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827B1 - 계측기 - Google Patents

계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827B1
KR101809827B1 KR1020160040463A KR20160040463A KR101809827B1 KR 101809827 B1 KR101809827 B1 KR 101809827B1 KR 1020160040463 A KR1020160040463 A KR 1020160040463A KR 20160040463 A KR20160040463 A KR 20160040463A KR 101809827 B1 KR101809827 B1 KR 101809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or
voltage
current transform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819A (ko
Inventor
안성기
김영돈
신상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82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01R15/186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using current transformers with a core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e.g. clamp-on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84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voltage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의 버스바에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이 관통하는 케이블 관통부가 형성된 변류기 어셈블리와; 상기 전력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 커넥터에 연결 케이블이 연결된 전압 계측용 케이블과; 상기 전압 계측용 케이블이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전압 계측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관통부에는 상기 전압 계측용 케이블이 관통되는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이 형성되어, 간단한 구조로 전력 케이블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변류기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전압 검출용 케이블을 용이하게 서비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계측기{Measu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계측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압을 계측할 수 있는 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계측기는 중량, 용량, 속도, 진동, 소음, 온도, 열량, 길이, 전압, 전류 등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계측기는 분전반(Distribution panel)에 구비되어, 분전반의 모선이나 지선에 대한 전류나 전압, 전력량 등의 전기량을 계측할 수 있다.
분전반은 분기 과전류 보호기를 집합하여 설치한 것으로서, 부하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선로 중 부하에 가까운 곳에 단락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기(Circuit breaker)를 캐비닛에 집합하여 설치한 기기이다.
차단기는 부하에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하여 설비 점검시 감전을 예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부하측의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차단기는 전력계통에 고장 발생시 전류를 신속하게 차단하여 사고가 확산되지 않게 막는 전력계통보호장치이다. 차단기는 내에 분전함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계측기는 분전함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차단기와 부하 사이에서 전류나 전압 등의 전기량을 계측할 수 있다. 계측기는 차단기와 연결되어 전류나 전압을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측기는 차단기에 접촉되는 버스바를 갖는 차단기 직결형 계측기로 구성되거나, 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력 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 관통형 계측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로부터 전압을 계측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계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는 차단기의 버스바에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이 관통하는 케이블 관통부가 형성된 변류기 어셈블리와; 상기 전력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 커넥터에 연결 케이블이 연결된 전압 계측용 케이블과; 상기 전압 계측용 케이블이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전압 계측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관통부에는 상기 전압 계측용 케이블이 관통되는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 케이블은 일부가 상기 케이블 관통부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 관통부 외부에서 상기 전력 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체결부재와 상기 전력 케이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에 접촉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링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연결 케이블과 연결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류기 어셈블리와 전류 계측용 케이블로 연결된 제어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보드와 전압 계측 보드는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변류기 어셈블리는 변류기가 수용되는 변류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변류기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관통부는 상기 전력 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은 상기 변류기 수용공간과 상기 케이블 관통공을 연통시키게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전압 계측용 케이블은 상기 연결 케이블에 제1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전압 계측 보드에는 상기 제1커넥터가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제 2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전력 케이블의 전압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변류기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전압 검출용 케이블을 용이하게 서비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 관통공이 변류기 어셈블리의 외면이 아닌 변류기 어셈블리의 내부에 위치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케이블 관통공을 통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변류기의 안전선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변류기 어셈블리 내부에 위치하므로, 외부 영향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력 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 관통부가 전압 검출용 케이블의 통로가 될 수 있어, 전압 검출용 케이블을 위한 별도의 관통부를 형성하는 경우 보다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 관통부 및 전력 케이블이 하나의 체결부재에 의해 차단기의 부스바에 결합될 수 있어,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가 적용된 분전반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및 차단기가 함께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의 전압 계측 보드 및 제어 보드가 도시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의 전압 계측용 케이블이 변류기 어셈블리에서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가 적용된 분전반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분전반은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버스바(1)(2), 전력계통을 접속,차단하는 회로가 구비된 차단기(3)와, 전력계통의 전압 및 전류 등의 전기량을 계측하는 계측기(4)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1)(2)는 굵은 동선을 갖는 전력 케이블 또는 가늘고 긴 판상의 금속판체로 구성될 수 있다. 버스바(1)(2)는 모선측 버스바(1)와, 모선측 버스바(1)에 연결된 지선측 버스바(2)를 포함할 수 있다. 모선측 버스바(1)와, 지선측 버스바(2) 중 적어도 하나는 전력 케이블과 금속판체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모선측 버스바(1)는 R상,T상,S상 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모선측 버브바(1)는 접지 버스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선측 버스바(1)에는 복수개의 지선측 버스바(2)가 연결될 수 있다. 지선측 버스바(2) 각각은 R상,T상,S상 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차단기(3)는 부하(5)에 연결되어 부하(5)로 전류를 인가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차단기(3)는 모선측 버스바(1)를 흐르는 전류를 차단,인가하는 모선측 차단기(3A)와, 지선측 버스바(2)를 흐르는 전류를 차단,인가하는 지선측 차단기(3B)를 포함할 수 있다. 모선측 차단기(3A)와, 지선측 차단기(3B)는 그 위치만 상이하고 구성이 동일할 수 있고, 이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차단기(3)으로 칭하여 설명한다.
모선측 차단기(3A)는 모선측 버스바(1)에 연결될 수 있다.
지선측 차단기(3B)는 모선측 버스바(1)와 전력수요처인 부하(5)의 사이에 위치되게 지선측 버스바(2)에 연결될 수 있다.
계측기(4)는 차단기(3)와 부하(5) 사이에서 구비되어 전류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계측기(4)는 차단기(1)에 접속되게 설치되거나 차단기(1)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계측기(4)는 차단기(3)와 부하(5)의 사이에 위치되게 버스바(1)(2)에 연결될 수 있다.
계측기(4)는 전력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여 전력과 전력량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기량을 연산하여 표시해주는 디지털 판넬 메타(Digital Panel Meter)일 수 있다. 최근에는, 에너지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전력 감시의 범위가 분전반 내 전체 전력량에 한하지 않고, 각 부하별 전력량까지 확장되고 있고, 이에 따라 모선(모선측 버스바)의 전기량 계측 뿐만 아니라 지선(지선측 버스바)별 전기량을 계측할 필요가 있다.
계측기(4)는 모선측 버스바(1)에 연결되어 모선측 버스바(1)의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는 메인 계측기(4A)와, 지선측 버스바(1)에 연결되어 지선측 버스바(2)의 전류 및 전압을 지선 계측기(4B)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계측기(4A)와 지선 계측기(4B)는 그 위치만 상이하고 구성이 동일할 수 있고, 이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계측기(4)로 칭하여 설명한다.
한편, 계측기(4)는 차단기(3)에 연결되는 전력 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 관통형 계측기로 구성될 수 있다. 계측기(4)는 차단기(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후술하는 전압 계측용 케이블(70, 도 3 및 도 4 참조)을 통해 차단기(3)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분전반은 각각의 계측기(4)에서 계측한 각종 전기량을 통신 매체(6)를 통해 상위 감시반인 메인 계측기(7)로 전송할 수 있고, 상위 감시반인 메인 계측기(7)는 각각의 계측기(4)에서 수집한 정보를 전송받아 중앙 집중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메인 계측기(7)는 복수개의 계측기(4)와 RS485 통신선 등의 통신 매체(6)로 연결될 수 있고, 각종 전기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 및 차단기가 함께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의 전압 계측 보드 및 제어 보드가 도시된 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의 복수개 전압 계측용 케이블이 변류기 어셈블리에서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차단기(3)에는 전력 케이블(31)이 접속될 수 있다. 전력 케이블(31)은 도 1에 도시된 부하(5)와 차단기(3)의 사이에 위치되어 차단기(3)와 부하(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차단기(3)는 버스바(32)(33)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3)의 버스바(32)(33)는 1차측 버스바(32) 및 2차측 버스바(33)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3)는 내부에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구비될 수 있고,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중 어느 하나가 1차측 버스바(32)에 연결될 수 있고,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중 다른 하나가 2차측 버스바(33)에 연결될 수 있다.
차단기(3)는 차단기(3)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게 배치된 핸들(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3)은 핸들(34)에 연결되어 핸들(34)의 조작시 연동되어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과 접촉, 분리시키는 링크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케이블(31)은 동선을 갖는 케이블(35)과, 케이블(35)에 연결되고 차단기(3)에 접속, 분리되는 케이블 단자(36)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단자(36)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케이블(31)는 차단기(3)의 2차측 버스바(33)에 접속, 분리될 수 있다. 전력 케이블(31) 중 케이블 단자(36)은 2차측 버스바(33)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전력 케이블(31)의 케이블 단자(36)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37)에 의해 차단기(3)에 체결될 수 있고, 전력 케이블(31)은 차단기(3)의 2차측 버스바(33)와 통전되게 연결될 수 있다.
계측기(4)는 차단기(3)의 2차측에 직결되어 모선 또는 지선에 걸리는 3상 전압을 계측할 수 있다. 계측기(4)는 모선 또는 지선의 전류를 내장된 3개의 변류기에 각각 관통시켜 3상 전류를 계측할 수 있다. 계측기(4)는 3상 전압 및 3상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 및 전력략을 포함하는 각종 전기량을 연산할 수 있다.
계측기(4)는 변류기 어셈블리(40)와, 전압 계측 보드(62), 제어 보드(64) 및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을 포함할 수 있다.
변류기 어셈블리(40)는 차단기(3)의 버스바(33)에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31)이 관통하는 케이블 관통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관통부(41)에는 전력 케이블(41)이 관통되는 케이블 관통공(P)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관통부(41)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관통공(P)은 케이블 관통부(4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관통부(41)는 내측에 케이블 관통공(P)이 형성된 이너 벽부일 수 있다.
변류기 어셈블리(40)는 전력 케이블(31)가 관통되는 변류기 하우징(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변류기 하우징(43)는 변류기 어셈블리(4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변류기 하우징(43)에는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가 내장될 수 있다. 변류기 하우징(43)에는 변류기(CT)가 수용되는 변류기 수용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변류기 수용공간(S1)은 변류기 하우징(43)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변류기 수용공간(S1)은 케이블 관통부(41)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관통부(41)는 그 내둘레면이 케이블 관통공(P1)을 형성할 수 있고, 그 외둘레면이 변류기 수용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변류기 하우징(43)은 변압 검출 보드(6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보드 수용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보드 수용공간(S2)은 변류기 수용공간(S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변류기 하우징(43)은 변류기 수용공간(S1)과 보스 수용공간(S2)를 구획하는 구획벽(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관통부(41)는 변류기 하우징(43)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전력 케이블(3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전력 케이블(31)는 변류기 하우징(43)에 R상,T상,S상 별로 각각 관통될 수 있다. 케이블 관통부(41)은 변류기 하우징(43)을 관통하는 전력 케이블(31)과 동일 개수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관통부(41)는 변류기 하우징(43)의 일면에서 변류기 하우징(43)의 타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관통부(41)는 전압 계측용 케이블(70)가 제어보드(6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관통부(41)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변류기 하우징(43)의 변류기 수용공간(S1)에 수용되는 변류기(CT)는 케이블 관통부(41)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변류기 어셈블리(40)는 변류기(CT)에 전류 계측용 케이블(45)이 연결될 수 있다.
전류 계측용 케이블(45)는 일단이 변류기(CT)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제어 보드(64)에 연결될 수 있다.
전류 계측용 케이블(45)는 변류기(CT)에 연결된 케이블(46)과, 케이블(46)에 연결된 케이블 커넥터(47)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계측용 케이블(45)의 케이블 커넥터(47)는 제어 보드(64)에 구비된 전류 계측용 케이블 커넥터(68)에 접속될 수 있다.
전압 계측 보드(62)는 제어 보드(64)와 함께 피시비 어셈블리(60)을 구성할 수 있다. 전압 계측 보드(62)와 제어 보드(64)는 연결될 수 있다. 전압 계측 보드(62)와 제어 보드(64)는 변류기 하우징(43)의 상측에서 변류기 하우징(43)의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전압 계측 보드(6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검출을 위한 전압 변환회로(66)가 구비될 수 있다.
전압 계측 보드(62)는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을 통해 전력 케이블(31) 또는 차단기(3)의 버스바(33)에 연결될 수 있고,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을 통해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전압 계측 보드(62)는 변류기 어셈블리(40)에 장착되었을 때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전압 계측 보드(62)에는 전압 검출용 케이블(70)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압 검출용 케이블(70)은 전압 계측 보드(62)에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전압 검출용 케이블(70은 연결 케이블(72)에 제1커넥터(73)가 구비될 수 있고, 전압 계측 보드(62)에는 제1커넥터(73)와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제 2 커넥터(67)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 보드(64)는 변류기 어셈블리(40)와 전류 계측용 케이블(45) 또는 변류기 출력 단자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보드(64)는 전압 계측 보드(62)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보드(64)에는 전압 계측 보드(62)에서 송출된 전압 출력이 입력될 수 있고, 각종 연산을 수행하는 MCU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 보드(64)에는 변류기(CT)에서 출력된 출력전류와, 전압 계측 보드(62)에서 출력된 출력전압에 의해 전압 및 전류를 연산하는 MCU가 구비될 수 있다. MCU는 이러한 전압 및 전류에 의해 전력량 등의 각종 계측값을 연산할 수 있다.
제어 보드(64)에는 각종 계측값을 표시할 수 있는 LED 어셈블리나 LCD 등의 표시부품(65A)가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품(65A)는 MCU와 연결되어 MCU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각종 계측값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 보드(64)는 외부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6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5B)는 외부기기와 제어 보드(64)를 연결하는 통신 케이블이 접속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보드(64)는 전압 계측 보드(62)와 절연 연면 거리를 고려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보드(64)는 전압 계측 보드(62)와 직교할 수 있다.
피시비 어셈블리(60)는 3상 전압 신호와 3상 전류 신호를 AD 변환한 후 각각에 대한 RMS값(즉, 실효값, Root MEAN square value)을 연산하고, 후술하는 표시부품(65A)에 연산 결과를 표시하고 후술하는 통신부(65B)를 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계측기(4)가 계측할 수 있는 전기량은 전압, 전류, 주파수, 유효전력, 무효전력,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고조파 함유율 등일 수 있다.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은 전력 케이블(31)에 연결되는 케이블 커넥터(71)에 연결 케이블(72)이 연결되고, 연결 케이블(72)에 제1커넥터(73)가 연결될 수 있다.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은 그 길이 방향으로 케이블 커넥터(71), 연결 케이블(72), 제1커넥터(73)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71)와, 연결 케이블(72)와, 제1커넥터(73)는 결합된 상태에서 차단기(3) 및 전압 계측 보드(62)의 각각과 접촉될 수 있다.
케이블 관통부(41)에는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이 관통되는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48)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73)와 제2커넥터(67) 중 적어도 하나는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48)에 위치될 수 있다.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48)은 변류기 수용공간(S1)과 케이블 관통공(P)을 연통시키게 개방될 수 있다.
제2커넥터(67)는 전압 계측 보드(6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전압 계측 보드(62)에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48)을 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커넥터(67)는 하단이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48)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제1커넥터(73)는 상단이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48)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제2커넥터(67)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커넥터(67)는 하단이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48)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제1커넥터(73)는 상단이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48)으로 삽입되어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48) 내측에서 제2커넥터(67)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커넥터(67)는 하단이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48) 하측에 위치되게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48)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커넥터(73)는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48)의 하측인 케이블 관통공(P)에서 제2커넥터(67)에 연결될 수 있다.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의 케이블 커넥터(71)는 케이블 관통부(41) 외부에서 전력 케이블(31)에 연결될 수 있다.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의 케이블 커넥터(71)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37)와 전력 케이블(31) 사이에 배치되는 링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링부(74)는 전력 케이블(31)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37)가 관통될 수 있다. 링부(74)는 전력 케이블(31)의 케이블 단자(36)에 접촉되게 올려질 수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37)에 의해 전력 케이블(31)의 케이블 단자(36)와 결합될 수 있고, 전력 케이블(31)의 케이블 단자(36) 및 차단기(3)의 버스바(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의 케이블 커넥터(71)는 링부(74)에서 돌출되고 연결 케이블(72)과 연결되는 돌출부(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의 연결 케이블(7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케이블 관통부(4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의 연결 케이블(72)은 구부리거나 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고, 그 길이는 제2커넥터(67)과 차단기(3)의 버스바(33)의 직선 거리 보다 더 길 수 있다.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의 제1커넥터(73)는 변압기 하우징(43)의 내측에서 제2커넥터(67)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계측기는 변류기 어셈블리(40)와 결합되고 제어 보드(64)를 덮는 아우터 커버(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커버(80)는 변류기 어셈블리(40)의 상측에서 변류기 어셈블리(40)의 하우징(43)에 후크 결합될 수 있고, 제어 보드(64)는 아우터 커버(8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을 제2커넥터(67)에 연결하고자 할 때,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의 제1커넥터(73)를 케이블 관통공(P)로 삽입한 후 제1커넥터(73)를 변압기 하우징(43)의 내측에서 제2커넥터(67)에 끼워 접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커넥터(73)와 제2커넥터(67)의 연결시, 연결 케이블(72)은 일부가 케이블 관통공(P)에 전력 케이블(31)과 함께 위치할 수 있고, 나머지가 케이블 관통공(P)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의 케이블 커넥터(71)는 변류기 어셈블리(4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전력 케이블(31)이 변류기 하우징(43)의 케이블 관통공(P)를 관통하게 배치시킬 수 있고, 그 케이블 단자(36)을 차단기(3)의 버스바(33)에 안착시켜 올릴 수 있다.
작업자는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의 케이블 커넥터(71)를 전력 케이블(31)의 케이블 단자(36)에 안착시켜 올릴 수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37)를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의 케이블 커넥터(71) 상측에서 조립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37)는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의 케이블 커넥터(71) 및 전력 케이블(31)의 케이블 단자(36)를 차단기(3)의 버스바(33)에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의 연결시,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은 차단기(3)와 전압 계측 보드(62)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력 케이블(31)을 흐르는 전류의 전압 계측을 도울 수 있다.
한편,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의 수리나 교체를 위한 서비스 작업시,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의 연결 작업과 역순으로 작업할 수 있고, 중복된 설명을 피하게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측기(4)는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을 계측기(4)의 외부에서 계측기(4) 내부로 접속할 수 있고, 전압 계측용 케이블(70)의 서비스시 계측기(4)를 분해,조립할 필요 없고, 계측기(4)는 그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 차단기 4: 계측기
31: 전력 케이블 40: 변류기 어셈블리
41: 케이블 관통부 48: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
62: 전압 계측 보드 64: 제어 보드
67: 제2커넥터 70: 전압 계측용 케이블
71: 케이블 커넥터 72: 연결 케이블
73: 제1커넥터 P: 케이블 관통공
S1: 변류기 수용공간

Claims (9)

  1. 차단기의 버스바에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이 관통하는 케이블 관통부가 형성된 변류기 어셈블리와;
    상기 전력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 커넥터에 연결 케이블이 연결된 전압 계측용 케이블과;
    상기 전압 계측용 케이블이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전압 계측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관통부에는 상기 전압 계측용 케이블이 관통되는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변류기 어셈블리는 변류기가 수용되는 변류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변류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관통부는 상기 전력 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은 상기 변류기 수용공간과 상기 케이블 관통공을 연통시키게 개방된 계측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일부가 상기 케이블 관통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 관통부 외부에서 상기 전력 케이블에 연결되는 계측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체결부재와 상기 전력 케이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에 접촉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링부를 포함하는 계측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링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연결 케이블과 연결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계측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 어셈블리와 전류 계측용 케이블로 연결된 제어 보드를 더 포함하는 계측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보드와 전압 계측 보드는 직교하게 연결된 계측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계측용 케이블은 상기 연결 케이블에 제1커넥터가 연결되고,
    상기 전압 계측 보드에는 상기 제1커넥터가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제 2 커넥터가 설치된 계측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압 계측용 케이블 관통공에 위치되는 계측기.
KR1020160040463A 2016-04-01 2016-04-01 계측기 KR101809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463A KR101809827B1 (ko) 2016-04-01 2016-04-01 계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463A KR101809827B1 (ko) 2016-04-01 2016-04-01 계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819A KR20170112819A (ko) 2017-10-12
KR101809827B1 true KR101809827B1 (ko) 2017-12-15

Family

ID=6014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463A KR101809827B1 (ko) 2016-04-01 2016-04-01 계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8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313B1 (ko) 2021-03-05 2021-06-18 주식회사 월드인텍 분기회로 보호용 온도 과부하 및 과전압 감시 시스템
KR20220105751A (ko) * 2021-01-21 2022-07-28 엘에스일렉트릭(주) 차단기의 온도 감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650871T3 (da) 2018-11-08 2024-02-26 Nkt Hv Cables Ab Strømkabelmålesystem
KR102539208B1 (ko) * 2023-03-22 2023-06-01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에너지 측정용 변류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723A (ja) 1999-02-04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分電盤
KR200337636Y1 (ko) * 2003-09-27 2004-01-03 주식회사 남전사 관통형 전자식 전력량계
KR101208351B1 (ko) 2011-06-07 2012-12-10 주식회사 루텍 스플릿 타입 관통형 계측 장치
KR101313281B1 (ko) * 2012-02-23 2013-09-30 주식회사 루텍 스플릿 코일을 가진 고정 설치형 계측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723A (ja) 1999-02-04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分電盤
KR200337636Y1 (ko) * 2003-09-27 2004-01-03 주식회사 남전사 관통형 전자식 전력량계
KR101208351B1 (ko) 2011-06-07 2012-12-10 주식회사 루텍 스플릿 타입 관통형 계측 장치
KR101313281B1 (ko) * 2012-02-23 2013-09-30 주식회사 루텍 스플릿 코일을 가진 고정 설치형 계측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751A (ko) * 2021-01-21 2022-07-28 엘에스일렉트릭(주) 차단기의 온도 감시 장치
KR102604924B1 (ko) 2021-01-21 2023-11-23 엘에스일렉트릭(주) 차단기의 온도 감시 장치
KR102266313B1 (ko) 2021-03-05 2021-06-18 주식회사 월드인텍 분기회로 보호용 온도 과부하 및 과전압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819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827B1 (ko) 계측기
KR20090126488A (ko) 모니터링이 가능한 조립식 전원분배장치
US20090116174A1 (en) Switchgear Cabinet Assembly or Rack Assembly
US20210042113A9 (en) Energy metering with temperature monitoring
KR20110131991A (ko) 분기전력 측정기 및 그것이 적용된 분전반
EP2985779B1 (en) Fuseholder base
KR101434600B1 (ko)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CN207504335U (zh) 一种智能母排系统
EP2779200B1 (en) Measurement module for a fuse block base
KR101798760B1 (ko) 계측기
KR100991417B1 (ko) 누설전류의 상시 검출이 가능한 접지 단자함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200489B1 (ko) 지중 저압 분전함용 일체형 전압 변류기
KR20170123086A (ko) 계측기
KR100971996B1 (ko) 수배전반의 전력 제어 표준화를 위한 하네스 연결 장치
KR101208351B1 (ko) 스플릿 타입 관통형 계측 장치
CN105449573A (zh) 具有电流计量的中压电气保护装备
AU2012396428B2 (en) Current transformer and load interrupter having such a current transformer
KR101457625B1 (ko)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KR101138735B1 (ko) 접지 부스바 통전 전류를 이용한 누설 수배전반 위치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170117764A (ko) 플렉서블 부스바를 적용한 내진형 수배전반
KR102675588B1 (ko) 태양광 발전 장치의 종합 감지 시스템
KR20080003282U (ko) 배전반 통합 감시장치
KR102501361B1 (ko) 화재 감지 기능을 포함한 태양광 종합 감지 시스템
KR102576980B1 (ko) 전력 모니터링 설비를 구비한 분전반
KR102501359B1 (ko) 싱글 화재 감지 선형 케이블에 의한 태양광 발전 장치 화재 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