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561A - 증발기 - Google Patents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561A
KR20160124561A KR1020150055394A KR20150055394A KR20160124561A KR 20160124561 A KR20160124561 A KR 20160124561A KR 1020150055394 A KR1020150055394 A KR 1020150055394A KR 20150055394 A KR20150055394 A KR 20150055394A KR 20160124561 A KR20160124561 A KR 20160124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cap
evaporator
flow path
condensed wa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410B1 (ko
Inventor
이덕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5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41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28F17/005Means for draining condensates from heat exchangers, e.g. from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2Evaporators with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19Arrangements for sealing end plates into casing or header box; Header box sub-elements
    • F28F9/0221Header boxes or end plates formed by stack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2Details of evapo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증발기 하측에 설치된 헤더 탱크(10)의 양단부에 장착된 앤드 캡(20)과, 상기 증발기의 측면에서 상기 앤드 캡(20)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앤드 캡(20)의 외측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앤드 플레이트(30); 및상기 앤드 캡(20)의 외주면과 상기 앤드 플레이트(3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응축수가 드레인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유로부(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발기{Evaporator}
본 발명은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하측에 장착되는 헤드 탱크의 앤드 캡과 앤드 플레이트 사이로 응축수가 드레인 될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응축수의 표면 장력으로 인해 증발기의 하측에서 미 배출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온도가 높은 유체로부터 전열벽을 통해서 온도가 낮은 유체에 열을 전달하는 장치이며, 가열기, 냉각기, 증발기 및 응축기 등에 사용된다.
증발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그리고 팽창밸브와 함께 냉방장치(미도시)의 일부로서 작동되며, 저온 저압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압축하면, 고온 고압의 압축가스가 되고, 상기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되어 외부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저온 고압의 냉매액으로 되고, 상기 냉매액은 팽창 밸브로 보내지며, 팽창 밸브의 구멍을 통과하면 압력과 온도가 모두 낮아져 저온 저압의 냉매액이 되고, 상기 저온 저압의 냉매액은 증발기의 관을 따라 이동하며,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저온 저압의 냉매 가스로 증발된다.
이때, 차가운 증발기의 관 사이로 실내의 더운 공기를 송풍기로 불어 주면 차가운 공기로 되며, 이 공기를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냉방 작용을 하게 된다.
종래의 증발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증발기(2)는 하측에 설치된 헤더 탱크(3) 사이에 응축수가 잔존하게 되는데, 상기 응축수는 상기 헤더 탱크(3)의 상면과 증발기(2)의 하측 사이에서 외측으로 배수되지 않고 장기간 유지될 경우 각종 세균이 기하급수적으로 번식되고 이로 인해 증발기(2)에서 냄새가 발생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증발기(2)가 작동되면서 열교환을 통해 냉매의 상변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나 상기 응축수가 형성된 영역에 위치된 핀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면서 증발기(2)의 효율이 저하되고, 겨울철의 경우 생성된 응축수가 동결되면서 증발기(2)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증발기용 앤드 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하면 증발기 하측에 설치된 헤더 탱크의 양단부에 장착된 앤드 캡; 상기 증발기의 측면에서 상기 앤드 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앤드 캡의 외측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앤드 플레이트; 및 상기 앤드 캡의 외주면과 상기 앤드 플레이트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응축수가 드레인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유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부는 상기 앤드 갭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앤드 캡의 상면과 앤드 플레이트 사이는 제1 이격 거리(a)로 이격되고, 상기 앤드 캡과 마주보는 앤드 플레이트 사이는 제2 이격 거리(b)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이격 거리(a)와 제2 이격 거리(b)는 서로 상이한 거리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이격 거리(a)는 상기 제2 이격 간격(b)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부는 상기 앤드 캡의 상면을 기준으로 횡 방향에서 상기 앤드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제1 유로; 상기 앤드 캡에서 이격된 앤드 플레이트의 종 방향에 형성된 제2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부를 통해 헤더 탱크의 외측으로 드레인되는 응축수는 일 방향으로 드레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하면 증발기 하측에 설치된 헤더 탱크의 양단부에 장착된 앤드 캡; 상기 증발기의 측면에서 상기 앤드 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앤드 캡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홈부와, 상기 홈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앤드 캡의 외측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앤드 플레이트; 및 상기 앤드 캡의 외주면과 앤드 플레이트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응축수가 드레인 되는 경로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유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부는 상기 앤드 캡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부는 서로 간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부는 상기 앤드 캡의 상면을 기준으로 횡 방향에서 상기 앤드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제1 유로; 상기 앤드 캡과 앤드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 제2 유로; 상기 복수개의 홈부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유로는 상기 복수개의 홈부 사이의 이격 폭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감소된 후에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부는 원형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되고 생성된 응축수가 상기 홈부를 따라 하측으로 드레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앤드 캡에 밀착된 홈부의 외주면은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고정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하면 증발기 하측에 설치된 헤더 탱크의 양단부에 장착된 앤드 캡; 상기 증발기의 측면에서 상기 앤드 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앤드 캡의 내측을 향해 부분 삽입된 복수개의 홈부와, 상기 홈부에서 상기 앤드 캡의 외측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앤드 플레이트; 및 상기 앤드 캡의 외주면과 앤드 플레이트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응축수가 드레인 되는 경로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유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앤드 플레이트는 상기 증발기의 측면에서 상기 앤드 캡이 위치된 곳까지 일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하면 증발기 하측에 설치된 헤더 탱크의 양단부에 장착된 앤드 캡; 상기 앤드 캡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홈부와, 상기 홈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앤드 캡의 외측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앤드 플레이트; 상기 앤드 캡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홈부의 상대면에 형성된 접착부; 및 상기 앤드 캡의 외주면과 상기 앤드 플레이트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응축수가 드레인 되는 경로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유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부는 접착제 또는 접착층이 형성된 접착 패드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하면 앤드 플레이트는 앤드 캡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앤드 캡과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헤더 탱크의 좌우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의하면 증발기 하측에 설치된 헤더 탱크의 양단부에 장착된 앤드 캡; 상기 증발기의 측면에서 상기 앤드 캡의 외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증발기가 장착되는 장착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씰링 상태를 유지하는 씰링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씰링 부재는 상기 증발기의 하단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하측으로 드레인 되도록 상기 앤드 캡의 외측 단부를 향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씰링 부재는 상기 앤드 캡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폭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앤드헤더 탱크와 증발기 하단 사이의 공간에 생성되는 응축수가 표면 장력에 의해 외측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현상을 해결하여 상기 응축수의 안정적인 배출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앤드 캡에 잔존하는 응축수량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증발기의 오염 및 동결로 인한 증발기의 파손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증발기에서 응축수가 생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에에 의한 증발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증발기는 하측에 헤더 탱크(10)가 설치되고, 상기 헤더 탱크(10)의 내부에는 냉매가 채워지며, 상기 헤더 탱크(10)의 좌측과 우측 단부에는 앤드 캡(20)이 장착된다.
증발기는 정상 작동이 이루어질 때 다수개의 핀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상기 증발기의 하단에 설치된 헤더 탱크(10)의 상면에 특정 높이로 생성되어 외측으로 드레인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발명은 생성된 응축수 중 증발기의 하단에 위치된 핀에서 잔존하는 응축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앤드캡(20)이 위치된 곳까지 증발기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된 앤드 플레이트(30)의 하단을 연장시켜 응축수의 원활한 드레인을 유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앤드 플레이트(30)는 상기 앤드 캡(20)과 마주보는 상태로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앤드 플레이트(30)가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되면서 앤드 캡(20)의 외주면과 상기 앤드 플레이트(30)의 내주면 사이에 응축수가 드레인 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유로부(40)가 형성된다.
앤드 플레이트(30)는 앤드 캡(2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부(40)는 상기 앤드 캡(20)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상기 이격 간격은 생성된 응축수가 헤더 탱크(10)의 상면 중 앤드 캡(20)이 설치된 위치에서 응축수가 갖는 표면 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표면장력이 발생되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격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대해 상세하게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앤드 캡(20)의 상면과 앤드 플레이트(30) 사이에 해당되는 y축 방향으로는 제1 이격 거리(a)로 이격되고, 상기 앤드 캡(20)과 마주보는 앤드 플레이트(30) 사이에 해당되는 x축 방향으로는 제2 이격 거리(b)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이격 거리(a)와 제2 이격 거리(b)는 동일 거리로 이격되거나 서로 상이한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앤드 캡(20)과 앤드 플레이트(30)의 제1,2 이격 거리(a, b)는 응축수의 안정적인 드레인을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특정 거리로 이격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특별히 특정 치수로 한정하지 않고 설명한다. 다만 상기 제1,2 이격 거리(a, b)는 서로 상이한 거리로 이격될 경우 제1 이격 거리(a)가 제2 이격 거리(b)에 비해 상대적으로 멀게 이격되는 것이 응축수의 안정적인 드레인을 도모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제1 이격 거리(a)는 생성된 응축수의 위치가 앤드 캡(20)의 상면과 앤드 플레이트(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해당되므로 상기 공간이 응축수가 용이하게 드레인 될 수 있는 간격만큼 이격되어야만 헤더 탱크(10)의 생성된 응축수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앤드 캡(20)의 상면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후술할 유로부(40)를 통해 안정적으로 드레인될 수 있다.
유로부(40)는 앤드 캡(20)의 상면을 기준으로 횡 방향에서 앤드 플레이트(30) 사이에 형성된 제1 유로(42)와, 상기 앤드 캡(20)에서 이격된 앤드 플레이트(30)의 종 방향에 형성된 제2 유로(44)를 포함하고, 응축수는 상기 제1 유로(42)를 통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로(44)로 이동된 후에 헤더 탱크(10)의 외측으로 드레인되므로 다량의 응축수가 생성되는 경우에도 증발기의 하단에 잔존하지 않아 응축수가 오염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위생적으로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고, 증발기의 성능 또한 향상되며 상기 증발기가 차량에 설치될 경우 차 실내로 불쾌한 냄새가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가 장착된 차량을 이용하는 운전자 또는 탑승객의 건강을 보호하고 장시간 증발기가 가동되는 경우에도 효율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유로부(40)는 헤더 탱크(10)의 외측으로 드레인되는 응축수가 세로 방향으로 드레인되는데 이동 경로가 복잡하지 않아 이동 도중 제1 유로(42) 또는 제2 유로(42) 중의 특정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정체되거나 드레인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드레인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에에 의한 증발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다르게 앤드 플레이트가 앤드 캡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나 부분적으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증발기는 하측에 헤더 탱크(100)가 설치되고, 상기 헤더 탱크(100)의 내부에는 냉매가 채워지며, 상기 헤더 탱크(100)의 좌측과 우측 단부에는 앤드 캡(200)이 장착된다.
증발기는 정상 작동이 이루어질 때 다수개의 핀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상기 증발기의 하단에 설치된 헤더 탱크(100)의 상면에 특정 높이로 생성되어 외측으로 드레인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발명은 생성된 응축수 중 증발기의 하단에 위치된 핀에서 잔존하는 응축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앤드캡(200)이 위치된 곳까지 증발기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된 앤드 플레이트(300)의 하단을 연장시켜 응축수의 원활한 드레인을 유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앤드 플레이트(300)는 상기 앤드 캡(200)과 마주보는 상태로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앤드 플레이트(300)가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되면서 앤드 캡(200)의 외주면과 상기 앤드 플레이트(300)의 내주면 사이에 응축수가 드레인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유로부(400)가 복수개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유로부(400)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곳이 아닌 두 곳으로 응축수가 배출되므로 생성된 응축수가 헤더 탱크(100)의 상면 또는 측면에 잔존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어 상기 응축수의 배출 효율이 향상되므로 증발기의 효율이 향상되고 증발기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로부(400)는 앤드 캡(200)의 상면을 기준으로 횡 방향에서 앤드 플레이트(300) 사이에 형성된 제1 유로(420)와, 상기 앤드 캡(200)과 앤드 플레이트(300) 사이에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 제2 유로(440)와, 복수개의 홈부(302)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유로(460)를 포함한다.
응축수는 상기 제1 유로(420)를 통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로(440)와 제3 유로(460)를 통해 각각 드레인될 수 있어 다량의 응축수가 생성되는 경우에도 정체되거나 드레인되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잔존하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또한 응축수가 제1 유로(420)와 연통된 제2 유로(440)를 통해 최단 이단 거리로 수직 하향되서 외측으로 즉시 배출되므로 응축수에 대한 배출성이 향상된다.
제3 유로(460)는 제1 유로(420)의 좌측 또는 우측과 연통되고, 상기 위치에 잔존하는 응축수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은 경로로 드레인될 수 있어 응축수에 대한 배출 성능이 위치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량의 응축수가 생성되는 경우에도 증발기의 하단에 잔존하지 않아 응축수가 오염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위생적으로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고, 증발기의 성능 또한 향상되며 상기 증발기가 차량에 설치될 경우 차 실내로 불쾌한 냄새가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홈부(302)는 앤드 플레이트(300)의 가로 방향에서 서로 간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타원 또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홈부(302) 사이에 제3 유로(460)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302) 사이의 이격 폭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감소된 후에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다량의 응축수가 생성되는 경우에도 정체되지 않고 상기 홈부(302)의 형상을 따라 하측을 향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앤드 플레이트(300)는 앤드 캡(20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홈부(302)가 형성된 부분이 앤드 캡(20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앤드 캡(200)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상기 이격 간격은 생성된 응축수가 헤더 탱크(100)의 상면 중 앤드 캡(200)이 설치된 위치에서 응축수가 갖는 표면 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표면장력이 발생되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격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대해 상세하게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앤드 캡(200)의 상면과 앤드 플레이트(300) 사이에 해당되는 y축 방향으로는 제1 이격 거리(a)로 이격되고, 상기 앤드 캡(200)과 마주보는 앤드 플레이트(300) 사이에 해당되는 x축 방향으로는 제2 이격 거리(b)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이격 거리(a)와 제2 이격 거리(b)는 동일 거리로 이격되거나 서로 상이한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앤드 캡(200)과 앤드 플레이트(300)의 제1,2 이격 거리(a, b)는 응축수의 안정적인 드레인을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특정 거리로 이격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특별히 특정 치수로 한정하지 않고 설명한다. 다만 상기 제1,2 이격 거리(a, b)는 서로 상이한 거리로 이격될 경우 제1 이격 거리(a)가 제2 이격 거리(b)에 비해 상대적으로 멀게 이격되는 것이 응축수의 안정적인 드레인을 도모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제1 이격 거리(a)는 생성된 응축수의 위치가 앤드 캡(200)의 상면과 앤드 플레이트(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해당되므로 상기 공간이 응축수가 용이하게 드레인될 수 있는 간격만큼 이격되어야만 헤더 탱크(100)의 생성된 응축수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앤드 캡(200)의 상면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유로부(400)를 통해 안정적으로 드레인될 수 있다.
앤드 캡(200)에 밀착된 홈부(302)의 외주면은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며 용접 방식은 전술한 방식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에에 의한 증발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제2 실시 예와 다르게 앤드 플레이트가 앤드 캡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나 홈부가 앤드 캡의 내측으로 부분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헤더 탱크의 냉매로부터 열전달을 통해 증발기의 부분적인 증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증발기는 하측에 헤더 탱크(1000)가 설치되고, 상기 헤더 탱크(1000)의 내부에는 냉매가 채워지며, 상기 헤더 탱크(1000)의 좌측과 우측 단부에는 앤드 캡(2000)이 장착된다.
증발기는 정상 작동이 이루어질 때 다수개의 핀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상기 증발기의 하단에 설치된 헤더 탱크(1000)의 상면에 특정 높이로 생성되어 외측으로 드레인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발명은 생성된 응축수 중 증발기의 하단에 위치된 핀에서 잔존하는 응축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앤드캡(2000)이 위치된 곳까지 증발기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된 앤드 플레이트(3000)의 하단을 연장시켜 응축수의 원활한 드레인을 유도한다.
상기 앤드 플레이트(3000)는 상기 앤드 캡(2000)과 마주보는 상태로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앤드 플레이트(3000)가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되면서 앤드 캡(2000)의 외주면과 상기 앤드 플레이트(3000)의 내주면 사이에 응축수가 드레인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유로부(4000)가 복수개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앤드 플레이트(3000)는 증발기의 측면에서 앤드 캡(2000)을 향해 연장되고 앤드 캡(2000)과 마주보는 상태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횡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부(3002)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3002)는 앤드 캡(2000)의 내측으로 부분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홈부(300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앤드 캡(2000)과 이격되며 상기 이격된 공간에 응축수가 드레인되는 경로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유로부(4000)가 형성된다.
홈부(3002)는 헤더 탱크(1000)에 부분 삽입되므로 저온 상태의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증발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증발기의 열교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면적을 부분적으로 증가시킨다.
홈부(3002)는 원형 또는 타원형태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유로부(4000)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앤드 플레이트(3000)의 좌측과 우측 및 중앙 부분을 향해 형성되므로 다량의 응축수가 헤더 탱크(100)의 상면 또는 측면에 잔존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어 상기 응축수의 배출 효율이 향상되므로 증발기의 효율이 향상되고 증발기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앤드 플레이트(3000)는 앤드 캡(200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홈부(3002)가 형성된 부분이 앤드 캡(200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앤드 캡(2000)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상기 이격 간격은 생성된 응축수가 헤더 탱크(1000)의 상면 중 앤드 캡(2000)이 설치된 위치에서 응축수가 갖는 표면 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표면장력이 발생되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격 상태가 유지된다.
앤드 캡(2000)에 밀착된 홈부(3002)의 외주면은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며 용접 방식은 전술한 방식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서 앤드 플레이트(30, 300, 3000)는 증발기의 측면에서 앤드 캡(20, 200, 2000)이 위치된 곳까지 일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에에 의한 증발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르게 앤드 플레이트가 앤드 캡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나 증발기의 측면에서 앤드 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지 않고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별도의 구성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헤더 탱크(1000a)의 양단부에 앤드 캡(2000a)이 장착되고, 상기 앤드 캡(2000a)과 마주보는 상태로 이격되되, 앤드 캡(2000a)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홈부(3000a)와, 상기 홈부(3002a)를 제외한 부분이 앤드 캡(2000a)의 외측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앤드 플레이트(3000a)는 앤드 캡(2000a)과 접착부(3500)를 매개로 상기 앤드 캡(2000a)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유로부(3000a)는 앤드 캡(2000a)의 외주면과 앤드 플레이트(2000a)의 내주면 상이에 형성되고, 전술한 실시 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접착부(3500)는 접착제 또는 접착층이 형성된 접착 패드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특별히 특정 재질 또는 특정 접착제로 한정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앤드 플레이트(3000a)는 앤드 캡(2000a)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앤드 캡(2000a)과 마주보는 상태로 헤더 탱크(1000a)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부탁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작업자가 접착부(350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앤드 플레이트(3000a)에 대한 부착을 통해 조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에에 의한 증발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르게 앤드 플레이트가 아닌 씰링 부재를 통해 응축수의 드레인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헤더 탱크(1000aa)의 양단부에 앤드 캡(2000aa)이 장착되고, 증발기의 측면에서 앤드 캡(2000aa)의 외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하측을 향해 연장된 씰링 부재(5000)을 포함하되, 상기 씰링 부재(5000)는 증발기가 장착되는 장착부(미도시)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씰링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과 증발기의 하측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외측으로 드레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앤드 캡(2000aa)의 외측과 이격되지 않고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씰링 부재(5000)가 밀착되는 이유는 증발기를 차량에 설치할 때 한정된 영역에 상기 증발기를 설치하과 테두리 부분에 대한 씰링을 위해 장착부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이 경우 상기 씰링 부재(5000)를 통해 응축수의 드레인을 가이드 하고 동시에 증발기의 안정적인 장착 또한 동시에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통해 작업자의 작업성 향상과 증발기의 손쉬운 설치를 통해 작업성을 향상하고 증발기의 작동에 따른 응축수의 안정적인 드레인을 도모할 수 있다.
씰링 부재(5000)는 폼 재질이 사용되며 다른 재질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앤드 캡(2000aa)과는 외측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앤드 캡(2000aa)의 폭 보다는 상대적으로 짧은 폭으로 연장되므로 도면 기준으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에 응축수가 드레인될 수 있는 유로가 각각 형성되어 응축수에 대한 안정적인 드레인을 통해 증발기의 작동 효율 향상과 생성된 응축수에 대한 안정적인 배출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100, 1000, 1000a, 1000aa : 헤더 탱크
20, 200, 2000, 2000a, 2000aa : 앤드 캡
30, 300, 3000, 3000a, 3000aa : 앤드 플레이트
40, 400, 4000, 4000a : 유로부
42, 420 : 제1 유로
44, 440 : 제2 유로
460 : 제3 유로
3500 : 접착부
5000 : 씰링 부재

Claims (20)

  1. 증발기 하측에 설치된 헤더 탱크(10)의 양단부에 장착된 앤드 캡(20);
    상기 증발기의 측면에서 상기 앤드 캡(20)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앤드 캡(20)의 외측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앤드 플레이트(30); 및
    상기 앤드 캡(20)의 외주면과 상기 앤드 플레이트(3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응축수가 드레인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유로부(40)를 포함하는 증발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40)는,
    상기 앤드 갭(30)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 캡(20)의 상면과 앤드 플레이트(30) 사이는 제1 이격 거리(a)로 이격되고, 상기 앤드 캡(20)과 마주보는 앤드 플레이트(30) 사이는 제2 이격 거리(b)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이격 거리(a)와 제2 이격 거리(b)는 서로 상이한 거리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격 거리(a)는 상기 제2 이격 간격(b)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40)는,
    상기 앤드 캡(20)의 상면을 기준으로 횡 방향에서 상기 앤드 플레이트(30) 사이에 형성된 제1 유로(42);
    상기 앤드 캡(20)에서 이격된 앤드 플레이트(30)의 종 방향에 형성된 제2 유로(44)를 포함하는 증발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40)를 통해 헤더 탱크(10)의 외측으로 드레인되는 응축수는 일 방향으로 드레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7. 증발기 하측에 설치된 헤더 탱크(100)의 양단부에 장착된 앤드 캡(200);
    상기 증발기의 측면에서 상기 앤드 캡(200)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앤드 캡(2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홈부(302)와, 상기 홈부(302)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앤드 캡(200)의 외측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앤드 플레이트(300); 및
    상기 앤드 캡(200)의 외주면과 앤드 플레이트(20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응축수가 드레인 되는 경로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유로부(400)를 포함하는 증발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400)는,
    상기 앤드 캡(200)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302)는 서로 간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400)는,
    상기 앤드 캡(200)의 상면을 기준으로 횡 방향에서 상기 앤드 플레이트(300) 사이에 형성된 제1 유로(420);
    상기 앤드 캡(200)과 앤드 플레이트(300)의 사이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 제2 유로(440)
    상기 복수개의 홈부(302)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유로(460)를 포함하는 증발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로(460)는,
    상기 복수개의 홈부(302) 사이의 이격 폭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감소된 후에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302)는,
    원형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되고 생성된 응축수가 상기 홈부(302)를 따라 하측으로 드레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 캡(200)에 밀착된 홈부(302)의 외주면은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고정 상태가 유지되는 증발기.
  14. 증발기 하측에 설치된 헤더 탱크(1000)의 양단부에 장착된 앤드 캡(2000);
    상기 증발기의 측면에서 상기 앤드 캡(2000)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앤드 캡(2000)의 내측을 향해 부분 삽입된 복수개의 홈부(3002)와, 상기 홈부(3002)에서 상기 앤드 캡(2000)의 외측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앤드 플레이트(3000); 및
    상기 앤드 캡(2000)의 외주면과 앤드 플레이트(200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응축수가 드레인 되는 경로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유로부(4000)를 포함하는 증발기.
  15.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앤드 플레이트(30, 300, 3000)는 상기 증발기의 측면에서 상기 앤드 캡(20, 200, 2000)이 위치된 곳까지 일체로 연장된 증발기.
  16. 증발기 하측에 설치된 헤더 탱크(1000a)의 양단부에 장착된 앤드 캡(2000a);
    상기 앤드 캡(2000a)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홈부(3002a)와, 상기 홈부(3002a)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앤드 캡(2000a)의 외측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앤드 플레이트(3000a);
    상기 앤드 캡(2000a)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홈부(3002a)의 상대면에 형성된 접착부(3500); 및
    상기 앤드 캡(2000a)의 외주면과 상기 앤드 플레이트(2000a)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응축수가 드레인 되는 경로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유로부(4000a)를 포함하는 증발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3500)는,
    접착제 또는 접착층이 형성된 접착 패드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8. 제16 항 내지 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앤드 플레이트(3000a)는,
    상기 앤드 캡(2000a)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앤드 캡(2000a)과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헤더 탱크(1000a)의 좌우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9. 증발기 하측에 설치된 헤더 탱크(1000aa)의 양단부에 장착된 앤드 캡(2000aa);
    상기 증발기의 측면에서 상기 앤드 캡(2000aa)의 외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증발기가 장착되는 장착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씰링 상태를 유지하는 씰링 부재(5000)를 포함하되,
    상기 씰링 부재(5000)는,
    상기 증발기의 하단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하측으로 드레인 되도록 상기 앤드 캡(2000aa)의 외측 단부를 향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 부재(5000)는 상기 앤드 캡(2000aa)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폭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KR1020150055394A 2015-04-20 2015-04-20 증발기 KR102130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394A KR102130410B1 (ko) 2015-04-20 2015-04-20 증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394A KR102130410B1 (ko) 2015-04-20 2015-04-20 증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561A true KR20160124561A (ko) 2016-10-28
KR102130410B1 KR102130410B1 (ko) 2020-07-07

Family

ID=5724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394A KR102130410B1 (ko) 2015-04-20 2015-04-20 증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0079A1 (de) * 2020-01-07 2021-07-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ußenluftwärmeübertrager für ein Fahrze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202A (ko) * 2002-10-01 2004-04-17 한라공조주식회사 증발기 유닛
JP2006170600A (ja) * 2004-07-05 2006-06-29 Showa Denko Kk 熱交換器
KR100831850B1 (ko) 2006-12-14 2008-05-22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202A (ko) * 2002-10-01 2004-04-17 한라공조주식회사 증발기 유닛
JP2006170600A (ja) * 2004-07-05 2006-06-29 Showa Denko Kk 熱交換器
KR100831850B1 (ko) 2006-12-14 2008-05-22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열교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0079A1 (de) * 2020-01-07 2021-07-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ußenluftwärmeübertrager für ein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410B1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1298B (zh) 层叠型热交换器
JP5868088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クーリングユニット
JP2013061136A5 (ko)
WO2014017060A1 (ja) 蒸発器
JP2019109039A (ja) 一体型熱交換器
JP2011064457A (ja) 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の冷媒流通部接続構造
US10845124B2 (en) Heat exchanger
KR20160124561A (ko) 증발기
US20120111550A1 (en) Ebullient cooling device
JP2007078292A (ja) 熱交換器および複式熱交換器
WO2016059800A1 (ja) 冷媒供給装置および冷却装置および冷却システム
KR100644134B1 (ko) 오일쿨러 일체형 응축기
JP200627314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6578169B2 (ja) 蓄冷機能付きエバポレータ
KR101461077B1 (ko) 열교환기
KR20080095369A (ko) 증발기
KR101771145B1 (ko) 응축기
KR101964369B1 (ko) 증발기
KR101631572B1 (ko) 응축기
WO2023210200A1 (ja) 冷却器
KR20130137922A (ko)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24560A (ko) 증발기용 앤드 캡
JP6924954B2 (ja) 熱交換器
KR100901629B1 (ko) 증발기
WO2018043295A1 (ja) 吸着式冷凍サイクル用の蒸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