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990Y1 -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 - Google Patents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990Y1
KR200278990Y1 KR2020020009745U KR20020009745U KR200278990Y1 KR 200278990 Y1 KR200278990 Y1 KR 200278990Y1 KR 2020020009745 U KR2020020009745 U KR 2020020009745U KR 20020009745 U KR20020009745 U KR 20020009745U KR 200278990 Y1 KR200278990 Y1 KR 200278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single connection
terminal block
electronic watt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강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9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990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 전력 사용처에서 사용한 소비전력을 계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전체적인 외형을 소형화하여 설치면적을 축소함과 함께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취급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 단자대, 영상 변류기, 주회로 기판, 표시소자 등으로 구성된 전자식 전력량계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에 단일접속 단자를 배열 설치하고 입력 전원선과 출력 부하선을 상기 단일 접속단자에 함께 접속 고정한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이다

Description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the electric meter of one terminal type}
본 고안은 일반 전력 사용처에서 사용한 소비전력을 계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전체적인 외형을 소형화하여 설치면적을 축소함과 함께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취급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정이나 공장 등 전기를 사용하는 전력 사용처에는 소비전력을 계측하기 위한 전력량계가 설치되며, 이러한 전력량계는 기계식 전력량계와 전자식 전력량계로 구분된다.
또한 전자식 전력량계는 기계식 전력량계에 비해 기계적인 가동부가 없기 때문에 검침값의 신뢰도가 높고 안정적이며, 회로의 집적화를 통하여 기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더우기 근래에는 다양한 매체(전화선, 전용선, 전력선, 광케이블, 무선 등)를 이용한 원격 검침의 부가기능을 가진 전력량계로 발전하는 등 전자식 전력량계의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 1과 도 2에는 종래에 사용되어 온 전자식 전력량계가 도시되어 있다.
전력량계의 외형은 몸체(1)와 전면커버(2)와 단자대(3) 및 단자커버(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단자대(4)에는 입력 전원선(7a)(7b)이 각각 접속되는 입력측 단자(5a)(5b)와 출력 부하선(8a)(8b)이 각각 접속되는 출력측 단자(6a)(6b)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각 단자(5a)(5b)(6a)(6b)들은 충분한 절연 간격을 가지도록 일정한 거리를 두고 횡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몸체(1)의 내부에는 입력측 단자(5b)와 출력측 단자(6a)를 연결하는 중성단자인 접속편(9)이 있고 또 다른 입력측 단자(5a)와 출력측 단자(6b)는 전선(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전선(10)에는 입력 전원선(7a)과 출력 부하선(8b)이 연결되고 접속편(9)에는 입력 전원선(7b)과 출력 부하선(8a)이 연결되어 전자식 전력량계의 주회로를 구성한다.
주회로인 상기 전선(10)에는 전력량계의 핵심소자 회로인 영상 변류기(11)가 설치되어 있고 몸체(1)의 내부에는 소비전력을 연산하여 표시하기 위한 주회로 기판(12)과 액정표시판(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 커버(2)에는 액정표시판(13)에 표시된 숫자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시창(14)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의 인가에 의해 입력 전원선(7a)(7b)이 각각 접속되는 입력측 단자(5a)(5b)와 출력 부하선(8a)(8b)이 각각 접속되는 출력측 단자(6a)(6b)를 통해 상호 통전이 되면 사용되어진 부하(사용 전력량)는 전류에 따라 영상 변류기(11)를 통하여 2차 전류로 검출되고 검출된 전류를 근거로 주회로 기판(12)에서 소비전력을 연산하게 되며, 연산된 전력량은 액정표시판(13)을 통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식 전력량계는 단자대(3)에 장착된 입력측 단자(5A(5B)와 출력측 단자(6A)(6B)들이 일렬로 횡으로 배열되는 구조이어서 단자대(3)의 폭이 커야하고 이에따라 몸체(1)의 폭이 커져야 한다.
즉, 전기 안전상 각각의 입력측 단자(5a(5b)와 출력측 단자(6a)(6b) 사이에 는 최소한의 절연거리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단자대(3)와 몸체(1)의 폭을 축소하는데 한계가 있고 따라서 전력량계를 소형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더우기 전력량계는 전력 공급방식에 따라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으로도 제작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입력 전원선과 출력 부하선이 각각 3선 또는 4선이고 단자는 6개 또는 8개가 되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상 2선식 전력량계와는 달리 몸체의 크기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커져야 한다.
또한 사용되는 전류의 최대 허용 용량(40A, 60A, 80A, 120A 등)에 따라 전기 안전상 절연거리가 길어지고 전선의 직경이 굵어지게 되므로 단자는 더욱 커질 소지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몸체도 커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력량계의 몸체가 커지면 제조공정상의 부가적 경비부담으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물류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고 운반 및 취급이 불리해진다.
또한 종래의 전력량계는 입력측 단자와 출력측 단자가 나란히 횡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시공시 입력 전원선과 출력 부하선을 단자에 잘못 결선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이러한 경우 단락에 의한 화재등의 전기 안전사고를 일으키게 된다.
본 고안은 입력측 단자와 출력측 단자를 단일 접속단자형으로 구성하여 전체 외형 크기를 소형화하고 취급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단일 접속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몸체, 단자대, 영상 변류기, 주회로 기판, 표시소자 등으로 구성된 전자식 전력량계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에 단일접속 단자를 배열 설치하고 입력 전원선과 출력 부하선을 상기 단일 접속단자에 함께 접속 고정한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전자식 전력량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전자식 전력량계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력량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력량계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몸체 23 : 단자대
25a, 25b : 단일접속 단자 26a, 26b : 입력 전원선
27a, 27b : 출력 부하선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력량계의 외형은 몸체(21)와 전면커버(22)와 단자대(23) 및 단자커버(2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단자대(23)에는 입력 전원선(26a)(26b)과 출력 부하선(27a)(27b)이 동시에 접속될 수 있는 단일 접속단자(25a)(25b)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단일 접속단자(25a)(25b)는 충분한 절연 간격을 가지도록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있다.
상기 몸체(21)의 내부에는 전력량계의 핵심소자 회로인 영상 변류기(28)와, 소비전력을 연산하여 표시하기 위한 주회로 기판(29)과, 연산된 전력량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판(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 커버(22)에는 액정표시판에 표시된 숫자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시창(3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출력 부하선(27a)(27b)은 입력 전원선(26a)(26b)의 반대측으로 부터 몸체(21)내로 인입되며, 그중 하나의 출력 부하선(27a)은 영상 변류기(28)를 통과하여 단일 접속단자(25a)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전자식 전력량계는 주회로에 전원을 인가하면 단일 접속단자(25a)(25b) 내부에서 입력 전원선(26a)(26b)과 출력 부하선(27a)(27b)이 동시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 전원선(26a)(26b)과 출력 부하선(27a)(27b) 사이에 통전이 이루어지고 사용되어진 부하는 영상 변류기(28)를 통하여 2차 전류로 검출되며, 검출된 2차 전류를 근거로 주회로 기판(29)에서 소비전력을 연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주회로 기판(29)에서 연산된 소비전력량은 액정표시판(30)에 표시되고 전면 커버(22)에 설치된 표시창(31)을 통해 외부에서 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는 입력 전원선과 출력 부하선을 단일 접속단자에 연결 구성함에 의해 단자대의 폭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전력량계의 획기적인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한편 단자대의 폭이 줄어드는 만큼 몸체내의 공간도 줄어들지만 주회로 기판의 구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영상 변류기의 설치 및 기타 부품을 설치하는데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력량계의 소형화에 따라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고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해지며, 제품의 취급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출력측 단자를 단일접속 단자형으로 구성하여 절연성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고, 입력 전원선과 부하 출력선을 잘못 결선할 우려가 없어져 결선 잘못으로 발생하는 단락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몸체, 단자대, 영상 변류기, 주회로 기판, 표시소자 등으로 구성된 전자식 전력량계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에 단일접속 단자를 배열 설치하고 입력 전원선과 출력 부하선을 상기 단일 접속단자에 함께 접속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
KR2020020009745U 2002-04-01 2002-04-01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 KR200278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745U KR200278990Y1 (ko) 2002-04-01 2002-04-01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745U KR200278990Y1 (ko) 2002-04-01 2002-04-01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649A Division KR100435779B1 (ko) 2002-03-30 2002-03-30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990Y1 true KR200278990Y1 (ko) 2002-06-20

Family

ID=7312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745U KR200278990Y1 (ko) 2002-04-01 2002-04-01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9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38713A1 (en) Electronic meter having user-interface and central processing functionality on a single printed circuit board
US72525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easuring system loads and sub-metering electric power distribution
KR100435779B1 (ko)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
KR101120950B1 (ko) 분전반
US8004271B2 (en) Self contained kilowatt-hour meter integral to standard load center
KR200278990Y1 (ko)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
KR100451307B1 (ko) 전자식 전력량계
KR200447832Y1 (ko) 무접점식 전자식 전력량계
KR200383307Y1 (ko) 입출력전원선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전력량계
KR20020057896A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전원 접속단자
KR101856670B1 (ko) 션트 저항이 결합되어 전류 측정이 가능한 분전반용 버스바의 제작방법 및 이용한 버스바 모듈
KR200388038Y1 (ko) 변류기 클램프 타입의 변류기를 포함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US20120161753A1 (en) Electric power measuring device
KR102124202B1 (ko) 보안 전자식 전력량계
JP2600339Y2 (ja) 回路遮断器および回路遮断器装着型電力量計
KR100450599B1 (ko) 전자식 전력량계
CN209418291U (zh) 一种模数化载流互感器
JP2001208778A (ja) 検出電流合成装置、および分電盤
KR102598610B1 (ko) 전력량계 케이스
KR200182536Y1 (ko) 입출력분리형 전자식 전력량계
KR20050031673A (ko) 직결형 전자식 전력량계
KR200349927Y1 (ko)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JP6424547B2 (ja) 分電盤
CN220473598U (zh) 一种简易三相四线电子式电能表
KR200153482Y1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단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