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3239A -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3239A
KR20040033239A KR1020020081470A KR20020081470A KR20040033239A KR 20040033239 A KR20040033239 A KR 20040033239A KR 1020020081470 A KR1020020081470 A KR 1020020081470A KR 20020081470 A KR20020081470 A KR 20020081470A KR 20040033239 A KR20040033239 A KR 20040033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otating member
hinge device
cam fol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536B1 (ko
Inventor
한영수
가성현
Original Assignee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3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두 부재를 구비하는 장치(예를 들면, 휴대전화기)에서 상기 두 부재를 연결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유닛와, 상기 제1 유닛에 대해 회전하는 제2 유닛을 연결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1 유닛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2 유닛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1 회전부재의 회전축선을 따라 직선이동하되 회전은 하지 않는 제1 직선이동부와, 상기 제2 회전부재의 회전축선을 따라 직선이동하되 회전은 하지 않는 제2 직선이동부와, 상기 제1 직선이동부와 상기 제1 회전부재가 밀착하도록 상기 제1 직선이동부를 상기 제1 회전부재 쪽으로 미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직선이동부와 상기 제2 회전부재가 밀착하도록 상기 제1 직선이동부를 상기 제2 회전부재 쪽으로 미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제1,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1, 제2 직선이동부와, 상기 제1, 제2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힌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힌지장치 {HINGE DEVICE}
본 발명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장치(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PDA, 휴대용 컴퓨터 등)에서 상기 두 유닛을 연결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더형 휴대전화기와 같은 휴대장치는 힌지장치로 결합된 두 개의 케이스유닛을 구비한다. 한쪽 유닛에는 버튼이 마련되는 키패드가 구비되며, 다른 쪽 유닛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다. 전화기를 사용할 때에는 키패드와 액정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도록 펼쳐서 사용한다. 힌지장치는 이 두 케이스유닛 사이를 결합해줌과 동시에 두 유닛을 원활하게 접고 펼 수 있도록 한다.
통상의 힌지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힌지장치는 회전부재와, 직선이동부재와, 탄성부재와,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회전부재와, 직선이동부재와, 탄성부재를 수용한다. 회전부재는 하우징 내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축을 포함하는 일부분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결합부를 형성한다. 직선이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접하되,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지 않으며 하우징의 회전축을 따라 직선운동한다. 탄성부재는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직선이동부재와 회전부재가 서로 밀착하도록 힘을 가한다. 이때, 직선이동부재와 회전부재가 접하는 면을 적절히 성형하여, 회전부재가 일부 구간에서는 외력이 없이도 쉽게 회전하고, 정해진 위치에서는 정지된 상태를 잘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장치에 연결하고자 하는 휴대 전화기의 두 케이스유닛 중 하나는 하우징에 고정하고 다른 하나는 회전부재의 결합부에 고정한다. 이렇게 연결된 두 유닛은 힌지장치의 작용에 의해 펼쳐진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서는 휴대 전화기의 두 유닛은 서로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펼쳐진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서 두 부재를 닫거나 펼치기 위해서는 처음에 손으로 두 부재에 외력을 가해야 한다. 그 이후의 구간에서는 두 유닛이 자동으로 닫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힌지장치로는 폴더형 휴대 전화기가 두 케이스유닛이 180도 까지 펼쳐지기가 어려우며, 가능하다 하여도 힌지구성으로 인하여 두 유닛이 동일면 상에 놓이지 않거나 돌출부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더형 휴대 전화기의 펼쳐지는 두 케이스유닛이 180도까지 펼쳐지도록 두 유닛을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더형 휴대 전화기의 펼쳐지는 두 케이스유닛이 180도로 펼쳐졌을 때 두 유닛이 동일면 상에 놓이도록 하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축이 돌출되어 있고 각각의 축에 두 부재가 결합되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더형 휴대 전화기의 펼쳐지는 두 케이스유닛이 360도까지 펼쳐질 수 있게 허용하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가 장착된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
도2의 (a)와 (b)는 도1의 힌지장치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힌지장치에서 케이스 덮개를 분리하여 힌지장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2의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도4의 직선이동부재의 사시도
도6은 도4의 제2 회전부재의 사시도
도7은 도5의 직선이동부재의 캠면 형상을 도시한 전개도
도8은 도1의 휴대 전화기의 펼지고 접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9는 도2의 힌지장치에 구비되는 직선이동부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그 직선이동부재의 캠면 형상을 도시한 전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사시도로서, 케이스 덮개를 분리하여 힌지장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
도11은 도10의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12는 도11의 제1 직선이동부재의 사시도
도13은 도11의 제2 직선이동부재의 사시도
도14는 도11의 제2 직선이동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15의 (a)는 도12의 제1 직선이동부재의 캠면 형상을 도시한 전개도이고, (b)는 도13의 제2 직선이동부재의 캠면 형상을 도시한 전개도
도16은 도10의 힌지장치가 장착된 휴대 전화기의 펼치고 접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17은 도14의 직선이동부재의 캠면 형상을 도시한 전개도
도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사시도로서, 케이스 덮개를 분리하여 힌지장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
도19는 도18의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20은 도19의 직선이동부재의 사시도
도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사시도로서, 덮개를 분리하여 힌지장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
도22는 도21의 힌지장치가 휴대전화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힌지장치 20 : 케이스
30 : 제1 회전부재 40 : 제2 회전부재
60b : 제1 직선이동부재 70b : 제2 직선이동부재
98 : 제1 탄성부재 99 : 제2 탄성부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회전축선과 평행한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유닛을 연결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1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2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는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힌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상호작용하며 직선이동이 가능한 제1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와 상호작용하며 직선이동이 가능한 제2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제1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제1 회전부재가 서로 밀착하는 쪽으로 힘을 가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가 서로 밀착하는 쪽으로 힘을 가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제1,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적어도 케이스의 일단부를 통하여 상기 회전부재들과 상기 유닛들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제1 직선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제1 캠부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캠부와 상호작용하는 제1 캠종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회전부재와 제2 직선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제2 캠부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제2 캠부와 상호작용하는 제2 캠종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는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캠부와 제2 캠부는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캠부와 제2 캠부는 상승경사면과, 하강 경사면과, 상기 캠종동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홈과, 수평면과, 상기 캠종동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홈을 차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캠부와 제2 캠부는 상승경사면과, 제1 수평면과, 상기 캠종동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홈과, 제2 수평면과, 상기 캠종동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홈을 차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직선이동부재와 제2 직선이동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캠부는 상기 제1 캠종동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고정홈을 구비하고, 제2 캠부는 상기 제2 캠종동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고정홈을 구비하되, 제1 캠종동부가 상기 제1 고정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정지하고 상기 제2 회전부재가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제2 캠종동부가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정지하고 상기 제1 회전부재가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캠부는 상기 제1 고정홈과 수평면을 차례로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홈 외측과 상기 수평면 외측에는 상기 제1 캠종동부의 진행을 막는 멈춤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캠부는 상승 경사면과 수평면과 상기 제2 고정홈과 상기 제2 캠종동부의 진행을 막는 멈춤부가 차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캠부는 상승 경사면과 하강 경사면과 상기 제2 고정홈과 상기 제2 캠종동부의 진행을 막는 멈춤부가 차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캠부의 수평면에는 상기 제1, 제2 고정홈보다는 상대적으로 얕은 정지홈이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제1 직선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된 제1 돌기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돌기가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된 제1 궤도와 상기 제1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회전부재와 제2 직선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된 제2 돌기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돌기가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된 제2 궤도와 상기 제2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는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홈과 제2 홈은 상기 1 돌기와 제2 돌기가 동시에 삽입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직선이동부재에는 관통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제2 회전부재는 상기 제1, 제2 회전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막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 직선이동부재는 상기 연장막대에 상기 제1, 제2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제1, 제2 탄성부재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연장막대는 케이스의 반대편 단부를 통해서 외측에는 상기 제1, 제2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연결된 회로선의 일부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회로선이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상기 제1, 제2 회전부재가 상기 제1, 제2 유닛과 연결되는 케이스의 일단부의 반대편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가 장착된 폴더형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휴대 전화기(5)는 키패드가 마련되는 제1 유닛(7)과, 액정 디스플레이가 마련되는 제2 유닛(9)을 구비한다. 제1 유닛(7)과 제2 유닛(9)은 힌지장치(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2 내지 도8은 도1에 도시된 2개의 축을 갖는 힌지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축이 연동하여 동작한다. 도2 내지 도7을 참조하면, 힌지장치(10)는 케이스(20)와, 제1, 제2 회전부재(30, 40)와, 직선이동부재(50)와, 제1, 제2 탄성부재(98, 99)와, 지지판(100)과 케이스 덮개(24)를 구비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케이스(20)는 제1, 제2 단부벽(21, 22)과, 제1, 제2 단부벽(21, 22)을 연결하는 측벽(23)을 구비한다. 측벽(23)에 의해 덮이지 않는 개방부는 케이스 덮개(24)에 의해 폐쇄된다. 케이스(20)와 덮개(24)의 결합에 의해 양측(도2의 (a)에는 한쪽만 도시됨)에는 통로구멍(201)이 마련된다. 이 통로구멍(201)은 케이스(20) 내의 후술하는 제2 실(27)로 통한다. 통로구멍(201)으로 휴대전화기(5)의 제1 유닛(7)과 제2 유닛(9)을 연결하는 전기연결 회로선(바람직하기로는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flexible printed cable))이 지나간다. 제1 단부벽(21)에는 두 개의 관통구멍(211, 212)이 마련된다. 제2 단부벽(22)에는 제1 단부벽(21)에 형성된 두 관통구멍(211, 212)과 대응하는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제1, 제2 결합기둥(221, 222)이 마련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결합기둥(221)과 제2 결합기둥(222)은 휴대 전화기(도1의 5)의 제1 유닛(도1의 7)과 제2 유닛(도1의 9)에 마련된 결합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자유롭게 회전한다. 제1 회전축선(100)이 제1 결합기둥(221) 중심과 후술하는 제1 회전부재(30)의 중심을 통과한다. 휴대 전화기(5)의 제1 유닛(7)은 제1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힌지장치(10)에 대해 회전한다. 제2 회전축선(110)이 제2 결합기둥(222)의 중심과 후술하는 제2 회전부재(40)에의 중심을 통과한다. 휴대 전화기(5)의 제2 유닛(9)은 제2 회전축선(110)을 중심으로 힌지장치(10)에 대해 회전한다.
도3과 도4를 참조하면, 케이스(20) 내에는 두 단부벽(21, 22) 사이 중간에 이들과 나란하게 세워진 지지벽(25)이 마련된다. 지지벽(25)에는 제1단부벽(21)에 형성된 두 관통구멍(211, 212)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U'자형으로 파여 형성된 통로(251, 252)가 마련된다. 지지벽(25)에 의해 케이스(20) 내는 제1단부벽(21)측의 제1실(26)과 제2단부벽(22)측의 제2실(27)로 나누어진다. 제1실(26)에 후술하는 제1, 제2 회전부재(30, 40)와, 직선이동부재(50)와, 제1, 제2 탄성부재(98, 99)와, 지지판(100)이 수용된다.
도3, 도4, 도6을 참조하면, 제1, 제2 회전부재(30, 40)는 케이스(20)의 제1 단부벽(21)과 지지벽(25) 사이를 지나가는 길다란 기둥형태로서, 두 회전부재(30, 40)는 동일한 또는 대칭인 형태로서, 제1, 제2 회전부재(30, 40)는 각각 제1, 제2기어부(32, 42)와, 제1, 제2 결합부(34, 44)와, 제1, 제2 캠종동부와, 제1, 제2 연장막대(38)를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제2 회전부재(4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2 기어부(42)의 외주면에는 기어(41)가 형성되는데, 제1 기어부(32)의 기어(31)와 맞물려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동된다. 제2 기어부(42)의 일단면는 케이스(20)의 제1 실(26) 안에서 제1 단부벽(21)에 접한다. 제2 결합부(44)에는 키이평면(43)이 마련되는데, 제2 기어부(42)로부터 제1 단부벽(21)의 관통구멍(212)을 통해 케이스(20)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회전부재(30)의 제1 결합부(34)와 제2 회전부재(40)의 제2 결합부(44)는 휴대 전화기(도1의 5)의 제1 유닛(도1의 7)과 제2 유닛(도1의 9)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각각 결합되어 이들 유닛과 함께 회전한다. 제2 연장막대(48)는 제2 기어부(42)로부터 케이스(20)의 지지벽(25)까지 연장되어 그 끝이 통로(252)에 끼워진다. 제2 캠종동부는 180도 간격으로 배치된 두 개의 캠종동돌기(46)를 구비한다. 두 캠종동돌기(46)는 제2 기어부(42)로부터 제2 연장막대(48)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다.
도3, 도4, 도5를 참조하면, 직선이동부재(50)는 기초판(52)과, 기초판(52) 위에 형성된 제1, 제2 캠부(54, 56)를 구비한다. 제1, 제2 캠부(54, 56)의 중심부에는 각각 관통구멍(541, 561)이 마련된다. 이 관통구멍(541, 561)을 통해 직선이동부재(50)가 제1, 제2 회전부재(30, 40)의 연장막대(38, 48)로 끼워진다. 제1, 제2 캠부(54, 56)는 각각 제1, 제2 회전부재(30, 40)의 캠종동돌기(36, 46)와 상호작용한다.
제1 캠부(54)의 캠면(55) 형상과 제2 캠부(56)의 캠면(57) 형상은 둘 사이를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데, 제1 캠부(54)의 캠면(55)에서 하나의 캠종동부(36)에 대응하는 형상 프로파일이 도7에 예시적인 각도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7에 도시한 캠 프로파일은 제1 캠부(54)에서 180도 간격으로 두 번 나타나다. 도7을 참조하면, 캠면(55)은 차례로 상승 경사면(551)과, 하강 경사면(552)과, 제1 삽입홈(553)과, 수평면(554)과, 제2 삽입홈(555)을 구비한다. 제2 삽입홈(555) 다음에는 캠종동돌기(36)가 더 나가지 못하도록 높은 벽으로 가로 막혀있다. 캠종동돌기(36)는 상승 경사면(551) 위의 한 곳(P1 위치)과 제2 홈(555) 사이를 움직인다.
도3과 도4를 참조하면, 제1, 제2 탄성부재(98, 99)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서, 각각 제1, 제2 회전부재(30, 40)의 제1, 제2 연장막대(38, 48)에 각각 끼워진다. 제1, 제2 탄성부재(98, 99)의 일측은 직선이동부재(50)와 접하고 반대측은 후술하는 지지판(100)에 접하여 직선이동부재(50)를 캠종동돌기(36, 48) 쪽으로 민다.
도3과 도4를 참조하면, 지지판(100)은 케이스(20)의 제1 실(26)에 수용되어 지지벽(25)과 접한다. 지지판(100)은 제1, 제2 탄성부재(98, 99)의 일단부와 접한다. 지지판(100)에는 두 개의 통로(101, 102)가 마련되어 제1, 제2 회전부재(30, 40)의 제1, 제2 연장막대(38, 48)가 지나간다. 지지판(100)은 조립시 제1, 제2 탄성부재(98, 99)를 용이하게 압축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해준다.
이제, 도2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재(30)와 제2 회전부재(40)는 각각 기어(31, 41)로 연결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같은 각도로 회전한다. 도8에는 도7에 도시된 제1캠부(54)의 캠면(55) 상의 각 위치(P1, P2, P3, P4)에 제1 캠종동부의 캠종동돌기(36)가 놓였을 때 이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기(5)의 제2 유닛(9)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캠부(56)와 제2 캠종동부 캠종동돌기(46)의 작용은 도7에 도시된 제1 캠부(54)와 제1 캠종동부의 작용과 동일하다. 동일한 위치에 대하여 도8에 표시된 각도가 도7에 도시된 각도의 두 배이다. 이것은 도7이 휴대 전화기(5)의 제1 부재(7)에 연결된 제1 회전부재(30)의 회전각을 나타내는 반면에, 도8에서 도시된 제1 유닛(7)에 대한 제2 유닛(9)의 회전각은 제1 회전부재(30)와 제2 회전부재(40)의 회전각을 합한 것이기 때문이다.
도7과 도8을 참조하면, P1의 위치는 제2 부재(9)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이다. 캠종동돌기(36)가 상승 경사면(36) 상에 놓이므로 휴대 전화기(5)는 접혀진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힘을 받는다. P1로부터 P2까지는 휴대 전화기(5)의 제1 유닛(7)이 힌지장치(10)에 대해 0도에서 15도까지 회전하는 구간인데, 이 구간에서 캠종동돌기(36)와 상승 경사면(551)의 상호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접혀지도록 힘을 받는다. 이때 휴대 전화기(5)의 제1 유닛(7)과 제2 유닛(9) 사이의 각도는 0도에서 30도까지가 된다. P2와 P3 사이는 휴대 전화기(5)의 제1 유닛(7)이 힌지장치(10)에 대해 15도에서 65도까지 회전하는 구간인데, 이 구간에서 캠종동돌기(36)와 하강 경사면(552)의 상호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힘을 받는다. 이때 휴대 전화기(5)의 제1 유닛(7)과 제2 유닛(9) 사이의 각도는 30도에서 130도까지가 된다. P3위치에서는 캠종동돌기(36)가 제1 삽입홈(553)에 삽입되어 정지한다. P3과 P4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는 제2 유닛(9)이 정지하도록 힘을 받는 구간이다. P4는 휴대전화기(5)의 제1 유닛(7)이 힌지장치(10)에 대해 90도 회전한 위치이다. P4위치에서는 캠종동돌기(36)가 제2 삽입홈(555)에 삽입되어 정지한다. 도3은 이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7과는 다르게 캠면을 도9(예시적으로 각도를 표시함)와 같은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캠면(58)은 차례로 상승 경사면(581)과, 제1 수평면(582)과, 제1 삽입홈(583)과, 제2 수평면(584)과, 제2 삽입홈(585)을 구비한다. 제2 삽입홈(585) 다음에는 캠종동돌기(36)가 더 나가지 못하도록 높은 벽으로 막혀있다. 캠종동돌기(36)가 P1의 위치에 놓이면 휴대 전화기는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캠종동돌기(36)가 P4 위치 즉 제2 삽입홈(585)에 놓이면 휴대 전화기는 180도로 펼쳐진 상태(도8의 P4상태)로 고정된다. 캠종동돌기(36)가 P3 위치 즉 제1 삽입홈(583)에 놓이면 휴대 전화기의 두 유닛 사이의 각도는 130도를 이루어 도8의 P3 상태에 있게 된다. 캠종동돌기(36)가 제1, 제2 수평면(582, 584) 상에 위치하면 휴대 전화기는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도7과 도9에서 제1 삽입홈(553, 583)이 65도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다양한 각도 상에 마련되도록 제1 삽입홈(553, 583)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유닛이 펼쳐지는 각도(도8의 P3 위치의 각도)가 달라진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힌지장치의 작용각도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작용각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도10 내지 도17은 본 발명의 두 축이 단독으로 동작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른힌지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힌지장치(10b)는 케이스(20b)와, 제1, 제2 회전부재(30b, 40b)와, 제1, 제2 직선이동부재(60b, 70b)와, 제1, 제2 탄성부재(98b, 99b)와, 제1, 제2 지지판(110b, 120b)과 케이스 덮개(24b)를 구비한다.
케이스(20b)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케이스(20)와 비슷한 형태인데, 다만, 제1 실(26b)에 지지벽(25b)과 제1 단부벽(21b)을 연결하며 세워지는 분리벽(29b)이 마련되는 것이 다르다. 분리벽(29b)에 의해 제1 실(26b)은 반으로 분리되어 제1A 실(261b)과 제1B 실(262b)로 나누어진다. 제1A 실(261b)에 후술하는 제1 회전부재(30b)와, 제1 직선이동부재(60b)와, 제1 탄성부재(98b)와, 제1 지지판(110b)이 수용된다. 제1B 실(262b)에는 후술하는 제2 회전부재(40b)와, 제2 직선이동부재(70b)와, 제2 탄성부재(99b)와, 제2 지지판(120b)이 수용된다. 제1 회전부재(30b)와 제2 회전부재(40b)는 각각 제1, 제2 회전축선(100, 1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제2 회전부재(30b, 40b)는 각각 케이스(20b)의 제1A 실(261b)과 제1B 실(262b)에서 제1 단부벽(21b)과 지지벽(25b) 사이를 지나가는 길다란 기둥형태이다. 제1, 제2 회전부재(30b, 40b)는 각각 기초부(32b, 42b)와, 결합부(34b, 44b)와, 캠종동부와, 연장막대(38b, 48b)를 구비한다. 제1 회전부재(30b)와 제2 회전부재(40b)는 동일한 형태이므로 제1 회전부재(30b)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기초부(32b)는 원판형으로서 일단면은 케이스(20b)의 제1A 실(261b)의 제1 단부벽(21b)에 접한다. 결합부(34b)는 사각기둥모양으로서, 기초부(32b)로부터 제1단부벽(21b)의 관통구멍(211b)을 통해 케이스(20b)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회전부재(30b)의 결합부(34b)와 제2 회전부재(40b)의 결합부(44b)는 휴대 전화기(도1의 5)의 제1 유닛(도1의 7)과 제2 유닛(도1의 9)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각각 결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연장막대(38b)는 기초부(32b)로부터 케이스(20b)의 지지벽(25b)까지 연장되어 그 끝이 통로(251b)에 끼워진다. 캠종동부는 180도 간격으로 배치된 두 캠종동돌기(36b)를 구비한다. 두 캠종동돌기(36b)는 기초부(32b)로부터 연장막대(38b)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다.
제1, 제2 직선이동부재(60b, 70b)의 각각 중심부에는 관통구멍(62b, 72b)이 마련되어 이 관통구멍(62b, 72b)으로 각각 제1, 제2 회전부재(30b, 40b)의 각 연장막대(38b, 48b)가 끼워진다. 제1, 제2 직선이동부재(60b, 70b)는 제1, 제2 회전부재(30b, 40b)의 캠종동돌기(36b, 46b)와 마주보는 면에 각각 캠부(64b, 74b)를 형성한다. 제1 회전부재(30b)의 캠종동돌기(36b)는 제1 직선이동부재(60b)의 캠부(64b)와 상호작용하고, 제2 회전부재(40b)의 캠종동돌기(46b)는 제2 직선이동부재(70b)의 캠부(74b)와 상호작용한다. 제1 직선이동부재(60b)의 캠부(64b)와 제2 직선이동부재(70b)의 캠부(74b)의 캠 프로파일이 도15의 (a)와 (b)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15를 참조하면, 제1 직선이동부재의 캠부(64b)는 차례로 고정홈(641b)(후술하는 정지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깊은 홈)과, 제1 수평면(642b)과, 제1 정지홈(643b)과, 제2 수평면(644b)과, 제2 정지홈(645b)을 구비한다. 고정홈(641b)과 제2 정지홈(645b) 외측에는 제1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36b)가 더 나가지 못하도록 높은 벽으로 막혀있다. 제1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36b)는 제1 고정홈(641b)과 제2 정지홈(645b) 사이를 움직인다. 제1 직선이동부재에는 도15 (a)에 도시된 캠 프로파일이 180도 간격을 두고 반복 배치된다.
도15의 (b)를 참조하면, 제2 직선이동부재의 캠부(74b)는 차례로 상승 경사면(741b)과, 수평면(742b)과, 고정홈(743b)(상대적으로 깊은 홈)을 구비한다. 이때, 고정홈(743b)은 상기 제1 직선이동부재의 캠부(64b)에 마련된 제1, 제2 정지홈(642b, 643b)보다 깊다. 고정홈(743b) 다음에는 제2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46b)가 더 이상 나가지 못하도록 높은 벽으로 막혀있다. 제2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46b)는 상승 경사면(741b) 상의 한 위치(C4 위치)와 고정홈(743b) 사이를 이동한다.
도10과 도11을 참조하면, 제1, 제2 탄성부재(98b, 99b)는 각각 제1, 제2 회전부재(30b, 40b)의 제1, 제2 연장막대(38b, 48b)에 끼워진다. 제1, 제2 탄성부재(98b, 99b)의 일측은 각각 제1, 제2 직선이동부재(60b, 70b)와 접하고 반대측은 후술하는 제1, 제2 지지판(110b, 120b)에 각각 접하여 제1, 제2 직선이동부재(60b, 70b)를 제1, 제2 회전부재(30b, 40b)의 캠종동돌기(36b, 46b) 쪽으로 민다.
제1, 제2 지지판(110b, 120b)은 동일한 형태로서 각각 케이스(20b)의 제1A 실(261b)과 제1B 실(262b)에 수용되어 지지벽(25b)과 접한다. 제1, 제2 지지판(110b, 120b)은 각각 제1, 제2 탄성부재(98b, 99b)의 일단부와 접한다. 두지지판(110b, 120b)에는 각각 통로(111b, 112b)가 마련되어 제1, 제2 회전부재(30b, 40b)의 제1, 제2 연장막대(38b, 48b)가 지나간다.
도16에는 도15에 도시된 제1, 제2 직선이동부재의 제1, 제2 캠부(64b, 74b) 상의 각 위치(C1, C2, C3, C4, C5, C6)에 각 캠종동돌기(36b, 46b)가 놓였을 때 이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기(5)의 제2 유닛(9)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15와 도16을 참조하면, P1의 위치는 제2 유닛(9)이 완전히 접힌 상태이다. 이때, 제1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36b)와 제2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46b)는 각각 C1과 C4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5)의 제2 유닛(9)을 펼치면 제1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36b)는 고정홈(641b)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고 제2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46b)가 상승 경사면(741b)을 타고 올라간다. 제2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46b)가 C5에 위치하였을 때가 도16에서 제2 유닛(9)이 P2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제2 유닛(9)을 더 벌리면 제1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36b)는 고정된 채 제2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46b)가 C6까지 이동한다. 이때가 도16에서 제2 유닛(9)가 P3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여기서, 휴대 전화기(5)의 제2 유닛(9)을 더 벌리면 제2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46b)는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고 제1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36b)가 고정홈(641b)에서 벗어나 C2까지 움직인다. 이때가 도16에서 제2 유닛(9)이 P4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여기서, 휴대 전화기(5)의 제2 유닛(9)을 더 벌리면 제1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36b)가 C3까지 움직여 고정된다. 이때가 도16에서 제2 유닛(9)이 P5에 위치하며 180도로 펼쳐진 상태이다. 제2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46b)가 제2 직선이동부재의 캠부(74b)의 수평면(742b)에 위치하거나,제1 회전부재의 캠종동돌기(36b)가 제1 직선이동부재의 캠부(64b)의 제1, 제2 수평면(642b, 644b)에 위치하면 임의의 위치에서 제2 유닛(9)은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제2 유닛(9)을 접을 때에는 제2 회전부재(40b)의 캠종동돌기(46b)가 고정홈(743b)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1 직선이동부재(60b)와 제1 회전부재(30b) 사이의 작용이 먼저 이루어지고 그 뒤 제2 직선이동부재(70b)와 제2 회전부재(40b) 사이의 작용이 그 다음 이루어 진다.
도15의 (a)와는 다르게 제2 직선이동부재의 캠부를 도17(도14에 사시도)과 같은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제2 직선이동부재의 캠부(74c)는 차례로 상승 경사면(741c)과, 하강 경사면(742c)과, 고정홈(743c)을 구비한다. 고정홈(743c) 다음에는 캠종동돌기(46b)가 더 나가지 못하도록 높은 벽으로 막혀있다. 캠종동돌기(46b)는 상승 경사면(741c) 상의 한 위치와 고정홈(743c) 사이를 움직인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케이스의 단부벽에 휴대 전화기의 제1, 제2 유닛과 결합되어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하는 결합부(즉, 더미 회전축)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결합부(더미 회전축) 대신에 단부벽에 관통하는 구멍을 마련한 후 제1, 제2 회전부재의 연장막대를 상기 구멍을 지나도록 연장시켜 그 끝을 휴대 전화기의 제1, 제2 부재와 결합시킬 수도 있다.
도18 내지 도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18과 도19를 참조하면, 힌지장치(10c)는 케이스(20c)와, 제1, 제2 회전부재(30c, 40c)와, 직선이동부재(50c)와, 제1, 제2 탄성부재(98c, 99c)와, 지지판(100c)과,제1, 제2 결합막대(96c, 97c)와, 케이스 덮개(24c)를 구비한다. 케이스(20c)는 도4에 도시된 케이스(20)와 비교하였을 때 결합기둥(221,222) 대신 관통구멍(223, 224)을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형태이다. 두 관통구멍(223, 224)으로 후술하는 제1, 제2 결합막대(96c, 97c)의 각 결합부(961, 971)가 케이스 외부로 돌출된다.
제1 회전부재(30c)와 제2 회전부재(40c)는 대칭형으로서 동일한 형태이다. 제1 회전부재(30c)와 제2 회전부재(40c)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가 구비된 제1, 제2 기어부(32c, 42c)를 구비한다. 제1, 제2 기어부(32c, 42c) 양쪽으로는 각각 사각기둥모양의 결합부(34c, 44c)와 연장막대(38c, 48c)가 구비된다. 두 기어부(32c, 42c)에는 두 개의 반구형의 돌기(36c, 46c)가 180도 간격으로 마련되고, 연장막대(38c, 48c) 끝단에 결합홈(381, 481)이 마련된다. 이 결합홈(381, 481)으로 후술하는 결합막대(96c, 97c)의 끝단이 연결된다.
직선이동부재(50c)에는 상기 돌기(36c, 46c)가 이동하는 원형 궤도(52c)와 궤도 중간에 형성된 끼워질 수 있는 홈(51c, 53c)이 마련된다. 홈(51c, 53c)에는 좌우로 형성된 한 쌍의 홈(53c)과 상하로 형성된 한 쌍의 홈(51c)이 있다. 돌기(36c, 46c)가 좌우로 형성된 한 쌍의 홈(53c)에 삽입되면 휴대전화기의 두 케이스유닛은 180도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다(도19에 도시된 상태). 이 상태에서 한 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하로 형성된 홈(51c)에 삽입되면 휴대전화기는 닫친 상태로 고정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홈(51c)에 삽입되면 휴대전화기는 360도 펼쳐진 상태로 고정됨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돌기(36c, 46c)가 홈(51c,53c)으로부터 빠져나오면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20에 도시된 홈 이외에도 궤도(52c) 상에는 홈이 원주방향으로 필요한 위치에 여러 개 형성될 수도 있다.
두 결합막대(96c, 97c)는 사각기둥 형태의 결합부(961, 971), 연장부(962, 972)를 구비한다. 결합부(961, 971)와 연장부(962, 972) 사이에는 케이스(20c)의 단부벽의 구멍(223, 224)에서 빠지지 않도록 멈춤판(969, 979)이 마련된다. 연장부 끝단에는 돌출단(963, 973)이 마련된다. 돌출단(963, 973)이 상기 회전부재(30c, 40c)의 연장막대(38c, 48c)의 결합홈(381, 481)에 삽입되어 연장막대(38c, 48c)와 결합막대(96c, 97c)가 함께 회전하게 해준다. 이는 결국 연장막대(38c, 48c)가 케이스(20c)의 다른 쪽 단부벽을 지나 연장되어 제1, 제2 유닛(7, 9)과 결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이외의 다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힌지장치에서는 돌기(36c, 46c)와 궤도(52c), 홈(51c, 53c)에 의해 소위 프리스톱 방식의 힌지 특성을 제공하며 힌자장치에 연결된 두 유닛이 360도까지 펼쳐질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실시에에서는 하우징의 측면에 통로를 형성하여 제1 유닛(7)과 제2 유닛(9) 사이의 커넥터가 이 통로를 지나가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를 덮개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21을 참조하면, 힌지장치(10d)의 두 관통구멍(223d, 224d)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2 단부벽(21d)에 형성된 통로(225d)가 마련되고 결합막대(도18의 96c, 97c)를 구비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면 도18에 도시된 제3 실시예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도21과 도22를 참조하면, 두 유닛(7d, 9d) 사이에는 전기연결 회로선인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flexible printed cable, 이하 플렉서블 케이블)(300d)이 사용되는데 이 플렉서블 케이블은 각 유닛(7d, 9d)에서 연장되어 접근하다가 힌지(10d) 쪽으로 꺾이어 연장되고 다시 원래의 방향으로 꺾이어 연결된 형상이다. 이 힌지 쪽으로 꺾여 연장된 가운데 부분(301d)은 두 관통구멍(223c, 224c)과 통로(225d)를 통해 삽입되어 케이스(20d)의 제2 실(27d)에 수용된다. 도21과 도22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케이블(300d)의 일측은 휴대전화기(5d)의 제1 유닛(7d)으로 연장되어 연결되고 반대측은 제2 유닛(9d)으로 연장되어 연결된다. 플렉서블 케이블(300d)의 가운데 부분(301d)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힌지장치(10d) 내부(제2실(27d))에 수용됨으로써, 플렉서블 케이블(300d)이 보다 안전하게 휴대전화기(5d)의 제1 유닛(7d)과 제2 유닛(9d)을 연결하게 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유닛(7d)과 제2 유닛(9d)은 상기 연결회로선 각각 힌지장치(10d)의 두 관통구멍(223d, 224d)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 결합돌기는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300d)이 지나며 이 플렉서블 케이블이 그 돌기 안에 잘 보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위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는 힌지장치를 사용하면, 폴더형 휴대 전화기를 180도까지 펼칠 수 있다. 또한, 펼친 모양은 중간에 돌출부나 두 부재가 어긋나거나 하는 점이 없는 일반적인 바 타입(bar type) 전화기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힌지에서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성품을 갖는다면 다양한 동작특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유연한 회로선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회전축선과 평행한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유닛을 연결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1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2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는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상호작용하며 직선이동이 가능한 제1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와 상호작용하며 직선이동이 가능한 제2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제1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제1 회전부재가 서로 밀착하는 쪽으로 힘을 가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가 서로 밀착하는 쪽으로 힘을 가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제1,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적어도 케이스의 일단부를 통하여 상기 회전부재들과 상기 유닛들이 연결되는 힌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제1 직선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제1 캠부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캠부와 상호작용하는 제1 캠종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회전부재와 제2 직선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제2 캠부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캠부와 상호작용하는 제2 캠종동부를 구비하는 힌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는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캠부와 제2 캠부는 동일한 형상인 힌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와 제2 캠부는 상승경사면과, 하강 경사면과, 상기 캠종동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홈과, 수평면과, 상기 캠종동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홈을 차례로 구비하는 힌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와 제2 캠부는 상승경사면과, 제1 수평면과, 상기 캠종동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홈과, 제2 수평면과, 상기 캠종동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홈을 차례로 구비하는 힌지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이동부재와 제2 직선이동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힌지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는 상기 제1 캠종동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고정홈을 구비하고, 제2 캠부는 상기 제2 캠종동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고정홈을 구비하되, 제1 캠종동부가 상기 제1 고정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정지하고 상기 제2 회전부재가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제2 캠종동부가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정지하고 상기 제1 회전부재가 회전이 가능한 힌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는 상기 제1 고정홈과 수평면을 차례로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홈 외측과 상기 수평면 외측에는 상기 제1 캠종동부의 진행을 막는 멈춤부를 구비하는 힌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캠부는 상승 경사면과 수평면과 상기 제2 고정홈과 상기 제2 캠종동부의 진행을 막는 멈춤부가 차례로 구비되는 힌지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캠부는 상승 경사면과 하강 경사면과 상기 제2 고정홈과 상기 제2 캠종동부의 진행을 막는 멈춤부가 차례로 구비되는 힌지장치.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의 수평면에는 상기 제1, 제2 고정홈보다는 상대적으로 얕은 정지홈이 하나 이상 마련되는 힌지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제1 직선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된 제1 돌기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돌기가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된 제1 궤도와 상기 제1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회전부재와 제2 직선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된 제2 돌기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돌기가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된 제2 궤도와 상기 제2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홈을 구비하는 힌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는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홈과 제2 홈은 상기 1 돌기와 제2 돌기가 동시에 삽입되도록 위치하는 힌지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이동부재와 제2 직선이동부재는 일체로 형성된 힌지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직선이동부재에는 관통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제2 회전부재는 상기 제1, 제2 회전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막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 직선이동부재는 상기 연장막대에 상기 제1, 제2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제1, 제2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힌지장치.
  17. 제2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막대는 케이스의 반대편 단부를 통해서 외측에는 상기 제1, 제2 유닛과 연결되는 힌지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에 연결된 회로선의 일부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회로선이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는 힌지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제1, 제2 회전부재가 상기 제1, 제2 유닛과 연결되는 케이스의 일단부의 반대편 단부에 마련된 힌지장치.
KR10-2002-0081470A 2002-10-11 2002-12-18 힌지장치 KR100534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62158 2002-10-11
KR1020020062158 2002-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239A true KR20040033239A (ko) 2004-04-21
KR100534536B1 KR100534536B1 (ko) 2005-12-08

Family

ID=3733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470A KR100534536B1 (ko) 2002-10-11 2002-12-18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536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333B1 (ko) * 2005-02-16 2005-10-14 (주)쉘-라인 듀얼-샤프트 힌지구조를 갖는 개인휴대단말기
KR100713480B1 (ko) * 2006-03-22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13855B1 (ko) * 2005-03-25 2007-05-04 박무환 다기능 휴대기기
KR100754595B1 (ko) * 2006-01-25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76775B1 (ko) * 2003-04-23 2007-11-19 노키아 코포레이션 동기용 힌지를 갖는 이동단말
KR100791266B1 (ko) * 2006-06-27 2008-01-04 (주) 프렉코 휴대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WO2008100013A1 (en) * 2007-02-14 2008-08-21 Prexco Co., Ltd Hinge type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0909713B1 (ko) * 2009-02-16 2009-07-29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WO2010076639A2 (en) * 2008-12-31 2010-07-08 Technologies Korea Yh Laird Hinge assemblies for use with folder-type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s
KR20110006426U (ko) * 2009-12-18 2011-06-24 (주)대상아이텍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KR101110448B1 (ko) * 2004-08-30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 타입 및 바 타입 겸용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231594B1 (ko) * 2011-06-13 2013-02-08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360도 폴딩형 휴대단말기
WO2018043837A1 (ko) * 2016-09-05 2018-03-08 인팩글로벌주식회사 파렛트 적층체의 결합구조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775B1 (ko) * 2003-04-23 2007-11-19 노키아 코포레이션 동기용 힌지를 갖는 이동단말
KR101110448B1 (ko) * 2004-08-30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 타입 및 바 타입 겸용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521333B1 (ko) * 2005-02-16 2005-10-14 (주)쉘-라인 듀얼-샤프트 힌지구조를 갖는 개인휴대단말기
KR100713855B1 (ko) * 2005-03-25 2007-05-04 박무환 다기능 휴대기기
KR100754595B1 (ko) * 2006-01-25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13480B1 (ko) * 2006-03-22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91266B1 (ko) * 2006-06-27 2008-01-04 (주) 프렉코 휴대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WO2008100013A1 (en) * 2007-02-14 2008-08-21 Prexco Co., Ltd Hinge type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mobile phone
WO2010076639A2 (en) * 2008-12-31 2010-07-08 Technologies Korea Yh Laird Hinge assemblies for use with folder-type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s
WO2010076639A3 (en) * 2008-12-31 2010-10-21 Technologies Korea Yh Laird Hinge assemblies for use with folder-type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s
WO2010093139A2 (ko) * 2009-02-16 2010-08-19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WO2010093139A3 (ko) * 2009-02-16 2010-10-21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KR100909713B1 (ko) * 2009-02-16 2009-07-29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KR20110006426U (ko) * 2009-12-18 2011-06-24 (주)대상아이텍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KR101231594B1 (ko) * 2011-06-13 2013-02-08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360도 폴딩형 휴대단말기
WO2018043837A1 (ko) * 2016-09-05 2018-03-08 인팩글로벌주식회사 파렛트 적층체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536B1 (ko)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4536B1 (ko) 힌지장치
US7140074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nge device
WO2009005238A2 (en) Slide hinge module and slide type equipment utilizing the same
CN114658752A (zh) 铰链机构和电子设备
CN114658751A (zh) 铰链机构和电子设备
CN115013421A (zh) 折叠机构及终端设备
US11622457B2 (en) Synchronous transmission pivot shaft device
KR10050414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CN115405615A (zh) 铰链机构和电子设备
KR20060098028A (ko) 휴대전화기용 스윙힌지
KR20080067458A (ko) 평행한 두 회전축을 갖는 힌지장치
CN110714979B (zh) 一种转动装置和柔性屏装置
CN101126411B (zh) 便携式电子装置
JP2005023951A (ja) フリーストップヒンジ装置
KR100692418B1 (ko) 회전하여 펼쳐지고 접히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 및그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CN115899062A (zh) 折叠屏设备及铰链组件
KR200353859Y1 (ko) 평행한 두 회전축을 구비하는 힌지장치
KR100620503B1 (ko) 2개의 회전축을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장치
KR20060041088A (ko) 2단 프리스톱 힌지장치
KR100690715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28475B1 (ko) 스윙 힌지장치
KR100709742B1 (ko) 회전연결장치
KR100678627B1 (ko) 휴대 전화기용 180도 회전 힌지장치
KR20240056572A (ko) 회전 샤프트 메커니즘 및 전자 장치
KR20030075388A (ko)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