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2458A -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2458A
KR20040022458A KR10-2004-7000686A KR20047000686A KR20040022458A KR 20040022458 A KR20040022458 A KR 20040022458A KR 20047000686 A KR20047000686 A KR 20047000686A KR 20040022458 A KR20040022458 A KR 20040022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unit
terminal
synchroniz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4008B1 (ko
Inventor
다께오 이나가끼
하루오 오바
다꾸 스가와라
준이찌 레끼모또
노부유끼 마쯔시따
유지 아야쯔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2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0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9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for achieving mutual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using different networks or channels, e.g. using out of band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10Arrangements for initial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6Connectivity information dis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통신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52)에는 퍼스널 컴퓨터(51)의 리더 라이터와 전자파에 의해 통신하는 비접촉 IC 카드가 설치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52)가 퍼스널 컴퓨터(51)에 근접하여, 리더 라이터로부터 복사되는 전자파가 그 비접촉 IC 카드에 수신되면, 휴대 전화기(52)는 비접촉 IC 카드에 설정되어 있는 카드 ID를 퍼스널 컴퓨터(51)에 통지한다. 퍼스널 컴퓨터(51)는, 휴대 전화기(52)와 PDA(53)와의 사이에서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하여, 휴대 전화기(52)와 PDA(53)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취득하면, 카드 ID로서 미리 통지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52)를 통신 상대로서 특정한다.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방법{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최근, 근거리간의 무선 통신 수단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가 주목받고 있으며, 여러가지 대응 기기가 개발, 판매되고 있다.
블루투스는, BluetoothSIG(Special Interest Group)에 의해 표준화되어 있는 무선 통신 규격으로, 2.4㎓대(IMS(Industrial Science Medical)대)를 사용하여 블루투스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그리고, 블루투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네트워크는, 그 형태에 따라 피코넷(piconet), 또는 복수의 피코넷이 상호 접속된 스캐터넷(scatternet)이라고 불리며, 거기에는 마스터와 슬레이브라고 불리는 역할을 갖는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존재한다. 이하, 적절하게, 마스터의 역할을 갖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간단히 마스터라고 칭하고, 슬레이브의 역할을 갖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간단히 슬레이브라고 각각 칭한다.
도 1은 피코넷 및 스캐터넷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피코넷에는 1개의 마스터가 존재하고, 그 제어에 기초하여 복수 또는 단수의 슬레이브가 통신을 행한다. 이 예에서는, 마스터(1)와 슬레이브(1-1), 및 슬레이브(1-2)에 의해 피코넷(1)이 형성되고, 마스터(2)와 슬레이브(2-1)에 의해 피코넷(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코넷(1)과 피코넷(2)이 상호 접속됨으로써 스캐터넷이 형성된다. 도 1에서는 피코넷(1)과 피코넷(2) 간의 통신 링크는 무효로 되어 있다.
이러한 피코넷이 형성되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피코넷 내의 모든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의해 주파수축과 시간축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 주파수축의 동기와 시간축의 동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블루투스에서는 79㎒의 주파수폭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마스터로부터 슬레이브에 대하여 신호가 송신되지만, 이 때, 마스터는 79㎒의 주파수폭을 동시에 점유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아니고, 정보의 송신 주파수를 1㎒의 주파수폭으로 랜덤하게 변화(호핑)시켜 송신한다.
또한, 수신측의 슬레이브는 랜덤하게 변화되는 마스터의 송신 주파수와 동기를 취하여, 적절하게 수신 주파수를 변화시켜 마스터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를 수신한다.
이 마스터와 슬레이브에 의해 변화되는 주파수의 패턴을 주파수 호핑 패턴이라고 부르고, 주파수 호핑 패턴을 마스터와 슬레이브와의 사이에서 공유하고 있는 상태가 주파수축의 동기가 확립된 상태로 된다.
또한, 블루투스에서는, 마스터와 복수의 슬레이브가 통신하기 위해서, 마스터와 각 슬레이브 사이의 통신로(채널)가 625μ초 단위로 시분할 다중되어 있다. 그리고, 이 625μ초 단위의 시간 간격을 시간 슬롯이라고 부르고, 시간 슬롯을 공유하고 있는 상태가 시간축의 동기가 확립된 상태로 된다.
또,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모든 슬레이브는 마스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주파수축의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주파수 호핑 패턴을 산출하고, 마스터의 블루투스 클럭에 기초하여, 자기 자신이 관리하는 블루투스 클럭에 오프셋을 가하여, 시간축의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시간 슬롯의 타이밍을 잡는다.
이 블루투스 어드레스는, 각각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대하여 고유한 48 비트로 나타나고, 그것에 기초하여 주파수 호핑 패턴이 일의적으로 산출된다. 또한, 블루투스 클럭은 모든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각각 관리한다.
따라서, 피코넷을 형성하기 전에는, 주파수축의 동기 및 시간축의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블루투스 클럭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가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서 송수신된다.
다음으로, 주파수축의 동기 및 시간축의 동기를 확립하여 피코넷을 형성하는 종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처리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마스터(1), 슬레이브(1-1), 및 슬레이브(1-2)에 의해 동기가 확립되어, 피코넷(1)이 형성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송수신되는 패킷 등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며, 여기서는 전체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에서, 마스터(1)는 주위에 존재하는 슬레이브를 검출하기 위한 IQ(Inquiry)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1)의 근방에 슬레이브(1-1)와 슬레이브(1-2)가 존재하는 경우, 슬레이브(1-1)는 단계 S31에서 마스터(1)로부터 송신되어 온 IQ 패킷을 수신하고, 단계 S32로 진행하여 자신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패킷(FHS 패킷)에 의해 마스터에 응답한다.
또한, 슬레이브(1-2)도 마찬가지로 하여, 단계 S51에서 IQ 패킷을 수신하면 단계 S52로 진행하여 FHS 패킷에 의해 마스터에 응답한다.
슬레이브가 마스터에 대하여 송신하는 FHS 패킷에는 슬레이브의 속성 정보로서, 각각의 슬레이브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블루투스 클럭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마스터(1)는, 슬레이브(1-1)로부터 송신되어 온 FHS 패킷을 단계 S2에서 수신하고, 슬레이브(1-2)로부터 송신되어 온 FHS 패킷을 단계 S3에서 수신한다.
IQ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고 그것에 대응하여 송신되어 오는 FHS 패킷을 수신하는 마스터의 일련의 처리, 및 송신되어 오는 IQ 패킷을 수신하고 그것에 대응하여 FHS 패킷을 송신하는 슬레이브의 일련의 처리를 「조회(Inquiry)」라고 부른다.
단계 S4에서, 마스터(1)는 단계 S2에서 수신한 FHS 패킷에 기초하여 생성한 ID 패킷을 슬레이브(1-1)에 송신한다.
슬레이브(1-1)는, 단계 S33에서, 이 ID 패킷을 수신하면 단계 S34로 진행하여, 수신한 것과 동일한 ID 패킷을 마스터(1)에 송신하여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한 것을 통지한다.
마스터(1)는, 단계 S5에서 슬레이브(1-1)로부터 송신되어 온 ID 패킷을 수신하면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FHS 패킷을 슬레이브(1-1)에 송신하여 자기의 속성 정보로서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블루투스 클럭을 슬레이브(1-1)에 통지한다.
단계 S35에서, 마스터(1)로부터의 FHS 패킷이 슬레이브(1-1)에 의해 수신되고, 이에 의해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하기 위해서 필요한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블루투스 클럭이 마스터(1)와 슬레이브(1-1)와의 사이에서 서로 교환된 상태가 된다.
단계 S36에서, 슬레이브(1-1)는 ID 패킷을 마스터(1)에 송신하여 FHS 패킷을 수신한 것을 통지한다.
그리고, 단계 S37에서, 슬레이브(1-1)는 마스터(1)로부터 통지되어 온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블루투스 클럭에 기초하여 마스터(1)와의 동기를 확립한다. 마스터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를 확립하는 슬레이브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7에서, 슬레이브(1-1)로부터 통지를 받은 마스터(1)는, 단계 S8로 진행하여, 슬레이브(1-1)와의 사이에서 FHS 패킷 및 ID 패킷을 송수신하는 것에 계속하여, 슬레이브(1-2)와의 사이에서 이들 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즉, 마스터(1)에 의한 단계 S8 내지 단계 S11의 처리 및 슬레이브(1-2)에 의한 단계 S53 내지 단계 S57의 처리는, 상술한 단계 S4 내지 단계 S7의 처리, 및 단계 S33 내지 단계 S37의 처리와 각각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8에서, 마스터(1)가 ID 패킷을 슬레이브(1-2)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슬레이브(1-2)로부터는 수신이 된 것을 통지하는 ID 패킷이 송신되어 온다. 그리고, 마스터(1)는 단계 S10에서 슬레이브(1-2)에 대하여 FHS 패킷을 송신하여 자신의 속성 정보를 통지한다.
단계 S55에서, 마스터(1)로부터의 FHS 패킷을 수신하면, 슬레이브(1-2)는 단계 S56으로 진행하여 ID 패킷을 마스터(1)에 송신한다. 그리고, 단계 S57에서, 슬레이브(1-2)는 마스터(1)로부터 통지되어 온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블루투스 클럭에 기초하여 마스터(1)와의 동기를 확립한다.
상술한「조회」로부터 동기가 확립되기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호출(page)」이라고 부른다.
단계 S12에서, 마스터(1)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통지할 것을 슬레이브(1-1)에 요구한다. 즉, 블루투스 디바이스에는 각각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설정되어 있고, 그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게 되어 있다.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은, 예를 들면 마스터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통신 상대(슬레이브)를 선택할 때 등에 사용된다. 즉, 블루투스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통신 상대를 선택해야 한다면, 사용자는 피코넷 내에 존재하는 모든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48 비트로 표현되는 숫자로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슬레이브(1-1)는 단계 S38에서 마스터(1)로부터 요구를 받았을 때, 단계 S39로 진행하여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마스터(1)에 통지한다.
그리고, 단계 S13에서, 마스터(1)는 슬레이브(1-1)로부터 통지되어 온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1)는 단계 S14에서 슬레이브(1-2)에 대하여도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의 통지를 요구한다.
단계 S58에서, 이 요구를 받은 슬레이브(1-2)는 단계 S59로 진행하여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마스터(1)에 통지한다.
단계 S15에서, 슬레이브(1-2)로부터 통지를 받은 마스터(1)는 단계 S16으로 진행하여 통신할 슬레이브를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 선택 화면에는, 단계 S13 및 단계 S15에서 취득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등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선택 화면을 확인하여, 그 후의 통신을 행할 슬레이브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동기 확립 후에 블루투스 디바이스(마스터)에 표시되는 선택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윈도우(1)가 표시되고, 그 좌측에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마스터의 정보가 표시되는 마스터 표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표시부(11)는 디바이스명 표시부(11A)와 어드레스 표시부(11B)로 이루어지고, 디바이스명 표시부(11A)에는 마스터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표시되고, 어드레스 표시부(11B)에는 마스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표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명 표시부(11A)의 상단에는 마스터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카테고리가 표시되고, 그 하단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따라 변경 가능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표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마스터의 카테고리는 「컴퓨터(퍼스널 컴퓨터)」라고 되어 있고, 디바이스명은 「레드용 컴퓨터」라고 되어 있다.
선택 윈도우(1)의 거의 중앙에는 프로파일 선택 버튼(12)이 세로로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는 슬레이브에 대한 프로파일을 선택한다. 프로파일은 슬레이브와의 통신 방법을 규정하는 것이고, 도 4에서는 8개의 프로파일 선택 버튼(12)이 표시되어 있다.
선택 윈도우(1)의 우측에는 슬레이브 표시부(13 내지 19)가 표시되어 있고, 각각의 슬레이브 표시부에는 마스터 표시부(11)와 마찬가지로 디바이스명 표시부와 어드레스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의 예에서는, 현재, 슬레이브 표시부(16)에 표시되어 있는 슬레이브와 마스터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슬레이브 표시부(16)에 표시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카테고리는 「휴대 전화기」이고, 그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은 「레드용 휴대」라고 되어 있다.
도 5는 동기 확립 후에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선택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선택 윈도우(31)에는, 그 좌측에 프로파일이 표시되고, 흰색 화살표를 사이에 두고 슬레이브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마스터로부터, 예를 들면 선택 윈도우(31)의 1단째에 표시되어 있는 슬레이브(블랙용 플레이어)에 대해서는, 음악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파일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피코넷을 확립하여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통신 가능한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람 표시되지만, 사용자는 그 상대를 의도적으로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통신 상대를 선택한 후, 또한 통신 상대의 기기에 대응하여 프로 파일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블루투스를 이용한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면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자동 판매기로 구입한 상품의 대금을 지불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 상대의 선택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제로 지폐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자동 판매기에서의 구입 절차가 보다 번잡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통신 상대의 단말기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통신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의 정보 처리 장치는, 근접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루프 안테나에 의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처리 수단과,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하는 제1 동기 확립 처리 수단과, 제1 동기 확립 처리 수단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처리 수단과, 제1 취득 처리 수단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와 제2 취득 처리 수단에 의해 취득된 단말기명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상대를 특정하는 특정 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신 시스템의 통신 단말기는,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얻어진 유기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3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제공 처리 수단과,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 통신의 동기의 확립에 수반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4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동기를 확립하는 제2 동기 확립 처리 수단과,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송신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4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제공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 방법을 구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은, 근접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루프 안테나에 의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처리 단계와,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하는 제1 동기 확립 처리 단계와, 제1 동기 확립 처리 단계에서 동기가 확립된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처리 단계와, 제1 취득 처리 단계에서 취득된 식별 정보와 제2 취득 처리 단계에서 취득된 단말기명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상대를 특정하는 특정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신 방법을 구성하는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은,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얻어진 유기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3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제공 처리 단계와,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 통신의 동기의 확립에 수반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4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동기를 확립하는 제2 동기 확립 처리 단계와,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송신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4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제공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처리 수단과, 원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수단과, 동기 확립 처리 수단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처리 수단과, 제1 취득 처리 수단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와, 제2 취득 처리 수단에 의해 취득된 단말기명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상대를 특정하는 특정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무선 통신부에 의한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가 제2 무선 통신부에 의한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보다 짧도록 할 수 있다.
제1 취득 처리 수단은, 근접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루프 안테나에 의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게 할 수 있다.
식별 정보 및 단말기명 정보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식별 정보 및 단말기명 정보에는 통신 단말기에 고유의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취득 처리 수단에 의해 식별 정보가 취득된 것에 따라서 제2 무선 통신부를 기동시키는 기동 처리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은,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처리 단계와, 원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단계와, 동기 확립 처리 단계에서 동기가 확립된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처리 단계와, 제1 취득 처리 단계에서 취득된 식별 정보와 제2 취득 처리 단계에서 취득된 단말기명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상대를 특정하는 특정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별 정보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어 있고, 제1 취득 처리 단계는 근접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루프 안테나에 의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요구에 따라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제공 처리 수단과, 원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수단과,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제공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무선 통신부에 의한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가 제2 무선 통신부에 의한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보다 짧도록 할 수 있다.
제1 제공 처리 수단은,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얻어진 유기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식별 정보 및 단말기명 정보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적어도 포함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식별 정보 및 단말기명 정보에는 자신에게 고유한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은, 소정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요구에 따라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제공 처리 단계와, 원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단계와,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제공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별 정보 및 단말기명 정보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적어도 포함되어 있고, 제1 제공 처리 단계는,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얻어진 유기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확장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접속 단자와, 근접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루프 안테나에 의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처리 수단과,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수단과, 동기 확립 처리 수단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처리 수단과, 제1 취득 처리 수단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와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취득한 단말기명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상대를 특정하는 특정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확장 장치는, 통신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접속 단자와,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얻어진 유기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요구에 따라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제공 처리 수단과, 원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수단과,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제공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프로그램은,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처리 단계와, 원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단계와, 동기 확립 처리 단계에서 동기가 확립된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처리 단계와, 제1 취득 처리 단계에서 취득된 식별 정보와 제2 취득 처리 단계에서 취득된 단말기명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상대를 특정하는 특정 처리 단계를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프로그램은, 소정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요구에 따라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제공 처리 단계와, 원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단계와,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제공 처리 단계를 통신 단말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는, 근접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루프 안테나에 의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취득되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가 확립되고, 동기가 확립된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가 취득된다. 그리고, 취득된 식별 정보와 단말기명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상대가 특정된다. 또한,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얻어진 유기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3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에 자신의 식별 정보가 제공되고,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 통신의 동기의 확립에 수반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4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동기가 확립되고,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송신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4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소정의 데이터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취득되고, 원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가 확립되고, 동기가 확립된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가 취득된다. 그리고, 취득된 식별 정보와 단말기명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상대가 특정된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소정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요구에 따라서 자신의 식별 정보가 제공되고, 원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가 확립되고,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확장 장치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근접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루프 안테나에 의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취득되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가 확립된다. 또한, 동기가 확립된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가 취득되고, 취득된 식별 정보와 단말기명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상대가 특정된다.
본 발명의 제2 확장 장치에서는, 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루프안테나를 통하여 얻어진 유기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요구에 따라서 자신의 식별 정보가 제공되고, 원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가 확립되고,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특히,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통신 상대의 단말기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통신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피코넷과 스캐터넷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하는 종래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하는 종래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 2에 계속되는 흐름도.
도 4는 통신 단말기를 선택하는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통신 단말기를 선택하는 화면의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의 퍼스널 컴퓨터의 외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6의 퍼스널 컴퓨터의 외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6의 퍼스널 컴퓨터의 외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6의 퍼스널 컴퓨터의 측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6의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는 도 11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도 11의 블루투스 모듈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외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외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7은 도 16의 비접촉 IC 카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은 도 17의 비접촉 IC 카드의 사양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기능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0은 도 6의 통신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1은 도 6의 통신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 20에 계속되는 흐름도.
도 22는 도 6의 통신 시스템의 다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3은 도 6의 통신 시스템의 다른 처리를 설명하는, 도 22에 계속되는 흐름도.
도 24A는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4B는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5A는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또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5B는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또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6A는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6B는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7은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8은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다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9는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또 다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30은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31은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다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32는 도 6의 휴대 전화기의 또 다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3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유비쿼터스 사회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51), 휴대 전화기(52)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53)에는 각각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되고 있고, 블루투스에 준거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52)에는 비접촉 IC 카드(IC 태그)(246)(도 16 참조)가 내장되고 있고, 퍼스널 컴퓨터(51)에는 그 비접촉 IC 카드(246)에 대하여 각종 정보의 기입 또는 판독이 가능한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05)(도 11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51)와 휴대 전화기(52)의 사이에서는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뿐만 아니라,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05)로부터 복사(輻射)되는 전자파를 통하여도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51)가 피코넷의 마스터인 경우, 퍼스널 컴퓨터(51)는 전자파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52)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52)를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하는 슬레이브로서 특정할 수 있다.
상세한 처리에 관해서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하며,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52)를 퍼스널 컴퓨터(51)에 가까이 하여, 퍼스널 컴퓨터(51)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05)로부터 복사되는 전자파가 수신되었을 때, 휴대 전화기(52)에 내장되어 있는 비접촉 IC 카드(246)는, 설정되어 있는 식별 정보(이하, 카드 ID라 칭함)를 퍼스널 컴퓨터(51)에 제공한다.
이 카드 ID는, 예를 들면 각각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에 관한 정보)과 동일한 정보이고, 퍼스널 컴퓨터(51)는,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하여,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취득했을 때 이 카드 ID와 동일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설정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52)를 통신 상대로서 특정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휴대 전화기(52)의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선택 화면으로부터 통신 상대를 선택하지 않고, 도면과 같이 휴대 전화기(52)를 퍼스널 컴퓨터(51)에 가까이 하는 것 만으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사용자가 PDA(53)로부터 퍼스널 컴퓨터(51)에 블루투스로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화면으로부터 통신 상대의 디바이스로서 퍼스널 컴퓨터(51)를 선택할 필요가 있지만, 휴대 전화기(52)로부터 송신하는 경우에는, 그와 같은 번잡한 처리를 하지 않고 퍼스널 컴퓨터(51)에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통신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의 퍼스널 컴퓨터(51)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이 노트북형의 퍼스널 컴퓨터(51)는, 기본적으로 본체(61)와, 이 본체(6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표시부(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표시부(62)를 본체(61)에 대하여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체(61)의 평면도, 도 9는 본체(61)에 설치되어 있는, 후술하는 죠그다이얼(63) 부근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체(61)의 죠그다이얼(63)측의 측면도이다.
본체(61)에는, 그 상면에, 각종 문자나 기호 등을 입력할 때 조작되는 키보드(64), 포인터(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킬 때 등에 조작되는 포인팅 디바이스로서의 터치 패드(65), 및 전원 스위치(67)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측면측에, 죠그다이얼(63), 슬롯(68), 및 IEEE1394 포트(70)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터치 패드(65) 대신에, 예를 들면 스틱식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표시부(62)의 정면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66)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62)의 우측 상부에는, 전원 램프 PL, 전지 램프 BL, 필요에 따른 메시지 램프 ML, 그 밖의 LED로 이루어지는 램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원 램프 PL이나 전지 램프 BL, 메시지 램프 ML 등은 표시부(62)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죠그다이얼(63)은, 본체(61) 상의 키보드(64)의 키 사이에 조립되고, 또한 키와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죠그다이얼(63)은, 도 9의 화살표 a로 나타내는 회전 조작에 대응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고, 또한 화살표 b로 나타내는 이동 조작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죠그다이얼(63)을, 본체(61)의 좌측면에 배치해도 되고, LCD(66)가 설치된 표시부(62)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혹은 키보드(64)의 G 키와 H 키의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해도 된다. 또한, 죠그다이얼(63)을, 터치 패드(65)를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하면서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전면의 중앙부에 배치해도 되고, 혹은 터치 패드(65)의 상단 모서리 또는 하단 모서리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배치해도 되며, 또한 터치 패드(65)의 우측 버튼과 좌측 버튼의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해도 된다. 또한, 죠그다이얼(63)을, 세로 방향이나 가로 방향에 한정하지 않고, 각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쉬운 경사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배치해도 된다. 그 외에, 죠그다이얼(63)을 포인팅 디바이스인 마우스의 측면의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1은 퍼스널 컴퓨터(51)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중앙 처리 장치))(81)는, 예를 들면 인텔(Intel)사 제조의 펜티엄(등록상표)(Pentium(R))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고, 호스트 버스(82)에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 버스(82)에는, 또한 브릿지(83)가 접속되어 있고, 브릿지(83)는 AGP(Accelerated Graphics Port)(84) 및 PCI 버스(85)에도 접속되어 있다. 브릿지(83)는, 예를 들면 인텔사 제조의 400BX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CPU(81)나 RAM(Random Access Memory)(86) 주변의 제어를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브릿지(83)는 AGP(84)를 통하여 비디오 컨트롤러(87)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브릿지(83)와 브릿지(107)로, 소위 칩 세트가 구성되어 있다.
브릿지(83)는, 또한 RAM(86) 및 캐쉬 메모리(88)와도 접속되어 있다. 캐쉬 메모리(88)는, CPU(81)가 사용하는 데이터를 캐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CPU(81)에도 1차적인 캐쉬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다.
RAM(86)은, 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되어, CPU(8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CPU(81)의 행동상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RAM(86)에는 기동이 완료된 시점에, 예를 들면 전자 메일 프로그램(86A), 오토 파일럿 프로그램(86B), 죠그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86C), 죠그다이얼 드라이버(86D), 오퍼레이팅 프로그램(OS)(86E),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86F), 및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 그 밖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86H1 내지 86Hn)이 HDD(114)로부터 전송되어 기억된다.
전자 메일 프로그램(84A)은 모뎀(92)을 통하여 전화 회선(93) 등의 통신 회선으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문을 수수하는 프로그램이다. 전자 메일 프로그램(84A)은 특정 기능으로서의 착신 메일 취득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착신 메일 취득 기능은,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94)가 구비하는 메일 서버(95)에 대하여 그 메일 박스(96) 내에 자신(이용자)을 목적지로 하는 메일이 착신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그러한 메일이 있으면 취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오토 파일럿 프로그램(86B)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처리(또는 프로그램) 등을 미리 설정된 순서로 순차 기동하여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다.
조그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86C)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86H1 내지86Hn)으로부터 죠그다이얼 대응인지의 여부의 통지를 수취하여,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죠그다이얼 대응이면, 죠그다이얼(63)을 조작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는 조작을, 어플리케이션이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서 행동한다. 죠그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86C)은, 통상 죠그다이얼(63)의 이벤트 대기로 되어 있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의 통지를 수취하는 리스트를 갖고 있다. 조그다이얼 드라이버(86D)는 죠그다이얼(63)의 조작에 대응하여 각종 기능을 실행한다.
OS(Operation System(기본 프로그램 소프트웨어))(86E)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즈(등록상표) 95(Windows(R)95), 윈도우즈(등록상표) 98(Windows(R)98), 혹은 애플 컴퓨터사의 맥 OS(상표) 등으로 대표되는, 컴퓨터의 기본적인 행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86F)은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05)(이하, 적절하게 리더 라이터(105)라 칭함)를 제어하여, 퍼스널 컴퓨터(51)에 대하여 근접되어 있는, 비접촉 IC 카드(246)를 내장하는 단말기의 존재를 검출하거나, 그 단말기와 전자파를 통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블루투스 모듈(106)을 제어하여, 예를 들면 근방에 존재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검출이나, 그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한다.
비디오 컨트롤러(87)는 PCI 버스(85)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AGP(84)를 통하여 브릿지(83)에 접속되어 있고, PCI 버스(85) 혹은 AGP(84)를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LCD(66)의 표시를 제어한다.
PCI 버스(85)에는 사운드 컨트롤러(89)가 접속되며, 스피커(90)와 마이크로폰(66)이 접속되어 있다. 사운드 컨트롤러(89)는 마이크로폰(66)으로부터의 음성 입력을 취득하거나 스피커(90)에 음성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PCI 버스(85)에는 모뎀(92) 및 PC 카드 슬롯 인터페이스(98)도 접속되어 있다.
모뎀(92)은 전화 회선(93),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94)를 통하여 인터넷(97)이나 메일 서버(95) 등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옵션 기능을 추가하는 경우, PC 카드 슬롯 인터페이스(98)에 접속되어 있는 슬롯(68)에 인터페이스 카드(99)가 적절하게 장착됨으로써,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의 수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카드(99)에는 드라이브(100)를 접속할 수 있어, 드라이브(100)에 삽입되는 자기 디스크(101), 광 디스크(102), 광 자기 디스크(103), 및 반도체 메모리(104) 등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할 수 있다.
자기 디스크(101), 광 디스크(102), 광 자기 디스크(103), 및 반도체 메모리(105)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드라이브(100)는 USB 포트(115)를 통하여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PCI 버스(85)에는 브릿지(107)도 접속되어 있다. 브릿지(107)는, 예를 들면 인텔사 제조의 PIIX4E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 입출력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브릿지(107)는,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컨트롤러/컨피규레이션 레지스터(108), IDE 인터페이스(109), 타이머 회로(110), 및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111)로 구성되고, IDE 버스(113)에 접속되는 디바이스, USB 포트(115)에 접속되는 디바이스, 혹은 ISA/EIO(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Extended Input Output) 버스(112) 및 I/O 인터페이스(117)를 통하여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제어 등을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USB 포트(115)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안테나(116)가 장착된 경우, USB 인터페이스(111)는 GPS 안테나(116)로부터 공급되는 위치 데이터 및 시각 데이터를 PCI 버스(85), 브릿지(83) 및 호스트 버스(82)를 통하여 CPU(81)로 송출한다.
IDE 컨트롤러/컨피규레이션 레지스터(108)는, 소위 프라이머리 IDE 컨트롤러와 세컨더리 IDE 컨트롤러의 2개의 IDE 컨트롤러, 및 컨피규레이션 레지스터(configuration registe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IDE 컨트롤러는 IDE 버스(113)를 통하여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고, 커넥터에는 HDD(11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세컨더리 IDE 컨트롤러는 다른 IDE 버스(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접속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HDD(114)에는, 전자 메일 프로그램(114A), 오토 파일럿 프로그램(114B), 죠그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114C), 죠그다이얼 드라이버(114D), OS(기본 프로그램 소프트웨어)(114E),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14F), 및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114G), 그 밖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4H1 내지 114Hn), 또한 이들 프로그램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HDD(114)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114A 내지 114Hn)은 기동(부트업) 처리의 과정에서 RAM(86) 내에 순차 전송되어 저장된다.
ISA/EIO 버스(112)에는, 또한 I/O 인터페이스(117)가 접속되어 있다. 이 I/O 인터페이스(117)와, ROM(118), RAM(119), 및 CPU(120)는 서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ROM(118)에는, 예를 들면 IEEE1394 I/F 프로그램(118A), LED 제어 프로그램(118B), 터치 패드 입력 감시 프로그램(118C), 키 입력 감시 프로그램(118D), 웨이크업 프로그램(118E), 죠그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118F)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IEEE1394 I/F 프로그램(118A)은 IEEE1394 입출력 포트(70)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IEEE1394 준거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프로그램이다. LED 제어 프로그램(118B)은, 전원 램프 PL, 전지 램프 BL, 필요에 대응하는 메시지 램프 ML, 그 밖의 LED로 이루어지는 램프의 점등의 제어를 행하는 프로그램이다. 터치 패드 입력 감시 프로그램(118C)은 터치 패드(65)를 이용한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감시하는 프로그램이다. 키 입력 감시 프로그램(118D)은 키보드(64)나 그 밖의 키 스위치를 이용한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감시하는 프로그램이다. 웨이크업 프로그램(118E)은 브릿지(108) 내의 타이머 회로(110)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시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시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설정된 시각이 되면 소정의 처리(또는 프로그램)을 기동하기 위해서 각 칩 전원의 관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죠그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118F)는 죠그다이얼(63)의 회전형 인코더부의 회전, 혹은 누름을 항상 감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ROM(118)에는 BIOS(Basic Input/Output System)(118G)가 기입되어 있다. BIOS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을 말하며, OS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주변 기기(디스플레이, 키보드, HDD 등)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다.
RAM(119)은, LED 제어, 터치 패드 입력 스테이터스, 키 입력 스테이터스, 설정 시각용의 각 레지스터나, 죠그다이얼 상태 감시용의 I/0 레지스터, IEEE1394 I/F 레지스터 등을 레지스터(119A 내지 119F)로서 갖고 있다. 예를 들면, LED 제어 레지스터는 죠그다이얼(63)이 눌러진 경우, 전자 메일의 순시의 상승 상태를 표시하는 메시지 램프 ML의 점등을 제어한다. 키 입력 스테이터스 레지스터는, 죠그다이얼(63)이 눌러지면 조작 키 플래그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설정 시각 레지스터는 어떤 시각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I/O 인터페이스(117)에는 도시를 생략한 커넥터를 통하여 죠그다이얼(63), 키보드(64), 터치 패드(65), IEEE1394 입출력 포트(70)가 각각 접속되어 있고, 죠그다이얼(63), 키보드(64), 터치 패드(6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조작을 행한 경우, 죠그다이얼(63), 키보드(64), 터치 패드(65)로부터, 각각이 받은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ISA/EIO 버스(112)에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I/O 인터페이스(117)는 IEEE1394 입출력 포트(70)를 통하여 외부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I/O 인터페이스(117)에는, 전원 램프 PL, 전지 램프 BL, 메시지 램프 ML, 전원 제어 회로(121), 그 밖의 LED로 이루어지는 램프가 접속되어 있다.
전원 제어 회로(121)는, 내장 배터리(122) 또는 AC 전원에 접속되어 있고, 각 블록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함과 함께, 내장 배터리(122)나, 주변 장치의 2차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제어를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CPU(120)는 I/O 인터페이스(117)를 통하여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때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67)를 감시하고 있다.
CPU(120)는,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도, 항상 내부 전원에 의해 IEEE1394 I/F 프로그램(118A) 내지 BIOS(118G)를 실행할 수 있다. 즉, IEEE1394 I/F 프로그램(118A) 내지 BIOS(118G)는 표시부(62)의 LCD(66) 상에 어느 하나의 윈도우가 열려 있지 않은 경우에도, 항상 작동하고 있다. 따라서, CPU(120)는, 전원 스위치(67)가 오프 상태에서 OS(86E)가 CPU(81)에 의해 기동되어 있지 않더라도, 항상 죠그다이얼 상태 감시 프로그램(118E)을 실행하고 있어, 퍼스널 컴퓨터(51)에 전용의 키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프로그래머블 파워 키(PPK) 기능을 갖추도록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는, 예를 들면 전력 절약화 상태, 혹은 전원 오프 상태이더라도, 죠그다이얼(63)을 누르는 것 만으로, 원하는 소프트웨어나 스크립트 파일을 기동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05)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IC(131)는, CPU(151), SPU(Signal Processing Unit)(152), SCC(SerialCommunication Controner)(153), 및 메모리(154)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메모리(154)는 ROM(161) 및 RAM(16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CPU(151) 내지 메모리(154)는 버스(155)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151)는, ROM(161)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RAM(162)에 전개하고, 비접촉 IC 카드(246)로부터 송신되어 온 응답 데이터나, 도 11의 CPU(81)로부터 공급되어 온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CPU(151)는, 비접촉 IC 카드(246)에 송신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그것을 버스(155)를 통하여 SPU(152)에 출력하거나, 비접촉 IC 카드(246)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의 인증 처리 등을 행한다.
또한, CPU(151)는, 휴대 전화기(52)가 근접되어, 후술하는 각 부의 처리에 의해 카드 ID가 통지되어 왔을 때, CPU(81)의 지시에 기초하여, 그것을 블루투스 모듈(106)에 통지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SPU(152)는, 비접촉 IC 카드(246)로부터의 응답 데이터가 복조부(134)로부터 공급되어 왔을 때, 그 데이터에 대하여, 예를 들면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복조(맨체스터 코드의 디코드) 등을 실시하여, 취득한 데이터를 CPU(151)에 공급한다. 또한, SPU(152)는, 비접촉 IC 카드(246)에 송신할 커맨드가 버스(155)를 통하여 공급되어 왔을 때, 그 커맨드에 BPSK 변조(맨체스터 코드에의 코딩)을 실시하여, 취득한 데이터를 변조부(132)에 출력한다.
SCC(153)는, CPU(81)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를 버스(155)를 통하여 CPU(151)에 공급하거나, CPU(151)로부터 버스(155)를 통하여 공급되어 온 데이터를CPU(81)에 출력한다.
변조부(132)는 발진 회로(OSC)(133)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주파수(예를 들면, 13.56㎒)의 반송파를 SPU(15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조하고, 생성된 변조파를 전자파로서 안테나(135)로 출력한다. 한편, 복조부(134)는 안테나(135)를 통하여 취득한 변조파(ASK 변조파)를 복조하고, 복조된 데이터를 SPU(152)에 출력한다.
안테나(135)는 소정의 전자파를 복사하고, 그것에 대한 부하의 변화에 기초하여 비접촉 IC 카드(246)(휴대 전화기(52))가 근접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그리고, 비접촉 IC 카드(246)가 근접되었을 때, 안테나(135)는 비접촉 IC 카드(246)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13은 도 11의 블루투스 모듈(106)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PU(171)는 ROM(172)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RAM(173)에 전개하고, 블루투스 모듈(106)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들 CPU(171) 내지 RAM(173)은 버스(175)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고, 이 버스(175)에는, 또한 플래시 메모리(174)가 접속되어 있다.
플래시 메모리(174)에는, 예를 들면 각각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대하여 설정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대응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및 각각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대하여 고유한 블루투스 어드레스 등이 기억되어 있다.
블루투스 어드레스는 48 비트의 식별자이고, 각각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대하여 고유(일의적)한 것이므로,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관리에 관한 여러가지 처리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모든 슬레이브가 마스터의 주파수 호핑 패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있을 필요가 있으며, 이 주파수 호핑 패턴은 마스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슬레이브에 의해 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어드레스에서는, 그 하위 24 비트가 LAP(Low Address Part)로, 다음의 8 비트가 UAP(Upper Address Part)로, 그리고 나머지 16 비트가 NAP(Non significant Address Part)로 각각 구분되어 있고, 주파수 호핑 패턴의 산출에는 LAP 전체의 24 비트와 UAP의 하위 4 비트로 이루어지는 28 비트가 이용된다.
각각의 슬레이브는,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호출 시에 취득한, 마스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의 상술한 28 비트의 부분과, 마찬가지로 마스터로부터 통지된 블루투스 클럭에 기초하여 주파수 호핑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이 주파수 호핑 패턴에는, 조회 시에 사용되는 조회 주파수 호핑 패턴과, 호출 시에 사용되는 호출 주파수 호핑 패턴과, 피코넷 내 동기가 확립된 후에, 슬레이브와 마스터의 사이에서 통신할 때 사용되는 채널 주파수 호핑 패턴이 규정되어 있다. 이하에, 이 3개의 주파수 호핑 패턴을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간단히 주파수 호핑 패턴이라고 칭한다.
도 13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플래시 메모리(174)에는, 또한 피코넷 내 동기 확립 후에, 통신 상대인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인증하거나, 송신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링크 키 등이 기억되어, 필요에 따라서 CPU(171)에 제공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76)는, CPU(17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도 11의 CPU(81)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 및 기저 대역 제어부(177)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의 입출력을 관리한다.
기저 대역 제어부(177)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76)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를 휴대 전화기(52)에 송신하기 위해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변조부(191)에 공급하고, GFSK 복조부(197)로부터 데이터가 공급되어 오면 그것을 버스(175),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76)에 출력한다.
GFSK 변조부(191)는, 기저 대역 제어부(177)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의 고역 성분을 필터에 의해 제한하고, 1차 변조로서 주파수변조를 행하여 취득한 데이터를 스펙트럼 확산부(192)에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부(19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산출되고, 호핑 신시사이저부(195)로부터 통지되는 주파수 호핑 패턴에 기초하여 반송 주파수를 전환하고, 공급되어 온 데이터에 대하여 스펙트럼 확산을 실시한 후에 얻어진 신호를 통신 제어부(193)에 출력한다. 블루투스에 있어서는, 스펙트럼 확산부(192)는, 625μ초마다 주파수를 호핑시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통신 제어부(193)는 2.4㎓대를 사용하여, 스펙트럼 확산이 실시된 신호를 안테나(194)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93)는 안테나(194)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역 스펙트럼 확산부(196)에 출력한다.
역 스펙트럼 확산부(196)는, 호핑 신시사이저부(195)로부터 통지되는 주파수 호핑 패턴에 기초하여 수신 주파수를 호핑시켜,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52)로부터의 신호를 취득한다. 또한, 역 스펙트럼 확산부(196)는, 취득한 신호를 역 스펙트럼 확산하여, 휴대 전화기(52)로부터의 신호를 재생한 후에 얻어진 신호를 GFSK 복조부(197)에 출력한다. GFSK 복조부(197)는, 역 스펙트럼 확산부(196)로부터 공급되어 온 신호를 GFSK 복조하고 얻어진 데이터를 기저 대역 제어부(177)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휴대 전화기(52)의 구성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도 6의 휴대 전화기(52)의 외관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52)는, 표시부(212) 및 본체(213)로 구성되고, 중앙의 힌지부(211)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표시부(212)는 상단 좌측부에, 인출 또는 수납 가능한 송수신용의 안테나(214)를 갖는다. 휴대 전화기(52)는 안테나(214)를 통하여 고정 무선 단말기인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전파를 송수신한다.
또한, 표시부(212)는 상단 중앙부에 거의 180도의 각도 범위로 회전 이동 가능한 카메라부(215)를 갖는다. 휴대 전화기(52)는 카메라부(215)의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216)에 의해서 원하는 촬상 대상을 촬상한다.
카메라부(215)가 사용자에 의해서 거의 180도 회전 이동되어 위치 결정된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12)는 카메라부(215)의 배면측 중앙에 설치된 스피커(224)가 정면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기(52)는 통상의 음성 통화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표시부(212)의 중앙에 액정 디스플레이(217)가 설치되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217)는 전파의 수신 상태, 전지 잔량, 전화번호부로서 등록되어 있는 상대편 성명이나 전화 번호, 및 발신 이력 외에, 전자 메일의 내용, 간이 홈페이지, 카메라부(215)의 CCD 카메라(216)로 촬상한 화상 등을 표시한다.
한편, 본체(213)에는, 그 표면에 「0」 내지 「9」의 숫자 키, 발호 키, 리다이얼 키, 통화 종료 및 전원 키, 클리어 키 및 전자 메일 키 등의 조작 키(218)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키(218)의 조작에 대응한 각종 지시가 휴대 전화기(52)에 입력된다.
또한, 본체(213)의 조작 키(218)의 하부에 메모 버튼(219) 및 마이크로폰(220)이 설치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52)는 메모 버튼(219)이 조작되었을 때, 통화 중인 상대의 음성을 녹음한다. 휴대 전화기(52)는 마이크로폰(220)에 의해서 통화 시의 사용자의 음성을 집음한다.
또한, 본체(213)의 조작 키(218)의 상부에 회전 이동 가능한 죠그다이얼(221)이 본체(213)의 표면에서 약간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52)는 죠그다이얼(221)에 대한 회전 이동 조작에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217)에 표시되어 있는 전화번호부 리스트 혹은 전자 메일의 스크롤 동작, 간이 홈페이지의 페이지 넘기는 동작, 또는 화상 전송 동작 등의 여러가지의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본체(213)는, 사용자에 의한 죠그다이얼(221)의 회전 이동 조작에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217)에 표시된 전화번호부 리스트의 복수의 전화 번호중에서 원하는 전화 번호를 선택하고, 죠그다이얼(221)이 본체(213)의 내부 방향으로 눌렸을 때, 선택되어 있는 전화 번호를 확정하여 그 전화 번호에 대하여 발호 처리를 행한다.
또, 본체(213)는, 그 배면측에, 도시하지 않는 배터리팩이 장착되어 있고, 통화 종료/전원 키가 온 상태가 되면 배터리팩으로부터 각 회로부에 전력이 공급되어 동작 가능한 상태로 기동한다.
한편, 본체(213)의 좌측면 상부에 수납 가능한 메모리스틱(등록상표)(223)을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스틱 슬롯(222)이 설치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52)는, 메모 버튼(219)이 눌리면 통화 중인 상대의 음성을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스틱(223)에 기록한다. 휴대 전화기(5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전자 메일, 간이 홈페이지, CCD 카메라(216)로 촬상한 화상을,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스틱(223)에 기록한다.
메모리스틱(223)은 본원 출원인인 소니 주식회사에 의해서 개발된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일종이다. 이 메모리스틱(223)은, 세로21.5×가로50×두께2.8[㎜]의 소형 박형 형상의 플라스틱 케이스 내에 전기적으로 재기입이나 소거가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인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의 일종인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저장한 것으로, 10 핀 단자를 통하여 화상이나 음성, 음악 등의 각종 데이터의 기입 및 판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52)는 이러한 메모리스틱(223)을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스틱(223)을 통하여 다른 전자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공유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모듈(칩)을 메모리스틱(223)에 조립하고, 메모리스틱 슬롯(222)에 그것을 장착함으로써, 휴대 전화기(52)의 기능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루투스 모듈이나 비접촉 IC 카드가 조립된 메모리스틱(223)을 휴대 전화기(52)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이들 모듈이 휴대 전화기(52)에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퍼스널 컴퓨터(51)와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 및 비접촉 IC 카드에 의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기능을 확장시킬 수도 있다.
도 16은 휴대 전화기(52)의 내부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표시부(212) 및 본체(213)의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주 제어부(231)에 대하여, 전원 회로부(235), 조작 입력 제어부(232), 화상 인코더(233), 카메라 인터페이스(I/F)부(234), LCD 제어부(236), 다중 분리부(238), 변복조 회로부(239), 음성 코덱(240), 적외선 통신부(245), 비접촉 IC 카드(246), 및 블루투스 모듈(247)이 메인 버스(241)를 통하여 상호 접속됨과 함께, 화상 인코더(233), 화상 디코더(237), 다중 분리부(238), 메모리스틱 제어부(243), 변복조 회로부(239), 및 음성 코덱(240)이 동기 버스(242)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235)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통화 종료/전원 키가 온 상태가 되면, 배터리팩으로부터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휴대 전화기(52)를 동작 가능한 상태로 기동한다. 또한, 전원 회로부(23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접촉 IC 카드(246)로부터, 블루투스 모듈(247)을 기동시키는 것이 지시된 경우, 블루투스 모듈(247)에 전원을 공급하여 기동시킨다.
또, 블루투스 모듈(247)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비접촉 IC 카드(246)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그 전원을 기동시키는 타이밍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52)가 퍼스널 컴퓨터(51)에 근접되어,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05)로부터 복사되고 있는 전자파를 비접촉 IC 카드(246)가 수신한 타이밍으로 된다.
휴대 전화기(52)는, CPU, ROM, 및 RAM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 제어부(231)의 제어에 기초하여, 음성 통화 모드 시에, 마이크로폰(220)으로 집음한 음성 신호를 음성 코덱(240)에 의해서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휴대 전화기(52)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변복조 회로부(239)에 의해 스펙트럼 확산 처리하고, 송수신 회로부(244)에 의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주파수 변환 처리를 실시한 후, 안테나(214)를 통하여 송신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52)는, 음성 통화 모드 시에, 안테나(214)로 수신한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주파수 변환 처리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변복조 회로부(239)에 의해 스펙트럼 역 확산 처리하고, 음성 코덱(240)에 의해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휴대 전화기(52)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224)에 출력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52)는, 데이터 통신 모드 시에 전자 메일을 송신하는 경우, 조작 키(218) 및 죠그다이얼(221)의 조작에 의해서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조작 입력 제어부(232)를 통하여 주 제어부(231)에 송출한다.
주 제어부(231)는, 텍스트 데이터를 변복조 회로부(239)에 의해 스펙트럼 확산 처리하고 송수신 회로부(244)에 의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주파수 변환 처리를 실시한 후 안테나(214)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휴대 전화기(52)는, 데이터 통신 모드 시에 전자 메일을 수신하는 경우, 안테나(214)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를 변복조 회로부(239)에 의해 역 스펙트럼 확산 처리하여 원래의 텍스트 데이터를 복원한 후, LCD 제어부(236)를 통하여 액정 디스플레이(217)에 전자 메일로서 표시한다.
이 후, 휴대 전화기(5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수신한 전자 메일을 메모리스틱 제어부(243)를 통하여 메모리스틱(223)에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휴대 전화기(52)는, 데이터 통신 모드 시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CCD 카메라(216)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34)를 통하여 화상 인코더(233)에 공급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52)는,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CCD 카메라(216)로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34) 및 LCD 제어부(236)를 통하여 액정 디스플레이(217)에 직접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 인코더(233)는, CCD 카메라(216)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또는 MPEG4 등의 소정의 부호화 방식에 의해서 압축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것을 다중 분리부(238)에 송출한다.
이와 동시에, 휴대 전화기(52)는 CCD 카메라(216)로 촬상 중에 마이크로폰(220)으로 집음한 음성을 음성 코덱(240)을 통하여 디지털의 음성 데이터로서 다중 분리부(238)에 송출한다.
다중 분리부(238)는, 화상 인코더(233)로부터 공급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와 음성 코덱(240)으로부터 공급된 음성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으로 다중화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다중화 데이터를 변복조 회로부(239)에 의해 스펙트럼 확산 처리하고, 송수신 회로부(244)에 의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주파수 변환 처리를 실시한 후 안테나(214)를 통하여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휴대 전화기(52)는, 데이터 통신 모드 시에, 예를 들면 간이 홈페이지 등에 링크된 동화상 파일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안테나(214)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를 변복조 회로부(239)에 의해 역 스펙트럼 확산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다중화 데이터를 다중 분리부(238)에 송출한다.
다중 분리부(238)는, 다중화 데이터를 부호화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여, 동기 버스(242)를 통하여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화상 디코더(237)에 공급함과 함께, 음성 데이터를 음성 코덱(240)에 공급한다.
화상 디코더(237)는,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MPEG2 또는 MPEG4 등의 소정의 부호화 방식에 대응한 복호 방식으로 디코드함으로써 재생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을 LCD 제어부(236)를 통하여 액정 디스플레이(217)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기(52)는, 예를 들면 간이 홈페이지에 링크된 동화상 파일에 포함되는 동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와 동시에, 음성 코덱(240)은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이것을 스피커(224)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기(52)는, 예를 들면 간이 홈페이지에 링크된 동화상 파일에 포함되는 음성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 경우도 전자 메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휴대 전화기(52)는 수신한 간이 홈페이지 등에 링크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모리스틱 제어부(243)를 통하여 메모리스틱(223)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접촉 IC 카드(246)는, 퍼스널 컴퓨터(51)에 근접되어, 리더 라이터(105)로부터 복사되는 전자파를 수신했을 때, 그에 대응하여 각종 정보를 리더 라이터(105)에 제공한다.
도 17은 비접촉 IC 카드(246)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비접촉 IC 카드(246)는,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하는 안테나(루프 안테나)(270) 및 컨덴서(271)와, 그 이외의 구성이 1 칩에 저장된 IC로 구성되어, 전자 유도를 이용하여 리더 라이터(105)와 각종 데이터를 반이중 통신하는 것으로, 반드시 카드형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IC 카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한 명칭이고, 상술한 바와 같은, 또는 후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비접촉 IC 카드(246)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Felica(등록상표) 등이 있다.
CPU(261)는 ROM(262)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RAM(263)에 전개하고 비접촉 IC 카드(246)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CPU(261)는 리더라이터(105)로부터 복사되고 있는 전자파가 안테나(270)에서 수신되었을 때, 그에 대응하여 비접촉 IC 카드(246)에 설정되어 있는 식별 정보로서의 카드 ID를 리더 라이터(105)에 통지한다.
이 카드 ID는 자유롭게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블루투스 모듈(247)(휴대 전화기(52))에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과 동일하거나, 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포함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부(269)는, ASK 복조부(283)에서, 안테나(270)를 통하여 수신한 변조파(ASK 변조파)를 포락선 검파하여 복조하고, 복조 후의 데이터를 BPSK 복조부(272)로 출력한다. 안테나(270)와 컨덴서(271)에 의해 구성되는 LC 회로에서는 리더 라이터(105)로부터 복사되는 소정의 주파수의 전자파에 의해 공진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69)는, 안테나(270)에서 여기된 교류 자계를 ASK 복조부(283)에 의해 정류하고, 그것을 전압 조정기(281)에서 안정화하여 각 부에 직류 전원으로서 공급한다. 리더 라이터(105)로부터 복사되는 전자파의 전력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접촉 IC 카드에 필요한 전력을 조달하는 자계를 발생시키도록 조정되어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69)는 발진 회로(284)에서 데이터의 클럭 주파수와 동일한 신호를 발진하여 그것을 도시하지 않는 PLL부에 출력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69)는, 예를 들면 카드 ID 등의 데이터를 리더라이터(105)에 송신하는 경우, BPSK 변조부(268)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소정의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시키고, 스위칭 소자가 온 상태일때에만, 소정의 부하를 안테나(270)에 병렬로 접속시킴으로써 안테나(270)의 부하를 변동시킨다.
ASK 변조부(282)는 안테나(270)의 부하의 변동에 따라, 안테나(270)에서 수신되고 있는 리더 라이터(105)로부터의 변조파를 ASK 변조하고, 그 변조 성분을 안테나(270)를 통하여 리더 라이터(105)에 송신한다(리더 라이터(105)의 안테나(135)의 단자 전압을 변동시킨다)(로드 스위칭 방식).
BPSK 복조부(272)는, ASK 복조부(283)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가 BPSK 변조되어 있는 경우, 도시하지 않는 PLL부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그 데이터의 복조(맨체스터 코드의 디코드)를 행하여, 복조한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부(273)에 출력한다. 데이터 수신부(273)는 공급되어 온 데이터를 CPU(261) 등에 적절하게 출력한다.
BPSK 변조부(268)는, 데이터 송신부(267)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에 BPSK 변조(맨체스터 코드에의 코딩)를 행하여 ASK 변조부(282)에 출력한다.
또한, 비접촉 IC 카드(246)에서는, 카드 ID를 퍼스널 컴퓨터(51)에 통지하는 것 뿐만아니라, 예를 들면 리더라이터(105)와의 사이에서의 인증 처리나, 송신할 데이터의 암호화 처리 등, 여러가지 처리가 행해진다.
도 18은 비접촉 IC 카드(246)의 사양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더 라이터(105)와 비접촉 IC 카드(246) 사이의 통신은 반이중에 의해 행해지고, 그 통신 속도는, 예를 들면 211.875kbps 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더 라이터(105)로부터 비접촉 IC카드(246)에 대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전송, 및 비접촉 IC 카드(246)로부터 리더 라이터(105)에 대한 데이터 전송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예를 들면 13.56㎒ 이다.
그리고, 전력 전송을 위해 리더 라이터(105)로부터 출력되는 전파의 출력은, 예를 들면 350㎽이고, 안테나의 특성 등의 통신 환경에도 의존하지만, 그 통신 거리는, 예를 들면 10㎝ 전후로 된다.
리더 라이터(105)로부터 비접촉 IC 카드(246)에 대한 데이터 전송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맨체스터 코드에 코드화된 데이터를 ASK 변조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고, 그 변조도(데이터 신호의 최대 진폭/반송파의 최대 진폭)는, 예를 들면 약 0.1로 된다. 또한, 비접촉 IC 카드(246)로부터 리더 라이터(105)에 대한 데이터 전송은, 상술한 바와 같이 로드 스위칭 방식에 의해 출력 데이터를 송신 신호로 변환(출력 데이터에 대응하여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시키는 것에 의해 안테나(135)의 부하를 변동시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도 16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블루투스 모듈(247)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51)의 블루투스 모듈(106)과 피코넷을 형성하고, 주 제어부(23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블루투스 모듈(247)의 구성은 도 13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예를 들면 블루투스 모듈(106)의 CPU는 CPU(171A)로 하고, 블루투스 모듈(247)의 CPU는 CPU(171B)로 하여 적절하게 설명한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설명한다.
이상에서는, 비접촉 IC 카드(246) 및 블루투스 모듈(247)은 휴대 전화기(52)에 내장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메모리스틱(223)에 조립된 상태로 휴대 전화기(52)에 장착되어, 메모리스틱 제어부(243)에 의해 제어되도록 해도 된다.
도 19는 휴대 전화기(52)의 기능 블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휴대 전화기(52)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며, 예를 들면 통화 기능이나, 전자 메일의 송수신 기능을 제공한다. 비접촉 IC 카드 제어 프로그램(302)은 비접촉 IC 카드(246)의 동작을 제어함과 함께, 카드 ID 설정 프로그램(303) 및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 등과 연동하여 각종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비접촉 IC 카드 제어 프로그램(302)은, 휴대 전화기(52)가 퍼스널 컴퓨터(51)에 근접되었을 때, 설정되어 있는 카드 ID를 리더 라이터(105)에 제공하거나, 리더 라이터(105)로부터의 전자파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블루투스 모듈(247)(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을 기동시키기도 한다.
카드 ID 설정 프로그램(303)은, EEPROM(264)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ID를 관리하며, 사용자로부터 지시가 있었을 때, 적절하게 그것을 재기입한다. 또한, 카드 ID 설정 프로그램(303)은 적어도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도록 카드 ID를 설정한다.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은, 블루투스 모듈(247)의 동작을 제어하여,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실현시킨다.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설정 프로그램(305)은 플래시 메모리(174B)(블루투스 모듈(247)의 플래시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관리한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설정 프로그램(305)은 카드 ID와 동일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설정하여, 그것을 플래시 메모리(174B)에 보존시킨다.
다음으로, 도 6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0 및 도 2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한 후에 퍼스널 컴퓨터(51)가 통신 상대를 특정하는 일련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처리에서는, 퍼스널 컴퓨터(51)를 마스터로 하고, 그 밖의 블루투스 디바이스(휴대 전화기(52), PDA(53))를 슬레이브로 한다. 또한, 이하의 흐름도의 설명에서, 적절하게 통신이란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하여 상대를 특정한 후에 행해지는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의미한다.
단계 S121에서,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86F)은, 비접촉 IC 카드가 내장되어 있는 단말기(휴대 전화기(52))를 검출하기 위한 전자파를 복사한다.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86F)은, 소정의 제어 커맨드에 의해 리더 라이터(105)를 제어하여, 안테나(135)로 소정의 주기로 전자파를 복사시킨다.
비접촉 IC 카드 제어 프로그램(302)은, 휴대 전화기(52)가 퍼스널 컴퓨터(51)에 근접되어, 단계 S131에서 그 전자파를 수신했을 때, 단계 S132로 진행하여 EEPROM(264)으로부터 카드 ID(블루투스 디바이스명)를 판독하여 그것을 리더 라이터(105)에 통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더 라이터(105)에 통지되는 카드 ID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에 관한 정보와 동일한 정보이거나, 또는 그것에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정보이다.
단계 S122에서,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86F)은, 비접촉 IC 카드(246)로부터 통지되어 온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수신하고, 단계 S123으로 진행하여 그것을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에 통지한다.
그리고, 단계 S101에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휴대 전화기(52)에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취득한다. 따라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각종의 처리를 행하기 전에,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한 후에 통신하는 단말기(휴대 전화기(52))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취득할 수 있다.
단계 S102 내지 단계 S116에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단계 S141 이후에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및 단계 S161 이후에 PDA(53)의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조회 및 호출과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즉, 단계 S102에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블루투스 모듈(106)을 제어하여 IQ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LAP의 24 비트(9E8B33)와 UAP의 4 비트(모두 0), 및 블루투스 클럭의 전체의 28 비트를 이용하여, 조회 주파수 호핑 패턴을 생성한다.
또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9E8B00 내지 9E8B3F의 LAP으로부터 1개의 어드레스 블록을 이용하여 IAC(Inquiry Access Code)를 생성하여, 그 액세스 코드로 이루어지는 IQ 패킷을, 산출한 조회 호핑 패턴으로브로드캐스트한다.
또, 블루투스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패킷은, 송신 패킷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기본이 되는 68 비트, 또는 72 비트의 액세스 코드와, 통신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54 비트의 패킷 헤더와, 사용자 데이터인 0 내지 2745 비트(가변 길이)의 페이로드로 구성되어 있다.
블루투스 모듈(106)의 각 부의 처리에 의해, 안테나(194)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IQ 패킷은, 단계 S141에서 휴대 전화기(52)의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에 의해 수신되고, 단계 S161에서 PDA(53)의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수신된다.
그리고, 단계 S142에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은 슬레이브의 속성을 통지하기 위한 FHS 패킷을 퍼스널 컴퓨터(51)에 송신하여, 조회에 응답한다. 이 FHS 패킷에는, 블루투스 모듈(247)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블루투스 클럭에 관한 정보가 그 페이로드에 포함되어 있다.
이 FHS 패킷이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에 의해, 단계 S103에서 수신되어, 휴대 전화기(52)의 속성 정보가 취득된다.
또한, 단계 S162에서, 마찬가지로 PDA(53)의 속성을 나타내는 FHS 패킷이 송신되고 있고, 그것이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에 의해 단계 S104에서 수신된다.
이상과 같은 조회 처리에 의해,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근방에 존재하는 모든 슬레이브의 속성 정보를 취득한 상태가 된다.
단계 S105에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휴대 전화기(52)로부터 취득한 FHS 패킷에 기술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ID 패킷을 생성하여, 그것을 휴대 전화기(52)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FHS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블루투스 모듈(247)에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어드레스의 LAP의 24 비트와 UAP의 하위 4 비트, 및 블루투스 클럭의 28 비트를 이용하여 호출 주파수 호핑 패턴을 산출한다.
또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블루투스 모듈(247)의 LAP를 이용하여 DAC(Device Access Code)를 생성하고, 그 DAC로 이루어지는 ID 패킷을, 산출한 호출 주파수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휴대 전화기(52)에 송신한다.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은, 그 ID 패킷을 단계 S143에서 수신하면, 단계 S144로 진행하여 동일한 ID 패킷을 퍼스널 컴퓨터(51)에 송신하여, ID 패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것을 통지한다.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단계 S106에서, 휴대 전화기(52)로부터 송신되어 온 ID 패킷을 수신하면, 단계 S107로 진행하여 자기 자신의 속성을 통지하기 위한 FHS 패킷을 휴대 전화기(52)에 송신한다.
단계 S145에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은 퍼스널 컴퓨터(51)로부터 송신되어 온 FHS 패킷을 수신하여 마스터의 속성 정보를 취득한다.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은 단계 S146으로 진행하여 ID 패킷을 퍼스널 컴퓨터(51)에 송신하여, FHS 패킷을 수신한 것을 통지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은 단계 S147로 진행하여 퍼스널 컴퓨터(51)와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한다.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은, 퍼스널 컴퓨터(51)(블루투스 모듈(106))에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어드레스의 LAP의 24 비트와 UAP의 하위 4 비트, 및 블루투스 클럭의 27 비트를 이용하여 채널 주파수 호핑 패턴을 생성하여, 주파수축의 동기를 확립한다.
또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은 퍼스널 컴퓨터(51)로부터 통지된 블루투스 클럭에 기초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블루투스 클럭에 오프셋(차분)을 가하여, 시간축의 동기를 확립한다.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단계 S108에서 휴대 전화기(52)로부터 송신되어 온 ID 패킷을 수신한다.
마스터인 퍼스널 컴퓨터(51)는, 복수의 슬레이브와 동기를 확립하는 경우에는, 이상과 같은 호출을 각각의 슬레이브에 대하여 반복 실행하여, 피코넷을 구성하는 슬레이브를 순차 증가시켜 간다. 즉, 단계 S109 내지 단계 S112, 및 단계 S163 내지 단계 S167에서, 마찬가지의 호출이 퍼스널 컴퓨터(51)와 PDA(53)와의 사이에서 행해져, 피코넷 내 동기가 확립된다.
그리고, 모든 슬레이브와의 사이에서 피코넷 내 동기가 확립된 후,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각각의 슬레이브에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의 통지를 요구한다.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단계 S113에서 휴대 전화기(52)에 그 통지를 요구한다.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은, 요구를 단계 S148에서 수신하면, 단계 S149로 진행하여 플래시 메모리(174B)에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판독하고, 그것을 통지한다.
휴대 전화기(52)로부터 송신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은 단계 S114에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에 의해 수신된다.
단계 S115에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PDA(53)에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의 통지를 요구하고, 그 응답을 단계 S116에서 취득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단계 S117에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통지하여 온 복수의 슬레이브 중에서, 리더 라이터(105)로부터 미리 통지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설정되어 있는 슬레이브를 통신 상대로서 특정하고, 그 슬레이브와 통신을 개시한다. 즉, 휴대 전화기(52)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전자파를 통하여 미리 통지되어 있기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51)는 휴대 전화기(52)와 그 후의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휴대 전화기(52)에 휴대 전화기(52)가 제공 가능한 프로파일(서비스)의 통지를 요구한다. 블루투스에 있어서는, 탑재가 상정되는 기기마다, 모든 프로토콜의 사양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규정되어 있고,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프로파일이 규정되어 있다. 이 프로파일은, 블루투스의 각 레이어의 기능과, 그 레이어와의 제휴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마다 규정되어 있다.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휴대 전화기(52)로부터 통지된 프로파일로부터 소정의 프로파일을 선택하여, 그것에 기초하여 통신을 행한다.
또, 제공 가능한 프로파일을 취득하기 전에, 또는 프로파일을 선택하여 통신을 행하는 전에, 서로의 인증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퍼스널 컴퓨터(51)와 휴대 전화기(52)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링크 키를 설정하고 있어, 그 링크 키를 이용하여 인증을 행한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51)와 휴대 전화기(52)가 처음으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링크 키의 설정 시, 사용자에 대하여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의 입력이 요구되고, 입력된 PIN 코드와, 발생한 난수에 기초하여 그 링크 키가 설정된다. 설정된 링크 키는 통신하는 상대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대응하여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다.
링크 키는 그 용도에 따라서 「초기화 키」, 「단체(單體) 키」, 「복합 키」 및 「마스터 키」가 규정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처음으로 통신을 행할 때에 PIN 코드와 난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링크 키는 초기화 키이다. 그리고, 초기화 키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인증에 있어서는, 초기화 키와, 인증을 요구하여 온 단말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인증 판단하는 단말기가 발생한 128 비트의 난수가 이용된다.
이상과 같이, 리더 라이터(105)에서의 통신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51)는, 피코넷 내 동기 확립 후에 통신하는 단말기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비접촉 IC 카드(246)로부터 취득할 수 있어, 그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할 상대를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51)의 근방에 PDA(53)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퍼스널 컴퓨터(51)와 휴대 전화기(52)와의 사이에서만, 단말기의 선택 등을 행하지 않고,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이 개시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52)의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51)와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경우, 휴대 전화기(52)를 퍼스널 컴퓨터(51)에 가까이 하는 것으로, 그 통신을 개시시킬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51)로부터 휴대 전화기(52)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마찬가지로 하여 휴대 전화기(52)를 퍼스널 컴퓨터(51)에 가까이 하는 것 만으로 통신을 개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퍼스널 컴퓨터(51)와 휴대 전화기(52) 및 PDA(53)의 블루투스 모듈이 미리 기동되어 있는 상태를 가정하였지만, 이들 블루투스 모듈이 기동되어 있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전자파를 수신하는 타이밍에서 기동하고, 그 후에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22 및 도 2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각각의 블루투스 모듈이 기동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련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확립 처리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그리고, 리더 라이터(105)로부터 복사된 전자파가 수신되는 것에 따라서 휴대 전화기(52)의 블루투스 모듈(247)이 기동되고, 비접촉 IC 카드(246)로부터 송신된 카드 ID가 리더 라이터(105)에서 수신되는 것에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51)의 블루투스 모듈(106)이 기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점이 서로 다르다.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86F)은 단계 S201에서 비접촉 IC 카드가 내장되어 있는 단말기를 검출하기 위한 전자파를 복사한다.
그리고, 비접촉 IC 카드 제어 프로그램(302)은 단계 S211에서 그 전자파를 수신하면, 단계 S212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블루투스 모듈(246))에 기동을 지시한다.
예를 들면, 비접촉 IC 카드 제어 프로그램(302)은 호스트 프로그램(301)에 전자파를 수신한 것을 통지한다. 그리고,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이 통지에 따라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을 기동시킴과 함께, 전원 회로부(235)를 제어하여 블루투스 모듈(247)에 전원을 공급시킨다.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은 단계 S221에서 기동하여, 예를 들면 마스터(퍼스널 컴퓨터(51))로부터의 조회 대기의 상태(Inquiry Scan)로 된다.
한편, 비접촉 IC 카드 제어 프로그램(302)은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을 기동시킨 후, 단계 S213으로 진행하여, 설정되어 있는 카드 ID를 리더 라이터(105)에 통지한다.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86F)은 단계 S202에서 카드 ID를 수신하면, 단계 S203으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을 기동시킴과 함께, 블루투스 모듈(106)에 전원을 공급시킨다.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단계 S181에서 기동하고 단계 S182로 진행하여,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86F)이 휴대 전화기(52)로부터 취득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카드 ID)을 수신한다.
즉, 단계 S203에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을 기동시킨 후,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86F)은 단계 S204로 진행하여 휴대 전화기(52)로부터 취득한 카드 ID를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에 통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후의 처리(단계 S183 내지 단계 S191의 처리, 및 단계 S222 내지 단계 S231의 처리)에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조회 및 호출을 블루투스 모듈(246)과의 사이에서 행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86G)은 리더 라이터(105)로부터 통지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에 기초하여 피코넷 내 동기 확립 후에 휴대 전화기(52)를 통신 상대로서 특정한다.
또, PDA(53)는, 리더 라이터(105)로부터의 전자파를 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기동되지 않는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통신 상대를 특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파의 수신을 트리거로 하여 블루투스 모듈(246)을 기동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52)의 사용자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을 기동시키는 조작을 하지 않고, 퍼스널 컴퓨터(51)에 가까이 하는 것 만으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을 기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비접촉 IC 카드(246)로부터 통지된 카드 ID에 기초하여 통신 상대가 특정되기 때문에, 어느 조작도 하지 않고 퍼스널 컴퓨터(51)와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리더 라이터(105)로부터 복사되는 전자파가 수신되는 것에 따라서 휴대 전화기(52)의 블루투스 모듈(247)이 기동되고, 휴대 전화기(52)로부터 송신되는 카드 ID가 수신되는 것에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51)의 블루투스 모듈(106)이 기동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여러가지 타이밍으로 기동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카드 ID가 퍼스널 컴퓨터(51)에 통지된 타이밍(단계 S213의 직후의 타이밍)에서, 휴대 전화기(52)의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이 기동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52)의 전체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자파가 수신된 것에 따라서 발생된 기전력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52)의 전체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계속해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304)을 기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비접촉 IC 카드(246)와 블루투스 모듈(247)이 함께 휴대 전화기(52)에 내장되고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이들 모듈이 조립되어 있는 메모리스틱(223)을 메모리스틱 슬롯(222)에 장착시키고,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를 실행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24A는 비접촉 IC 카드(246)와 블루투스 모듈(247)이 조립되어 있는 메모리스틱(223)을 장착함으로써 그 기능이 확장되는 휴대 전화기(52)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 메모리스틱(223)을 휴대 전화기(52)에 장착시키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52)에 비접촉 IC 카드(246)와 블루투스 모듈(247)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그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피코넷 내 동기의 확립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 확장하는 새로운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도, 메모리스틱(223)으로부터 판독되고 휴대 전화기(52)에 인스톨되어 있다. 또한, 그 제어 프로그램이,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기 디스크(101) 내지 반도체 메모리(104)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USB 케이블을 통하여 인스톨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메모리스틱(223)뿐만 아니라, 도 2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접촉 IC 카드(246)와 블루투스 모듈(247)이 조립된 외부 부착 유닛(321)에 의해 휴대 전화기(52)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해도 된다. 외부 부착 유닛(321)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52)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USB의 커넥터나,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 등에 접속된다.
도 25A는 블루투스 모듈(247)이 내장되어 있고 메모리스틱(223)에 의해 비접촉 IC 카드(246)의 기능만을 확장시키는 휴대 전화기(52)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 메모리스틱(223)을 휴대 전화기(52)에 장착시키고, 비접촉 IC 카드(246)에 설정되어 있는 카드 ID를 블루투스 모듈(247)에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피코넷 내 동기의 확립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카드 ID 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의 재기입 처리에 대해서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도 2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52)에 외부 부착 유닛(321)을 장착시키는 것에 의해 비접촉 IC 카드(246)의 기능만을 확장시킬 수도 있다.
도 26A는 도 25A에 도시한 것과는 반대로, 비접촉 IC 카드(246)가 내장되어 있고, 메모리스틱(223)에 의해 블루투스 모듈(247)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휴대 전화기(52)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26B는 블루투스 모듈(247)의 기능을 외부 부착 유닛(321)에 의해 확장시키는 휴대 전화기(52)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 비접촉 IC 카드(246)의 기능, 또는 블루투스 모듈(247)의 기능, 혹은 그 양쪽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메모리스틱(223)과 외부 부착 유닛(321)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통합하여 기능 확장 유닛이라 칭한다.
다음으로, 카드 ID 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필요에 따라서 재기입하는 휴대 전화기(52)의 처리에 대하여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드 ID 및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사용자가 기호에 따라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전자파를 통하여 제공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에 기초하여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카드 ID에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먼저, 도 2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카드 ID에 기초하여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재기입하는 휴대 전화기(52)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251에서,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카드 ID 설정 프로그램(303)에 조회하여 카드 ID를 확인한다. 카드 ID 설정 프로그램(303)은 단계 S271에서 그 조회를 수신하면, 단계 S272로 진행하여 EEPROM(264)에 설정되어 있는 카드 ID를 판독하여 호스트 프로그램(301)에 통지한다.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단계 S252에서 카드 ID를 수신하면, 단계 S253으로진행하여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설정 프로그램(305)에 조회하여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확인한다.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설정 프로그램(305)은 단계 S281에서 그 조회를 수신하면, 단계 S282로 진행하여 플래시 메모리(174B)에 보존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판독하여 호스트 프로그램(301)에 통지한다.
단계 S254에서,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설정 프로그램(305)으로부터 통지되어 온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취득하여 이미 통지되어 있는 카드 ID와 비교한다. 그리고,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단계 S255에서, 취득한 카드 ID에 적어도 블루투스 디바이스명(블루투스 디바이스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단계 S255에서, 카드 ID와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동일하거나, 또는 카드 ID에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단계 S255에서, 카드 ID에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단계 S256으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설정 프로그램(305)에 취득한 카드 ID를 통지한다.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설정 프로그램(305)은 단계 S283에서 그 카드 ID를 수신하면, 단계 S284로 진행하여 카드 ID와 동일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설정한다. 즉,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설정 프로그램(305)은 플래시 메모리(174B)에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카드 ID와 동일한 것으로 재기입한다.
이에 의해, 카드 ID에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게 되어, 상술한 바와같이 휴대 전화기(52)를 가까이 하는 것 만으로 마스터인 퍼스널 컴퓨터(51)에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한 후의 통신 상대를 특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도 포함하여, 이러한 카드 ID 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재기입하는 처리를, 소정의 주기로 행하여도 된다. 비접촉 IC 카드(246)는,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 이외에, 예를 들면 개찰구의 통행이나, 구입한 상품의 대금의 지불 등, 여러가지 용도에 이용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그 때마다 변경되는 경우이 있다. 따라서, 소정의 주기마다 그와 같은 재기입이 실행됨으로써, 사용자는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하고자 하고자 할 때마다 카드 ID를 새로 설정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리더 라이터(105)로부터의 전자파가 수신된 타이밍에서, 이러한 재기입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리더 라이터를 갖고 있는 마스터는, 보다 확실하게 통신 상대를 특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에 기초하여 카드 ID를 재기입하여, 블루투스 디바이스명과 카드 ID를 같은 것으로 설정하는 휴대 전화기(52)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즉,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카드 ID 설정 프로그램(303)과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설정 프로그램(305)에 각각 조회하여, 카드 ID 및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취득한다. 그리고,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단계 S295에서 적어도 카드 ID에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그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단계 S295에서 카드 ID에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96으로 진행하여 취득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카드 ID 설정 프로그램(305)에 통지한다.
카드 ID 설정 프로그램(303)은, 단계 S313에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수신하면, 단계 S314로 진행하여 EEPROM(264)에 설정되어 있는 카드 ID를 블루투스 디바이스명과 동일한 것(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포함하는 것)으로 재기입한다.
다음으로, 도 29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기능 확장 유닛에 의해 그 기능을 확장시켰을 때에, 카드 ID 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재기입하는 휴대 전화기(52)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비접촉 IC 카드(246)의 기능을 확장하는 기능 확장 유닛을 장착한 경우의 휴대 전화기(52)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331에서,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비접촉 IC 카드(246)의 기능을 확장하는 기능 확장 유닛이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장착되었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단계 S331에서, 예를 들면 도 2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모리스틱(223) 또는 도 25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외부 부착 유닛(321)이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32로 진행한다.
이후의 처리는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즉,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카드 ID와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취득하여, 단계 S336에서, 적어도 카드 ID에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단계 S336에서 카드 ID에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종료시키고,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37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설정 프로그램(305)에 카드 ID를 통지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설정 프로그램(305)은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수신한 카드 ID와 동일한 것으로 재기입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비접촉 IC 카드(246)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메모리스틱(223)을 구입한 사용자는, 그 메모리스틱(223)을 휴대 전화기(52)에 장착시키는 것 만으로, 필요에 따라서 블루투스 모듈(247)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재기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능이 확장된 휴대 전화기(52)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피코넷 내 동기의 확립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어, 통신 상대를 선택하지 않고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개시시킬 수 있다.
도 30의 흐름도는, 도 29의 흐름도와 마찬가지로, 비접촉 IC 카드(246)의 기능을 확장하는 기능 확장 유닛을 장착한 경우의 휴대 전화기(52)의 처리이며, 그 재기입하는 정보는 도 29의 처리와 서로 다르다.
즉, 도 30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비접촉 IC 카드(246)의 기능을 확장하는 기능 확장 유닛이 장착되어, 설정되어 있는 카드 ID에 적어도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에 기초하여 그 카드 ID가 재기입된다.
다음으로, 도 3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블루투스 모듈(247)의 기능을 확장하는 기능 확장 유닛을 장착한 경우의 휴대 전화기(52)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411에서,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블루투스 모듈(247)의 기능을 확장하는 기능 확장 유닛이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장착되었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단계 S411에서, 예를 들면 도 26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모리스틱(223), 또는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외부 부착 유닛(321)이 소정 위치에 장착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412로 진행한다.
이후의 처리는,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즉,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카드 ID와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취득하여, 단계 S416에서 적어도 카드 ID에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호스트 프로그램(301)은, 단계 S416에서, 카드 ID에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종료시키고,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417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설정 프로그램(305)에 카드 ID를 통지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설정 프로그램(305)은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수신한 카드 ID와 동일한 것으로 재기입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사용자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모듈(247)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메모리스틱(223)을 구입하여, 그것을 휴대 전화기(52)에 장착시키는 것 만으로, 필요에 따라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재기입할 수 있고, 또한 그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피코넷 내 동기의 확립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32의 흐름도는, 도 31의 흐름도와 마찬가지로, 블루투스 모듈(247)의 기능을 확장하는 기능 확장 유닛을 장착한 경우의 휴대 전화기(52)의 처리이며, 그 재기입하는 정보는 도 31의 처리와 서로 다르다.
즉, 도 32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블루투스 모듈(247)의 기능을 확장하는 기능 확장 유닛이 장착되어, 설정되어 있는 카드 ID에 적어도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에 기초하여 그 카드 ID가 재기입된다.
이상에서는, 카드 ID와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기억되는 메모리가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비접촉 IC 카드(246)와 블루투스 모듈(247)에 의해 공유되는, 물리적으로 1개의 메모리에 이들 정보가 기억되도록 해도 된다. 이 공유되는 메모리는 메모리스틱(223)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휴대 전화기(52)에 내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퍼스널 컴퓨터(51)를 마스터로 하고, 휴대 전화기(52)를 슬레이브로 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당연히, 쌍방이 반대의 역할을 갖도록 해도 된다. 또, 리더 라이터가 휴대 전화기(52)에도 설치되어 있는 경우, 휴대 전화기(52)가 퍼스널 컴퓨터(51)의 존재를 검출하여, 퍼스널 컴퓨터(51)의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통지된 카드 ID에 기초하여,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비접촉 IC 카드와 리더 라이터와의 통신에 의해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취득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하는 통신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51)와 휴대 전화기(52)와의 사이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기기 사이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52)나 PDA(53) 등의 휴대 단말기와, 텔레비전 수상기, 카 내비게이션, 자동 판매기, ATM(automatic teller machine) 등의 장치간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전화기(52)나 PDA(53)에는, 적어도 블루투스 모듈과 비접촉 IC 카드가 설치되어 있으면 되며, 텔레비전 수상기, 카 내비게이션, 자동 판매기, ATM에는, 적어도 각각 블루투스 모듈과 비접촉 IC 카드의 리더 라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어느 한쪽이 리더 라이터를 갖고 있으면, 휴대 전화기끼리, 또는 PDA끼리, PDA와 디지털 카메라, 혹은 PDA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에 의한 피코넷 내 동기의 확립 처리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기기와 기기의 접속에만 한하지 않고, 전자 유도 통신부(리더 라이터, 및 비접촉 IC 카드)와 블루투스 모듈이, 예를 들면 자동차, 전철, 배, 비행기 등의 이동체나, 건물 내, 혹은 거리의 도처에 설치되고, 그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예를 들면 인터넷이나, LAN(Local Area Network), 혹은 WAN(Wide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소위 유비쿼터스(Ubiquitous) 사회(Ubiquitous Network society 또는 Ubiquitous Computing society)를 구성해도 된다.
도 33은 본 발명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에 의해 구성하는 유비쿼터스 사회의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인터넷(354)에는, 액세스 포인트(351 및 352), 서버(355 및 356), 클라이언트 PC(357)가 접속되어 있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액세스 포인트(351)에는, 비접촉 IC 카드(371), 블루투스 모듈(372), 및 리더 라이터(373)가 설치되어 있고, 휴대 전화기(52)의 사용자는, 이 액세스 포인트(351)에 휴대 전화기(52)를 근접시키는 것 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 상대를 특정하는 처리가 행해지며, 그 후에 블루투스를 통하여 인터넷(354)에 액세스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352)에는, 리더 라이터(381)와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38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비접촉 IC 카드(391)와 무선 LAN 클라이언트(392)가 내장되어 있는 PDA(353)의 사용자가 PDA(353)를 액세스 포인트(352)에 근접시키는 것 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 상대를 특정하는 처리가 행해지고, 그 후에 무선 LAN을 통하여 인터넷(354)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52)의 사용자는 길거리에 설치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351)에 휴대 전화기(52)를 근접시키는 것 만으로, 서버(355)로부터 원하는 콘텐츠를 취득하거나, 서버(356)에 전개되어 있는 커뮤니티에 참가하거나, 혹은 원격에 있는 클라이언트 PC(357)를 조작하거나 하는 것을, 언제라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3의 액세스 포인트(352)와 PDA(353)와의 사이에서 행해지고 있는무선 LAN(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802.11b) 등, 블루투스 이외의 통신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LAN을 통하여 인터넷(354)에 액세스하는 경우,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채널 수, ESS-ID(Extended Service Set-Identification) 등이 비접촉 IC 카드(391)로부터 액세스 포인트(352)의 리더 라이터(381)에 통지된다.
또한, 블루투스 이외의 통신으로서는, 예를 들면 IrDA, HomeRF(SWAP), Wireless1394 등이 있으며, 이들 통신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비접촉 IC 카드(246)와 같이 루프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통신 방식 대신에, 출력을 억제하여,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보다 통신 가능한 거리가 짧아지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통신 방식이면, 어느 통신 방식을 이용해도 된다.
이상에서는, 퍼스널 컴퓨터(51)는, 비접촉 IC 카드(246)로부터 통지된 카드 ID와 블루투스 모듈(247)로부터 통지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에 기초하여, 통신하는 기기를 특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고유의 식별 정보이면 어느 정보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8 비트로 이루어지는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가 각각의 기기에 할당되어 있는 경우, 마스터인 퍼스널 컴퓨터(51)는 비접촉 IC 카드(246)로부터 통지된 그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하는 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통지되는 카드 ID에 기초하여, 통신하는 단말기를 특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리더 라이터로부터, 근접하는 단말기에 대하여 ID가 발행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이 근접된 단말기는, 리더라이터로부터 ID가 통지되었을 때, 그 ID에 기초하여, 자신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재기입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그 리더 라이터를 갖고 있는 마스터는, 발행한 ID와, 피코넷 내 동기를 확립한 후에 통지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을 참조함으로써, 통신하는 단말기를 특정한다. 이에 의해, 비접촉 IC 카드를 갖고 있지 않은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그것을 갖고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통신 상대를 특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에 있어서는, 동기의 확립이 이루어져, 그 동기를 확립한 상대의 단말기가 처음으로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인 경우, 쌍방의 기기에 동일한 PIN 코드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적용하여, 예를 들면 전자 유도를 이용한 통신에 의해 제공된 식별 정보 등에 기초하여 통신 상대를 특정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된 경우에는, 그 PIN 코드의 입력이 불필요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더라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전자 유도를 이용한 통신에 의해, 소정의 PIN 코드가 쌍방의 단말기 사이에서 공유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전자 유도를 이용한 통신에 의해 제공된 식별 정보 등에 기초하여 통신 상대를 특정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된 경우에는, 소정의 프로파일로 통신이 행하여지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전자 유도를 이용한 통신에 의해, 자기 자신이 제공할 수 있는 프로파일이 쌍방의단말기 사이에서 공유되고, 그 안에서 소정의 프로파일이 선택된다.
또한, 상술한 메모리스틱(223) 대신에 소정의 슬롯에 삽입 가능한 형상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메모리스틱(223) 대신에 SD 카드(등록상표) 규격을 갖는 것이나, CF 카드(등록상표) 규격을 갖는 것 등이 있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리더 라이터(105)와 비접촉 IC 카드(246)가 개별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들 쌍방이 기능을 갖는 것을 퍼스널 컴퓨터(51)와 휴대 전화기(52)에 각각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이 쌍방의 기능을 갖는 것을,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메모리스틱(223) 등에 저장하여, 퍼스널 컴퓨터(51)와 휴대 전화기(52)의 기능을 확장하여도 된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은,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달리,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101)(플로피 디스크를 포함), 광 디스크(102)(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 광 자기 디스크(103)(MD(등록상표)(Mini Disk)를 포함), 혹은 반도체 메모리(10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미디어에 의해 구성되는 것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조립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HDD(114)나 ROM(118) 등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따라, 근접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루프 안테나에 의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하고, 동기를 확립한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식별 정보와 단말기명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상대를 특정한다. 또한,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얻어진 유기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3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고,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 통신의 동기의 확립에 수반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4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동기를 확립하고,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송신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4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동기 확립 후의 통신 상대를 특정할 수 있어, 용이하고 신속하게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원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하고, 동기를 확립한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식별 정보와 단말기명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상대를 특정하기 때문에, 동기 확립 후의 통신 상대를 특정할 수 있어, 용이하고 신속하게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요구에 따라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고, 원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를 확립하고,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확장 장치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근접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루프 안테나에 의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을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한다. 또한, 동기를 확립한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취득한 단말기명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상대를 특정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무선 통신부가 정보 처리 장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도, 그 기능을 제1 확장 장치에 의해 확장하여, 동기 확립 후의 통신 상대를 특정할 수 있어, 용이하고 신속하게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확장 장치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얻어진 유기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요구에 따라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고, 원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를 확립하고,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무선 통신부가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도, 그 기능을 제2 확장 장치에 의해 확장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Claims (23)

  1. 정보 처리 장치와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근접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루프 안테나에 의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처리 수단과,
    상기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하는 제1 동기 확립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동기 확립 처리 수단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처리 수단과,
    상기 제2 취득 처리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단말기명 정보를 갖는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기 중에서, 상기 제1 취득 처리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통신 단말기를 통신 상대로서 특정하는 특정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는,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얻어진 유기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3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제공 처리 수단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상기 무선 통신의 동기의 확립에 수반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4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동기를 확립하는 제2 동기 확립 처리 수단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송신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상기 제4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제공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정보 처리 장치와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은,
    근접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루프 안테나에 의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처리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하는 제1 동기 확립 처리 단계와,
    상기 제1 동기 확립 처리 단계에서 동기가 확립된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처리 단계와,
    상기 제2 취득 처리 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단말기명 정보를 갖는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기 중에서, 상기 제1 취득 처리 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통신 단말기를 통신 상대로서 특정하는 특정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은,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얻어진 유기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3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제공 처리 단계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상기 무선 통신의 동기의 확립에 수반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4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동기를 확립하는 제2 동기 확립 처리 단계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송신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상기 제4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제공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처리 수단과,
    원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수단과,
    상기 동기 확립 처리 수단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처리 수단과,
    상기 제2 취득 처리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단말기명 정보를 갖는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기 중에서, 상기 제1 취득 처리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통신 단말기를 통신 상대로서 특정하는 특정 처리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에 의한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는 상기 제2 무선 통신부에 의한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득 처리 수단은, 근접된 상기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루프 안테나에 의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기명 정보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기명 정보에는 상기 통신 단말기에 고유한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득 처리 수단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가 취득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기동시키는 기동 처리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처리 단계와,
    원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단계와,
    상기 동기 확립 처리 단계에서 동기가 확립된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처리 단계와,
    상기 제2 취득 처리 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단말기명 정보를 갖는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기 중에서, 상기 제1 취득 처리 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통신 단말기를 통신 상대로서 특정하는 특정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1 취득 처리 단계는, 근접된 상기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루프 안테나에 의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소정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요구에 따라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제공 처리 수단과,
    원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수단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제공 처리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에 의한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는 상기 제2 무선 통신부에 의한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공 처리 수단은,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얻어진 유기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자신의 상기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기명 정보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적어도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기명 정보에는 자신에게 고유한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6. 소정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요구에 따라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제공 처리 단계와,
    원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단계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제공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기명 정보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이 적어도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1 제공 처리 단계는,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얻어진 유기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자신의 상기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8.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 가능한 확장 장치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접속 단자와,
    근접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루프 안테나에 의한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처리 수단과,
    상기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수단과,
    상기 동기 확립 처리 수단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처리 수단과,
    상기 제2 취득 처리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단말기명 정보를 갖는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기 중에서, 상기 제1 취득 처리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통신 단말기를 통신 상대로서 특정하는 특정 처리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장치.
  19. 통신 단말기에 접속 가능한 확장 장치로서,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접속 단자와,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얻어진 유기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요구에 따라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제공 처리 수단과,
    원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수단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따라서,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제공 처리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장치.
  20.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처리 단계와,
    원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단계와,
    상기 동기 확립 처리 단계에서 동기가 확립된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기명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처리 단계와,
    상기 제2 취득 처리 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단말기명 정보를 갖는 상기 복수의 통신 단말기 중에서, 상기 제1 취득 처리 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통신 단말기를 통신 상대로서 특정하는 특정 처리 단계
    를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21. 소정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요구에 따라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제공 처리 단계와,
    원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처리 단계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명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제공 처리 단계
    를 통신 단말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2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득 처리 수단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의 부하 변화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가 근접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득 처리 단계에 의한 처리는,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의 부하 변화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가 근접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KR1020047000686A 2001-07-18 2002-07-16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954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18520A JP3671880B2 (ja) 2001-07-18 2001-07-18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通信端末および方法、拡張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1-00218520 2001-07-18
PCT/JP2002/007197 WO2003009534A1 (fr) 2001-07-18 2002-07-16 Systeme et procede de communic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130A Division KR20100005729A (ko) 2001-07-18 2002-07-16 통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458A true KR20040022458A (ko) 2004-03-12
KR100954008B1 KR100954008B1 (ko) 2010-04-20

Family

ID=190526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686A KR100954008B1 (ko) 2001-07-18 2002-07-16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0097025130A KR20100005729A (ko) 2001-07-18 2002-07-16 통신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130A KR20100005729A (ko) 2001-07-18 2002-07-16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7885249B2 (ko)
EP (1) EP1408649B1 (ko)
JP (1) JP3671880B2 (ko)
KR (2) KR100954008B1 (ko)
CN (1) CN1327660C (ko)
DE (1) DE60239272D1 (ko)
WO (1) WO20030095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5427B2 (ja) * 2001-07-19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通信端末および方法、拡張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4655439B2 (ja) * 2001-09-13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3034661A1 (fr) * 2001-10-16 2003-04-24 Sony Corporation Systeme et procede de communication et dispositif et procede de traitement d'informations
DE10222115B4 (de) * 2002-05-17 2018-02-15 Advanced Micro Devices, Inc. Gemeinsam verwendete Schaltkreise für Funktionseinheiten eines WLAN-Empfängers
DE10227558A1 (de) * 2002-06-20 2004-01-15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zum Datenaustausch zwischen mindestens zwei kontaktlosen Datenträgern
JP3870882B2 (ja) * 2002-09-12 2007-01-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装置及び情報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540426B1 (en) 2002-11-07 2009-06-02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Foldable transaction card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278584B1 (en) * 2002-11-07 2007-10-09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Portable electronic music devices with convenient or foldable transaction cards
JP2004214994A (ja) * 2002-12-27 2004-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機器及び通信機器
JP3926277B2 (ja) 2003-02-17 2007-06-06 株式会社東芝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4092692B2 (ja) 2003-06-06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1642408B1 (en) * 2003-06-26 2007-04-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clock synchronization of wireless 1394 buses for nodes connected via ieee 802.11 lan
US7673066B2 (en) * 2003-11-07 2010-03-02 Sony Corporation File transfer protocol for mobile computer
JP4483271B2 (ja) * 2003-11-19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応答データ処理方法
DE10356676B4 (de) * 2003-12-04 2012-07-19 Giesecke & Devrient Gmbh Elektronisches Gerät mit einem Sicherheitsmodul
US7721956B2 (en) 2003-12-10 2010-05-25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Foldable transaction card systems
JP2005318528A (ja) * 2004-03-29 2005-11-10 Sanyo Electric Co Ltd 無線伝送装置、相互認証方法および相互認証プログラム
JP2005354136A (ja) * 2004-06-08 2005-12-22 Sanyo Electric Co Ltd 通信端末装置、接続管理サーバ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06041944A (ja) * 2004-07-27 2006-02-09 Nissan Motor Co Ltd 通信装置、通信機器の登録方法
JP2006101293A (ja) 2004-09-30 2006-04-13 Sanyo Electric Co Ltd 通信装置、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JP2006201959A (ja) 2005-01-19 2006-08-03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プリント端末装置並びに画像保存システム及び画像保存装置
JP4426482B2 (ja) * 2005-02-28 2010-03-03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パッケージ基台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パッケージ基台を備えた半導体パッケージ
JP2006287767A (ja) * 2005-04-04 2006-10-19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4900891B2 (ja) 2005-04-27 2012-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774823B2 (ja) * 2005-06-16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設定方法、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設定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設定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7643798B2 (en) * 2005-12-09 2010-01-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assive NFC activation of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S20070135112A1 (en) * 2005-12-13 2007-06-14 Lessing Simon R Method for configuring the functionality of a mobile multimedia or communication device
US7720166B2 (en) 2006-03-30 2010-05-18 Intel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of decoding spatially multiplexed signals
US8644396B2 (en) * 2006-04-18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Waveform encoding for wireless applications
US8406794B2 (en) * 2006-04-26 2013-03-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of initiat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EP2025124B1 (en) * 2006-04-26 2015-10-2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distribution of device functionality and resource management
US8289159B2 (en) * 2006-04-26 2012-10-1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loc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792792B2 (en) * 2006-05-22 2010-09-07 Microsoft Corporation Synchronizing structured web site contents
JP4242398B2 (ja) * 2006-06-02 2009-03-25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データ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icカード、読み書き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918905B2 (en) * 2006-06-06 2014-12-23 Future Dial, Inc.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secure exchange of data between mobile phone and computer system
JP2008028852A (ja) * 2006-07-24 2008-02-07 Felica Networks Inc 情報処理端末、データ選択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269927A1 (en) * 2007-04-30 2008-10-30 Szolyga Thomas H Playback of audio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docking station
US20090031251A1 (en) * 2007-07-24 2009-01-29 Gofertech, Llc Wireless Management Interface
EP2026615B1 (en) 2007-07-30 2014-10-29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product
US11238329B2 (en) * 2007-12-24 2022-02-01 Dynamics Inc. Payment cards and devices with gift card, global integration, and magnetic stripe reader communication functionality
US8905309B2 (en) * 2008-03-10 2014-12-09 Infineon Technologies Ag Reader application device
KR20110077014A (ko) * 2008-10-24 201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전자장치들 간의 속성들을 동기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9614951B2 (en) * 2008-11-21 2017-04-0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nalyzing data associated with proximate devices
US8812699B2 (en) * 2008-12-04 2014-08-19 Lenovo (Singapore) Pte.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ata synchronization in a multi-path environment
JP5454864B2 (ja) * 2009-03-18 2014-03-26 株式会社東芝 Icカードおよび携帯端末システム
JP5338458B2 (ja) * 2009-04-28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遠隔制御装置、通信装置、遠隔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090351B2 (en) * 2009-09-01 2012-01-03 Elliot Klein Geographical location authentication method
KR101674903B1 (ko) * 2009-10-20 2016-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1807994B (zh) * 2009-12-18 2012-07-25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一种ic卡应用数据传输的方法及系统
EP2579163A4 (en) 2010-05-31 2014-04-02 Nec Corp INFORMATION APPLICATION DATA CONNECTION SYSTEM, AUTHENTICATION DEVICE, CLIENT APPLI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 DATA CONNECTION METHOD AND MEMORY MEDIUM
TWI423691B (zh) * 2010-06-14 2014-01-11 Pixart Imaging Inc 藍芽僕裝置及其相關認證方法
US20130217334A1 (en) * 2010-09-21 2013-08-22 Nationz Technologies Inc. Fast access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5691745B2 (ja) * 2011-03-31 2015-04-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30060556A (ko) * 2011-11-30 2013-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디바이스 연결 장치 및 방법
JP6003279B2 (ja) * 2012-06-20 2016-10-0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649165B2 (en) * 2012-07-16 2017-05-16 Cardiac Innovation, Llc Medical device identifier
JP6103872B2 (ja) * 2012-10-02 2017-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995251B1 (ko) * 2012-10-08 2019-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3856622A (zh) * 2012-12-06 2014-06-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设置移动终端功能模块名称的方法和移动终端
EP2768272B1 (en) * 2013-01-28 2017-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KR102112610B1 (ko) * 2013-01-28 2020-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장치 간 통신 방법 및 장치
MX368032B (es) 2013-10-03 2019-09-13 Vendwatch Telematics Llc Sistema de venta.
IN2014KO00113A (ko) * 2014-01-28 2015-07-31 Visteon Global Tech Inc
WO2015118971A1 (ja) * 2014-02-06 2015-08-13 アプリックスIp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JP6368107B2 (ja) * 2014-02-28 2018-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280990A1 (en) * 2014-03-28 2015-10-01 General Luminaire Co., Ltd. Outdoor device management system
JP6352672B2 (ja) * 2014-04-22 2018-07-0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WO2016072635A1 (en) 2014-11-03 2016-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JP6701676B2 (ja) * 2015-11-11 2020-05-27 株式会社リコー 装置、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CN105472545A (zh) * 2015-12-31 2016-04-06 福建联迪商用设备有限公司 蓝牙自动连接方法和主设备、从设备和系统
WO2017212663A1 (ja) 2016-06-10 2017-12-14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
JP6782567B2 (ja) * 2016-06-10 2020-11-11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
JP7083226B2 (ja) 2016-06-10 2022-06-10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
EP3254739B1 (en) 2016-06-10 2020-03-25 Nintendo Co., Ltd. Game controller
JP6893763B2 (ja) * 2016-06-10 2021-06-23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
US9992318B1 (en) * 2017-03-31 2018-06-05 Sorenson Ip Holdings, Llc Storing messages
EP3718352B1 (en) * 2017-11-28 2021-07-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ssage transmission with reduced interference
US10887765B2 (en) * 2018-07-30 2021-01-05 Qualcomm Incorporated Relay protection using authentication packets in Bluetooth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12774T1 (de) * 1997-06-16 2002-02-15 Swisscom Mobile Ag Mobilgerät, chipkarte und kommunikationsverfahren
TW439377B (en) * 1998-07-31 2001-06-0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tter, data receiver, data recept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US7236271B2 (en) * 1998-11-09 2007-06-2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with printhead and media drive
US6493550B1 (en) * 1998-11-20 2002-12-10 Ericsson Inc. System proximity detection by mobile stations
US6725061B1 (en) 1999-01-12 2004-04-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of accessories coupl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514264C2 (sv) * 1999-05-07 2001-01-29 Ericsson Telefon Ab L M Ett kommunikationssystem
AUPQ439299A0 (en) * 1999-12-01 1999-12-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terface system
US6574266B1 (en) 1999-06-25 2003-06-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ase-station-assisted terminal-to-terminal connection setup
US6691173B2 (en) * 1999-07-06 2004-02-10 Widcomm, Inc. Distributed management of an extended network containing short-range wireless links
JP4167367B2 (ja) * 1999-11-18 2008-10-15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3670541B2 (ja) * 1999-11-26 2005-07-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0677078B1 (ko) 1999-11-26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장착 기기간 네트워크 운영 방법
SE515289C2 (sv) * 1999-11-29 2001-07-09 Tagmaster Ab Portabel kommunikationsenhet för läsning och/eller skrivning av data i identifieringsbrickor
EP1107512A1 (en) 1999-12-03 2001-06-13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Communication device and software for operating multimedia applications
SE9904683L (sv) 1999-12-17 2001-06-18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 och system för att etablera en radioförbindelse med kort räckvidd
JP4479040B2 (ja) * 2000-03-07 2010-06-0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GB2364202A (en) * 2000-06-27 2002-01-16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phone for opening locks
TW484249B (en) * 2000-10-20 2002-04-21 Hon Hai Prec Ind Co Ltd Antenna module
JP2002163584A (ja) * 2000-11-24 2002-06-07 Fujitsu Ltd 携帯情報端末を利用したカード決済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80032738A1 (en) * 2001-03-07 2008-02-07 Palm, Inc. Portable wireless network
US7783734B2 (en) * 2003-05-27 2010-08-24 Macdonald, Dettwiler And Associates Ltd.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for providing global, high quality movement of very large data files
US8422944B2 (en) * 2008-08-12 2013-04-16 Sony Corporation Personal function pad
DE102009049435A1 (de) 2009-10-14 2011-04-28 Wobben, Aloys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Betonfertigteilen und Schalungseinheit zum Herste llen von Betonfertigtei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8649A1 (en) 2004-04-14
US20050025117A1 (en) 2005-02-03
EP1408649B1 (en) 2011-02-23
DE60239272D1 (de) 2011-04-07
US8331986B2 (en) 2012-12-11
CN1550086A (zh) 2004-11-24
US20110117849A1 (en) 2011-05-19
WO2003009534A1 (fr) 2003-01-30
US20120244855A1 (en) 2012-09-27
KR20100005729A (ko) 2010-01-15
EP1408649A4 (en) 2007-11-14
JP2003032175A (ja) 2003-01-31
CN1327660C (zh) 2007-07-18
KR100954008B1 (ko) 2010-04-20
JP3671880B2 (ja) 2005-07-13
US8213986B2 (en) 2012-07-03
US20130095762A1 (en) 2013-04-18
US7885249B2 (en) 2011-02-08
US8538334B2 (en)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008B1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949405B1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465543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655427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通信端末および方法、拡張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918886B1 (ko)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통신단말 및 방법
JP402607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