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927Y1 -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 Google Patents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927Y1
KR200349927Y1 KR20-2004-0002450U KR20040002450U KR200349927Y1 KR 200349927 Y1 KR200349927 Y1 KR 200349927Y1 KR 20040002450 U KR20040002450 U KR 20040002450U KR 200349927 Y1 KR200349927 Y1 KR 200349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put
auxiliary
auxiliary terminal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아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아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아정보통신
Priority to KR20-2004-0002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와 그 양측에 각각 배설되는 단자대 사이에 보조단자판을 마련하여 전원선이나 원격검침을 위한 통신/펄스선을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한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입, 출력선이 분리 접속되도록 입력측 단자대와 출력측 단자대를 각각 가지는 전자식 전력량계에 있어서,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수납부와 각 단자대 사이에 터미널 및 회로기판으로 결선되는 단자들을 가지는 보조단자판이 마련되어 있고, 이 보조단자판에 전원선 및 통신/펄스선을 접속하여 외부로 인출해 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An auxiliary terminal strip for electricity meter}
본 고안은,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와 그 양측에 각각 배설되는 단자대 사이에 보조단자판을 마련하여 전원선이나 원격검침을 위한 통신/펄스선을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한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 주택이나 각종 건축물에는 소비되는 전력을 검침하기 위한 전력량계가 설치되어 전력소비에 따른 적정 요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량계는, 그 작동방식에 따라 기계식 및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자식 전력량계의 경우 기계식에 비해 검침값의 신뢰도가 높고 안정적임은 물론 내부 회로의 집적화에 의해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 이르러, 대단위 세대를 구성하고 있는 아파트 등에는 검침원이 직접 방문하지 않고 각 세대별의 전력 소비량을 관리사무소 등의 중앙통제실에 설치된 컴퓨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원격검침시스템이 실용화되고 있다.
도 1은 일반 전자식 전력량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전력량계(10A)는 본체(11)의 수납부(12) 내에 액정표시부(13)가 장착되어 있는 회로기판(14)이 배설됨과 동시에 그 상, 하측에 입력측 단자대(15a) 및 출력측 단자대(15b)를 상기 본체(11)와 일체형으로 부설하고, 양단에 터미널(16a,16b)이 형성된 동대 (17a,17b)를 본체(11) 내에 장착하여 입력선(18a) 및 출력선(18b)을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전력량계(10A)에 있어서는, 상기 어느 한쪽의 동대(17a)에 마련되어 있는 변류기(19)에 의해 공급전력을 검출함과 동시에 소비량을 연산하여 액정표시부(13)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수납부(12) 내부에는, 전원선(20a)이나 원격검침을 위한 통신/펄스선(20b)이 각 단자대(15a,15b)를 통해 동대(17b)를 포함한 회로기판 (14)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원선(20a) 및 통신/펄스선(20b)은 본체(11)로부터 인출되어 도시하지 않은 계량기함 내의 통신단자대에 연결됨으로써 중앙통제실에서의 원격검침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전원선(20a) 및 통신/펄스선(20b)은 전력량계(10A)의 취급이나 운반과정에서 밀거나 당기는 장력(張力)이 작용하여 회로기판(14)과의 접속부분이 분리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본체(11) 내부에서 회로기판 (14)이나 동대(17a,17b)에 접촉하여 쇼트상태를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이들 전원선(20a) 및 통신/펄스선(20b)이 분리될 경우에는, 전력량계 (10A)의 봉인부(도시생략)를 개봉하여 회로기판(14) 상에 납땜으로 재결선한 후에 전력량계(10A)의 재검정을 행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본체(11)의 수납부(12)와 단자대(15a,15b) 내에서 전원선(20a) 및 통신 /펄스선(20b)에 통상의 타이밴드(21a,21b)를 체결하여 이들 전선의 이동위치를 제한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타이밴드(21a,21b)의 설치작업 자체가 난해하여 작업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력량계의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 및 단자대 사이에 보조단자판을 형성하여 터미널과 회로기판으로 결선되도록 하고, 이 보조단자판에 전원선 및 원격검침을 위한 통신/펄스선을 접속하여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들 전선이 외부장력에 의해 분리된다 하더라도 계량기 내부에서 쇼트상태가 발생될 염려가 없음은 물론 손쉽게 재결선할 수 있는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전력량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의 커버 및 입, 출력선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력량계에 있어서의 주요 구성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의 입력측 보조단자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서의 출력측 보조단자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도 6은 3상4선식 전력량계에 적용되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전력량계 11: 본체
12: 수납부 13: 액정표시부
14: 회로기판 15a,15b: 단자대
16a,16b: 터미널 17a,17b: 동대(銅臺)
18a: 입력선 18b: 출력선
19: 변류기(變流器) 20a: 전원선
20b: 통신/펄스선 21a,21b: 타이밴드
40A,40B: 전력량계 41: 본체
42a,42b: 단자대 43a,43b: 터미널블록
44a: 입력선 44b: 출력선
45: 터미널 46: 수납부
47: 액정표시부 48: 회로기판
49a,49b: 고정판 50a,50b: 고정봉
51: 걸림고리 52: 명판(名板)
53: 고정나사 54: 커버
54a: 봉인부 55a,55b: 접속편
56a,56b: 안착홈 57a,57b: 관통공
58a,58b: 커버 59a,59b: 고정나사
60a: 단자 61a,61b: 보조단자판
62: 전원선 63: 통신/펄스선
64a,64b: 삽입공 65a,65b: 고정나사
66: 연결편 67a: 매립단자
67b: 노출단자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입, 출력선이 분리 접속되도록 입력측 단자대와 출력측 단자대를 각각 가지는 전자식 전력량계에 있어서,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수납부와 각 단자대 사이에 터미널 및 회로기판으로 결선되는 단자들을 가지는 보조단자판이 마련되어 있고, 이 보조단자판에 전원선 및 통신/펄스선을 접속하여 외부로 인출해 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대는 본체의 수납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단자대로부터 터미널블록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입, 출력선이 접속된다.
상기 터미널블록의 몸체에는 터미널의 접속편들을 수용하기 위한 안착홈 및 입, 출력선이 끼워지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관통공의 주위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전원선 및 통신/펄스선을 끼워넣어 보조단자판에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입력측 보조단자판은 터미널블록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몸체의 상측에 고정된 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단자의 한쪽은 터미널의 접속편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쪽은 터미널블록의 측벽에 형성된 삽입공 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력측 보조단자판에 장착된 단자는 고정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연결편을 개재하여 전원의 접속/차단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출력측 보조단자판은 본체의 수납부와 단자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몸체의 양측면에 2개 1조의 매립단자 및 노출단자가 서로 연결되도록 매립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 장착된 고정나사들에 의해 통신/펄스선을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서와 같이 전력량계(40A)의 구성요소는 크게 입, 출력측 단자대 (42a,42b)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본체(41)와, 상기 입, 출력측 단자대(42a, 42b)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터미널블록(43a,43b)과, 이 터미널블록(43a, 43b)에 장착되어 입력선(44a) 및 출력선(44b)이 각각 연결되는 터미널(45)들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전력량계(40A)를 구성하는 본체(41)의 중앙부에는 대략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진 수납부(46)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수납부 (46)에는 전력 소비량을 계측하고 연산하여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부(47)를 가지는 회로기판(48)이 장착된다.
이 회로기판(48)은 수납부(46) 내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한쌍의 고정판 (49a,49b) 및 이들 고정판(49a,49b)에 대해 직교(直交)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봉(50a,50b)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41)의 수납부(46) 상측에는 걸림고리(51)가 형성되어 명판 (52)을 개재하여 커버(54)의 상단부를 끼워 유지시킴과 동시에 하단부를 고정나사 (53)로서 장착시키게 되며, 상기 커버(54)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봉인부(54a)를 밀봉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41)의 양측에는 입, 출력측 단자대(42a,42b)가 서로 대향하여 각각 배치되어 있고, 이 단자대(42a,42b) 내에는 터미널블록(43a,43b)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이 양측의 터미널블록(43a,43b)에 접속편(55a,55b)을 가지는 터미널(45)이 장착된다.
즉, 상기 터미널블록(43a,43b)에는 안착홈(56)이 형성되어 각 터미널(45)의 양단에 마련되어 있는 접속편(55a,55b)들을 수용하게 되며,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 (57a,57b)으로 입력선(44a) 및 출력선(44b)이 끼워 넣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입, 출력측의 각 단자대(42a,42b)에는 커버(58a,58b)가 씌워져 고정나사(59a, 59b)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입력측 터미널블록(43a)과 본체(41)에 형성된 수납부(46) 및 출력측 단자대(42b) 사이에는, 터미널(45) 및 회로기판(48)에 각각 결선되는 단자들을 가지는 보조단자판(61a,61b)이 각각 형성되어 일반 전자식 전력량계에서 전원선(62)이나 원격검침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신/펄스선(63)을 연결하여 외부로 인출해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입력측 보조단자판(61a)은 터미널블록(43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몸체의 상측에 단자(60a)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단자(60a)의 한쪽은 터미널(45)의 접속편(55a,55b)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은 터미널블록(43a)의 측벽에 형성된 삽입공(64a) 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측 보조단자판(61a)에 장착된 단자(60a)는 고정나사(65a)에 의해 체결되는 연결편(66)을 개재하여 전원의 접속/차단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출력측 보조단자판(61b)은 본체(41)의 수납부(46)와 단자대(42b)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몸체의 양측면에 2개 1조의 매립단자(67a) 및 노출단자(67b)가 서로 연결되도록 매립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 장착된 고정나사(65b)들에 의해 통신/펄스선(63)이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6은 전술한 본 고안의 구성을 3상4선식 전력량계(40B)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반적인 구성은 전술한 단상2선식 전력량계(40A)와 동일하므로, 이들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3상4선식 전력량계(40B)의 경우에는, 입력선(44a) 및 출력선(44b)이 4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입, 출력측의 단자대(42a,42b)에 설치되는 터미널블록(43a, 43b)에도 각각 4개의 터미널(45)이 장착되는 안착홈(56a,56b)과 이에 대응하는 관통공(57a,57b)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터미널블록(43a,43b)에 형성되는 입력측 보조단자판 (61a)과 본체(41)의 수납부(46) 및 단자대(42b) 사이에 형성되는 출력측 보조단자판(61b)도 상술한 구조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입력측 및 출력측의 단자대(42a,42b)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터미널블록(43a,43b)에 입, 출력선(44a,44b)을 접속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상기 단자대(42a,42b)에 씌워져 있는 커버(58a,58b)의 고정나사 (61a,61b)를 풀고 터미널블록(43a,43b)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57a,57b)들을 통해 입, 출력선(44a,44b)을 끼워넣는다.
그 후, 상기 터미널블록(43a,43b)의 안착홈(56a,56b) 상에 유지되어 있는 터미널(45)의 접속편(55a,55b)으로 입, 출력선(44a,44b)을 끼워넣어 나사로 체결함으로써, 각 단자대(42a,42b)의 터미널블록(43a,43b)에 장착되어 있는 터미널(45)에 입력선(44a) 및 출력선(44b)을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선(44a)을 통해 제공되는 전력은 터미널블록(43a,43b) 내의 터미널(45)을 통해 출력선(44b)으로 공급되며, 이 때 통상의 변류수단에 의해 전력의 공급상태를 검출함과 동시에 소비 전력량을 연산하여 커버(54) 내의 회로기판(48)에 설치되어 있는 액정표시부(47)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입력측 터미널블록(43a)의 보조단자판(61a)에 형성된 단자(60a)가 터미널(45)의 접속편(55a)에 연결되어 있고, 본체(41)의 수납부(46) 및 출력측 단자대(42b) 사이에 형성된 보조단자판(61b)의 각 단자(67a,67b)들이 회로기판(48)에 결선되어 있으므로, 각 보조단자판(61a,61b)에 전원선(62) 및 통신/펄스선(63)을 연결하여 외부로 인출해 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입력측 보조단자판(61a)에 전원선(62)을 접속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터미널블록(43a)이 단자대(42a) 내에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64a)들을 통해 전원선(62)의 끝단부를 끼워넣고 단자(60a)의 고정나사(65a)로 체결함에 따라 간단히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출력측 보조단자판(61b)에 통신/펄스선(63)을 접속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출력측 터미널블록(43b)이 단자대(42b) 내에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터미널블록(43b)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64b)들을 통해 보조단자판(61b)의 매립단자(67a)로 통신/펄스선(63)의 끝단부를 끼워넣음과동시에 고정나사(65b)로 체결함에 따라 간단히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전원선(62) 및 통신/펄스선(63)을 계량기함 내의 통신단자대에 접속시킴으로써 중앙통제실 내에서의 원격검침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상4선식 전력량계(40B)에 대한 작용은 단상2선식 전력량계(40A)와 마찬가지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3상4선식 전력량계(40B)의 경우에는 입, 출력선(44a,44b)이 4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터미널블록(43a,43b)에 형성되는 안착홈(56a,56b) 및 삽입공(57a, 57b)도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입, 출력측의 보조단자판(61a,61b) 역시 상술한 구조에 대응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에 의하면, 본체의 수납부와 단자대 사이 및 터미널블록에 보조단자판을 마련하여 전력량계의 외부로 인출되는 전원선 및 통신/펄스선을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외부 장력에 의해 이들 전선이 분리되더라도 계량기 내부에서 쇼트를 일으킬 염려가 없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력량계 커버의 봉인부를 개봉하지 않고 해당 단자대의 커버만을 개봉하여 손쉽게 재결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입, 출력선이 분리 접속되도록 입력측 단자대와 출력측 단자대를 각각 가지는 전자식 전력량계에 있어서,
    본체(41)의 중앙부에 형성된 수납부(46)와 각 단자대(42a,42b) 사이에 터미널(45) 및 회로기판(48)으로 결선되는 단자들을 가지는 보조단자판(61a,61b)이 마련되어 있고, 이 보조단자판(61a,61b)에 전원선(62) 및 통신/펄스선(63)을 접속하여 외부로 인출해 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42a,42b)는 본체의 수납부(46)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단자대(42a,42b)로부터 터미널블록(43a,43b)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입, 출력선(44a,44b)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블록(43a,43b)의 몸체에는 터미널(45)의 접속편 (55a,55b)들을 수용하기 위한 안착홈(56a,56b) 및 입, 출력선(44a,44b)이 끼워지는 관통공(57a,57b)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관통공(57a,57b)의 주위에 삽입공 (64a,64b)이 형성되어 전원선(62) 및 통신/펄스선(63)을 끼워넣어 보조단자판(61a, 61b)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보조단자판(61a)은 터미널블록(43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력측 보조단자판(61b)은 본체(41)의 수납부(46)와 단자대(42b)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보조단자판(61a)은 그 몸체의 상단에 고정된 단자(60a)를 가지고 있으며, 이 단자(60a)의 한쪽은 터미널(45)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쪽은 터미널블록(43a)의 측벽에 형성된 삽입공(64a) 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보조단자판(61a)에 장착된 단자(60a)는 고정나사(65a)에 의해 체결되는 연결편(66)을 개재하여 전원의 접속/차단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보조단자판(61b)은 그 몸체의 양측면에 2개 1조의 매립단자(67a) 및 노출단자(67b)가 서로 연결되도록 매립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 장착된 고정나사(65b)들에 의해 통신/펄스선(63)이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KR20-2004-0002450U 2004-02-02 2004-02-02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KR200349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450U KR200349927Y1 (ko) 2004-02-02 2004-02-02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450U KR200349927Y1 (ko) 2004-02-02 2004-02-02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927Y1 true KR200349927Y1 (ko) 2004-05-12

Family

ID=4942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450U KR200349927Y1 (ko) 2004-02-02 2004-02-02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9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202B1 (ko) * 2020-05-20 2020-06-23 주식회사 비파워 보안 전자식 전력량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202B1 (ko) * 2020-05-20 2020-06-23 주식회사 비파워 보안 전자식 전력량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7949B2 (en) Electronic meter having user-interface and central processing functionality on a single printed circuit board
JP4171415B2 (ja) ソリッドステート電力計器
US9632112B2 (en) Power meter configured for rear and side expansion
CA2352438A1 (en) Modular meter configuration and methodology
WO1999046606A3 (en) Electrical power metering system
JP4527515B2 (ja) ユニット型電力量計
JP2006226842A (ja) 電子式電力量計
KR100435779B1 (ko)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
KR200349927Y1 (ko)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KR200383307Y1 (ko) 입출력전원선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전력량계
KR100807364B1 (ko) 전자식 전력량계
KR100450599B1 (ko) 전자식 전력량계
CN114152792B (zh) 一种模块化电表箱
JP2006275789A (ja) 電力量計用通信装置
JP2001093073A (ja) 遠隔検針機能付き計器
KR20190007935A (ko) 특고압 상계거래용 무정전교체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전력량 검침 시스템
KR200350468Y1 (ko) 전자식 전력량계
CN209418291U (zh) 一种模数化载流互感器
JP4304103B2 (ja) 電力量計
KR200278990Y1 (ko)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
KR20020057896A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전원 접속단자
KR102598610B1 (ko) 전력량계 케이스
JP2011040211A (ja) 配線器具
JPH07198753A (ja) 電力量計の端子装置
KR100449495B1 (ko)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