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202A - 증발기 유닛 - Google Patents

증발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202A
KR20040032202A KR1020020059768A KR20020059768A KR20040032202A KR 20040032202 A KR20040032202 A KR 20040032202A KR 1020020059768 A KR1020020059768 A KR 1020020059768A KR 20020059768 A KR20020059768 A KR 20020059768A KR 20040032202 A KR20040032202 A KR 20040032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metal
air
scattering prevention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3093B1 (ko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9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093B1/ko
Publication of KR20040032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02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inserts or 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protective electric currents, voltages, cathodes, anodes, electric short-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증발기 표면에 맺히게 되는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며, 동시에 상기 응축수로 인하여 증발기 및 기타 공기 조화 장치의 내부 부품들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 조화 장치의 케이스 내의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관통되면서 냉각되는 코어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외부 표면에 적어도 그 일부분이 닿도록 설치된 것으로, 상기 증발기를 이루는 금속의 부식전위보다 낮은 부식전위를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비산 방지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발기 유닛 {Evaporator unit}
본 발명은 증발기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증발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차량의 외부 또는 차량의 실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냉난방 및 제습을 행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외기 또는 내기는 송풍기 유닛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송풍기 유닛과 연통된 증발기 유닛으로 송출시킨다. 이 증발기 유닛은 송풍기 유닛에 의하여 유입된 공기를 증발기 유닛에 구비된 증발기의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키며, 상기 증발기 유닛을 거쳐 냉각된 공기는 차량 실내와 연통되는 덕트를 통하여 공급되어 차량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증발기 유닛은 저온의 냉매와 고온의 공기 상호간에 열교환을 일으켜공기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므로, 더운 여름에 엔진 구동 초기에 에어컨을 가동시켰을 경우와 같이 증발기 표면과 그 내부의 냉매 사이의 온도차가 크게 되면 공기가 증발기 유닛을 통과할 때에 튜브와 탱크 표면으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게 된다.
이렇게 증발기 유닛의 표면에 응축된 응축수는 송풍기 유닛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편승되어 비산될 염려가 있으며, 이렇게 비산된 응축수는 덕트를 따라 차량 내부로 유입되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응축수는 증발기 표면이나 기타 배관부재의 부식을 초래해 증발기 코어부의 튜브나 탱크 등에 냉매의 리크 발생을 초래하는 등 많은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증발기 표면에 맺히게 되는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며, 동시에 상기 응축수로 인하여 증발기 및 기타 공기 조화 장치의 내부 부품들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증발기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비산 방지망을 구비한 증발기 유닛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망을 구비한 증발기 유닛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망을 구비한 증발기 유닛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실링 테이프를 구비한 증발기 유닛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의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실링 테이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의 A-A'의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실링 테이프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내부 케이스를 구비한 증발기 유닛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증발기110: 코어부
112: 튜브114: 방열 핀
120: 탱크121: 유입관
122: 유출관10,20,30: 비산 방지망
12,22: 고정 클립40,40': 실링 테이프
50,52: 금속 띠60: 금속 대
70: 내부 케이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의 케이스 내의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관통되면서 냉각되는 코어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외부 표면에 적어도 그 일부분이 닿도록 설치된 것으로, 상기 증발기를 이루는 금속의 부식전위보다 낮은 부식전위를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비산 방지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비산 방지망은 상기 증발기를 관통하는 공기유로의 상류측 표면 및 하류측 표면 중 적어도 일측 표면에 설치되도록 하거나, 상기 증발기의 적어도 코어부에 닿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비산 방지망을 상기 증발기에 고정시키는 고정 클립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한, 공기 조화 장치의 케이스 내의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관통되면서 냉각되는 코어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외부 표면을 따라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닿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증발기를 이루는 금속의 부식전위보다 낮은 부식전위를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띠가 구비된 실링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실링 테이프에는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닿는 내측면에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 띠는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금속 띠를 박막으로 형성해 상기 실링 테이프의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닿는 내측면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기 조화 장치의 케이스 내의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는공기가 관통되면서 냉각되는 코어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삽입시켜 상기 케이스 내에서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삽입된 증발기의 표면과 닿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증발기를 이루는 금속의 부식전위보다 낮은 부식전위를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대가 구비된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증발기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비산 방지망, 고정 클립, 금속 띠 및 금속 대는 아연 또는 아연 합금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유닛의 일부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유닛은 평행하게 배설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112)와 상기 튜브(112)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방열 핀(114)을 갖는 코어부(110)를 구비한 증발기(100)를 포함한다. 이 증발기는 공기 조화 장치의 케이스(미도시)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스의 공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코어부(110)를 통해 냉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코어부(110)의 일단에는 탱크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탱크부(120)에는 냉매의 유입관(121) 및유출관(122)이 연통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증발기(100)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데,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많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증발기(100)에 있어서, 공기 조화장치의 송풍기 유닛(미도시)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코어부(110)를 관통하면서 냉각되는 데, 이 때,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코어부(110)와의 온도차로 말미암아 증발기의 표면, 특히, 코어부(110)의 튜브(112)나 방열 핀(114) 등에서 응축되게 된다.
이러한 응축수는 송풍기 유닛의 송풍 세기가 커지게 되면 송풍력에 의해 비산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산 방지망(10)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비산 방지망(10)은 주로 상기 증발기(100)의 코어부(110)로부터 비산되는 응축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코어부(110)의 전면 혹은 후면에 설치될 수 있 것으로, 즉, 상기 증발기(100)의 코어부(110)를 관통하는 공기유로의 상류측 표면 및 하류측 표면 중 적어도 일측 표면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비산 방지망(10)은 보통 코어부(110)의 공기유로 하류측 표면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에 따라 응축수가 비산되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공기유로 상류측 표면에 비산 방지망을 설치하여 필터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비산 방지망(10)은 상기 증발기(100)를 이루는 금속보다 부식전위가 낮은 금속을 사용하여 그물 망의 형태로 형성된다. 통상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는 증발기의 경우 상기 비산 방지망(10)으로는 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보다 부식전위가 낮은 아연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증발기(100)를 이루는 금속보다 부식전위가 낮은 금속으로 제조된 비산 방지망(10)은 증발기(100)의 외부 표면에 적어도 그 일부분이 닿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비산 방지망(10)과 증발기(100)가 적어도 그 일부분이 닿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비산 방지망(10)을 상기 증발기(100)의 희생양극으로 삼아 상기 증발기(100)가 응축수로 인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서로 부식전위가 다른 두 금속, 즉, 부식전위가 비교적 높은 증발기(100)와 부식전위가 비교적 낮은 비산 방지망(10)을 접촉시키게 되면, 부식전위가 비교적 낮은 금속으로 제조된 비산 방지망이 양극으로 되어 산화반응이 일어남에 따라 먼저 부식이 진행되고, 반대로 상기 증발기(100)는 음극으로 되어 환원반응이 일어나 방식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증발기(100)는 상기와 같은 비산 방지망(10)에 의해 방식(防蝕)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데, 이를 위한 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산 방지망(10)과 증발기(100)가 적어도 일부분에 있어서는 접촉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비산 방지망(10)을 증발기(100)에 접촉되도록 설치하기 위하여는 그 표면에 용접하거나 별도의 고정 클립을 이용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부식 방지용 비산 방지망은 상기 증발기(100)의 적어도 코어부(110)에 닿도록 설치하여 이 코어부(110)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증발기(100)의 코어부(110)를 이루는 튜브(112)나 방열 핀(114)의 표면에 적어도 그 일부가 부착되도록 용접하거나,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별도의 고정 클립(12)을 이용해 고정시킨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산 방지망(10)은 상기 증발기(100)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증발기(100)가 두종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가장 낮은 부식전위를 갖는 금속보다 더 낮은 부식전위를 갖는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 클립(12)을 이용해 비산 방지망을 고정시킬 때에는 상기 고정 클립(12)을 상기 증발기(100)를 이루는 금속보다 부식전위가 낮도록 형성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클립(12)은 이미 증발기(100)의 튜브(112)나 핀(114) 또는 탱크(120)에 설치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비산 방지망은 상기 고정 클립보다 부식전위가 높은 금속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증발기의 표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에는 이렇게 증발기(100)의 표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비산 방지망(20)을 나타내 보였다. 이 때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증발기(100)와 비산 방지망(20)의 사이에 고정 클립(22)이 설치되며, 이 때, 상기 고정 클립(22)은 증발기(100), 특히, 그 코어부(110)를 이루는 금속보다 그 부식 전위가 낮아야 하며, 상기 비산 방지망(20)은 반드시 금속 재료일 필요는 없다. 그런데 이 때, 만일 상기 비산 방지망(20)이 금속으로 형성된 것일 경우에는 상기 고정 클립(22)은 상기 비산 방지망(20)을 형성한 금속보다 그 부식전위가 낮아야 상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100)와의 관계에서 희생양극으로 사용되어 증발기의 부식을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비산 방지망은 보다 다양한 형태로 증발기에 채용될 수 있는 데,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증발기의 일측면을 가리도록 형성된 것을 증발기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100)를 감싸도록 형성된 비산 방지망(30)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이 때에도, 상기 비산 방지망(30)은 상기 증발기(100)의 표면에 용접하거나 고정 클립으로 설치하는 데, 고정 클립을 이용하는 경우 증발기(100)의 표면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비산 방지망(30)이 증발기(100)의 표면에 닿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를 이루는 금속보다 부식전위가 낮은 금속을 사용하고, 상기 증발기(100)의 표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될 경우에는 고정 클립이 증발기보다 부식전위가 낮은 금속이 되도록 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증발기 유닛으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증발기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은 증발기(100)와 이 증발기(100)의 외부 표면을 따라 부착된 실링 테이프(40)를 구비한다. 이 실링 테이프(40)는 증발기(100)를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에 장착할 경우 이 케이스 내벽으로부터 상기 증발기를 단열시키고, 증발기를 장착시킬 때나 장착시킨 후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증발기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 테이프(40)는 상기 증발기(100)의 표면에 닿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증발기(100)를 이루는 금속의 부식전위보다 낮은 부식전위를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띠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 금속 띠(50)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실링 테이프(40)의 내측면, 즉, 증발기(100)와 닿는 면으로 소정의 삽입 홈(42)을 형성하고, 이 삽입 홈(42)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박막 또는 박편의 금속 띠(52)로 형성하여 상기 실링 테이프(40')의 내측면, 즉, 증발기와 닿는 면에 접착시킬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인 41, 41'는 실링 테이프(40)(40')를 증발기 표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이다. 상기 금속 띠들(50)(52)은 상기 실링 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일 수도 있으며, 편상(片狀)으로 형성되어 실링 테이프의 적어도 일개소 이상의 장소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증발기와 닿는 면에 증발기를 형성하는 금속보다 부식전위가 낮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띠를 구비한 실링 테이프는 이를 증발기에 설치하였을 경우 상술한 비산 방지망의 경우와 동일한 원리로 상기 금속 띠가 희생양극으로 작용하여 증발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졌을 경우에 상기 금속 띠는 아연 합금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증발기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은 증발기(100)가 내부 케이스(70)에 삽입된 것이다. 이 내부 케이스(70)는 상기 증발기(100)를 삽입시켜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내에서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것으로, 증발기 표면과 케이스 내벽과의 단열을 이루고, 상기 증발기(100)를 케이스에 장착시키는 과정에서나 장착시킨 후에 상기 증발기(100)를, 특히, 증발기(100)의 코어부(110)를 고정시켜 흔들리거나, 기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증발기(100), 특히, 증발기(100)의 코어부(110)를 보호하도록 한다. 이 내부 케이스(70)의 하부에는 증발기(100) 표면의 응축수가 흘러 떨어져 배출될 수 있도록 응축수 배출구도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케이스(70)의 증발기(100)가 삽입되어 닿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증발기를 이루는 금속의 부식전위보다 낮은 부식전위를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대(60,62)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금속 대(60,62)가 희생양극으로 작용하여 증발기(100)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70)에 구비되는 금속 대(60,62)는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증발기(100)의 양측단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내부 케이스(70) 내부에 상기 증발기(100)와 맞닿아 증발기(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비록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폐곡선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케이스(70)의 내벽면을 따라 설치하거나, 기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내부 케이스에 있어서도 상기 증발기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금속 대를 아연 합금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증발기 유닛의 구성은 이를 복합적으로 적용시킬 수도 있다. 즉, 비산 방지망을 구비한 증발기 유닛에 실링 테이프를 부착시키고, 이를 내부 케이스에 삽입한 후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유닛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비산 방지망을 채용함으로써 증발기 표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비산되어 차량 내부로 유입되거나, 기타 공기조화장치의 타 부품으로 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와 같은 응축수로 인해 증발기, 특히, 증발기의 코어부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증발기의 측면에 접착되는 실링 테이프나 증발기가 삽입되는 내부 케이스에 증발기보다 부식전위가 낮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띠나 금속 대를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증발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증발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공기 조화 장치의 케이스 내의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관통되면서 냉각되는 코어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외부 표면에 적어도 그 일부분이 닿도록 설치된 것으로, 상기 증발기를 이루는 금속의 부식전위보다 낮은 부식전위를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비산 방지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 방지망은 상기 증발기를 관통하는 공기유로의 상류측 표면 및 하류측 표면 중 적어도 일측 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 방지망은 상기 증발기의 적어도 코어부에 닿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산 방지망은 아연 또는 아연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 방지망을 상기 증발기에 고정시키는 고정 클립을 더 구비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
  6. 공기 조화 장치의 케이스 내의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관통되면서 냉각되는 코어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외부 표면을 따라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닿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증발기를 이루는 금속의 부식전위보다 낮은 부식전위를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띠가 구비된 실링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테이프에는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닿는 내측면에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 띠는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띠는 박막 또는 박편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링 테이프의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닿는 내측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띠는 아연 또는 아연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
  10. 공기 조화 장치의 케이스 내의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관통되면서 냉각되는 코어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를 삽입시켜 상기 케이스 내에서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삽입된 증발기의 표면과 닿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증발기를 이루는 금속의 부식전위보다 낮은 부식전위를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대가 구비된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대는 아연 또는 아연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유닛.
KR1020020059768A 2002-10-01 2002-10-01 증발기 유닛 KR100903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768A KR100903093B1 (ko) 2002-10-01 2002-10-01 증발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768A KR100903093B1 (ko) 2002-10-01 2002-10-01 증발기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202A true KR20040032202A (ko) 2004-04-17
KR100903093B1 KR100903093B1 (ko) 2009-06-16

Family

ID=3733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768A KR100903093B1 (ko) 2002-10-01 2002-10-01 증발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4561A (ko) * 2015-04-20 2016-10-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증발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326A (ja) * 1997-12-22 1999-09-07 Denso Corp 空調ユニットの排水構造
JP2000229514A (ja) * 1999-02-09 2000-08-22 Denso Corp 暖房用熱交換器
JP2000356497A (ja) * 1999-06-14 2000-12-26 Osaka Gas Co Ltd 熱交換器及び流体加熱装置
KR100718594B1 (ko) * 2000-11-07 2007-05-16 한라공조주식회사 탈취필터가 설치된 공기조화장치
KR20030030760A (ko) * 2001-10-12 2003-04-1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희생양극을 이용한 응축기 방열핀의 부식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4561A (ko) * 2015-04-20 2016-10-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증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093B1 (ko)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15063903A1 (ja) 耐食性寿命診断部品、熱交換器、冷凍空調装置
JP5304881B2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0903093B1 (ko) 증발기 유닛
WO2013118583A1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09198012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EP1273858A1 (en) Heat exchanger
JP2009174827A (ja) 室外機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H0328273Y2 (ko)
KR20060111974A (ko) 응축수 드레인 구조
JP3056105U (ja) 空調副冷却器
EP3674548A1 (en) Cover for compressor,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JP2017091711A (ja) 電池冷却装置
JP2001090976A (ja) 空気調和機
GB2300040A (en) Heat exchangers
JPH0755182A (ja) 空気調和機
JP2006056421A (ja) 車両用熱交換器
KR20090126810A (ko) 에어컨용 실외기
KR101017325B1 (ko) 열교환기
JP3110650B2 (ja) 冷蔵庫
CN209978332U (zh) 一种空调机及其打水结构
CN220586568U (zh) 电控盒及空调
CN212057532U (zh) 一种冷媒冷却散热结构及空调器
JP3296163B2 (ja) 空気調和機の接続配管固定装置
KR200309848Y1 (ko) 냉각 및 공기조화 설비용 증발타입 응축 방열 파이프
JPH08798Y2 (ja) 冷却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