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464A - 전력량계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력량계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464A
KR20040028464A KR1020020072360A KR20020072360A KR20040028464A KR 20040028464 A KR20040028464 A KR 20040028464A KR 1020020072360 A KR1020020072360 A KR 1020020072360A KR 20020072360 A KR20020072360 A KR 20020072360A KR 20040028464 A KR20040028464 A KR 20040028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astening hole
wire
hole
wir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숙
Original Assignee
로뎀비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뎀비젼(주) filed Critical 로뎀비젼(주)
Publication of KR20040028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46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량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부커버와 상부결합구에 일직선으로 일치되게 제1상부체결공과 제2상부체결공을 형성시키고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체결공에 상부커버와 상부결합구를 단일의 볼트로 체결되고, 하부커버와 하부결합구에 일직선으로 일치되게 제1하부체결공과 제2하부체결공을 형성시키고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체결공에 하부커버와 하부결합구를 단일의 볼트로 체결되고, 물기나 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선인입구의 내측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고무패킹과, 물기나 습기 등의 유입시에 물이 전선인입구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전선인입구의 소정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부커버(하부커버), 상부결합구(하부결합구)를 상부몸체(하부몸체)에 하나의 단일한 작업공정으로 체결시킴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전선인입구에 인서트되는 전선에는 고무패킹을 안착시킴으로써 전선에 가하여지는 충격 등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기나 습기 등의 유입을 차단시키며,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에는 통공을 형성시켜 물기나 습기 등의 유입시에 전선인입구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전력량계 케이스 내를 물기나 습기 등으로부터 전선이나 검침기를 안전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력량계 케이스{Wattmeter Case}
본 발명은 전력량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력량계 케이스의 몸체 상부와 하부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커버와 결합구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전선인입구에 고무패킹을 결합하여 물이나 습기 등이 유입되지 않게 하며, 전선인입구에 통공을 형성시켜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전력량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량계 케이스는 내부에 전기의 사용량을 검침하는 검침기를 설치하여 전기의 사용량을 검침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설치된 검침기를 보호하면서 전력량계의 설치 위치에 적합하게 설치되게 한다.
전력량계 케이스는 내부에 검침기를 설치하도록 일정한 공간을 가지는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전선이 연결되는 전선인입구를 형성하고, 전기의 사용량을 파악하도록 투명창이 결합된 커버를 고정시킨다.
상기 전선인입구에 결합되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몸체와 커버 사이에 전선의 연결을 확보하기 위해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를 몸체에 결합하고 결합구에 커버를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결합방식은 결합구와 커버를 일시에 결합하지 못하고 결합구를 몸체에 결합시키고 난 후에 다시 결합구에 커버를 체결하게 됨으로써 작업의 번거로움과 함께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전선인입구를 통해 물기나 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력량계의 설치작업을 빠르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전력량계 케이스가 요구되고 있으며, 물기나 습기 등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전력량계 케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결합구와 커버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결합구와 커버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전선인입구의 내측에는 고무패킹을 고정하여 물기나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며, 전선인입구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물기나 습기의 유입시에 통공을 통해 차단되게 함으로써 전력량계의 설치작업을 간단하면서 빠른 시간 내에 작업할 수 있으면서 물기나 습기 등이 유입되지 않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선과 내부의 회로기판의 전선을같은 재질의 동으로 형성된 슬리브로 연결시켜 작업의 편리성을 높이면서 전선의 결합을 직접 연결시켜 전선에서 발생하는 열이 동일함으로써 클리프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아크나 단전 등이 발생하지 않는 전력량계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력량계 케이스를 나타내는 전체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력량계 케이스를 나타내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전력량계 케이스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력량계 케이스에 고무패킹을 결합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전력량계 케이스에 전선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전력량계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상부몸체
12: 하부몸체 13: 상부전선인입구
14: 하부전선인입구 15: 상부체결공
16: 하부체결공 17: 몸체체결공
20: 커버 21: 투시창
22: 커버체결공 30: 상부커버
31: 제1상부체결공 33: 통공
34: 제2상부체결공 35: 상부결합구
36: 상부결합공 37: 전선인입구
38: 고무패킹
40: 하부커버 41:제1하부체결공
43: 통공 44: 제2하부체결공
45: 하부결합구 46: 하부결합공
47: 전선인입구
51: 회로기판 52: 슬리브
53: 디스플레이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검침기가 설치되고, 상하부에 전선인입구가 형성된 전력량계 케이스에 있어서, 상부커버와 상부결합구에 일직선으로 일치되게 제1상부체결공과 제2상부체결공을 형성시키고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체결공에 상부커버와 상부결합구를 단일의 볼트로 체결되고, 하부커버와 하부결합구에 일직선으로 일치되게 제1하부체결공과 제2하부체결공을 형성시키고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체결공에 하부커버와 하부결합구를 단일의 볼트로 체결되고, 물기나 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선인입구의 내측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고무패킹과, 물기나 습기 등의 유입시에 물이 전선인입구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전선인입구의 소정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력량계 케이스를 나타내는 전체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력량계 케이스를 나타내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전력량계 케이스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력량계 케이스에 고무패킹을 결합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전력량계 케이스에 전선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량계 케이스는 내부에 검침기(도면상 미도시됨)를 설치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하부에 전선이 연결되도록 전선인입구(13, 14)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와 결합되고 소정 위치에 투시창(21)이 형성된 커버(20)와, 상기 전선인입구(13, 14)에 결합되는 상부커버(30), 하부커버(40)와, 상기 전선인입구(13, 14)와 커버(30, 40) 사이에 결합되는 상부결합구(35), 하부결합구(45)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중앙에 전선과 연결되어 전기의 사용량을 검침하는 검침기를 연결하는 구리동선(A)을 고정하고, 몸체(10)의 소정 위치에는 커버(20)와 결합되게 몸체 체결공(17)을 형성하며, 몸체(10)의 전면에는 커버(20)를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게 하는 걸림턱(19)을 형성한다.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몸체(11)는 전선이 연결되는 일정한 직경의 상부전선인입구(13)를 형성하고, 상부전선인입구(13)의 사이에는 상부커버(30)와 체결되는 상부체결공(15)을 형성한다.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몸체(12)는 전선이 연결되게 일정한 직경의 하부전선인입구(14)를 형성하고, 하부전선인입구(14)의 사이에는 하부커버(40)와 체결되는 하부체결공(16)을 형성한다.
커버(20)는 몸체(10)와 결합되어 내부의 검침기를 보호하고 전기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검침내용을 파악하는 투시창(21)이 결합되고,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몸체체결공(17)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23)로 체결되는 커버체결공(22)을 형성한다.
상부커버(30)는 상부몸체(11)에 형성된 상부체결공(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32)를 체결하도록 제1상부체결공(31)을 형성하고, 상부결합구(35)는 상부커버(30)와 상부몸체(11)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에 전선인입구(37)를 형성하고, 상기 전선인입구(37)의 소정 위치에는 통공(33)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결합구(35)에는 전선을 고정시키는 구리동선(A)에 체결되는 볼트에 안착되도록 상부결합공(36)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커버(30)의 제1상부체결공(31)과 대응되도록 상부결합공(36) 사이에 제2상부체결공(34)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커버(40)는 하부몸체(12)에 형성된 하부체결공(16)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42)를 체결하도록 제1하부체결공(41)을 형성하고, 하부결합구(45)는 하부커버(40)와 하부몸체(12)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부에 전선인입구(47)를 형성하고, 상기 전선인입구(47)의 소정 위치에는 통공(43)을 형성한다.
또한, 하부결합구(45)에는 전선을 고정시키는 구리동선(A)에 체결되는 볼트에 안착되도록 하부결합공(46)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커버(40)의 제1하부체결공(41)과 대응되도록 하부결합공(46) 사이에 제2하부체결공(44)을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몸체(10) 내부에 삽입되어 구리동선(A)을 제거하고, 검침기의 회로기판(51)에 연결된 전선을 외부에 인입되는 전선에 연결되도록 슬리브(52)에 압착시켜 전선과 연결시키는데 슬리브(52)는 전선과 동일한 동으로 형성시켜 접속상태에서 전선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클리프(Cleep)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아크나 단전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즉, 슬리브(52)를 전선과 동일한 동으로 되어 전선에서 발생되는 온도와 동일한 온드를 유지하게 된다.
회로기판(51)에는 전력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판(53)을 연결시켜 전력의 사용량을 표시하고, 전선과 연결되는 회로기판(51)의 전선은 외부에 연결되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전선으로 한다.
슬리브(52)는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전선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전선을 절개된 내측으로 삽입하여 슬리브(52)의 절개된 양단을 가운데로 압착하면 슬리브(52)는 전선과 일체로 결합하고, 외부에 연결되는 전선과 회로기판(52)의 전선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하로 구분시켜 슬리브(52)의 절개된 일측은 외부 전선과 연결되게 하고, 절개된 타측은 회로기판(51)의 전선과 연결하여 각각의 전선을 연결시켜 전류를 도통되게 한다.
상부몸체(11)에 형성된 상부전선인입구(13)는 슬리브(52)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원형이 아닌 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림직하며, 상부전선인입구(13) 및 하부전선인입구(14)를 각형이 아닌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상부커버(30)와 하부커버(40)의 전선인입구(37, 47)는 상부전선인입구(13)와 하부전선인입구(14)에 대응되는 각형, 원형 및 타원형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전력량계 케이스는 몸체(10)에 형성된 공간에 검침기를 구리동선(A)에 연결시켜 설치하고, 커버(20)를 몸체(10)의 걸림턱(19)에 맞추어 볼트(23)로 커버체결공(22)과 몸체체결공(17)에 체결하여 커버(20)를 몸체(10)에 결합시킨다.
몸체(10)의 상부전선인입구(13)와 상부결합구(35)의 전선인입구(37)에 고무패킹(38)을 안착시킨 후에 전선을 연결시켜 고정시키고, 상기 상부커버(30)를 상부결합구(35)에 맞추어 볼트(32)를 체결하여 상부커버(30), 상부결합구(35), 상부몸체(11)를 일체로 결합시킨다.
또한, 몸체(10)의 하부전선인입구(14)와 하부결합구(35)의 전선인입구(47)에 고무패킹(38)을 안착시킨 후에 전선을 연결시켜 고정시키고, 상기 하부커버(40)를 하부결합구(45)에 맞추어 볼트(42)를 체결하여 하부커버(40), 하부결합구(45), 하부몸체(12)를 일체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력량계 케이스는 상부커버(하부커버), 상부결합구(하부결합구)를 상부몸체(하부몸체)에 하나의 단일한 작업공정으로 체결시킴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전선인입구에 인서트되는 전선에는 고무패킹을 안착시킴으로써 전선에 가하여지는 충격 등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기나 습기 등의 유입을 차단시키며,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에는 통공을 형성시켜 물기나 습기 등의 유입시에 전선인입구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전력량계 케이스 내를 물기나 습기 등으로부터 전선이나 검침기를 안전하게 유지시키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선과 내부의 회로기판의 전선을 같은 재질의 동으로 형성된 슬리브로 연결시켜 작업의 편리성을 높이면서 전선의 결합을 직접 연결시켜 접속상태에서 전선에서 발생하는 열이 동일함으로써 클리프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아크나 단전 등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Claims (4)

  1. 내부에 검침기가 설치되고, 상하부에 전선인입구가 형성된 전력량계 케이스에 있어서,
    상부커버와 상부결합구에 일직선으로 일치되게 제1상부체결공과 제2상부체결공을 형성시키고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체결공에 상부커버와 상부결합구를 단일의 볼트로 체결되고, 하부커버와 하부결합구에 일직선으로 일치되게 제1하부체결공과 제2하부체결공을 형성시키고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체결공에 하부커버와 하부결합구를 단일의 볼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물기나 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선인입구의 내측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고무패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물기나 습기 등의 유입시에 물이 전선인입구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전선인입구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통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부전선인입구 및 하부전선인입구를 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시켜절개된 슬리브로 외부에 연결되는 전선과 내부의 회로기판의 전선을 같은 재질의 동으로 직접 결합시켜 클리프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단전, 아크 등을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 케이스.
KR1020020072360A 2002-09-30 2002-11-20 전력량계 케이스 KR200400284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59259 2002-09-30
KR1020020059259 2002-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464A true KR20040028464A (ko) 2004-04-03

Family

ID=3733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360A KR20040028464A (ko) 2002-09-30 2002-11-20 전력량계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84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364B1 (ko) * 2007-02-09 2008-03-03 (주) 엠스엠 전자식 전력량계
KR102369811B1 (ko) * 2021-10-19 2022-03-04 유한회사 넥스파워 바이패스 전력량계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4577U (ko) * 1975-11-08 1977-05-12
JPH07260826A (ja) * 1994-03-18 1995-10-13 Toshiba Meter Techno Kk 防滴形計器
JPH1042054A (ja) * 1996-07-26 1998-02-13 Tokyo Gas Co Ltd 端末装置用筐体
KR200153482Y1 (ko) * 1995-10-31 1999-08-02 이종수 전자식 전력량계의 단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4577U (ko) * 1975-11-08 1977-05-12
JPH07260826A (ja) * 1994-03-18 1995-10-13 Toshiba Meter Techno Kk 防滴形計器
KR200153482Y1 (ko) * 1995-10-31 1999-08-02 이종수 전자식 전력량계의 단자장치
JPH1042054A (ja) * 1996-07-26 1998-02-13 Tokyo Gas Co Ltd 端末装置用筐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364B1 (ko) * 2007-02-09 2008-03-03 (주) 엠스엠 전자식 전력량계
KR102369811B1 (ko) * 2021-10-19 2022-03-04 유한회사 넥스파워 바이패스 전력량계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6370B2 (ja) 太陽電池電流モジュールのための接続装置
US6540547B2 (en) Cable harness plug having a securing device for the cable harness
US20010003413A1 (en) Charger
US8035040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provided with electric current sensor
JP5580058B2 (ja) 電気接続箱の固定構造
US7614908B2 (en) Insulating meter jaw guide for a watt-hour meter socket
WO2019133388A1 (en) Pin and sleeve device with contact carrier for capturing set screws
CN104254949B (zh) 插塞连接器
KR20110089560A (ko) 태양전지 패널용 정션박스의 케이블 잭 결합구조 및 이를 위한 케이블 잭
KR20040028464A (ko) 전력량계 케이스
CN202307726U (zh) 带有漏电保护功能的断路器
JPS6134700Y2 (ko)
KR20090008231U (ko) 슬리브 단자대
CN211296081U (zh) 一种rgb灯带的多路分线盒
KR200285086Y1 (ko) 가로등용 단자대
CN220209431U (zh) 一种带连接器的密封型端子台
KR200415830Y1 (ko) 통신케이블 취부 단자함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CN213660774U (zh) 一种电源线走线系统
KR100375990B1 (ko) 콘센트 고정장치
JP2004236449A (ja) 電気接続箱に付設するプロテクタ
KR200187918Y1 (ko) 발전기의 출력단자
KR200162241Y1 (ko) 플러그가 장착된 누전차단기
KR200224243Y1 (ko) 누전차단기의결합장치
CN205986015U (zh) 用电设备接线盒和用电设备
JP3655273B2 (ja) バッテリーの端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