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015A -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015A
KR20040032015A KR1020020061326A KR20020061326A KR20040032015A KR 20040032015 A KR20040032015 A KR 20040032015A KR 1020020061326 A KR1020020061326 A KR 1020020061326A KR 20020061326 A KR20020061326 A KR 20020061326A KR 20040032015 A KR20040032015 A KR 20040032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smoke detector
detector
detection system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2012B1 (ko
Inventor
공기덕
Original Assignee
대우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1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012B1/ko
Publication of KR2004003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3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기 감지기와 수신반의 정상 작동 유무를 자가 진단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별도의 감지기 작동 시험이나 설비 점검이 필요없이 연기감지 시스템을 유지 운용할 수 있는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연기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기감지 시스템의 시험점검시 인위적인 연기분사로 감지기 내부의 수광 소자와 송광 소자에 이물질이 도포되어 감지기 성능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시험 점검에 따른 별도의 노력 없이 표시등의 점등 확인만으로 연기감지 시스템의 정상동작 유무를 유효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연기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연기감지기, 수신반 및 무극성 연결 선로로 구성된 연기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극성 연결 선로의 일측을 개방하여 T3와 T4 단자를 갖는 전류검출단자를 착설하고, T3와 T4 양단자 사이에 흐르는 연기감지기 동작전류를 검출기로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트랜지스터로 증폭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구성을 갖는 감시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SMOKE DETECTING SYSTEM HAVING SELF TEST FUNCTION}
본 발명은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기감지 시스템의 동작전류를 감시하여 연기감지기와 선로 및 수신반의 정상작동 유무를 표시하는 자가 진단하는 기능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감지 시스템은 크게 연기감지형과 열감지형으로 대별될 수 있다. 그 중 열감지형 화재감지 시스템은 주위온도가 상승시 일정온도가 초과하면 내부의 바이메탈(Bimetal)이 동작하여 접점을 접속하는 정온도 방식과 주위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 감열실내의 공기가 팽창하여 감열실내의 다이아램프를 밀어올려 접점 내부의 접점을 접합시켜 감지하도록 하는 차등식이 있다. 이러한 열감지형 화재감지기는 설치 환경에 대한 영향이 적은 반면에 감지 범위가 좁고 감지시간이 늦어 화염에 의한 고열발생시에만 감지되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조기감지 조기진화의 소방목적을 충족시키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화재 발생 경보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려 조기의 화재 진압에 실패할 위험이 있다. 연기감지형 화재감지 시스템(이하, "연기감지 시스템")은 감지 범위가 넓고 감지시간이 빠른 장점으로 인해 일반 지상건출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 나아가 통신구나 전력구와 같이 감시 범위가 넓고 조기 감지가 전제되는 장소는 연기감지기의 설치가 불가피하다. 연기감지기는 연기 유입시 암실내에서의 난반사에 의하여 수신반에서 감지하는 방식으로서, 도 1을 참조하여 그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신반(1)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연기감지기(2)가 작동하며, 연기유입시 연기감지기(2)에 부착된 발광다이오드(LED)(본원 발명에서 화재경보표시 발광다이오드에 해당함)의 점등으로 화재발생을 표시하고 연기감지기 내부회로의 저항 루프(LOOP)로 수신반(1) 계전기를 작동시켜 화재 경보를 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기감지기는 평상시 연기감지기, 선로 및 수신반의 정상 동작 유무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연기감지기와 선로 및 수신반이 모두 정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연기감지기에 인위적으로 연기를 분무하여 동작상태을 점검하여야 한다. 또한, 인위적으로 연기를 분무하는 과정에서, 연기감지기 내부의 소자에 이물질이 도포되어 감지 감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20-256311호는 연기감지기의 내부 회로에 공진부 및 스위칭부 및 발광부를 설치하여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연기감지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210753호는 무극성 브릿지 회로부와, 발진회로부, 그리고 적외선 방출회로부와, 수신 회로부, 신호 비교회로부 및 동작회로부로 구성된 통상의 화재경보용 연기감지기 회로에 있어서, 적외선 방출회로부의 트랜지스터와 적외선방출 다이오드(ILD) 사이에 동작감시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하거나 또는 적외선 방출회로의 +단에 저항을 연결하여 각각 접지된 콘덴서 및 콜렉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된 다이오드와 연결하고,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저항를 통해 콘덴서와 연결하였으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는 저항를 연결하여 된 동작감시 다이오드 구동회로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감지기 회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실용신안등록 제20-210753호 및 제20-256311호는 둘 다 연기감지기, 선로 및 수신반의 동작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연기 감지기의 내부 회로에 일정한 변경을 가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연기 감지기의 내부 회로를 변경시킬 경우 연기 감지기 내부 회로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어 새로이 설치하여야 하여야 한다. 더 나아가, 연기감지기, 선로 및 수신반이 정상 상태인지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감시 전류가 약 50 ㎂에 불과한 점을 감안할 때, 내부 회로에서 발생하는 전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비정상적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정상 상태인 것으로 잘못 표시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화재감지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수신반과 연결 선로 및 연기감지기의 정상동작 유무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연기감지기의 내부회로에 일정한 변경을 가하는 대신에 수신반과 연기 감지기를 연결하는 연결 선로에 감시 회로를 배치한 구성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연기감지기, 수신반 및 선로의 동작일체를 육안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종래의 연기감지기나 수신반의 변경 없이 연기감지기와 수신반을 연결하는 선로에 감시회로를 배치한 구성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 수단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반(1)에서 연기감지기(2)로 접속되는 무극성 연결 선로 T1 및 T2 중 일측에 전류검출 단자 T3, T4(3)를 착설하고, T3와 T4 양단에 흐르는 미세 전류를검출기(4)로 검출하고 표시회로(5)의 상태표시 발광다이오드(8)를 점등하게 함으로써 연기감지기(2)는 물론 선로와 수신반(1)의 동작일체를 육안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써 종래의 연기감지기나 수신반의 변경 없이 기존에 설치된 연기감지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상기한 감시회로가 새겨진 기판은 연기감지기의 보조함체 내부 또는 고정용 브라켓트의 내부 공간부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연기감지시스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연기감지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신반2: 연기감지기3 : 전류검출단자
4 : 검출기5 : 표시부6 : 정전압 전원부
7 : 교류전원단자8 : 상태표시 발광다이오드9 : 전원표시 발광다이오드
10 : 화재경보표시 발광다이오드11 : 보조함체12 : 브라켓트
13a, 13b : 전류검출단자 연결구14a, 14b, 14c : 교류전원단자 연결구
15a, 15b : 브라케트 고정용 볼트체결구16 : 브라케트 내부 공간부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연기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상기한 시스템은 수신반(1)과 연기감지기(2)로 구성되고 수신반(1)에서 무극성 연결 선로를 통해 연기감지기(2)의 T1과 T2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연기감지기(2)가 작동하며 화재발생으로 연기감지기(2) 내부에 설치된 센서부에 소정의 연기가 검출되면 연기감지기(2)에 부착된 LED가 점등되고 T1과 T2 양단에 저항 부하가 발생하여 수신반 릴레이의 구동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화재경보신호를 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기감지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시스템은 연기감지기(2)와 수신반 (1) 사이의 무극성 연결 선로의 일측을 개방하여 T3와 T4 단자를 갖는 전류검출단자(3)를 착설하고, T3와 T4 양단자 사이에 흐르는 연기감지기 동작전류를 검출기(4)(예를 들면, 포토카플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트랜지스터(TR)로 증폭하여 상태표시 발광다이오드(8)를 점등시키면 연기감지기(2) 내부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의 소모 전류가 공진부 시정수에 따라 변동하게 됨으로써 상태표시 발광다이오드(8)가 일정시간 간격으로 점멸하게 되어 연기감지기(2) 내부회로, 수신반(1) 및 선로의 이상 유무를 유효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감시회로의 일단에 정전압 전원부(6)과 전원단자(7), 전원표시 발광다이오드(9)를 연결함으로써, 전원표시 발광다이오드(9)의 점등에 의해 감시회로 내부로 도입되는 전원 연결이 정상적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원표시 발광다이오드(9)가 점등되지 아니할 경우에는 감시회로 내부로 도입되는 전원 연결이 비정상적 상태로 단락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감시회로는 기판에 새겨진 후 연기 감지기의 보조함체의 내부 또는 고정용 브라켓트의 내부 공간부에 배치된다. 도 3 및 도 4는 그러한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감시회로는 연기 감지기(2)를 고정하기 위한 보조함체(1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참고로 보조함체(11)과 연기 감지기(2)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여기에 설치됨). 도 3에서, 미설명부호 8은 연기감지 시스템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 발광다이오드로서, 그의 점등 여부에 따라 연기감지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여부를 알 수 있다. 즉, 연기감지기, 수신반 및 무극성 연결 선로의 작동이 정상적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9는 전원표시 발광다이오드로서, 그의 점등 여부에 따라 감시회로 내부로 도입되는 전원 연결이 올바르게 작동하는 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미설명부호 10은 화재경보표시 발광다이오드로서 화재가 발생되어 연기가 유입될 경우 점등되는 발광다이오드이다. 미설명부호 3 및 7은 각각 전류검출단자 및 교류전원단자이다.
상기한 감시회로가 새겨진 기판은 취부용 브라케트(12)에 수납될 수 있다. 도 4a 및 4b(이하 "도 4")는 취부용 브라케트(12)를 갖는 연기 감지기의 사시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브라케트(1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6)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 4에서, 미설명부호 13a 및 13b는 전류검출단자 연결구이고, 14a, 14b, 14c는 교류전원단자 연결구이고, 15a, 15b는 브라케트 고정용 볼트체결구이다.
본 발명은 화재감지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수신반과 연결 선로 및 연기감지기의 정상동작 유무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연기감지기의 내부회로에 일정한 변경을 가하는 대신에 수신반과 연기 감지기를 연결하는 연결 선로에 감시 회로를 배치한 구성을 갖고 있음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은 자가 진단기능을 구비하여 연기감지 시스템의 시험점검시 인위적인 연기분사로 감지기 내부의 수광 소자와 송광 소자에 이물질이 도포되어 감지기 성능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시험 점검에 따른 별도의 노력 없이 표시등의 점등 확인만으로 연기감지 시스템의 정상동작 유무를 유효하게 식별할 수 있다.
2) 본 발명은 연기 감지기의 내부 회로를 변경시킬 경우 연기 감지기 내부 회로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연기 감지기의 내부회로를 변경시키지 아니함으로 인해 기존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의 절감을 가져온다.
3) 본 발명은 연기 감지기의 내부 회로를 변경시켜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을 채용하지 아니함으로써, 연기 감지기의 내부 회로에서 발생하는 전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
4) 본 발명은 감시회로의 일단에 정전압 전원부과 전원단자, 전원표시 발광다이오드를 연결함으로써, 전원표시 발광다이오드의 점등에 의해 감시회로 내부로 도입되는 전원 연결이 정상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Claims (3)

  1. 연기감지기, 수신반 및 연결감지기와 수신반을 연결하는 무극성 연결 선로를 구비한 연기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극성 연결 선로의 일측을 개방하여 T3와 T4 단자를 갖는 전류검출단자를 착설하고, T3와 T4 양단자 사이에 흐르는 연기감지기 동작전류를 검출기로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트랜지스터로 증폭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구성을 갖는 감시 회로를 구비하여, 연기감지기 내부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의 소모 전류가 공진부 시정수에 따라 변동하게 됨으로써 발광다이오드가 일정시간 간격으로 점멸하게 되어 연기감지기 내부회로의 이상 유무와 수신반과 무극성 연결 선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연기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감시회로의 일단에 정전압 전원부, 전원단자 및 전원표시 발광다이오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감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회로가 연기 감지기의 보조함체 내부 또는 브라케트의 내부 공간부에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감지 시스템.
KR10-2002-0061326A 2002-10-08 2002-10-08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 KR100492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326A KR100492012B1 (ko) 2002-10-08 2002-10-08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326A KR100492012B1 (ko) 2002-10-08 2002-10-08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032U Division KR200300954Y1 (ko) 2002-10-08 2002-10-08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015A true KR20040032015A (ko) 2004-04-14
KR100492012B1 KR100492012B1 (ko) 2005-05-31

Family

ID=3733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326A KR100492012B1 (ko) 2002-10-08 2002-10-08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352B1 (ko) * 2010-01-07 2012-01-02 (주) 우창하이텍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과 검출 방법 및 상기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549B1 (ko) * 2015-02-13 2015-05-28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1886B2 (ja) * 1993-03-31 2001-11-26 能美防災株式会社 光電式火災感知器
KR0145095B1 (ko) * 1994-04-01 1998-08-17 최만형 화재감지기
JPH0816953A (ja) * 1994-06-28 1996-01-19 Otax Kk 火災煙監視装置
JP3461601B2 (ja) * 1994-12-27 2003-10-27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報知設備
JP3213211B2 (ja) * 1995-07-20 2001-10-02 ホーチキ株式会社 光電式煙感知器
KR970010870U (ko) * 1995-08-11 1997-03-29 화재수신기의 자동단선감시회로
JP3168148B2 (ja) * 1995-09-26 2001-05-21 松下電工株式会社 光電式煙感知器
JP3111878B2 (ja) * 1996-01-16 2000-11-27 松下電工株式会社 煙感知器用led電流制御回路
JPH09223280A (ja) * 1996-02-15 1997-08-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煙センサ
KR200157332Y1 (ko) * 1997-05-08 1999-09-15 김군수 가스 센서 이상 경보 회로
KR20000009607U (ko) * 1998-11-07 2000-06-05 전주범 냉장고의 핫파이프 고정장치
JP2001060288A (ja) * 1999-08-20 2001-03-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火災感知器及び火災感知器用試験機
JP3919403B2 (ja) * 1999-11-10 2007-05-23 能美防災株式会社 光電式煙感知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352B1 (ko) * 2010-01-07 2012-01-02 (주) 우창하이텍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과 검출 방법 및 상기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2012B1 (ko) 2005-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723B1 (ko) 내진 및 화재 시각화 센서 분전반
US10234388B2 (en) System for determining abnormality in a monitored area
US5864287A (en) Alarms for monitoring operation of sensors in a fire-suppression system
JP2013246552A (ja) 火災報知システム、火災報知システムの火災判断方法、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の火災判断プログラム
KR100492012B1 (ko)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
KR200300954Y1 (ko)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
CN205563911U (zh) 易判断断线位置的火警探测器
US5627514A (en) Fire detector and fire receiver
KR102489359B1 (ko) 센서 확장형 복합 화재 감지기를 이용한 배터리 보관 랙 내부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JP2002042264A (ja) 光学式火災検知器及び防災監視システム
JP2002063664A (ja) 防災監視システムおよび防災受信盤
KR20000008505A (ko) 자동 소화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JPH11185180A (ja) 火災感知器、試験器、および、感知器種別の試験方法
GB2369437A (en) An LED based temperature sensor
JP3945756B2 (ja) 火災感知器
KR200256311Y1 (ko)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
KR20040111209A (ko) 화재감지기
KR100542942B1 (ko)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장치
KR200445225Y1 (ko)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
JP2002197555A (ja) 防災監視設備
JP3343689B2 (ja) 火災報知機
KR200210745Y1 (ko) 열 감지기회로
JP3732302B2 (ja) 火災報知機
KR910001528B1 (ko) 다목적 경보장치
KR100309217B1 (ko) 가스누설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