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819A - 건널목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널목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819A
KR20040025819A KR1020030061963A KR20030061963A KR20040025819A KR 20040025819 A KR20040025819 A KR 20040025819A KR 1020030061963 A KR1020030061963 A KR 1020030061963A KR 20030061963 A KR20030061963 A KR 20030061963A KR 20040025819 A KR20040025819 A KR 20040025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wave
crossing
detec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1735B1 (ko
Inventor
오카지마도시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5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9/00Safety means for rail/road crossing traffic
    • B61L29/24Means for warning road traffic that a gate is closed or closing, or that rail traffic is approaching, e.g. for visible or audible warning
    • B61L29/28Means for warning road traffic that a gate is closed or closing, or that rail traffic is approaching, e.g. for visible or audible warning electr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70Details of tracksid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9/00Safety means for rail/road crossing traffic
    • B61L29/24Means for warning road traffic that a gate is closed or closing, or that rail traffic is approaching, e.g. for visible or audible warning
    • B61L29/28Means for warning road traffic that a gate is closed or closing, or that rail traffic is approaching, e.g. for visible or audible warning electrically operated
    • B61L29/30Supervision, e.g. 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12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using digital generation of carrie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4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외부 노이즈나 천후의 영향이 적고, 열차 검지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건널목 제어시스템을 얻는다.
건널목(2)에 접근하는 열차와 건널목(2)을 통과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열차검지장치(1),(6),(9)와 건널목을 제어하는 건널목 제어장치(17)를 구비하고, 건널목에 접근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열차검지장치(1),(6) 및 건널목을 통과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열차검지장치(9)는 반송파를 변조한 송신파를 생성하는 변조수단(231)과 열차검지장치로부터 검지거리까지의 검지범위에 송신파를 발사하고, 전파를 수신하는 송수신수단(21),(22)과 전파를 복조하고, 전파가 송신파에 대한 반사파인 것을 판정하는 복조수단(231)과 반사파가 송신파에 대한 전파라고 판정되고, 또 반사파의 수신레벨이 소정치 이상의 경우, 검지범위내에 열차를 검지했다고 판정하는 판정수단(24)을 포함하고, 건널목 제어장치(17)는 각 열차검지장치(1),(6),(9)로부터의 검지결과에 따라 건널목(2)을 제어한다.

Description

건널목 제어시스템{RAILROAD CROSSING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전파의 반사파에 의해 건널목에 접근하는 열차나 건널목을 통과하는 열차의 존재유무를 검지해서 건널목을 제어하는 건널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널목 제어시스템은 열차를 검지하는 건널목 제어자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개전로식 건널목 제어자(일반적으로 OT라고 칭한다)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개전로식 건널목 제어자는 송신회로 및 수신회로가 진행방향으로 간격을 두지 않고 설치되어 신호파를 수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로 열차검지를 한다.
또, 폐전로식 건널목 제어자는 송신회로가 궤도의 일점에서 신호파를 송신하고, 수신회로가 궤도상의 다른점에서 신호파를 수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열차검지를 한다. 이상과 같이 건널목 제어자를 사용해서 열차검지를 하는 경우, 폐전로식 건널목 제어자는 건널목 제어의 시동점, 개전로식 건널목 제어자는 건널목 제어의 종료점에 사용된다.
종래의 건널목 제어시스템은 건널목 제어자를 사용해서 열차검지를 하고, 열차의 검지결과에 따라 건널목 제어를 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비특허문헌 1]
일본 철도 전기기술 협회편「철도기술자를 위한 전기개론 신호시리즈 8, 건널목 보간장치」일본평성 4년 5월 10일 P120-125
종래의 건널목 제어시스템은 이상과 같이 건널목 제어자를 이용해서 건널목을 제어하는 경우, 외적 노이즈 또는 비, 안개, 눈 등의 천후의 영향이나 레일 로면의 녹이 진행해서 차축 단락전류가 감소함으로서, 열차의 검지특성이 불안정해지고 열차검지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복선구간 같은 열차의 주행방향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단선구간의 경우에는 상행, 하행 쌍방에서 열차가 주행해 오고 있는 점에서 열차유무의 검지외에 주행방향의 검지도 필요로 하게되, 제어로직이 복잡해지고, 제어로직의 조정이 어렵고 보수에 다대한 노력을 기우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제1의 목적은 외부 노이즈나 천후의 영향이 적고, 열차 검지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건널목 제어시스템을 얻는 것이다.
또 제2의 목적은 단선구간의 건널목 제어를 심플하게 또,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건널목 제어시스템을 얻는 것이다.
또 제3의 목적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를 삭감하고 심플한 시스템 구성의 건널목 제어시스템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건널목 제어시스템은 건널목에 접근하는 열차와 건널목을 통과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열차검지장치와 건널목을 제어하는 건널목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건널목에 접근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열차검지장치 및 건널목을 통과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열차검지장치는 반송파를 변조한 송신파를 생성하는 변조수단과, 열차검지장치로부터 검지거리까지의 검지범위에 송신파를 발사하고 전파를 수신하는 송수신수단과, 전파를 복조하고 전파가 송신파에 대한 반사파인 것을 판정하는 복조수단과 반사파가 송신파에 대한 전파라고 판정되고, 또 반사파의 수신레벨이 소정치 이상의 경우, 검지내에 열차를 검지하였다고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포함하고, 건널목 제어장치는 각 열차검지장치로부터의 검지결과에 따라 건널목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1은 건널목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건널목 제어시스템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임차트.
도 3은 열차검지장치 및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4는 열차검지장치 및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로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5는 열차검지장치의 검지범위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6은 열차검지장치에서의 수신레벨 및 거리에 관한 검지범위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7은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의 검지범위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8은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에서의 수신레벨 및 거리에 관한 검지범위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9는 CPU부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차검지장치, 2 : 건널목장치,
3,4 : 건널목 차단기, 5 : 물체(타게트, 열차),
6 : 열차검지장치, 7,8 : 차단봉,
9 :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 10,11,12 : 송신범위,
13 : 레일, 14,15,16 : 전송장치,
21 : 송수신부, 22 : 안테나 송수신부,
23 : 신호처리부, 24 : 논리처리부,
31,32 : 반시판의 설치점, 211 : 송신안테나,
212 : 수신안테나, 231 : SS변복조부,
232 : DSP부, 241 : CPU부,
242 : FSD부, 243 : 릴레이부.
(발명의 실시의 형태)
실시의 형태 1.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건널목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면의 방향에서 좌방향을 하행방향, 우방향에서 좌방향을 상행방향으로 하고, 도 1에서 표시하는 구간을 단선구간을 표시한다.
열차검지장치(1)는 하행방향으로부터 건널목장치(2)의 건널목 차단기(3), (4)에 접근하는 하행열차(물체, 타게트)(5)를 검지한다. 또 한쪽의 열차검지장치 (6)은 상행방향으로부터 건널목장치(2)의 건널목 차단기(3),(4)에 접근하는 상행열차(도시않음, 상하행에 불구하고 검지대상은 열차(5)라고 기재)를 검지한다. 또 건널목 차단기(3),(4)의 차단봉(7),(8)이 강하했을 때 건널목을 건너는 사람이나자동차 등을 검지하는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는 다시 건널목을 통과하는 열차를 검지한다.
각 검지장치(1),(6),(9)는 소정 거리범위(10),(11),(12)에 전파를 발사하고 있고, 예를 들면 열차검지장치(1),(6)는 열차(5)가 주행하는 레일(13),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는 건널목 차단기(3),(4)를 향해 전파를 발사하고 열차(5)가 통과한 것에 의한 열차(5)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한다.
각 검지장치(1),(6),(9)에서 검지된 열차의 정보는 전송장치(14),(15),(16)에 의해 건널목 제어장치(17)에 전송되고, 건널목 제어장치(17)는 각 검지장치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건널목장치(2)를 제어한다.
다음, 도 1 ~ 도 3을 참조하면서 건널목 제어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건널목 제어시스템의 동작의 표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3은 열차검지장치(1),(6) 및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또 도 2에서 (1)은 하향열차(5)를 검지하는 경우, (2)는 상행열차를 검지하는 경우의 타임차트를 표시한다.
하행열차 검지용의 열차검지장치(1)는 레일(13)을 향해 즉 하행방향에의 건널목을 향해 주행해 오고 있는 열차의 방향의 레일(13)을 향해, 송신범위(10)에 전파를 송신하고, 송신한 전파에 대한 반사파를 수신함으로서 하행열차(5)의 감시를 하고 있다. 열차검지장치(1)는 레일(13)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고 있으나 하행열차(5)가 송신범위(10)에 접근하면, 레일(13)을 향해 송신되고 있는 전파는 하행열차에 의해 반사된다. 열차검지장치(1)는 레일(13)을 향해 송신한 전파가 하행열차(5)에 의해 반사되고 그 반사파를 수신함으로서 하행열차(5)가 건널목을 향해 주행해 오고 있는 것을 검지한다. 또 열차검지장치(1),(6)는 송신범위(10), (12)내의 소정의 검지범위에서 물체의 검지가 가능해진다.
하행열차 검지용의 열차검지장치(1)는 하행열차(5)의 감시를 하고 있고, 하행열차(5)가 건널목 차단기(3),(4)에 근접하고, 송신범위(10)내의 검지범위에 들어가면, 열차검지장치(1)는 하행열차(5)가 건널목으로부터 소정의 거리까지 근접한 것을 검지한다.
전송장치(14)는 열차검지장치(1)가 검지한 하행열차(5)의 접근정보를 건널목 제어장치(17)에 전송한다. 건널목 제어장치(17)는 전송된 접근정보에 의해 건널목장치(2)를 제어해서 명동을 개시시킨다(T1).
열차검지장치(1)의 전송장치(14)는 접근정보를 계속 전송해 열차검지장치(1)는 하행열차(5)의 검지가 않되면, 전송장치(14)에 의한 접근정보의 전송을 종료시킨다(T2).
명동 정지용의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는 건널목 차단기(3),(4)를 향해 송신범위(11)에 전파를 송신하고 있고 건널목 차단기(3),(4)를 통과하는 열차에 의해 전파가 차단되고 열차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함으로서 건널목 차단기(3),(4)를 통과하고, 건널목 차단기(3),(5)로부터 멀어져가는 열차를 검지한다.
하행열차(5)가 송신범위(11)내의 검지범위에 들면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 (9)는 하행열차(5)가 검지범위에 존재하는 것을 검지한다. 전송장치(15)는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가 검지한 원거리 정보(하행열차(5)가 건널목 차단기(3),(4)를통과하고, 떨어져 있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건널목 제어장치(17)에 전송한다 (T3).
하행열차(5)가 송신범위(11)를 통과하고,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는 하행열차(5)의 검지가 불가능하게 되면 전송장치(15)에 의한 원거리 정보의 전송을 종료시켜, 건널목 제어장치(17)는 원거리 정보의 전송이 종료된 시점에서 건널목장치(2)를 제어해서 명동을 정지시킨다(T4).
또, 상행열차 검지용의 열차검지장치(6)도 하행열차 검지용의 열차검지장치 (1)와 같이, 레일(13)을 향해 소정의 송신범위(12)에 전파를 송신하고 있고, 전파가 차단됨으로서 상행열차의 검지를 한다.
상행열차가 송신범위(12)내의 검지범위에 들면, 상행열차 검지용의 열차검지장치(6)를 상행열차가 검지범위(12)에 존재하는 것을 검지한다. 전송장치(16)는 열차검지장치(6)가 검지한 접근정보를 건널목 제어장치(17)에 전송한다. 건널목 제어장치(17)는 접근정보에 의해 건널목장치(2)를 제어해서 명동을 개시시킨다 (T1).
열차검지장치(6)의 전송장치(16)는 접근정보를 계속 전송해, 열차검지장치 (6)는 상행열차의 검지가 안되게 된 경우, 전송장치(16)에 의한 접근정보의 전송을 종료시킨다(T2).
상행열차가 건널목 차단기(3),(4)에 접근해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가 송신하는 전파의 송신범위(11)내의 검지범위에 들면,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는 상행열차가 검지범위에 존재하는 것을 검지한다. 전송장치(15)는 건널목 장해물검지장치(9)가 검지한 원거리 정보(상행열차가 건널목 차단기(3),(4)에서 떨어져 있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건널목 제어장치(17)에 전송한다(T3).
상행열차가 송신범위(11)를 통과하고, 상행열차의 검지가 불가능해지면,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는 전송장치(15)에 의해 원거리 정보의 전송을 종료시켜 건널목 제어장치(17)는 원거리 정보의 전송이 종료한 시점에서 건널목장치(2)를 제어해서 명동을 정지시킨다(T4).
이와 같이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는 건널목 차단기(3),(4) 주변에 존재하는 장해물을 검지하고, 장해물의 검지정보에 의해 건널목장치(2)를 제어시키고 있으나 또 장해물의 검지와 같은 방법으로 명동정지를 위한 열차검지도 하고 있다.
또 각 검지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서 열차검지장치(1),(6)으로부터는 열차의 접근정보가 출력되고, 전송장치(14),(16)에 의해 건널목 제어장치(17)에 전송된다. 전송된 접근정보에 의해 건널목 제어장치(17)는 건널목장치(2)를 제어하고, 명동을 개시시킨다.
장해물 검지장치(3)로부터는 열차의 접근/원거리 정보가 출력되고, 전송장치 (15)에 의해 건널목 제어장치(17)에 전송된다. 전송된 접근/원거리 정보에 의해 건널목 제어장치(17)는 건널목장치(2)를 제어해서 명동을 정지시킨다.
또 장해물 검지장치(3)로부터는 건널목 차단기(3),(4)에 존재하는 장해물의 검지정보가 출력되고, 전송장치(15)에 의해 건널목 제어장치(17)에 전송된다. 장해물 검지정보에 의해 건널목 제어장치(17)는 특수 신호발광기와 경보등 등을 제어한다.
다음, 열차검지장치(1),(6) 및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열차검지장치(1),(6) 및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 열차검지장치(1),(6)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는 송수신부(21)와, 송수신부(21)를 제어하는 안테나 송수신부(22)와 반사파에 따라 열차(5)까지의 거리 및 열차(5)의 속도를 산출하는 신호처리부(23)와, 산출된 거리 및 반사파의 수신레벨에 따라 열차(5)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논리처리부(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송수신부(21)는 변조된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211)와 열차(5) 등으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212)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처리부(23)는 스펙트럼 확산(SS : Spread Spectrum Processor)부(232)를 구비하고 있다.
또 논리처리부(24)는 CPU부(241)와 FSD(Fail Safe Drive)부(242)와, 릴레이부(243)를 구비하고 있다.
도 1과 함께 도 4 ~ 도 9를 사용해서 열차검지장치(1),(6) 및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의 동작 설명을 한다.
SS변복조부(231)의 PN(의사잡음) 부호발생기는 PN부호를 발생시켜, SS변복조부(231)는 PN부호에 의해 전파를 스펙트럼 확산 변조한다. 스펙트럼 확산 변조된 전파는 안테나 송수신부(22)를 통해서 송신 안테나(211)로부터 외부로 발사된다.
발사된 전파는 열차(5)에 의해 반사되고, 수신 안테나(112)는 열차(5)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한다. SS변복조부(231)는 반사파를 복조(역확산)한다. 이때 자기 상관을 취함으로서 신호처리부(23)에서 열차검지장치(1),(6)으로부터 열차(5)까지의 거리 및 열차(5)의 속도가 산출된다.
또 SS변복조부(231)는 반사파가 PN부호에 의한 부호변조가 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SS변조복조부(231)에서 변조한 PN부호 이외의 부호에 의해 변조된 전파(부호변조 이외의 변조방식에 의한 변조 또는 무변조를 포함한다)는 복조시(역확산시)에 제외되고, 무반사와 동등하게 취급한다.
또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는 거리 및 속도외에 열차(5)와의 각도를 산출해서 각도에 따라 지면가 수평의 XY평면에서의 열차(5)의 위치(좌표)를 산출한다.
논리처리부(24)는 거리 및 수신레벨에 의해 열차의 검지를 하고, 열차가 검지된 경우 속도에 의해 열차의 주행방향을 판정한다.
논리처리부(24)로부터의 정보는 전송장치(14),(15),(16)에 의해 건널목 제어장치(17)에 전송된다.
전송장치(3)에는 열차검지정보 등을 접점으로 연결하는 것도 거리정보, 속도정보를 시리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열차검지장치(1),(6)는 레일(13)을 향해 전파를 송신하고 있고, 레일(13)로부터의 반사파를 상시 수신하고 있다.
열차검지장치(1),(6)는 열차(5)가 검지불가능할 때 레일(13)에 의해 항시, 송신-기설설비의 반사-수신의 크로즈드 루프가 실시되고, 반사파에 따라 레일(13)까지의 거리(감시정보)를 정주기로 산출하고 있다. 산출된 거리의 값은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되어 열차검지장치(1),(6)에 이상이 있는지의 체크(건전성 체크)가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열차검지장치(1) ,(6)까지의 거리가 미리 알고 있는 것이면 전파는 레일(13)을 향해 발사할 필요는 없고, 레일(13)이외의 기설설비를 향해 송신하고 그 반사파를 수신해도 된다.
또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도 마찬가지로 건널목 차단기(3),(4)를 향해 전파를 상시 송신하고 있고, 그 반사파를 사용해서 건전성 체크가 실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정성 체크가 상시 실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열차검지장치 (1),(6)이나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가 발사한 전파이외의 전파를 수신해도 열차검지를 할 수 있으므로, 열차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송신 안테나(211)의 고장 등에 의해 열차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열차검지장치(1),(6)의 검지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열차검지장치 (1),(6)의 검지범위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에서, 열차검지장치(1),(6)는 송신 안테나(211) 및 수신 안테나(212)로부터 40m의 위치까지의 범위에 전파를 송신하고 있다. 이 송신범위에서 5m의 위치에서 40m의 위치까지의 범위가 물체의 검지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도 6은 열차검지장치(1),(6)에서의 수신레벨 및 거리에 관한 검지범위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에서 세로축은 수신 안테나(112)로 수신된 전파의 수신레벨을 표시하고, 가로축은 열차검지장치(1),(6)에서 전파가 반사된 물체까지의 거리를 표시한다.
또 (1)은 열차검지장치(1),(6)가 검지한 물체가 열차(5)라고 판정하는 범위(열차검지범위)이고, (2)는 열차검지장치(1),(6)가 검지한 물체가 열차(5)가 아니라고 판정하는 범위(검지제외범위 1)이고, (3) 및 (4)는 검지대상외로 하는 범위(검지제외범위 2, 검지거리외)이다.
논리처리부(24)의 CPU 24/는 신호처리부(23)에서 입력된 물체까지의 거리 및 물체의 속도에 따라 열차의 유무 및 열차의 주행방향을 검지한다. 검지범위는 열차검지장치(1),(6)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의 송신 안테나(211) 및 수신 안테나 (212)에서 5m ~ 40m의 범위로 한다.
계속해,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의 검지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의 검지범위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에서, 송신범위 11은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송신범위이고,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7)로부터 반경 40m의 범위로 한다. 또 반경 5 ~ 40m의 범위내에 존재하는 물체는 신호처리부(23)에서 산출된 물체의 좌표에 의해 위치를 검지할 수가 있다. (1)은 열차검지의 대상범위이고, (2)는 열차검지의 대상외(제외)범위이다.
도 7에서 (1)의 검지범위는 건널목 차단기(3),(4) 차단봉(7),(8)로 둘러싸인 4변형의 면이 된다.
건널목 차단기(3),(4)는 기설설비이고 건널목 차단기(3),(4)로부터의 반사파는 자기진단을 위한 건전성 체크에 사용되고, 기설설비를 상시 감시하는 동시에, CPU부(241)는 건널목 차단기(3),(4)의 좌표위치를 대각성상의 검지범위의 경계로해서 산출하고, 미리 내부에 기억해둔다.
또 한쪽의 대각성상의 점(31),(32)의 위치는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를 설치할 때의 초기상태에서 전파를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점을 점(31),(32)의 위치에 각각 가설하고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로부터 전파를 송신시켜 반사판에 의해 전파를 반시시킴으로서 각각의 좌표위치를 CPU부(241)로 산출해서 내부에 기억해둔다.
이상과 같이 산출된 건널목 차단기(3),(4)의 위치와 점(31),(32)로 둘러싸인 범위가 검지범위가 되고 CPU부(241)에 기억되어 있다.
검지제외범위는 CPU부(24)의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검지범위의 좌표정보에 따라, 전파의 송신범위(11)로부터 검지범위를 제외한 범위가 검지제외범위라고 판정된다.
또, 도 8은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에서의 수신레벨 및 거리에 관한 검지범위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에서, 세로축은 수신 안테나(212)로 수신된 전파의 수신레벨을 표시하고, 가로축은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로부터 반사물체까지의 거리를 표시한다. 또 가로축의 거리는 도 7과 같이 2차원 좌표축에서 표시되는 검지범위에서 판정된다.
또, (1)은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가 검지한 물체가 열차(5)라고 판정하는 범위(열차검지범위)이고, (2)는 검지대상외로 하는 범위(검지제외범위)이고, (3)은 자동차, 자전거 등의 장해물이라고 판정하는 범위(장해물 검지범위)이다.
세로축에 표시되는 열차검지를 위한 임계치와, 건널목을 건느는 인간, 자동차, 자전거 등의 장해물을 검지하기 위한 장해물 임계치와는 CPU부(241)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CPU부(241)는 차단봉(7),(8),이 강하하고 있을 때(건널목 명동시), 물체까지의 거리가 5m ~ 40m의 범위에서 수신레벨이 장해물 임계치이상으로 열차 임계치 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물체는 장해물이라고 판정되고 특수 신호발광기를 점등 회전시키기 위한 장해물 검지정보를 건널목 제어장치(17)에 전송시킨다.
또, 검지제외범위의 판정이나, 열차, 임계치 이상의 열차검지범위의 판정에 대해서는 거리와 수신레벨에 따라 판정되고, 속도에 따라 열차의 주행방향이 판저오딘다.
판정결과에 대응한 열차검지정보, 접근정보, 원거리 정보는 건널목 제어장치 (17)에 전송된다. 또 검지제외범위라고 판정된 입력 데이터는 건전성 체크에 사용되고,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이상정보가 건널목 제어장치(17)에 전송된다.
도 6 및 도 8과 함께, 도 9를 참조하면서 CPU부(24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CPU부(241)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9에서, CPU부(241)는 신호처리부(23)에서 산출된 물체까지의 거리가 5m ~ 40m의 검지범위내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1).
스텝 S101에서 물체까지의 거리가 5m ~ 40m의 검지범위내인 경우(즉 YES), 미리 기억되어 있는 기설설비의 거리 및 수신레벨과 CPU부(241)에 입력된 거리 및 반사파의 수신레벨을 비교해 양자가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102).
스텝 S102에서 양자가 동일한 경우(즉 YES), 물체는 기설설비라고 판정하고(스텝 S103), CPU부(241)의 입력 데이터는 건전성 체크에 사용된다(스텝 S104).
또 스텝 S102에서 양자가 다른 경우(즉 NO), 수신레벨과 임계치를 비교한다(스텝 S105).
스텝 S105에서 열차검지장치(1),(6)의 경우 수신레벨이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도 6 참조), 수신레벨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즉 YES), 검지된 물체는 열차(5)라고 판정한다.
또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의 경우, 수신레벨이 열차 임계치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도 8 참조), 수신레벨이 열차 임계치 이상인 경우(즉 YES), 검지된 물체는 열차(5)라고 판정한다.
검지된 물체가 열차(5)라고 판정된 경우, 릴레이부(243)의 검지 릴레이를 낙하시켜 대응하는 전송장치(14),(15),(16)에 열차검지정보를 송신한다(스텝 S106).
또 물체가 열차(5)라고 판정되면 열차(5)의 속도에 따라, 열차검지장치(1), (6)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에 접근하고 있는지 멀어져 있는지의 여부(열차검지장치(1),(6)은 상행방향, 하행방향의 어느 것인가로부터 열차검지장치(1)에 근접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107).
스텝 S107에서 하행방향으로부터 열차검지장치(1)에 접근해 있다고 판정된 경우(즉 YES), 릴레이부(243)의 접근 릴레이를 낙하시켜, 방향정보를 릴레이의 접점으로 해서 전송장치(16)에 출력하고(스텝 S108), 도 9의 처리루틴을 종료한다.
또 상행방향에서 열차검지장치(1)에 접근한 경우라 하행방향으로부터 열차검지장치(6)에 접근한 경우에는 방향정보를 출력해서 건널목 제어장치(17)에서 무시해도 되고 방향정보를 출력하지 않아도 된다.
스텝 S101에서 물체까지의 거리가 5m ~ 40m의 범위치인 경우(즉 NO), 물체까지의 거리가 0m ~ 5m의 범위내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110). 스텝 S110에서 물체까지의 거리가 0m ~ 5m의 범위내인 경우(즉 YES), 검지범위라고 판정해(스텝 S111), 입력 데이터는 건전성 체크에 사용된다(스텝 S104).
스텝 S105에서 반사파의 수신레벨이 임계치(열차 임계치)보다도 작은 경우(즉 NO), 검지된 물체는 동물, 자동차, 사람 등의 열차이외(소물체)라고 판정하고(스텝 S112), 입력 데이터는 건전성 체크에 사용된다(스텝 S104).
또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에서는 차단봉(7),(8)이 강하중이고, 수신레벨이 장해물 임계치 이상 또 열차 임계치 보다 작은 경우 검지된 물체는 장해물이라고 판정하고, 전송장치(15)에 장해물 검지정보를 송신한다.
수신레벨이 장해물 임계치 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검지제외범위로 보고 입력 데이터를 건전성 체크에 사용된다.
스텝 S110에서 물체까지의 40m보다 큰 경우(즉 NO), 검지거리외라고 판정하고, 입력 데이터는 무시해서(스텝 S113), 도9의 처리루틴을 종료한다.
스텝 S104의 건전성 체크에서 정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도 9의 처리루틴을 종료하고,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릴레이부(24)의 이상 릴레이를 낙하시켜 이상정보를 전송장치(14),(15),(16)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기설설비나 열차에 전파를 반사시켜, 그 반사파를 사용해서 열차의 검지를 하므로, 외부 노이즈나 기후의 영향이 적고, 검지범위에서의 열차검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건널목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시에 사용하고 있던 릴레이가 불필요하게 되고 보수는 필요없게 된다.
또, 송신 안테나(211)로부터 부호변조된 전파를 발사하고, 수신 안테나(212)로 수신된 전파를 복조해서 변조부호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변조부호와 송신 안테나(211)로부터 발사된 전파의 변조부호와 비교해 수신 안테나(212)로 수신된 전파가 송신 안테나(211)로부터 발사된 전파의 반사파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므로, 송신 안테나(211)에서 발사된 전파이외의 전파를 수신해도 수신한 전파를 제외할 수가 있고, 확실하게 열차를 검지할 수가 있다.
또, 열차로부터의 반사파를 이용해서 열차의 주행방향이 검지되므로, 단선구간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또 건널목의 장해물을 검지하기 이한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에 열차검지장치(1),(6)와 같은 기능을 부여하여 건널목장치(2)의 명동정지 제어를 위한 열차검지를 실시하였으므로 심플한 로직으로 건널목의 명동을 제어할 수 있고, 새로이 명동 정지용의 열차검지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비를 삭감할 수가 있다.
열차검지에는 미리 설정된 물체의 거리 및 수신레벨을 사용하므로 확실하게 열차를 검지할 수가 있다. 또 건널목 장해물 검지장치(9)에는 건널목 차단기(3), (4)에 존재하는 장해물을 검지하기 위한 임계치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열차이외의 장해물도 학실하게 검지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널목에 접근하는 열차와 건널목에 접근하는 열차와 건널목을 통과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열차검지장치와 건널목을 제어하는 건널목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건널목에 접근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열차검지장치 및 건널목을 통과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열차검지장치는 반송파를 변조한 송신파를 생성하는 변조수단과, 열차검지장치로부터 검지거리까지의 검지범위에 송신파를 발사하고, 전파를 수신하는 송수신수단과, 전파를 복조하고, 전파가 송신파에 대한 반사파인 것을 판정하는 복조수단과, 반사파가 송신파에 대한 전파라고 판정되고, 또 반사파의 수신레벨이 소정치이상인 경우 검지범위내에 열차를 검지하였다고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포함하고 건널목 제어장치는 각 열차검지장치로부터의 검지결과에 따라 건널목을 제어하므로, 외부 노이즈나 기후의 영향이 적고 검지범위내에서의 열차검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건널목 제어시스템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건널목에 접근하는 접근열차를 검지하기 위해 상기 건널목으로부터 상기 접근열차측에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접근열차 검지장치와, 상기 건널목을 통과중인 통과열차를 검지하기 위해 상기 건널목의 근방에 설치된 통과열차 검지장치와 상기 접근열차 검지장치 및 상기 통과열차 검지장치로부터의 각각의 검지결과에 따라 상기 건널목을 제어하는 건널목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접근열차 검지장치는 제1의 반송파를 변조한 제1의 송신파를 생성하는 제1의 변조수단과, 상기 접근열차의 주행궤도를 향해 상기 접근열차 검지장치의 설치위치로부터 소정 검지거리까지의 접근검지범위에 상기 제1의 송신파를 발사하는 동시에, 상기 접근열차의 방향으로부터의 제1의 전파를 순신하는 제1의 송수신수단과, 상기 제1의 전파를 복조하고, 상기 제1의 전파가 상기 제1의 송신파에 대한 제1의 반사파인 것을 판정하는 제1의 복조수단과, 상기 제1의 반사파가 상기 제1의 송신파에 대한 전파이라고 판정되고, 또 상기 제1의 반사파의 수신레벨이 제1의 소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접근검지범위내에 상기 접근열차를 검지하였다고 판정하는 제1의 판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과열차 검지장치는 제2의 반사파를 변조한 제2의 송신파를 생성하는 제2의 변조수단과, 상기 통과열차의 주행궤도를 향해 상기 통과열차 검지장치의 설치위치로부터 소정 검지거리까지의 통과검지범위에 상기 제2의 송신파를 발사하는 동시에, 상기 건널목 방향으로부터의 제2의 전파를 수신하는 제2의 송수신수단과, 상기 제2의 전파를 복조하고 상기 제2의 전파가 상기 제2의 송신파에 대한제2의 반사파인 것을 판정하는 제2의 복조수단과, 상기 제2의 반사파가 상기 제2의 송신파에 대한 전파라고 판정되고 또 상기 제2의 반사파의 수신레벨이 제2의 소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통과검지범위내에 상기 통과열차를 검지하였다고 판정하는 제2의 판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널목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변조수단은 상기 제1의 반송파를 제1의 의사잡음 부호에 의해 스펙트럼 확산변조해서 상기 제1의 송신파를 생성하고, 상기 제1의 복조수단은 상기 제1의 의사잡음 부호와 상기 제1의 반사파로부터 추출된 의사잡음 부호가 일치한 경우에 상기 제1의 반사파가 상기 제1의 송신파에 대한 전파라고 판정하고, 상기 제2의 변조수단은 상기 제2의 반송파를 제2의 의사잡음 부호에 의해 스펙트럼 확산변조해서 상기 제2의 송신파를 생성하고, 상기 제2의 복조수단은 상기 제2의 의사잡음 부호와, 상기 제2의 반사파로부터 추출된 의사잡음 부호와 일치한 경우에, 상기 제2의 반사파가 상기 제2의 송신파에 대한 전파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널목 제어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열차 검지장치는 단선구간에 설치된 건널목에 대해 상행방향의 위치 및 하행방향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상행방향 및 상기 하행방향으로부터의 상기 접근열차를 검지하고, 상기 제1의 복조수단은상기 제1의 반사파에 따라 상기 제1의 전파를 반사시킨 제1의 물체의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1의 판정수단은 상기 제1의 반사파가 상기 제1의 송신파에 대한 전파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제1의 물체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1의 물체의 이동방향을 판정하고, 상기 제2의 복조수단은 상기 제2의 반사파에 따라 상기 제2의 전파를 반사시킨 제2의 물체의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2의 판정수단은 상기 제2의 반사파가 상기 제2의 송신파에 대한 전파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제2의 물체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2의 물체의 이동방향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널목 제어시스템.
KR10-2003-0061963A 2002-09-20 2003-09-05 건널목 제어시스템 KR100531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74947 2002-09-20
JP2002274947A JP3881297B2 (ja) 2002-09-20 2002-09-20 踏切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819A true KR20040025819A (ko) 2004-03-26
KR100531735B1 KR100531735B1 (ko) 2005-11-28

Family

ID=3197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963A KR100531735B1 (ko) 2002-09-20 2003-09-05 건널목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881297B2 (ko)
KR (1) KR100531735B1 (ko)
FR (1) FR2844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58387B1 (es) * 2004-08-30 2007-12-01 Jose Mestras Sors Sistema de control automatico y señalizacion en pasos a nivel sin guarda.
JP4662757B2 (ja) * 2004-11-25 2011-03-30 東邦電機工業株式会社 閉電路形踏切制御子の列車検知アダプタ
JP5498682B2 (ja) * 2008-10-17 2014-05-21 日本信号株式会社 踏切障害物検知装置
JP5127058B2 (ja) * 2008-10-17 2013-01-23 日本信号株式会社 踏切障害物検知装置
JP5486247B2 (ja) * 2009-09-09 2014-05-07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列車無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列車運行システム
GB2498564B (en) * 2012-01-20 2014-06-11 Siemens Plc Rail crossing prot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9986A (en) * 1996-07-15 1997-12-23 Alternative Safety Technologies Railway crossing collision avoidance system
US5864304A (en) * 1996-08-08 1999-01-26 At&T Corp Wireless railroad grade crossing warning system
JP2001270440A (ja) * 2000-03-24 2001-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06779A (ja) 2004-04-08
FR2844765B1 (fr) 2004-11-26
FR2844765A1 (fr) 2004-03-26
JP3881297B2 (ja) 2007-02-14
KR100531735B1 (ko) 2005-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2421A (en) Moving object high-accuracy position locating method and system
AU20182018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evel crossing
JP2003011824A (ja) 踏切障害物検知装置
JP2023506870A (ja) 軌道車両のポジションを求める方法および監視システム
JP2016125856A (ja) 車両速度検出装置および該装置を搭載した車両並びに列車
KR100531735B1 (ko) 건널목 제어시스템
JPS60257703A (ja) 車両防御システム
US104719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evel crossing
KR101238702B1 (ko) 디텍터를 이용한 철도건널목 지장물 검지장치 및 동 장치를 이용한 검지방법
RU76306U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о приближении поезда
JP2005234813A (ja) 踏切障害物検知装置
JP2003054411A (ja) 列車接近検知方法および装置
JP3649077B2 (ja) 踏切障害物検知装置
SK34098A3 (en) Method for braking and/or stopping a vehicle travelling along a track, and apparatus therefor
RU2547909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езд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ей
JP3492780B2 (ja) 列車衝突防止装置及びその方法
JP3872771B2 (ja) 可動ホーム柵装置
JP3544517B2 (ja) 列車位置検知装置
JP6846209B2 (ja) 光ケーブルを利用した踏切制御システムおよび鉄道制御システム
JPH0245264A (ja) 走行路内状況監視装置
JP2007015664A (ja) 横断路の物体検知装置
JP2001270440A (ja) 列車検知装置
JP4056753B2 (ja) 踏切障害物検知装置
JP3716209B2 (ja) 警報機制御装置
JP4011204B2 (ja) 踏切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