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495B1 -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 Google Patents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495B1
KR100449495B1 KR1020040006756A KR20040006756A KR100449495B1 KR 100449495 B1 KR100449495 B1 KR 100449495B1 KR 1020040006756 A KR1020040006756 A KR 1020040006756A KR 20040006756 A KR20040006756 A KR 20040006756A KR 100449495 B1 KR100449495 B1 KR 100449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circuit board
fixing
fixing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익
Original Assignee
(주)한석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석테크 filed Critical (주)한석테크
Priority to KR1020040006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5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mechanical asp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수납부에 마련되는 액정표시부를 전력량계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전환하여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 출력선이 분리 접속되도록 입력측 단자대와 출력측 단자대를 각각 가지며, 전력 소비량을 연산하여 액정표시부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식 전력량계에 있어서, 본체 중앙의 수납부 내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한쌍의 고정봉 및 이들 고정봉 사이의 직교하는 위치에 마련된 보조고정봉에 의해 액정표시부가 장착된 회로기판의 위치를 상하, 좌우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A change direction possible of liquid crystal display part for electricity meter}
본 발명은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수납부에 마련되는 액정표시부를 전력량계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전환하여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 주택이나 각종 건물에는 소비되는 전력을 검침하기 위한 전력량계가 설치되어 전력소비에 따른 적정한 사용요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량계는, 그 작동방식에 따라 기계식 및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자식 전력량계의 경우 기계식에 비해 검침값의 신뢰도가 높고 안정적임은 물론 내부 회로의 집적화에 의해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 전자식 전력량계(10A)는 본체(11)의전방 상부에 액정표시부(12)를 가지는 패널(13)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패널(13)의 하단부에는 입, 출력선(14a,14b)이 각각 연결되는 단자대(15)가 부설되어 있고, 전력의 공급상태를 본체(11)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변류기(16)에서 검출함과 동시에 그 소비량을 연산하여 상기 액정표시부(1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2536호(2000.03.07 등록)에는, 도 1b에서와 같이 전력량계(20A)를 구성하는 본체(21) 내의 대략 중앙에 액정표시부(22)를 배설함과 동시에 그 상, 하측에 입력측 단자대(23a) 및 출력측 단자대(23b)를 상기 본체(21)에 일체형으로 부설하고, 양단에 터미널(25a)이 형성된 동대(25)를 본체(21) 내에 배치하여 입력선(24a) 및 출력선(24b)이 접속되도록 한 입출력 분리형 전자식 전력량계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전력량계(20A)에 있어서는, 상기 어느 한쪽의 동대(25)에 마련되어 있는 변류기(26)에 의해 공급전력을 검출함과 동시에 소비량을 연산하여 액정표시부(22)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통상의 전자식 전력량계에 있어서는, 액정표시부가 장착되어 있는 회로기판을 본체의 수납부 내에 설치된 지지대 상에 끼워맞추거나 혹은 고정나사에 의해 취부시키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사용처의 설치상황에 따라 상하, 좌우타입의 계량기를 별도로 제작하여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결국 제품의 생산비용을 증가시켜 단가를 높이는 요인이 되는 것임은 물론 타입별로 부품을 확보해야 하는 등의 불합리한 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수납부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전환시킬 수 있게 하여 액정표시부 및 명판의 위치변경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전력량계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상하, 좌우로 배치할 수 있는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전자식 전력량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상2선식 전자식 전력량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리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상기 전력량계가 상하,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리 정면도,
도 5는 상기 전력량계의 상측 커버부분을 절단하여 나타낸 내부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3상4선식 전력량계의 정면도,
도 8은 상기 전력량계에 적용되는 제1 및 제2회로기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본체의 내부 구성도,
도 9a 및 도 9b는 제1 및 제2회로기판의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상기 전력량계의 상측 커버부분을 절단하여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20A: 전력량계 11,21:본체
12,22:액정표시부 13: 패널
14a,24a: 입력선 14b,24b: 출력선
15: 단자대 15a,25a: 터미널
16,26: 변류기 23a,23b: 단자대
25: 동대(銅臺) 30A,50A: 전력량계
31,51: 본체 32,52: 수납부
33,53: 액정표시부 34: 회로기판
34a: 삽입공 35: 걸림고리
36: 명판 36a: 투시구
36b: 관통공 37: 커버
37a: 봉인부 38: 고정나사
39a,39b: 단자대 40a,40b: 터미널블록
41: 입력선 42: 출력선
43a,43b: 커버 44a,44b: 고정나사
45a,45b: 고정봉 46: 보조고정봉
47a,47b: 고정봉 48a,48b: 걸림턱
49a,49b: 고정판 54A: 제1회로기판
54B: 제2회로기판 54a,54b: 삽입공
55a,55b: 제1고정봉 56a,56b: 제2고정봉
57: 보조고정봉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 출력선이 분리 접속되도록 입력측 단자대와 출력측 단자대를 각각 가지며, 전력 소비량을 연산하여 액정표시부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식 전력량계에 있어서, 본체 중앙의 수납부 내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한쌍의 고정봉 및 이들 고정봉 사이의 직교하는 위치에 마련된 보조고정봉에 의해 액정표시부가 장착된 회로기판의 위치를 상하, 좌우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중앙의 수납부 내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한쌍의 제1고정봉 및 이들 제1고정봉 사이에 마련된 한쌍의 제2고정봉에 의해 제1 및 제2회로기판을 2단으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고정봉의 사이에 보조고정봉이 마련되어 액정표시부를 가지는 제2회로기판의 위치를 상하, 좌우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봉 사이의 직교하는 위치에 한쌍의 고정판이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판들의 상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회로기판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삽입공들이 형성되어 고정봉 및 보조고정봉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의 상측에는 이 회로기판의 위치에 따라 방향전환이 가능한 명판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명판에는 투시구 및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삽입공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회로기판은 제2고정봉 상에 설치되고, 제2회로기판은 제1고정봉 및 보조고정봉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는 단상2선식 전력량계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기 전력량계(30A)를 구성하는 본체(31)의 중앙에는 대략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진 수납부(3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수납부(32)에는 전력 소비량을 계측하고 연산하여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부(33)를 가지는 회로기판(34)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31)의 수납부(32) 상측에는 걸림고리(35)가 형성되어 명판 (36)을 개재하여 커버(37)의 상단부를 끼워 유지시킴과 동시에 하단부를 고정나사 (38)로서 장착시키게 되며, 상기 커버(37)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봉인부(37a)를 밀봉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31)의 양측에는 입, 출력측 단자대(39a,39b)가 서로 대향하여 각각 배치되어 있고, 이 단자대(39a,39b) 내에는 터미널을 수용하는 터미널블록(40a,40b)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관통공들을 통해 입력선(41) 및 출력선 (42)을 연결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들 각 단자대(39a,39b)에도 커버(43a,43b)가 씌워져 고정나사(44a,44b)에 의해 장착된다.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34)은 본체(31)의 수납부(32) 내에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액정표시부(33)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동시에 명판(36)의 부착위치를 전환시키는 것에 의해 전력량계(30A)의 설치상황에 따라 상하, 좌우의 방향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본체(31) 중앙의 수납부(32) 내에 한쌍의 고정봉(45a,45b)이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봉(45a,45b)들 사이의 직교(直交)하는 위치에는 보조고정봉(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의 고정봉(45a) 및 보조고정봉(46)의 상단에는 단차(도시생략)가 형성되어 회로기판(34)을 걸림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이 회로기판(34)에는 사방 가장자리에 삽입공(34a)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봉(45a) 및 보조고정봉(46)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34)의 상측에는 이 회로기판(34)의 방향전환, 즉 액정표시부(33)의 위치에 따라 방향전환이 가능한 명판(36)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명판(36)에는 투시구(36a) 및 관통공(36b)이 형성되어 커버(37)에 의해 씌워짐과 동시에 고정나사(38)로서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력량계(30A)의 설치방향에 따라 본체(31) 내의 고정봉(45a,45b) 또는 보조고정봉(46) 상에서 회로기판(34)의 위치를 상하, 좌우로 설정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액정표시부(33)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34) 상의 명판(36)을 회동시켜 이 명판(36)에 형성된 투시구(36a)를 상기 액정표시부(33)의 위치와 일치시킴과 동시에 커버(37) 외측의 고정나사(38)를 고정봉(45a)이나 보조고정봉(46)에 선택적으로 체결함에 따라 전력량계(30A)의 설치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력량계(30A)를 구성하는 본체(31)의 상하방향으로 회로기판(34)이 설치되는 경우에 회로기판(34)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예를 나타낸 것이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31)의 수납부(32) 내에 한쌍의 고정봉(47a, 47b)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이들 고정봉(47a,47b) 사이에 걸림턱(48a, 48b)을 가지는 한쌍의 고정판(49a,49b)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6b에서와 같이 본체(31)의 수납부(32) 내에 좌우방향으로 한쌍의 고정봉(47a, 47b)이 형성된 본체(31)를 마련하여 회로기판(34)을 좌우방향으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정표시부(33)의 위치를 상하, 좌우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7a, 도 7b 내지 도 10은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3상4선식 전력량계(50A)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술한 단상2선식 전력량계(30A)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3상4선식 전력량계(50A)의 경우에는, 입력선(41) 및 출력선(42)이 4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입, 출력측의 단자대(39a,39b)에 설치되는 터미널블록(40a, 40b)에도 각각 4개의 터미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커버(37,43a,43b)들이 씌워짐과 동시에 고정나사(38,44a,44b)들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3상4선식 전력량계(50A)에 있어서는, 가급적 전력량계(50A)의 크기를 고려하여 본체(51)의 수납부(52)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을 제1 및 제2회로기판 (54A,54B)으로 분할 배치됨과 동시에 제2회로기판(54B)에 액정표시부(53)가 마련되어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본체(51) 중앙의 수납부(52) 내에 수직으로 세워 형성된 한쌍의 제1고정봉(55a,55b)을 가지며, 이들 제1고정봉(55a,55b) 사이의 직교하는 위치에는 한쌍의 제2고정봉(56a,56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고정봉(56a,56b) 사이의 일측에 보조고정봉(57)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51)의 수납부(52)에는 둘로 분할된 제1 및 제2회로기판(54A ,54B)이 2단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회로기판(54A)에 형성된 삽입공(54a)이 제2고정봉(56a,56b) 상에 안착되어 고정 설치되고, 액정표시부(53)가 장착된 제2회로기판(54B)의 삽입공(54b)들은 제1고정봉(55a,55b) 및 보조고정봉 (57)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회로기판(54B)의 상측에는 이 제2회로기판(54B)의 위치에 따라 방향전환이 가능한 명판(36)이 장착됨과 동시에 커버(37)에 의해 씌워져 고정나사(38)로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체(51)의 수납부(52)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제2고정봉(56a,56b) 상에 제1회로기판(54A)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공(54a)이 끼워짐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스크류로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이 제1회로기판(54A)의 상측에는 제1고정봉(55a,55b) 및 보조고정봉(57) 상에 제2회로기판(54B)의 삽입공(54b)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회로기판(54A,54B)을 2단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량계(50A)의 설치방향에 따라 본체(51) 내의 제1고정봉(55a,55b) 또는 보조고정봉(57) 상에서 제2회로기판(54B)의 위치를 상하, 좌우로 설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액정표시부(53)의 방향을 임의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명판(36) 및 커버(37)를 씌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에 의하면, 본체의 수납부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액정표시부의 위치변경을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명판의 위치를 간단히 바꾸어 줄 수 있으므로, 전력량계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액정표시부를 항상 정위치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력량계의 설치방향에 따른 상하, 좌우타입의 계량기를 별도로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품의 제조원가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되며, 동일 부품을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부품의 제고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입, 출력선이 분리 접속되도록 입력측 단자대와 출력측 단자대를 각각 가지며, 전력 소비량을 연산하여 액정표시부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식 전력량계에 있어서,
    본체(31) 중앙의 수납부(32) 내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한쌍의 고정봉 (45a,45b) 및 이들 고정봉(45a,45b) 사이의 직교하는 위치에 마련된 보조고정봉 (46)에 의해 액정표시부(33)가 장착된 회로기판(34)의 위치를 상하, 좌우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45a,45b) 사이의 직교하는 위치에 한쌍의 고정판(49a,49b)이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판(49a,49b)들의 상단부에 걸림턱(48a,48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34)의 가장자리에 삽입공(34a)들이 형성되어 고정봉(45a,45b) 및 보조고정봉(46)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34)의 상측에는 이 회로기판(34)의 위치에 따라 방향전환이 가능한 명판(36)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명판(36)에는 투시구 (36a) 및 관통공(36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5. 입, 출력선이 분리 접속되도록 입력측 단자대와 출력측 단자대를 각각 가지며, 전력 소비량을 연산하여 액정표시부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식 전력량계에 있어서,
    본체(51) 중앙의 수납부(52) 내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한쌍의 제1고정봉 (55a,55b) 및 이들 제1고정봉(55a,55b) 사이에 마련된 한쌍의 제2고정봉(56a,56b)에 의해 제1 및 제2회로기판(54A,54B)을 2단으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고정봉(56a,56b)의 사이에 보조고정봉(57)이 마련되어 액정표시부 (53)를 가지는 제2회로기판(54B)의 위치를 상하, 좌우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로기판(54A,54B)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삽입공(54a,54b)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회로기판(54A)은 제2고정봉(56a,56b) 상에 설치되고, 제2회로기판(54B)은 제1고정봉(55a,55b) 및 보조고정봉(57)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로기판(54B)의 상측에는 이 제2회로기판(54B)의 위치에 따라 방향전환이 가능한 명판(36)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KR1020040006756A 2004-02-02 2004-02-02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KR100449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56A KR100449495B1 (ko) 2004-02-02 2004-02-02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56A KR100449495B1 (ko) 2004-02-02 2004-02-02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9495B1 true KR100449495B1 (ko) 2004-09-20

Family

ID=3736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756A KR100449495B1 (ko) 2004-02-02 2004-02-02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4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815B1 (ko) * 2016-05-25 2017-03-14 피에스텍주식회사 전방향성 전력량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815B1 (ko) * 2016-05-25 2017-03-14 피에스텍주식회사 전방향성 전력량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7949B2 (en) Electronic meter having user-interface and central processing functionality on a single printed circuit board
US9632112B2 (en) Power meter configured for rear and side expansion
CN100430733C (zh) 用于电工仪表的模块化外壳及其安装组件
US8243423B2 (en) Expandable meter center employing digital electronic meter assemblies
US8004271B2 (en) Self contained kilowatt-hour meter integral to standard load center
KR100449495B1 (ko) 액정표시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AU651404B2 (en) Electronic electricity meter
US6614219B2 (en) Metering assembly
KR100435779B1 (ko) 단일접속 단자형 전자식 전력량계
KR100807364B1 (ko) 전자식 전력량계
KR100450599B1 (ko) 전자식 전력량계
US6624534B1 (en) Optional meter panel utilizing a current transformer, for use with a transfer switch
KR100451307B1 (ko) 전자식 전력량계
JP4958282B2 (ja) ブレーカユニット
KR200349927Y1 (ko) 보조단자판이 부설된 전자식 전력량계
JP2000230945A (ja) 分電盤
CN103368078B (zh) 一种船用母线式断路器适配器
KR20020057896A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전원 접속단자
JP2010268648A (ja) 電気機器収納用箱
KR200350468Y1 (ko) 전자식 전력량계
KR200382091Y1 (ko) 통신 모뎀의 착탈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CN209673888U (zh) 一种用能计量辅助装置
JP2019110709A (ja) 電源装置
KR100449494B1 (ko) 터미널블록 교체형 전자식 전력량계
CN214750482U (zh) 一种可远程传输数据的恒温电能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