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377A - 동력 분무기의 개선된 자동 밸브 - Google Patents

동력 분무기의 개선된 자동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377A
KR20040026377A KR1020020057824A KR20020057824A KR20040026377A KR 20040026377 A KR20040026377 A KR 20040026377A KR 1020020057824 A KR1020020057824 A KR 1020020057824A KR 20020057824 A KR20020057824 A KR 20020057824A KR 20040026377 A KR20040026377 A KR 20040026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pressure
spring
outle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도영
Original Assignee
조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도영 filed Critical 조도영
Priority to KR1020020057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6377A/ko
Publication of KR20040026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37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1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with a ball-shaped valve member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재질이 압출 성형 황동봉으로, 퇴수구 및 배출구, 유입구, 작동축을 삽입할 수 있도록 내외측을 가공한 직사각형의 밸브몸체부와 상기 밸브몸체부의 일측에는 외부와 관통되도록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 몸체부의 다른 일측에 펌프의 하단에 결합되는 증압기의 주흡입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진 측로구로 퇴수시키도록 한 퇴수로 및 퇴수구와 상기 유입구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래킷과 퇴수구 사이에 스프링 및 볼 밸브체를 탄설하며, 밸브 몸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배출구측에 수개의 유입공이 뚫린 유압밸브체와 스프링을 함께 탄설하고, 상기 밸브 몸체부의 상단에 와셔부가 형성된 작동축을 삽입하며, 상기 작동축의 선단부가 볼밸브체와 접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부위에 탄성계수가 변하지 않으며, 설정 압력(60kg/㎠)을 유지할 수 있는 사각 스프링을 사용한 압력조절 스프링을 설치하여 분사건의 콕크 조절로 인한 볼밸브체와 유압밸브체가 스프링 및 작동축의 승·하강에 따라 퇴수로 및 배출구를 분사건의 콕크를 "온오프" 시킴으로서,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동력분무기의 분무호스와 펌프 사이에 설치하는 동력분무기의 개선된 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 스프링으로 구성된 압력조절 스프링으로 밸브의 설정압력과 실제의 분무 압력을 손쉽게 조정하여 작업도중 갑자기 콕크를 잠그더라도 밸브 몸체부나 펌프,호스의 연결부위 등에 과부하를 방지하여 각종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밸브 몸체부를 압출 성형된 황동봉을 사용함으로써, 강성과 인성 즉, 내측 압력을 높혀 견고한 기기를 제작하여 경제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력 분무기의 개선된 자동 밸브{Improved automatic valve}
본 발명은 자동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재질이 압출 성형 황동봉인 밸브몸체부와 설정압력에 맞도록 제작되어 모터나 펌프에 부하를 주지 않도록 한 압력 조절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밸브 즉, 바이패스 밸브란 펌프로부터 압송된 오일이나 물의 압력을 일정한 압력으로 조절하는 밸브 장치, 일종의 안전 밸브(Relief Valve)라고 불리며, 사용하는 기기류에 따라 허용되는 최대압력을 한정한다.
최대압력이 되면 자동적으로 밸브가 열리면서 기름 ·공기 ·물 등을 방출하여 압력을 감소시키며 사용할 때 수시로 수동으로 개폐하여 작동을 항상 확인해야 한다. 상기 자동 밸브는 사용 용도가 다양하며, 동력 분무기에 연결하여 분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에는 논이나 밭 등에 약이나 물 등을 분사시키다가 분사를 멈추어야 할 경우나, 잠시동안 분사를 멈추어야 할 경우에 펌프와 가까이에 사람이 있을 경우에는 손짓이나 소리를 질러 펌프의 동작을 중지시킨 다음 분사건의 노즐 콕크를 잠그어야 하므로 작업시 매우 불편하고, 혼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펌프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해 펌프가 있는 곳까지 뛰어가서 펌프의 동작을 중지시킨 후 분사건의 노즐 콕크를 잠그어야 하였으므로 작업하기에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약물의 손실 또한 많았다.
반대로, 노즐 콕크를 먼저 잠가 준 뒤에 모터의 동작을 중지시키게 되면, 노즐 본체와 호스의 연결 부위에 모터의 과부하가 작용하게 되어 기기의 손상 및 호스의 연결부위가 터지거나 빠져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며, 그로 인해 환경오염은 물론 약물의 손실 및 농작물에도 해가 되는 경우가 생겼다.
또한, 작업을 계속 하기 위해서는 호스를 다시 연결하거나 터진 부분은 잘라내고 연결한 다음 다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작업하기도 힘들며, 심한 경우에는 펌프가 고장이 나는 경우가 발생하여 작업을 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즐 본체의 분무호스와 펌프 사이에 압력 차에 따라 배출구와 퇴수구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밸브를 설치하여 살포도중 노즐 본체의 콕크만 잠가주면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농약물이 퇴수구를 통해 다시 펌프내로 유입되도록 한 퇴수 조절 밸브가 안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한국등록번호 실 제 1991-0005395호)로, 동력 분무기의 퇴수 조절 밸브의 조립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안은 동력분무기의 분무호스와 펌프 사이에 설치하는 밸브로서, 저면으로부터 유입구 및 유입실(2)과 이보다 작은 퇴수로(3), 퇴수구(7) 및 밀폐실(4)을 형성한 밸브몸체부(1)와 상기 밸브몸체부(1)의 일측에는 외부와 관통되도록 배출구(5)와 공간부(6)를 형성하여 상기 밀폐실(4)과 유압통로(8)를 관통시킴과 동시 밀폐실(4)의 하측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배기공을 뚫어 설치하며, 상기 유입실의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판(10)과 퇴수로 사이에 스프링(16) 및 볼 밸브체(17)를 탄설하며, 상기 공간부에 결합되는 호스연결구(11)와 배출구(5) 사이에 배출공(12a)과 관통되게 수개의 유입공(12b)이 뚫린 유압밸브체(12)를 스프링(19)과 함께 탄설한다.
상기 배출구(5) 반대쪽의 퇴수구(7)에는 톱니형상의 호스연결구(13)를 결합한다. 또한, 상기 밀폐실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캡(15) 중심에는 밀폐실을 완전 차단하도록 와셔부(14b)가 형성된 작동축(14)을 삽입하며, 상기 작동축의 선단부
(14c)가 볼밸브체(17)와 접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부위에 압력조절 스프링(21)을 설치하여 노즐 본체의 콕크 조절로 인한 볼밸브체와 유압밸브체가 스프링 및 작동축의 승·하강에 따라 퇴수로 및 배출구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고안에서 미설명 부호는 리브(1a), 급수구(10a), 단턱(10b), 나사홈
(10c), 배수구(11a), 0-링(18, 28), 패킹(26, 27), 조임부(15b), 안내홈(15d), 고정핀(22), 와셔(23), 너트(24), 뚜껑(25)이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동력분무기에 장착하여 사용하기에는 사양과 밸런스가 맞지 않아 사용 압력 조정이 원활하지 못하였으며, 그로 인해 실질적으로 동력분무기의 퇴수조절 밸브로서의 기능을 실행하지 못했으며, 상기 고안의 밸브 몸체부는 용해된 금속을 주형 속에 넣고 응고시켜서 원하는 모양의 금속제품으로 만들 수 있도록 주물의 설계, 주조 방안의 작성, 모형의 작성, 용해 및 주입, 제품으로 만드는 주조의 방법이나, 고체인 금속재료를 해머 등으로 두들기거나 가압하는 기계적 방법으로 일정한 모양을 만드는 단조의 방법으로 제작되어지나, 이는 주조나 단조시에 기포나 크랙이 발생하여 견고하지 못하여 유입실로부터 들어오는 압력을 장기간 견디기에는 무리가 있어 기기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 밸브는 고압 위주로 제작하여, 수입품인 고압 세척기에 장착되어 사용된 것으로, 동력분무기에 장착하여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였으며, 최근에 분무기 제조업체에서 자동 밸브를 적용하기 위해 몇 차례 제품을 출시하였으나,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못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조절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분사를 위한 배출구와 설정압력이 동일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하여 과부하로 인한 다른 기기에 손상을 방지하며, 압력 조절 스프링을 간단히 조정하여 밸브의 설정압력과 실제의 분무 압력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분사건에서 온오프시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 몸체부를 압출 성형 황동봉으로 내외측을 가공하여 기포나 클랙의 발생을 줄여 내측 압력을 높혀 견고한 기기를 만들어 냄으로써기기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일반적으로 어느 제품에나 적용 가능하도록 사용범위를 확장화시켜 제품의 경제성 및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유로와 부품을 합리적이며 조밀하게 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조립과 조립 과정의 간략화 및 분사건에서 직접 온오프하여 분사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리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동력 분무기의 퇴수 조절 밸브의 조립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 스프링의 시험 결과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밸브 몸체부 32: 유입구
34: 퇴수구 36: 배출구
38: 브래킷 40, 46: 스프링
42: 볼밸브체 44: 유압밸브체
48: 와셔부 50: 작동축
52: 압력조절 스프링 54, 56, 58: 조임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력분무기의 개선된 자동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분무기의 분무호스와 펌프 사이에 설치하는 밸브로서, 퇴수구 및 배출구, 유입구, 작동축을 삽입할 수 있도록 내외측을 가공한 직사각형의 밸브몸체부와 상기 밸브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된 브래킷을 펌프와 결합하고. 상기 밸브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의 호스연결구에 콕크가 달린 노즐 본체의 분무호스를 연결하고, 상기 밸브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된 퇴수구의 호스연결구에 또 다른 호스를 연결하여 그 끝단을 펌프의 하단에 구비된 증압기의 측로구에 연결한 다음, 펌프를 작동시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약물이 펌프의 수압에 의해 배출구, 분무호스, 노즐본체를 통해 분사됨으로서 농약 살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밸브몸체부는 기포와 크랙의 발생을 감소시켜 견고한 기기를 제작할 수 있도록 그 재질을 압출 성형 황동봉을 사용한 것이며, 상기 작동축에 삽입되는 압력 조절 스프링을 간단히 조정하여 분사시의 설정압력을 맞추어 분무 도중 노즐 본체의 콕크를 갑자기 잠그어 주게 될 경우, 순간적으로 과압이 작용하게 되어 펌프나 모터 및 호스의 연결부위등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각종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동력분무기의 개선된 자동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 스프링의 시험 결과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인 동력분무기의 개선된 자동 밸브는 동력분무기를 이용하여논이나 밭 등에 농약을 살포할 경우, 분사건의 콕크를 직접 "온/오프"하여 살포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사건을 통해 "온/오프"시 일정한 분사압력(60kg/㎠)을 유지하면서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압출성형 황동봉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내측과 외측을 가공하여 기존의 주조나 단조에 의한 가공보다 훨씬 견고하게 제작한 밸브 몸체부와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된 약물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고, 만약에 콕크를 잠그게 되면, 순간적으로 과압이 작동하게 되는데, 상기 콕크를 잠그게 되어도 다른 기기에 손상을 주지 않는 안전한 압력인 60kg/㎠의 압력을 유지하여 일정 압력으로 분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압력조절 스프링을 이용하여 간단히 조정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압력 조절 스프링은 탄성 계수가 변하지 않으며, 상기 설정 압력(60kg/㎠)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각 스프링을 사용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동력분무기의 개선된 자동 밸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면으로부터 유입실 및 유입구(32)와 이보다 작은 퇴수로, 퇴수구(34) 및 밀폐실 등을 형성한 밸브몸체부(30)와 상기 밸브몸체부(30)의 일측에는 외부와 관통되도록 배출구(36)와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 몸체부의 다른 일측에 펌프의 하단에 결합되는 증압기의 주흡입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진 측로구로 퇴수시키도록 한 퇴수구(34)와 상기 유입실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래킷(38)과 상기 퇴수로 사이에 스프링(40) 및 볼 밸브체(42)를 탄설하며, 상기 공간부에 결합되는 호스연결구와 배출구(36) 사이에 배출공과 관통되게 수개의 유입공이 뚫린 유압밸브체(44)를 스프링(46)과 함께 탄설하고, 상기 밀폐실 상단에 결합되어 밀폐실을 완전 차단하도록 와셔부(48)가 형성된 작동축(50)을 삽입하며, 상기 작동축(50)의 선단부가 볼밸브체와 접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부위에 압력조절 스프링(52)을 설치하여 노즐 본체의 콕크 조절로 인한 볼밸브체(42)와 유압밸브체(44)가 스프링(40, 46) 및 작동축(50)의 승·하강에 따라 퇴수구(34) 및 배출구(36)를 분사건에서 "온/오프"함으로써 개폐되도록 한 것으로, 동력분무기의 분무호스와 펌프 사이에 설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배출구(36)와 퇴수구(34)와 연결될 수 있도록 육각형의 조임부(54, 56)를 구비하여 일측은 상기 밸브 몸체부(30)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은 호스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볼밸브체(42)와 스프링(40)이 삽입되는 유입구(32)에도 육각형의 조임부(58)가 구비되어 상기 조임부(58)의 상단은 상기 밸브 몸체부(30)와 체결되며, 상기 조임부(58)의 하단은 브래킷(38)과 체결되어 펌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증압기란 펌프측 흡입구에 부착하는 것으로, 주 흡입구와 상기 주 흡입구와는 소정의 각도를 가진 측로구를 가지며, 상기 퇴수된 물을 물통으로 되돌리지 않고, 곧바로 유입구로 연결되게 하여 퇴수된 물을 가압하여 분사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분사시 압력과 주구동력에 도움을 주며, 기기 전체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증압기로 인해 물통에서 직접 물을 흡입하여 분사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지만, 상기 증압기와 수도 사이에 호스를 연결하여 직접 수도에서 나오는물로 분사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밸브 몸체부(30)는 압출 성형된 바(BAR)타입의 황동봉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직사각형을 형성하고, 상기 황동봉의 내외측을 가공하여 제작한 것이다.
압출 성형이란 원료를 압출기의 호파에 넣고, 실린더에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하여, 원료를 녹이면서 실린더속의 스크류(screw)를 회전시켜 밀어내어, 실리더 앞에 장착되어있는 일정한 모양을 가진 금속금형속을 통과하게하여 냉각을 시켜 성형 하는 공정을 말하며, 이러한 압출공정은 그 자체로 파이프, 튜브, 평판, 이형단면판, 시트등의 생산과 중공성형(Blow Molding), 스크류형 사출기의 수지 용융, 혼합등에 이용되기도 한다.
상기 압출 성형은 크랙이나 기포의 발생이 아주 적어 그 조직이 아주 치밀하여 강성과 인성이 아주 높아진다. 따라서 내측 압력이 높아져 높은 압력에도 잘 견딜 수 있도록 아주 견고하게 밸브 몸체부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몸체부(30)는 저면으로부터 유입구(32)와 이보다 작은 퇴수로, 퇴수구(34) 및 밀폐실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몸체부의 일측에는 외부와 관통되도록 배출구(36)와 상기 밸브 몸체부의 다른 일측에 펌프의 하단에 결합되는 증압기의 주흡입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진 측로구로 퇴수시키도록 한 퇴수구(34) 및 퇴수로와 상기 퇴수로 사이에 스프링(40) 및 볼 밸브체(42)를 탄설하며, 상기 공간부에 결합되는 호스연결구와 배출구(36) 사이에 배출공과 관통되게 수개의 유입공이 뚫린 유압밸브체(44)를 스프링(46)과 함께 탄설하고, 상기 밀폐실 상단에 결합되어 밀폐실을 완전 차단하도록 와셔부(48)가 형성된 작동축(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밸브 몸체부(30)의 내부가 관통되어 있다.
즉, 상기 압출 성형 황동봉으로 제작된 밸브 몸체부(30)는 밑으로는 유입구(32), 상면으로는 작동축(50), 일측으로는 호스가 연결되어 분사건을 통해 분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배출구(36)를, 타측으로는 호스가 연결되어 펌프의 하단에 연결되는 증압기의 측로구와 연결되어 퇴수되는 물이 다시 유입구(32)로 유입되도록 한 퇴수구(34)를 가공하여 내벽이 아주 견고하게 제작하여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킨 것으로, 밸브 조립의 제작이 아주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압출 성형 황동봉으로 제작한 밸브 몸체부(30)가 직사각형으로 제작된 것을 보인 것이지만, 금속금형의 모양에 따라 여러가지모양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분사 작업 도중 분사건에 형성된 콕크를 잠그게 될 경우, 연결호스에 과압이 걸려 터지거나 또는 호스의 연결부위가 빠지고, 심한 경우에는 모터나 펌프등의 기기에 손상을 가하기도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각 스프링으로 구성된 압력조절 스프링(52)을 간단하게 조정하여 원활한 분무압력과 설정 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강하면서도 일정 압력으로 분무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압력조절 스프링(52)은 상기 작동축의 선단부가 볼밸브체(42)와 접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부위에 압력조절 스프링(52)을 설치하여 노즐 본체의 콕크 조절로 인한 볼밸브체와 유압밸브체가 스프링 및 작동축의 승·하강에 따라 퇴수로 및 배출구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분사 노즐은 스프링의 힘에 의해 구동이 되는 것으로, 모터와 펌프가 작동을 하여도 분사 건을 "온"하지 않으면 펌프 내의 분사 압력은 제로(0kg/㎠)로, "온"하였을 때에만 분사 압력(60kg/㎠) 정도의 압력으로 분사되며, 분사건을 "오프"시에는 모터와 펌프는 그대로 작동되며, 펌프의 분사 압력은 즉시, 제로(0kg/㎠)로 되어, 분사건을 "온/오프"시에 즉각적인 반응을 한다.
즉, 모터의 메인 스위치를 "온"하여 모터의 구동으로 펌프가 작동하기는 하나, 분사 압력은 분사건을 "온"하였을 때만 60kg/㎠ 정도의 분사 압력으로 분사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압력 조절 스프링의 시험 결과표도로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활한 최상의 분무 압력을 60kg/㎠으로 설정한 것이나, 압력조절 스프링의 간단한 조정으로 밸브의 설정압력과 실제의 분무 압력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 스프링은 사각 스프링을 사용한 것으로, 외경이나 내경, 자유장(길이), 최대 작동량 및 하중 등을 테스한 것으로, 상기 압력조절 스프링이 10mm 작동시 하중이 58.9kgf±10%인 결과가 도출된 것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 3에서의 결과와 같이 하중이 58.9kgf ± 10%의 경우 분사 압력은 최대 60kg/㎠을 나타내며, 분사건을 "오프"시 오버 압력이 3~4kg/㎠ 이내이므로, 모터와 펌프의 과부하로 인한 파손 및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사각 스프링은 탄성계수가 변하지 않으며, 설정 압력(60kg/㎠)을 유지하기에는 아주 적절하고 바람직하나, 원형의 스프링을 사용하여서 상기 설정 압력을 조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압력조절 스프링을 이용하여 설정 압력(60kg/㎠)으로 조정되어분사시 분사건의 콕크를 갑자기 잠그게 되어도 다른 기기에 전혀 부하를 주지 않으며, 분사건을 잠그었다가 열더라도 분사 반응을 빠르게 하면서도, 강하고 일정한 압력으로 분사되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인 자동 밸브는 주유소에서의 세차시, 세차장에서의 메인 고압 세척기의 작동이 불능시 그 대체품으로도 가능하며, 건설현장, 축사에서의 청소 및 약물 살포시, 방역·방제·소독, 수산업 및 운수 회사, 환경업체 등에서의 청소 및 세척 작업 등에 두루 이용되어, 기존에 주로 농촌에서 사용되어 농약 살포기라는 개념에서 도시형으로 탈바꿈하여 그 사용범위가 확대된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원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거하여 정의되는 본원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사건에서 직접 "온/오프"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추구한 것으로, 자동 밸브의 상단부에 오래 사용하여도 일정한 탄성 계수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분사 압력인 60kg/㎠을 유지하는 압력조절 사각 스프링을 부착하여 분무 작업 도중에 작업자가 임의로 분사건에 연결된 밸브를 잠구어 물의 흐름(분사)를 오프하여 차단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높은 압력으로 인해동력의 소모 및 모터나 펌프에 부하 발생 및 분무호스의 연약 부위가 파열,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분사 건을 온 하였을 경우에도 빠른 반응과 함께 강하고 일정한 압력으로 분사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자동 조절 밸브의 몸체부를 직사각형으로 황동 압출 성형함으로써, 기포나 크랙의 발생을 감소시켜 가공 후 강성과 인성이 높아져 내측 압력을 높혀 견고하게 제작하여 자동 조절 밸브의 몸체부를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이나 오일등의 압력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기의 수명을 연장 및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한정적으로 사용되었던 기기를 건설현장, 축산업, 환경업체, 세차장 및 주유소 등등의 세척 및 청소용으로 그 사용 범위가 매우 광범위해진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저면으로부터 유입구와 이보다 작은 퇴수로 및 밀폐실, 작동축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한 밸브몸체부와 상기 밸브몸체부의 일측에는 외부와 관통되도록 배출구와 상기 밸브 몸체부의 다른 일측에 펌프의 하단에 결합되는 증압기의 주흡입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진 측로구로 퇴수시키도록 한 퇴수로 및 퇴수구와 상기 유입실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래킷과 상기 밸브 몸체부의 유입구에 스프링 및 볼 밸브체를 삽입하여 탄설하며, 상기 밸브 몸체부의 배출구에 유압밸브체와 스프링을 함께 삽입하여 탄설하고, 상기 배출구에 호스로 연결되어 있는 분사건과, 상기 밸브 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밀폐실을 완전 차단하도록 와셔부가 형성된 작동축을 삽입하며, 상기 작동축의 선단부가 볼밸브체와 접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부위에 압력조절 스프링을 설치하여 노즐 본체의 콕크 조절로 인한 볼밸브체와 유압밸브체가 스프링 및 작동축의 승·하강에 따라 퇴수로 및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동력분무기의 분무호스와 펌프 사이에 설치하는 조절 밸브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 스프링은 탄성계수가 변하지 않으며, 설정압력(60kg/㎠)을 유지하는 사각 스프링을 사용하며, 상기 밸브몸체부는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그 재질이 압출 성형 황동봉으로, 상기 분사건에서 직접 온오프시켜 분사작업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무기의 개선된 자동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 스프링은 밸브의 설정압력과 실제의 분무 압력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무기의 개선된 자동 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압기는 주흡입구와 측로구를 형성하며, 펌프의 하단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물통에서 물을 직접 흡입하거나, 직접 수도와 주흡입구 사이의 연결호스에 의해 분사 작업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무기의 개선된 자동밸브.
KR1020020057824A 2002-09-24 2002-09-24 동력 분무기의 개선된 자동 밸브 KR20040026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824A KR20040026377A (ko) 2002-09-24 2002-09-24 동력 분무기의 개선된 자동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824A KR20040026377A (ko) 2002-09-24 2002-09-24 동력 분무기의 개선된 자동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377A true KR20040026377A (ko) 2004-03-31

Family

ID=3732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824A KR20040026377A (ko) 2002-09-24 2002-09-24 동력 분무기의 개선된 자동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63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780B1 (ko) 2005-03-09 2006-08-21 장동원 다노즐 액체정량밸브
KR100951323B1 (ko) * 2010-01-07 2010-04-05 박종민 고압펌프의 약제 흡입장치
CN115040953A (zh) * 2022-03-22 2022-09-13 安徽马钢矿业资源集团桃冲矿业有限公司 一种基于ai的全自动追踪喷雾抑尘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3075A (ja) * 1986-08-08 1988-02-24 Maruyama Seisakusho:Kk 調圧弁
JPH01139179A (ja) * 1987-11-26 1989-05-31 Kansai Paint Co Ltd 上塗り塗装仕上げ方法
KR910005395U (ko) * 1989-09-04 1991-04-22 오기형 의자의 팔받침대 회전장치
JPH0632857A (ja) * 1992-07-16 1994-02-08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熱可塑性ウレタン樹脂複合体組成物
JPH0659676U (ja) * 1993-02-03 1994-08-19 株式会社丸山製作所 アンロード弁
JPH11117049A (ja) * 1994-01-17 1999-04-27 Kitz Corp 耐食性を有する銅基合金とこの合金を用いたバルブ部品、温水関連機器、電気・機械部品、船舶用部品並びにこの銅基合金の製造方法
KR20000068520A (ko) * 1996-09-09 2000-11-25 시게후치 마사토시 구리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3075A (ja) * 1986-08-08 1988-02-24 Maruyama Seisakusho:Kk 調圧弁
JPH01139179A (ja) * 1987-11-26 1989-05-31 Kansai Paint Co Ltd 上塗り塗装仕上げ方法
KR910005395U (ko) * 1989-09-04 1991-04-22 오기형 의자의 팔받침대 회전장치
JPH0632857A (ja) * 1992-07-16 1994-02-08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熱可塑性ウレタン樹脂複合体組成物
JPH0659676U (ja) * 1993-02-03 1994-08-19 株式会社丸山製作所 アンロード弁
JPH11117049A (ja) * 1994-01-17 1999-04-27 Kitz Corp 耐食性を有する銅基合金とこの合金を用いたバルブ部品、温水関連機器、電気・機械部品、船舶用部品並びにこの銅基合金の製造方法
KR20000068520A (ko) * 1996-09-09 2000-11-25 시게후치 마사토시 구리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780B1 (ko) 2005-03-09 2006-08-21 장동원 다노즐 액체정량밸브
KR100951323B1 (ko) * 2010-01-07 2010-04-05 박종민 고압펌프의 약제 흡입장치
CN115040953A (zh) * 2022-03-22 2022-09-13 安徽马钢矿业资源集团桃冲矿业有限公司 一种基于ai的全自动追踪喷雾抑尘装置
CN115040953B (zh) * 2022-03-22 2024-04-05 安徽马钢矿业资源集团桃冲矿业有限公司 一种基于ai的全自动追踪喷雾抑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9597B (zh) 喷射嘴和喷射系统
CA2557179C (en) Flow control valve
KR101093146B1 (ko) 일체형 유체 노즐
US20040124268A1 (en) Spray gun with internal mixing structure
CN106457285A (zh) 扳机式液体喷射器
KR960040614A (ko) 용제 세척식 반응 사출 성형 혼합 헤드
KR20040077458A (ko) 자동 스프레이 디바이스를 위한 반복 장착가능 유닛
KR20040026377A (ko) 동력 분무기의 개선된 자동 밸브
WO2007030725A1 (en) Actuator system for an injection molding system
CN110801974B (zh) 一种具备喷嘴清洗疏通功能的涂料喷涂阀
WO2007051897A1 (en) Spray head
CN111069559B (zh) 可加强雾化效果的金属压铸机喷头装置
CN212468541U (zh) 一种新型高效雾化喷嘴
CN213000663U (zh) 一种喷枪
KR100517798B1 (ko) 유체혼합용 분사노즐
CN212263624U (zh) 一种新型高速自动喷枪
KR100477221B1 (ko) 공작기계의 절삭액 공급장치
KR100472307B1 (ko) 고압약액분사용 회전노즐
CN113476633A (zh) 一种过氧化氢空间灭菌与设备灭菌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462356Y1 (ko) 회전타입 유체분무기
CA2428718A1 (en) Antislip material ejector
KR0132533Y1 (ko) 분무기의 농약 토출부 결합장치
KR200421143Y1 (ko) 흑연이형제 분사장치
KR100233158B1 (ko) 동력 분무기의 압력제어 장치
CN211436669U (zh) 动力喷雾器的活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