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855B1 - 다기능 휴대기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휴대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855B1
KR100713855B1 KR1020050024883A KR20050024883A KR100713855B1 KR 100713855 B1 KR100713855 B1 KR 100713855B1 KR 1020050024883 A KR1020050024883 A KR 1020050024883A KR 20050024883 A KR20050024883 A KR 20050024883A KR 100713855 B1 KR100713855 B1 KR 100713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hinge
mobile
pivot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862A (ko
Inventor
박무환
Original Assignee
박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환 filed Critical 박무환
Priority to KR102005002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855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20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 B60S9/21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 B60S9/21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driven by an auxiliary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기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한개의 휴대기기로 여러가지 기능을 목적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각각 사용하기에도 용이한 다기능 휴대기기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힌지, 겸용, 링크, 휴대기기

Description

다기능 휴대기기{multifunctional portable device}
도 1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의 센터 힌지 암에 내설되는 힌지 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힌지 장치가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의 센터 힌지 암에 내설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사용 상태 간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사용 상태 간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정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사용 상태 간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4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4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4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사용 상태 간략도1.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4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사용 상태 간략도2.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4실시예에 따른 다른 분할면을 갖는 다기능 휴대기기 간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310, 410, 510 : 제1휴대기기
211, 311, 411, 511, 511b : 제1기어부
212, 312 : 제1힌지축 220, 320, 420 : 제2휴대기기
221, 321, 421, 521 : 제2기어부 222, 322 : 제2힌지축
230, 330, 430, 530, 530b : 링크
327, 427 : 절개부
415, 425, 515, 525, 515b, 545 : 끼움돌기
416, 426, 516, 516b : 삽입공 417, 517 : 엘시디화면
423, 523 : 키패드부 424, 524 : 디스플레이부
429d,529d : 외부 디스플레이부 428, 528 : 중공부
431, 531, 531b : 끼움홈 532, 532b : 와이어삽입공
433, 533. 533b : 핀 434, 534, 534b : 너트
437, 537 : 힌지축 435, 535, 535b : 돌출부
436 : 관통공 450, 550 : 힌지장치
429, 529 : 버튼 540 : 보조키패드
541 : 제3기어부 546 : 제3삽입공
529c : 내부 디스플레이부 543 : 보조버튼
518 : 배터리 520 : 제2상부기기
520a, 540a, 520b, 540b : 분할면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기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한개의 단말기로 여러가지 기능을 목적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각각 사용하기에도 용이한 다기능 휴대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전화단말기는,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36341호의 공보에 제시되어 있다.
종래의 이동전화단말기는 통상적으로 입력키가 구비된 본체와, 이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입력키를 보호하되, 내면측에는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화면이 형성된 폴더로 이루어진 폴더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즉, 상기 본체와 폴더는 일단측의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서로 포개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필요시에는 상기 힌지를 기점으로 회동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폴더는 대략 0~150°정도의 범위내에서 개폐된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에서 폴더가 열려져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상적인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10)는 상기한 바에서 알수 있듯이, 본체(12)와 폴더(14)로 구성되는데, 상기 본체(12)는 그 상면에 각종 입력키들을 구비한 키패드(121)가 설치되고, 상면 하단에는 마이크를 구비한 송화부(122)가 형성되며, 상면 상단에는 마주보게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123)이 설치되고, 최상단 일측에는 안테나(124)가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폴더(14)에는 그 일단에 상기 본체(12)의 사이드 힌지 암(123)과 대응하는 센터 힌지 암(141)이 설치되고, 상기 폴더(14)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14)의 입력키들과 대응하는 내면측에는 액정화면(142)이 구비되며, 이 액정화면(142)의 일측에는 스피커가 구비된 수화부(143)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2)와 폴더(14)는, 이 폴더(14)의 센터 힌지 암(141)을 상기 본체(12)의 사이드 힌지 암(123)들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센터 힌지 암(141)에 내장되는 힌지 장치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본체(12)에 대하여 힌지로 결합된 폴더(14)는 힌지 축(H)을 중심으로 대략 0~150° 정도의 범위내에서 회동하면서 개폐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의 센터 힌지 암에 내설되는 힌지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장치는 크게 힌지 하우징(20)과, 로터리 캠(30)과, 슬라이드 캠(40)과, 압축코일 스프링(50)과 힌지 서포트캡(60)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20)은 일측이 반원형의 곡면이고, 타측은 평면으로 되어 조립의 용이성을 고려한 형상을 이룬다. 또한 그 일단은 개방단(21)을 이루고, 타단은 상기 로터리 캠(30)의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됨)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단(21)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22)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걸림홈(23)이 각각 형성되어있다.
한편, 상기 로터리 캠(30)은 일측으로 축(31)을 구비하고, 타측으로 산형부(32)를 구비하는데, 상기 축(31)의 단부(33)는 D 형상을 가지도록 일측면을 절개하여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축(31) 단부(33)의 평면이 형성된 방향과 상기 산형부(32)가 형성된 방향은 폴더(14)가 여닫히는 각도를 고려하여 설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D 형으로 절개된 평면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로터리 캠(30)의 단부가 플립 또는 폴더형이동전화단말기 본체(12)의 사이드 힌지 암(123)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로터리 캠(30)은 상기 힌지하우징(20)에 삽입되어 상기 축(31)이 힌지 하우징(20)의 관통홀을 통해 돌출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캠(40)은 상기 로터리 (30)캠의 산형부(32)와 맞물려 슬라이딩 면 접촉이 가능하도록 일측 중앙에 골형부(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양방으로 산형 돌기부(42)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캠(40)의 타측으로는 스프링 고정돌기(43)가 제공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 하우징(20)에 형성된 가이드 홈(22)에 삽입되어 이 가이드 홈(22)을 따라 상기 슬라이드 캠(40)의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리브가(44)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힌지 서포트 캡(60)은 상기 힌지 하우징(20)에 형성된 걸림홈(23)에 걸리도록 외주면 양측에 걸고리부(61)가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힌지 하우징(20)의 가이드 홈(22)에 삽입되기 위한 돌기(62)가 형성되며, 타측으로는 폴더(14)의 센터 힌지 암(141)에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고정돌기(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캠(40)과 힌지 서포트 캡(60)의 사이에는 압축코일 스프링(50)이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드 캠(40)과 로터리 캠(30)을 밀착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 장치가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의 센터 힌지 암에 내설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센터 힌지 암(141)에 내설되면서 일측으로 로터리 캠(30)의 축(31)이 돌설되어 본체(12)의 사이드 힌지 암(123)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50)에 의해 상기 로터리 캠(30)의 산형부(32)와 슬라이드 캠(40)의 골형부(41)의 곡면이 서로 맞물리면서 폴더(14)가 일정각도(약 35~45°) 이상 열렸을 때 더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힘을 제공하고, 상기 각도(약 35~45°) 이하에서는 상기 폴더(14)가 닫히게 하는 힘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을 비롯해 MP3, PDA 등의 다양한 휴대기기 를 휴대하고 다니는데, 이러한 각각의 휴대기기를 별개로 가지고 다니기에는 불편함이 있으며, 각각의 휴대기기의 배터리를 별개로 충전시켜서 다니기에도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한개의 휴대기기로 여러가지 기능을 목적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각각 사용하기에도 용이한 다기능 휴대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기기는 제1휴대기기, 제2휴대기기, 상기 제2휴대기기를 상기 제1휴대기기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제1휴대기기와 연결된 제1회동축부와, 상기 제2휴대기기와 연결된 제2회동축부와, 상기 제2회동축부와 상기 제1회동축부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각 휴대기기를 선택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2회동축부는 상기 제2휴대기기의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제2휴대기기가 제1휴대기기에 대해 360도 회동가능해지는 동시에, 제2휴대기기가 상면에는 바형상의 휴대폰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별도의 키패드부가 형성되거나 엘시디화면이 형성될 경우, 제2휴대기기를 일정각도 만 회동시켜서 제1휴대기기의 부가적인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동축부 외주면에는 제1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회동축부 외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제2기어부가 형성되어, 제2휴대기기 회동시 헛도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휴대기기는 제2상부기기와 제2하부기기로 분할되며, 상기 제2상부기기는 상기 회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휴대기기에 장착되며, 상기 제2하부기기는 다른 회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휴대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제2하부기기에 보조키패드 등을 형성하여 상기 제1휴대기기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휴대기기는 상기 제2회동축부에 연결되는 제2후면기기와 상기 제2회동축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제2전면기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사용 상태 간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기능 휴대기기는 제1휴대기기(210)와, 제2휴대기기(220)와, 제2휴대기기(220)를 제1휴대기기(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휴대기기(210)는 PDA, DMB, MP3, 전자사전,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이, 무선 통신과 정보 처리 기능을 결합한 모든 개인 휴대 단말기나, 휴대 전자 기기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휴대기기(210)는 상면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형 엘씨디(미도시) 또는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구비되어, PDA나 DMB 및 전자사전 등으로 사용될 경우 대형 화면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한번에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휴대기기(210)에 있는 대형 엘씨디는 미사용시에는 제2휴대기기(220)에 의해 숨겨진 상태여서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구조이다.
제2휴대기기(220)는 제1휴대기기(210)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휴대기기(210)와는 다른 기능을 가진 휴대기기이다.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제1휴대기기(210)와 연결된 제1회동축부와, 상기 제2휴대기기(220)와 연결된 제2회동축부와, 상기 제2회동축부와 상기 제1회동축부에 제1힌지축(212) 및 제2힌지축(222)을 통해 각각 힌지결합되는 링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1휴대기기(210)에 대해 제2휴대기기(220)는 360도 회동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제1휴대기기(210)는 상기 제1회동축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회동축부와 상기 제2회동축부가 맞닿는 면에는 기어부(211, 221)가 형성되어, 제2휴대기기(220)가 제1휴대기기(210)에 대해 회동될 경우 헛돌지 않고, 기어부(211, 221)는 스토퍼 역할을 하여 제2휴대기기(220)를 일정각도 회동시킨 후 정지시키면 힘을 가하여 제2휴대기기(220)를 회동시키지 않는 이상 그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휴대기기(220)가 절첩된 상태에서는 안정적으로 절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2휴대기기(220)는 바 형상의 휴대폰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2휴대기기(220)에는 상면 상위에는 스피커(미도시)가 형성되며, 하위에는 마이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휴대기기(220)를 사용할 경우에는 회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사용하며, 제1휴대기기(210)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2휴대기기(220)를 360도 회전시킨 후에 제1휴대기기(210)를 노출시켜서 제1휴대기기(210)를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휴대기기(210) 및 제2휴대기기(220)에는 각 휴대기기를 위한 조작 버튼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미도시)는 제1휴대기기(210)의 하면 또는 제2휴대기기(22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회동되지 않는 제1휴대기기(210) 하면에 구비하여 안정적으로 제2휴대기기(2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사용 상태 간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실시예에서 제2회동축부는 제2휴대기기(320)의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절개부(327)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회동축부와 제2회동축부는 제1힌지축(312) 및 제2힌지축(322)을 통해 링크(330)에 힌지결합되어, 제1휴대기기(310)에 대해 제2회동축부 및 제2휴대기기는 360도 회동가능 하게 된다.
나아가, 제1회동축부와 제2회동축부가 맞닿는 면에는 기어부(311, 321)가 형성되어 제2휴대기기(320)가 제1휴대기기(310)에 대해 회동될 경우 헛돌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휴대기기(310)와 제2휴대기기(320)가 최대한 밀착되게 배치되어, 제1휴대기기(310)의 대형 엘시디화면(미도시) 등을 보호하도록 초기상태에 제2휴대기기(320)의 링크회동중심점은 제1휴대기기(310)의 링크회동중심점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링크(330)가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2휴대기기(320)는 제2회동축부에 힌지결합되고 제2휴대기기(320)의 일단이 절개부(327)에 삽입되어 일정각도(A) 내에서는 상기 제2회동축부에 대해 제2휴대기기(320)가 단독으로 회동되게 되며, 제1회동축부와 제2회동축부는 제1힌지축(312) 및 제2힌지축(322)을 통해 링크(330)에 힌지결합되어 제1휴대기기(310)에 대해 제2회동축부 및 제2휴대기기는 360도 회동가능 하게 되어, 제2휴대기기(320)가 절개부(327)의 끝단에 걸려 상기 제2회동축부 내에서 제2휴대기기(320)의 회동이 멈추게 되면 그 이후의 각도(B)에서는 상기 제2회동축부와 제2휴대기기(320)가 동시에 제1휴대기기(310)에 대해 회동하게 된다.
이와같은 연결구조에 의해 제2휴대기기(320)가 전면에는 바형상의 휴대폰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별도의 키패드부가 형성되거나 엘시디화면이 형성될 경우, 제2휴대기기(320)를 일정각도(A)만 회동시켜서 제1휴대기기(310)의 부가적인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정단면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3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사용 상태 간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실시예에서 상기 제2휴대기기(420)는 상기 제2회동축부에 연결되는 제2후면기기와 상기 제2회동축부에 형성된 절개부(427)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제2전면기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휴대기기(420)는 폴더형 휴대기기와 같이 상기 제2전면기기는 디스플레이부(424)로 형성되며, 상기 제2후면기기는 키패드부(423)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수단은, 제1휴대기기(410)에 형성되며 양측에 제1기어부(411)가 형성된 제1회동축부, 키패드부(423)에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부(411)에 맞물리도록 양측에 제2기어부(421)가 형성된 제2회동축부, 상기 제1회동축부와 상기 제2회동축부를 연결하는 링크(430), 상기 제2회동축부에 양측 제2기어부(421)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427), 디스플레이부(424)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427)에 삽입되며 상기 제2회동축부 및 링크(430)와 힌지결합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링크(430)는 양측에 원통형상의 돌출부(435)가 형성되며, 각 돌출부(435) 외주면에 고리형상의 끼움홈(431)이 형성되며, 좌,우측링크(4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핀(433)이 삽입되도록 관통공(436)이 형성된다. 이러한 핀(433)은 좌측링크의 관통공(436)에 삽입되어, 제1회동축부의 제1삽입공(416)을 통과하여 우측링크의 관통공에 삽입된 뒤 너트(434)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링크(430)의 양 돌출부(435) 사이에는 와이어삽입공(미도시)을 형성하여, 제1휴대기기(410)와 제2휴대기기(4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회동축부는 양측 원주상에는 제1기어부(411)가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제1삽입공(416)이 관통 형성되며,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삽입공(416)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 제1끼움돌기(415)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1끼움돌기(415)는 링크(430)의 끼움홈(431)에 회동가능하도록 끼워지게 된다.
제2회동축부는 양측 원주상에는 제2기어부(421)가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제2삽입공(426)이 관통 형성되며,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끼움돌기(425)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2회동축부에는 양측 제2기어부(421) 사이에 제2삽입공(426)과 연통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절개부(427)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는 디스플레이부(424)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절개부(427)에 삽입되며,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링크(430) 및 제2회동축부와 힌지결합되도록 중공부(428)가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좌측링크(430)의 돌출부(435)에 끼워져 제1회동축부 및 연결부의 좌측까지 삽입되는 힌지축(437)을 구비하여 링크(430)에 대해 제2휴대기기(420)가 원활 하게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에 캠이나 스프링 등을 삽입하여 일정 각도 이상 개방시키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종래의 휴대폰의 힌지구조에 삽입되는 힌지장치(450)를 우측링크(430)의 돌출부(435)에 고정시킨 후 제1회동축부 및 연결부의 우측까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휴대기기(410)에 대해 제2휴대기기(420)는 360도 회동가능해 지며, 키패드부(423)에 대해 디스플레이부(424)는 일정 각도 회동가능해 진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24)는 후면에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자주 확인해야 하는 날짜, 시간, 안테나 수신감도, 배터리 잔여량 등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같은 데이터를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추가적으로 전면에도 외부 디스플레이부(429d)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24)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는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하여 귀에 대치하는 위치에 놓인다.
키패드부(423)는 통상의 휴대폰에 사용되는 유형으로, 디스플레이부(424)와 제1휴대기기(410) 사이에 배치되며, 내려졌을 시에는 제1휴대기기(410)를 보호하고, 올려졌을 시에는 제2휴대기기(420)를 노출시킨다.
키패드부(423)는 전화기로서 제1휴대기기(4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들(미도시)을 구비하며, 하단에는 통화를 위한 마이크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도 9는 디스플레이부(424)가 올려진 상태인 반면에 키패드부(423)는 내려진 상태를 나타내며, 이와같이 다기능 휴대기기는 키패드부(423)가 내려졌을 시 전화기로서 주 기능을 담당한다.
물론, 휴대기기는 키패드부(423)가 열리는 경우에는 동시적으로 디스플레이부(424)도 함께 열리는 구조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4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4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4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사용 상태 간략도1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4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기기 사용 상태 간략도2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실시예에서는 제2휴대기기는 제2상부기기(520)와 제2하부기기로 분할되며, 상기 제2상부기기는 상기 회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휴대기기(510)에 장착되며, 상기 제2하부기기는 다른 회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휴대기기(510)에 장착된다.
제2상부기기(520)는 상기 제2회동축부에 연결되는 제2후면기기와 일단이 상기 절개부(미도시)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제2전면기기로 이루어지며, 폴더형 휴대기기와 같이 상기 제2전면기기는 디스플레이부(524)로, 상기 제2후면기기는 키패드부(523)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3실시예에서의 제2휴대기기(420)와 동일한 구조로 제1휴대기기(510)에 장착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하부기기는 제1휴대기기(510)에 제2상부기기(520)와 연결부 반대면 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보조키패드(540)로 형성되어 인터넷 통신이나 이메일 전송 시, 주로 문자 키 등을 많이 사용하고, 사용자의 데이터 입력 동작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휴대기기(510)와 보조키패드(540)의 회동수단은 제1휴대기기(510) 하부에 형성되며 양측에 제1기어부(511b)가 형성된 제1회동축부, 보조키패드(540)에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부(511b)에 맞물리도록 양측에 제3기어부(541)가 형성된 제3회동축부, 상기 제1회동축부와 상기 제3회동축부를 연결하는 링크(530b)로 구성된다.
링크(530b)는 양측에 원통형상의 돌출부(535b)가 형성되며, 각 돌출부(535b) 외주면에 고리형상의 끼움홈(531b)이 형성되며, 좌,우측링크(530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핀(533b)이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핀(533b)은 좌측링크(530b)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제1회동축부의 제1삽입공(516b)을 통과하여 우측링크(530b)의 관통공에 삽입된 뒤 너트(534b)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링크(530b)의 양 돌출부(535b) 사이에는 와이어삽입공(532b)을 형성하여, 제1휴대기기(510)와 보조키패드(5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회동축부는 양측 원주상에는 제1기어부(511b)가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제1삽입공(516b)이 관통 형성되며,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끼움돌기(515b)가 각각 형성된다.
제3회동축부는 양측 원주상에는 제3기어부(541)가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제3삽입공(546)이 관통 형성되며,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3끼움돌기(545)가 각각 형성된다.
이로써,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휴대기기(510)에 대해 보조키패드(540)는 360도 회동가능해 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키패드(540)가 360도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을 보였지만, 키패드부(523)에 대해 디스플레이부(524)가 일정각도 회동되는 것처럼 동일한 구조를 적용하여 제1휴대기기(510)에 대해 보조키패드(540)가 일정각도 회동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상부기기(520)와 상기 제2하부기기의 분할면(520a, 540a)은 상기 제2하부기기의 전면 높이보다 후면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분할면(540a)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게 제2상부기기(520)에 경사지게 형성된 분할면(520a)을 형성하여 제2상부기기(520)와 상기 제2하부기기가 절첩된 상태에서 각 분할면(520a, 540a)의 사이간격을 최소화 함으로서, 먼지 등이 제1휴대기기(510)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상부기기(520)와 상기 제2하부기기가 맞닿는 면이 빈 공간이 없이 형성되어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경사지게 분할면(520a, 540a)을 형성하여,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부기기를 회동시키지 않고도 디스플레이부(524)만 회동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기기(520)와 상기 제2하부기기의 분할면(520b, 540b)은 측면에서 볼 경우에는 점접촉되고, 정면에서 봤 을 경우에는 선접촉되도록 각각 반원형상으로 만곡되게 형성하여 상기 제2상부기기(520)와 상기 제2하부기기의 개폐순서에 관계없이 각각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키패드부(523)는 주로 음성 통신 즉 셀룰러 전화기 기능을 위하여 숫자 키들의 배열 및 센드 키 및 파워 키 등을 포함하는 키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조키패드(540)는 주로 인터넷 통신, 이메일 전송을 위하여 문자 키나 방향 키 또는 특수 기능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것이 사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대형 엘씨디화면(517)를 통하여 사용자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2휴대기기를 제1휴대기기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각 기능을 선택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두개의 휴대기기가 하나의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다기능 휴대기기는 소형화 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제1휴대기기와 연결된 제1회동축부와, 상기 제2휴대기기와 연결된 제2회동축부와, 상기 제2회동축부와 상기 제1회동축부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링크로 이루어져, 상기 제2휴대기기가 상기 제1휴대기기에 360도 회전가능하여, 상기 제2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절첩시킨 상태로 제2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2회동축부는 상기 제2휴대기기의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제2휴대기기가 전면에는 바형상의 휴대폰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별도의 키패드부가 형성되거나 엘시디화면이 형성될 경우, 제2휴대기기를 일정각도만 회동시켜서 제1휴대기기의 부가적인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제1회동축부 외주면에는 제1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회동축부 외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제2기어부가 형성되어, 제2휴대기기가 제1휴대기기에 대해 회동될 경우 헛돌지 않고, 기어부는 스토퍼 역할을 하여 제2휴대기기를 일정각도 회동시킨 후 정지시키면 힘을 가하여 제2휴대기기를 회동시키지 않는 이상 그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휴대기기가 절첩된 상태에서는 안정적으로 절첩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제1휴대기기와 제2휴대기기 사이에 이물질 등이 들어가는 것 등을 방지하여 제2휴대기기는 제1휴대기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각 회동축부에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휴대기기와 상기 제2휴대기기가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제2회동축부가 상기 제1회동축부의 원주를 따라 회전을 하게 된다.
넷째, 상기 제2휴대기기는 제2상부기기와 제2하부기기로 분할되며, 상기 제2상부기기는 상기 회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휴대기기에 장착되며, 상기 제2하부기기는 다른 회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휴대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제2하부기기에 보조키패드 등을 형성하여 상기 제1휴대기기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제2휴대기기는 상기 제2회동축부에 연결되는 제2후면기기와 상기 제2회동축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제2전면기기로 이루어져, 상기 제2전면기기는 디스플레이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후면기기는 키패드부로 형성되어 전화기로 사용시 상기 키패드부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정각도 단독으로 회동되므로 전화를 용이하게 받을 수 있다.

Claims (5)

  1. 제1휴대기기;
    제2휴대기기;
    상기 제2휴대기기를 상기 제1휴대기기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제1휴대기기와 연결된 제1회동축부와, 상기 제2휴대기기와 연결된 제2회동축부와, 상기 제2회동축부와 상기 제1회동축부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휴대기기는 상기 제2회동축부에 연결되는 제2후면기기와 상기 제2회동축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제2전면기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축부 외주면에는 제1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회동축부 외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제2기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기기.
  5. 제1휴대기기;
    제2휴대기기;
    상기 제2휴대기기를 상기 제1휴대기기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제1휴대기기와 연결된 제1회동축부와, 상기 제2휴대기기와 연결된 제2회동축부와, 상기 제2회동축부와 상기 제1회동축부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휴대기기는 제2상부기기와 제2하부기기로 분할되며, 상기 제2상부기기는 상기 회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휴대기기에 장착되며, 상기 제2하부기기는 다른 회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휴대기기에 장착되며,
    상기 제2상부기기는 상기 제2회동축부에 연결되는 제2후면기기와 상기 제2회동축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제2전면기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기기.
KR1020050024883A 2005-03-25 2005-03-25 다기능 휴대기기 KR100713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883A KR100713855B1 (ko) 2005-03-25 2005-03-25 다기능 휴대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883A KR100713855B1 (ko) 2005-03-25 2005-03-25 다기능 휴대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862A KR20060102862A (ko) 2006-09-28
KR100713855B1 true KR100713855B1 (ko) 2007-05-04

Family

ID=3762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883A KR100713855B1 (ko) 2005-03-25 2005-03-25 다기능 휴대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8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056A (ko) * 2000-12-12 2002-06-20 윤종용 폴더형 휴대폰
KR20040033239A (ko) * 2002-10-11 2004-04-21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056A (ko) * 2000-12-12 2002-06-20 윤종용 폴더형 휴대폰
KR20040033239A (ko) * 2002-10-11 2004-04-21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862A (ko)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622B1 (ko)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
KR100711641B1 (ko) 이중 운동을 위한 힌지를 지니는 접이식 이동 단말기
EP1411707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bidirectonal rotatable folder
KR100403370B1 (ko)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US7565182B2 (en) Wireless cell phone
JP2002158758A (ja) 開閉型携帯情報端末
KR20050037054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KR20050122551A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KR20050054755A (ko) 휴대용 통신 장치
JP4578717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30035305A (ko) 외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된 스타일러스 및 이를채용한 무선 단말기
US7899504B2 (en)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display area widening mechanism
US20050020327A1 (en) Speaker-up type portable terminal
EP1427173B1 (en) Folder-typ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13855B1 (ko) 다기능 휴대기기
JP2005534237A (ja) 電子デバイス用の自動開放機構
JP4525516B2 (ja) 折畳み型携帯端末
KR100474678B1 (ko) 데이터 입력 확장성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30032223A (ko) 덮개의 완전개방을 위한 폴더형 휴대폰
KR100592182B1 (ko)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45222B1 (ko) 휴대폰의 플립형 덮개
KR100839842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487223B1 (ko) 지향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마이크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KR200276811Y1 (ko) 회전 폴더형 휴대폰
KR200276837Y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