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311Y1 -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 - Google Patents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311Y1
KR200256311Y1 KR2020010025192U KR20010025192U KR200256311Y1 KR 200256311 Y1 KR200256311 Y1 KR 200256311Y1 KR 2020010025192 U KR2020010025192 U KR 2020010025192U KR 20010025192 U KR20010025192 U KR 20010025192U KR 200256311 Y1 KR200256311 Y1 KR 200256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fire detector
input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형만
Original Assignee
이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윤 filed Critical 이현윤
Priority to KR2020010025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3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311Y1/ko

Links

Landscapes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감지기 자체에 화재감지기가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누구라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동작상태 표시장치를 구비하여 화재감지기의 불량에 의한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화재감지기의 점검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감지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화재사고에 대한 예방을 철저히 하기 위해 화재감지기의 점검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고 특히, 상당한 높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소제 점검을 특수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화재감지기 자체에 동작상태를 표시되도록 하는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소정의 화재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어 각종 소화설비를 구동시키는 수신반으로 이루어진 화재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한 센서부(20)의 화재감지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공급된 동작전원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공진부(30)와; 상기 센서부(20)를 통해 입력된 화재감지신호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공진부(30)를 통한 입력전원을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40)와; 상기 공급된 동작전원에 의한 동작신호와 상기 스위칭부(40)의 스위칭에 의한 화재경보신호를 입력신호에 따라 각각 표시하는 발광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공급된 동작전원의 입력전원을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단자에 입력받고, 상기 센서부(20)의 화재감지신호를 상기 공진부(30)의 일출력단과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연결된 저항(R3)과 저항(R4)의 연결접점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단자가 상기 발광부(50)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공급된 동작전원의 입력전원의 일측단에 음극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부(40)의 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단자 및 상기 입력전원의 타측단과 양극단자가 연결된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Fire detector with condition indicator}
본 고안은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감지기 자체에 화재감지기가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누구라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동작상태 표시장치를 구비하여 화재감지기의 불량에 의한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화재감지기의 점검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등에는 화재 예방을 위한 장치나 화재 발생시 진화를 하기 위한 장비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장비는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화재발생시, 그 화재에 의한 인적, 물적피해가 대형화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화재에 대한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 대형 및 고층 건축물에는 화재발생여부를 항시 감시하고, 화재발생이 감지될 때 소화설비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자동소화설비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자동소화설비는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의 동작여부를 체크하여 경보를 발하는 수신반과 화재발생시 소화설비를 자동 동작시키는 동작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감지부는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수신반으로 보내게 되면, 수신반에서는 벨, 사이렌등과 같은 음향장치로 건축물내의 사람들에게 경보를 발한 후, 설정된 시간 후에 화재장소에 소화(消火)물질을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도록 한다.
도3은 상기한 일반적인 감지부인 화재감지기의 외관도로서, 천정면에 고정되는 몸체(60)와, 몸체(6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열이나 연기를 감지하는 센싱수단을 포함하여 몸체(6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었을 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5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다수의 열감지센서 또는 연기감지센서 등으로 감지센서의 종류에 따라 차동식감지기, 정온식감지기, 이온화식감지기, 이온화식 축적형감지기, AN형 연기식감지기, AN형 정온식감지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들의 정상동작여부가 화재감지장치의 신뢰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4는 종래의 일반적인 화재감지기들의 점검방법에 따른 화재감지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일반적인 자동소화설비에서는 화재발생이 예측되는 각 장소(예를 들어, 고층건물에서는 각 층의 모든 방)에 설치되는 다수의 화재감지기(100)와, 상기 화재감지기(100)의 출력측과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기(100)에 설치된 특정센서의 동작시에 점등되는 다수의 램프 및 조작버튼으로 이루어진 수신반(110)을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화재감지장치의 점검시에는 다수의 점검인력들이 화재감지기(100)의 감지센서와 수신반(110)과, 소화설비를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동작부에 각각 위치하고, 무전기등과 같은 통신장비를 이용하여 상호 연락하여 점검을하는데, 즉 감지센서에 위치한 점검인원이 임의의 화원을 센서 가까이에 접근시키면, 수신반측의 점검인은 수신반(110)의 램프점등 및 기타 동작여부를 확인하고, 또한 수동조작을 통해 솔레노이드측의 점검인은 솔레노이드의 격발여부를 체크한다.
그러나, 상기 감지센서가 부착된 화재감지기(100)는 특히, 주차장, 실내 경기장, 또는 공장시설과 같이 그 높이가 예를 들어 10m 이상의 높은 곳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를 들어 올릴 수 있는 리프터가 구비된 특장차량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에 소요되는 자원의 낭비가 더욱 심하였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완벽한 화재방지와 화재발생시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화재감지장치를 6개월마다 점검하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에는 화재감지시스템의 점검에서는 화재감지기와 수신반 각각에 점검자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점검에 지나친 인원과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또한 높은 곳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에 대한 점검이 곤란하고, 화재감지기에 임의의 화원을 근접시켜 점검하기 때문에 유실이나 가스실과 같은 위험개소에 화재감지기에 대한 점검은 불가능하며, 화원을 화재감지기에 접근하게 되므로 화재감지기가 동작되어야하는 설정온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가 없었다.
상기와 같이 문제점들에 인해 법적인 점검주기에 따라 점검이 불확실하게 이루어짐으로서 화재감지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고, 화재사고에 대한 예방을 철저히 할 수 없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감지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화재사고에 대한 예방을 철저히 하기 위해 화재감지기의 점검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고 특히, 상당한 높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소제 점검을 특수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화재감지기 자체에 동작상태를 표시되도록 하는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소정의 화재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어 각종 소화설비를 구동시키는 수신반으로 이루어진 화재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한 센서부(20)의 화재감지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공급된 동작전원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공진부(30)와; 상기 센서부(20)를 통해 입력된 화재감지신호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공진부(30)를 통한 입력전원을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40)와; 상기 공급된 동작전원에 의한 동작신호와 상기 스위칭부(40)의 스위칭에 의한 화재경보신호를 입력신호에 따라 각각 표시하는 발광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공급된 동작전원의 입력전원을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단자에 입력받고, 상기 센서부(20)의 화재감지신호를 상기 공진부(30)의 일출력단과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연결된 저항(R3)과 저항(R4)의 연결접점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단자가 상기 발광부(50)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공급된 동작전원의 입력전원의 일측단에 음극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부(40)의 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단자 및 상기 입력전원의 타측단과 양극단자가 연결된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의 회로구성도,
도3은 종래의 일반적인 화재감지기들의 외관도,
도4는 종래의 일반적인 화재감지기들의 점검방법에 따른 화재감지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정류부 20: 센서부
30: 공진부 40: 스위칭부
50: 발광부 60: 화재감지기 베이스
70: 커버 100: 화재감지기
110: 수신반 120: 수동조작기
13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의 회로구성도이다.
상기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소정의 전압을 가진 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10)와, 외부의 화재를 감지하도록 각종 센서를 구비하여 소정의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의 화재감지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정류부(10)에서 공급된 전원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공진부(30)와, 상기 센서부(20)를 통해 입력된 화재감지신호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공진부(30)를 통한 정류부(10)의 입력전원을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40)와, 상기 정류부(10)를 통한 화재경보기의 동작신호와 상기 스위칭부(40)의 스위칭에 의한 화재경보신호를 입력신호에 따라 각각 표시하는 발광부(5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발광부(50)는 특정 반도체에 정방향 부하를 가할 경우 전자가 에너지 레벨이 높은곳(conduction band)에서 낮은곳(valance band)로 이동할 때 그 에너지의 차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파장의 빛을 발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적색에서 황색의 빛을 발할 수 있는 GaAsP/GaP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화재감지기(100)가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50)는 녹색빛을 발하며, 화재경보신호를 출력할 경우에는 화재경보신호인 적색빛을 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화재감지기(100)의 정상동작 유무를 기타의 화재감지기 점검장치를 통해 점검하지 않고 육안으로 그 동작여부를 항상 용이하게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본 고안의 작용ㆍ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정류부(10)는 일반적인 브릿지 다이오드로 형성되어 외부의 전원을 입력받아 정류하게 되며, 상기 정류부(10)의 출력단과 병렬연결된 저항(R2)과 커패시터(C2) 및 직렬연결된 커패시터(C1)로 구성되어 소정의 시정수만큼 공진하는 공진부(30)와, 상기 정류부(10)의 입력전원을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단자에 입력받고, 외부의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포함한 센서부(20)의 화재감지신호를 상기 공진부(30)의 일출력단과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병렬연결된 저항(R3)와 저항(R4)의 연결접점에 접속된 스위칭부(40)와, 상기 정류부(10)의 출력단의 일단자와 연결된 저항(R6)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화재감지기가 동작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D1)와, 상기 정류부(10)의 출력단의 타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부(40)의 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20)의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화재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다이오드(D2)로 구성된다. 이 때 미설명부호 저항(R1)은 상기 정류부(10)의 전원이 센서부(20)에 입력될때 완충작용을 하는 저항이다.
또한, 상기 발광부(50)의 발광다이오드(D1)과 발광다이오드(D2)는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황색(또는 녹색)광과 적색광을 동시에 출사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짐은 당업자라하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즉, 상기 공급된 동작전원의 입력전원의 일측단에 음극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부(40)의 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단자 및 상기 입력전원의 타측단과 양극단자가 연결된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전원을 입력받으면서 상기 센서부(20)의 화재감지신호를 입력받지 않는 상태, 즉 상기 각부가 정상적인 동작을 할 경우에는 상기 정류부(10)의 전원을 저항 R6를 통해 녹색광(황색광)으로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 D1에 입력받으므로 화재감지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센서부(20)를 통해 화재감지신호를 입력받을 경우에는 상기 정류부(10)와 연결된 공진부(30)의 설정된 시정수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칭부(40)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정류부(10)의 전원을 적색광으로 점멸하는 발광다이오드 D2에 전원을 공급하여 화재경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발광다이오드 D2에는 종래의 수신반(110)과 연결되어 구성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화재감지기와 그 외형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다리와 같은 보조수단 없이도 용이하게 화재감지기의 작동 및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감지시스템에 대한 점검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역시 항상 화재감지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화재사고에 대한 예방을 더욱 철저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의 화재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어 각종 소화설비를 구동시키는 수신반으로 이루어진 화재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한 센서부(20)의 화재감지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공급된 동작전원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공진부(30)와;
    상기 센서부(20)를 통해 입력된 화재감지신호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공진부(30)를 통한 입력전원을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40)와;
    상기 공급된 동작전원에 의한 동작신호와 상기 스위칭부(40)의 스위칭에 의한 화재경보신호를 입력신호에 따라 각각 표시하는 발광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공급된 동작전원의 입력전원을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단자에 입력받고, 상기 센서부(20)의 화재감지신호를 상기 공진부(30)의 일출력단과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연결된 저항(R3)과 저항(R4)의 연결접점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단자가 상기 발광부(50)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공급된 동작전원의 입력전원의 일측단에 음극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부(40)의 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단자 및 상기 입력전원의 타측단과 양극단자가 연결된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
KR2020010025192U 2001-08-20 2001-08-20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 KR200256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192U KR200256311Y1 (ko) 2001-08-20 2001-08-20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192U KR200256311Y1 (ko) 2001-08-20 2001-08-20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311Y1 true KR200256311Y1 (ko) 2001-12-13

Family

ID=7310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192U KR200256311Y1 (ko) 2001-08-20 2001-08-20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3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37B1 (ko) * 2009-09-09 2010-03-31 (주)다산기업 소방용 표시등
KR102132357B1 (ko) * 2019-12-11 2020-07-09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화재 발생시 인명위치 알림 led 등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37B1 (ko) * 2009-09-09 2010-03-31 (주)다산기업 소방용 표시등
KR102132357B1 (ko) * 2019-12-11 2020-07-09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화재 발생시 인명위치 알림 led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371B1 (ko) 부가기능 확장형 화재감지기
CN209821986U (zh) 火灾监控系统
KR101145414B1 (ko)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KR200256311Y1 (ko)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재감지기
KR20090082800A (ko)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950743B1 (ko) 공동주택의 화재시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JP2002024953A (ja) ライン断線および火災発生監視装置、これを有する火災警報装置ならびにライン断線および火災発生監視方法
KR20170054966A (ko) 화재감지장치
JP2021119539A (ja) 防災システム
KR100384627B1 (ko) 열감지방식 화재감지기의 점검장치
KR101950742B1 (ko) 공동주택의 화재시 비상 조명 장치
KR101950745B1 (ko) 화재시 아파트의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KR20000008505A (ko) 자동 소화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CN207367325U (zh) 一种节能新型消防智能疏散指示系统
JPH0342800A (ja) 光ワイヤレス式火災報知設備
KR102321253B1 (ko) 자동화재 탐지 설비
KR102644624B1 (ko)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JP2019185197A (ja) 火災用無線通信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NZ505693A (en) Alarm responsive to environmental stimuli such as smoke , alarm communicable with other external devices via a fourth terminal
KR101056803B1 (ko) 실내공간에서의 용접 및 화재 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800000026Y1 (ko) 화재 경보기
KR101950744B1 (ko) 화재시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아파트의 비상 조명 장치
KR100382627B1 (ko) 화재경보 시스템
JPS6349825Y2 (ko)
JP2007323605A (ja) 集合住宅における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