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364B1 - 전자식 전력량계 - Google Patents

전자식 전력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364B1
KR100807364B1 KR1020070013791A KR20070013791A KR100807364B1 KR 100807364 B1 KR100807364 B1 KR 100807364B1 KR 1020070013791 A KR1020070013791 A KR 1020070013791A KR 20070013791 A KR20070013791 A KR 20070013791A KR 100807364 B1 KR100807364 B1 KR 100807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us bar
connection terminal
assembl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9229A (ko
Inventor
심영보
이홍규
Original Assignee
(주) 엠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엠스엠 filed Critical (주) 엠스엠
Priority to KR1020070013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364B1/ko
Publication of KR2007002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함체형상으로 된 케이스의 내측중앙부에 형성된 기판설치부의 상하측에는 출력측 단자홈과 입력측 단자홈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출력측 단자홈과 입력측 단자홈사이에는 동버스바의 양단에 접속단자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조립체가 서로 평행하게 삽입설치된 후 단자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의 기판설치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은 기판설치부의 내측에 각각 삽입설치되는 다수개의 기판고정대의 끝단부에 형성된 기판고정용 돌기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전자식 전력량계의 케이스내부에 설치되는 접속단자와 접속단자간을 서로 연결하는 동버스바의 조립작업성을 대폭 향상시켜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을 케이스내부로 최대한 수납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기기의 부피를 더욱 더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조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70013791
전력량계, 전자식, 케이스, 동버스바, 접속단자, 단자고정구

Description

전자식 전력량계{Electronic watt-hour met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의 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의 결선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를 완전히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에 사용되는 동버스바와 접속단자의 결합구조들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전자식 전력량계 2 : 케이스
3 : 기판설치부 4 : 기판고정대
4a : 기판고정용 돌기 5 : 고정구삽입홈
5a : 삽입가이드 6a, 6b : 출력측 단자홈
7a, 7b : 입력측 단자홈 8 : 전선삽입공
9 : 동버스바 10 : 접속단자
10a : 전선클램핑볼트 11 : 제 1접속단자조립체
12 : 동버스바 13 : 접속단자
13a : 전선클램핑볼트 14 : 제 2접속단자조립체
15 : 단자고정구 15a : 가이드결합홈
15b : 기판전원단자삽입공 16 : 회로기판
16a : 액정표시부 17a, 17b : 기판전원단자
18 : 변류기 19 : 기판커버
19a : 투시창 19b : 커버결합용 볼트
20 : 출력측 단자커버 20a : 커버결합용 볼트
21 : 입력측 단자커버 21a : 커버결합용 볼트
본 발명은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함체형상으로 된 케이스의 내측중앙부에 형성된 기판설치부의 상하측에는 출력측 단자홈과 입력측 단자홈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출력측 단자홈과 입력측 단자홈사이에는 동버스바의 양단에 접속단자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조립체가 서로 평행하게 삽입설치된 후 단자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의 기판설치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은 기판설치부의 내측에 각각 삽입설치되는 다수개의 기판고정대 의 끝단부에 형성된 기판고정용 돌기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전자식 전력량계의 케이스내부에 설치되는 접속단자와 접속단자간을 서로 연결하는 동버스바의 조립작업성을 대폭 향상시켜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을 케이스내부로 최대한 수납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기기의 부피를 더욱 더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조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계측하기 위하여 설치하게 되는 전력량계는 그 작동방식이나 구조에 따라 기계식 전력랑계와 전자식 전력량계로 구분되는데, 이 중 전자식 전력량계는 기계적인 가동부가 없기 때문에 기계식 전력량계에 비해 신뢰도가 높고 안정적인 검침값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또 회로의 집적화를 통해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전화선, 전용선, 전력선, 광케이블, 무선 등)를 이용한 원격검침기능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 그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전자식 전력량계는 대부분 입ㆍ출력측 전선이 각각 연결되는 접속단자들과 이러한 접속단자들간을 서로 연결하는 접속편이 삽입설치되는 케이스가 구비되며, 이 케이스의 내부일측에는 전면에 액정표시부가 설치되며 후면에 접속단자들간을 연결하는 접속편으로부터 2차전류를 발생시키는 변류기가 연결되는 회로기판이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는 액정표시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이 구비된 전면커버와 단자커버가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자식 전력량계는 입ㆍ출력측 전선을 연결하는 접속단자 또는 이러한 접속단자간을 서로 연결하는 접속편과 변류기가 연결되는 회로기판이 내장설치되는 케이스의 내부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의 일체성형이 용이하지 못하여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부분과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부분을 별도로 성형한 후 조립해야 하므로 제조단가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복잡한 케이스의 구성으로 인하여 접속단자 및 접속편의 조립작업성이 저하되어 조립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자식 전력량계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접속편과 회로기판의 후면에 설치되는 각종 전자부품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를 더욱 더 깊고 넓게 형성해야 하므로 기기의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게 되어 제조비용이 더욱 더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각함체형상으로 된 케이스의 내측중앙부에 형성된 기판설치부의 상하측에는 출력측 단자홈과 입력측 단자홈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출력측 단자홈과 입력측 단자홈사이에는 동버스바의 양단에 접속단자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조립체가 서로 평행하게 삽입설치된 후 단자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의 기판설치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은 기판설치부의 내측에 각각 삽입설치되는 다수개의 기판고정대의 끝단부에 형성된 기판고정용 돌기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전자식 전력량계의 케이스내부에 설치되는 접속단자와 접속단자간을 서로 연결하는 동버스바의 조립작업성을 대폭 향상시켜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을 케이스내부로 최대한 수납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기기의 부피를 더욱 더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조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중앙부에 형성된 기판설치부의 상하측에는 개구부일측에 삽입가이드가 구비된 고정구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출력측 단자홈과 입력측 단자홈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외측상하면에는 상기 출력측 단자홈과 입력측 단자홈에 각각 연통되는 전선삽입공들이 관통형성된 케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출력측 단자홈과 입력측 단자홈사이에는 기판전원단자체결공이 관통형성된 중앙부가 기판설치부의 내측저면에 밀착되도록 절곡형성된 동버스바와 전선클램핑볼트에 의해 동버스바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접속단자로 이루어진 제 1접속단자조립체와, 중앙부일측에 변류기설치부가 절곡형성된 동버스바와 전선클램핑볼트에 의해 동버스바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접속단자로 이루어진 제 2접속단자조립체가 서로 평행하게 삽입설치되고, 상기 제 1접속단자조립체와 제 2접속단자조립체가 각각 삽입설치된 출력측 단자홈과 입력측 단자홈의 고정구삽입홈에는, 양측단부에 고정구삽입홈의 삽입가이드가 결합되는 가이드결합홈이 형성되며 중앙부일측에 기판전원단자삽입공이 관통형성된 단자고정구가 각각 결합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기판설치부에는 전면에 액정표시부가 구비된 회로기판이 장착되며, 장착된 회로기판의 후면일측에는 제 1접속단자조립체의 기판전원단자체결공과 제 2접속단자조립체를 고정시키는 단자고정구 의 기판단자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제 2접속단자조립체의 접속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기판전원단자가 구비되며 후면타측에는 제 2접속단자조립체의 변류기설치부에 삽입설치되는 변류기가 연결되고,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된 기판설치부의 전면부에는 회로기판에 구비된 액정표시부가 투시되는 투시창이 설치된 기판커버가 커버결합용 볼트에 의해 결합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출력측 단자홈과 입력측 단자홈의 전면부에는 출력측 단자커버와 입력측 단자커버가 커버결합용 볼트에 의해 각각 결합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접속단자조립체를 이루는 동버스바 및 접속단자와 상기 제 2접속단자조립체를 이루는 동버스바 및 접속단자는 각각 결합공과 결합돌기에 의해 결합되거나, 리벳팅이나 코오킹 또는 브레이징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기판설치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이 기판설치부의 내측에 각각 삽입설치되는 다수개의 기판고정대의 끝단부에 형성된 기판고정용 돌기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의 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의 결선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를 완전히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에 사용되는 동버스바와 접속단자의 결합구조들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중앙부에 형성된 기판설치부(3)의 상하측에는 개구부일측에 삽입가이드(5a)가 구비된 고정구삽입홈(5)이 각각 형성되는 출력측 단자홈(6a)(6b)과 입력측 단자홈(7a)(7b)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외측상하면에는 상기 출력측 단자홈(6a)(6b)과 입력측 단자홈(7a)(7b)에 각각 연통되는 전선삽입공(8)들이 관통형성된 케이스(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의 출력측 단자홈(6a)과 입력측 단자홈(7a)사이에는 기판전원단자체결공(9a)이 관통형성된 중앙부가 기판설치부(3)의 내측저면에 밀착되도록 절곡형성된 동버스바(Copper bus bar)(9)와 전선클램핑볼트(10a)에 의해 동버스바(9)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접속단자(10)로 이루어진 제 1접속단자조립체(11)가 삽입설치되며, 상기 출력측 단자홈(6b)과 입력측 단자홈(7b)사이에는 중앙부일측에 변류기설치부(12a)가 절곡형성된 동버스바(12)와 전선클램핑볼트(13a)에 의해 동버스바(12)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접속단자(13)로 이루어진 제 2접속단자조립체(14)가 삽입설치된다.
이 때, 상기 제 1접속단자조립체(11)를 이루는 동버스바(9)는 중앙부가 절곡형성되도록 구성되어 기판설치부(3)에 장착되는 회로기판(16)의 후면에 설치된 전 자부품들과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기판설치부(3)의 내측저면에 최대한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이루는 동버스바(12)는 기판설치부(3)에 장착되는 회로기판(16)의 후면에 설치된 전자부품들과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중앙부일측에 절곡형성된 변류기설치부(12a)를 제외한 부분이 기판설치부(3)의 내측저면에 근접하게 설치되므로써, 기판설치부(3)의 내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16)이 기판설치부(3)의 내부에 최대한 수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게 되므로 케이스(2)의 부피를 더욱 더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접속단자조립체(11)를 이루는 접속단자(10)와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이루는 접속단자(13)는 평판형태로 된 원재료를 절곡성형하여 제조하게 되므로써, 접속단자의 내부에 형성되는 전선접속부의 공간이 넓어져 입출력 측 전선을 쉽게 수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접속단자의 제조공정이 간편화되어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접속단자조립체(11)를 이루는 동버스바(9) 및 접속단자(10)와 상기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이루는 동버스바(12) 및 접속단자(13)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속단자(10)(13)에 각각 체결되는 전선클램핑볼트(10a)(13a)에 의해 간편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동버스바(9)(12)와 접속단자(10)(13)에 결합공(25)과 결합돌기(26)를 각각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하거나, 리벳팅(riveting)이나 코오킹(caulking) 또는 브레이징(brazing)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결합돌기에 의한 결합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버스바(9)(12)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공(25)을 관통형성하고 접속단자(10) (13)의 하단부에 결합돌기(26)를 각각 돌출형성한 후 동버스바(9)(12)에 관통형성된 결합공(25)에 접속단자(10)(13)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26)가 삽입되도록 하므로써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벳팅에 의한 결합은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버스바(9)(12)와 접속단자(10)(13)에 각각 리벳삽입공을 관통형성한 후 이 리벳삽입공에 동리벳(27)을 삽입한 다음 이를 타격하여 고정하므로써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오킹에 의한 결합은 도 5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속단자(10)(13)의 전단부하단에 코오킹가이드부(28)를 형성한 후 이 코오킹가이드부(28)에 동버스바(9)(12)의 끝단부를 삽입한 다음 압착하여 고정하므로써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징에 의한 결합은 도 5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속단자(10)(13)의 전단부하단에 브레이징가이드부(29)를 형성한 후 이 브레이징가이드부(29)에 동버스바(9)(12)의 끝단부를 삽입한 다음 브레이징용접하여 고정하므로써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접속단자조립체(11)와 제 2접속단자조립체(14)가 각각 삽입설치된 출력측 단자홈(6a)(6b)과 입력측 단자홈(7a)(7b)의 고정구삽입홈(5)에는 양측단부에 고정구삽입홈(5)의 삽입가이드(5a)가 결합되는 가이드결합홈(15a)이 형성되며 중앙부일측에 기판전원단자삽입공(15b)이 관통형성된 단자고정구(15)가 각 각 결합설치된다.
이 때, 상기 단자고정구(15)는 출력측 단자홈(6a)(6b)과 입력측 단자홈(7a)(7b)에 각각 삽입설치된 제 1접속단자조립체(11)의 접속단자(10)와 제 2접속단자조립체(14)의 접속단자(13)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동시에 전선삽입공(8)을 통해 출력측 단자홈(6a)(6b)과 입력측 단자홈(7a)(7b)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는 출력측 전선(30a)(30b)과 입력측 전선(31a)(31b)이 기판설치부(3)의 내부까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결선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전기 단락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의 기판설치부(3)에는 전면에 액정표시부(16a)가 구비된 회로기판(16)이 장착되는데, 상기 기판설치부(3)에 장착되는 회로기판(16)은 기판설치부(3)의 내측에 각각 삽입설치되는 다수개의 기판고정대(4)의 끝단부에 형성된 기판고정용 돌기(4a)에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때, 상기 기판설치부(3)에 설치되는 기판고정대(4)는 기판설치부(3)에 장착되는 회로기판(16)의 후면에 설치된 전자부품들과 간섭이 생기지 않게 기판설치부(3)의 네 모서리부 또는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기판고정대결합부에 결합되어 기판설치부(3)의 네 모서리부 또는 내측면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삽입설치되므로써, 기판설치부(3)의 내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16)이 기판설치부(3)의 내부에 최대한 수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게 되므로 케이스(2)의 부피를 더욱 더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16)의 후면 에는 기판전원단자(17a)(17b)와 변류기(18)가 각각 연결되는데, 일측 기판전원단자(17a)는 제 1접속단자조립체(11)를 구성하는 동버스바(9)에 관통형성된 기판전원단자체결공(9a)에 고정볼트로써 결합되고, 타측 기판전원단자(17b)는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고정시키는 단자고정구(15)의 기판단자삽입공(15b)을 통해 삽입되어 제 2접속단자조립체(14)의 접속단자(13)에 고정볼트로써 결합되며, 상기 변류기(18)는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구성하는 동버스바(12)에 절곡형성된 변류기설치부(12a)에 삽입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16)이 장착된 기판설치부(3)의 전면부에는 회로기판(16)에 구비된 액정표시부(16a)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19a)이 설치된 기판커버(19)가 커버결합용 볼트(19b)에 의해 결합설치되며, 상기 케이스(2)의 출력측 단자홈(6a)(6b)과 입력측 단자홈(7a)(7b)의 전면부에는 출력측 단자커버(20)와 입력측 단자커버(21)가 커버결합용 볼트(20a)(21a)에 의해 각각 결합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의 조립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제 1접속단자조립체(11)를 이루는 동버스바(9)의 양단에 접속단자(10)를 각각 삽입한 후 전선클램핑볼트(10a)를 체결하여 제 1접속단자조립체(11)를 조립하고,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이루는 동버스바(12)의 양단에 접속단자(13)를 삽입한 후 전선클램핑볼트(13a)를 체결하여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조 립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2접속단자조립체(14)의 조립시에는 동버스바(12)에 중앙부일측에 절곡형성된 변류기설치부(12a)에 회로기판(16)의 후면에 연결된 링형상의 변류기(18)를 먼저 삽입한 후 동버스바(12)의 양단에 접속단자(13)를 삽입한 다음 전선클램핑볼트(13a)를 체결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제 1접속단자조립체(11)와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케이스(2)의 출력측 단자홈(6a)(6b)과 입력측 단자홈(7a)(7b)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각각 삽입설치한 후, 출력측 단자홈(6a)(6b)과 입력측 단자홈(7a)(7b)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삽입홈(5)에 단자고정구(15)를 각각 결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단자고정구(15)는 양측단부에 형성된 가이드결합홈(15a)이 고정구삽입홈(5)의 삽입가이드(5a)에 삽입되도록 하므로써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회로기판(16)의 일측 기판전원단자(17a)는 제 1접속단자조립체(11)의 동버스바(9)에 관통형성된 기판전원단자체결공(9a)에 고정볼트로써 결합하며, 타측 기판전원단자(17b)는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고정시키는 단자고정구(15)의 기판단자삽입공(15b)을 관통하도록 삽입하여 제 2접속단자조립체(14)의 접속단자(13)에 고정볼트로써 결합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회로기판(16)은 케이스(2)에 형성된 기판설치부(3)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삽입설치되는 기판고정대(4)의 끝단부에 형성된 기판고정용 돌기(4a)에 의해 결합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끝으로, 상기 회로기판(16)이 장착된 기판설치부(3)의 전면부에는 회로기판(16)에 구비된 액정표시부(16a)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19a)이 설치된 기판커버(19)를 커버결합용 볼트(19b)로써 결합설치하고, 상기 케이스(2)의 출력측 단자홈(6a)(6b)과 입력측 단자홈(7a)(7b)의 전면부에는 출력측 단자커버(20)와 입력측 단자커버(21)를 커버결합용 볼트(20a)(21a)로써 각각 결합설치하므로써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는 먼저 조립된 제 1접속단자조립체(11)와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케이스(2)의 내부에 간편하게 삽입설치한 후 단자고정구(15)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써, 조립작업성이 대폭 향상되어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케이스(2)의 내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16)이 케이스(2)의 내부로 최대한 수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게 되어 기기의 부피를 더욱 더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조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완료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를 가정이나 공장 등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자식 전력량계(1)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출력측 단자홈(6a)(6b)이 위로 향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커버결합용 볼트(20a)(21a)를 풀어 출력측 단자커버(20)와 입력측 단자커버(21a)를 각각 분리한 후 벽면고정용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케이스(2)를 벽면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케이스(2)의 외측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전선삽입공(8)을 통해 출력측 전선(30a)(30b)과 입력측 전선(31a)(31b)을 접속단자(10)(13)의 내부로 각각 삽입한 후 전선클램핑볼트(10a)(13a)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상기 출력측 단자커버(20)와 입력측 단자커버(21a)를 다시 결합하여 커버결합용 볼트(20a)(21a)로써 고정하므로써 간편하게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16)에 구비되는 액정표시부(16a)와 기판커버(19)에 형성되는 투시창(19a)의 설치방향만 변경하므로써, 건물의 설치조건에 따라 가로방향으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는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입력측 전선(31a)(31b)과 출력측 전선(30a)(30b)이 각각 접속되는 제 1접속단자조립체(11)와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통해 상호 통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사용된 전력량에 따른 전류의 변화가 변류기(18)를 통하여 2차 전류로 검출되고 검출된 전류를 근거로 회로기판(16)에서 소비전력을 연산하게 되며, 연산된 전력량은 회로기판(16)의 액정표시부(16a)에 표시되고, 액정표시부(16a)에 표시된 소비전력량은 기판커버(19)의 투시창(19a)을 통해 용이하게 검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력량계는 사각함체형상으로 된 케이스의 내측중앙부에 형성된 기판설치부의 상하측에는 출력측 단자홈과 입력측 단자홈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출력측 단자홈과 입력측 단자홈사이에는 동버스바의 양단에 접속단자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조립체가 서로 평행하게 삽입설치된 후 단자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의 기판설치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은 기판설치부의 내측에 각각 삽입설치되는 다수개의 기판고정대의 끝단부에 형성된 기판고정용 돌기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므로써, 전자식 전력량계의 케이스내부에 설치되는 접속단자와 접속단자간을 서로 연결하는 동버스바의 조립작업성을 대폭 향상시켜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을 케이스내부로 최대한 수납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기기의 부피를 더욱 더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조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사각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중앙부에 형성된 기판설치부(3)의 상하측에는 개구부일측에 삽입가이드(5a)가 구비된 고정구삽입홈(5)이 각각 형성되는 출력측 단자홈(6a)(6b)과 입력측 단자홈(7a)(7b)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외측상하면에는 상기 출력측 단자홈(6a)(6b)과 입력측 단자홈(7a)(7b)에 각각 연통되는 전선삽입공(8)들이 관통형성된 케이스(2)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2)의 출력측 단자홈(6a)(6b)과 입력측 단자홈(7a)(7b)사이에는 기판전원단자체결공(9a)이 관통형성된 중앙부가 기판설치부(3)의 내측저면에 밀착되도록 절곡형성된 동버스바(9)와 전선클램핑볼트(10a)에 의해 동버스바(9)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접속단자(10)로 이루어진 제 1접속단자조립체(11)와, 중앙부일측에 변류기설치부(12a)가 절곡형성된 동버스바(12)와 전선클램핑볼트(13a)에 의해 동버스바(12)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접속단자(13)로 이루어진 제 2접속단자조립체(14)가 서로 평행하게 삽입설치되고,
    상기 제 1접속단자조립체(11)와 제 2접속단자조립체(14)가 각각 삽입설치된 출력측 단자홈(6a)(6b)과 입력측 단자홈(7a)(7b)의 고정구삽입홈(5)에는, 양측단부에 고정구삽입홈(5)의 삽입가이드(5a)가 결합되는 가이드결합홈(15a)이 형성되며 중앙부일측에 기판전원단자삽입공(15b)이 관통형성된 단자고정구(15)가 각각 결합설치되고,
    상기 케이스(2)의 기판설치부(3)에는 전면에 액정표시부(16a)가 구비된 회로 기판(16)이 장착되며, 장착된 회로기판(16)의 후면일측에는 제 1접속단자조립체(11)의 기판전원단자체결공(9a)과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고정시키는 단자고정구(15)의 기판단자삽입공(15b)을 통해 삽입되어 제 2접속단자조립체(14)의 접속단자(13)에 각각 연결되는 기판전원단자(17a)(17b)가 구비되며 후면타측에는 제 2접속단자조립체(14)의 변류기설치부(12a)에 삽입설치되는 변류기(18)가 연결되고,
    상기 회로기판(16)이 장착된 기판설치부(3)의 전면부에는 회로기판(16)에 구비된 액정표시부(16a)가 투시되는 투시창(19a)이 설치된 기판커버(19)가 커버결합용 볼트(19b)에 의해 결합설치되고,
    상기 케이스(2)의 출력측 단자홈(6a)(6b)과 입력측 단자홈(7a)(7b)의 전면부에는 출력측 단자커버(20)와 입력측 단자커버(21)가 커버결합용 볼트(20a)(21a)에 의해 각각 결합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속단자조립체(11)를 이루는 동버스바(9) 및 접속단자(10)와 상기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이루는 동버스바(12) 및 접속단자(13)는 동버스바(9)(12)의 양단부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결합공(25)에 접속단자(10) (13)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돌기(26)가 삽입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속단자조립체(11)를 이루는 동버스바(9) 및 접속단자(10)와 상기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이루는 동버스바(12) 및 접속단 자(13)는 각각 리벳팅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속단자조립체(11)를 이루는 동버스바(9) 및 접속단자(10)와 상기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이루는 동버스바(12) 및 접속단자(13)는 각각 코오킹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속단자조립체(11)를 이루는 동버스바(9) 및 접속단자(10)와 상기 제 2접속단자조립체(14)를 이루는 동버스바(12) 및 접속단자(13)는 각각 브레이징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의 기판설치부(3)에 장착되는 회로기판(16)은 기판설치부(3)의 내측에 각각 삽입설치되는 다수개의 기판고정대(4)의 끝단부에 형성된 기판고정용 돌기(4a)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KR1020070013791A 2007-02-09 2007-02-09 전자식 전력량계 KR100807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791A KR100807364B1 (ko) 2007-02-09 2007-02-09 전자식 전력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791A KR100807364B1 (ko) 2007-02-09 2007-02-09 전자식 전력량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229A KR20070029229A (ko) 2007-03-13
KR100807364B1 true KR100807364B1 (ko) 2008-03-03

Family

ID=3810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791A KR100807364B1 (ko) 2007-02-09 2007-02-09 전자식 전력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834B1 (ko) 2015-07-01 2016-10-05 김상수 전자식 전력량계의 케이블 단자 연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513B1 (ko) * 2012-07-19 2014-01-02 주식회사 신진이엔지 전자식 전력량계의 조립식 베이스
KR102006573B1 (ko) * 2018-05-24 2019-08-01 주식회사 씨앤유글로벌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미터
KR102598610B1 (ko) * 2023-07-18 2023-11-07 제이앤디전자(주) 전력량계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054A (ja) 1996-07-26 1998-02-13 Tokyo Gas Co Ltd 端末装置用筐体
KR20040028464A (ko) * 2002-09-30 2004-04-03 로뎀비젼(주) 전력량계 케이스
KR20060006435A (ko) * 2004-07-16 2006-01-19 강재석 전기계량기함
KR20060007938A (ko) * 2004-07-23 2006-01-26 강재석 다세대용 디지털 전력량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054A (ja) 1996-07-26 1998-02-13 Tokyo Gas Co Ltd 端末装置用筐体
KR20040028464A (ko) * 2002-09-30 2004-04-03 로뎀비젼(주) 전력량계 케이스
KR20060006435A (ko) * 2004-07-16 2006-01-19 강재석 전기계량기함
KR20060007938A (ko) * 2004-07-23 2006-01-26 강재석 다세대용 디지털 전력량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834B1 (ko) 2015-07-01 2016-10-05 김상수 전자식 전력량계의 케이블 단자 연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229A (ko)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100B1 (ko)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
US20090142954A1 (e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for flat conductors
KR100807364B1 (ko) 전자식 전력량계
JP2005521057A (ja) 電気機器のためのモジュールハウジングおよびそのための取付部材
KR101375798B1 (ko)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JP4593637B2 (ja) 電力量計
KR100435779B1 (ko)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
JP6840503B2 (ja) 電子式電力量計を収容するための収容ケース及び収容ケースと電子式電力量計とを備える電子式電力量計ユニット
JP2008147082A (ja) 貫通端子台
TW201826653A (zh) 配線器具
JP2014126418A (ja) 電力量計
KR200440703Y1 (ko) 계량기박스 조립체
KR20040039973A (ko) 전자식 전력량계
KR100450599B1 (ko) 전자식 전력량계
KR100982940B1 (ko) 회로기판과 커넥터의 장착구조
JP3946608B2 (ja) 電力量計用絶縁ケース
JP2007096877A (ja) 充電端子の取付構造
JP2016158382A (ja) 集電箱
CN215682802U (zh) 一种电器机壳及主板模块
US8932088B2 (en) Anti-turn mechanism for multiple connector sizes
CN212062722U (zh) 螺丝不掉落接线模组
KR20020057896A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전원 접속단자
KR200349927Y1 (ko)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RU2282859C1 (ru) Корпус прибора для учет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CN210298290U (zh) 电控盒、空调及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