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605A - 이미다조트리아지논 유도체 및 염증 과정 및(또는) 면역질환에 대한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이미다조트리아지논 유도체 및 염증 과정 및(또는) 면역질환에 대한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605A
KR20040023605A KR10-2003-7015526A KR20037015526A KR20040023605A KR 20040023605 A KR20040023605 A KR 20040023605A KR 20037015526 A KR20037015526 A KR 20037015526A KR 20040023605 A KR20040023605 A KR 20040023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compound
tert
formula
y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나 알론소-알리자
하이케 길렌
마르틴 헨드릭스
마리아 테레시아 니뵈너
다그마르 샤우쓰
힐마르 비쇼프
닐스 부르크하르트
폴커 가이쓰
칼-하인츠 슐레머
니겔 제이. 커트버트
마리 피츠게랄드
그레이엄 스터튼
Original Assignee
바이엘 헬스케어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헬스케어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헬스케어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23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60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251/00
    • C07D25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251/00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3/061,2,4-Triazines
    • C07D253/0651,2,4-Triazine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53/071,2,4-Triazine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7-(4-tert 부틸-시클로헥실)-이미다조트리아지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의약으로서의 용도, 특히 염증 과정 및(또는) 면역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미다조트리아지논 유도체 및 염증 과정 및(또는) 면역 질환에 대한 그의 용도 {Imidazotriazinones Derivatives and Their Use against Inflammatory Processes and/or Immune Diseases}
포스포디에스테라제 (PDE)는 세포내 2차 메신저인 cAMP (시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및 cGMP (시클릭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의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군이다. cAMP 특이적 PDE로서의 PDE 4는 cAMP의 AMP로의 전환을 촉매하며, 염증 및 면역 세포 유형에 존재하는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효소의 유일한 이소형이 아닌 경우에 주류를 이루는 효소이다. 이 효소의 억제는 cAMP의 축적을 초래하며, 그 결과 이들 세포에서 소정 범위의 전염증성 기능을 억제하게 된다. 제어되지 않은 염증 매개체 생성은 급성 및 만성 염증, 조직 손상, 다수 기관의 기능 부전 및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식세포 cAMP의 상승은 산소 라디칼 생성을 억제한다. 이러한 세포 기능은 응집 또는 효소 방출과 같은 다른 기능보다 더 민감하다.
현재, 천식 및 COPD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disease) 둘 다는 만성 염증성 폐 질환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천식의 경우에는 호산구가 주요 침윤 세포이다. 침윤 세포로부터의 양이온성 단백질 손상 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수퍼옥시드 라디칼 방출이 상기 질환의 진행 및 기도 과민성의 진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COPD에서는 호중구가 환자의 폐에서 발견되는 주요 염증성 세포 유형이다. 폐의 환경에서 방출된 매개체 및 프로테아제의 작용으로 인해, COPD에서 나타나는 비가역성 기도 폐쇄가 유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폐 매트릭스를 분해하는 프로테아제의 작용은 폐포를 거의 다 없애버리며, 상기 질환에서 나타나는 장기간 폐 기능 감소를 가속화시키는 주요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PDE 4 억제제를 사용한 치료는 상기 질환들 둘 다에서 폐의 염증성 세포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문헌 [M.S. Barnette, "PDE 4 inhibitors in asthm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Progress in Drug Research, Birkhaeuser Verlag, Basel, 1999, pp. 193-229] 및 [H.J. Dyke and J.G. Montana,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PDE 4 inhibitors", Exp. Opin. Invest. Drugs 8, 1301-1325 (1999)] 참조).
PDE 4 억제제는 대체로 구토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부작용은 롤리프람 (rolipram)에 대한 고친화도 결합 부위와의 친화도와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졌으며, 구토는 상기 결합 부위에 대해 친화도가 감소된 화합물로 감소됨이 밝혀졌다 (J. Med. Chem. 1996, 39, 120-125).
WO 99/24433호 및 WO 99/67244호에는 cGMP-대사 포스포디에스테라제의 억제제로서 2-(아미노술포닐-페닐)-이미다조트리아지논을 합성하기 위한 합성 중간체인 2-페닐-이미다조트리아지논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US-A-4,278,673호에는 특히 천식의 치료를 위한 cAMP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 활성을 지닌 2-아릴-이미다조트리아지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7-(4-tert 부틸-시클로헥실)-이미다조트리아지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의약으로서의 용도, 특히 염증 과정 및(또는) 면역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R1은 할로겐, (C1-C4)-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니트로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동일하거나 상이한 잔기들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C6-C10)-아릴을 나타내거나, 또는
3-원 내지 10-원 카르보시클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C1-C8)-알킬을 나타내거나,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C1-C4)-알킬 잔기들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3-원 내지 10-원 카르보시클릴을 나타내며,
R2는 4-tert-부틸-시클로헥스-1-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R1이 나프틸을 나타내거나,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할로겐 원자들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내며, R2가 상기 기재된 의미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R1이 상기 기재된 의미를 갖고, R2가 시스-4-tert-부틸-시클로헥스-1-일을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그의 염, 수화물 및(또는) 용매화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또는 무기의 염기 또는 산과의 염이 본원에서 언급될 수 있다.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이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무기산 또는 유기산과의 염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염으로는,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또는 황산과 같은 무기산과의 염, 또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말레산, 푸마르산, 말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또는 나프탈렌-디술폰산과 같은 유기 카르복실산 또는 술폰산과의 염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상 및 거울상으로서 거동하거나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상 및 거울상으로서 거동하지 않는 (부분입체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형태로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거울상이성질체 및 라세미체 둘 다에 관한 것이며, 또한 순수한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그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부분입체이성질체와 유사하게, 라세미체도 공지의 방법에 따라 균일한 입체이성질체 성분들로 분리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R1이 1-나프틸 또는 3-할로-페닐을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수화물"은 상기 화합물의 물과의 화학량론적 조성물이며, 그 예로는 반-수화물, 일수화물 또는 이수화물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매화물" 또는 그의 염은 상기 화합물의 용매와의 화학량론적 조성물이다.
"(C1-C8)-알킬" 및 "(C1-C4)-알킬"은 일반적으로 각각 1개 내지 8개 또는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잔기를 나타낸다. 알킬 잔기는 포화될 수도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될 수도 있다. 즉, 알킬 잔기는 1개 이상의 이중결합 및(또는) 삼중결합을 함유할 수 있다. 포화된 알킬 잔기가 바람직하다. 알킬 잔기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알릴, 프로파르길, tert-부틸, 펜틸, 헥실, 헵틸 및 옥틸을 언급할 수 있다.
"(C6-C10)-아릴"은 일반적으로 6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잔기를 나타낸다. 페닐 및 나프틸이 바람직하다.
"3-원 내지 10-원 카르보시클릴"은 일반적으로 3개 내지 10개의 고리 원자를갖는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의 카르보시클릭 잔기를 나타낸다. 3-원 내지 8-원 카르보시클릴이 바람직하다. 모노시클릭 및 비시클릭의 카르보시클릴 잔기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모노시클릭 카르보시클릴 잔기이다. 카르보시클릴 잔기는 포화될 수도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될 수도 있다. 포화된 카르보시클릴 잔기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C3-C1O)-시클로알킬 및 (C4-C7)-시클로알킬 잔기이다. 카르보시클릴 잔기의 예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노르보른-1-일, 노르보른-2-일, 노르보른-7-일, 노르보른-2-엔-7-일, 시클로옥틸, 쿠빌, 시클로노닐, 시클로데실, 데칼리닐, 아다만트-1-일, 아다만트-2-일을 언급할 수 있다.
"할로겐"은 일반적으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를 나타낸다. 플루오로, 클로로 및 브로모가 바람직하다. 플루오로 및 클로로가 특히 바람직하다.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 중의 기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3개 이하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잔기들에 의한 치환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바람직하게는 용매로서 에탄올을 사용하여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축합시킴으로써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생성하고, 임의로는 단리 후에 탈수제 (바람직하게는 인 옥시트리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식 중, R2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L은 4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을 나타냄)
(식 중, R1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식 중, R1및 R2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별법으로,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A] 화학식 (IIa)의 화합물을 바람직하게는 용매로서 에탄올을 사용하여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축합시킴으로써 화학식 (IVa)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B] 그 후, 화학식 (IVa)의 화합물을 화학식 (V)의 화합물로 가수분해하는 단계,
[C] 마지막으로 화학식 (V)의 화합물을 화학식 (VI)의 화합물과 축합시키는 단계
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식 중, L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식 중, R1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식 중, R1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식 중, R2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T는 이탈기, 바람직하게는 염소를 나타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기 반응식을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각각의 단계에 적합한 용매는 반응 조건 하에서 변하지 않는 통상적인 유기 용매이다. 바람직하게는, 디에틸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헥산, 시클로헥산 또는 광유 분획과 같은 탄화수소;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또는 클로로벤젠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헥사메틸인산 트리아미드,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디메톡시에탄 또는 피리딘이 있다. 상기 언급한 용매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화학식 (II)/(IIa) 화합물과 화학식 (III) 화합물의 반응에 의한 화학식 (IV)/(IVa) 화합물 생성시의 에탄올, 및 화학식 (IV) 화합물의 화학식 (I) 화합물로의 고리화 반응시의 디클로로에탄이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넓은 범위 내에서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의 범위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대기압 하에서 수행한다. 그러나, 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 하에서 또는 감압하에서 (예를 들어, 0.5 내지 5 bar의 범위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학식 (IVa)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산성 조건 하에서, 예를 들어 2 N 염산의 환류 하에서 화학식 (V)의 화합물로 가수분해된다.
화학식 (V)의 화합물은 불활성 용매 중에서, 필요한 경우 염기의 존재 하에 화학식 (VI)의 화합물과 축합되어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생성한다.
적합한 불활성 용매는 반응 조건 하에서 변하지 않는 통상적인 유기 용매이다. 바람직하게는, 디에틸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헥산, 시클로헥산 또는 광유 분획과 같은 탄화수소;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디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또는 클로로벤젠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헥사메틸인산 트리아미드,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디메톡시에탄 또는 피리딘이 있다. 상기 언급한 용매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합한 염기로는 일반적으로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 또는 알칼리 금속 알콕시드 (예를 들어, 수소화나트륨 또는 칼륨 tert-부톡시드), 시클릭 아민 (예를 들어, 피페리딘, 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또는 (C1-C4)-알킬아민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이 있다.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및(또는) 디메틸아미노피리딘이 바람직하다.
염기는 화학식 (V)의 화합물 1 mol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1 mol 내지 4 mol, 바람직하게는 1.2 mol 내지 3 mol의 양으로 사용된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넓은 범위 내에서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의 범위에서 수행한다.
화학식 (II)의 화합물 중 몇몇은 공지된 것이거나 신규한 것이며, 이는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우선 불활성 용매 중에서, 필요한 경우 염기 및 트리메틸실릴 클로라이드의 존재 하에 α-아미노-부티르산과의 반응에 의해 화학식 (VII)의 화합물로 전환시키고,
마지막으로 불활성 용매 중에서, 필요한 경우 염기의 존재 하에 화학식 (VI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VI>
R2-CO-T
(식 중, R2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T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를 나타냄)
(식 중, R2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식 중, L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화학식 (IIa)의 화합물도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다.
각 공정 단계에 적합한 용매는 반응 조건 하에서 변하지 않는 통상적인 유기 용매이다. 바람직하게는, 디에틸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헥산, 시클로헥산 또는 광유 분획과 같은 탄화수소;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디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또는 클로로벤젠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헥사메틸인산 트리아미드,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디메톡시에탄 또는 피리딘이 있다. 상기 언급한 용매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제1 단계에서의 디클로로메탄, 및 제2 단계에서의 테트라히드로푸란과 피리딘의 혼합물이다.
적합한 염기로는 일반적으로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 또는 알칼리 금속 알콕시드 (예를 들어, 수소화나트륨 또는 칼륨 tert-부톡시드), 시클릭 아민 (예를 들어, 피페리딘, 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또는 (C1-C4)-알킬아민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이 있다.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및(또는) 디메틸아미노피리딘이 바람직하다.
염기는 화학식 (V)의 화합물 1 mol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1 mol 내지 4 mol, 바람직하게는 1.2 mol 내지 3 mol의 양으로 사용된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넓은 범위 내에서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의 범위에서 수행한다.
화학식 (VI) 및 (VIII)의 화합물은 그 자체로 공지된 것이며, 통상적으로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공지된 것이며,
화학식 (IX)의 화합물을, 헥산 중 트리메틸알루미늄의 존재 하에 -20℃ 내지 실온의 온도 범위 (바람직하게는 0℃) 및 대기압에서 톨루엔 중의 염화암모늄과 반응시키고; 생성된 아미딘을, 필요한 경우 동일 반응계에서 히드라진 수화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R1-Y
(식 중, R1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Y는 시아노, 카르복실, 메톡시카르보닐 또는 에톡시카르보닐기를 나타냄).
화학식 (IX)의 화합물은 그 자체로 공지된 것이며, 통상적으로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인간 호중구의 막에 PDE 4가 존재하는 것을 억제하며, 구토와 같은 부작용에 관여하는 PDE 4 고친화도 부위에 대해 특히 우호적인 결합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억제의 기능적인 결과로서 측정된 것 중 하나는, 자극된 인간 호중구에 의한 수퍼옥시드 음이온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염증 과정, 특히 급성 및 만성 염증 과정, 및(또는) 면역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염증 과정, 즉 급성 및 만성 염증 과정, 및(또는) 면역 질환, 예를 들어 기종, 폐포염, 호흡 쇼크폐, 모든 종류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성인성 호흡곤란 증후군 (ARDS), 천식, 기관지염, 낭성 섬유증, 호산구성 육아종, 동맥경화증, 관절증, 위장관의 염증, 심근염, 골 재흡수 질환, 재관류 손상,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제1형 진성당뇨병, 건선, 아나필락시양 (anaphylactoid) 자반병 신염, 만성 사구체신염, 염증성 장 질환, 아토피성 피부염, 기타 양성 및 악성 증식성 피부 질환,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춘계 결막염, 동맥 재협착,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 독성 쇼크 증후군, 이식편 대 숙주 반응, 타가이식 거부, 사이토카인-매개 만성 조직 퇴화, 류마티스성 관절염, 관절염, 류마티스성 척추염, 골관절염, 관상동맥 부전, 근육통, 다발성 경화증, 말라리아, AIDS, 악액질, 종양 증식 및 조직 침윤, 백혈병, 우울증, 기억력 장애, 및 급성 뇌졸중의 치료 및 예방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재산소화 후의 경색 조직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키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의약 제조에 있어서의 활성 화합물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화합물은 공지의 방식으로 불활성이고 무독성인 제약상 적합한 부형제 또는 용매를 사용하여, 정제, 코팅 정제, 에어로졸, 환약, 과립제, 시럽, 에멀전, 현탁액제 및 용액제와 같은 통상적인 제형으로 전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혼합물 중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농도가 약 0.5 중량% 내지 약 90 중량%가 되도록 상기 화합물이 본원에서 사용되며, 상기 농도는 특히 의약의 상응하는 징후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언급한 제형은,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을 상기 특성을 지닌 용매 및(또는) 부형제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되고, 필요한 경우 추가로 유화제 또는 분산제를첨가하며, 용매가 물인 경우에는 별법으로 유기 용매를 첨가해야 한다.
투여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경구, 경피 또는 비경구 투여로 수행되며, 그 예로는 설하 투여, 구강 투여, 정맥내 투여, 비강 투여, 직장 투여 또는 흡입 투여가 있다.
인간에게 사용함에 있어, 경구 투여의 경우에는 0.001 내지 50 mg/kg, 바람직하게는 0.01 mg/kg 내지 20 mg/kg의 투여량을 투여하는 것이 권장할만 하다. 정맥내 투여, 비강 점막을 통한 투여, 구강 투여, 또는 흡입 투여와 같은 비경구 투여의 경우, 0.001 mg/kg 내지 0.5 mg/kg의 투여량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할만 하다.
상기와 같은 권장사항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양의 범위를 벗어나야 할 수도 있다. 즉, 체중이나 투여 경로의 형태에 따라, 의약에 대한 개체의 반응에 따라, 제제화 방식에 따라, 그리고 투여하는 시간 또는 간격에 따라 상기 양의 범위를 벗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몇몇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최소량 미만의 양을 투여하는 것이 충분할 수도 있고, 다른 경우에는 언급한 상한을 초과해야 할 수도 있다. 비교적 다량으로 투여하는 경우, 이를 하루의 기간에 걸쳐 수회 개별 투여량으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권장할만 하다.
시험 설명
1. 인간 PMN의 제조
인간 PMN (다핵형 호중 백혈구; polymorphonuclear neutrophil leucocyte)은 말초 혈액으로부터 용이하게 정제된다. 상기 세포에서의 포스포디에스테라제는 주로 막 분획에 위치한다. 이 제조물에 대한 화합물의 억제 효능은 수퍼옥시드 생성 억제에 의해 측정된 소염 활성과 연관성이 높다.
정맥 주사에 의해 건강한 대상체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덱스트란 침강 및 피콜 히스토파크 (Ficoll Histopaque) 상의 밀도 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호중구를 정제하여 완충 매질 중에 재현탁하였다.
2. 인간 PMN 포스포디에스테라제의 분석
이 분석은 본질적으로 문헌 [Souness and Scott, Biochem. J. 291, 389-395 (1993)]에 기재된 인간 PMN으로부터의 미립자 분획으로 수행하였다. 미립자 분획을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나트륨 바나데이트/글루타티온으로 처리하여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효소 상에 별개의 입체특이적 부위가 나타나게 하였다. 원형 (prototype) PDE 4 억제제인 롤리프람의 IC50값은 450 nM 내지 1,500 nM이었기 때문에, 이 제제를 소위 "낮은 친화도" [L] 형태로 정의하였다. 제조예 화합물의 IC50값은 0.1 nM 내지 10,000 nM의 범위였다.
3. FMLP-자극된 수퍼옥시드 라디칼 음이온 생성의 억제
호중구 (2.5 ×105ml-1)를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의 웰에서 시토크롬 C (1.2 mg/ml)와 혼합하였다. 디메틸술폭시드 (DMSO) 중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하였다. 모든 웰에서, 화합물 농도는 2.5 nM 내지 10 μM의 범위였고 DMSO 농도는 0.1 부피/부피%였다. 사이토칼라신 (cytochalasin) b (5 ㎍ ×ml-1)를 첨가한후, 플레이트를 37℃에서 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4 ×10-8M FMLP (N-포르밀-Met-Leu-Phe)를 첨가하여 호중구를 자극시키고, 써모맥스 (Thermomax)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분광 광도계에서 OD550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아제 (dismutase) 억제성 시토크롬 C 환원으로서 수퍼옥시드 생성을 측정하였다. 최초 속도는 소프트맥스 (Softmax) 반응속도 계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블랭크 (blank) 웰은 200 유닛의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아제를 함유하였다.
수퍼옥시드의 생성 억제는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상기 식에서,
Rx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웰의 속도이고,
Ro는 대조군 웰에서의 속도이며,
Rb는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아제를 함유하는 블랭크 웰에서의 속도이다.
제조예 화합물의 IC50값은 0.1 nM 내지 10,000 nM의 범위였다.
4. 래트 (rat) 뇌막에서의 롤리프람 결합 부위 (PDE 4 고친화도 부위; "H-PDE 4 형태")에 대한 결합 분석
PDE 4 고친화도 부위 ("H-PDE 4 형태")에 대한 화합물의 활성은 [3H]-롤리프람을 래트 뇌막의 결합 부위로부터 제거하는 능력에 의해 용이하게 측정된다. 상기 부위에서의 활성은 잠재적 부작용 (예를 들어, 위산 분비 자극, 메스꺼움 및 구토)의 측정치일 것으로 생각된다.
롤리프람 결합 부위 분석은 본질적으로 문헌 [Schneider et al., Eur. J. Pharmacol. 127, 105-115 (1986)]에 기재된 바대로 수행하였다.
5.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에 의해 유도된 호중구의 래트 폐로의 유입
LPS를 래트에게 비내 투여하면 호중구가 폐 내로 현저히 유입되는데, 이는 24시간 후에 기관지 폐포 세척액 (bronchoalveolar lavage fluid)의 조직학적 또는 생화학적 (세포 펠렛의 마이엘로퍼옥시다제 함유물) 분석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LPS의 비내 투여를 기준으로 1시간 전 및 6시간 후에 래트에게 시험 화합물 또는 비히클을 경구 경로로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동물을 안락사시키고, PBS (인산염 완충 염수)로 폐를 세척하였다. 호중구 및 총 세포수를 분석하였다.
6. 명주원숭이 (marmoset)에서의 구토 잠재성
시험을 자각하고 있는 명주원숭이에게 비히클 또는 시험 화합물을 경구 경로로 투여하였다. 투여 후 1시간 동안, 동물을 구토 에피소드 또는 비정상적인 행동에 대해 관찰하였다. 몇몇 실험에 있어서, 비정상 반응이 관찰되지 않은 경우에 별도의 동물 군을, 구토 또는 비정상적인 행동이 관찰될 때까지 1/2만큼 더 높은 투여량으로 시험하였다. 비정상적인 행동 또는 구토 에피소드가 발생하지 않는 가장 높은 투여량을 NOEL이라고 기록하였다.
재료 및 방법
LC-MS 방법 A:
LC-파라미터용액 A: 아세토니트릴
용액 B: 0.3 g의 30% HCl/l 물
컬럼 오븐 50℃
컬럼 시메트리 (Symmetry) C18 2.1 x 150 mm
구배시간 [분]% A% B유속 [ml/분]
010900.9
390101.2
690101.2
LC-MS 방법 B:
LC-파라미터용액 A: 아세토니트릴/0.1% 포름산
용액 B: 물/0.1% 포름산
컬럼 오븐 40℃
컬럼 시메트리 C18 2.1 x 50 mm
구배시간 [분]% A% B유속 [ml/분]
010900.5
490100.5
690100.5
6.110901.0
7.510900.5
GC-MS 방법 A:
컬럼:HP-5 30 m x 320 ㎛ x 0.25 ㎛
캐리어 가스:헬륨
모드:일정 유속, 최초 유속: 1.5 ml/분
오븐 램프:최초 온도: 60℃
최초 시간: 1분
속도: 14℃/분으로 300℃까지, 그 후 300℃ 2분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하기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을 적용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Si 60에서 수행함;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에는 문헌 [Still, J. Org. Chem. 43, 2923 (1978)]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일상적인 조건을 따름; 디클로로메탄과 메탄올의 혼합물, 또는 시클로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을 용출액으로서 사용함.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반응은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그리고 무수 조건 하에서 수행하였다.
약어:
HPLC=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MS=질량 분석법
NMR=핵 자기 공명 분광법
LC-MS=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 분석법 병용
GC-MS=가스 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 분석법 병용
MeOH=메탄올
DMF=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디메틸술폭시드
출발 물질
<실시예 1A>
2-(아세틸아미노)부탄산
163 g (1.58 mol)의 2-아미노부탄산을 아세트산 중에 용해시키고, 242 g (2.37 mol)의 아세트산 무수물을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이 용액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고체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현탁하고, 여과한 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율: 220 g (96%)
<실시예 2A>
에틸 3-(아세틸아미노)-2-옥소펜타노에이트
9.2 g (63.4 mmol)의 2-(아세틸아미노)부탄산을 120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 현탁하고, 15.0 g (190 mmol)의 피리딘 및 소량의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과함께 가열 환류시켰다. 환류 온도로 가열하는 동안, 17.3 g (127 mmol)의 에틸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를 적가하였다. 가스 방출이 더이상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첨가하고, 유기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건조된 유기상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키고, 에탄올 중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실시예 3A>
3-브로모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18 g (22 mmol, 2 당량)의 염화암모늄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40 ml의 무수 톨루엔 중에 현탁하고, 이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헥산 중 2 M 트리메틸알루미늄 용액 11 ml (22 mmol, 2 당량)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가스 방출이 더이상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2.0 g (11 mmol, 1 당량)의 3-브로모-벤조니트릴을 첨가한 후, 이 혼합물을 80℃의 반응기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0℃로 냉각시키고, 50 ml의 메탄올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후, 고체를 메탄올로 수회 세척하고, 용액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킨 후, 잔류물을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수율: 2.02 g (78%)
<실시예 4A>
4-플루오로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실시예 3A의 방법과 유사하게, 2.0 g (16.5 mmol)의 4-플루오로벤조니트릴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2.9 g (100%)
<실시예 5A>
시클로프로판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실시예 3A의 방법과 유사하게, 6.71 g (100 mmol)의 시클로프로판카르보니트릴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7.3 g (61%)
GC/MS (방법 A): 체류 시간 3.42분, m/z 85.1 [M+H]+
<실시예 6A>
시클로펜탄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실시예 3A의 방법과 유사하게, 7.51 g (79.0 mmol)의 시클로펜탄카르보니트릴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3.9 g (33%)
LC-MS (방법 A): 체류 시간 0.42분, m/z 113 [M+H]+
<실시예 7A>
2,2-디메틸프로판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실시예 3A의 방법과 유사하게, 8.31 g (100 mmol)의 피발로니트릴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을 더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수율: 6 g 조 생성물
<실시예 8A>
3-니트로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실시예 3A의 방법과 유사하게, 30.0 g (203 mmol)의 3-니트로벤조니트릴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24.5 g (47%)
LC-MS (방법 A): 체류 시간 0.40분, m/z 166 [M+H]+
<실시예 9A>
1-나프탈렌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4 g (261 mmol, 2 당량)의 염화암모늄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150 ml의 무수 톨루엔 중에 현탁하고, 이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헥산 중 2 M 트리메틸알루미늄 용액 130 ml (260 mmol, 2 당량)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가스 방출이 더이상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20 g (130 mmol, 1 당량)의 1-시아노-나프탈렌을 첨가한 후, 이 혼합물을 80℃의 반응기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의 실리카 슬러리에 부었다. 여과 후, 고체를 메탄올로 수회 세척하고, 용액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킨 후, 잔류물을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합해진 여액을 수거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10% 메탄올 혼합물 중에서 교반하였다.
수율: 9.88 g (37%)
<실시예 10A>
N-{1-[3-(3-브로모페닐)-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 아세트아미드
2.02 (8.6 mmol, 1 당량)의 3-브로모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50 ml의 에탄올 중에 현탁하고, 1.47 g (10.2 mmol, 1.2 당량)의 히드라진 수화물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ml의 에탄올 중에 용해된 2.59 g (13 mmol, 1.5 당량)의 실시예 2A 화합물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 (반응기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키고, 생성물을 크로마토그래피 (플래쉬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율: 758 mg (25%)
<실시예 11A>
N-{1-[3-(4-플루오로페닐)-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실시예 10A의 방법과 유사하게, 2.0 g (11.4 mmol)의 4-플루오로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1.47 g (44%)
<실시예 12A>
N-{1-[3-(3-플루오로페닐)-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실시예 10A의 방법과 유사하게, 2.0 g (11.4 mmol)의 3-플루오로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781 mg (23%)
<실시예 13A>
N-{1-[3-(3-클로로페닐)-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실시예 10A의 방법과 유사하게, 1.5 g (7.9 mmol)의 3-클로로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441 mg (18%)
<실시예 14A>
N-{1-[3-(2-브로모페닐)-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실시예 10A의 방법과 유사하게, 1.64 g (7.0 mmol)의 2-브로모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1.0 g (41%)
LC/MS (B): MS (ES+): 351 (M+H+), 체류 시간 2.34분
<실시예 15A>
N-[1-(3-시클로헥실-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실시예 10A의 방법과 유사하게, 1.50 g (9.2 mmol)의 시클로헥산-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1.17 g (46%)
<실시예 16A>
N-{1-[3-(4-브로모페닐)-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실시예 10A의 방법과 유사하게, 10.2 g (43.3 mmol)의 4-브로모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5.23 g (34%)
<실시예 17A>
N-[1-(3-시클로프로필-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실시예 10A의 방법과 유사하게, 7.30 g (60.5 mmol)의 시클로프로판-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을 더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수율: 4.9 g (34%) 조 물질
<실시예 18A>
N-[1-(3-시클로펜틸-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실시예 10A의 방법과 유사하게, 3.50 g (23.6 mmol)의 시클로펜탄-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1.7 g (27%)
LC/MS (방법 A): 체류 시간 1.60분, m/z 265 [M+H]+
<실시예 19A>
N-[1-(3-tert-부틸-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실시예 10A의 방법과 유사하게, 6.0 g (11.0 mmol)의 2,2-디메틸프로판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1.77 g (64%)
LC/MS (방법 A): 체류 시간 1.59분, m/z 253 [M+H]+
<실시예 20A>
N-{1-[3-(3-니트로페닐)-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실시예 10A의 방법과 유사하게, 35.0 g (174 mmol)의 3-니트로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13.6 g (25%)
<실시예 21A>
N-[1-(5-옥소-3-페닐-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실시예 10A의 방법과 유사하게, 7.26 g (46.8 mmol)의 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10.1 g (80%)
<실시예 22A>
N-{1-[3-(1-나프틸)-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1.0 g (4.84 mmol, 1 당량)의 1-나프탈렌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2 ml의 DMSO 중에 현탁하고, 0.29 g (5.81 mmol, 1.2 당량)의 히드라진 수화물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ml의 에탄올 중에 용해된 1.45 g (7.3 mmol, 1.5 당량)의 실시예 2A 화합물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60℃ (반응기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키고,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율: 7.1 g (70%)
<실시예 23A>
6-(1-아미노프로필)-3-(3-브로모페닐)-1,2,4-트리아진-5(4H)-온
749 mg (2.13 mmol)의 실시예 10A 화합물을 20 ml의 2 N 염산 중에서 18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10% NaOH로 중화시키고, 에탄올을 첨가한 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로 처리하고, 염으로부터 여액을 분리하였다. 여액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키고, 생성물을 크로마토그래피 (플래쉬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율: 320 mg (49%)
<실시예 24A>
6-(1-아미노프로필)-3-(4-플루오로페닐)-1,2,4-트리아진-5(4H)-온
실시예 23A의 방법과 유사하게, 1.46 g (5.0 mmol)의 실시예 11A 화합물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970 mg (78%)
LC/MS (A): MS (ESI): 249 (M+H+), 체류 시간 0.50분
<실시예 25A>
6-(1-아미노프로필)-3-(3-플루오로페닐)-1,2,4-트리아진-5(4H)-온
실시예 23A의 방법과 유사하게, 1.1 g (3.8 mmol)의 실시예 12A 화합물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594 mg (63%)
LC/MS (A): MS (ESI): 249 (M+H+), 체류 시간 0.49분
<실시예 26A>
6-(1-아미노프로필)-3-(3-클로로페닐)-1,2,4-트리아진-5(4H)-온
실시예 23A의 방법과 유사하게, 419 mg (1.4 mmol)의 실시예 13A 화합물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280 mg (77%)
<실시예 27A>
6-(1-아미노프로필)-3-(2-브로모페닐)-1,2,4-트리아진-5(4H)-온
실시예 23A의 방법과 유사하게, 1.00 g (2.85 mmol)의 실시예 14A 화합물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152 mg (17%)
<실시예 28A>
6-(1-아미노프로필)-3-시클로헥실-1,2,4-트리아진-5(4H)-온
실시예 23A의 방법과 유사하게, 1.14 g (4.10 mmol)의 실시예 15A 화합물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128 mg (13%)
<실시예 29A>
6-(1-아미노프로필)-3-(4-브로모페닐)-1,2,4-트리아진-5(4H)-온
실시예 23A의 방법과 유사하게, 5.0 g (14.2 mmol)의 N-{1-[3-(4-브로모-페닐)-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3.4 g (77%)
<실시예 30A>
6-(1-아미노프로필)-3-시클로프로필-1,2,4-트리아진-5(4H)-온
실시예 23A의 방법과 유사하게, 4.90 g (20.7 mmol)의 N-[1-(3-시클로프로필-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1.6 g (40%)
LC/MS (방법 A): 체류 시간 0.36분, m/z 195 [[M+H]+
<실시예 31A>
6-(1-아미노프로필)-3-tert-부틸-1,2,4-트리아진-5(4H)-온
실시예 23A의 방법과 유사하게, 1.77 g (4.42 mmol)의 N-[1-(3-tert-부틸-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850 mg (91%)
<실시예 32A>
6-(1-아미노프로필)-3-시클로펜틸-1,2,4-트리아진-5(4H)-온
실시예 23A의 방법과 유사하게, 1.65 g (6.24 mmol)의 N-[1-(3-시클로펜틸-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900 mg (65%)
<실시예 33A>
6-(1-아미노프로필)-3-(3-니트로페닐)-1,2,4-트리아진-5(4H)-온
실시예 23A의 방법과 유사하게, 13.5 g (42.5 mmol)의 N-{1-[3-(3-니트로-페닐)-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6.2 g (41%)
LC/MS (방법 A): 체류 시간 0.497분, m/z 276 [M+H]+
<실시예 34A>
6-(1-아미노프로필)-3-페닐-1,2,4-트리아진-5(4H)-온
실시예 23A의 방법과 유사하게, 10.00 g (36.7 mmol)의 실시예 21A 화합물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6.7 g (77%)
<실시예 35A>
6-(1-아미노프로필)-3-(1-나프틸)-1,2,4-트리아진-5(4H)-온
실시예 23A의 방법과 유사하게, 700 mg (2.17 mmol)의 실시예 22A 화합물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557 mg (91%)
<실시예 36A>
N-{1-[3-(3-브로모페닐)-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복스아미드
500 mg (1.62 mmol, 1 당량)의 실시예 23A 화합물을 40 ml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현탁하고, 0.48 ml (3.44 mmol, 2 당량)의 트리에틸아민 및 328 mg (1.62 mmol)의 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 내지 2시간).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부피의 1 N 염산에 첨가하고, 유기상을 1 N 염산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후에 증발 건조시켰다. 생성물을 더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거나,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플래쉬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LC/MS (A): MS (ESI): 475, 477 (M+H+), 체류 시간 3.17, 3.20분
<실시예 37A>
4-tert-부틸-N-[1-(3-시클로프로필-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시클로헥산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36A의 방법과 유사하게, 250 mg (1.29 mmol)의 6-(1-아미노-프로필)-3-시클로프로필-1,2,4-트리아진-5(4H)-온, 260 mg (1.29 mmol)의 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 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을 더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수율: 464 mg 조 생성물
<실시예 38A>
4-tert-부틸-N-[1-(3-시클로펜틸-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시클로헥산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36A의 방법과 유사하게, 200 mg (0.90 mmol)의 6-(1-아미노-프로필)-3-시클로펜틸-1,2,4-트리아진-5(4H)-온, 180 mg (0.90 mmol)의 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 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을 더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수율: 350 mg 조 생성물
<실시예 39A>
4-tert-부틸-N-[1-(3-tert-부틸-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시클로헥산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36A의 방법과 유사하게, 210 mg (1.00 mmol)의 6-(1-아미노-프로필)-3-tert-부틸-1,2,4-트리아진-5(4H)-온, 200 mg (1.00 mmol)의 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 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을 더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수율: 377 mg 조 생성물
<실시예 40A>
4-tert-부틸-N-[1-(5-옥소-3-페닐-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시클로헥산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36A의 방법과 유사하게, 100 mg (0.43 mmol)의 실시예 34A 화합물, 100 mg (0.48 mmol)의 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 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이성질체들의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150 mg (87%)
LC/MS (A): MS (ESI): 397 (M+H+), 체류 시간 4.14분
<실시예 41A>
시스-4-tert-부틸-N-{1-[3-(1-나프틸)-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시클로헥산카르복스아미드
0℃에서 디클로로메탄 9 ml 및 DMF 1 ml 중 시스-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252 mg (1.37 mmol) 및 1-히드록시-1H-벤조트리아졸 185 mg (1.37 mmol)의 용액에, N-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0.23 ml을 첨가한 후에 실시예 35A 화합물 300 mg (0.91 mmol)을 첨가하였다. 10분 후, 용액을 실온까지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1 N HCl 용액으로 2회 세척한 후, 5%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율: 215 mg (53%)
<실시예 42A>
시스-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시스- 및 트랜스-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을 하기 조건 하에서 제조용 HPLC에 의해 분리하였다:
공급원료:이소-헥산 (80%)/tert-부틸메틸에테르 (20%) 500 ml 중에 용해된 시스- 및 트랜스-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의 이성질체 혼합물 10 g
컬럼:330 x 100 mm; 셀프 패키징 디바이스 (Self Packing Device) NW 100 (Merck)
정지상:LiChrospher Si 60, 12 ㎛ (Merck)
이동상:이소-헥산/tert-부틸메틸에테르 (4/1 v/v) + 0.25 부피% 아세트산
유속:150 ml/분
주입 부피:70 ml (= 1.4 g 화합물)
파장:210 nm
온도:25℃.
매 30분 마다 상기 컬럼에 샘플을 반복적으로 주입하여 구동시켰다. 시스-이성질체가 가장 먼저 용출되는 화합물이다.
시스-이성질체:
융점: 118℃
트랜스-이성질체:
융점: 172℃
<실시예 43A>
시스-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 클로라이드
시스-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실시예 42A) 2.0 g (10.85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중에 용해시키고, 에탄디오일 디클로라이드 1.65 g (13.02 mmol)을 첨가한 후, 이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이어서, 잔류물을 2배의 톨루엔 중에 용해시키고, 다시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더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44A>
4-니트로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실시예 3A의 방법과 유사하게, 10.0 g (67.5 mmol)의 4-니트로벤조니트릴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12.64 g (93%)
1H-NMR (DMSO-d6, 200 MHz): δ= 8.1 (m, 2H), 8.4 (m, 2H) ppm.
<실시예 45A>
3-시아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실시예 3A의 방법과 유사하게, 20.0 g (125.9 mmol)의 3-시아노벤조산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4.27 g (17%)
<실시예 46A>
N-{1-[3-(4-메틸페닐)-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실시예 10A의 방법과 유사하게, 3.0 g (17.6 mmol)의 4-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2.74 g (54%)
<실시예 47A>
N-{1-[3-(4-니트로페닐)-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실시예 10A의 방법과 유사하게, 7.29 g (36.16 mmol)의 실시예 44A 화합물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3.35 g (29%)
<실시예 48A>
N-{1-[3-(3-시아노페닐)-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아세트아미드
실시예 10A의 방법과 유사하게, 4.27 g (23.5 mmol)의 실시예 45A 화합물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2.41 g (34%)
<실시예 49A>
6-(1-아미노프로필)-3-(4-메틸페닐)-1,2,4-트리아진-5(4H)-온
실시예 23A의 방법과 유사하게, 2.74 g (9.57 mmol)의 실시예 46A 화합물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생성물을 더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50A>
6-(1-아미노프로필)-3-(4-니트로페닐)-1,2,4-트리아진-5(4H)-온
실시예 23A의 방법과 유사하게, 3.33 g (10.51 mmol)의 실시예 47A 화합물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1.29 g (45%)
LC/MS (A): MS (ESI): 276 (M+H+), 체류 시간 0.49분
<실시예 51A>
3-[6-(1-아미노프로필)-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3-일]벤조니트릴
실시예 23A의 방법과 유사하게, 2.41 g (8.11 mmol)의 실시예 48A 화합물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1.1 g (53%)
LC/MS (A): MS (ESI): 256 (M+H+), 체류 시간 1.27분
<실시예 52A>
4-tert-부틸-N-{1-[3-(4-메틸페닐)-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시클로헥산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37A의 방법과 유사하게, 800 mg (3.27 mmol)의 실시예 49A 화합물, 730 mg (3.60 mmol)의 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 클로라이드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생성물을 더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LC/MS (A): MS (ESI): 411 (M+H+), 체류 시간 3.09분
<실시예 53A>
시스-7-(4-tert-부틸시클로헥실)-4-클로로-5-에틸-2-(4-니트로페닐)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
실시예 50A 화합물 500 mg (1.82 mmol)을 디클로로에탄 20 ml 중에 현탁하고, 트리에틸아민 276 mg (2.72 mmol) 및 시스-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 클로라이드 552 mg (2.72 mmol)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포스포옥시클로라이드 279 mg (1.82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포화 NaHCO3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상을 포화 NaHCO3수용액,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생성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율: 127 mg (16%) 시스-생성물
MS (ESI): 442, 444 (M+H+)
<실시예 54A>
시스-4-tert-부틸-N-[1-(5-옥소-3-페닐-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시클로헥산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34A 화합물 1.3 g (5.65 mmol)을 1,2-디클로로에탄 50 ml 중에 현탁하고, 트리에틸아민 0.94 ml (6.78 mmol) 및 시스-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 (실시예 43A) 클로라이드 1.26 g (6.2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한 후,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증발 건조시켰다.
수율: 2.2 g (98.3%)
LC/MS: MS (ESI): 397 (M+H+), 체류 시간 4.14분
제조예
<실시예 1>
2-(3-브로모페닐)-7-(4-tert-부틸시클로헥실)-5-에틸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
실시예 36A 화합물 770 mg (1.62 mmol, 1 당량)을 디클로로에탄 70 ml 중에 현탁하고, 포스포옥시클로라이드 373 mg (2.45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추가로 삼염화인산 373 mg을 첨가하고, 환류 온도에서 밤새 계속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포화 NaHCO3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상을 포화 NaHCO3수용액,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생성물을 정제하고, 이성질체를 크로마토그래피 (플래쉬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정제용 HPLC)에 의해 분리하였다.
수율: 156 mg (21%) 시스-이성질체
<실시예 2>
7-(4-tert-부틸시클로헥실)-2-시클로프로필-5-에틸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
실시예 1의 방법과 유사하게, 조질의 4-tert-부틸-N-[1-(3-시클로프로필-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시클로헥산카르복스아미드 464 mg (1.29 mmol), 삼염화인산 200 mg (1.29 mmol)을 환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비례하는 양의 용매를 사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시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5/1, 2/1로 용출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이성질체로 분리하였다.
수율: 20 mg (4.5%) 시스-이성질체
<실시예 3 및 4>
2-tert-부틸-7-(4-tert-부틸시클로헥실)-5-에틸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
실시예 1의 방법과 유사하게, 조질의 4-tert-부틸-N-[1-(3-tert-부틸-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시클로헥산카르복스아미드 377 mg (1.00 mmol), 삼염화인산 184 mg (1.20 mmol)을 환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비례하는 양의 용매를 사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시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10/1, 5/1로 용출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순수한 시스- 및 트랜스-이성질체로 분리하였다.
수율: 22 mg (6.13%) 시스-이성질체 (실시예 3)
수율: 60 mg (17%) 트랜스-이성질체 (실시예 4)
<실시예 5 및 6>
7-(4-tert-부틸시클로헥실)-2-시클로펜틸-5-에틸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
실시예 1의 방법과 유사하게, 조질의 4-tert-부틸-N-[1-(3-시클로펜틸-5-옥소-4,5-디히드로-1,2,4-트리아진-6-일)프로필]시클로헥산카르복스아미드 350 mg (0.90 mmol), 삼염화인산 140 mg (0.90 mmol)을 환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비례하는 양의 용매를 사용하였다. 이성질체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수율: 21 mg (6.3%) 시스-이성질체 (실시예 5)
수율: 31 mg (17%) 트랜스-이성질체 (실시예 6)
<실시예 7 및 8>
7-(4-tert-부틸시클로헥실)-5-에틸-2-페닐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
방법 a)
실시예 1의 방법과 유사하게, 실시예 40A 화합물 150 mg (0.39 mmol), 삼염화인산 250 mg (1.61 mmol)을 환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비례하는 양의 용매를 사용하였다. 이성질체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수율: 26 mg (18%) 트랜스-이성질체 (실시예 7)
수율: 11 mg (8%) 시스-이성질체 (실시예 8)
실시예 8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방법 b)
7-(시스-4-tert-부틸시클로헥실)-5-에틸-2-페닐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
실시예 54A 화합물 2.2 g (5.55 mmol, 1 당량)을 디클로로에탄 50 ml 중에 현탁하고, 포스포옥시클로라이드 3.62 g (23.2 mmol, 4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고, 유기상을 물로 켄칭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킨 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고체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여과한 후, 건조시켰다.
수율: 1.02 g (49%)
1H-NMR은 상기와 동일함 (방법 a) 참조)
실시예 8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방법 c)
6-(1-아미노프로필)-3-페닐-1,2,4-트리아진-5(4H)-온 (실시예 34A) 20.45 g (0.09 mol)을 디클로로에탄 중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 502 g (5.08 mol) 및 시스-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 클로라이드 19.8 g (0.10 mol)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환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포스포옥시클로라이드 20.42 g (0.13 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환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과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고, 이어서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였다. 유기상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디에틸에테르로 분쇄한 후, 여과하였다. 고체를 메탄올(75%)/디클로로메탄(25%) 중에 용해시키고, 디클로로메탄을 진공에서 증발시킨 후, 결정화된 생성물을 여과 및 건조시켰다.
수율: 17.8 g (52%)
1H-NMR은 상기와 동일함 (방법 a) 참조)
<실시예 9>
7-(시스-4-tert-부틸시클로헥실)-5-에틸-2-(1-나프틸)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
1,2-디클로로에탄 10 ml 중 실시예 41A 화합물 200 mg (0.45 mmol) 및 삼염화인산 104 mg (0.67 mmol)의 용액을 환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마무리 처리 후에, 생성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172 mg (89%)
융점: 203℃
<실시예 10>
7-(시스-4-tert-부틸시클로헥실)-5-에틸-2-(4-메틸페닐)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
실시예 1의 방법과 유사하게, 실시예 52A 화합물 1750 mg (4.26 mmol), 삼염화인산 980 mg (6.39 mmol)을 환류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고, 비례하는 양의 용매를 사용하였다.
수율: 40 mg (2%)
<실시예 11>
7-(시스-4-tert-부틸시클로헥실)-5-에틸-2-(4-니트로페닐)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
실시예 53A 화합물 598 mg (1.35 mmol)을 메탄올 중에 현탁하고, 수산화나트륨 10 ml (물 중의 10%)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메탄올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키고, 유기상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한 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수율: 580 mg (정량)
<실시예 12 및 13>
7-(4-tert-부틸시클로헥실)-5-에틸-2-(3-플루오로페닐)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
실시예 25A 화합물 500 mg (2.01 mmol)을 디클로로에탄 20 ml 중에 현탁하고, 트리에틸아민 306 mg (3.02 mmol) 및 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 클로라이드 408 mg (2.01 mmol)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포스포옥시클로라이드 463 mg (3.02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포화 NaHCO3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상을 포화 NaHCO3수용액,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후,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생성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율: 33 mg (4%) 시스-생성물 (실시예 12)
수율: 29 mg (4%) 트랜스-생성물 (실시예 13)
<실시예 14>
시스-3-[7-(4-tert-부틸시클로헥실)-5-에틸-4-옥소-3,4-디히드로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2-일]벤조니트릴
실시예 12 및 13의 방법과 유사하게, 실시예 51A 화합물 1.09 g (4.27 mmol), 시스-4-tert-부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 클로라이드 0.86 g (4.27 mmol) 및 비례하는 양의 기타 시약들을 사용하였다.
수율: 0.70 g (41%)

Claims (10)

  1.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염, 수화물 및(또는) 용매화물.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은 할로겐, (C1-C4)-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니트로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동일하거나 상이한 잔기들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C6-C10)-아릴을 나타내거나, 또는
    3-원 내지 10-원 카르보시클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C1-C8)-알킬을 나타내거나,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C1-C4)-알킬 잔기들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3-원 내지 10-원 카르보시클릴을 나타내며,
    R2는 4-tert-부틸-시클로헥스-1-일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나프틸을 나타내거나,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할로겐원자들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을 나타내는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2가 시스-4-tert-부틸-시클로헥스-1-일을 나타내는 화합물.
  4.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탈수화제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IV>
    (식 중, R1및 R2는 제1항에 기재된 의미를 가짐).
  5. 제4항에 따른 화학식 (IV)의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 및(또는) 예방 용도를 위한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약리학상 허용되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의약 제조에 있어서의 용도.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염증 과정 및(또는) 면역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의약 제조에 있어서의 용도.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 및(또는) 천식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의약 제조에 있어서의 용도.
KR10-2003-7015526A 2001-06-01 2002-05-17 이미다조트리아지논 유도체 및 염증 과정 및(또는) 면역질환에 대한 그의 용도 KR200400236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113344.6 2001-06-01
GBGB0113344.6A GB0113344D0 (en) 2001-06-01 2001-06-01 Novel heterocycles 3
PCT/EP2002/005436 WO2002098879A1 (en) 2001-06-01 2002-05-17 Imidazotriazinones derivatives and their use against inflammatory processes and/or immune disea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605A true KR20040023605A (ko) 2004-03-18

Family

ID=991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526A KR20040023605A (ko) 2001-06-01 2002-05-17 이미다조트리아지논 유도체 및 염증 과정 및(또는) 면역질환에 대한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2) US7115602B2 (ko)
EP (1) EP1399447A1 (ko)
JP (1) JP2004536078A (ko)
KR (1) KR20040023605A (ko)
CN (1) CN1512993A (ko)
BG (1) BG108381A (ko)
BR (1) BR0210910A (ko)
CA (1) CA2449095A1 (ko)
CO (1) CO5540381A2 (ko)
CZ (1) CZ295609B6 (ko)
EC (1) ECSP034872A (ko)
EE (1) EE200300570A (ko)
GB (1) GB0113344D0 (ko)
GT (1) GT200200099A (ko)
HR (1) HRP20031090A2 (ko)
HU (1) HUP0400773A3 (ko)
MX (1) MXPA03010985A (ko)
NO (1) NO20035324D0 (ko)
NZ (1) NZ529848A (ko)
PE (1) PE20030231A1 (ko)
PL (1) PL366906A1 (ko)
RU (1) RU2003138078A (ko)
SK (1) SK14672003A3 (ko)
SV (1) SV2003001061A (ko)
UA (1) UA75149C2 (ko)
UY (1) UY27312A1 (ko)
WO (1) WO2002098879A1 (ko)
ZA (1) ZA2003091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8111A (en) * 2002-05-01 2003-11-05 Bayer Ag Novel imidazotriazinone compounds
GB2388594A (en) * 2002-05-16 2003-11-19 Bayer Ag Imidazo-triazine PDE 4 inhibitors
FR2850653A1 (fr) * 2003-02-04 2004-08-06 Univ Pasteur Derives de pyrazolotriazine,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s
JP2006219374A (ja) 2003-06-13 2006-08-24 Daiichi Asubio Pharma Co Ltd Pde7阻害作用を有するイミダゾトリアジノン誘導体
TW200745106A (en) * 2005-10-03 2007-12-16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EP2685983B1 (en) * 2011-03-17 2016-05-18 Algiax Pharmaceuticals GmbH Novel use of imidazotriazinones
WO2013156231A1 (en) * 2012-04-16 2013-10-24 Algiax Pharmaceuticals Gmbh Use of imidazotriazinones in neuropathic pain
EP3125900A1 (en) * 2014-03-28 2017-02-08 Algiax Pharmaceuticals GmbH Treatment of cognitive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1025A (fr) * 1971-11-19 1973-05-07 Allen & Hanburys Ltd Composes heterocycliques
GB1457873A (en) 1973-01-04 1976-12-08 Allen & Hanburys Ltd Imidazotriazines
DK109578A (da) 1977-03-25 1978-09-26 Allen & Hanburys Ltd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heterocycliske forbindelser
EP2295436A1 (de) 1997-11-12 2011-03-16 Bayer Schering Pharma AG 2-Phenyl-substituierte Imidazotriazinone als Phosphodiesterase V Inhibitoren
DE19827640A1 (de) * 1998-06-20 1999-12-23 Bayer Ag 7-Alkyl- und Cycloalkyl-substituierte Imidazotriazinone
CA2323008C (en) * 1999-10-11 2005-07-12 Pfizer Inc.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0400773A3 (en) 2007-09-28
PL366906A1 (en) 2005-02-07
EP1399447A1 (en) 2004-03-24
NZ529848A (en) 2006-02-24
NO20035324L (no) 2003-11-28
NO20035324D0 (no) 2003-11-28
HRP20031090A2 (en) 2005-08-31
US20050065153A1 (en) 2005-03-24
MXPA03010985A (es) 2004-10-28
ZA200309111B (en) 2004-11-24
UY27312A1 (es) 2003-02-28
ECSP034872A (es) 2004-01-28
CZ20033275A3 (en) 2004-03-17
GT200200099A (es) 2003-02-13
CN1512993A (zh) 2004-07-14
HUP0400773A2 (hu) 2004-07-28
CA2449095A1 (en) 2002-12-12
WO2002098879A1 (en) 2002-12-12
CO5540381A2 (es) 2005-07-29
RU2003138078A (ru) 2005-05-27
US20030139415A1 (en) 2003-07-24
SK14672003A3 (sk) 2004-08-03
EE200300570A (et) 2004-04-15
BR0210910A (pt) 2004-06-08
US7115602B2 (en) 2006-10-03
CZ295609B6 (cs) 2005-08-17
GB0113344D0 (en) 2001-07-25
UA75149C2 (en) 2006-03-15
JP2004536078A (ja) 2004-12-02
PE20030231A1 (es) 2003-05-16
BG108381A (bg) 2004-11-30
SV2003001061A (es) 200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0452B2 (ja) Plkインヒビターとしてのピリミジン化合物
US20040152739A1 (en) Acyclic pyrazole compounds for the inhibition of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activated protein kinase-2
EP1507780A1 (en) Pyrazolo-pyrimidine anilin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MX2007001759A (es) Derivados de triazolopiridinilsulfanilo como inhbidores de proteina quinasa activada por mitogenos.
CA2620254A1 (en) P38 map kinase inhibitor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7074790B2 (en) 5-ethylimidarotriazones
EP2391602A1 (en) Carbazole carboxamid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KR20040023605A (ko) 이미다조트리아지논 유도체 및 염증 과정 및(또는) 면역질환에 대한 그의 용도
JP2007509123A (ja) 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チエノ−ピリジノン誘導体
EP1397363B1 (en) 5-ethyl-imidazotriazinones
JP2005531550A (ja)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としての5−エチル−イミダゾ(5,1−f)(1,2,4)トリアジン−4(3h)−オン
CA2449109A1 (en) 2-heteroaryl-imidazotriazinon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or immune diseases
AU2002344351A1 (en) Imidazotriazinones derivatives and their use against inflammatory processes and/or immune diseases
EP1504008A1 (en) 7-aminoimidazotriazones
MXPA06009117A (en) Indazol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