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950B1 - 분전반 - Google Patents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950B1
KR101120950B1 KR1020100051758A KR20100051758A KR101120950B1 KR 101120950 B1 KR101120950 B1 KR 101120950B1 KR 1020100051758 A KR1020100051758 A KR 1020100051758A KR 20100051758 A KR20100051758 A KR 20100051758A KR 101120950 B1 KR101120950 B1 KR 101120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ower
meter
data
branch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991A (ko
Inventor
김혜성
Original Assignee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국기술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국기술산전 filed Critical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95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부하별 전력 사용현황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원격 검침이 가능한 분기전력 측정기 및 그것이 적용된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옥내로 인입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표시하고 그 인입된 전력을 데이터집중장치로 송신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로부터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한 경우 그 전류를 차단하는 메인 차단기; 상기 메인 차단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하나 이상의 분기전력 측정기로 분기하는 분기회로; 상기 분기회로로부터 분기 차단기측으로 흐르는 분기전력을 측정하여 표시하고 그 측정된 분기전력을 데이터집중장치로 송신하는 분기전력 측정기; 및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 및 상기 분기전력 측정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력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전력 데이터를 외부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데이터집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기전력 측정기는, 상기 분기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과, 상기 분기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단을 갖는 바 형태의 연결단자;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흐르는 분기전력을 연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연산된 분기전력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판이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의 상기 출력단은 상기 하우징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결단자의 상기 입력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만입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된 형태일 수 있다.

Description

분전반{POWER 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부하별 전력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원격 검침이 가능한 분기전력 측정기 및 그것이 적용된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빌딩, 아파트, 일반 주택 등으로 들어오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의 말단 부하(예를 들면, 전기사용설비 등)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분전반은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메인 차단기와 분기 차단기를 차례로 거친후에 각 말단 부하로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종래의 분전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평면에 종 방향의 메인 부스바(bus bar)(1)와, 횡 방향 분기 부스바(2)를 교차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하고, 이 메인 부스바(1) 일측에 메인 차단기(3)를 설치하고, 분기 부스바(2)의 양측에 다수의 분기 차단기(4)를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배전선로로부터 건물 내로 인입된 전력이 각각의 분기 차단기(4)의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구조였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분전반을 포함하는 종래의 분전반은, 각 분기 차단기(4)의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사용설비의 전력사용 현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분기 차단기가 차단되기 전까지 각 전기사용설비별로의 과부하 상태를 전혀 인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각 분기 차단기의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사용설비별로의 전력 사용량(이하, "분기전력 데이터"라 칭함)을 실시간 모니터하여 과부하로 인한 전력 중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기전력 측정기 및 그것이 적용된 분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기전력 측정기와 분기 차단기의 결선구조를 단순화하여, 사용자의 조립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기전력 데이터를 원격으로 검침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옥내로 인입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표시하고 그 인입된 전력을 데이터집중장치로 송신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로부터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한 경우 그 전류를 차단하는 메인 차단기; 상기 메인 차단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하나 이상의 분기전력 측정기로 분기하는 분기회로; 상기 분기회로로부터 분기 차단기측으로 흐르는 분기전력을 측정하여 표시하고 그 측정된 분기전력을 데이터집중장치로 송신하는 분기전력 측정기; 및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 및 상기 분기전력 측정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력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전력 데이터를 외부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데이터집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분기전력 측정기는, 상기 분기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과, 상기 분기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단을 갖는 바 형태의 연결단자;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흐르는 분기전력을 연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연산된 분기전력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판이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의 상기 출력단은 상기 하우징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결단자의 상기 입력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만입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분기전력 측정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연결단자의 소정 부위를 감싸는 구조의 분리형 전류센서가 더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집중장치는 상기 외부의 컴퓨터와 RS-485 시리얼 통신 또는 전력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전반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전력 측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전력 측정기를 분전반의 함체 내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a의 분기전력 측정기가 적용된 분전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분전반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a의 분기전력 측정기가 적용된 원격검침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분기전력 측정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전력 측정기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a에 나타낸 X축 방향을 분기전력 측정기의 정면측 방향으로, Y축 방향을 분기전력 측정기의 측면측 방향으로, Z축 방향을 분기전력 측정기의 평면측 방향으로 각각 규정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분기전력 측정기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전력 측정기(10)는 크게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 하우징(110a) 및 하부 하우징(110b)의 내부 공간에는 분전반을 구성하는 횡 방향의 분기 부스바(도 3a의 도면부호 "40" 참조)와 연결되는 입력단(120a)과, 분기 차단기(도 3a의 도면부호 "50" 참조)와 연결되는 출력단(120b)으로 이루어진 연결단자(120)가 설치되어 있다. 분기전력 측정기(10)는 연결단자(120)를 통해 횡 방향의 분기 부스바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분기전력을 측정하여 액정표시판(LCD: liquid crystal display)(112)을 통해 외부에 표시해 주는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분기전력 측정기(10)의 상부 하우징(110a)에는 분기전력의 표시, 설정, 리셋 등의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 버튼(116)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 도 2b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전력 측정기(10)의 상부 하우징(110a)에는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분기전력을 연산하여 표시하기 위한 주회로기판(111) 및 액정표시판(112)이 설치되어 있고, 정면측 방향의 단부에는 연결단자 입력단(120a)과의 볼트 체결을 위한 개방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110a)의 저면에는 연결단자가 압착 삽입되는 조립홈(114a)이 연결단자(120)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조립홈(114a)의 소정부위에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분리형 전류센서(115)의 상부체(115a)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분리형 전류센서(115)는 클램프 CT(Current Transducer)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전력 측정기(10)의 하부 하우징(110b)에는 연결단자(120)가 압착 삽입되는 조립홈(114b)이 연결단자(120)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조립홈(114b)의 소정부위에는 분리형 전류센서(115)의 하부체(115b)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전력 측정기(10)는 하부 하우징(110b)의 각각의 조립홈(114b)에 연결단자(12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110a)과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연결단자(120)는 횡 방향의 분기 부스바(도 3a의 도면부호 "40" 참조)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분기전압을 검출하여 주회로기판(111)에 전달하고, 주회로기판(111)에 실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는 연결단자(120)를 통해 전달된 그 분기전압의 값을 연산하여 액정표시판(111)에 표시한다.
또한, 연결단자(120)의 소정부위를 감싸는 구조의 분리형 전류센서(115)는 상부 하우징(110a)과 하우 하우징(110b) 사이에 개재된 연결단자(120)를 따라 흐르는 분기전류를 검출하여 주회로기판(111)에 전달하고, 주회로기판(111)에 실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는 분리형 전류센서(115)로부터 전달된 분기전류의 값을 연산하여 액정표시판(111)에 표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 측정기(10)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각 분기 차단기(도 3a의 도면부호 "50" 참조)의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사용설비별로의 전력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분기전력 측정기(10)가 4개의 연결단자(120)(예를 들면, 4개의 각 연결단자(120)는 R,S,T,N상의 각 분기 부스바에 접속되는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3상 타입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전력기술에 익숙한 숙련자들은 분기전력 측정기가 2개의 연결단자(R,N, 또는 S,N 또는 T,N)에 의해 이루어지는 단상 타입으로도 구성할 수도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분기전력 측정기가 4개의 연결단자(120)에 의해 이루어지는 3상 타입인 것으로 가정하여 계속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전력 측정기(10)를 분전반의 함체 내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분기전력 측정기(1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분전반의 함체 내에 메인 차단기(20)와 종방향의 메인 부스바(30)를 고정 설치하여야 한다. 여기서, 메인 차단기(20)는 외부의 상용전원을 입력단을 통해 수신한 후에 4개의 종 방향의 메인 부스바(R,S,T,N)(30)를 통해 그 전원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한편, 횡 방향의 분기 부스바(R,S,T,N)(40)는 종 방향의 메인 부스바(3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의 부하(미도시)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 부스바(30) 및 분기 부스바(40)는 예를 들면, 구리나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료에 은도금한 막대(bar)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분기전력 측정기(10)를 이용하여 횡 방향의 분기 부스바(40)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분기전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분기 부스바(40)의 출력단이 분기전력 측정기(10)의 연결단자(120)의 입력단과 서로 겹쳐지는 형태로 면접촉시킨 후에 볼트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분기 부스바(40)와 분기전력 측정기(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연결단자(120)의 입력단은 분기전력 측정기(10)의 하우징(110)의 표면으로부터 만입되어 있으므로 분기 부스바(40)와의 접속 및 결합이 용이하다(즉, 도 2b의 개방부(113)를 구성하는 내벽은 분기 부스바(40)를 절연보호하는 기능과, 분기 부스바(40)의 접속 경로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다음, 도 3b를 함께 참조하면, 분기전력 측정기(10)의 연결단자(120)의 돌출된 출력단(120b)을 분기 차단기(50)의 하부 R,S,T,N 접속단자에 적층하여 면접촉시킨 후에 볼트 고정시킴으로써, 분기전력 측정기(10)와 분기 차단기(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여기서, 연결단자의 출력단(120b)은 별도의 연결수단(예를 들면, 연결용 전선) 없이 분기 차단기(50)와 직접 접속되는 구조이므로, 비교적 좁은 공간을 갖는 분전반 내에서의 설치에 효과적이다.
다음,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도 3a 및 도 3b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부하측에 대한 분기전력 측정기(10)(및 분기 차단기(50))를 분전반 내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분기전력 측정기(10)의 설치작업을 완료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 측정기(10)는 간편한 조립방법에 의해 분전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분기전력 측정기(10)는 연결단자(120)의 돌출된 출력단(120b)이 분기 차단기(50)의 접속단자와 직접 접속되는 구조이므로 공간 활용성이 매우 양호하다.
[분기전력 측정기가 적용된 분전반]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 측정기(10)가 적용된 분전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도 3c에 나타낸 분전반은 메인 차단기(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메인 부스바(30) 및 분기 부스바(40)를 통하여 분기전력 측정기(10)로 공급되는 구조로 설치되었지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 측정기(10)는 블록 타입의 전원분배장치(60)가 설치된 분전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4의 분전반은 분기전력 측정기(10)의 연결단자(120)의 입력단이 블록 타입의 전원분배장치(60)의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연결단자(120)의 출력단이 분기 차단기(50)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블록 타입의 전원분배장치(60)는 도 3c에 나타낸 메인 부스바(30) 및 분기 부스바(40)의 구조가 내부에 수용된 각각의 블록들(60a,60b,60c)을 상호 조립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분배장치(60)를 구성하는 제 1 블록(60a)은 메인 차단기(20)와 연결되는 상부 단자(610)와, 분기전력 측정기(10)와 연결되는 측부 단자(620)와, 하단의 블록(60b)과 연결되는 하부 단자(630)를 그 내부에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블록(60a)의 상부 단자(610)와 측부 단자(620)는 블록 몸체의 외부에 돌출된 형태로, 또한 하부 단자(630)는 블록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만입된 형태로 각각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블록(60b)과 제 3 블록(60c)도 제 1 블록(60c)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도 4의 분전반을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나타낸 분전반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분전반의 함체 내에 메인 차단기(20)를 고정 설치한 후에 메인 차단기(20)의 RSTN 접속단자에 제 1 블록(60a)의 상부 단자(610)를 직접 접속하고, 또한, 제 1 블록(60a)의 하부에 제 2 블록(60b) 및 제 3 블록(60c)을 연속적으로 연결 접속한다.
다음,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블록(60a)의 측부 단자(620)를 분기전력 측정기(10)의 연결단자(120) 입력단에 서로 겹쳐 면접촉시킨 후에 볼트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전원분배장치(60)의 제 1 블록(60a)과 분기전력 측정기(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연결단자(120)의 입력단은 분기전력 측정기(10)를 구성하는 하우징(110)의 표면으로부터 만입되어 있으므로 제 1 블록(60a)의 돌출된 측부 단자(620)와의 접속 및 결합이 매우 용이하다.
다음,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기전력 측정기(10)의 연결단자의 돌출된 출력단(120b)을 분기 차단기(50)의 하부 R,S,T,N 접속단자에 적층하여 면접촉시킨 후에 볼트 고정시킴으로써, 분기전력 측정기(10)와 분기 차단기(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다음,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도 5a 및 도 5b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각 블록(60a,60b,60c)별로의 분기전력 측정기(10) 및 분기 차단기(50)를 분전반 함체 내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분전반 설치작업을 완료한다.
도 5a 내지 도 5c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은 매우 간편한 조립방법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차단기(20)와 전원분배장치(60)와 분기전력 측정기(10) 및 분기 차단기(50)의 상호간은 별도의 연결선에 의하지 않고 직접 단자 접촉하는 구조를 취하므로 공간 활용성이 매우 양호하다.
[분기전력 측정기가 적용된 원격검침시스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 측정기가 적용된 원격검침시스템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원격검침시스템(1000)의 옥내에서의 구성은, 전자식 전력량계(1110), 메인 차단기(1120), 분기회로(1130), 분기전력 측정기(1140), 및 각 분기전력 측정기(1140)로부터의 분기전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데이터집중장치(1160)(DCU: Data Concentration Unit)로 이루어진 분전반(1100)과, 분전반(1100)(데이터집중장치(1160))과 양방향 통신을 하는 사용자 컴퓨터(12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자식 전력량계(1110)는 외부의 배전선로로부터 옥내로 인입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액정표시판을 통해 표시한다. 또한, 전자식 전력량계(1110)는 데이터집중장치(1160)와의 통신(예를 들면, RS-485 또는 2-Wire 시리얼 통신)을 통해 측정된 실시간 인입 전력을 데이터집중장치(1160)로 송신한다.
메인 차단기(1120)는 전자식 전력량계로부터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한 경우 그 전류를 차단한다.
분기회로(1130)는 메인 차단기(1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하나 이상의 분기전력 측정기(1140)로 분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분기전력 측정기(1140)는 분기회로(1130)로부터 분기 차단기(1150)측으로 흐르는 분기전력을 측정하여 액정표시판을 통해 표시한다. 또한, 분기전력 측정기(1140)는 데이터집중장치(1160)와의 통신(예를 들면, RS-485 또는 2-Wire 시리얼 통신)을 통해, 측정된 분기전력 데이터를 데이터집중장치(1160)로 송신한다.
분기 차단기(1150)는 분기전력 측정기(1140)로부터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한 경우 그 전류를 차단한다.
데이터집중장치(1160)는 전자식 전력량계(1110) 및 분기전력 측정기(1140)와의 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전력 데이터(즉, 인입 전력 및 각 부하별 분기전력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데이터집중장치(1160)는 컴퓨터(1200)와의 통신(예를 들면, RS-485 시리얼 통신 또는 전력선 통신)을 통하여, 그 수집된 전력 데이터를 분전반 외부로 전송한다.
컴퓨터(1200)는 데이터집중장치(1160)로부터 수신된 전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대별/기간별의 전체 인입전력 및 분기전력을 계산한다. 또한, 컴퓨터(1200)는 그 계산된 결과를 그래프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1200)는 데이터집중장치(1200)로부터 수신된 전력 데이터를 중앙 관리소(예를 들면, "한국전력공사"가 운영하는 전력 관리용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는(1200)는 데이터집중장치(1160)로부터 수신된 전력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요청이 있을시 마다 중앙 관리소의 전력 관리 서버(1300)로 전송하는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서버(1300)는 서버 제어 컴퓨터(14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컴퓨터(1200)로부터 전송받은 전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전력 데이터에 관한 실시간/시간대별/기간별 총(total) 전기 요금 및 각 부하별 전기요금을 산출한다.
또한, 전력 관리 서버(1300)는 서버 제어 컴퓨터(1400)의 제어에 따라, 그 산출된 요금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사용자 컴퓨터(1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컴퓨터(1200)를 통해 각 부하별의 전기요금 데이터 및/또는 그것이 합산된 총 요금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분기전력 측정기 20: 메인 차단기
30: 메인 부스바 40: 분기 부스바
50: 분기 차단기 60: 전원분배장치
110: 하우징 111: 회로기판
112: 액정표시판 113: 개방부
114: 조립홈 115: 분리형 전류센서
120: 연결단자 1000: 원격검침시스템
1100: 분전반 1110: 전자식 전력량계
1120: 메인 차단기 1130: 분기회로
1140: 분기전력 측정기 1150: 분기 차단기
1160: 데이터집중장치 1200: 컴퓨터
1300: 전력 관리 서버 1400: 서버 제어 컴퓨터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옥내로 인입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표시하고 그 인입된 전력을 데이터집중장치로 송신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로부터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한 경우 그 전류를 차단하는 메인 차단기;
    상기 메인 차단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하나 이상의 분기전력 측정기로 분기하는 분기회로;
    상기 분기회로로부터 분기 차단기측으로 흐르는 분기전력을 측정하여 표시하고 그 측정된 분기전력을 데이터집중장치로 송신하는 분기전력 측정기; 및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 및 상기 분기전력 측정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력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전력 데이터를 외부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데이터집중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전력 측정기는,
    상기 분기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과, 상기 분기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단을 갖는 바 형태의 연결단자;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흐르는 분기전력을 연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연산된 분기전력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판이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의 상기 출력단은 상기 하우징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결단자의 상기 입력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만입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된 형태이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단자가 압착삽입되는 조립홈이 각각 형성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각 상기 조립홈에 상기 연결단자의 소정 부위를 감싸며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분리형 전류 센서의 상부체와 하부체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51758A 2010-06-01 2010-06-01 분전반 KR101120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758A KR101120950B1 (ko) 2010-06-01 2010-06-01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758A KR101120950B1 (ko) 2010-06-01 2010-06-01 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91A KR20110131991A (ko) 2011-12-07
KR101120950B1 true KR101120950B1 (ko) 2012-03-06

Family

ID=45500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758A KR101120950B1 (ko) 2010-06-01 2010-06-01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9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49B1 (ko) * 2016-09-09 2017-05-11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분전반 및 분전반을 포함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190028169A (ko) * 2017-09-08 2019-03-18 (주)토즈테크 부스바 일체형 계량기를 갖는 분전함
KR20200099411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1617A1 (de) * 2012-11-29 2014-06-05 Eaton Industries (Austria) Gmbh Verteilerschiene
KR101399813B1 (ko) * 2012-12-13 2014-05-27 주식회사 비쥬드림 개별부하 다중 검침시스템
KR101653227B1 (ko) * 2016-04-29 2016-09-01 (주)지디일렉스 전력 측정모듈을 구비한 연결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분전반
KR101715815B1 (ko) * 2016-05-25 2017-03-14 피에스텍주식회사 전방향성 전력량계 시스템
KR101931530B1 (ko) * 2017-09-29 2019-03-20 주식회사 퍼틀 분전반 설계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54037B1 (ko) * 2019-08-14 2020-09-09 대한이씨엠주식회사 안전하게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전기 소방 통신 장비의 전원공급용 분배전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697B1 (ko) 2009-03-06 2009-09-22 (주) 동보파워텍 전력품질장치가 내장된 저압 분전반 및 그 작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697B1 (ko) 2009-03-06 2009-09-22 (주) 동보파워텍 전력품질장치가 내장된 저압 분전반 및 그 작동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49B1 (ko) * 2016-09-09 2017-05-11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분전반 및 분전반을 포함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190028169A (ko) * 2017-09-08 2019-03-18 (주)토즈테크 부스바 일체형 계량기를 갖는 분전함
KR102082688B1 (ko) * 2017-09-08 2020-04-23 (주)토즈테크 부스바 일체형 계량기를 갖는 분전함
KR20200099411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273792B1 (ko) 2019-02-14 2021-07-06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91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950B1 (ko) 분전반
US11215650B2 (en) Phase aligned branch energy meter
US20130197835A1 (en) Circuit breaker metering system
US9318857B2 (en) Power strip and electrical power measurement system
US8570715B2 (en) Load center with branch-level current sensors integrated into power buses on a unit with on-board circuit breaker mounts
TWI523364B (zh) 合作轉接器、配電盤、配電盤系統
KR101434600B1 (ko)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KR101809827B1 (ko) 계측기
US5317250A (en) Modular electronic meter having reduced width
TWI521817B (zh) 配電盤、配電盤系統、獨立配電盤
KR101120953B1 (ko) 자동 아이디 설정기능이 구비된 분기 전력관리시스템
US6614219B2 (en) Metering assembly
KR101856670B1 (ko) 션트 저항이 결합되어 전류 측정이 가능한 분전반용 버스바의 제작방법 및 이용한 버스바 모듈
JP2013192393A (ja) 電力計測機能付き分電盤
KR20200122140A (ko) 착탈식 전기 계측 유닛을 갖는 차단기
JP2011027589A (ja) 電力計測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ブレーカ
CA2808735A1 (en) Load center with branch-level current sensors integrated into power buses on a unit with on-board circuit breaker mounts
JP5067748B2 (ja) 電力量計、およびこれを構成する機器
KR200383307Y1 (ko) 입출력전원선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전력량계
KR101457625B1 (ko)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KR20170123086A (ko) 계측기
JP6179048B2 (ja) 電力計測装置
CN219627431U (zh) 配电设备
CN213601823U (zh) 一种直流单极带电量计量功能断路器
JP2014193104A (ja) 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