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604A - 영상 정보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정보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604A
KR20040028604A KR10-2003-7003506A KR20037003506A KR20040028604A KR 20040028604 A KR20040028604 A KR 20040028604A KR 20037003506 A KR20037003506 A KR 20037003506A KR 20040028604 A KR20040028604 A KR 20040028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ream
copy
change point
cc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1219B1 (ko
Inventor
카토모토키
나카무라마사노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19/12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involving the detection of an identification or authentication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G11B20/007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 G11B20/0076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wherein copy control information is used, e.g. for indicating whether a content may be copied freely, no more, once, or never, by setting CGMS, SCMS, or CCI fla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88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watermark, i.e. a barely perceptibl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data which can nevertheless be recognised by an algorith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8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management signal, e.g. a copy generation management signal [C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3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waterma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내용을 다른 기록 매체에 복사하는 경우에, 영상 정보의 복사 제한 정보를 관리하는 영상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입력되는 AV 스트림의 복사 제한 정보(CCI) 또는 워터 마크(WM)를 검출하여 복사 제한 정보 또는 워터 마크의 내용이 변화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고, 복사 제한 정보 또는 워터 마크의 변화점 정보와, 복사 제한 정보 또는 워터 마크의 내용을 취득하고, 취득된 변화점 정보에 근거하여 복사 제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입력 신호가 종료된 경우에는, 개찬(alter) 방지의 부호를 계산하고, 복사 제한 정보 또는 워터 마크가 개찬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복사처의 기록 매체에 영상 정보와 함께 생성된 관리 정보를 기록한다.

Description

영상 정보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VIDEO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APPARATUS}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 디스크 형상의 기록 매체로서, DVR 등의 각종 광디스크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록 매체인 광디스크는, 수 기가바이트 이상의 대용량 미디어로서의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고, 비디오 신호 등의 AV(Audio Visual) 신호를 기록하는 미디어로서 기대되고 있다.
여기서, AV 신호를 디지털 압축하는 부호화 방식의 하나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방식이 존재한다. 이 MPEG2는, 움직임 보상 예측, DCT(이산 코사인 변환), 양자화, 가변 길이 부호화라는 압축 기법을 이용하여 고화질화를 목표로 한 국제 표준의 동화 압축 포맷으로서, AV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도 응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경우, 비디오 신호를 MPEG2 방식으로 인코드 하고,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미디어에 기록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 시작된 디지털 방식의 TV 방송에서는, MPEG2 방식으로 부호화 된 AV 스트림이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라고 불리는 포맷으로 전송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지털 신호인 채로, 디코드나 재 인코드 하는 일 없이 기록하는 것이 생각된다.
AV 신호가 디지털 신호 포맷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혀 열화 없이 그 AV 신호를 다른 기록 미디어(기록 매체)에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AV 신호의 저작권자에 있어서는 큰 문제이다. 그래서, AV 신호의 복사를 제한하기 위해, AV 신호에, 「Copy Free(복사 가능)」, 「Copy Once(일세대만 복사 가능)」, 「No More Copy(이 세대 이상의 복사 불가)」, 「Copy Prohibited(복사 금지)」라는 복사 제한 정보(CCI : Copy Control Information)를 갖게 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현재 실용화 되어 있는 방식으로서, 비디오 신호의 CGMS(Copy Generation Management System) 신호가 있다. CGMS는 복사 가능한 회수를 소프트측에서 컨트롤 하는 시스템으로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용의 것을 CGMS-A, 디지털 인터페이스용의 것을 CGMS-D라고 부른다. 아날로그용의 CGMS-A는,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 : 수직 블랭킹 기간)에 ID를 중첩하기 때문에 VBID라고도 불리고 있다. 이것은, EIAJ CP-1204로서 규격화 되어 있다.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복사 제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복사 제한 정보를 갖는 디스크립터를 부호화 하는 방법이 있다. 이 타입의 디스크립터로서는,DTLA(Digital Transmission Licensing Administrator)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DTCP descriptor나, ARIB(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 : 전파산업회)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일본의 BS 디지털 방송에서 이용되고 있는 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가 있다. 최근에는, 또한, 강력하게 복사 제한을 가하기 위해, 베이스 밴드의 AV 신호나 MPEG의 AV 스트림에 워터 마크(WM)라고 불리는 복사 제한 정보를 매립하는 방식도 검토되고 있다, 워터 마크는 현재, 표준화 활동이 추진되고 있고, 밀레니엄 방식과 갤럭시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여기서, 기록 매체에 AV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입력 신호의 복사 제한 정보에 따라, 올바르게 기록 제한을 가할 수 있음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유저가 기록 장치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에 AV 신호를 기록한 경우, 기록 매체상의 AV 스트림의 복사 제한 정보는, 「Copy Free(복사 가능)」 또는「No More Copy(이 세대 이상의 복사 불가)」의 어느 하나이다. 「No More Copy」는, 「Copy Once : 일세대만 복사 가능)」의 AV 신호를 기록한 때에, 복사 제한 정보가 갱신된 것이다.
그 한편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매체의 대용량화에 의해, 그 기록 매체에는, 많은 AV 스트림이 기록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유저가, 그들의 디스크 내에 기록되어 있는 AV 스트림 중에서, 소망하는 데이터를 다른 디스크에 복사한다 라는 조작이 필요해진다. 이 때에는, 유저는, 복사 제한 정보가 「Copy Free」인 AV 스트림을 복사할 수 있다.
그런데, 기록 매체의 기록 용량의 증대에 의해, 종래보다도 연속하여 장시간이 되는 AV 스트림이 기록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하나의 AV 스트림 중에서 「No More Copy」의 스트림 부분과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이 혼재하는 경우가 증가하여 온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2개의 방송프로그램을 연속하여 기록한 때에, 최초의 방송프로그램은 「Copy Free」의 소재이고, 다음 방송프로그램은 「Copy Once」의 소재인 경우 등이다.
하나의 AV 스트림 중에서, 「No More Copy」 스트림 부분과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 유저가 그것을 다른 기록 매체에 적절하게 복사할 수가 없었다. 예를 들면, 하나의 AV 스트림 중에서 최초에 「No More Copy」스트림 부분이 존재하면, 도중에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이것을 복사할 수 없다. 이것은, 하나의 AV 스트림 중에, 복수의 제어 정보가 존재하는 사실을 아는 것, 즉, 「No More Copy」 스트림 부분과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이 혼재하고 있다는 정보를 얻는 것이 어려움에 기인하고 있다. 이것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그 AV 스트림을 선두부터 끝까지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복사 제한 정보를 해석할 필요가 있는데, 이 해석에는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 특히, 장시간의 AV 스트림에 대해, 전부를 판독하여 제어 정보의 존재를 파악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영상 정보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 매체의 복사 제한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 정보 기록 장치, 영상 정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 매체상의 어플리케이션 포맷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DVR 디스크상에 만들어지는 디렉토리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AV 스트림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소스 패킷(source packet)의 프로그래밍 구문인 신택스(Syntax)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TP-extra-header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copy_permission_indicator의 값과 그것들에 의해 지정되는 모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ClipInfo()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CCI_sequence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CCI_sequence_info()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stream_status()의 신택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stream_status()의 신택스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recording_mode의 값의 의미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status_CCI/EMI, status-WM의 값의 의미를 도시한 도면.
도 15의 A 및 도 15의 B는 복사원(출력측의 재생 장치)로부터, 복사처(입력측의 기록 장치)에,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을 복사하는 경우의 Clip과 CCI_sequence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CCI_sequence_info()의 신택스에 있어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의 A 및 도 17의 B는 도 16에 도시한 CCI_sequence_info()의 경우에, 복사원(출력측의 재생 장치)로부터 복사처(입력측의 기록 장치)에,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을 복사하는 경우의 Clip과 CCI_sequence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19는 입력 신호가 비디오 입력인 경우 및/또는 인식 기록의 TS 입력인 경우에 있어서의, 복사 컨트롤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입력 신호가 Non-인식 기록의 TS 입력인 경우에 있어서의, 컨트롤러의 복사 컨트롤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입력 신호가, 비디오 입력인 경우 또는 인식 기록의 TS 입력인 경우에 있어서의 CCI-sequence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22는 입력 신호가, Non-인식 기록의 TS 입력인 경우에 있어서의 CCI-sequence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23은 복사원(출력측)의 재생 장치로부터, 복사처(입력측)의 기록 장치에, DVR의 AV 스트림 파일과 그것에 관계되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디지털 버스 경유로 복사하는 경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4는 복사원(출력측)의 재생 장치로부터, 복사처(입력측)의 기록 장치에, Clip AV 스트림 파일을 복사하는 경우의, 재생 장치(복사원)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영상 정보의 복사 제한 정보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신규의 영상 정보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고, 또한, 영상 정보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에 관한 영상 정보 기록 장치는, 영상 정보에 있어서의 CGMS 신호, 영상 정보의 워터 마크, 영상 정보에 있어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부호화 된 복사 제한 정보 및 영상 정보에 있어서의 IEEE1394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의 EMI 등으로부터 복사 제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검출된 복사 제한 정보에 근거하여, 기록되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복사 제한 정보의 변화점 정보를 취득하는 변화점 정보 취득 수단과, 취득된 변화점 정보에 근거하여 복사 제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정보 생성 수단과, 생성된 관리 정보를 영상 정보와 함께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관리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관리 정보에 대해 개찬(alter) 방지 처리를 시행하는 개찬 방지 처리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영상 정보 재생 장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AV 스트림 등의 스트림상의 복사 가능한 스트림 부분을, 복사 제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CCI_sequence_info())로부터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인식된 복사 가능한 스트림 부분에 근거하여, 복사하는 구간의 스트림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스트림을 작성하는 AV 스트림 작성 수단과,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복사 가능한 스트림 부분에 있어서의 재생을 위한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정보 생성 수단과, 스트림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새로운 스트림과 관리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관리 정보를 기록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영상 정보의 기록 방법은, 입력되는 AV 신호 등의 신호에 있어서의 복사 제한 정보, 워터 마크의 내용, 아이소크로너스 패킷(Isochronous Packet)에 있어서의 EMI(Encryption Mode Indicator)의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고, 변화된 복사 제한 정보, 워터 마크, EMI의 변화점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변화점 정보에 근거하여 복사 제한 정보 또는 워터 마크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작성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이 컴퓨터가 판독 가능하게 기억한 기억 매체로서, 또한, 각 기능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록 매체의 재생 장치나 기록 장치 등의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되는 기록 매체로서 특정할 수 있다. 이 기록 매체의 기억 영역에는, 하나의 스트림, 예를 들면 AV 스트림과 이 스트림의 부속 정보와의 페어를 하나의 오브젝트로 하는 클립(clip) 중에서, 스트림 파일인 클립 AV 스트림 파일, 예를 들면, 클립 AV 스트림 파일과 부속 정보인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이 기록되고, 이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은, 스트림에 있어서의 복사 제한 정보의 변화점을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 클립 스트림 파일은, 복사 가능한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과, 이 세대 이상의 복사 불가인 「No More Copy」의 스트림 부분을 포함하고, 또한,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에 포함되는 관리 정보는, 복사 제한 정보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복사 제한 정보의 변화점의 어드레스 또는 시간의 정보를 포함한다고 하면,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스트림의 복사 제한 정보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은, 관리 정보의 내용이 개찬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부호를 포함함으로써, 악의의 복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영상 정보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해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 매체상의 어플리케이션 포맷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포맷은, AV 스트림의 관리를 위해, 유저 인터페이스(유저 I/F)에 가까운 플레이리스트(PlayList) 레이어(101)와, 시스템에 가까운 클립(Clip) 레이어(102)의 2개의 레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볼륨 인포메이션(Volume Information)(100)은, 디스크 내의 모든 Clip과 PlayList의 관리를 행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하나의 AV 스트림과 그것의 부속 정보의 페어를 하나의 오브젝트로 생각하고, 그것을 Clip이라고 부르고 있다. AV 스트림 파일은 Clip AV 스트림 파일이라고 불리고, 그 부속 정보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이라고 불린다. 하나의 Clip AV 스트림 파일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DVR 어플리케이션 포맷에 의해 규정되는 구조로 배치한 데이터를 저장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등에서 이용하는 데이터 파일은, 바이트 열로서 취급되는데, Clip AV 스트림 파일의 콘텐츠는, 시간축상에 전개되고, PlayList는, Clip의 중의 액세스 포인트를 주로하여 타임 스탬프로 지정한다. PlayrList에 의해, Clip의 중에 있어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타임 스탬프가 주어진 때,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은, Clip AV 스트림 파일 중에서 스트림의 디코드를 시작하여야 할 어드레스 정보를 찾기 위해 도움이 되고 있다.
PlayList는, Clip 중에서 유저가 보고 싶는 재생 구간을 선택하고, 그것을 간단하게 편집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도입되어 있다. 하나의 PlayList는, Clip의 중에 있어서의 재생 구간의 모임이다. 어느 Clip의 중에 있어서의 하나의 재생 구간은 PlayItem이라고 불리고, 그것은, 시간축상의 IN점(In Time)과 OUT점(0ut Time)의 페어로 표시된다. 즉, PlayIist는, PlayItem의 모임이라고 할 수 있다.
PlayList에는 2개의 타입이 있다. 하나는 Real PlayList이고, 다른 하나는 Virtual PlayList이다. 이 Real PlayList는, 그것이 참조하고 있는 Clip의 스트림 부분을 공유하고 있다고 간주된다. 즉, Real PlayList는, 그것이 참조하고 있는 Clip의 스트림 부분에 상당하는 데이터 용량을 디스크 중에서 점하고 있다. AV 스트림이 새로운 Clip으로서 기록되는 경우, 그 Clip 전체의 재생 가능 범위를 참조하는 Real PlayList가 자동적으로 만들어진다. Real PlayList에 있어서의 재생 범위의 일부분이 소거된 경우, 그것이 참조하고 있는 Clip의 스트림 부분도 또한 데이터가 소거된다. Virtual PlayList는, Clip의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는다고 간주된다. Virtual PlayList가 변경 또는 소거되었다고 하여도, Clip은 특별히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Real PlayList와 Virtual PlayList를 총칭하여 단지, PlayList라고 부르고 있다.
DVR 디스크상에 필요한 디렉토리로서는, 우선, "DVR"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루트 디렉토리가 있다. 또한, "PLAYLIST" 디렉토리, "CLIPINF" 디렉토리, "STREAM" 디렉토리, 및 "DATA"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DVR" 디렉토리가 있다. 루트 디렉토리의 아래에, 이들 이외의 디렉토리를 만들어도 좋지만, 그것들은, 이 DVR 어플리케이션 포맷에서는 무시된다.
도 2는, DVR 디스크상에 만들어지는 디렉토리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루트(root) 디렉토리(111)는, 하나의 디렉토리("DVR" 디렉토리(112))를 포함한다.
"DVR" : DVR 어플리케이션 포맷에 의해 규정되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는, 이 디렉토리의 아래에 저장 되어야 한다.
또한, "DVR" 디렉토리(112)는, "PLAYLIST" 디렉토리(113), "CLIPINF" 디렉토리(114), "STREAM" 디렉토리(115), 및 "DATA" 디렉토리(116)의 4개의 디렉토리를포함한다.
"PLAYLIST" : Real PlayList와 Virtual PlayList의 데이터베이스 파일은, 이 디렉토리의 아래에 두어야 한다. 이 디렉토리는 PlayList가 하나도 없어도 존재하여야 한다.
"CLIPINF" : Clip의 데이터베이스는, 이 디렉토리의 아래에 두어야 한다. 이 디렉토리는 Clip이 하나도 없어도 존재하여야 한다.
"STREAM" : AV 스트림 파일은, 이 디렉토리의 아래에 두어야 한다. 이 디렉토리는 AV 스트림 파일이 하나도 없어도 존재하여야 한다.
"PLAYLIST" 디렉토리(113)는 2종류의 PlayList 파일을 저장 하는 것으로, 그것들은 전술한 Real PlayList와 Virtual PlayList이다.
"xxxxx.rpls" : 이 파일은 하나의 Real PlayList에 관련되는 정보를 저장 한다. 각각의 Real PlayList마다 하나의 파일이 만들어진다. 파일명은 "xxxxx.rpls"이다. 여기서 "xxxxx"는 0부터 9까지 숫자 5개이다. 파일 확장자는, "rpls"이어야 한다.
"yyyyy.vpls" : 이 파일은 하나의 Virtual PlayList에 관련되는 정보를 저장 한다. 각각의 Virtual PlayList마다 하나의 파일이 만들어진다. 파일명은 "yyyyy.vpls"이다. 여기서 "yyyyy"는 0부터 9까지의 숫자 5개이다. 파일 확장자는 "vpls"이어야 한다.
"CLIPINF" 디렉토리(114)는 각각의 AV 스트림 파일에 대응하여 하나의 파일을 저장 한다.
"zzzzz.clpi" : 이 파일은 하나의 AV 스트림 파일(Clip AV 스트림 파일 또는 Bridge-Clip AV 스트림 파일)에 대응하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이다. 파일명은 "zzzzz. dlpi"이고, 여기서 "zzzzz"는 0부터 9까지의 숫자 5개이다. 파일 확장자는 "dlpi"이어야 한다.
"STREAM" 디렉토리(115)는 AV 스트림의 파일을 저장 한다.
"zzzzz.m2ts" : 이 파일은 DVR 시스템에 의해 취급되는 AV 스트림 파일이다. 이것은 Clip AV 스트림 파일 또는 Bridge-Clip AV 스트림 파일이다. 파일명은 "zzzzz.m2ts"이고, 여기서 "zzzzz"는 0부터 9까지의 숫자 5개이다 . 파일 확장자는 "m2ts"이어야 한다. 하나의 AV 스트림 파일과 그것에 대응하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은 같은 5개의 숫자 "zzzzz" 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그 밖의 디렉토리와 파일명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AV 스트림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AV 스트림 파일은, 도 3에 도시한 DVR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구조를 갖어야 한다. 도 3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DVR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다음에 나타내는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1) DVR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정수개의 Aligned unit으로 구성된다.
2) Aligned unit의 크기는 6144바이트(2048×3바이트)이다.
3) Aligned unit은 소스 패킷의 제 1바이트째로부터 시작된다.
4) 소스 패킷(source packet)은 192바이트 길이이다. 하나의 소스 패킷은 TP_extra_header와 트랜스포트 패킷(Transport packet)으로 이루어진다.TP_extra_header는 4바이트 길이이고, 또한 트랜스포트 패킷은 188바이트 길이이다.
5) 하나의 Aligned unit은 32개의 소스 패킷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하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6) DVR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있어서의 최후의 Aligned unit도, 또한 32개의 소스 패킷으로 이루어진다.
7) 최후의 Aligned unit이, 입력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트랜스포트 패킷으로 완전하게 채워지지 않은 경우, 나머지 바이트 영역을 널 패킷 (PID = 0x1FFF의 트랜스포트 패킷)을 갖인 소스 패킷으로 채워야 한다.
도 4는 소스 패킷(source packet)의 프로그래밍 구문인 신택스(Syntax)를 도시한 도면이다. TP_extra_header()는 4바이트 길이의 헤더이다. 또한 transport_packet()은 ISO/IEC13818-1로 규정되는 188바이트 길이의 MPEG2 트랜스포트 패킷이다.
도 5는 TP_extra_header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copy_permission_indicator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페이로드(Payload)의 복사 제한을 나타내는 정수이다. 복사 제한은, Copy Free, no more copy, copy once 또는 copy prohibited로 할 수 있다. arrival_time_stamp는, AV 스트림 중에서, 대응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이 디코더에 도착하는 시각을 나타내는 타임 스탬프이다.
도 6은 copy_permission_indicator의 값과 그것들에 의해 지정되는 모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copy_permission_indicator는 모든 트랜스포트 패킷에 부가된다. IEEE1394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입력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는 경우, copy_permission_indicator의 값은, IEEE1394 아이소크로너스 패킷 헤더의 중의 EMI(Encryption Mode Indicator)의 값에 관련시켜도 좋다. IEEE1394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고서 입력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는 경우, copy_permission_indicator의 값은, 트랜스포트 패킷의 중에 매립된 복사 제한 정보(CCI : Copy Control Information)의 값에 관련시켜도 좋다. 비디오 입력을 셀프 인코드 하는 경우, copy-permission_indicator의 값은, 입력 신호의 CGMS의 값에 관련시켜도 좋다.
다음에, AV 스트림 파일의 재생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포맷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은, ClipInfo(), Sequencelnfo(), ProgramInfo(), CPI(), ClipMark(), MakersPrivateData()를 갖는다.
도 8은 이 Cliplnfo()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Cliplnfo()의 중에 있는 CCI_sequence_inlfo()는, Clip AV 스트림의 복사 제한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를 갖는 것으로, CCI-seqaence의 정보를 정의한다.
우선, CCI-sequence에 관해 설명한다. AV 스트림 파일 중에서 CCI의 내용이 일정한 소스 패킷 열을, CCI-sequence라고 부른다. AV 스트림 파일 중에서, CCI의 내용이 변화되는 어드레스를 CCI_sequence_info()에 저장 한다. 이 어드레스는 SPN_CCI_sequence_start에 의해 나타내여진다. AV 스트림 파일의 중에 있는 최후의CCI-sequence 이외의 CCI-sequence는, 그 SPN_CCI_sequence_start로 가리켜지는 소스 패킷으로부터 시작하고, 그 다음의 SPN_CCI-sequence_start로 가리켜지는 소스 패킷의 직전의 소스 패킷에서 종료한다. 최후의 CCI-sequence는, 그 SPN_CCI_sequence_start로 가리켜지는 소스 패킷으로부터 시작하고, AV 스트림 파일의 최후의 소스 패킷에서 종료한다.
도 9는 CCI-sequence의 한 예를 도색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Clip AV 스트림 파일은, free와 no more copy가 혼재한 5개의 program-sequence를 갖고 있다.
도 10은 CCI_sequence_info()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length는, 이 length 필드의 직후의 바이트로부터 CCI_sequenceinfc_()의 최후의 바이트까지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고 있다.
recording_mode는, 그 AV 스트림 파일의 기록이 인식 기록인지, Non-인식 기록인지를 나타내는 모드이다. recording_mode의 값의 의미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인식 기록이란, 디지털 방송 등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는 때,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부호화 되어 있는 CCI(embedded CCI라고 불리고, CCI를 갖는 디스크립터나 워터 마크)를 해석할 수 있는 기록 모드이다. 또한, Non-인식 기록이란, 디지털 방송 등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할 때,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부호화 되어 있는 CCI를 해석할 수 없는 기록 모드이다. Non-인식 기록이고, IEEE1394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입력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는 경우,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기록 제한은, IEEE1394 아이소크로너스 패킷 헤더 중의EMI(Encryption Mode Indicator)의 값에 근거하여 행하여진다.
num_of_CCI_sequences는, 대상이 되는 AV 스트림 파일의 중에 있는 CCI-sequence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SPN_CCI_sequence_start는, AV 스트림 파일상에서 CCI-sequence가 시작하는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SPN_CCI_sequence_start는, 소스 패킷 번호를 단위로 하는 크기이고, AV 스트림 파일의 최초의 소스 패킷으로부터, 제로를 초기치로 하여 카운트된다. CCI_sequence_info()의 중에서 엔트리 되는 SPNC_CCI_sequencestart의 값은, 승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기록 장치가, 입력 비디오의 CGMS 또는 입력 스트림의 CCI를 해석하고, 그 변화를 검출하기 까지의 지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SPN_CCI_sequence_start는, AV 스트림 중에 있어서의 실제의 CCI의 변화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내에 있는 소스 패킷을 가리켜도 좋다.
streams_tatus()는 그 CCI-sequence에 있어서의 CCI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streams_tatus()의 신택스의 예를 도 11에 도시한다.
status_CCI/EMI는 그 CCI-sequence의 CCI의 내용을 나타낸다. 그 값의 의미를 도 14에 도시한다. 입력 비디오를 셀프 인코드 하여 IMPEG2 기록을 행하는 경우, status_CCI/EMI의 값은 입력 신호의 CGMS 신호를 해석하여 결정된다. 인식 기록인 경우, status_CCI/EMI의 값은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CCI를 갖는 디스크립터를 해석하여 결정된다. Non-인식 기록인 경우, status_CCI/EMI의 값은 IEEE1394 아이소크로너스 패킷 헤더 중의 EMI(Encryption Mode Indicator)를 해석하여 결정된다.
is_status_WM_valid는, 그 값이 1인 경우, 다음에 계속되는 status_WM의 값이 유효한 값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그 값이 0인 경우, 다음에 계속되는 status_WM의 값이 무효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is_status_WM_valid가 1인 경우, AV 스트림의 기록시에 그 워터 마크를 해석하여 기록하는 것을 나타낸다. 워터 마크는, 현시점(2001년 6월의 시점)에서는 아직 표준화가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워터 마크에 의한 기록 제한이 기록 장치에 멘더토리(mandatory)로 되는 시점보다도 전에 제조된 기록 장치는, is_status_WM_valid를 제로로 하여도 좋다.
status_WM은 그 CCI-sequence의 워터 마크가 나타내는 CCI의 내용을 나타낸다. 그 값의 의미를 도 14에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한 신택스에서는, status_CCI/EMI와 status_WM을 독립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이 2개는 같은 CCI의 상태를 나타낼 것이다. 만약, status_CCI/EMI와 status_WM의 CCI의 상태가 다른 경우라도, 기록 장치가 입력 스트림의 CCI와 워터 마크를 각각 올바르게 해석하고, 그것을 갱신한 것을 CCI_sequence_info에 기록으로서 남겨둘 수 있다. status_CCI/EMI와 status_WM의 2개가 다른 CCI의 상태를 갖는 경우에, 기록되어 있는 AV 스트림의 CCI로서, 어느쪽의 값의 우선도가 높는지는, 기록 장치가 구비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존하게 된다.
도 12는, stream_status()의 신택스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는, stream_status()의 정보를 가장 간단화 한 경우이다.
is_free는, 그 값이 1인 경우, 그 CCI-sequence의 CCI가 「Copy Free」인 것을 나타내고, 그 값이 0인 경우, 그 CCI-sequence의 CCI가 「Copy Free」가 아닌 것을 나타낸다. status_CCI/EMI가 '00'이고, 또한, status_WM가 '00'인 경우(is_status_WM_valid = 1)에, is_free는 1로 한다.
상술한 도 8에 도시된 CCI_sequence_info()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Clip AV 스트림을 다른 기록 매체에 복사하는 경우에, 그 Clip의 중의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을 찾는 때, 또한, Clip AV 스트림 중에서, 「No More Copy」 스트림 부분과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이 혼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때에 도움이 된다. CCI_sequence_info()을 참조함으로써, 이 조사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이 조사를 위해, Clip AV 스트림 선두부터 끝까지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그 중에 매립된 복사 제한 정보를 해석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 15의 A 및 도 15의 B는, 복사원(출력측의 재생 장치)으로부터, 복사처(입력측의 기록 장치)에,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을 복사하는 경우의 Clip과 CCI-sequence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A에는, 복사원(출력측의 재생 장치)에서 기록되어 있는 Clip AV 스트림 파일과 그 CCI_seqtence_info()가 도시되어 있다. 이 CCI_sequence_info()에 의하면, 이 AV 스트림은,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과 「No More Copy」의 스트림 부분이 혼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AV 스트림 전체를 다른 기록 매체에 복사할 수 없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은, 소스 패킷 번호 0부터 (A-1)까지(①의 부분) 및 소스 패킷 번호 B부터 (C-1)까지(②의 부분) 및 소스 패킷 번호 D부터 최후까지(③의 부분)인 것을 알 수 있다. 기록 장치는, 유저에게 복사 가능한 스트림 부분을나타내고, 유저가 그것을 납득하면,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만을 복사처의 기록 장치에 전송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stream_status()의 정보로서, CCI_sequence_info()에 statts_CCI/EMI, status_WM의 예와, is_free의 예의 양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의 B에는, 복사처(입력측의 기록 장치)에서 기록되는 Clip AV 스트림 파일과 그 CCI_sequence_info()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의 A에 도시한 ① 내지 ③의 부분만이 기록되고, 이 AV 스트림은, 전체가 「Copy Free」인 것을, 그 CCI_sequence_info()가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도 10에 도시한 CCI-sequence_info()의 신택스로 되돌아가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Integrity_Check_Value는, CCI_sequence_info()의 CCI의 내용이 개찬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부호이다. 이것은, CCI_sequence_info()의 제 1바이트째로부터 Integrity_Check_Value의 직전의 바이트까지의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고, 소정의 암호 알고리즘으로 계산한 부호이다. 이 암호 알고리즘은, 예를 들면, IS0/IEC9797(Information technology - Security techniques - Data integrity mechanism using a cryptographic check function employing a block cipher algorithm)에 기재되어 있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만약, 악의를 가진 유저에 의해, CCI_sequence_info()의 CCI의 내용이, 「No More Copy」로부터 「Copy Free」로 개서되었다고 하더라도, 기록 장치는, 이 Integrity_Check_Value의 값을 검사함으로써, CCI_sequence_info()가 개찬된 것을검출할 수 있다. 만약, CCI_sequence_info()가 개찬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이미, CCI_sequence_info()는 믿을 수 없기 때문에, 기록 장치는, 해당 CCI_sequence_info()를 이용하는 AV 스트림이 복사될 수 없도록 하면 좋다. 또한, CCI_sequence_info()의 내용을 개찬할 수 없게 하기 위해, CCI_sequence_info()를 스크램블 하던지, 또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 전체를 스크램블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6은, CCI_sequence_info()의 신택스에 있어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10에 도시한 신택스에 있어서의 SPN_CCI_sequence_start가, Time_stamp_CCI_sequence_start로 된 점이 다르다. 즉, 이 예에서는, AV 스트림 중에 있어서의 CCI의 변화점의 타임 스탬프가 CCI_sequence_info()에 저장 된다. 여기서, 타임 스탬프는, 예를 들면, AV 스트림 중에서 CCI의 변화점에 있는 비디오나 오디오의 프리젠테이션 타임 스탬프로 할 수 있다. 또는, 타임 스탬프는, AV 스트림 중에서 CCI의 변화점에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이 디코더에 도착하는 시각을 나타내는 어라이벌 타임 스탬프로 할 수도 있다.
도 17의 A 및 도 17의 B는, 도 16에 도시한 CCI_sequence_info()의 경우에, 복사원(출력측의 재생 장치)으로부터 복사처(입력측의 기록 장치 )에,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을 복사하는 경우의 Clip과 CCI-sequence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A 및 도 15의 B로 도시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CCI_sequene_info()를 이용함으로써, AV 스트림 중에서 타임 스탬프 베이스에서 Copy Free의 부분을 특정하고, 복사처의 기록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포맷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AV 스트림를 기록할 때에, CCI_sequence_info()의 정보를 작성하고, AV 스트림과 함께 기록하고 있다. 이로써, AV 스트림을 선두부터 끝까지 기록 매체를 판독하여 복사 제한 정보를 해석하지 않아도, CCI_sequence_info()의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AV 스트림 중에 혼재하는 복수의 복사 제한 정보의 상태를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기록 장치에서는, 입력단자로서, 단자(10, 11, 12, 13, 14)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10)의 RF 입력으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취출하는 TV 튜너(15), 입력 비디오의 CGMS를 해석하는 CGMS 검출/갱신부(16), 입력 비디오의 워터 마크(Water Mark)를 해석하는 WM(Water Mark)검출/갱신부(17), 입력 비디오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 하는 MPEG2 AV 인코더(18), 소스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AV스트림을 공급하는 소스 패키타이저(1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입력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부호화 되어 있는 CCI(E_CCI : Embedded CCI)를 해석하는 E_CCI 해석/갱신부(20), 입력 비디오의 워터 마크를 해석하는 WM 검출/갱신부(21),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의 헤더에 있는 EMI를 해석하는 IEEE1394 인터페이스(I/F)(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입력 소스 패킷 스트림의 패킷 번호를 카운트 하는 스트림 해석부(23), CCI_sequence_info()를 작성하는 컨트롤러(24) 외에, ECC 부호화부(25), 변조부(26), 드라이브(27) 및 DVR인 기록 매체(28)을 구비하고 있다.
이 도 18에 도시한 기록 장치에서는, 입력 형태의 차이에 의해 4개의 형태가도시되어 있다. 제 1의 형태는, 단자(10)로부터의 RF 입력의 비디오 신호를 셀프 인코드 한 AV 스트림을 기록하는 형태이다. 제 2의 형태는, 단자(11, 12)로부터의 비디오, 오디오 입력을 셀프 인코드 한 AV 스트림을 기록하는 형태이다. 또한 제 3의 형태는, 단자(13)로부터의 트랜스포터 스트림 입력을 인식 기록 모드로 기록하는 형태이다. 또한 제 4의 형태는, 단자(14)로부터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입력를 Non-인식 기록 모드로 기록하는 형태이다. 본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기록 장치에서는, 이들의 AV 스트림을 기록할 때에, CCI_sequence_info()가 작성되고, 기록 매체(28)에 저장된다.
우선, 단자(11, 12)로부터의 비디오, 오디오 입력이 셀프 인코드 된 AV 스트림이 기록되는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CGMS 검출/갱신부(16)에서는, 입력 비디오의 CGMS(CGMS-A 또는 CGMS-D)가 소정의 방법에 의해 해석되고, 기록하는 AV 스트림의 CCI(도면중, CCI_o로 나타낸다)가 컨트롤러(24)에 공급된다. 또한, CGMS 검출/ 갱신부(16)로부터는 입력 비디오가 WM 검출/갱신부(17)에 공급된다. WM 검출/갱신부(17)에서는, 입력 비디오의 워터마크가 소정의 방법에 의해 해석되고, 기록하는 AV 스트림의 WM(도면중, WM_o로 나타낸다)이 컨트롤러(24)에 공급된다. 또한, WM 검출/갱신부(17)로부터는 입력 비디오가 MPEG2 AV 인코더(18)에 공급된다.
컨트롤러(24)에서는, 입력되는 CCI_o 및 WM-o에 근거하여, MPEG2 AV 인코더(18)에서 인코드 된 MPEG 스트림 중에 삽입되는 E_CCI(Embedded CCI)의 값이 소정의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MPEG2 AV 인코더(18)에서는, 입력 비디오 오디오 신호가 부호화 되고,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소스 패키타이저(19)에 공급된다.
또한 컨트롤러(24)에서는, 입력되는 CCI_o 및 WM_o에 근거하여, 소스 패킷 헤더에 기술되는 copy_permission-indicator(도면중, c_p_I로 나타낸다)의 값이 소정의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소스 패키타이저(19)로부터는, 소스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AV 스트림이 스트림 해석부(23) 및 ECC 부호화부(25)에 공급된다.
스트림 해석부(23)에서는, 입력 소스 패킷 스트림의 패킷 번호가 카운트되고, 현재의 패킷 번호가 컨트롤러(24)에 공급된다. 또는, 스트림 해석부(23)로부터는, 입력 소스 패킷 스트림의 현재의 타이밍 스탬프가 컨트롤러(24)에 공급된다. 컨트롤러(24)에서는, 입력되는 CCI_o 및 WM_o의 변화가 검출되고, CCI_sequence_info가 작성된다. 또한, 컨트롤러(24)에서는, CCI_sequence_info를 갖는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의 데이터가 작성되고, ECC 부호화부(25)에 공급된다.
ECC 부호화부(25)에 입력된 AV 스트림 및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의 데이터는, ECC 부호화부(25), 변조부(26), 드라이브(27)에 있어서의 처리의 후에, 각각 AV 스트림 파일과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로서, 기록 매체(28)에 기록된다.
다음에, 단자(10)로부터의 RF 입력 비디오 신호가 셀프 인코드 된 AV 스트림이 기록되는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TV 튜너(15)에서는, RF 입력으로부터 비디오 신호가 취출되고, WM 검출/갱신부(17)에 공급된다. WM 검출/갱신부(17)에서는, 입력 비디오의 워터마크가 소정의 방법에 의해 해석되고, 기록하는 AV 스트림의 WM(도면중, WM_o로 나타낸다)이 컨트롤러(24)에 공급된다. 또한, WM 검출/갱신부(17)로부터는, 입력 비디오가 MPEG2 AV 인코더(18)에 공급된다. 그 후의 처리는 상술한MPEG2 AV 인코더(18) 이후의 처리와 같다.
다음에, 단자(13)로부터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입력이 인식 기록 모드로 기록되는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E_CCI 해석/갱신부(20)에서는, 입력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부호화 되어 있는 CCI(Embedded CCI)가 소정의 방법에 의해 해석되고, 기록하는 AV 스트림의 CCI(도면중에서 CCI_o로 나타낸다)가 컨트롤러(24)에 공급된다. 또한 E_CCI 해석/갱신부(20)에서는, 입력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WM 검출/갱신부(21)에 공급된다. WM 검출/갱신부(21)에서는, 입력 비디오의 워터마크가 소정의 방법에 의해 해석되고, 기록하는 AV 스트림의 WM(도면중, WM_o로 나타낸다)이 컨트롤러(24)에 공급된다. 또한, WM 검출/갱신부(21)로부터는, 입력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소스 패키타이저(19)에 공급된다. 그 후의 처리는 상술한 소스 패키타이저(19) 이후의 처리와 같다.
다음에, 단자(14)로부터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입력이 Non-인식 기록 모드로 기록되는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IEEE1394 인터페이스(22)에서는, 입력되는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의 헤더에 있는 EMI가 소정의 방법에 의해 해석되고, 기록하는 AV 스트림의 CCI(도면중, CCI-o로 나타낸다)가 컨트롤러(24)에 공급된다. 또한, IEEE1394 인터페이스(22)로부터는, 입력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소스 패키타이저(19)에 공급된다. 그 후의 처리는 상술한 소스 패키타이저(19) 이후의 처리와 같다.
도 19는 입력 신호가 비디오 입력인 경우 및/또는 인식 기록의 TS 입력인 경우에 있어서의 복사 컨트롤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서, 「입력 신호의 상태」의 CCI와 WM은, 각각의 입력 신호가 갖는 CCI와 WM의 상태를 나타내고있다.
우선, 입력 신호의 CCI가 '00'인 때, CGMS 검출/갱신부(16) 또는 E_CCI 해석/갱신부(20)는, CCI_o = 00으로 한다. 또한, 입력 신호의 CCI가 '10'인 때, CGMS 검출/갱신부(16) 또는 E_CCI 해석/갱신부(20)는, CCI_o = 01로 하고, 입력 신호의 CCI를 갱신한다. 또한 입력 신호의 CCI가 '01' 또는 '11'인 때, 입력 AV 스트림을 기록할 수 없다.
다음에, 입력 신호의 WM이 '00'인 때, WM 검출/갱신부(17) 또는 WM 검출/갱신부(21)는, WM_o = 00으로 한다. 또한, 입력 신호의 WM이 '10'인 때, WM 검출/갱신부(17) 또는 WM 검출/갱신부(21)는, WM_o = 101로 하고, 입력 신호의 WM을 갱신한다. 또한 입력 신호의 WM이 '101' 또는 '11'인 때, 입력 AV 스트림을 기록할 수 없다.
컨트롤러(24)는, 기록되는 AV 스트림 중에 기술되는 E_CCI에, 입력 비디오가 RF 입력인 경우를 제외하고, CCI_o와 같은 의미의 값을 세트한다. 또한 입력 비디오가 RF 입력인 경우는, AV 스트림 중에 기술되는 E_CCI에, WM_o와 같은 의미의 값을 세트한다. 또한 컨트롤러(24)는, CCI_sequ(ince-info()의 status_CCI/EMI와 소스 패킷 헤더의 copy_permission_indicator(c_p_I)에, 입력 비디오가 RF 입력인 경우를 제외하고, CCI_o와 같은 의미의 값을 세트한다. 또한 입력 비디오가 RF 입력인 경우는, CCI_sequence_info()의 status_CCI/EMI와 소스 패킷 헤더의 copy_pernission_indicator(c_p_I)에, WM_o와 같은 의미의 값을 세트한다. 또한, 컨트롤러(24)는, CCI_sequence_info()의 status_WM에, WM_o와 같은 의미의 값을 세트한다.
도 20은, 입력 신호가 Non-인식 기록의 TS 입력인 경우에 있어서의, 컨트롤러(24)의 복사 컨트롤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입력 신호의 EMI가 '00'인 때, IEEE1394 인터페이스(22)는 CCI_o = 00으로 한다. 또한 입력 신호의 EMI가 '10'인 때, IEEE1394 인터페이스(22)는 CCI_o = 01로 한다. 또한 입력 신호의 EMI가 '01' 또는 '11'인 때, 입력 AV 스트림을 기록할 수 없다. 컨트롤러(24)는, CCI_sequence_info()의 status_E_CCI/EMI와 소스 패킷 헤더의 copy_permission_indicator(c_p_I)에, CCI_o와 같은 의미의 값을 세트한다.
도 21은, 입력 신호가, 비디오 입력인 경우 또는 인식 기록의 TS 입력인 경우에 있어서의 CCI-sequence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CCI-sequence의 작성에서는, 우선, 입력 AV 신호의 CCI 또는 WM의 내용이 변화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스텝 201). 변화될 때까지 루프 하고, 변화된 경우에는, CCI 또는 WM의 변화점 정보와, CCI 또는 WM의 내용이 취득된다(스텝 202). 보다 구체적으로는, AV 스트림 중에 있어서의 CCI 또는 WM의 변화점의 어드레스와, CCI 또는 WM의 내용이 취득된다. 또는, AV 스트림 중에 있어서의 CCI 또는 WM의 변화점의 타임 스탬프와, EMI의 내용이 취득된다. 그 후, CCI-sequence의 정보가 작성되고(스텝 2O3), 입력 신호가 종료인지의 여부가 검사된다(스텝 204). 입력 신호가 종료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 201로 되돌아가고, 입력 신호가 종료인 경우에는, CCI_sequence_info의 Integrity_check_Value가 계산되고(스텝 205), 처리가 종료된다.
도 22는, 입력 신호가, Non-인식 기록의 TS 입력인 경우에 있어서의 CCI-sequence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CCI-sequence_info의 작성에서는, 우선, 입력 AV 신호의 EMI의 내용이 변화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스텝 211). 변화될 때까지 루프 하고, 변화된 경우에는, EMI의 변화점 정보와, EMI의 내용이 취득된다(스텝 212). 보다 구체적으로는, AV 스트림 중에 있어서의 EMI의 변화점의 어드레스와, EMI의 내용이 취득된다. 또는, AV 스트림 중에 있어서의 EMI의 변화점의 타임 스탬프와, EMI의 내용이 취득된다. 그 후, CCI-sequence의 정보가 작성되고(스텝 213), 최후의 트랜스포트 패킷인지의 여부가 검사된다(스텝 214). 최후의 트랜스포트 패킷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 211로 되돌아가고, 최후의 트랜스포트 패킷인 경우에는 CCI_sequence_info의 Integrity_Check_Value가 계산되고(스텝 215),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기록하는 AV 스트림의 CCI-sequence의 정보가 작성되고, AV 스트림와 함께 기록된다.
도 23은, 복사원(출력측)의 재생 장치(5)로부터, 복사처(입력측)의 기록 장치(6)에, DVR의 AV 스트림 파일과 그것에 관계되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디지털 버스 경유로 복사하는 경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재생 장치(5)에는, DVR인 기록 매체(50), 기록 매체(50)를 판독하는 드라이브(51), 복조부(52), ECC 복호부(53), 기록 장치(6)와의 통신을 행하는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54), 메모리(55), 버스 컨트롤러(56), 및 재생 장치(5)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5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록 장치(6)에는, 재생 장치(5)와의통신을 행하는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60), 버스 컨트롤러(61), 메모리(62) 외에, ECC 부호화부(63), 변조부(64), 복조부(65), ECC 복호부(66), 기록 장치(6)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67), DVR인 기록 매체(69), 및 기록 매체(69)에의 판독/기록을 행하는 드라이브(68)를 구비하고 있다. 재생 장치(5)와 기록 장치(6)는, 디지털 버스(7)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하여진다.
우선, 재생 장치(5)의 기록 매체(50)에 기록되어 있는 소망하는 PlayList를 기록 장치(6)의 기록 매체(69)에 복사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가, 도시하지 않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복사 제어 커맨드에 올라타서 재생 장치(5)에 입력된다. 이 커맨드는,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54), 버스 컨트롤러(56)를 경유하여 제어부(57)에 입력 된다.
제어부(57)는, 상기 PlayList의 재생에 필요한 AV 스트림의 스트림 부분을 결정하고, 그 AV 스트림 데이터를 기록 매체(50)로부터 판독하도록, 드라이브(51)에 지시를 낸다. 또한 제어부(57)는, 상기 PlayList에 관계되는 데이터베이스 파일(PlayList 파일,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과 섬네일 파일)을 기록 매체(50)로부터 판독하도록, 드라이브(51)에 지시를 낸다. 또한 제어부(57)는, 복조부(52), ECC 복호부(53)를 경유하여 판독된 상기 AV 스트림 데이터를, AV 스트림 파일으로서,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54)에 공급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기록 매체(50)로부터 판독된 AV 스트림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이, 복조부(52), ECC 복호부(53)를 경유하여 메모리(55)에 입력된다. 제어부(57)는, 메모리(55)에 있는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54)로부터 출력되는 상기한 AV 스트림 파일의 재생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Clip Information 파일, PlayList 파일)를 작성한다. 또한 제어부(57)는, 상기한 AV 스트림 파일에 대응하는 Clip과 복사하는 PlayList 파일이 사용하는 섬네일 파일를 작성한다. 그리고 제어부(57)는, 새롭게 작성된 데이터베이스 파일(Clip Information 파일, PlayList 파일과 섬네일 파일)을 메모리(55)로부터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54)에 공급하도록 지시한다.
버스 컨트롤러(56)는, 디지털 인터페이스(54)로부터의 파일 출력(전송)을 제어한다. 제어부(57)는, 버스 컨트롤러(56)에 대해,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54)로부터, AV 스트림 파일과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출력하도록 지시한다. 이 AV 스트림 파일과 데이터베이스 파일은, 디지털 버스(7)을 경유하여, 복사처의 기록 장치(6)에 입력된다.
복사처의 기록 장치(6)에 있어서의 버스 컨트롤러(61)는,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60)로부터의 파일 입력를 제어한다. 또한, 버스 컨트롤러(61)와 재생 장치(5)의 버스 컨트롤러(56)는, 파일의 복사 제어 커맨드를 교환하고, 데이터 전송/수신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한편, 기록 장치(6)의 제어부(67)는,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60)에 입력되는 AV 스트림 파일을, ECC 부호화부(63), 변조부(64), 드라이브(68)의 처리를 경유하여 기록 매체(69)에 기록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67)는,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60)에 입력되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메모리(62)에 기록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67)는, 기록 매체(69)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파일(Info.dvr 파일과 섬네일 파일)을, 드라이브(68), 복조부(65), ECC 복호부(66)의 처리를 경유하여 메모리(62)에 판독하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제어부(67)는, 메모리(62)에 있는 Irfo.dvr 파일과 섬네일 파일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사처에 있는 Info.dvr 파일의 Table0fPlayList에, 새롭게 기록하는 PlayList 파일명을 추가하고, 또한, 복사처에 있는 섬네일 파일에 새롭게 기록하는 섬네일를 추가한다. 또한 제어부(67)는, 메모리(62)에 있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판독하고, ECC 부호화부(63), 변조부(64), 드라이브(68)의 처리를 경유하여 기록 매체(69)에 기록하도록 지시한다.
도 24는, 복사원(출력측)의 재생 장치(5)로부터 복사처(입력측)의 기록 장치(6)에 Clip AV 스트림 파일을 복사하는 경우의, 재생 장치(5)(복사원)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Clip AV 스트림상의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을 CCI-sequence에 근거하여 결정한다(스텝 221). 다음에 제어부(57)는, 복사하는 구간의 AV 스트림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AV 스트림과 그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을 작성한다(스텝 222). 최후로, AV 스트림으로 작성된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을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54)를 통하여 전송한다(스텝 223). 이와 같이 하여, CCI-sequence의 정보를 이용하여 AV 스트림 파일의 복사 처리가 제어된다.
다음에 CCI_sequence_info()의 신택스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CCI-sequence의 정보로서, AV 스트림 중에 있어서의 복사 제어 정보(CCI)가 변화되는 어드레스 또는 타임 스탬프만을 갖는 테이블을 작성하고, AV 스트림과 함께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AV 스트림의 복사 처리에 앞서서, AV 스트림 중에 있어서의 CCI의변화되는 어드레스 또는 타임 스탬프에 있는 소스 패킷을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그 소스 패킷의 copy_permission_indicator를 검사함으로써, 각각의 CCI-sequence의 복사 제어 정보를 얻는다.
이러한 경우도, CCI_sequence_info()를 참조함으로써, AV 스트림의 중의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을 찾을 때의 조사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 조사를 위해, Clip AV 스트림을 선두부터 끝까지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복사 제한 정보를 해석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즉, 이 조사를 위해, AV 스트림 중에 있어서의 CCI가 변화되는 어드레스 또는 타임 스탬프에 있는 소스 패킷만을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면 좋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AV 스트림을 기록할 때에, 예를 들면 CCI_sequence_info()와 같은 관리 정보를 작성하고, AV 스트림과 함께 기록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로써, 하나의 AV 스트림 중에 혼재하는 「No More Copy」 스트림 부분과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을 간단하게 알 수 있다. 이것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그 AV 스트림을 선두부터 끝까지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복사 제한 정보를 해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조사 시간이 상당히 단축될 수 있다. 즉,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내용을 다른 기록 매체에 복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내용, 재생 정보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status_CCI/EMI와 status_WM을 독립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이 2개는 같은 CCI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status_CCI/EMI와 status_WM의 CCI의 상태가 다른 경우라 하더라도, 기록 장치가 입력 스트림의 CCI와 워터마크를 각각 올바르게 해석하고, 그것을 갱신한 것을 CCI_sequence_info에 기록으로서 남겨 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CCI_sequence_info()의 정보의 개찬 방지를 위한 부호를 함께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만약, 악의를 갖인 유저에 의해, CCI_sequence_info()의 CCI의 내용이, 「No More copy」로부터 「Copy Free」로 개서되었다고 하더라도, 기록 장치는 Integrity_Check_Value의 값을 검사함으로써, CCI_sequence_info()가 개찬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CCI_sequence_inlfo()의 정보를 스크램블 하여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CCI_sequence_info()의 내용의 개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처리는, 영상 정보 기록 장치, 영상 정보 재생 장치 등의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CD-ROM 등의 기억 매체로서 제공되고,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CD-R0M 드라이브 등의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 외에,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에 있는 프로그램 전송 장치로부터 제공되고, 컴퓨터 장치에 인스톨 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억 매체로서 DVR을 예로 들어 설명하여 왔지만, 마찬가지의 데이터 포맷을 갖는 기억 매체 등, 다른 기억 매체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영상 정보에 있어서의 복사 제한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다.

Claims (30)

  1. 입력되는 영상 정보로부터 복사 제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복사 제한 정보에 근거하여, 기록되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복사 제한 정보의 변화점 정보를 취득하는 변화점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변화점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변화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사 제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관리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관리 정보를 영상 정보와 함께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기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영상 정보에 있어서의 CGMS(Copy Generation Management System) 신호, 영상 정보의 워터 마크(Water Mark), 영상 정보에 있어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부호화 된 복사 제한 정보 및 영상 정보에 있어서의 아이소크로너스 패킷(isochronous packet)의 EMI(Encryplion Mode Indicator)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복사 제한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기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점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변화점 정보는, 복사 제한 정보의 변화점의 어드레스 또는 변화점의 시간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기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관리 정보는, AV(Audio Visua1) 스트림 중에 있어서의 복사 제한 정보의 변화점 정보를 갖는 테이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기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관리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관리 정보에 대해 개찬(alter) 방지 처리를 시행하는 개찬 방지 처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기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찬 방지 처리 수단은, 상기 관리 정보의 내용이 개찬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부호에 의해, 또는 상기 관리 정보를 스크램블 함으로써 개찬 방지 처리를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기록 장치,
  7.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스트림상의 복사 가능한 스트림 부분을,복사 제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로부터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복사 가능한 스트림 부분에 근거하여, 복사하는 구간의 스트림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데이터 스트림을 작성하는 데이터 스트림 작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재생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복사 가능한 스트림 부분에 있어서의 재생을 위한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정보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재생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데이터 스트림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상기 새로운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재생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복사 가능한 스트림 부분에 있어서의 재생을 위한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정보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관리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관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재생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관리 정보는, 복사 제한 정보의 변화점의 어드레스 또는 변화점의 시간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재생 장치.
  12. 입력되는 신호에 있어서의 복사 제한 정보 또는 워터 마크의 내용이 변화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고,
    변화된 상기 복사 제한 정보 또는 상기 워터 마크의 변화점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변화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사 제한 정보 또는 상기 워터 마크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작성된 상기 관리 정보를 데이터 스트림과 함께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의 내용이 개찬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부호를 검출하고, 개찬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기록 방법.
  15. 입력되는 신호의 아이소크로너스 패킷(isochronous packet)에 있어서의 EMI (Encryption Mode Indicator)의 내용이 변화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고,
    변화된 상기 EMI의 변화점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변화점 정보에 근거하여 복사 제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6.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해당 컴퓨터가 판독 가능하게 기억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입력되는 영상 정보로부터 복사 제한 정보를 검출하는 처리와,
    검출된 상기 복사 제한 정보로부터 해당 복사 제한 정보의 변화점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와,
    취득된 상기 변화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사 제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17. 컴퓨터에,
    입력되는 영상 정보로부터 복사 제한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과,
    검출된 상기 복사 제한 정보로부터 해당 복사 제한 정보의 변화점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취득된 상기 변화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사 제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또한, 생성된 상기 관리 정보를 복사하는 영상 정보와는 다른 영역에 기록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9.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되는 기록 매체로서,
    정보 기록 영역에는,
    하나의 스트림과 해당 스트림의 부속 정보와의 페어를 하나의 오브젝트로 하는 클립(Clip) 중에서, 스트림 파일인 클립 스트림 파일과 해당 부속 정보인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이 기록되고,
    상기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은, 상기 스트림에 있어서의 복사 제한 정보의 변화점을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에 포함되는 관리 정보는, 상기 복사 제한 정보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해당 복사 제한 정보의 변화점의 어드레스 또는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은, 상기 관리 정보의 내용이 개찬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부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스트림 파일은, 복사 가능한 「Copy Free」의 스트림 부분과, 이 세대(世代) 이상의 복사 불가능한 「No More Copy」의 스트림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3. 입력되는 영상 정보로부터 검출되는 복사 제어 방법에 근거하여 갱신된 복사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갱신부와,
    상기 갱신부로부터 출력되는 복사 제어 정보의 값이 변화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변화점 정보를 생성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변화점 정보를 상기 영상 정보와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기록 장치.
  24. 기록하는 데이터 스트림 중에 있어서의 복사 제어 형태가 변화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변화점 정보를 생성함과 함께, 해당 변화점 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결정된 알고리즘에 의한 체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체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 및 상기 변화점 정보와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25. 입력되는 영상 정보로부터 검출되는 복사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갱신된 복사 제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복사 제어 정보의 값이 변화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변화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변화점 정보를 상기 영상 정보와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기록 방법.
  26. 기록하는 데이터 스트림 중의 복사 제어 형태가 변화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변화점 정보를 생성함과 함께, 해당 변화점 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결정된 알고리즘에 의한 체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체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 및 상기 변화점 정보와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기록 방법.
  27. 기록하는 영상 정보의 복사 제어 형태가 변화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변화점 정보를 생성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변화점 정보를 상기 영상 정보와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기록 장치.
  28. 기록하는 영상 정보의 복사 제어 형태가 변화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변화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변화점 정보를 상기 영상 정보와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기록 방법.
  29. 기록되는 일련의 소스 패킷열 중, 복사 제어 정보의 값이 변하지 않는 구간마다, 해당 구간의 복사 가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서 생성된 관리 정보를 상기 소스 패킷과 함께 기록하는 기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기록 장치.
  30. 기록되는 일련의 소스 패킷열 중, 복사 제어 정보의 값이 변하지 않는 구간마다, 해당 구간의 복사 가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관리 정보를 상기 소스 패킷과 함께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기록 방법.
KR1020037003506A 2001-07-13 2002-07-12 영상 정보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 KR100901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14540 2001-07-13
JP2001214540 2001-07-13
PCT/JP2002/007133 WO2003007601A1 (fr) 2001-07-13 2002-07-12 Appareil d'enregistrement d'information video et appareil d'enregistr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604A true KR20040028604A (ko) 2004-04-03
KR100901219B1 KR100901219B1 (ko) 2009-06-08

Family

ID=1904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506A KR100901219B1 (ko) 2001-07-13 2002-07-12 영상 정보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668436B2 (ko)
EP (1) EP1408688B1 (ko)
KR (1) KR100901219B1 (ko)
CN (2) CN100468553C (ko)
AT (1) ATE543182T1 (ko)
CA (1) CA2422358C (ko)
ES (1) ES2379707T3 (ko)
HK (1) HK1063399A1 (ko)
MX (1) MXPA03002097A (ko)
WO (2) WO20030076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7209B2 (en) * 2003-02-07 2007-01-23 Warner Bros. Entertainment, Inc. Methods for encoding data in an analog video signal such that it survives resolution conversion
US20040252973A1 (en) * 2003-06-10 2004-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udio/video data copy protection
CN1954608A (zh) * 2003-12-05 2007-04-25 美国电影协会 控制禁止复制内容显示的系统和方法
CN1939055B (zh) * 2004-01-30 2011-02-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
KR20050078473A (ko) * 2004-02-02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데이터의 복사 제어 정보 갱신 장치 및 방법
US20050234858A1 (en) * 2004-03-30 2005-10-20 Yasuyuki Torii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reproduc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7242851B2 (en) * 2004-04-01 2007-07-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layback apparatus, playback method, and program product with playback processing program
KR20060063601A (ko) * 2004-12-03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다운로드/업데이트 하는 방법 및장치
KR100671550B1 (ko) * 2005-01-20 200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브이디 및 그의 복사 방법
WO2006110001A1 (en) 2005-04-13 2006-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ackaging broadcast contents
KR100823256B1 (ko) * 2005-04-13 200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콘텐츠 패키징 방법
US20070076240A1 (en) * 2005-10-04 2007-04-0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system
ATE493167T1 (de) 2005-12-09 2011-01-15 Boston Scient Scimed Inc Herzstimulationssystem
JP4622950B2 (ja) * 2006-07-26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録プログラム、ならびに、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JP2008035353A (ja) * 2006-07-31 2008-02-14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4292230B1 (ja) * 2008-03-14 2009-07-08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放送受信記録再生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記録再生方法
JP2010009705A (ja) * 2008-06-27 2010-01-14 Toshiba Corp 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US9754625B2 (en) * 2008-07-31 2017-09-05 Warner Bros. Entertainment Inc. Generation and use of user-selected scenes playlist from distributed digital content
US8868925B2 (en) * 2008-12-09 2014-10-21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cure processing of confidential content within a virtual machine of a processor
US8402280B1 (en) * 2009-10-15 2013-03-19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buffering in association with audio/video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processing
JP2012065258A (ja) * 2010-09-17 2012-03-2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547250B (zh) * 2012-02-09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处理方法和系统、ivm和ivu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1738A (en) * 1994-04-12 1996-07-30 E. Guide,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JPH09245438A (ja) 1996-03-12 1997-09-19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媒体並びにその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KR19990044590A (ko) * 1996-07-15 1999-06-25 니시무로 타이죠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카피 방지 방법
US6223285B1 (en) * 1997-10-24 2001-04-24 Sony Corporation Of Japa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using an encryption mode indicator
JP2000040294A (ja) * 1998-05-20 2000-02-0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6584552B1 (en) 1998-11-02 2003-06-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program recorded medium, recorded medium, cache device, and transmitter
JP3537683B2 (ja) * 1998-11-02 2004-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3162044B2 (ja) 1999-07-09 2001-04-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その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および再生方法
KR100541492B1 (ko) * 1999-07-09 2006-01-1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광디스크, 그 광디스크에 이용되는 기록장치, 재생장치,기록방법 및 재생방법
JP2001266546A (ja) 2000-03-16 2001-09-28 Hitachi Ltd 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再生方法
EP1168343B1 (en) 2000-06-26 2008-05-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JP3825282B2 (ja) 2000-06-26 2006-09-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ジタルビデオレコーディング装置及び方法
JP2002050116A (ja) 2000-08-01 2002-02-15 Kenwood Corp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3607595B2 (ja) 2000-11-08 2005-01-05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4250326B2 (ja) 2000-11-08 2009-04-08 株式会社東芝 録画再生装置
JP2002271756A (ja) * 2001-03-08 2002-09-20 Sony Corp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22358C (en) 2012-09-25
EP1408688A4 (en) 2005-12-28
WO2003007600A1 (fr) 2003-01-23
ATE543182T1 (de) 2012-02-15
HK1063399A1 (en) 2004-12-24
CA2422358A1 (en) 2003-03-11
CN1237794C (zh) 2006-01-18
US20030175013A1 (en) 2003-09-18
CN1471793A (zh) 2004-01-28
MXPA03002097A (es) 2003-06-19
EP1408688B1 (en) 2012-01-25
KR100901219B1 (ko) 2009-06-08
WO2003007601A1 (fr) 2003-01-23
EP1408688A1 (en) 2004-04-14
CN100468553C (zh) 2009-03-11
ES2379707T3 (es) 2012-04-30
US7668436B2 (en) 2010-02-23
CN1716425A (zh) 200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219B1 (ko) 영상 정보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
US7206892B2 (en) Method for managing recorded streams in a rewritable recording medium
KR100922650B1 (ko) 비디오 정보 기록 장치 및 비디오 정보 재생 장치
KR100892012B1 (ko)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JP4264617B2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0886055B1 (ko)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비디오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0940155B1 (ko) 정보 처리 장치, 기록 매체 및 데이터 구조, 재생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JP4333091B2 (ja) 映像情報記録装置、記録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および映像情報記録方法
JP3832289B2 (ja) 情報記録装置、ビデオ信号出力装置、ストリーム出力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データ構造
US20030225784A1 (en) Method for managing play lists on a rewritable storage medium
JP4207052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4701671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データ構造
JP4200451B2 (ja) 情報処理装置、記録媒体およびデータ構造、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38262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6302498A (ja)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2006216227A (ja)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