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055B1 -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비디오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비디오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055B1
KR100886055B1 KR1020037006445A KR20037006445A KR100886055B1 KR 100886055 B1 KR100886055 B1 KR 100886055B1 KR 1020037006445 A KR1020037006445 A KR 1020037006445A KR 20037006445 A KR20037006445 A KR 20037006445A KR 100886055 B1 KR100886055 B1 KR 100886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nail
information
delete delete
video signal
thumbnai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567A (ko
Inventor
카토모토키
나카무라마사노부
무라마츠카츠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4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G11B20/007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 G11B20/0076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wherein copy control information is used, e.g. for indicating whether a content may be copied freely, no more, once, or never, by setting CGMS, SCMS, or CCI fla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6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e.g. music or softwa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88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watermark, i.e. a barely perceptibl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data which can nevertheless be recognised by an algorith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 G06T2201/0064Image watermarking for copy protection or copy management, e.g. CGMS, copy only once, one-time cop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8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management signal, e.g. a copy generation management signal [C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3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waterma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5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64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being scramb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네일 화상의 부정한 카피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 및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섬네일 인코더(19)는, 단자(12)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신호의 섬네일 화상을 생성한다. 매크로비전 검출부(13), CGMS 검출 갱신부(14), WM(워터 마크) 검출 갱신부(15)는 각각 단자(12)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신호의 아날로그 카피 프로텍션 신호(APS), 카피 세대 관리 정보로서의 CGMS 신호, 또는 워터 마크를 검출하고 컨트롤러(21)에 출력한다. 컨트롤러(21)는 이들의 카피 제한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카피 제한 정보를 생성한다. 정보 기록 매체(26)에는 섬네일 화상과 그 카피 제한 정보가 기록된다. 본 발명은 데이터를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비디오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VIDEO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 및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신호의 시큐어러티 정보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 및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기록 재생 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한 디스크 형의 정보 기록 매체로서, 각종의 광디스크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는, 수기가바이트의 대용량 미디어로서 제안되어 있고, 디지털 비디오(동화상) 신호를 기록하는 미디어로서의 기대가 높다.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압축하는 부호화 방식의 하나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방식이 있다. MPEG2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도 응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정 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 비디오 신호는 MPEG2 방식으로 인코드되고, 부호화 비트 스트림으로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또한 근래 시작된 디지털 방식의 TV(텔레비전) 방송에서는, MPEG2 방식으로 부호화 된 비디오 방송프로그램이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라고 불리는 포맷으로 전송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의 AV 신호를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코드하거나 재인코드하는 일 없이, 디지털 신호인 채로 기록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비디오 신호가 디지털 신호 포맷으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으면, 그 비디오 신호를 전혀 열화 시키는 일 없이 다른 정보 기록 매체(기록 미디어)에 카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은 그 비디오 컨텐츠의 저작권자에 있어서는 큰 문제로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비디오 신호의 카피를 제한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에 「Copy Free(카피 가능)」, 「Copy 0nce(일세대만 카피 가능)」, 「No More Copy(이 세대 이상의 카피 불가)」, 「Copy Prohibited(카피 금지)」라는 카피 세대 관리 정보(Copy generation management information)를 나타내는 CCI(Copy Control Information)를 부가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신호로서, 예를 들면, CGMS(Copy Generation Management System) 신호가 있다. 이 신호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용의 것이 CGMS-A, 디지털 인터페이스용의 것이 CGMS-D라고 불린다. 아날로그용의 CGMS-A는, 비디오 신호의 VBI(Vertical Blanking Interva1)에 ID를 중첩하는 점에서 VBID라고도 불리고 있다. 이것은, EIAJ CP-1204로서 규격화 되어 있다.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CCI를 매립하여 전송하기 위해, 그 정보를 갖 는 디스크립터를 부호화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타입의 디스크립터로서는, DTLA(Digita1 Transmission Licensing Administrator)가 규정하고 있는 DTCP descriptor나, ARIB가 규정하는 일본의 BS 디지털 방송에서 사용되고 있는 digita1_copy_control_descriptor가 있다. 최근에는, 또한, 강력하게 카피 제한을 가하기 위해, 베이스 밴드의 비디오 신호나 MPEG의 비디오 스트림에, 워터 마크로서 카피 세대 관리 정보를 매립하는 방식도 검토되고 있다. 워터 마크는 현재, 표준화 활동이 추진되고 있고, 밀레니엄 방식과 갤럭시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정보 기록 매체에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입력 신호의 CCI에 따라, 올바르게 기록 제한을 가할 것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유저가 정보 기록 매체에 비디오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은, 입력 신호의 CCI가 「Copy Free(자유롭게 카피 가능)」또는「Copy 0nce(일세대만 카피 가능)」의 어느 하나의 경우뿐이다. 입력 신호의 CCI가 「Copy Once(일세대만 카피 가능)」인 경우, 정보 기록 매체상의 비디오 신호의 CCI는 「No More Copy(이세대 이상의 카피 불가)」로 갱신되어야 한다.
그런데,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신호의 내용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내용을 대표하는 정지 화상이나, 그 내용의 특정한 신을 정지 화상으로서 뽑아낸 화상을 비디오 신호와는 별도로 기록하는 일이 있다. 이들의 정지 화상은 섬네일 화상이라고 불린다. 예를 들면, 유저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신호 중에서, 재생을 시작하는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에, 섬네일 화상의 일람을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알려지기 쉬운 형태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섬네일 화상은,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신호 중에서 선택한 화상이라도 좋고, 또는 퍼스널 컴퓨터나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부터 정보 기록 매체로 받아들인 화상이라도 좋다.
종래, 비디오 신호와 그 섬네일 화상이 기록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소정의 비디오 신호를 다른 정보 기록 매체에 카피하는 경우, 비디오 신호밖에 카피할 수 없는 일이 많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카피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와 함께 그 섬네일 화상도 카피할 수 있도록 한 쪽이 유저에게는 편리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카피한 비디오 신호에 유저가 새롭게 섬네일 화상을 부가하는 절차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이다.
이 때에, 문제가 되는 것은, 섬네일 화상의 저작권의 관리이다. 예를 들면, 영화나 텔레비전의 인기 캐릭터의 화상은, 저작권이 있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된다. 그것이 부정하게 카피되는 것은 저작권자에 있어서 바람직한것은 아니다. 그러나, 종래, 섬네일 화상의 카피 제한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비디오 신호와 함께 그 섬네일 화상을 카피한다는 어플리케이션을 생각할 때, 섬네일 화상을 카피하여도 좋은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없어서, 섬네일 화상의 부정한 카피를 방지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섬네일 화상의 컨텐츠 보호 정보(Content Protection Infomation.예 를 들면, CCI)를 적절하게 관리하여, 섬네일 화상의 부정한 카피를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된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를 생성하는 제 1의 제어 수단과, 비디오 신호를,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섬네일 화상 및 제 1의 제어 수단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보호 정보와 함께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는 카피 세대 관리 정보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는 아날로그 카피 보호 제어 정보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생성 수단은 비디오 신호 중의 화상을 사용하여 섬네일 화상을 생성하고, 제 1의 제어 수단은 비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화상의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컨텐츠 보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 수단은 비디오 신호 중의 화상을 사용하여 섬네일 화상을 생성하고, 제 1의 제어 수단은 비디오 신호의 컨텐츠 보호 정보를 참조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록 수단은 섬네일 화상과 컨텐츠 보호 정보를 소정 크기의 블록 단위로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기록 수단은 섬네일 화상과 해당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를 한 쌍으로 하여 블록화 하여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기록 수단은 섬네일 화상을 JPEG 방식으로 압축하여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신호로부터, 비디오 신호, 해당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및 해당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출력을 제한하는 제 2의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는 아날로그 카피 프로텍션 제어 신호를 포함하고, 제 2로 제어 수단은 아날로그 카피 프로텍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출력 신호에 카피 프로텍션 신호가 중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의 제어 수단은 또한 비디오 신호의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재생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 2의 제어 수단은, 섬네일 화상을 다른 정보 기록 매체에 카피하는 경우에 있어서, 섬네일 화상에 부가하여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카피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는 카피 세대 관리 정보를 포함하고, 제 2의 제어 수단은 섬네일 화상의 카피 세대 관리 정보의 제한을 지키도록 섬네일 화상의 카피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 2의 제어 수단은 또한 비디오 신호의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카피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은, 입력된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스텝과, 비디오 신호를,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섬네일 화상 및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보호 정보와 함께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입력된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스텝과, 비디오 신호를,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섬네일 화상 및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보호 정보와 함께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프로그램은, 입력된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스텝과, 비디오 신호를,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섬네일 화상 및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보호 정보와 함께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 2의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신호로부터 비디오 신호, 해당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및 해당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컨텐츠 보호 정 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는 아날로그 카피 프로텍션 제어 신호를 포함하고, 제어 수단은 아날로그 카피 프로텍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출력 신호에 카피 프로텍션 신호가 중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비디오 신호의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재생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섬네일 화상을 다른 정보 기록 매체에 카피하는 경우에 있어서, 섬일 화상에 부가하여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카피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는 카피 세대 관리 정보를 포함하고, 제어 수단은 섬네일 화상의 카피 세대 관리 정보의 제한을 지키도록 섬네일 화상의 카피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비디오 신호의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카피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과, 재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재생된 신호로부터 비디오 신호, 해당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및 해당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 스텝과, 분리 스텝의 처리에 의해 분리된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과, 재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재생된 신호로부터 비디오 신호, 해당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및 해당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 스텝과, 분리 스텝의 처리에 의해 분리된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프로그램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과, 재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재생된 신호로부터 비디오 신호, 해당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및 해당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 스텝과, 분리 스텝의 처리에 의해 분리된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비디오 신호, 해당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및 해당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가 기록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는 카피 세대 관리 정보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는 아날로그 카피 프로텍션 제어 신호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섬네일 화상과 컨텐츠 보호 정보는 소정 크기의 블록 단위로 기록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섬네일 화상과 해당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는 한 쌍 으로 하여 블록화 하여 기록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섬네일 화상은 JPEG 방식으로 압축하여 기록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취득된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이 생성되고, 생성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가 또한 생성된다. 섬네일 화상은 컨텐츠 보호 정보를 부가하여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로부터 비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및 섬네일 화상에 부가되어 있는 컨텐츠 보호 정보가 추출되고, 추출된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출력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는, 비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및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의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는, 입력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컨텐츠 보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부호화부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부호화부에 의해 생성된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비디오 신호, 부호화부에 의해 생성된 섬네일 화상 신호 및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카피 제어 정보를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섬네일 화상 신호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부를 더 구비시키도록 할 수 있고, 상기 기록부에는 암호화부에 의해 암호화 된 섬네일 화상 신호를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부에는 카피 제어 정보를 더 암호화 시키도록 할 수 있고, 상기 기록부에는 암호화부에 의해 암호화 된 카피 제어 정보를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디오 신호 기록 방법은, 입력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컨텐츠 보호 정보를 검출하고,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검출된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비디오 신호, 섬네일 화상 신호 및 카피 제어 정보를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입력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컨텐츠 보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 1의 생성 스텝과, 검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2의 생성 스텝과, 비디오 신호, 제 1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섬네일 화상 신호 및 제 2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카피 제어 정보의 정보 기록 매체로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의 프로그램은, 입력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컨텐츠 보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 1의 생성 스텝과, 검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2의 생성 스텝과, 비디오 신 호, 제 1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섬네일 화상 신호 및 제 2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카피 제어 정보의 정보 기록 매체로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디오 재생 장치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비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 및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카피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 신호에 카피 제어 신호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암호화 되어 있는 섬네일 화상 신호를 복호하는 암호 복호부를 더 구비시키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섬네일 화상 신호는 암호화 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카피 제어 정보는 암호화 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암호 복호부에는 암호화 된 카피 제어 정보를 더 복호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디오 신호 재생 방법은,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비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 및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를 재생하고, 재생된 카피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 신호에 카피 제어 신호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의 비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 및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 스텝과, 재생 제어 스텝의 처리 에 의해 재생이 제어된 카피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 신호에 카피 제어 신호를 부가한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의 프로그램은,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의 비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 및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 스텝과, 재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재생이 제어된 카피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 신호에 카피 제어 신호를 부가한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디오 기록 장치 및 방법 및 제 3의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입력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컨텐츠 보호 정보가 검출되고,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가 생성되고, 검출된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가 생성되고, 비디오 신호, 섬네일 화상 신호 및 카피 제어 정보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본 발명의 비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및 제 4의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비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 및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가 재생되고, 재생된 카피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 신호에 카피 제어 신호가 부가되어 출력된다.
도 1은 어플리케이션 포맷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PlayList상의 마크와 Clip상의 마크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메뉴 섬네일과 마크 섬네일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디스크의 내용을 대표하는 섬네일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플레이리스트에 붙여지는 마크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섬네일을 격납하는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클립에 붙여지는 마크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디스크상에 붙여지는 디렉토리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DVR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UIAppInfpoDVR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PlayListMark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ClipMark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섬네일 정보 파일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섬네일 화상 파일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tn_block()에 격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tn_block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CP_Info_thumbnail()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CCI_thumbnail을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APS_thumbnail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flag_need_AVstreamInfo를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다른 섬네일 정보 파일의 신택스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기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3은 카피 컨트롤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24는 다른 카피 컨트롤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AV 스트림의 마크점의 화상의 섬네일의 작성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26은 기록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7은 유저에 의해 지정된 화상의 섬네일의 작성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28은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9는 AV 스트림의 대표 화상이나 특징점 화상의 섬네일의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30은 재생 장치로부터 기록 장치에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카피하는 경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1은 섬네일 파일의 카피원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 기록 재생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정보 기록 매체상의 어플리케이션 포맷의 간단화 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 포맷은 AV(Audio Visua1) 스트림의 관리를 위해 PlayList(플레이리스트)와 Clip(클립)의 2개의 레이 어를 갖는다. 그리고 Volume Information(볼륨 인포메이션)은 디스크 내의 모든 Clip과 PlayList의 관리를 한다.
하나의 AV 스트림과 그것의 부속 정보의 페어를 하나의 오브젝트로 생각하고 그것을 Clip이라고 부른다. AV 스트림 파일은 Clip AV 스트림 파일이라고 불리고, 그 부속 정보는 Clip Information file(클립 인포메이션 파일)이라고 불린다.
하나의 Clip AV 스트림 파일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DVR(Digital Video Recorder) 어플리케이션 포맷에 의해 규정되는 구조로 배치한 데이터를 스토어 한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등에서 이용하는 데이터 파일은 바이트 열로서 취급되지만, Clip AV 스트림 파일의 컨텐츠는 시간축상에 전개되고, PlayList는 Clip 중의 액세스 포인트를 주로 타임 스탬프로 지정한다. PlayList가 Clip 중에의 액세스 포인트를 타임 스탬프로 지시하고 있는 때, Clip Information file은 Clip AV 스트림 파일 중에서 스토리에의 디코드를 시작해야 할 어드레스 정보를 찾기 위해 도움이 된다.
PlayList는 Clip 중에서 유저가 보고 싶는 재생 구간을 선택하고, 그것을 간단하게 편집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도입되었다. 하나의 PlayList는 Clip 중의 재생 구간의 모임이다. 어느 Clip 중의 하나의 재생 구간은 PlayList라고 불리고, 그것은 시간축상의 IN점과 OUT점의 페어로 표시된다. 그 때문에 PlayList는 PlayItem의 모임이다.
PlayList에는 2개의 타입이 있다. 하나는 Real PlayList(리얼 플레이리스트) 이고, 또하나는 Virtual PlayList(버추얼 플레이리스트)이다.
Real PlayList는 그것이 참조하고 있는 Clip의 스트림 부분을 공유하고 있다고 간주된다. 즉 Real PlayList는 그것이 참조하고 있는 Clip의 스트림 부분에 상당하는 데이터 용량을 디스크 중에서 차지한다. AV 스트림이 새로운 Clip으로서 기록되는 경우, 그 Clip 전체의 재생 가능 범위를 참조하는 Real PlayList가 자동적으로 만들어진다. Real PlayList의 재생 범위의 일부분이 소거된 경우, 그것이 참조하고 있는 Clip의 스트림 부분의 데이터도 또한 소거된다.
Virtual PlayList는 Clip의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는다고 간주된다. Virtual PlayList가 변경 또는 소거되었다고 하여도 Clip은 아무것도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Real PlayList와 Virtual PlayList를 총칭하여 단지 PlayList라고 부르고 있다.
도 2는 PlayList상의 마크와 Clip상의 마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마크는 Clip 및 PlayList 중의 하이라이트나 특징적인 시간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1) Clip에 부가되는 마크는 AV 스트림의 내용에 기인하는 특징적인 신을 지정한다. 이 마크는, 예를 들면, 장면 체인지점(씬 스타트 포인트) 등으로 구성된다. PlayList를 재생할 때, 그 PlayList가 참조하는 Clip의 마크를 참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PlayList에 부가되는 마크는 주로 유저에 의해 세트된다. 이 마크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임의의 포인트에서 지정되는 북 마크나, 전회의 재생 종료점을 나타내는 리줌 마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3) Clip 또는 PlayList에 마크를 세트하는 것은, 마크의 시각을 나타내는 타임 스탬프를 마크 리스트에 추가함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마크를 델리트 하는 것은, 마크 리스트 중에서 그 마크의 타임 스탬프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마크의 세트나 델리트는 AV 스트림을 아무것도 변화 시키지 않는다.
섬네일은 Volume(디스크), PlayList 또는 Clip에 부가되는 정지 화상이다. 섬네일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종류가 있다. 하나는 내용을 나타내는 대표화로서의 섬네일(메뉴 섬네일)이다. 이것은 주로 유저가 커서를 조작하여 보고 싶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에서 사용된다. 또하나는 마크가 지시하고 있는 신을 나타내는 화상(마크 섬네일)이다.
Volume과 각 PlayList는 대표화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Volume의 대표화는, 정보 기록 매체로서의 디스크가 플레이어에 넣어진 때에, 디스크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지화를 최초에 표시하는 경우 등에 사용된다(도 4의 메뉴 섬네일을 참조). PlayList의 대표화란, PlayList를 선택하는 메뉴 화면에 있어서, PlayList의 내용을 나타내기 위한 정지화로서 사용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도 5의 메뉴 섬네일을 참조). PlayList의 대표화의 가장 간단한 실현 방법은, PlayList의 최초의 화상을 섬네일로 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재생 시각 O의 선두의 화상이 내용을 나타내는데 최적의 화상이라고는 한할 수 없다. PlayList의 섬네일로서 임의의 화상을 정할 수 있는 목적은 이 때문이다.
이상 2종류의 섬네일을 메뉴 섬네일이라고 부르는데, 메뉴 섬네일은 빈번하게 표시되기 때문에 디스크로부터 고속으로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요구된다. 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모든 메뉴 섬네일을 하나의 파일에 격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도 6의 메뉴 섬네일 화일을 참조). 메뉴 섬네일은, 반드시 볼륨 내의 동화로부터 뽑아낸 화상만이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PC)나 디지털 카메라(DSC) 등으로부터이 받아들인 화상이라도 좋다(도 4과 도 5).
한편, Clip과 PlayList는 복수개의 마크를 임의의 위치에 부가하고, 마크 위치의 내용을 마크점의 화상으로부터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마크점을 나타내는 화상을 마크 섬네일(Mark Thumbnails)이라고 부른다(도 5의 마크 섬네일 및 도 7의 마크 섬네일을 참조). 따라서 이 경우는, 섬네일의 근원이 되는 것은,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화상으로 할 수 있지만, 그보다도, 마크점의 화상을 뽑아낸 것이 주가 된다. 메뉴 섬네일과는 달리, 마크 섬네일은 PlayList의 상세를 나타낼 때에 사용되는 서브메뉴 등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짧은 액세스 시간은 요구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섬네일이 필요하게 될 때마다, 플레이어가 파일을 열고 파일의 일부를 판독하는데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문제로는 되지 않는다. 또한, 볼륨 내에 존재하는 파일 수를 줄이기 위해, 볼륨 섬네일과 PlayList의 메뉴 섬네일이 하나의 메뉴 섬네일 파일에 격납되도록, 모든 마크 섬네일은 하나의 파일(마크 섬네일)에 격납하는 것이 좋다(도 6의 마크 섬네일 화일을 참조). PlayList는 메뉴 섬네일 하나와 복수의 마크 섬네일을 가질 수 있지만, Clip은 유저가 직접 선택할 필요성이 없기(보통, PlayList 경유로 지정한다) 때문에 메뉴 섬네일을 갖지는 않는다.
DVR 디스크상에 필요한 디렉토리는 다음과 같다 : "DVR" 디렉토리를 포함하 는 root 디렉토리. "PLAYLIST" 디렉토리, "CLIPINF" 디렉토리, "STREAM" 디렉토리 및 "DATA"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DVR" 디렉토리. 도 8에 DVR 디스크상의 디렉토리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root 디렉토리는 하나의 디렉토리를 포함한다.
"DVR" -- DVR 어플리케이션 포맷에 의해 규정된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는 이 디렉토리의 아래에 스토어 되어야 한다.
"DVR" 디렉토리는, 다음에 나타낸 파일을 스토어 한다.
"info.dvr" -- DVR 디렉토리의 아래에 만들어지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의 전체적인 정보를 스토어 하는 파일. DVR 디렉토리의 아래에는 단지 하나의 info.dvr이 있어야 한다. 파일명은 info.dvr로 고정된다.
"menu.tidx" and "menu.tdat" -- 이 2개의 파일은, 메뉴 섬네일 화상에 관련되는 정보를 스토어 한다. menu.tidx는 메뉴 섬네일 화상의 헤더 정보를 스토어 하는 「섬네일 정보 파일」이다. menu.tdat는 메뉴 섬네일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스토어 하는 「섬네일 화상 파일」이다.
"mark.tidx" and "mark.tdat" -- 이 2개의 파일은 마크 섬네일 화상에 관련되는 정보를 스토어 한다. mark.tidx는 마크 섬네일 화상의 헤더 정보를 스토어 하는 「섬네일 정보 파일」이다. mark.tdat는 마크 섬네일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스토어 하는 「섬네일 화상 파일」이다.
"DVR" 디렉토리는 3개의 디렉토리를 포함한다.
"PIAYLIST" -- Real PlayList와 Virtual PlayList(도 1)의 데이터베이스 파 일은 이 디렉토리의 아래에 두어야 한다.
"CLIPINF" -- Clip(도 1)의 데이터베이스는 이 디렉토리의 아래에 두어야 한다.
"STREAM" -- AV 스트림 파일(도 1)은 이 디렉토리의 아래에 두어야 한다.
"PLAYLIST" 디렉토리는 2종류의 PlayList 파일을 스토어 하는 것으로, 그들은 Real PlayList와 Virtual PlayList이다.
"xxxxx.rpls" -- 이 파일은 하나의 Real PlayList에 관련되는 정보를 스토어 한다. 각각의 Real PlayList마다에 하나의 파일이 만들어진다. 파일명은 "xxxxx.rpls"이다. 여기서, "xxxxx"는 5개의 0부터 9까지의 숫자이다. 파일 확장자는 "rpls"여야 한다.
"yyyyy.vpls" -- 이 파일은 하나의 Virtual PlayList에 관련되는 정보를 스토어 한다. 각각의 Virtual PlayList마다에 하나의 파일이 만들어진다. 파일명은 "yyyyy.vpls"이다. 여기서 "yyyyy"는 5개의 0부터 9까지의 숫자이다. 파일 확장자는 "vpls"여야 한다.
"CLIPINF" 디렉토리는 각각의 AV 스트림 파일에 대응하고 하나의 파일을 스토어 한다.
"zzzzz.clpi" -- 이 파일은 하나의 AV 스트림 파일(Clip AV 스트림 파일 또는 Bridge_Clip AV 스트림 파일)에 대응하는 Clip Information file이다. 파일명은 "zzzzz.clpi"이고, 여기서 "zzzzz"는 5개의 0부터 9까지의 숫자이다. 파일 확장자는 "clpi"여야 한다.
"STREAM" 디렉토리는 AV 스트림의 파일을 스토어 한다.
"zzzzz.m2ts" -- 이 파일은 DVR 시스템에 의해 취급되는 AV 스트림 파일이다. 이것은 Clip AV 스트림 파일 또는 Bridge-Clip AV 스트림 파일이다. 파일명은 "zzzzz.m2ts"이고, 여기서 "zzzzz"는 5개의 0부터 9까지의 숫자이다. 파일 확장자는 "m2ts"여야 한다.
하나의 AV 스트림 파일과 그것에 대응하는 Clip information file은 같은 5개의 숫자 "zzzzz"를 사용하여야 한다.
AV 스트림 파일의 구조를 설명한다. AV 스트림 파일은 도 9에 도시한 DVR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구조를 가져야 한다. DVR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다음에 나타낸 특징을 갖는다.
(1) DVR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정수개의 Aligned unit으로 구성된다.
(2) Aligned unit의 크기는 6144바이트(2048×3바이트)이다.
(3) Aligned unit은 소스 패킷의 제 1바이트째로부터 시작된다.
(4) 소스 패킷는 192바이트 길이이다. 하나의 소스 패킷은 TP_extra_header와 트랜스포트 패킷으로 이루어진다. TP_extra_header는 4바이트 길이이고, 또한 트랜스포트 패킷은 188바이트 길이이다.
(5) 하나의 Aligned unit은 32개의 소스 패킷으로 이루어진다.
(6) DVR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의 최후의 Aligned unit도 또한 32개의 소스 패킷으로 이루어진다.
(7) 최후의 Aligned unit이, 입력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트랜스포트 패킷으로 완전하게 채워진 경우, 나머지 바이트 영역을 널 패킷(PID = 0x1FFF의 트랜스포트 패킷)을 갖는 소스 패킷으로 채워야 한다.
TP_extra_header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페이로드의 카피 제한 정보와 트랜스포트 패킷이 디코더에 도착하는 시각을 나타내는 도착 타임 스탬프를 포함한다.
다음에 AV 스트림 파일의 재생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포맷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info.dvr에 스토어 되는 데이터의 일부인 UIAppInfpoDVR의 신택스를 도시한다. ref_to_menu_thumbnail_index는 Volume을 대표하는 섬네일 화상의 정보를 나타낸다. ref_to_menu_thumbnail_index 필드가 0xFFFF가 아닌 값인 경우, Volume에는 섬네일 화상이 부가되어 있고, 그 섬네일 화상은 menu.tdat 파일 중에 스토어 되어 있다. 그 화상은 menu.tidx 파일 중에서 thumbnail_index의 값을 이용하여 참조된다(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ref_to_menu_thumbnail_index 필드가 0xFFFF인 경우, Volume에는 섬네일 화상이 부가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도 11은 PlayList 파일에 스토어 되는 데이터의 일부인 PlayListMark의 신택스를 도시한다. PlayListMark는 PlayList에 부가되는 마크의 정보를 스토어 한다. 또한, PlayList의 대표 화상의 정보도 또한 PlayListmark에 포함된다.
number_of_P1ayList_marks는 PlayListMark 중에 스토어 되어 있는 마크의 엔트리 수를 나타낸다.
mark_type은 마크의 타입을 나타낸다.
ref_to_PlayItem_id는 마크가 놓여져 있는 PlayItem을 지정하는 곳의 PlayItem_id의 값을 나타낸다.
mark_time_stamp는 그 마크가 지정된 포인트를 나타내는 타임 스탬프를 스토어 한다.
ref_to_menu_thumbnail_index는 PlayList의 대표 화상을 나타내는 섬네일 화상의 정보를 나타낸다. ref_to_menu_thumbnail_index 필드가 0xFFFF가 아닌 값인 경우, PlayList의 대표 화상을 나타내는 섬네일 화상이 존재하고, 그 섬네일 화상은 menu.tdat 파일 중에 스토어 되어 있다. 그 화상은 menu.tidx 파일 중에서 thumbnail_index의 값을 이용하여 참조된다(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ref_to_menu_thumbnail_index 필드가 0xFFFF인 경우, PlayList의 대표 화상을 나타내는 섬네일 화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ref_to_mark_thumbnail_index는 마크에 부가되는 섬네일 화상의 정보를 나타낸다. ref_to_mark_thumbnail_index 필드가 0xFFFF가 아닌 값인 경우, 그 마크에는 섬네일 화상이 부가되어 있고, 그 섬네일 화상은 mark.tdat 파일 중에 스토어 되어 있다. 그 화상은 mark.tidx 파일 중에서 thumbnail_index의 값을 이용하여 참조된다(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ref_to_mark_thumbnail_index 필드가 0xFFFF인 경우, 그 마크에는 섬네일 화상이 부가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도 12는 Clip_Information 파일에 스토어 되는 데이터의 일부인 ClipMark의 신택스를 도시한다. ClipMark는 Clip에 부가되는 마크의 정보를 스토어 한다.
number_of_Clip_marks는 ClipMark 중에 스토어 되어 있는 마크의 엔트리 수를 나타낸다.
mark_type는 마크의 타입을 나타낸다.
ref_to_STC_id는 mark_time_stamp가 놓여져 있는 Clip의 시스템 타임 베이스의 시간축을 지정하는 정보이다.
mark_time_stamp는 Clip AV 스트림 중에서 마크가 지정된 포인트를 프리젠테이션 타임 스탬프를 베이스로 하여 나타낸다.
ref_to_mark_thumbnail_index는 마크에 부가되는 섬네일 화상의 정보를 나타낸다. ref_to_mark_thumbnail_index 필드가 0xFFFF가 아닌 값인 경우, 그 마크에는 섬네일 화상이 부가되어 있고, 그 섬네일 화상은 mark.tdat 파일 중에 스토어 되어 있다. 그 화상은 mark.tidx 파일 중에서 thumbnail_index의 값을 이용하여 참조된다(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ref_to_mark_thumbnail_index 필드가 0xFFFF인 경우, 그 마크에는 섬네일 화상이 부가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 섬네일에 관한 정보를 스토어 하는 파일의 내용을 설명한다.
"menu.tidx"와 "menu.tdat"(도 8)는 메뉴 섬네일, 즉 Volume을 대표하는 하나의 픽처 및 PlayList마다에 그것을 대표하는 하나의 픽처의 정보를 스토어 한다. 모든 메뉴 섬네일의 헤더 정보는 하나의 menu.tidx에 모아서 관리된다. 모든 메뉴 섬네일의 픽처 데이터는 하나의 menu.tdat에 모아서 관리된다.
"mark.tidx"와 "mark. tdat"(도 8)는, 마크 섬네일 즉 마크점으로 지시되는 픽처에 관한 정보를 스토어 한다. Volume 중의 모든 Clip 및 PlayList에 부가되어 있는 모든 마크 섬네일의 헤더 정보는 하나의 mark.tidx에 모아서 관리된다. 모든 마크 섬네일의 픽처 데이터는, 하나의 mark.tdat에 모아서 관리된다.
섬네일의 픽처 데이터는, 예를 들면, 화상을 JPEG로 부호화 한 데이터이다.
이들 4개의 파일의 신택스와 시멘틱스를 설명한다.
"menu.tidx"와 "mark.tidx"는 같은 신택스 구조를 갖는다. 도 13은 "menu.tidx"와 "mark.tidx"의 신택스 구조를 도시한다.
number_of_thumbnails는, menu.tidx의 경우에는 menu.tdat에 스토어 되어 있는 섬네일 픽처의 수이고, mark.tidx의 경우에는 mark.tdat에 스토어 되어 있는 섬네일 픽처의 수이다.
tn_block_size는, menu.tidx의 경우에는 menu.tdat 중의 하나의 tn_block의 사이즈를 나타내고, mark.tidx의 경우에는 mark.tdat 중의 하나의 tn_block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이 사이즈는 1024바이트를 단위로 하는 크기이다. 예를 들면, tn_block_size = 16은 하나의 tn_block의 사이즈가 16×1024바이트인 것을 나타낸다. 하나의 섬네일 픽처는 하나의 tn_block 중에 스토어 되어야 한다.
number_of_tn_blocks는, menu.tidx의 경우에는 menu.tdat 중에 있는 tn_block의 수를 나타내고, mark.tidx의 경우에는 mark.tdat의 중에 있는 tn_block의 수를 나타낸다.
thumbnail_index는 이 thumbnail_index 파일에 계속되는 섬네일 정보의 인덱스 번호를 나타낸다. thumbnail_index로서 0xFFFF라는 값을 사용하여야 한다. menu.tidx의 경우, thumbnail_index는 UIAppInfoVolume(), PlayListMarkt() 중의 ref_to_menu_thumbnail_index에 의해 참조된다. mark.tidx의 경우, thumbnail_index는 PlayListMark() 및 ClipMark() 중의 ref_to_mark_thumbnail_index에 의해 참조된다.
ref_to_tn_block_id는 menu.tdat/mark.tdat의 신택스 중의 tn_block_id의 값을 참조한다. menu.tidx의 경우, ref_to_tn_block_id는 menu.tdat 중의 하나의 tn_block를 나타내고, 그 tn_block는 thumbnail_index로 지시되는 섬네일 화상을 스토어 하고 있다. mark.tidix의 경우, ref_to_tn_block_id는 mark.tdat 중의 하나의 tn_block을 나타내고, 그 tn_block는 thumbnail_index 로 지시되는 섬네일 화상을 스토어 하고 있다.
picture_byte_size[ref_to_tn_block_id]는 thumbnail_index의 인덱스 번호를 갖는 섬네일 화상의 데이터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낸다.
picture_byte_size는 (1024×tn_block_size_N1)바이트 이하여야 한다(N1에 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즉, 기록 장치는 하나의 부호화 섬네일 픽처의 데이터 길이를 (1024×tn_block_size_N1)바이트 이하가 되도록 부호화 하여야 한다.
horizonta1_picture_size[ref_to_tn_block_id]는 thumbnail_index의 인덱스 번호를 갖는 섬네일 화상의 수평 방향의 픽셀 수를 나타낸다.
vertica1_picture_size[ref_to_tn_block_id]는 thumbnail_index의 인덱스 번호를 갖는 섬네일 화상의 수직 방향의 픽셀 수를 나타낸다.
도 14는 "menu.tdat"와 "mark.tdat"의 신택스 구조를 도시한다.
"ment.tdat"와 "mark.tdat"는 같은 신택스 구조를 갖는다.
tn_block(tn_block_id)는 tn_block의 배열 중에서 tn_block_id의 인수(引數) 에 의해 지시되는 tn_block를 나타낸다. menu.tdat의 경우, tn_block_id의 값은 menu.tidx 중의 ref_to_tn_block_id에 의해 참조된다. mark.tdat의 경우에는, tn_block_id의 값은 mark.tidx 중의 ref_to_tn_block_id에 의해 참조된다.
menu.tdat의 경우, 하나의 tn_block의 사이즈는 menu.tdat 중의 tn_block_size로 나타내여진다. mark.tdat의 경우, 하나의 tn_block의 사이즈는 mark.tdat 중의 tn_block_size로 나타내여진다.
도 15는 tn_block의 사용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섬네일은 빈번하게 추가, 삭제되기 때문에, 추가 조작과 부분 삭제의 조작은 용이하게 고속으로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이유 때문에 menu.tdat와 mark.tdat는 블록 구조를 갖는다. 하나의 섬네일 화상은 하나의 tn_block에 격납된다. 도 15의 예에서는, 섬네일 화상(a, b, c)은, 각각, tn_block_id = 0, 1, 3의 tn_block에 격납되어 있다.
menu.tdat 및 mark.tdat의 tn_block 열 중에, 사용되지 않는 tn_block(도 15의 예에서는, tn_block_id = 2의 tn_block)이 존재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어느 섬네일을 삭제를 하는 경우, 섬네일 정보 파일 중에 엔트리 되어 있는 thumbnail_index를 소거하고, 섬네일 화상 파일을 전혀 변경하지 않았던 때, tn_block 열 중에, 사용되지 않는 tn_block이 만들어진다.
도 16은 tn_block(tn_block_id)의 신택스를 도시한다.
thumbnail_picture[tn_block_id]는 tn_block_id의 값으로 지시되는 하나의 섬네일 화상을 스토어 하는 영역이다.
menu.tiat의 경우, tn_block_id의 값은 menu.tidx 중의 ref_to_tn_block_id 에 의해 참조된다. mark.tdat의 경우, tn_block_id의 값은 mark.tidx 중의 ref_to_tn_block_id에 의해 참조된다.
섬네일 픽처의 제 1바이트째는 thumbnail_picture[tn_block_id]의 제 1바이트째와 일치하고 있어야 한다. 섬네일 픽처의 부호화 바이트 사이즈는 picture_byte_size[tn_block_id]와 같다.
CP_Info_thumbnail()은 thumbnail_picture[tn_block_id]에 스토어 되는 섬네일 화상의 컨텐츠 보호 정보를 나타내는 N1바이트의 정보이다. 컨텐츠 보호 정보에 관해서는 도 22의 기록 장치의 처리에 관련하여 후술한다.
padding_byte는 임의의 값을 갖는 1바이트의 값이고, N1의 값은 다음에 나타내는 식을 충족시키도록 계산된다.
NP = tn_block_size×1024 - picture_byte_size[tn_block_id] - N1
도 17은 CP_Info_thumbnail()의 신택스를 도시한다.
CCI_thumbnail은 섬네일 화상의 카피의 세대 관리 정보(copy generation management information)를 나타낸다. 값의 의미를 도 18에 도시한다. "00"은 copy free, "01"은 no more copy, "10"은 copy once, "11"은 copy prohibited를 나타낸다.
APS_thumbnail은 섬네일 화상을 아날로그 비디오 출력할 때의 아날로그 카피 프로텍션 정보를 나타낸다. 값의 의미를 도 19에 도시한다. "00" 내지 "11"의 각각의 APS의 정의는, Default Settings of the Macrovision Anti-taping Process for DVD Products, Revision 1.0, July 5, 1997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2L/4L Colorstripe는 NTSC의 아날로그 출력의 경우만에 적용 가능하다.
flag_need_AVstreamInfo는, 섬네일 화상이 Clip AV 스트림 중의 화상으로부터 작성된 경우에, 해당 섬네일 화상의 컨텐츠 보호 정보로서, Clip AV 스트림 중의 컨텐츠 보호 정보를 참조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그 값의 의미를 도 20에 도시한다. "1"은 「필요가 있음」을, "0"는 「필요가 없음」을 각각 나타낸다.
CCI_thumbnail, APS_thumbnail 이외의 내용 보호 정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장래, DTLA가 DTCP_descriptor에 추가하는 정보를 들 수 있다. 2001년 7월 현재에, DTCP_descriptor는 CCI과 APS의 정보만을 갖지만, 장래, DTLA가 비디오 신호에 새로운 컨텐츠 보호 정보를 도입하는 경우에, 그 비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화상을 사용하여 작성한 섬네일 화상에 대해서도, 그 새로운 컨텐츠 보호 정보를 적용할 필요가 나올지도 모른다. 그와 같이 된 경우에, 이 flag_need_AVstreamInfo를 1로 세트한다. 값이 1인 때, 해당 섬네일 화상에 관련시켜진 마크의 mark_time_stamp가 지시하는 Clip AV 스트림 중의 화상에 대한 컨텐츠 보호 정보(DTCP descriptor 등)를 해당 섬네일 화상의 컨텐츠 보호 정보로서 참조할 필요가 있다.
CCI, APS 이외의 컨텐츠 보호 정보란, 예를 들면, 비디오 컨텐츠를 아날로그 재생하는 경우의 해상도 제한 정보, 비디오 컨텐츠의 카피 가능한 기한 정보 등이다.
Integrity_Check_Value는 CP_Info_thumbnail()의 내용이 개찬(改竄)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부호이다. 이것은, CP_Info_thumbnail()의 제 1바이트째로 부터 Integrity_Check_Value의 직전의 바이트까지의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고, 소정의 암호 알고리즘으로 계산한 부호이다. 이 암호 알고리즘은, 예를 들면, IS0/IEC 9797(Information technology - Security techniques - Data integrity mechanism using a cryptographic check function employing a block cipher algorithm)에 기재되어 있는 알고리즘은 이용한다.
만약 악의를 갖는 유저에 의해 CP_Info_thumbnail()의 내용이 개찬되었다고 하여도, 기록 장치는 Integrity_Check_Value의 값을 검사함에 의해, CP_Info_thumbnail()이 개찬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만약
CP_Info_thumbnail()이 개찬된 것을 검출한 경우는, 이미
CP_Info_thumbnail()은 믿어지지 않기 때문에, 기록 장치는 그
CP_Info_thumbnail()을 갖는 섬네일을 재생할 수 없도록 한다. 또는
CP_Info_thumbnail()의 내용을 개찬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menu.tdat 파일 및 mark.tdat 파일 전체를 스크램블 하여도 좋다.
tn_block()의 신택스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thumbnail_picture[tn_block_id]의 후에, CP_Info_thumbnail()이 계속되는 형식으로 되어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 그것은, 이 형식으로 함으로써, 섬네일 화상 파일(menu.tdat/mark.tdat) 중에서 CP_Info_thumbnail()의 시작 위치를 랜덤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CP_Info_thumbnail()을 thumbnail-picture[tn_block_id]의 앞에 배치하면, CP_Info_thumbnail()이 섬네일 화상 파일 중에서 tn_block_size 단위로 규칙적으로 나타내여진다.
CP_Info_thumbnail()을 thumbnail_picture[tn_block_id]의 뒤에 배치하면, thumbnail_picture[tn_block_id]의 사이즈는 섬네일 화상의 사이즈에 의해 가변이기 때문에 CP_Info_thumbnail()의 시작 위치를 랜덤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섬네일 화상 파일로부터 CP_Info_thumbnail()의 내용이 취출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_Info_thumbnail()을 menu.tidx /mark. tidx 파일 중에 스토어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22에, AV 스트림를 기록함과 함께, 그 AV 스트림 대표 화상이나 마크점의 화상을 섬네일에 부호화 하여 기록하는 기록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처음에 단자(12, 10)로부터의 비디오, 오디오 입력을 셀프 인코드한 AV 스트림을 기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매크로비전(상표) 검출부(13)는 입력 비디오의 아날로그 카피 프로텍션 신호(APS)를 소정의 방법으로 검출하고, 비디오 신호의 기록 제한을 행한다. 입력 비디오 신호에 APS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만 그 비디오 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경우, 그 APS는 카피 프리(00)이다.
입력 비디오 신호가 APS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매크로비전 검출부(13)는 입력 비디오를 JGMS 검출·갱신부(14)에 공급한다. CGMS 검출·갱신부(14)는, 입력 비디오의 CGMS(CGMS-A 또는 CGMS-D)를 소정의 방법에 의해 해석하고, 기록하는 AV 스트림의 CCI(도면 중에서 CCI_o로 나타낸다)를 컨트롤러(21)에 공급한다. 또한 CGMS 검출·갱신부(14)는 입력 비디오를 WM(WaterMark) 검출·갱신부(15)에 공급한 다.
WM 검출·갱신부(15)는, 입력 비디오의 Water Mark를 소정의 방법에 의해 검출 해석하고, 기록하는 AV 스트림의 WM(도면 중에서 WM_o로 나타낸다)을 컨트롤러(21)에 공급한다. 또한 WM 검출·갱신부(15)는 입력 비디오를 MPEG2AV 인코더(16) 및 비디오 해석부(18)에 공급한다.
MPEG2AV 인코더(16)는 입력 비디오, 오디오 신호를 인코드하고,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소스 패킷화부(17)에 공급한다.
컨트롤러(21)는 입력되는 CCI_o 및 WM_o에 의거하여 다중화·소스 패킷화부(17)에 다중화 스트림 중에서 부호화 하는 E_CCI(Embedded CCI)의 값을 소정의 방법에 의해 결정한다. 다중화·소스 패킷화부(17)는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 하고, AV 스트림 스크램블부(암호화부)(22)와 스트림 해석부(20)에 공급한다.
스크램블부(암호화부)(22)는 입력되는 AV 스트림을 소정의 방법으로 암호화 하고 ECC 부호화부(23)에 공급한다. AV 스트림은 ECC 부호화부(23), 변조부(24), 드라이브(25)의 처리의 후에 AV 스트림 파일로서 정보 기록 매체(26)에 기록된다.
본 기록 장치는, AV 스트림 파일을 기록함과 함께, 그 파일에 관계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info.dvr, PlayList, Clip Information, 섬네일 정보 파일, 섬네일 화상 파일)도 또한 기록한다.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는 컨트롤러(21)에 의해 작성된다. 컨트롤러(21)에의 입력 정보는, 비디오 해석부(18)로부터의 비디오 신호의 특징 정보, 스트림 해석부(20)로부터의 AV 스트림의 특징 정 보 및 단자(11)로부터 입력되는 유저의 지시 정보이다.
비디오 해석부(18)로부터의 비디오 신호의 특징 정보는 기록 장치가 자동 생성하는 것이다. 비디오 해석부(18)는, 입력 비디오 신호의 내용을 해석하고, 입력 비디오 신호 중의 특징적인 마크점의 화상에 관계되는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입력 비디오 신호의 프로그램 시작점, 신 체인지점, CM의 스타트·엔드점 등의 마크점의 화상의 지시 정보이다. 또한 입력 비디오 신호 중에서 최초의 마크점의 화상을 그 비디오 신호의 대표 화상(PlayList의 대표 화상)으로 하여도 좋다.
비디오 해석부(18)는 비디오 신호 중에서 마크점의 화상을 지시하는 타임 스탬프(마크의 위치)를 컨트롤러(21)에 입력한다. 섬네일 인코더(19)는, 마크점의 화상을 섬네일 화상으로 인코드하고 그들 섬네일 화상을 컨트롤러(21)에 공급한다. 컨트롤러(21)는, 마크점의 타임 스탬프, 마크점의 화상에 대응하는 CCI_o와 WM_o 및 마크점의 화상의 섬네일 화상을 관련시켜서 기억한다. 또한 컨트롤러(21)는 마크점의 화상에 대응하는 CCI_o와 WM_o에 의거하여 상술한 CP_Info_thumbnail()의 CCI_thumnail의 값을 소정의 방법에 의해 결정한다.
또한 스트림 해석부(20)는 마크점의 타임 스탬프가 지시하는 AV 스트림 중의 화상에 대한 컨텐츠 보호 정보(DTCP descriptor 등)를 검출한다. 그리고 컨텐츠 보호 정보(DTCP_descriptor 등)에 CCI, APS 이외의 컨텐츠 보호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해석한다. CCI, APS 이외의 컨텐츠 보호 정보가 있는 경우, 마크점의 섬네일 화상에 대한 CP_Info_thumbnail()(도 17)의 flag_need_AVstreamInfo = 1로 한다. 또는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 중에 CCI, APS 이외의 컨텐츠 보호 정보가 없는 경우 는, flag_need_AvstreamInfo = 0으로 한다.
입력 비디오 신호를 셀프 인코드한 AV 스트림을 기록하는 경우의 카피 컨트롤러 처리를 정리한 것을 도 23에 도시한다.
입력 신호의 CGMS 또는 WM이, "01" 또는 "101"(no more copy)인 경우 및 "11"(copy prohibited)인 경우 입력 비디오 신호의 기록은 불가로 되고, "10"(copy once)인 경우 입력 비디오 신호가 기록됨과 함께 "01" 또는 "101"(no more copy)로 개서된다. 입력 비디오 신호의 CGMS 또는 WM이, "00"(copy free)인 경우, 입력 비디오 신호가 기록됨과 함께 CGMS 또는 WM은 그대로의 값("00"(copy free))으로 된다.
컨트롤러(21)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info.dvr, PlayList file, Clip Information file, 섬네일 정보 파일, 섬네일 화상 파일)에 스토어 하는 섬네일에 관한 정보를 작성한다. 컨트롤러(21)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스크램블부(22)에 공급한다. 스크램블부(22)는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소정의 방법으로 암호화 하고 ECC 부호화부(23)에 공급한다.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는 ECC 부호화부(23), 변조부(24), 드라이브(25)의 처리의 후에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파일로서 정보 기록 매체(26)에 기록된다.
다음에 단자(27)로부터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입력을 기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E_CCI(Embedded CCI) 해석·갱신부(28)는, 입력(TS) 중에 부호화 되어 있는 E_CCI(Embedded CCI)를 소정의 방법에 의해 해석하고, 기록하는 AV 스트림의 CCI(도면 중에서 CCI_o로 나타낸다)를 컨트롤러(21)에 공급한다. 또한 E_CCI 해석 ·갱신부(28)는 입력(TS)을 WM 검출·갱신부(29)에 공급한다.
WM 검출·갱신부(29)는, 입력 비디오의 Water Mark를 소정의 방법에 의해 해석하고, 기록하는 AV 스트림의 WM(도면 중에서 WM_o로 나타낸다)을 컨트롤러(21)에 공급한다. 또한 WM 검출·갱신부(29)는 입력(TS)을 다중화·소스 패킷화부(17)에 공급한다. 다중화·소스 패킷화부(17)는 입력(TS)을 소스 패킷열의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그것을 스트림 해석부(20)와 스크램블부(22)에 공급한다.
스크램블부(암호화부)(22)는, 입력되는 AV 스트림을 소정의 방법으로 스크램블(암호화) 하고, ECC 부호화부(23)에 공급한다. AV 스트림은 ECC 부호화부(23), 변조부(24), 드라이브(25)의 처리의 후에 AV 스트림 파일로서 정보 기록 매체(26)에 기록된다.
또한 단자(27)로부터의 입력(TS)은 디코더(30)에 입력된다. 디코더(30)는 입력(TS)의 비디오 스트림을 복호하고,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해석부(18)에 공급한다. 비디오 해석부(18), 섬네일 인코더(19)의 처리는, 상술한 단자(12)로부터의 입력 비디오를 셀프 인코드 처리하는 경우와 같다.
스트림 해석부(20)는, 입력 스트림 중의 컨텐츠 보호 정보(DTCP-descriptor 등)를 해석하고, 그리고 아날로그 카피 보호 정보(APS)를 취출하고, 그것을 컨트롤러(21)에 공급한다. 그리고 입력 스트림의 마크점 화상에 대응하는 APS와 그들 화상의 섬네일 화상의 APS_thumbnail은 같은 값으로 세트된다.
CCI_thumbnail과 flag_need_AvstreamInfo의 값은, 상술한 입력 비디오를 셀프 인코드 기록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스트림 해석부(20)에 의해 결정된다.
입력(TS)을 기록하는 경우의 카피 컨트롤 처리를 정리한 것을 도 24에 도시한다. 그 내용은 실질적으로 도 23에 도시한 경우와 같다.
컨트롤러(21)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스크램블부(22)에 공급한다. 스크램블부(22)는,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소정의 방법으로 암호화 하고, ECC 부호화부(23)에 공급한다.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는 ECC 부호화부(23), 변조부(24), 드라이브(25)의 처리의 후에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파일로서 정보 기록 매체(26)에 기록된다.
AV 스트림을 기록함과 함께 그 AV 스트림의 대표 화상이나 특징점 화상을 섬네일 부호화 하여 기록하는 처리의 플로우 차트를 도 25에 도시한다.
스텝 S101에서 매크로비전 검출부(13), CGMS 검출 갱신부(14), WM 검출 갱신부(15), E_CCI 해석 갱신부(28) 및 WM 검출 갱신부(29)는 입력 신호(비디오 신호 또는 TS)의 CCI를 해석한다.
스텝 S102에서 MPEG2AV 인코더(16) 및 다중화 스트림 소스화 패킷부(17)는 입력 신호를 AV 스트림 부호화 한다.
스텝 S103에서 비디오 해석부(18)는 비디오 신호를 해석하고 마크점의 화상(대표 화상 및 특징점 화상)을 검출한다.
스텝 S104에서 컨트롤러(21)는 마크점의 화상이 취득한다.
스텝 S105에서 섬네일 인코더(19)는 마크점의 화상을 섬네일 화상으로 인코드한다.
스텝 S106에서 컨트롤러(21)는 마크점의 타임 스탬프가 지시하는 AV 스트림 상의 위치에 있는 컨텐츠 보호 정보(DTCP_descriptor 등)를 해석한다.
스텝 S107에서 컨트롤러(21)는 섬네일 화상의 CP_Info_thumbnail()을 작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같이, 컨트롤러(21)는 CCI_thumbnail, APS_thumbnail, flag_need_AvitreamInfo의 값을 결정한다.
스텝 S1O8에서 컨트롤러(21)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스토어 하는 섬네일에 관한 정보를 작성한다.
스텝 S109에서 스크램블부(22), ECC 부호화부(23), 변조부(24) 및 드라이브(25)는 AV 스트림과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정보 기록 매체(26)에 기록한다.
다음에 도 26에, 기록되어 있는 AV 스트림 대해, 유저에 의해 지정된 화상의 섬네일을 부가하여 기록하는 기록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정보 기록 매체(75)로부터 드라이브(74)를 통하여 판독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는 복조부(73), ECC 복호부(72), 디스크램블부(71)의 처리를 경유하여 컨트롤러(69)에 입력된다. 컨트롤러(69)는, 정보 기록 매체(75)의 기록 내용을 설명하는 메뉴 화면을 작성하고, 그것을 모니터(도시 생략)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유저는 단자(61)의 UI 입력을 통하여 재생하고 싶는 PlayList를 선택한다. 컨트롤러(69)는 유저로부터 지정된 PlayList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AV 스트림을 정보 기록 매체(75)로부터 판독하도록 지시한다.
정보 기록 매체(75)로부터 드라이브(74)를 통하여 판독된 AV 스트림 파일은 복조부(73), ECC 복호부(72), 디스크램블부(71)의 처리를 경유하여 소스 디패킷화 ·분리부(66)에 입력된다. 소스 디패킷화·분리부(66)에서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은 MPEG2AV 디코더(65)에서 복호되고 비디오 신호가 출력된다. 비디오 신호는 CGMS 삽입부(64), 매크로비전 삽입부(63)에서 소정의 처리가 행하여지고, 단자(62)로부터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고 모니터에 출력, 표시된다. 오디오 신호는 단자(70)로부터 스피커(도시 생략)로 출력된다.
유저는, 재생되는 비디오 중에서 마크하고 싶는 신(예를 들면, 마음에 드는 신)을 단자(61)의 UI 입력을 통하여 컨트롤러(69)에 지시한다.
마크점에 부가하여 기록하는 섬네일 화상은, 마크점의 화상으로부터 작성하여도 좋고, 또는 퍼스널 컴퓨터나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부터 외부 입력 경유로 기록 장치에 받아들인 화상으로부터 작성하여도 좋다.
마크점의 화상으로부터 섬네일 화상을 작성하는 경우, 컨트롤러(69)는 유저가 마크한 화상의 타임 스탬프를 취득한다. 그리고 컨트롤러(69)는 마크점의 화상을 MPEG2 AV 디코더(65)로부터 취득하고 그 화상을 섬네일 디코더(67)에 입력시킨다. 섬네일 인코더(67)는 섬네일 화상을 부호화 하고 그것을 컨트롤러(69)에 입력한다. 또한 소스 디패킷화·분리부(66)는 마크점의 타임 스탬프가 지시하는 AV 스트림상의 위치에 있는 컨텐츠 보호 정보(DTCP_descriptor 등)를 취출하고 컨트롤러(69)에 입력한다.
컨트롤러(69)는 그 컨텐츠 보호 정보(DTCP_descriptor 등)를 해석하고 CCI와 아날로그 카피 보호 정보(APS)를 취출한다. 그리고 마크점의 화상의 섬네일 화상에 대한 CP_Info_thumbnail()의 CCI_thumbnail과 APS_thumbnail의 값을 각각 상기한 CCI와 APS과 같은 값으로 세트한다. 또한 컨트롤러(69)는 상기한 컨텐츠 보호 정보에 CCI, APS 이외의 컨텐츠 보호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해석한다. CCI, APS 이외의 컨텐츠 보호 정보가 있는 경우, 컨트롤러(69)는 마크점의 섬네일 화상에 대한 CP_Info_thumbnail()의 flag_need_AvstreamInfo = 1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 중에 CCI, APS 이외의 컨텐츠 보호 정보가 없는 경우, 컨트롤러(69)는 flag_need_AvstreamInfo = 0으로 한다.
다음에 마크점에 부가하여 기록하는 섬네일 화상을 퍼스널 컴퓨터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외부 입력 경유로 기록 장치에 받아들인 정지 화상으로부터 작성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컨트롤러(69)는 외부 입력 단자(85)로부터 정지 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컨텐츠 보호 정보 검출부(86)가 입력 화상의 컨텐츠 보호 정보(CGMS, APS, DTCP_descriptor 등)를 취출하고 컨트롤러(69)에 입력한다. 컨트롤러(69)는 그 컨텐츠 보호 정보를 해석하고 CCI와 아날로그 카피 프로텍션 정보(APS)를 취출한다. 그리고 컨트롤러(69)는 섬네일 화상에 대한 CP_Info_thumbnail()의 CCI_thumbnail과 APS_thumbnail의 값을 각각 상기한 CCI와 APS와 같은 값으로 세트한다. 컨트롤러(69)는 flag_need_AvstreamInfo를 제로로 세트한다. 그리고 상기 정지 화상은 섬네일 인코더(67)에 입력된다. 섬네일 인코더(67)는 섬네일 화상을 부호화 하고 그것을 컨트롤러(69)에 입력한다.
섬네일 화상과 그 컨텐츠 보호 정보가 작성될 수 있면, 다음에 컨트롤러(69)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info.dvr, PlayList file, Clip Information file, 섬네일 정보 파일, 섬네일 화상 파일)에 스토어 하는 섬네일에 관한 정보를 작성한다. 컨트롤러(69)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스크램블부(76)에 공급한다. 스크램블부(76)는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소정의 방법으로 스크램블(암호화) 하고 ECC 부호화부(77)에 공급한다.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는 ECC 부호화부(77), 변조부(78), 드라이브(74)의 처리의 후에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파일로서 정보 기록 매체(75)에 기록된다.
기록되어 있는 AV 스트림에 대해 유저에 의해 지정된 화상의 섬네일을 부가하여 기록한다. 처리의 플로우 차트를 도 27에 도시한다.
스텝 S201에서 유저에 의해 재생하는 PlayList가 지정되면 컨트롤러(69)는 이 지정을 입력한다.
스텝 S202에서 컨트롤러(69)는 드라이브(74)를 제어하고 지정된 PlayList의 비디오 신호를 정보 기록 매체(75)로부터 재생시킨다. 재생 신호는 복조부(73), ECC 복호부(72), 디스크램블부(71), 소스 디패킷화 분리부(66), MPEG2AV 디코더(65), CGMS 삽입부(64) 및 매크로비전 삽입부(63)의 처리를 경유하여 단자(62)(비디오 신호)와 단자(70)(오디오 신호)로부터 출력된다.
스텝 S203에서 유저가 마크하고 싶는 신을 찾고, 재생중 또는 일시 정지중에 마크 버튼을 누른다. 이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는 단자(61)로부터 컨트롤러(69)에 입력된다.
스텝 S204에서 컨트롤러(69)는, 스텝 S203의 처리에서 받아들여진 타이밍에서, 출력 표시되고 있던 위치를 마크 위치로서 결정한다.
스텝 S205에서 컨트롤러(69)는, 단자(62)로부터 메시지를 출력하고, 유저에 대해 마크 위치의 화상을 섬네일로 사용할지, 또는 섬네일에서 사용하는 정지 화상을 단자(85)로부터 취득할지를 선택하도록 요구한다. 유저는 이 요구에 의거하여 단자(61)로부터 선택을 입력한다. 컨트롤러(69)는 스텝 S205에서 이 선택에 의거하여 마크 위치의 화상을 섬네일로 사용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마크 위치의 화상을 섬네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텝 S206으로 진행하고, 컨트롤러(69)는 MPEG2AV 디코더(65)의 출력으로부터 마크 위치에 대응하는 화상을 취득하고 섬네일 디코더(67)에 공급시킨다.
스텝 S207에서 컨트롤러(69)는 소스 패킷화 분리부(66)의 출력으로부터 마크 위치의 AV 스트림의 컨텐츠 보호 정보를 취득한다.
한편, 스텝 S205에서 마크 위치의 화상을 섬네일로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컨트롤러(69)는, 스텝 S208로 진행하고, 섬네일로 사용하는 정지 화상을 단자(85)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스텝 S209에서 컨트롤러(69)는 컨텐츠 보호 정보 검출부(86)의 출력으로부터 그 정지 화상의 컨텐츠 보호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207 또는 스텝 S209의 처리의 후, 스텝 S210으로 진행하고, 컨트롤러(69)는 섬네일 인코더(67)에 섬네일 화상을 인코드시킨다.
스텝 S211에서 컨트롤러(69)는 섬네일 화상의 CPI_nfo_thumbnail()을 작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69)는 CCI_thumbnail, APS_thumbnail, flag_need_AvstreamInfo의 값을 결정한다.
스텝 S212에서 컨트롤러(69)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스토어 하는 섬네일에 관한 정보를 작성한다.
스텝 S213에서 컨트롤러(69)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상술한 경우라고 같이 하여 정보 기록 매체(75)에 기록시킨다.
다음에 도 28에, AV 스트림을 재생함과 함께 그 AV 스트림의 대표 화상이나 특징점 화상의 섬네일을 재생하는 재생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정보 기록 매체(75)로부터 드라이브(74)를 통하여 판독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는 복조부(73), ECC 복호부(72), 디스크램블부(71)의 처리를 경유하여 컨트롤러(69)에 입력된다.
컨트롤러(69)는 비디오 출력에 표시하는 섬네일 화상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어느 PlayList의 대표 화상의 섬네일을 표시하는 것을 결정한다.
컨트롤러(69)는 재생하는 섬네일 화상에 대한 CP_Info_thumbnail()을 취득한다. 그 flag_need_AVstreamInfo가 1인 경우는, 해당 섬네일 화상에 관련시켜진 마크의 mark_time_stamp가 지시하는 Clip AV 스트림 중의 화상에 대한 컨텐츠 보호 정보(DTCP descriptor 등)를 정보 기록 매체(75) 로부터 판독할 필요가 있다.
컨트롤러(69)는 해당 섬네일 화상을 섬네일 디코더(80)에 입력하고 디코드 화상을 그래픽스 화상 처리부(81)에 입력한다. 여기서 해당 섬네일 화상에 대한 flag_need_AVstreamInro가 1인 경우는, 상기 판독한 컨텐츠 보호 정보에 따라 섬네일의 재생 제한을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보호 정보가 비디오 컨텐츠를 아날로그 재생하는 경우의 해상도 제한 정보를 갖은 경우, 그것에 의거하여 섬네일의 재생 제한을 하여야 한다. 그래픽스 화상 처리부(81)로부터의 출력 화상은 화상 블렌더 처리부(82)에서 처리되고 CGMS 삽입부(64)에 입력된다.
CGMS 삽입부(64)는 해당 섬네일 화상에 대한 CP_Info_thumbnail()의 CCI_thumbnail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CGMS 신호를 출력 화상에 삽입한다. 다음에 매크로비전 삽입부(63)는 CP_Info_thumbnail()의 APS_thumbnail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카피 프로텍션 신호를 출력 화상에 삽입한다. 그리고 단자(62)로부터 비디오가 재생된다.
AV 스트림의 대표 화상이나 특징점 화상의 섬네일을 재생한다. 재생 동작의 플로우 차트를 도 29에 도시한다.
스텝 S3O1에서 컨트롤러(69)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 파일을 판독한다. 즉, 정보 기록 매체(75)로부터 드라이브(74)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가 복조부(73), ECC 복호부(72)의 처리를 경유하여 디스크램블부(71)에 공급되고 디스크램블 된다. 컨트롤러(69)는 디스크램블부(71)의 출력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 파일을 취득한다.
또한 디스크램블부(7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소스 디패킷화 분리부(66), MPEG2AV 디코더(65), 화상 블렌더 처리부(82), CGMS 삽입부(64) 및 매크로비전 삽입부(63)의 처리를 통하여 단자(62)와 단자(70)로부터 출력된다.
스텝 S302에서 컨트롤러(69)는 단자(61)로부터의 유저의 지령에 의거하여 재생하는 섬네일 화상을 결정한다.
스텝 S303에서 컨트롤러(69)는 재생하는 섬네일 화상의 CP-Info-thumbnail()을 취득한다.
스텝 S304에서 컨트롤러(69)는 flag-need_AVstreamInfo가 1인지의 여부를 판 정하고, 1인 경우는 마크 위치의 AV 스트림의 컨텐츠 보호 정보를 판독한다.
스텝 S305에서 디스크램블부(71)는 섬네일을 복호(디스크램블)한다.
스텝 S306에서 컨트롤러(69)는, flag-need-AVstreamInfo가 1인 경우는, 스텝 S304의 처리에서 판독한 컨텐츠 보호 정보에 따라서 섬네일의 재생 제한을 한다. 예를 들면, 컨텐츠 보호 정보가 비데오 컨텐츠를 아날로그 재생하는 경우의 해상도를 제한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는 경우, 컨트롤러(69)는 그래픽스 화상 처리부(81)를 제어하고 섬네일의 해상도를 제한시킨다. 또는 또한, 그래픽스 화상 처리부(81)는 컨트롤러(69)의 제어에 의거하여 섬네일의 화면 틀을 축소한다.
스텝 S307에서 컨트롤러(69)는 CGMS 삽입부(64)와 매크로비전 삽입부(63)를 제어하고, CP_Info_thumbnail()에 따라 CGMS와 매크로비전(아날로그 카피 프로텍션 신호(CAPS))을 섬네일의 표시 화상에 부가시킨다. 이 부가 처리도 일종의 제한으로 된다.
스텝 S308에서 컨트롤러(69)는 섬네일의 표시 화상을 단자(62)로부터 비디오 출력시킨다.
도 30은 카피원(출력측)의 재생 장치(101)로부터 카피처(입력측)의 기록 장치(102)에 DVR의 AV 스트림 파일과 그것에 관계되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디지털 버스(103) 경유로 카피하는 경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우선, 재생 장치(101)의 정보 기록 매체(201)에 기록되어 있는 소망하는 Playlist를, 기록 장치(102)의 정보 기록 매체(310)에 카피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가 도시하지 않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카피 제어 커맨드에 실려져서 재생 장치(101)에 입력된다. 이 커맨드는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205), 버스 컨트롤러(207)를 경유하여 제어부(208)에 입력된다.
제어부(208)는 상기 PlayList의 재생에 필요한 AV 스트림의 스트림 부분을 결정하고, 그 AV 스트림 데이터를 정보 기록 매체(201)로부터 판독하도록 드라이브(202)에 지시를 낸다. 또한 제어부(208)는 상기 PlayList에 관계되는 데이터베이스 파일(PlayList 파일, Clip Information file과 섬네일 파일)을 정보 기록 매체(201)로부터 판독하도록 드라이브(202)에 지시를 낸다.
제어부(208)는 복조부(203), ECC 복호부(204)의 처리를 경유하여 판독된 상기 AV 스트림 데이터를 AV 스트림 파일로서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205)에 공급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정보 기록 매체(201)로부터 판독된 AV 스트림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이 복조부(203), ECC 복호부(204)를 경유하여 메모리(206)에 입력된다. 제어부(208)는 메모리(206)에 있는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205)로부터 출력되는 상기한 AV 스트림 파일의 재생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Clip Information 파일, PlayList 파일)를 작성한다. 또한 제어부(208)는 상기한 AV 스트림 파일에 대응하는 Clip와 카피하는 PlayList 파일이 사용하는 섬네일 파일을 작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08)는 상기 새롭게 작성된 데이터베이스 파일(Clip Information 파일, PlayList 파일과 섬네일 파일)을 메모리(206)로부터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205)에 공급하도록 지시한다.
버스 컨트롤러(207)는 디지털 인터페이스(205)로부터의 파일 출력을 제어한다. 제어부(208)는 버스 컨트롤러(207)에 대해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205)로부터 AV 스트림 파일과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출력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AV 스트림 파일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파일은 디지털 버스(103)를 경유하여 카피처의 기록 장치(102)에 입력된다.
카피처의 기록 장치(102)의 버스 컨트롤러(302)는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301)로부터의 파일 입력을 제어한다. 또한 버스 컨트롤러(302)와 버스 컨트롤러(207)는 파일의 카피 제어 커맨드를 교환하고 데이터 전송/수신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기록 장치(102)의 제어부(308)는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301)에 입력되는 AV 스트림 파일을 ECC 부호화부(304), 변조부(305), 드라이브(309)의 처리를 경유하여 정보 기록 매체(310)에 기록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308)는 디지털 버스 인터페이스(301)에 입력되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메모리(303)에 기록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308)는 정보 기록 매체(310)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파일(Info.dvr 파일과 섬네일 파일)을 드라이브(309), 복조부(307), ECC 복호부(306)의 처리를 경유하여 메모리(303)에 판독하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제어부(308)는 메모리(303)에 있는 Info.dvr 파일과 섬네일 파일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카피처에 있는 Info.dvr 파일의 TableOfPlayList에 새롭게 기록하는 PlayList 파일명을 추가하고, 또한 카피처에 있는 섬네일 파일에 새롭 게 기록하는 섬네일을 추가한다.
제어부(308)는 메모리(303)에 있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판독하고 ECC 부호화부(304), 변조부(305), 드라이브(309)의 처리를 경유하여 정보 기록 매체(310)에 기록하도록 지시한다.
도 31은 카피원(출력측)의 재생 장치(101)로부터 카피처(입력측)의 기록 장치(102)로 섬네일 화상을 카피하는 경우의 카피원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701에서 제어부(208)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 파일(도 13)을 판독한다. 즉 제어부(208)는 드라이브(202)를 제어하고 정보 기록 매체(2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 파일의 판독을 지령한다. 정보 기록 매체(201)로부터 판독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 파일은 복조부(203), ECC 복호부(204)의 처리를 경유하여 메모리(208)에 공급되고 기억된다. 제어부(208)는 메모리(206)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 파일을 판독한다.
스텝 S702에서 제어부(208)는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카피처에 전송하는 섬네일 화상을 선택한다.
스텝 S703에서 제어부(208)는 메모리(206)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정보 파일(menu.tidx/mark.tidx)로부터 스텝 S702에서 선택된 상기 섬네일 화상의 CP_Info_thumbnail()(도 16과 도 1)을 취득한다.
스텝 S704에서 제어부(208)는, flag_need_AvstreamInfo(도 17)가 1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1인 경우는 마크 위치의 AV 스트림의 컨텐츠 보호 정보를 판독한 다.
스텝 S705에서 제어부(208)는 flag_need_AvstreamInfo(도 17)가 1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1인 경우는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에 따라 섬네일의 카피 제한을 한다. 예를 들면, 컨텐츠 보호 정보가 카피 가능한 기한 정보를 갖는 경우, 제어부(208)는 그것에 의거하여 섬네일의 카피 제한을 실행한다.
스텝 S706에서 제어부(208)는 CP_Info_thumbnail()의 CCI_thumbnail(도 17)이 Copy free가 아닌 경우는 그 섬네일 카피를 금지한다.
스텝 S707에서 제어부(208)는 카피 가능한 섬네일 화상에 관한 섬네일 화상 파일(menu.tdat/mark.tdat)과 섬네일 정보 파일(menu.tidx/mark.tidx)을 작성한다.
스텝 S708에서 제어부(208)는 섬네일 화상 파일과 섬네일 정보 파일을 카피처에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AV 스트림을 기록함과 함께 그 AV 스트림의 대표 화상이나 특징점을 나타내는 섬네일 화상을 기록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섬네일 화상에 그 컨텐츠 보호 정보를 부가하여 기록할 수 있다.
해당 컨텐츠 보호 정보는 적어도 카피 세대 관리 정보(CCI)와 아날로그 카피 프로텍션 정보(APS)의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AV 스트림 중의 특징점의 화상을 사용하여 섬네일 화상을 작성하는 경우, AV 스트림 중의 상기 특징점의 화상에 대한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컨텐츠 보호 정보가 작성된다.
또한 해당 섬네일 화상의 컨텐츠 보호 정보는, 섬네일 화상이 AV 스트림 중 의 화상으로부터 작성된 경우, AV 스트림 중의 컨텐츠 보호 정보를 참조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flag_need_AvstreamInfo)를 포함한다. 이로써, 섬네일 화상의 컨텐츠 보호 정보로서 CCI와 APS 이외의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섬네일 화상에 그 컨텐츠 보호 정보를 부가하여 기록하기 때문에 섬네일 화상의 저작권을 지키고 기록할 수 있다.
섬네일 화상과 그 컨텐츠 보호 정보를 소정 크기의 블록(tn_block) 단위로 기록한다. 이로써, 섬네일의 추가 조작과 부분 삭제의 조작을 용이하게 고속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섬네일 화상의 뒤에 계속해서 그 컨텐츠 보호 정보를 스토어 하는 형식으로 기록하도록 한 경우, 그로 인해, 섬네일 화상의 사이즈는 가변이기 때문에 컨텐츠 보호 정보의 상기 블록 중에서의 시작 위치를 랜덤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섬네일 화상 파일로부터 컨텐츠 보호 정보의 내용을 취출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효과가 있다.
섬네일 화상의 포맷은 JPEG를 사용한다. JPEG는 디팩트 스탠더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인플리먼트가 비교적 용이하고 호환성이 높다. 또한 섬네일 화상의 포맷은 JPEG에 한하지 않고 MPEG의 I-picture나 PNG, GIF, TIFF 등을 이용하여도 상관 없다.
AV 스트림과 함께, 그 AV 스트림의 대표 화상이나 특징점을 나타내는 섬네일 화상이 기록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섬네일 화상을 재생하는 경우에 있어 서, 본 발명에서는 섬네일 화상에 부가하여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재생 제한을 행한다. 즉, 재생 신호에 카피 세대 관리 신호나 아날로그 카피 프로텍션 신호를 부가하여 재생한다. 또한, AV 스트림 중의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재생 제한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그 섬네일 화상의 부정한 카피를 막을 수 있다.
AV 스트림과 함께, 그 AV 스트림의 대표 화상이나 특징점을 나타내는 섬네일 화상이 기록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의 재생 장치로부터, AV 스트림과 그 섬네일 화상을 다른 정보 기록 매체에 카피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섬네일 화상에 부가하여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카피 제한을 행한다. 즉, 섬네일 화상의 카피 세대 관리 정보(CCI)의 제한을 지키도록 섬네일 화상을 카피하여도 좋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AV 스트림 중의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카피 제한을 행한다.
이로써, 비디오 신호와 함께 그 섬네일 화상을 카피한는 어플리케이션을 섬네일 화상의 저작권을 지키면서 실현할 수 있다. AV 스트림밖에 카피할 수 없는 경우에 비하면 카피한 AV 스트림에 유저가 새롭게 섬네일 화상을 부가하는 절차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유용하다.
또한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편입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 램을 인스톨 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 된다.
이 기록 매체는,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유저에게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자기디스크(플로피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디스크(CD-R0M(Compact Disk-Read 0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한다), 광자기디스크 (MD(Mini-Disk)(상표)를 포함한다),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편입된 상태로 유저에게 공급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R0M이나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포함하는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이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된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의하면, 취득된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이 생성되고, 생성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가 또한 생성된다. 섬네일 화상은 컨텐츠 보호 정보를 부가하고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따라서 섬네일 화상의 저작권을 보호한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2의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의하면,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로부터, 비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및 섬네일 화상에 부가되어 있는 컨텐츠 보호 정보가 추출되고, 추출된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의 출력이 제한된다.
따라서 섬네일 화상의 부정한 카피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에 의하면, 비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및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보호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섬네일 화상의 부정한 카피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디오 기록 장치 및 방법 및 제 3의 프로그램에 의하면, 입력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컨텐츠 보호 정보를 검출하고,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검출된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비디오 신호, 섬네일 화상 신호 및 카피 제어 정보를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따라서 섬네일 화상의 부정한 카피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및 제 4의 프로그램에 의하면,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비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 및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를 재생하고, 재생된 카피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섬네일 화상 신호에 카피 제어 신호를 부가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섬네일 화상의 부정한 카피를 방지할 수 있는 정보를 기록한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Claims (4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입력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컨텐츠 보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부호화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부호화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비디오 신호, 상기 부호화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섬네일 화상 신호 및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카피 제어 정보를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섬네일 화상 신호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록부는 상기 암호화부에 의해 암호화 된 상기 섬네일 화상 신호를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카피 제어 정보를 더 암호화 하고,
    상기 기록부는 상기 암호화부에 의해 암호화 된 상기 카피 제어 정보를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36. 삭제
  37. 비디오 신호의 기록을 컴퓨터에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입력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컨텐츠 보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 1의 생성 스텝과,
    상기 검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2의 생성 스텝과,
    상기 비디오 신호, 상기 제 1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상기 섬네일 화상 신호 및 상기 제 2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상기 카피 제어 정보의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재되어 있는 기록 매체.
  38. 삭제
  39. 삭제
  40.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비디오 신호, 해당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 및 해당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상기 카피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섬네일 화상 신호에 카피 제어 신호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며,
    암호화 되어 있는 상기 섬네일 화상 신호를 복호하는 암호 복호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상기 섬네일 화상 신호는 암호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재생 장치.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카피 제어 정보는 암호화 되어 있고,
    상기 암호 복호부는 암호화 된 상기 카피 제어 정보를 더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재생 장치.
  42. 삭제
  43. 비디오 신호의 재생을 컴퓨터에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의 비디오 신호, 해당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신호 및 해당 섬네일 화상 신호의 카피 제어 정보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 스텝과,
    상기 재생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재생이 제어된 상기 카피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섬네일 화상 신호에 카피 제어 신호를 부가한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재되어 있는 기록 매체.
  44. 삭제
KR1020037006445A 2001-09-18 2002-09-17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비디오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0886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83469 2001-09-18
JP2001283469A JP3663626B2 (ja) 2001-09-18 2001-09-18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情報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構造
PCT/JP2002/009492 WO2003026290A1 (fr) 2001-09-18 2002-09-17 Appareil de traitement de signaux video, appareil de reproduction de signaux video et appareil d'enregistrement de signaux vide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567A KR20040034567A (ko) 2004-04-28
KR100886055B1 true KR100886055B1 (ko) 2009-02-26

Family

ID=1910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445A KR100886055B1 (ko) 2001-09-18 2002-09-17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비디오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48786B2 (ko)
EP (1) EP1429554A4 (ko)
JP (1) JP3663626B2 (ko)
KR (1) KR100886055B1 (ko)
CN (1) CN1265631C (ko)
CA (1) CA2428410C (ko)
HK (1) HK1064240A1 (ko)
TW (1) TWI240877B (ko)
WO (1) WO2003026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0367B2 (en) * 2000-05-19 2010-12-28 Sony Corpor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JP3656248B2 (ja) 2001-10-09 2005-06-08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信号記録装置および方法、ビデオ信号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並びにデータ構造
JP2004214887A (ja) * 2002-12-27 2004-07-29 Philips Japan Ltd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記録再生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40264932A1 (en) * 2003-02-18 2004-12-30 Hui Li Method for storing additional data relating to menu data
JP3931869B2 (ja) 2003-08-14 2007-06-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80295183A1 (en) * 2004-04-16 2008-11-27 Shuji Okamoto Playback Device, Method an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05121978A1 (ja) * 2004-06-09 2005-12-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コピー制御情報決定装置
KR100823256B1 (ko) * 2005-04-13 200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콘텐츠 패키징 방법
US8176565B2 (en) * 2005-04-15 2012-05-0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481923B2 (ja) * 2005-11-21 2010-06-16 株式会社東芝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4234724B2 (ja) * 2006-03-13 2009-03-04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記録装置、コンテンツ記録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記録プログラム
US7669128B2 (en) * 2006-03-20 2010-02-23 Intension, Inc. Methods of enhancing media content narrative
JP4584871B2 (ja) * 2006-06-09 2010-11-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符号化記録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記録方法
US8671346B2 (en) * 2007-02-09 2014-03-11 Microsoft Corporation Smart video thumbnail
US9177603B2 (en) 2007-03-19 2015-11-03 Intension, Inc. Method of assembling an enhanced media content narrative
JP5057820B2 (ja) * 2007-03-29 2012-10-24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ストリームの記録方法、再生方法、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KR101407636B1 (ko) * 2007-11-05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90158157A1 (en) * 2007-12-14 2009-06-18 Microsoft Corporation Previewing recorded programs using thumbnails
JP2010009705A (ja) * 2008-06-27 2010-01-14 Toshiba Corp 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US8849101B2 (en) * 2009-03-26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previews of seek locations in media content
US20100260476A1 (en) * 2009-04-13 2010-10-14 Cloutman John F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configuration of electronic devices
JP5614016B2 (ja) * 2009-09-09 2014-10-2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US20110069043A1 (en) * 2009-09-24 2011-03-24 Jong Ha Lee Method for displaying data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method
EP2312431B1 (en) * 2009-09-24 2015-06-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adjusting image-quality
KR101106897B1 (ko) * 2010-05-13 2012-01-25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차량용 탑재물의 고정 장치
US8704839B2 (en) * 2010-05-26 2014-04-22 Stmicroelectronics, Inc. Video frame self-refresh in a sink device
TWI417813B (zh) * 2010-12-16 2013-12-01 Ind Tech Res Inst 可串接式相機竄改偵測收發器模組
KR101361524B1 (ko) * 2012-11-09 2014-02-25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콘텐츠 자동 변환 처리를 통한 워터마크 삽입 장치 및 방법
WO2016006173A1 (ja) * 2014-07-10 2016-01-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7226709B2 (ja) * 2019-01-07 2023-02-21 ヤマハ株式会社 映像制御システム、及び映像制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056A (ko) * 1998-07-29 2000-02-15 윤종용 메뉴 화면을 위한 섬네일 영상 작성방법 및 이에 적합한 디스크기록 매체
JP2000341628A (ja) * 1999-05-31 2000-12-08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的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1579A (en) * 1991-08-19 1997-04-15 Index Systems, Inc. Method for selectively playing back programs recorded on a video tape
JPH09275523A (ja) * 1996-04-05 1997-10-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素材分割配送方法及びシステム
ID21786A (id) * 1997-09-17 1999-07-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eralatan editing data video, disk optikal untuk digunakan sebagai media perekam peralatan editing data video dan media perekam komputer yang bisa dibaca yang menyimpan program editing
WO1999014756A2 (en) * 1997-09-17 1999-03-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data edit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editing program
US6788880B1 (en) 1998-04-16 2004-09-07 Victor Company Of Japan, Ltd Recording medium having a first area for storing an audio title set and a second area for storing a still picture set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recorded information
JP3081585B2 (ja) 1998-06-19 2000-08-28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
CN1238857C (zh) * 1999-04-02 2006-01-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盘的记录方法和再现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056A (ko) * 1998-07-29 2000-02-15 윤종용 메뉴 화면을 위한 섬네일 영상 작성방법 및 이에 적합한 디스크기록 매체
JP2000341628A (ja) * 1999-05-31 2000-12-08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的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64240A1 (en) 2005-01-21
CN1265631C (zh) 2006-07-19
CA2428410C (en) 2011-10-25
CA2428410A1 (en) 2003-03-27
TWI240877B (en) 2005-10-01
US7248786B2 (en) 2007-07-24
EP1429554A4 (en) 2006-05-10
JP2003092725A (ja) 2003-03-28
WO2003026290A1 (fr) 2003-03-27
EP1429554A1 (en) 2004-06-16
KR20040034567A (ko) 2004-04-28
JP3663626B2 (ja) 2005-06-22
US20040027393A1 (en) 2004-02-12
CN1479996A (zh) 200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055B1 (ko)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비디오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0922650B1 (ko) 비디오 정보 기록 장치 및 비디오 정보 재생 장치
US817656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70140307A1 (en) High Definition Media Storage Structure and Playback Mechanism
KR100901219B1 (ko) 영상 정보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
JP3832289B2 (ja) 情報記録装置、ビデオ信号出力装置、ストリーム出力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データ構造
KR100955976B1 (ko)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및 방법
JP4333091B2 (ja) 映像情報記録装置、記録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および映像情報記録方法
JP4701671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データ構造
JP4353097B2 (ja) ビデオ信号記録装置および方法、ビデオ信号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プログラム、データ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構造
JP4692561B2 (ja) ビデオ信号記録装置および方法、ビデオ信号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プログラム、データ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構造
US20030063746A1 (en) Signal, storage medium,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signal;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signal
JP4207052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05311661A (ja) デジタル放送録画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