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057A - 열응동 스위치 - Google Patents

열응동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057A
KR20040032057A KR1020030069233A KR20030069233A KR20040032057A KR 20040032057 A KR20040032057 A KR 20040032057A KR 1020030069233 A KR1020030069233 A KR 1020030069233A KR 20030069233 A KR20030069233 A KR 20030069233A KR 20040032057 A KR20040032057 A KR 20040032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ixed
terminal
battery
fix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545B1 (ko
Inventor
다끼가와마끼또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2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01H37/54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wherein the bimetallic element is inherently snap ac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04Bases; Housings; Moun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등의 발열체의 이상발열을 검지하면 이 발열체에의 통전을 차단하여 다른 경로에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는 열응동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 해결수단으로서, 열응동 스위치 (2) 는, 하우징 (3) 의 내부에, 제 1 고정접점 (7a) 과, 제 2 고정접점 (8a) 과, 제 1 및 제 2 고정접점 (7a, 8a) 사이에서 자유단부가 변위할 수 있는 바이메탈편 등의 열응동 소자 (9) 와, 이 열응동 소자 (9) 의 자유단부에 위치하여 제 1 및 제 2 고정접점 (7a, 8a) 중 어느 하나의 일방과 접촉하는 가동접점 부재 (10) 를 설치하고 있어, 소정 온도 이하일 때에는 열응동 소자 (9) 가 가동접점 부재 (10) 를 제 1 고정접점 (7a) 에 접촉시키고, 소정 온도를 초과하면 열응동 소자 (9) 가 반전되어 가동접점 부재 (10) 를 제 2 고정접점 (8a) 에 접촉시킨다.

Description

열응동 스위치{THERMALLY REACTIVE SWITCH}
본 발명은, 바이메탈편 등의 열응동 소자에 지지된 가동 접점을 고정접점에 분리접촉시키는 열응동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지 팩 등의 배터리 장치에서의 이상발열을 검지하여 발열을 억제하는 서멀 프로텍터로서 적합한 열응동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열응동 스위치로서는, 종래, 열팽창계수가 다른 금속판을 복수장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바이메탈편 등의 열응동 소자를 구비하고, 이 바이메탈편을 캔틸레버 형상으로 하우징에 장착함과 동시에, 바이메탈편의 자유단부에 고정설치된 가동접점을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고정접점과 분리접촉이 가능하게 대향시켜, 소정온도를 초과하면 스위치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즉, 소정 온도 이하일 때에는, 바이메탈편에 의해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눌려 있으므로 스위치 온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나, 소정 온도를 초과하면, 바이메탈편이 반전되기 때문에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으로부터 떨어져, 양 접점 사이의 도통이 차단되어, 스위치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열응동 스위치는, 전지에 직렬로 접속해 둠으로써, 그 전지가 이상발열되어 바이메탈편이 소정 온도를 초과했을 때에 신속하게 통전을 차단하여 발열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전지 팩 등의 배터리 장치의 서멀 프로텍터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76600호 (4∼7면, 도 3)
그러나, 기기의 전원에는 복수개의 전지를 직렬로 접속한 전지 팩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와 같은 전지 팩의 서멀 프로텍터로서 상기 서술한 종래의 열응동 스위치를 채용하면, 1개 전지의 이상발열을 열응동 스위치가 검지하여 통전을 차단한 단계에서 전지 팩은 전원으로서의 기능을 정지해 버리므로, 기기 본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사용하기가 불편하였다. 또한, 이상발열된 전지로의 통전을 차단해도 온도가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은 아니므로, 안전대책상, 냉각팬이나 알람 등을 작동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으나, 상기 서술한 종래의 열응동 스위치만으로는 보호기능회로 등의 외부회로에 지령신호를 출력할 수 없기 때문에, 서멀 프로텍터로서의 신뢰성을 저가로 높일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지 등의 발열체의 이상발열을 검지하면 이 발열체에의 통전을 차단하여 다른 경로에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는 열응동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예에 관련되는 열응동 스위치의 노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이메탈편이 반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2 에 나타내는 열응동 스위치의 외관도이다.
도 4 는 도 1∼도 3 에 나타내는 열응동 스위치의 상측 케이스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1∼도 4 에 나타내는 열응동 스위치를 장착한 배터리 장치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열응동 스위치의 노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이메탈편이 반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1b, 1c) : 전지
2 : 열응동 스위치
3 : 하우징
4 : 하측 케이스
5 : 상측 케이스
6∼8, 16 : 금속판
6a, 16a : 코먼 접점
6b, 16b : 코먼 단자
7a : 제 1 고정접점
7b : 제 1 단자
8a : 제 2 고정접점
8b : 제 2 단자
9 : 바이메탈편 (열응동 소자)
10, 15 : 가동접점 부재
11∼13 : 도체판
상기 서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열응동 스위치에서는, 하우징의 내부에, 제 1 고정접점과, 제 2 고정접점과, 열팽창계수가 다른 금속판을 복수장 접합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점 사이에서 자유단부가 변위할 수 있는 열응동 소자 (예를 들어, 바이메탈편) 와, 이 열응동 소자의 자유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점 중 어느 한 일방에 접촉되는 가동 접점부를 설치하고, 소정 온도 이하일 때에는 상기 열응동 소자가 상기 가동 접점부를 상기 제 1 고정접점에 접촉시키고, 소정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열응동 소자가 반전되어 상기 가동 접점부를 상기 제 2 고정접점에 접촉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열응동 스위치는, 제 1 고정접점을 전지 등의 발열체에 접속하고, 가동 접점부를 통해 이 발열체에의 통전이 실행되도록 해 두면, 이 발열체가 이상 발열되었을 때, 바이메탈편 등의 열응동 소자의 반전에 의해 가동 접점부를 제 1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간시켜 제 2 고정접점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이상을 일으킨 발열체에의 통전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발열체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경로나 외부회로와의 도통을 성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지 등의 발열체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장치에 장착하여, 이상발열된 발열체를 우회하여 다른 발열체에의 통전을 계속하는 자동 전환 스위치로서 사용하거나, 발열체의 이상발열정보를 보호기능회로에 통보 (출력) 하여 냉각팬이나 알람을 작동시키는 안전 스위치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열응동 소자의 일단측을 자유단부로 하고 타단측을 고정단부로 하며,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제 1 고정접점과 도통하여 도출시킨 제 1 단자와, 제 2 고정접점과 도통하여 도출시킨 제 2 단자와, 상기 고정단부를 통해 가동 접점부에 항상 도통된 코먼 단자를 설치하고, 소정 온도 이하일 때에는 열응동 소자를 통해 제 1 단자와 코먼 단자가 도통되고, 소정 온도를 초과하면 열응동 소자를 통해 제 2 단자와 코먼 단자가 도통되도록 구성해 두면, 온도변화에 따른 가동 접점부와 각 고정접점과의 분리접촉동작이나, 이에 따른 도전로의 전환을 확실하게 실행시킬 수 있고, 구성도 간소한 열응동 스위치가 얻어진다.
또한, 가동 접점부로서, 열응동 소자의 자유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제 1 고정접점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와 제 2 고정접점측으로 돌출되는 부위를 갖는 접점부재를 사용하면, 각 고정접점에 분리접촉되는 가동 접점을 따로따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열응동 스위치의 노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는 이 열응동 스위치의 바이메탈편이 반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이 열응동 스위치의 외관도, 도 4 는 이 열응동 스위치의 상측 케이스를 제거한 평면도, 도 5 는 이 열응동 스위치를 장착한 배터리 장치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배터리 장치는, 복수 개의 전지 (1) 를 직렬로 접속한 것으로, 각 전지 (1) 에는 열응동 스위치 (2) 및 도체판 (11∼13) 이 장착되어 있다. 이 열응동 스위치 (2) 는, 하측 케이스 (4) 및 상측 케이스 (5) 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평면에서 볼때 직사각형상인 합성수지제의 하우징 (3) 과, 하측 케이스 (4) 의 성형시에 일체화된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판 (6, 7) 과, 상측 케이스 (5) 의 성형시에 일체화된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판 (8) 과, 열팽창계수가 다른 2 장의 금속판을 적층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바이메탈편 (중간층으로서 도전성이 양호한 구리판을 끼운 트리메탈편을 포함 ; 9) 과, 이 바이메탈편 (9) 의 자유단부에 코킹 고정된 도전성이 양호한 가동접점 부재 (10) 에 의해 개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금속판 (6∼8) 은 예를 들어 황동이나 인청동 등으로 이루어지고, 가동접점 부재 (10) 는 예를 들어 구리ㆍ니켈 합금이나 은산화주석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이메탈편 (9) 의 중앙부에는, 반전동작을 확실하게 실행시키기 위한 돔형상 반전부 (9a) 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판 (6) 은, 하측 케이스 (4) 의 내저면에 노출되는 코먼 접점 (6a) 과, 하측 케이스 (4) 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코먼 단자 (6b) 와, 하측 케이스 (4) 에 매설된 경사부 (6c) 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금속판 (7) 은, 하측 케이스 (4) 의 내저면에 노출되는 제 1 고정접점 (7a) 과, 하측 케이스 (4) 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 단자 (7b) 와, 하측 케이스 (4) 에 매설된 경사부 (7c) 를 갖는다. 금속판 (8) 은, 상측 케이스 (5) 의 천정면에 노출되는 제 2 고정접점 (8a) 과, 상측 케이스 (5) 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2 단자 (8b) 와, 상측 케이스 (5) 에 매설된 도시하지 않은 경사부를 갖는다. 바이메탈편 (9) 의 고정단부는, 스폿 용접 등에 의해 코먼 접점 (6a) 에 고정되어 있다. 바이메탈편 (9) 의 자유단부는, 대향하는 제 1 고정접점 (7a) 과 제 2 고정접점 (8a) 사이에서 상하로 변위 가능 (요동 가능) 하다. 가동접점 부재 (10) 는, 제 1 고정접점 (7a) 측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이 고정접점 (7a) 과 분리접촉 가능하고, 제 2 고정접점 (8a) 측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이 고정접점 (8a) 과 분리접촉 가능하다.
그러나,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먼 단자 (6b) 와 제 1 단자 (7b) 는 하우징 (3 ; 하측 케이스 (4)) 으로부터 서로 역방향으로 도출되어 있고, 제 2 단자 (8b) 는, 코먼 단자 (6b) 와 제 1 단자 (7b) 의 도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방향) 으로 하우징 (3 ; 상측 케이스 (5)) 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3개의 단자 (6b, 7b, 8b) 가 하우징 (3) 으로부터 전부 다른 방향으로 도출되게 되어, 도체판 (11∼13) 에 접속하는 경우의 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열응동 스위치 (2) 를 전지 등의 발열체나 기판 (도시생략) 등에 장착할 때의 장착면적 (전유면적) 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바이메탈편 (9) 의 고정단부에 도통접속하는 코먼 단자 (6b) 와 제 1및 제 2 단자 (7b, 8b) 중 어느 한 단자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제 1 단자 (7b)) 가 하우징 (3) 으로부터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에서, 단자 (6b) 와 단자 (7b) 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하우징 (3 ; 하측 케이스 (4)) 과 일체화하는 경우, 동일한 후프재로 이루어지는 금속재료로 2개의 단자 (6b, 7b) 를 가공할 수 있어, 생산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제 2 단자 (8b) 에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굽힘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 코먼 단자 (6b) 와 제 1 및 제 2 단자 (7b, 8b) 의 3개 단자의 하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열응동 스위치 (2) 를 기판 등에 표면실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되어 있다.
각 전지 (1) 에 장착된 열응동 스위치 (2) 와 도체판 (11∼13) 의 접속관계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단자 (7b) 가 도체판 (11) 에 접속되고, 코먼 단자 (6b) 가 도체판 (12) 에 접속되고, 제 2 단자 (8b) 가 도체판 (13)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체판 (11) 은 상기 전지 (1) 의 음극에 접속되고, 도체판 (12) 은 상기 전지 (1) 에 인접하는 일방의 전지 (1) 의 양극에 접속되고, 도체판 (13) 은 상기 전지 (1) 에 인접하는 타방의 전지 (1) 로부터 연장되는 다른 도체판 (12) 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바이메탈편 (9) 이 소정 온도 이하인 노멀 상태 (통상의 사용상태) 에서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점 부재 (10) 가 제 1 고정접점 (7a) 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바이메탈편 (9) 을 통해 코먼 단자 (6b) 와 제 1 단자 (7b) 가 도통되어 있고, 이 때문에 도체판 12, 11 사이가 폐쇄되고 도체판 12, 13 사이는 개방되어 있다. 그런데, 소정 온도를 초과한 고온시에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메탈편 (9) 이 반전되기 때문에, 가동접점 부재 (10) 가 제 1 고정접점 (7a) 으로부터 떨어져 제 2 고정접점 (8a) 에 맞닿는다. 즉, 코먼 단자 (6b) 와 제 1 단자 (7b) 의 도통이 차단되어, 코먼 단자 (6b) 와 제 2 단자 (8b) 가 바이메탈편 (9) 을 통해 도통된 상태가 되므로, 도체판 12, 11 사이는 개방되고 도체판 12, 13 사이가 폐쇄된다.
각 전지 (1) 에 장착된 열응동 스위치 (2) 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 예에 관련되는 배터리 장치는, 어느 1개의 전지 (1) 가 이상발열되면, 그 전지 (1) 에의 통전이 차단되어, 그 전지 (1) 에 부설된 도체판 (13) 이 바이패스 경로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5 에서, 도면에 나타낸 중앙의 전지를 1a, 전지 1a 의 오른쪽 옆의 전지를 1b, 전지 1a 의 왼쪽 옆의 전지를 1c 로 하면, 이들 3개의 전지 (1a∼1c) 에 이상이 없으면, 각 전지의 음극에는 부설되어 있는 도체판 (12, 11) 을 경유하여 전류가 흘러들어가고, 각 전지의 양극으로부터 인접하는 전지의 도체판 (12) 에 전류가 송출되어 간다. 그런데, 예를 들어 도면에 나타낸 중앙의 전지 (1a) 가 이상발열되어, 이 전지 (1a) 에 장착된 열응동 스위치 (2) 의 바이메탈편 (9) 이 반전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동접점 부재 (10) 가 제 1 고정접점 (7a) 으로부터 떨어져 제 2 고정접점 (8a) 에 맞닿기 때문에, 전지 (1a) 에 부설되어 있는 도체판 12, 11 사이가 개방되고 도체판 12, 13 사이가 폐쇄되어, 도 5 에 나타낸 해칭 부분이 도전로가 된다. 이에 의해, 전지 (1b) 의 양극으로부터 전지 (1a) 용의 도체판 (12) 에 흘러들어가는전류가, 전지 (1a) 용의 도체판 (11) 이 아니라 도체판 (13) 을 향하게 되므로, 전지 (1a) 는 음극에 전류가 흘러들어가지 않게 되어 통전이 차단되고, 또한 전지 (1a) 용의 도체판 (12, 13) 을 경유하여 전지 (1c) 용의 도체판 (12) 에 전류가 송출되기 때문에, 전지 (1b) 와 전지 (1c) 가 전지 (1a) 를 우회하여 단락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 예에 관련되는 배터리 장치는, 임의의 전지 (1) 가 이상 발열되어도, 그 전지 (1) 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경로가 확보되어, 전원기능이 정지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사용의 편리성을 훨씬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전지 (1) 에 부설된 예비경로로서의 도체판 (13) 을 보호기능회로 등의 외부회로와 접속해 두면, 전지 (1) 의 이상발열정보를 외부회로에 자동 통보 (출력) 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대책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예에 있어서는, 열응동 스위치 (2) 가, 바이메탈편 (9) 의 일단측을 가동접점 부재 (10) 를 지지하는 자유단부로 하고, 바이메탈편 (9) 의 타단측을 코먼 단자 (6b) 와 항상 도통된 고정단부로 하고 있으므로, 간소한 구성이면서, 온도변화에 따른 가동접점 부재 (10) 와 각 고정접점 (7a, 8a) 과의 분리접촉동작이나, 이에 수반되는 도전로의 전환을 확실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제 1 고정접점 (7a) 과 제 2 고정접점 (8a) 이 대향되어 있어, 바이메탈편 (9) 의 자유단부에 코킹 고정한 가동접점 부재 (10) 를 각 고정접점 (7a, 8a) 에 분리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바이패스 경로용의 고정접점 (8a) 에 분리접촉시키는전용의 가동접점 부재를 설치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배터리 장치의 사용의 편리성이나 안전대책의 향상을 저가로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고정접점 (7a, 8a) 이 시프트 (위치어긋남) 되어 대향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확실하게 온/오프 동작을 시키기 위해, 제 1 및 제 2 고정접점 (7a, 8a) 에 각각 대응시켜 가동접점 부재를 개별적으로 2개 설치해도 된다. 또한, 코먼 접점 (6a) 과 제 1 및 제 2 고정접점 (7a, 8a) 은, 각각 코먼 단자 (6b) 와 제 1 및 제 2 단자 (7b, 8b) 를 구성하는 금속판 (6∼8) 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각 단자 (6b, 7b, 8b) 와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접점 (6a, 7a, 8a) 을 각각 금속판 (6∼8) 에 고착해도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 예에 관련되는 열응동 스위치의 노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 은 이 열응동 스위치의 바이메탈편이 반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 2 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6, 7 에 나타내는 열응동 스위치에서는, 바이메탈편 (9) 의 중앙부를 하측 케이스 (4) 의 돌기부 (4a) 와 상측 케이스 (5) 의 돌기부 (5a) 로 협지하여, 바이메탈편 (9) 의 양 단부가 요동 가능 (변위 가능) 하게 되어 있고, 이들 양 단부에 각각 가동접점 부재 (10) 와 가동접점 부재 (15) 가 코킹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금속판 (6) 과 항상 도통된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판 (16) 이 상측 케이스 (5) 에 일체화되어 있다. 이 금속판 (16) 은, 상측 케이스 (5) 의 천정면에 노출되는 코먼 접점 (16a) 과, 상측 케이스 (5) 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코먼 단자 (16b) 와, 상측 케이스 (5) 에 매설된 경사부 (16c) 를 갖고, 가동접점 부재 (15)가 코먼 접점 (16a) 과 코먼 접점 (6a) 에 분리접촉가능하고, 도면에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코먼 단자 (16b) 는 코먼 단자 (6b) 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바이메탈편 (9) 이 소정 온도 이하인 노멀상태 (통상의 사용상태) 에서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점 부재 (10) 가 제 1 고정접점 (7a) 에 맞닿아 가동접점 부재 (15) 가 코먼 접점 (6a) 에 맞닿고 있기 때문에, 바이메탈편 (9) 을 통해 코먼 단자 (6b) 와 제 1 단자 (7b) 가 도통되어 있다. 그런데, 소정 온도를 초과한 고온시에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메탈편 (9) 이 반전되기 때문에, 가동접점 부재 (10) 가 고정접점 (7a) 으로부터 떨어져 제 2 고정접점 (8a) 에 맞닿음과 동시에, 가동접점 부재 (15) 가 코먼 접점 (6a) 으로부터 떨어져 코먼 접점 (16a) 에 맞닿는다. 여기에서, 코먼 접점 (6a, 16a) 은 코먼 단자 (6b, 16b) 를 통해 항상 도통되어 있으므로, 가동접점 부재 (15) 는 어느 코먼 접점 (6a, 16a) 에 맞닿아도 전기적으로는 등가이며, 이 때문에, 가동접점 부재 (10) 를 제 1 고정접점 (7a) 으로부터 이간시켜 제 2 고정접점 (8a) 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실시형태 예와 동일한 전환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전지 등의 발열체가 이상발열되었을 때, 바이메탈편 등의 열응동 소자의 반전에 의해 가동 접점부를 제 1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간시켜 제 2 고정접점에 접촉시킬 수 있는 열응동 스위치이므로, 이상을 일으킨 발열체에의 통전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발열체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경로나 외부회로와의 도통을 성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열응동 스위치를 전지 등의 발열체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장치에 장착하여, 이상발열된 발열체를 우회하여 다른 발열체에의 통전을 계속하는 자동 전환 스위치로서 사용하거나, 발열체의 이상발열정보를 보호기능회로에 통보 (출력) 하여 냉각팬이나 알람을 작동시키는 안전 스위치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하우징의 내부에, 제 1 고정접점과, 제 2 고정접점과, 열팽창계수가 다른 금속판을 복수장 접합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점 사이에서 자유단부가 변위할 수 있는 열응동 소자와, 이 열응동 소자의 자유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점 중 어느 한 일방에 접촉되는 가동 접점부를 설치하고,
    소정 온도 이하일 때에는 상기 열응동 소자가 상기 가동 접점부를 상기 제 1 고정접점에 접촉시키고, 소정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열응동 소자가 반전되어 상기 가동 접점부를 상기 제 2 고정접점에 접촉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응동 소자의 일단측을 자유단부로 하고 타단측을 고정단부로 하며,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상기 제 1 고정접점과 도통하여 도출된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고정접점과 도통하여 도출된 제 2 단자와, 상기 고정단부를 통해 상기 가동 접점부에 항상 도통된 코먼 단자를 설치하고,
    소정 온도 이하일 때에는 상기 열응동 소자를 통해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코먼 단자가 도통되고, 소정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열응동 소자를 통해 상기 제 2 단자와 상기 코먼 단자가 도통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부로서, 상기 열응동 소자의자유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 1 고정접점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와 상기 제 2 고정접점측으로 돌출되는 부위를 갖는 접점부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스위치.
KR1020030069233A 2002-10-08 2003-10-06 열응동 스위치 KR100573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94974 2002-10-08
JP2002294974A JP2004134118A (ja) 2002-10-08 2002-10-08 熱応動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057A true KR20040032057A (ko) 2004-04-14
KR100573545B1 KR100573545B1 (ko) 2006-04-24

Family

ID=3228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233A KR100573545B1 (ko) 2002-10-08 2003-10-06 열응동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134118A (ko)
KR (1) KR100573545B1 (ko)
CN (1) CN1260760C (ko)
TW (1) TWI22874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779B1 (ko) * 2003-09-30 2006-03-2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열응동 스위치
WO2017074082A1 (ko) * 2015-10-30 2017-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8736A (ja) * 2005-07-13 2007-02-01 Ebara Corp サーマルプロテクタ、電動機保護装置、水中ポンプ装置、及びマンホールポンプ装置
JP4858064B2 (ja) * 2006-10-04 2012-01-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力学量検出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568926A (zh) * 2011-12-31 2012-07-11 上海长园维安电子线路保护有限公司 新型可恢复薄型温度保险丝结构
KR102556516B1 (ko) 2016-08-11 2023-07-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6967878B2 (ja) * 2017-06-01 2021-11-17 ボーンズ株式会社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
CN110120557B (zh) * 2018-02-05 2021-01-15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保护装置及电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779B1 (ko) * 2003-09-30 2006-03-2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열응동 스위치
WO2017074082A1 (ko) * 2015-10-30 2017-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US10871625B2 (en) 2015-10-30 2020-12-22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camera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28740B (en) 2005-03-01
CN1497634A (zh) 2004-05-19
JP2004134118A (ja) 2004-04-30
CN1260760C (zh) 2006-06-21
TW200421376A (en) 2004-10-16
KR100573545B1 (ko) 2006-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09741B2 (ja) パック電池
US5995351A (en) Motor protector device
US6281780B1 (en) Electrical apparatus having improved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contact used therewith
JPH05282977A (ja) 過電流保護装置
US6841745B2 (en) Battery device
US6414285B1 (en) Thermal protector
KR20200106972A (ko) 열 보호 기능을 갖는 온도 제어기
KR100573545B1 (ko) 열응동 스위치
US7071809B2 (en) Thermal fuse containing bimetallic sensing element
KR101914186B1 (ko) 접점 구조
JP2018206732A (ja) ブレーカー
KR100546424B1 (ko) 서멀 프로텍터
JP4237654B2 (ja) 安全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過大電流遮断システム
JP2003297204A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
JP2017016997A (ja) 温度感応電子部品
JPH10326554A (ja) Ptc素子を備えた限流器及び/又は遮断器
JP2004311350A (ja) バッテリ装置および携帯機器
CN217134279U (zh) 温度断路器、电池及电子设备
WO2022004360A1 (ja) 電気回路
JP2017033782A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ー
JP2001052580A (ja) 熱応動スイッチ
JP2005158682A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
JPH07176248A (ja) サーモスタット
JPH01303018A (ja) モータの過負荷保護装置
JPH0822757A (ja) 過負荷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