수광소자)가 설치되어 있어, 모터(31)의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판에 각감지용 홀이 뚫려져 있어 광센서(34)로 그 홀을 감지하고 마이컴(50)을 통해 홀의 개수 및 모터의 정/역회전방향을 감지하여 모터(31)의 회전각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에 뚫린 홀은 1°내지 5°간격으로 형성되어 모터(31)의 회전각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팬 및 틸트제어모터(31, 35)는 마이컴(50)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기 회전하여 기어와 벨트로 이루어진 구동수단(33, 37)을 통해 렌즈(10)를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시켜 미리 설정된 각도로 조정하게 된다.
통상, 카메라(1)는 팬각 360°좌우회전과, 틸트각 90°상하조절이 가능하며, 제어장치(150)의 제어에 따라 230배의 렌즈 줌 기능과, 팬각의 초당 480°속도 가변과 틸트각의 초당 300°속도제어 기능으로 감시의 극대화와 감시영역의 사각지대를 개선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 카메라(1)는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제어장치(150)에 연결되어 있어 제어장치(150)의 메인 제어신호는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해당 카메라(1)의 마이컴(50)으로 입력되어 각 마이컴(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렌즈(10)의 팬/틸트제어 및 줌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마이컴을 나타낸 상세 블록도로서, 메모리(51), 카메라ID입력수단(52), 프로토콜변경스위치(53), 제 1 제어부(54), 제 2 제어부(55) 및 D/A변환부(56)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메모리(51)는 복수의 서로다른 통신 프로토콜과 제어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고, 카메라ID입력수단(52)은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카메라 어드레스 중 설정하고자 하는 특정 카메라의 고유ID 코드를 입력하는 복수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고, 프로토콜변경스위치(53)는 메모리(51)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중 설정하고자 하는 특정 프로토콜에 대한 번호 또는 코드를 선택 및 전환하는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고, 제 1 제어부(54)는 프로토콜변경스위치(53)에서 입력되는 프로토콜 선택 명령에 따라 메모리(51)의 해당 어드레스에 저장된 프로토콜을 독출하여 내부메모리(51)에 저장시킴과 아울러 선택된 프로토콜에 따라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 제어장치(15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 2 제어부(55)는 제 1 제어부(54)를 통해 선택된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 제어장치(150)와 통신함과 아울러 제 1 제어부(54)에서 출력된 제어데이터에 따라 카메라렌즈(10)의 회동 또는 줌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D/A변환부(56)는 제 2 제어부(55)에서 출력된 렌즈(10)제어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 후 팬제어모터(31), 틸트제어모터(35) 및 줌구동부(40) 등으로 출력하여 카메라렌즈(10)를 조정시키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ID입력수단(52)은 해당 카메라의 고유ID(카메라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복수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고, 프로토콜변경스위치(53)는 메모리(51)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 중 선택하고자 하는 프로토콜의 위치로 스위치를 전환하는 로터리방식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즉, 프로토콜변경스위치(53)를 변경하고자 하는 프로토콜의 번호 또는 위치로 전환하면, 이는 제 1 제어부(54)에서는 프로토콜변경스위치(53)에서 선택된 위치의 신호를 BCD코드로 변환하고 그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을 메모리(51)로부터 독출하여 내부메모리(51)에 특정 프로토콜을 설정한 후 그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제어장치(150)와 통신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감시카메라(1)의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선택하고자 하는 프로토콜 번호로 프로토콜변경스위치(53)를 전환하여 선택한다. 예컨데, 메모리(51)에 수록된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 4 프로토콜(프로토콜 #4)을 선택하고자 할 경우,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로터리방식의 프로토콜변경스위치(53)를 '3'번으로 전환하면, 제 1 제어부(54)는 이를 BCD코드로 변환하여 '0011'로 인식하고, 제 1 제어부(54)는 그 어드레스에 있는 프로토콜, 즉 제 4 프로토콜을 메모리(51)로부터 독출하여 내부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프로토콜변경스위치 메 모 리
어드레스 데이터
0 0000 프로토콜 #1
1 0001 프로토콜 #2
2 0010 프로토콜 #3
3 0011 프로토콜 #4
4 0100 프로토콜 #5
5 0101 프로토콜 #6
6 0110 프로토콜 #7
7 0111 프로토콜 #8
8 1000 프로토콜 #9
9 1001 프로토콜 #10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감시카메라(1)의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 및 설정하게 된다. 물론, 각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는 매뉴얼 등을 통해 미리 습득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즉, 감시카메라(1)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렌즈(1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150; 디브이알, 컨트롤러)와 카메라(1) 간의 상호 통신이 필요하며, 이때 카메라(1)와 제어장치(150)간의 신호규약(통신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통상, 하나의 제품에는 하나의 프로토콜이 내장되어 있는 데, 이렇게 구성된 제품에는 문제가 발생하여 교환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구성된 시스템과 일치하는 프로토콜의제품이 아니면 사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하나의 감시카메라(1)에 복수개의 프로토콜을 내장한 후 프로토콜변경스위치(53)로 복수개의 프로토콜 중 원하는 특정 프로토콜을 사용자 임의로 선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품 대치 및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로토콜변경스위치(53)를 로터리방식의 스위치로 하지 않고, 복수의 딥스위치로 구성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프로토콜을 BCD코드로 입력하는 이진코드 입력 방식도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에 다수의 프로토콜을 내장하여 컨트롤러 또는 디브이알(DVR; Digital Video Recorder)과 일치하는 프로토콜을 사용자 임의로 선택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감시카메라의 보수나 교체시 특정 통신 프로토콜에 관계없이 제품을 교체할 수 있어, 운영의 폭과 유지보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카메라렌즈와, 상기 렌즈를 팬각 또는 틸트각으로 조정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카메라렌즈의 구동을 원격 제어하는 외부 제어장치를 구비한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복수의 서로다른 프로토콜과 제어프로그램이 수록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토콜 중 설정하고자 하는 특정 프로토콜의 번호 또는 코드를 선택 및 입력하는 프로토콜변경스위치;
    상기 프로토콜변경스위치에서 입력되는 프로토콜 선택 어드레스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프로토콜을 독출하여 내부메모리에 저장시킴과 아울러 선택된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제 1 제어부;
    상기 제 1 제어부를 통해 선택된 특정 프로토콜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제어장치와 통신함과 아울러 제 1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데이터에 따라 카메라렌즈의 회동 또는 줌을 제어하는 제 2 제어부; 및
    상기 제 2 제어부에서 출력된 렌즈제어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 후 구동수단으로 출력하는 D/A변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변경스위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 중 특정 프로토콜을 선택할 때 해당 프로토콜의 어드레스를 십진수 방식으로 선택하는 로터리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변경스위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 중 특정 프로토콜을 선택할 때 해당 프로토콜의 어드레스를 이진수 방식으로 입력하는 딥스위치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
KR10-2002-0063372A 2002-10-17 2002-10-17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 KR100446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372A KR100446426B1 (ko) 2002-10-17 2002-10-17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372A KR100446426B1 (ko) 2002-10-17 2002-10-17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777A true KR20040034777A (ko) 2004-04-29
KR100446426B1 KR100446426B1 (ko) 2004-09-01

Family

ID=3733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372A KR100446426B1 (ko) 2002-10-17 2002-10-17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4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439B1 (ko) * 2004-09-08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통신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0699087B1 (ko) * 2005-12-23 2007-03-23 티오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동적 ptz 프로토콜 관리가 가능한 ptz 제어 방법 및장치
KR100841439B1 (ko) * 2006-09-29 2008-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 조작을 통해 어드레스 획득방식 변경이 가능한네트워크 보안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획득방법
KR100844850B1 (ko) * 2006-10-12 2008-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팬/틸트/줌 카메라 컨트롤장치 및 방법
EP2367053A3 (en) * 2010-03-19 2012-02-22 Fujifilm Corporation Lens apparatus
CN107396049A (zh) * 2017-07-28 2017-11-24 武汉烽火众智数字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兼容多协议的设备接入系统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755Y1 (ko) * 1996-11-28 2000-05-15 유무성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
KR19990070939A (ko) * 1998-02-26 1999-09-15 윤종용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413382B1 (ko) * 2001-07-31 2003-12-31 김관중 통신망을 이용한 감시 카메라의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20024031A (ko) * 2002-01-16 2002-03-29 (주)세이프랜드 디지털 다중 원격감시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439B1 (ko) * 2004-09-08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통신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0699087B1 (ko) * 2005-12-23 2007-03-23 티오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동적 ptz 프로토콜 관리가 가능한 ptz 제어 방법 및장치
KR100841439B1 (ko) * 2006-09-29 2008-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 조작을 통해 어드레스 획득방식 변경이 가능한네트워크 보안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획득방법
KR100844850B1 (ko) * 2006-10-12 2008-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팬/틸트/줌 카메라 컨트롤장치 및 방법
US8351460B2 (en) 2006-10-12 2013-01-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video record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2367053A3 (en) * 2010-03-19 2012-02-22 Fujifilm Corporation Lens apparatus
CN107396049A (zh) * 2017-07-28 2017-11-24 武汉烽火众智数字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兼容多协议的设备接入系统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6426B1 (ko) 200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3534B1 (en) Remote position control of lighting unit
US9794998B2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ler
CN102833910A (zh) 照明控制系统
US7151558B1 (en) Monitor camera system and auto-tracing implement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446426B1 (ko)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
JP2014238278A (ja) 物体検出システム
JP2001100281A (ja) 動作履歴を記録する監視カメラ装置と動作履歴の記録方法
JP6227284B2 (ja) 物体検出システム
US5893651A (en) Camera system and camera lens control unit
US6757030B2 (en) Multi remote control transmitter, video apparatus, and format preset support method for same apparatus
KR20180040992A (ko) 모니터링장치
US6912427B1 (en) Programmable limit switch with distributed intelligence
JP2002010124A (ja) カメラ操作装置
KR100458871B1 (ko) 감시카메라의 구동 제어 방법
KR20190084814A (ko) 무선조광기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123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보안장치 및 그 방법
US7096287B1 (en) Automatic address selection method
KR200200320Y1 (ko)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GB2351162A (en) Controlling a pan/tilt camera drive to centre the camera on a target
KR200188865Y1 (ko) 감시용 촬영시스템
JP4456327B2 (ja) カメラの動的アドレッシング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373589B2 (ja) カメラ操作装置
JP3211465B2 (ja) 遠隔制御装置
KR20050095556A (ko) 다수개의 전동식 스크린용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14836A (ko) 포지션 메타를 이용한 위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11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915

Effective date: 20151230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3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