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989A -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통신 정보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통신 정보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989A
KR20040027989A KR10-2004-7002613A KR20047002613A KR20040027989A KR 20040027989 A KR20040027989 A KR 20040027989A KR 20047002613 A KR20047002613 A KR 20047002613A KR 20040027989 A KR20040027989 A KR 20040027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digital broadcast
data transmission
broadcast program
re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오타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7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9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91Access to open networks; Ingress point selection, e.g. ISP selection
    • H04L12/5692Selection among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7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modulating an analogue carrier signal to encode digital information or demodulating it to decode digital information, e.g. ADSL or cable mod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7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87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telephone network, e.g. 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전화 회선을 통한 통신 형태 및 인터넷을 통한 통신 형태의 어느 통신 형태로도 실현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이다.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모뎀을 구비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BASIC 순서를 기술한 메서드를 검출하여 송수신 동작에 관한 데이터 처리 내용을 해독하는 해독 수단을 마련하고, 해독된 데이터 처리 내용에 의거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의해 IP 패킷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통신 정보 전송 방법{DIGITAL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디지털 텔레비전(이하, DTV라고 칭한다), 셋톱박스(이하, STB라고 칭한다) 등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는, BS 디지털 방송 등의 디지털 방송에 관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예를 들면 방송국 소유의 응답용의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는 쌍방향 통신 기능이 실현되어 있다. 이 쌍방향 통신 기능에 관해서는, 현재로서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24O0bps의 모뎀을 이용한 피어투피어(peer to peer) 통신용의 통신 규격인 X.28의 BASIC 순서를 채용하고 있다.
근래, 인터넷망이 발달함으로써, 고속이며 염가 통신을 실현할 수 있는 것, 또한 폭주를 분산할 수 있는 것 등의 이점을 감안하여, 종래와 같은 BASIC 순서에 의거한 전화 회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대신에, TCP/IP에 의거한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함에 의해 상기한 쌍방향 통신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런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는 기능을 구비하였다 하여도, 모든 방송국이 응답 서버로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를 사용하는 운용 형태로 이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방송국측에서는, 기존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의 편의를 고려하여, BASIC 순서에 의거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는 서비스 형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쌍방향 통신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방송 컨텐츠 내에서, 데이터 방송 기술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BASIC 순서에 의거한 통신 형태를 실현하는 메서드(처리 순서)를 반드시 기술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운용상의 제약이 부과되어 있는 환경에 있어서, TCP/IP에 의거한 통신 형태도 실현하기 위해서는, TCP/IP에 의거한 통신 형태를 실현하는 메서드를 기술함과 함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통신 수단에 응하여, 적절히 방법을 전환하는 처리 순서도 기술할 필요가 있고, 쌍방향 통신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전체적인 메서드의 작성에 수고가 듦과 함께 작성 비용이 높아진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를, 전화 회선용의 쌍방향 서버와 구별하기 위해, 적절히 쌍방향 WEB 서버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BS 디지털 방송 등의 디지털 방송에 관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응답용의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전화 회선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해당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데이터 방송 기술 스크립트에 의해 기술된 공통의 메서드(처리 순서)에 의거하여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정보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쌍방향 통신 기능을 실현하는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방송 사업자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방송 사업자 정보의 취득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사용 통신 형태 설정 화면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실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대략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데이터 송수신용의 메서드를 기술한 ECMA 스크립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 1의 통신 형태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제 2의 통신 형태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제 3의 통신 형태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전화 회선을 통한 통신 형태 및 인터넷을 통한 통신 형태의 어느 통신 형태로도 실현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기술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작성된 공통의 메서드를 이용하여, 전화 회선을 통한 통신 형태 및 인터넷을 통한 통신 형태의 어느 통신 형태에서도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방송국측에서 통지하는 통신 정보 전송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 송수신을 전화 회선을 통하여 실시하기 위한 모뎀을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수신한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넷을 통하여 고속이며 염가로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수신한 방송프로그램에 관해 방송국측에서 전화 회선용의 쌍방향 서버밖에 준비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도, 해당 모뎀을 이용함으로써, 방송국측에서 준비된 응답용의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의 IP 어드레스가 소정의 규약에 따라 기록된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IP 어드레스를 판독하는 어드레스 판독 수단을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내에 미리 각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쌍방향 서버에 관한 액세스 정보를 등록하여 둘 필요도 없어져서 데이터 송수신에 관한 시스템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또한 방송국측에서는 각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쌍방향 서버에 관한 액세스 정보를 방송파에 의해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해 준비하는 쌍방향 서버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의 IP 어드레스, 및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전화 회선용의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BASIC 순서에 의거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한 메서드가 소정의 규약에 따라 기록된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IP 어드레스를 판독하는 어드레스 판독 수단과, 상기 메서드를 검출하여 송수신 대상의 데이터 자체 또는 송수신 동작에 관한 데이터 처리 내용을 해독하는 해독 수단을 구비하고, 해독된 데이터 자체 또는 데이터 처리 내용에 의거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의해 IP 패킷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공통의 메서드에 의거하여, 전화 회선을 통한 통신 형태 및 인터넷을 통한 통신 형태의 어느 통신 형태를 이용하여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송수신을 실현하기 위한 메서드의 작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해당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이 전화 회선을 통하여 실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 1의 사용 회선 표시 수단과, 해당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이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 2의 사용 회선 표시 수단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을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고 있는 통신 회선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해당 데이터 송수신에 관한 비용 등을 유저 측에서 대강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에 관한 통신 정보 전송 방법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방송국측에서 준비한 응답용의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의 실시를 지원하도록, 방송국측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방송국측에서 준비한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BASIC 순서에 의거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한 메서드와,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적어도 갖고 구성되는 방송 사업자 정보를, 해당 방송프로그램을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의해 소정의 규약에 의거하여 전송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IP 어드레스를 판독하는 어드레스 판독 수단과, 메서드를 검출하여 송수신 대상의 데이터 자체 또는 송수신 동작에 관한 데이터 처리 내용을 해독하는 해독 수단을 구비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공통의 메서드에 의거하여 전화 회선을 통한 통신 형태 및 인터넷을 통한 통신 형태의 어느 통신 형태를 이용하여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송수신을 실현하기 위한 메서드의 작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에 관한 통신 정보 전송 방법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방송국측에서 준비한 응답용의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의 실시를 지원하도록, 방송국측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방송국측에서 준비한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BASIC 순서에 의거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한 메서드와,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가 준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해당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적어도 갖고 구성된 방송 사업자 정보를, 해당 방송프로그램을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의해 소정의 규약에 의거하여 전송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가 준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관해, 신속하면서 확실하게 적절한 통신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에 관한 통신 정보 전송 방법은, 방송 사업자 정보에, 해당 방송 사업자 정보에 관한 갱신이 있은 경우에도, 각각의 방송 사업자 정보가 작성된 순서를 특정 가능하게 하는 버젼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해당 방송 사업자 정보가 기(旣)등록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기등록의 경우에는 해당 방송 사업자 정보에 의거하여 작성된 통신용 파일 등의 이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의 통신 회선의 설정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원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기재된 실시예의 각 요소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각 요소와의 대응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실시예의 각 요소에 각각 대응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각 요소를 본원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설명문중에서 적절히 괄호 기입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쌍방향 통신 기능을 실현하는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1은 디지털 방송용 위성, 2는 디지털 방송용 위성(1)으로부터 송신되는 방송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3은 안테나(2)로부터 입력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유저 소망의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영상 신호 등을 취출하여 영상 표시 등을 하는 DTV(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4는 전화 회선을 통하여 DTV(3)와 접속되는 쌍방향 서버, 5, 6은 인터넷을 통하여 DTV(3)와 접속되는 쌍방향 WEB 서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 11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내의 시스템 버스, 12는 시스템 버스(11)을 통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내의 각 하드웨어 컴포넌트와 접속하여 각 컴포넌트에 대한 통괄적인 제어를 실행하는 CPU, 13은 복수 채널중에서 유저 소망의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채널을 선국하는 튜너, 14는 디지털 복조를 실시하는 8PSK 복조기, 15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해독하여 각종 데이터로 분리하는 TS 디코더, 16은 압축 음성 데이터를 신장 처리하는 음성 디코더, 17은 압축 영상 데이터를 신장 처리하는 영상 디코더, 18은 영상 출력을 영상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방송 컨텐츠 내에 포함되는 방송프로그램 정보 등으로 전환하는 처리, 또는 영상 데이터에 방송프로그램 정보 등을 중첩하여 영상 출력으로 하는 처리 등을 실시하는 화상 합성 회로, 19는 리모트 컨트롤러, 20은 리모트 컨트롤러(19)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유저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21은 유저 정보, 방송 사업자 정보 등을 기억하는 NVRAM, 22는 전원 투입시에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하드웨어 조작용의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 등을 항구적으로 격납하는 판독 전용 메모리로서의 ROM, 23은 CPU(12)의 실행 프로그램·코드를 로드하거나 실행 프로그램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이용되는 RAM, 24는 각종 데이터를 전화 회선을 통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모뎀, 25는 각종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6은 상기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수신 장치이다.
또한, 도 2에서는, BS 디지털 방송을 수신 대상으로 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장치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CS 디지털 방송 또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수신 대상으로 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해서도, 디지털 복조를 실시하는 복조 방식이 다르게는 되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같은 장치 구성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또한, RAM(23)에는, 방송프로그램 배열 정보(SI(Service Information))의 테이블의 하나인 BIT(Broadcaster Information Table)를 검출하고, 해당 BIT에 기록되어 있는 후술하는 방송 사업자 정보를 판독하는 프로그램이 로드된다. TS 디코더(15)로부터 분리 출력되는 TS 패킷에 대해, CPU(12)에 의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BIT를 검출하고 방송 사업자 정보의 하나인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판독하는 어드레스 판독 수단이 구현화된다. 또한, RAM(23)에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BASIC 순서에 의거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한 메서드를 검출하여 메서드의 기술 내용을 해독하는 프로그램이 로드된다. TS 디코더(15)로부터 분리 출력되는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대해, CPU(12)에 의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기록된 상기 메서드를 검출하고 송수신 대상의 데이터 자체 또는 송수신 동작에 관한 데이터 처리 내용을 해독하는 해독 수단이 구현화된다.
다음에,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대략적인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안테나(2)는, 지상 방송국 또는 디지털 방송용 위성(1)으로부터 송신된 BS디지털 방송에 관한 방송파, CS 디지털 방송에 관한 방송파 또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 관한 방송파를 수신하고, 부설되어 있는 안테나 회로에 의해, 수신된 RF 신호를 다운 컨버트한다. 튜너(13)는, CPU(12)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유저 소망의 방송프로그램이 전송되는 채널에 대응하는 중간 주파 신호를 취출하는 선국 동작을 실시한다. 8PSK 복조기(14)는, 튜너(13)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8PSK 복조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한다. 이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주로 MPEG2 압축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와 데이터 방송 컨텐츠가 다중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후자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로서는, 예를 들어 EPG(Electric Program Guide : 전자 방송프로그램 가이드)와 같은 방송프로그램 정보 등이 주어진다.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에는, 방송 용도에 소정의 주기로 테이블이나 기술자의 형태로 송출되는 방송프로그램 배열 정보(SI)가 포함된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해 데이터 방송 기술 스크립트의 표준 사양인 ECMA 스크립트에 의해 기술된 메서드에 관해서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내에서 데이터 주기전송(data carrousel) 방식에 의해 데이터 방송 컨텐츠로서 전송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실시되는 데이터 송수신의 통신 형태에 관한 설정을 지원하도록 주어지는 방송 사업자 정보에 관해서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트랜스포트 스트림 내에서 SI의 테이블의 하나인 BIT에 기록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TS 디코더(15)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각 TS 패킷을 판별하고, 각 TS 패킷에 관한 데이터를, MPEG2 압축된 영상 데이터와, MPEG2 압축된 음성 데이터와, 데이터 방송 컨텐츠 및 BIT 등의 부수 정보로 분리한다. 이 때, TS 디코더(15)는, 압축 영상 데이터를 영상 디코더(17)에 출력하고, 압축 음성 데이터를 음성 디코더(16)에 출력하고, 데이터 방송 컨텐츠 및 부수 정보를 시스템 버스(11)를 통하여 CPU(12)에 의해 관리되는 NVRAM(21), RAM(23) 등의 기억 수단에 출력한다. 음성 디코더(16)는, 압축 음성 데이터를 디코드하고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영상 디코더(17)는, 압축 영상 데이터에 대해 MPEG2 신장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원래의 영상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화상 합성 회로(18)는, TS 디코더(15)에 의해 분리 출력되고 기억 수단에 격납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CPU(12)로부터의 명령에 응하여, 영상 디코더(17)로부터의 영상 신호로 전환하여 방송프로그램 정보 등을 영상 출력하거나, 또는 영상 디코더(17)로부터의 영상 신호에 방송프로그램 정보 등을 중첩하여 영상 출력하는 처리 등을 실시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9)는 방송프로그램의 선택 등에 관한 유저 지시 정보를 적외선에 의해 인터페이스 회로(20)에 송신하고, 인터페이스 회로(20)는 시스템 버스(11)를 통하여 해당 유저 지시 정보를 CPU(12)에 송신한다.
다음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실시되는 데이터 송수신에 관한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실시되는 데이터 송수신의 통신 형태에 관한 설정을 지원하도록 방송국측에서 송출되는 방송 사업자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사업자 정보는, 디지털 방송의 종류별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로서 주어지는 네트워크 번호와, 방송 사업자를 특정하는 식별 정보로서 주어지는 방송 사업자 번호와, 방송 사업자에 의해 송신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쌍방향 WEB 서버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로서 주어지는 사이트 맵 플래그와, 상기 쌍방향 WEB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쌍방향 WEB 서버 어드레스와, 해당 방송 사업자 정보의 버젼을 나타내는 사이트 맵 버젼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BIT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진 방송 사업자 정보에 관해서는, NVRAM(21)의 소정의 기억 영역 내에서, 방송 사업자마다 즉 방송 사업자 번호에 대응시켜서 사이트 맵 플래그, 쌍방향 WEB 서버 어드레스 및 사이트 맵 버젼을 등록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네트워크 번호와 방송 사업자 번호로 이루어지는 방송 사업자 정보는, 현행의 방송 시스템에서도 전송되고 있고, 기존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서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구조의 방송 사업자 정보로부터 네트워크 번호 및 방송 사업자 번호를 판독할 수 있다.
도 4는 방송 사업자 정보의 취득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유저에 의해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19)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방송프로그램이 선택되면, 튜너(13)는, CPU(12)로부터의 명령에 응하여, 유저 소망의 방송프로그램이 전송되는 채널을 선국하고, 대응하는 중간 주파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1). 선국 동작이 완료되고 8PSK 복조기(14)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출력되면, TS 디코더(15)에 의해 분리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나 SI 등에 관한 TS 패킷의 패킷 식별자(PID)를 참조하여, 해당 TS 패킷이 BIT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 BIT가 검출되면,BIT로부터 방송 사업자 정보를 판독하고, 해당 방송 사업자 정보를 예를 들면 NVRAM(21)의 버퍼 영역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스텝 S3). 또한, 스텝 S2에서, BIT가 검출되지 않으면, BIT가 검출될 때까지 스텝 S2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다음에, 판독된 방송 사업자 정보의 사이트 맵 플래그를 참조하여, 사이트 맵 플래그가 온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 사이트 맵 플래그가 온 하고 있는 것은, 방송국측에서 송출한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응답 서버로서의 쌍방향 WEB 서버가 준비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방송 사업자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NVRAM(21) 내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 등록될 가능성을 갖는 등록 대상 정보로서 취급된다. 따라서 사이트 맵 플래그가 온 하고 있는 경우에는, 판독된 방송 사업자 정보의 사이트 맵 버젼과 이미 해당 방송 사업자에 관해 등록되어 있는 방송 사업자 정보의 사이트 맵 버젼을 비교하고, 판독된 방송 사업자 정보에 관한 사이트 맵 버젼쪽이 새로운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 또한, 사이트 맵 플래그가 오프 하고 있는 것은, 방송국측에서 송출한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응답 서버로서의 쌍방향 WEB 서버가 준비되어 있지 않고,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은, 종래와 같이 BASIC 순서를 채용함으로써 실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스텝 S5에서, 판독된 방송 사업자 정보에 관한 방송 사업자에 관해 방송 사업자 정보의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판독된 방송 사업자 정보에 관한 사이트 맵 버젼이 최신의 것이라고 판정한다.
다음에, 스텝 S5에서, 판독된 방송 사업자 정보의 버젼이 기등록의 방송 사업자 정보의 버젼보다도 새로운 것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방송 사업자마다 등록되어 있는 방송 사업자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있고, NVRAM(21) 내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서, 해당 방송 사업자에게 대응시켜서 사이트 맵 플래그, 쌍방향 WEB 서버 어드레스 및 사이트 맵 버젼을 등록한다(스텝 S6).
다음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수신된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응답용의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에 관한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전화 회선 접속용의 모뎀(24)과 인터넷 접속용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송수신을 실현하는 통신 형태에 관해서는, 모뎀(24)을 이용하여 전화 회선을 통하여 쌍방향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의 통신 형태, 모뎀(24)을 이용하여 전화 회선을 통하여 예를 들면 프로바이더에 의해 관리되는 인터넷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함과 함께 인터넷을 통하여 쌍방향 WEB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의 통신 형태,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통하여 쌍방향 WEB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의 통신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의 통신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사용하는 통신 형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사용 통신 형태 설정 화면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 가능한 통신 형태에 각각 부기된 "□"로 도시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선택 테두리를 체크함으로써 사용하는 통신 형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모뎀을 이용하여 전화 회선을 통하여 인터넷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함과 함께 인터넷을 통하여 쌍방향 WEB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의 통신 형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설정 화면을 이용하여 "프로바이더 전화번호", "유저명",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등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쌍방향 WEB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의 통신 형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IP 어드레스", "서브네트 마스크", "디폴트 게이트웨이", "머신명", "DSN 설정" 등의 정보를 등록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실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대략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TS 디코더(15)에 의해 분리 출력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을 참조하여, 데이터 방송 기술 스크립트의 표준 사양인 ECMA 스크립트에 의해 기술된 데이터 송수신용의 메서드를 검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 도 7은 데이터 송수신용의 메서드를 기술한 ECMA 스크립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송수신용의 메서드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의해 액세스되는 쌍방향 서버에 전화 회선을 통하여 접속하기 위한 함수 "browser.connect", 쌍방향 서버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함수 "browser.sendTextData", 쌍방향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함수 "browser.receiveTextData",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 설정된 회선을 절단하기 위한 함수 "browser.disconnect" 등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스텝 S11의 처리는, 데이터 송수신용의 메서드가 검출될 때까지 반복 실시되고, 데이터 송수신용의 메서드가 검출되면, 수신하고 있는 방송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방송 사업자 정보를 참조하여, 사이트 맵 플래그가 "온"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사이트 맵 플래그가 오프 하고 있는것은, 방송국측에서 송출한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응답 서버로서의 쌍방향 WEB 서버가 준비되어는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은 BASIC 순서를 채용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다. 스텝 S12에서, 사이트 맵 플래그가 온 하고 있으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내에서 설정된 사용 통신 형태가 제 1의 통신 형태인지의 여부 즉 모뎀을 이용하여 전화 회선을 통하여 쌍방향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형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3).
스텝 S12에서 사이트 맵 플래그가 오프 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및 스텝 S13에서 사용 통신 형태로서 제 1의 통신 형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 1의 통신 형태를 사용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한다(스텝 S14). 또한, 스텝 S13에서, 사용 통신 형태로서 제 1의 통신 형태가 설정되어는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내에서 설정된 사용 통신 형태가 제 2의 통신 형태인지의 여부 즉 모뎀을 이용하여 전화 회선을 통하여 인터넷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함과 함께 인터넷을 통하여 쌍방향 WEB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형태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15).
스텝 S15에서, 사용 통신 형태로서 제 2의 통신 형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 2의 통신 형태를 사용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WEB 서버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한다(스텝 S16). 또한, 스텝 S15에서, 사용 통신 형태로서 제 2의 통신 형태가 설정되어는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3의 통신 형태를 사용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WEB 서버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한다(스텝 S17).
다음에, 각각의 통신 형태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최초에, 제 1의 통신 형태를 사용하여 디지털 방송 통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는 때의 처리 공정 즉 스텝 S14에 관한 상세한 처리 공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제 1의 통신 형태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검출된 메서드에 기술된 회로 접속용의 함수 "browser.connect"에 의거하여, BASIC 순서에 의해 전화 회선을 통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쌍방향 서버에 접속한다(스텝 S21). 다음에, 검출된 메서드에 기술된 데이터 송신용의 함수 "browser.sendTextData" 및 데이터 수신용의 함수 "browser.receiveTextData'에 의거하여, BASIC 순서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한다(스텝 S22). 그리고, 검출된 메소드에 기술된 회선 절단용의 함수 "browser.disconnect"에 의거하여, 쌍방 서버와의 사이에 설정된 회선을 절단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을 종료한다(스텝 S23).
다음에, 제 2의 통신 형태를 사용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는 때의 처리 공정 즉 스텝 S16에 관한 상세한 처리 공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제 2의 통신 형태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내에서 설정되어 있는 예를 들면 프로바이더에 의해 관리되는 인터넷의 액세스 포인트에 전화 회선을 통하여 접속한다(스텝 S31). 다음에, 수신한 방송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방송사업자 정보로부터 쌍방향 WEB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해당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응답용의 쌍방향 WEB 서버에 접속한다(스텝 S32). 다음에, 검출된 메서드에 기술된 회선 접속용의 함수 "browser.connect"를 확인한다(스텝 S33). 그런데, 검출된 메서드에서, 회선 접속용의 함수 "browser.connect" 이후에는,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한 함수가 순차적으로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이후의 처리에서는, 우선 기술되어 있는 함수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판독하는 동작을 실시한다(스텝 S34). 다음에, 판독된 함수가 송수신용의 함수인 함수 "browser.sendTextData" 또는 함수 "browser.receiveTextData"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5).
스텝 S35에서, 판독된 함수가 송수신용 함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이들 송수신용 함수에 의해 표현되는 송수신 동작에 관한 송수신 대상의 데이터 자체 또는 데이터 처리 내용을 해독하고, 쌍방향 WEB 서버와의 사이에서 TCP/IP에 의거하여 IP 패킷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한다(스텝 S36). 그리고, 스텝 S34로 복귀하고, 재차 스텝 S34의 처리를 실시한다. 스텝 S35에서, 판독된 함수가 송수신용 함수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메서드에 기술된 회선 절단용의 함수 "browser.disconnect"를 확인하고, 인터넷과의 액세스 포인트와의 사이에 설정된 회선을 절단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을 종료한다(스텝 S37).
다음에, 제 3의 통신 형태를 사용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는 때의 처리 공정 즉 스텝 S17에 관한 상세한 처리 공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제 3의 통신 형태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수신한 방송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방송 사업자 정보로부터 쌍방향 WEB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해당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응답용의 쌍방향 WEB 서버에 접속한다(스텝 S41). 다음에, 검출된 메서드에 기술된 회선 접속용의 함수 "browser.connect"를 확인한다(스텝 S42). 검출된 메서드에서, 회선 접속용의 함수 "browser.connect" 이후에는,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한 함수가 순차적으로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이후의 처리에서는, 우선 기술되어 있는 함수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판독하는 동작을 실시한다(스텝 S43). 다음에, 판독된 함수가 송수신용의 함수인 함수 "browser.sendTextData" 또는 함수 "browser.receiveTextData"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4).
스텝 S44에서, 판독된 함수가 송수신용 함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이들 송수신용 함수에 의해 표현되는 송수신 동작에 관한 송수신 대상의 데이터 자체 또는 데이터 처리 내용을 해독하고, 쌍방향 WEB 서버와의 사이에서 TCP/IP에 의거하여 IP 패킷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한다(스텝 S45). 그리고, 스텝 S43으로 복귀하고, 재차 스텝 S43의 처리를 실시한다. 스텝 S44에서, 판독된 함수가 송수신용 함수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메서드에 기술된 회선 절단용의 함수 "browser.disconnect"를 확인하고, 쌍방향 WEB 서버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종료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은, 상기한 바와 같이 모뎀(24)을 이용하여 전화 회선을 통하여 실시되거나(인터넷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된다. 따라서 유저가 데이터송수신을 실시하고 있는 회선을 식별하여 데이터 송수신에 걸리는 비용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송수신이 전화 회선을 통하여 실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예를 들면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기구(제 1의 사용 회선 표시 수단)나, 데이터 송수신이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기구(제 2의 사용 회선 표시 수단)를,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유저가 시인하기 쉬운 적절한 부위에 부설하는 것이 알맞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가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수신한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넷을 통하여 고속이며 염가로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가 데이터 송수신을 전화 회선을 통하여 실시하기 위한 모뎀(24)도 구비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수신한 방송프로그램에 관해 방송국측에서 전화 회선용의 쌍방향 서버밖에 준비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도, 모뎀(24)을 이용함으로써, 방송국측에서 준비된 응답용의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SI의 테이블의 하나인 BIT에, 방송 사업자 정보의 하나로서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기록하여 전송함과 함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가, BIT를 검출하여 BIT 내에 기록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내에 미리 각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쌍방향 서버에 관한 액세스 정보를 등록하여 둘 필요가 없어저서 데이터 송수신에 관한 시스템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또한 방송국측에서는 각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쌍방향 서버에 관한 액세스 정보를 방송파에 의해 흘리는 것이 가능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해 준비하는 쌍방향 서버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BIT에, 방송 사업자 정보의 하나로서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가 준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로서의 사이트 맵 플래그를 포함하고 전송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해당 사이트 맵 플래그를 참조함에 의해,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관해, 신속하면서 확실하게 적절한 통신 형태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BIT에, 방송 사업자 정보의 하나로서 해당 방송 사업자 정보에 관한 갱신이 있은 경우에도, 각각의 방송 사업자 정보가 작성된 순서를 특정 가능하게 하는 사이트 맵 버젼을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해당 방송 사업자 정보가 기등록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기등록의 경우에는 해당 방송 사업자 정보에 의거하여 작성된 통신용 파일 등의 이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의 통신 회선의 설정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전화 회선용의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BASIC순서에 의거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한 메서드를 포함하여 전송함과 함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가 해당 메서드를 검출하여 송수신 대상의 데이터 자체 또는 송수신 동작에 관한 데이터 처리 내용을 해독하는 해독 수단을 구비하고, 해독된 데이터 자체 또는 데이터 처리 내용에 의거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에 의해 IP 패킷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공통의 메서드에 의거하여, 전화 회선을 통한 통신 형태 및 인터넷을 통한 통신 형태의 어느 통신 형태를 이용하여서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송수신을 실현하기 위한 메서드의 작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전화 회선을 통하여 실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기구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기구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고 있는 회선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 송수신에 걸리는 비용 등을 유저측에서 대강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의해 설명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통신 정보 전송 방법은, 본원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시하는 것을 의도하여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설계적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방송 사업자 정보에 관해서는, 해당 방송 사업자 정보가 네트워크 번호와 방송 사업자 번호와 사이트 맵 플래그와 쌍방향 WEB 서버 어드레스와 사이트 맵 버젼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구조를 채용하고 있지만, 해당 방송 사업자 정보가 네트워크 번호와 방송 사업자 번호와 쌍방향 WEB 서버 어드레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구조나, 해당 방송 사업자 정보가 네트워크 번호와 방송 사업자 번호와 사이트 맵 플래그와 쌍방향 WEB 서버 어드레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구조 등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사용 회선을 식별하는 표시 기구를 예시하고 있지만, 사용하는 통신 형태를 식별하는 표시 기구를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부설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제 1의 통신 형태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기구와, 제 2의 통신 형태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기구와, 제 3의 통신 형태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Claims (8)

  1.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유저 소망의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 송수신을 전화 회선을 통하여 실시하기 위한 모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의 IP 어드레스가 소정의 규약에 따라 기록된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IP 어드레스를 판독하는 어드레스 판독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의 IP 어드레스, 및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전화 회선용의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BASIC 순서에 의거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한 메서드가 소정의 규약에 따라 기록된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IP 어드레스를 판독하는 어드레스 판독 수단과, 상기 메서드를 검출하고 송수신 대상의 데이터 자체 또는 송수신 동작에 관한 데이터 처리 내용을 해독하는 해독 수단을 구비하고,
    해독된 데이터 자체 또는 데이터 처리 내용에 의거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의해 IP 패킷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4.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유저 소망의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의 IP 어드레스, 및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전화 회선용의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BASIC 순서에 의거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한 메서드가 소정의 규약에 따라 기록된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IP 어드레스를 판독하는 어드레스 판독 수단과,
    상기 메서드를 검출하고 송수신 대상의 데이터 자체 또는 송수신 동작에 관한 데이터 처리 내용을 해독하는 해독 수단을 구비하고,
    해독된 데이터 자체 또는 데이터 처리 내용에 의거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의해 IP 패킷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이 전화 회선을 통하여 실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 1의 사용 회선 표시 수단과,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이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 2의 사용 회선 표시 수단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6.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유저 소망의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해당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방송국측에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통지하는 통신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해당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전화 회선용의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BASIC 순서에 의거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한 메서드와, 해당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적어도 갖고 구성된 방송 사업자 정보를, 해당 방송프로그램을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의해 소정의 규약에 의거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정보 전송 방법.
  7.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유저 소망의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해당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방송국측에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통지하는 통신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해당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전화 회선용의 쌍방향 서버와의 사이에서 BASIC 순서에 의거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한 메서드와, 해당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가 준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해당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인터넷용의 쌍방향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적어도 갖고 구성되는 방송 사업자 정보를, 해당 방송프로그램을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의해 소정의 규약에 의거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정보 전송 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사업자 정보가, 해당 방송 사업자 정보에 관한 갱신이 있은 경우에도, 각각의 방송 사업자 정보가 작성된 순서를 특정 가능하게 하는 버젼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정보 전송 방법.
KR10-2004-7002613A 2001-09-03 2002-08-21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통신 정보 전송 방법 KR200400279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66324A JP2003078830A (ja) 2001-09-03 2001-09-03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通信情報伝送方法
JPJP-P-2001-00266324 2001-09-03
PCT/JP2002/008430 WO2003021942A1 (fr) 2001-09-03 2002-08-21 Recepteur de radiodiffusion numerique et procede de transmission d'informations de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989A true KR20040027989A (ko) 2004-04-01

Family

ID=1909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613A KR20040027989A (ko) 2001-09-03 2002-08-21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통신 정보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93148B2 (ko)
EP (1) EP1424853B1 (ko)
JP (1) JP2003078830A (ko)
KR (1) KR20040027989A (ko)
CN (1) CN1579090A (ko)
WO (1) WO20030219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4740B2 (en) * 2005-06-09 2014-04-01 Scientific Learn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vocabulary skills and improving accuracy and fluency in critical thinking and abstract reasoning
CN101273561B (zh) * 2005-09-28 2011-02-02 Kddi株式会社 内容送出装置、内容接收装置、内容送出方法和内容接收方法
WO2007043649A1 (ja) * 2005-10-13 2007-04-19 Kddi Corporation 中継装置、通信端末および通信方法
JP4688651B2 (ja) 2005-11-30 2011-05-25 Kddi株式会社 放送コンテンツ伝送システムおよび放送コンテンツ伝送方法
JP4354957B2 (ja) 2006-01-05 2009-10-28 Kddi株式会社 放送コンテンツ伝送装置、放送コンテンツ伝送システム、放送コンテンツ伝送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80105134A (ko) 2006-03-31 2008-12-03 케이디디아이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전달장치, 정보 송출장치 및 정보 전달방법
US7747568B2 (en) 2006-04-07 2010-06-29 Microsoft Corporation Integrated user interface
US8050255B2 (en) 2006-05-10 2011-11-01 Microsoft Corporation Routing a VoIP call with contextual information
US8135125B2 (en) * 2006-05-10 2012-03-13 Microsoft Corporation Multi-party information analysis in a VoIP system
US7983247B2 (en) * 2006-05-31 2011-07-19 Microsoft Corporation Metadata collection
WO2008032371A1 (fr) 2006-09-13 2008-03-20 Kddi Corporation Dispositif et procédé de transmission de contenus de radiodiffusion
KR100842235B1 (ko) * 2006-10-16 2008-06-30 김종부 직접 인터넷에 연결되는 복합형 dmb 수신기
US8630191B2 (en) * 2006-11-01 2014-01-14 Microsoft Corporation Device selection for broadcast messages
KR100899332B1 (ko) * 2008-01-05 2009-05-27 주식회사 퍼스브로 아이에스엠 무선 주파수 대역 또는 비인가 5기가헤르쯔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 장치, 이를 이용한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시스템 및 그 방송방법
JP5569053B2 (ja) 2010-03-11 2014-08-1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送信サーバ
US20140247814A1 (en) * 2011-05-19 2014-09-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pecial burst transmissions to reduce uplink and downlink interference for td-scdma systems
CN103200440B (zh) * 2012-01-04 2016-03-02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广播数据的处理方法、处理系统以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5886A (en) * 1994-09-26 1998-09-08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notifying client applications of events in a shared application in a computer system
CA2168484C (en) 1995-03-13 2000-12-05 Mehmet Reha Civanlar Client-server architecture using internet and public switched networks
JPH10174007A (ja) * 1996-10-11 1998-06-26 Toshiba Corp マルチ機能テレビジョン装置
JPH10243361A (ja) * 1997-02-28 1998-09-11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信機
EP0866611A1 (en) * 1997-03-21 1998-09-23 CANAL+ Société Anonyme Broadcast receiving system comprising a computer and a decoder
JP3848725B2 (ja) * 1997-04-04 2006-11-22 富士通株式会社 双方向通信システム
US6195642B1 (en) * 1997-04-15 2001-02-27 Sony Corporatio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JP3389843B2 (ja) * 1997-10-17 2003-03-24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CA2321447C (en) * 1998-02-20 2007-12-18 Thomson Licensing S.A. A multimedia system for processing program guides and associated multimedia objects
US6043275A (en) * 1998-04-16 2000-03-28 Ono Pharmaceutical Co., Ltd. 3,7-dithiaprostanoic acid derivative
TWI249520B (en) * 1998-07-15 2006-02-21 Ono Pharmaceutical Co 5-Thia-omega-substituted phenyl prostaglandin E derivative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dicines containing the same as the active ingredient
JP4213285B2 (ja) * 1999-03-19 2009-01-21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放送受信端末装置及びインタラクション応答サーバ管理装置
JP3483812B2 (ja) * 1999-11-02 2004-01-06 株式会社東京放送 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151306B2 (en) * 2000-01-14 2012-04-03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Inc. Remote control for wireless control of system including home gateway and headend, either or both of which have digital video recording function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9090A (zh) 2005-02-09
US20050039216A1 (en) 2005-02-17
EP1424853B1 (en) 2011-07-13
EP1424853A1 (en) 2004-06-02
US7693148B2 (en) 2010-04-06
EP1424853A4 (en) 2008-04-02
WO2003021942A1 (fr) 2003-03-13
JP2003078830A (ja) 200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967B1 (ko) 방송 송신기, 방송 수신기 및 케이블 방송의 소프트웨어수신 방법
JP3564961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40027989A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통신 정보 전송 방법
JP4971692B2 (ja) 受信装置
KR101128237B1 (ko) 정보 송수신 시스템, 정보 송신 장치, 정보 수신 장치, 및정보 송수신 방법
US20070199016A1 (en) Method of controlling emergency alert system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signal thereof and cable broadcast receiver
KR100687451B1 (ko)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 및 디지털 신호 처리 방법
KR20050065407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표시 방법
US20090133056A1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emergency alert message
US9176724B2 (en) Firmware update method and apparatus of set-top box for digital broadcast system
JP4661398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00063011A (ko) 수신장치 및 방법과, 제공매체
US20030088670A1 (en) Media contents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13170219B (zh) 用于通过中间件的调谐器控制的装置和方法
US20070277211A1 (en) Broadcast receiver, forward data channel (FDC) interfacing method, and method f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
JP3823492B2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KR20010097996A (ko) 오토 데모 기능을 갖는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
JP2001054082A (ja) 放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884881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20080013472A1 (en) Method of controlling data broadcast and data broadcast receiver
JP4633208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4791567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20240137607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JP4414969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621282B1 (ko)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방송프로그램 시청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