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367A - 화장용 브러시기구 - Google Patents

화장용 브러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367A
KR20040020367A KR1020020051964A KR20020051964A KR20040020367A KR 20040020367 A KR20040020367 A KR 20040020367A KR 1020020051964 A KR1020020051964 A KR 1020020051964A KR 20020051964 A KR20020051964 A KR 20020051964A KR 20040020367 A KR20040020367 A KR 20040020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ylindrical
length
protective cap
penet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309B1 (ko
Inventor
최만수
Original Assignee
최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만수 filed Critical 최만수
Priority to KR10-2002-0051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309B1/ko
Publication of KR20040020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결속부를 하부에 갖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가 상방으로 돌출가능하게 내장되는 제1원통부재와, 상기 제1원통부재의 하부가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원통부재와, 상기 제1원통부재의 상부에 씌워지는 보호캡을 갖는 화장용 브러시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브러시가 안착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안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관통체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와 관통체는 구멍이 형성된 칸막이에 의해서 구분되고, 상기 원판에는 상기 브러시의 관통구멍을 관통하도록 상방으로 연장하고 하부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 걸림홈이 제공된 상방연장부재가 제공되어 있는 브러시 지지체; 상기 관통체가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상태로 결합하고 상기 제1원통부재의 중공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하부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안내부재; 및 상기 제2원통부재의 내측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부재의 구멍에 관통가능한 원통형 기초단편부재를 갖는 원형의 지지판과, 상기 기초단편부재의 중공부에 활주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원판의 요홈에 결합하는 최소단편부재를 구비하여 길이신축이 가능한 길이가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캡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장부의 걸림홈에 억지끼워맞춤이 가능한 압박돌기가 제공되어, 상기 보호캡이 상기 제1원통부재의 상부에 완전히 씌워지고 상기 길이가변부재가 최단길이로 축소되었을 때 상기 보호캡에 제공된 압박돌기는 상기 걸림홈에 억지끼움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기초단편부재는 원통형 안내부재의 구멍에 억지끼움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용 브러시기구{Cosmetic brush assembly}
본 발명은 브러시 보호캡의 개방동작에 의해서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브러시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화장용 브러시기구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보호캡이 브러시 내장형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용 브러시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 브러시기구는 분말상태의 화장품으로 화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구로서, 대체적으로 파지부재와, 파지부재의 일단에 장착된 브러시로 구성된다. 그리고, 브러시기구의 상부에는 브러시를 보관하기 위한 브러시 보호캡이 제공된다. 따라서, 브러시 보호캡을 브러시기구의 상부로부터 분리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브러시를 그 용도에 맞게 사용하며, 브러시의 사용이 끝난 후에는 보호캡을 브러시기구의 상부에 결합시켜 브러시를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화장용 브러시기구는 파지부재와 브러시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길이가 길어서 핸드백 등에 보관하여 휴대하기가 어렵다. 브러시는 보호캡에 의해서만 덮혀있으므로, 보호캡을 분실하게 되면 브러시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방치되므로, 브러시는 손상받게 되거나 또는 이물질 등이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브러시기구의 파지부에 브러시를 내장시킨 상태로 보관한 후, 브러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브러시를 파지부의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브러시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보호캡이 브러시기구의 상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캡이 씌워지는 브러시기구의 상부의 외주면에는 돌기가 제공된다. 그러나, 보호캡을 반복하여 개폐시키면 서로 접촉하는 상기 돌기와 보호캡의 내측면이 마모되면서 스크랩이 생성된다. 이러한 스크랩은 브러시의 오염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상술된 마모결과 브러시기구의 외형미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호캡의 개방동작에 의해서 내장되어 있는 브러시를 외부에 용이하게 노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캡의 반복되는 개폐동작에 의해서도 스크랩이 발생되지 않는 화장용 브러시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기구의 분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기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보호캡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브러시가 완전히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브러시를 원통부재에 다시 내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보호캡을 원통부재의 상부에 씌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보호캡의 하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a는 원통형 안내부재로부터 분리된 브러시 지지체의 몸체의 사시도, 도 8b는 원통형 안내부재와 결합된 브러시 지지체의 몸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10 : 브러시
420 : 제1원통부재
430 : 제2원통부재
440 : 보호캡
450 : 길이가변부재
460 : 브러시 지지체
470 : 탄성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결속부를 하부에 갖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가 상방으로 돌출가능하게 내장되는 제1원통부재와, 상기 제1원통부재의 하부가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원통부재와, 상기 제1원통부재의 상부에 씌워지는 보호캡을 갖는 화장용 브러시기구는 상기 브러시가 안착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안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관통체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와 관통체는 구멍이 형성된 칸막이에 의해서 구분되고, 상기 원판에는 상기 브러시의 관통구멍을 관통하도록 상방으로 연장하고 하부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 걸림홈이 제공된 상방연장부재가 제공되어 있는 브러시 지지체; 상기 관통체가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상태로 결합하고 상기 제1원통부재의 중공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하부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안내부재; 및 상기 제2원통부재의 내측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부재의 구멍에 관통가능한 원통형 기초단편부재를 갖는 원형의 지지판과, 상기 기초단편부재의 중공부에 활주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원판의 요홈에 결합하는 최소단편부재를 구비하여 길이신축이 가능한 길이가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캡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장부의 걸림홈에 억지끼워맞춤이 가능한 압박돌기가 제공되어, 상기 보호캡이 상기 제1원통부재의 상부에 완전히 씌워지고 상기 길이가변부재가 최단길이로 축소되었을 때 상기 보호캡에 제공된 압박돌기는 상기 걸림홈에 억지끼움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기초단편부재는 원통형 안내부재의 구멍에 억지끼움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기구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기구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중공형 제1원통부재(420)를 갖는다. 제1원통부재(420)의 하부는 하단부가 폐쇄되어 있는 중공형 제2원통부재(430)에 수용되고, 제1원통부재(420)의 상부에는 원통형상의 보호캡(440)이 씌워진다.
제1원통부재(420)에 돌출가능하게 내장되는 브러시(410)는 바인더(412)에 의해서 결속된 결속부를 하부에 갖는다. 브러시(410)의 결속부의 중앙에는 소정 크기의 관통구멍(h)이 제공되고, 관통구멍(h)에는 관통부재(414)가 설치된다.
제1원통부재(420)의 중공부에는 브러시(410)가 안착되는 원판(462)과 원판(462)을 지지하는 관통형 몸체(464)를 갖는 브러시 지지체(460) 및 브러시 지지체(460)의 관통형 몸체(464)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통형 안내부재(421)가 활주가능하게 내장된다.
원판(462)의 상부에는 요홈(462a)이 하부에 형성되는 상방연장부재(462c)가 제공되고, 상방연장부재(462c)의 상단부에는 걸림홈(462d)이 제공된다. 관통형 몸체(46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462)이 안착되는 안착부(464a)와 안착부(464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관통체(464b)로 이루어진다.
안착부(464a)에는 관통체(464b)의 내부면과 연통하는 구멍이 제공된다. 관통체(464b)의 외부면은 수직하방으로 연장한 후 하방내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다시 수직하방으로 연장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관통체(464b)에는 안착부(464a)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의 폭은 변동가능하므로 관통체(464b)는 원통형 안내부재(421)에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하는 동안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탄성작용을 나타낸다.
즉, 안내부재(421)의 내부면은 관통체(464b)의 외부면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다. 관통체(464b)가 안내부재(421)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절개부의 폭(l1)은 관통체(464b)가 안내부재(421)와 결합되었을 때 절개부의 폭(l2)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유지된다. 이러한 절개부의 폭변동은 관통체(464b)와 안내부재(421) 사이의 억지끼움결합에 기인한다.
브러시 지지체(460)의 몸체(464)와 안내부재(421)의 중공부에는 길이신축이 가능한 길이가변부재(450)가 제공된다. 길이가변부재(450)는 제1원통부재(420)에 수용되는 제2원통부재(430)의 내측바닥면과 안내부재(421)의 외측하부면 사이에 위치하는 원형의 지지판(458)을 갖는다. 지지판(458)은 제2원통부재(430)의 내측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의 지지판(458)에는 상방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기초단편부재(452)가 제공된다. 지지판(458)에 인접하는 기초단편부재(452)의 하부에는 외측돌기(452a)가 제공된다. 외측돌기(452a)는 기초단편부재(452)의 하부를 둘러싸는 환원상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기초단편부재(452)의 하부를 따라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돌기(452a)는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안내부재(21)의 구멍에 관통하는 기초단편부재(452)가 억지끼움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기초단편부재(452)의 중공부에는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되고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단편부재(454, 456)들이 수용된다. 길이가변부재(450)의 최내측에는 최소 직경을 갖는 최소단편부재(456)가 위치하고, 최소단편부재(456)는 원판(462)의 요홈(462a)에 결합하는 결합단부를 갖는다.
도면에는 최소단편부재(456)의 결합단부에 나사가 가공되어 있고 이러한 결합단부가 요홈(462a)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최소단편부재(456)의 결합단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나사가 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착제 등에 의해서 요홈(462a)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하나의 중간단편부재(454)가 기초단편부재(452)와 최소단편부재(456) 사이에 위치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중간단편부재(454)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간단편부재없이 기초단편부재(452)와 최소단편부재(456) 만이 존재할 수도 있다.
단편부재(454, 456)들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가 제공되고 최소단편부재(456)를 제외한 단편부재들의 상단부에는 그들 내측의 단편부재가 상방으로 돌출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는 단편부재(454, 456)들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길이가변부재(450)가 최장길이까지 신장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또한, 단편부재(454, 456)의 플랜지 상에는 하방외부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돌기(454a)가 제공된다. 돌기(454a)는 길이가변부재(450)가 최장길이로 신장되었을 때 단편부재들의 개구에 억지로 끼워져서 길이가변부재(450)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최소단편부재(456)의 결합단부가 원판(462)의 요홈(462a)에 결합된 상태에서, 브러시 지지체(460)의 몸체(464)와 안내부재(421)의 중공부에는 길이가변부재(450)를 둘러싸는 탄성부재(470)가 제공된다. 탄성부재(47)의 양단부는 안착부(464a)의 구멍을 통해서 노출된 원판(462)의 하부면과 안내부재(421)의 내측하부면에 접촉하게 된다. 브러시 지지체(460)의 몸체(464)와 안내부재(421)가 억지끼움상태로 결합한 경우에 탄성부재(470)는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고 지지체(460)의 몸체(464)와 안내부재(421)가 분리된 경우에 탄성부재(470)는 팽창된 상태로 유지된다.
보호캡(440)은 제1원통부재(420)의 상부에 씌워질 수 있는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보호캡(440)의 내측상부면에는 원형의 부착판이 제공되고, 부착판에는 하방으로 연장하고 브러시 지지체(460)의 걸림홈(462d)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압박돌기(442)가 제공된다. 압박돌기(442)의 단부(442a)는 날카로운 구조를 갖는다. 이는 보호캡(440)이 제1원통부재의 상부에 씌워질 때 브러시(4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기구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러시(410)가 제1원통부재(420)의 중공부에 내장되어 있고, 보호캡(440)은 제1원통부재(420)의 상부에 씌워져 있고, 제2원통부재(430)의 하부판 상에는 길이가변부재(450)의 원형의 지지판(458)이 고정되어 있고, 원통형 안내부재(421)의 구멍을 상방으로 관통하고 있는 기초단편부재(452)의 중공부에는 중간단편부재(454)와 최소단편부재(456)가 제공되고, 길이가변부재(450)를 둘러싸고 있는 탄성부재(470)는 브러시 지지체(460)의 몸체(464)와 안내부재(421)의 중공부에 수축된 상태로 위치한다. 제2원통부재(430)에는 제1원통부재(420)의 하부가 내장되어 있고, 제1원통부재(420)의 내측하부에는 원통형 안내부재(421)가 제공된다.
브러시 지지체(460)의 관통형 몸체(464)가 원통형 안내부재(421)와 억지끼움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관통형 몸체(464)에 형성된 절개부의 폭(l2; 도 8b 참조)은 좁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최소단편부재(456)의 결합단부는 안착부(464a)의 구멍을 통해서 노출된 원판(462)의 요홈(462a)에 결합된다. 브러시 지지체(460)의 상방연장부재(462c)의 걸림홈(462d)에는 보호캡(440)에 제공된 압박돌기(442)가 억지끼움상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억지끼움결합에 의해서 보호캡(440)은 제1원통부재(420)로부터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못할 정도로 견고하게 파지된다.
이제, 제1원통부재(420)에 내장되어 있는 브러시(410)를 인출하는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미도시)가 제2원통부재(4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보호캡(440)을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압박돌기(442)가 상방연장부재(462c)의 걸림홈(462d)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고 또한 기초단편부재(452)의 하부에 제공된 외측돌기(452a)가 안내부재(421)의 구멍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브러시 지지체(460)의 관통형 몸체(464)는 원통형 안내부재(421)로부터 분리되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470)의 탄성력에 의해서 관통형 몸체(464)의 상방이동은 더욱 수월하게 수행된다. 그리고, 관통형 몸체(464)가 안내부재(42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몸체(464)에 형성된 절개부의 폭은 최대길이(l1)를 유지한다.
이와 동시에, 최소단편부재(456)는 중간단편부재(454)의 중공부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최소단편부재(456)의 상방이동이 완료된 후에 중간단편부재(454)는 기초단편부재(452)의 중공부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호캡(440)의 하단부가 제1원통부재(420)의 상단부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또한 압박돌기(442)가 상방연장부재(462c)의 걸림홈(462d)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보호캡(440)을 상방으로 이동하면 길이가변부재(450)는 최장길이로 신장되고 또한 브러시(410)는 제1원통부재(420)로부터 완전히 인출된다.
그리고, 브러지 지지체(460)의 원판(462)이 탄성부재(470)에 의해서 탄성지지되고 있으므로, 길이가변부재(450)가 최장길이로 신장된 상태에서 보호캡(440)을 제1원통부재(420)로부터 분리시켜도 길이가변부재(450)의 길이는 축소되지 않는다. 또한, 최소단편부재(456)의 하부에 제공된 돌기(미도시)는 중간단편부재(454)의 개구에 억지로 끼워지고 중간단편부재(454)의 하부에 제공된 돌기(454a)는 기초단편부재(452)의 개구에 억지로 끼워져 있으므로, 길이가변부재(450)의 길이축소는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브러시(410)를 사용한 후에 다시 제1원통부재(420)에 브러시를 내장시키는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미도시)는 제2원통부재(430)를 파지한 상태에서제1원통부재(420)를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원통형 안내부재(421)는 기초단편부재(452)의 외측돌기(452a)로부터 분리된 후 상방으로 이동하고, 브러시(410)는 제1원통부재(420)에 내장된다. 이때, 길이가변부재(450)의 지지판(458)이 제2원통부재(430)의 하부판 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원통부재(420)의 상방이동은 원통형 안내부재(421)의 상단부가 안착부(464a)의 하부면에 접촉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 후에,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보호캡(440)을 제1원통부재(420)의 상부에 씌운 상태에서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원통부재(420)의 상단부가 보호캡(440) 내부의 부착판에 접촉하면 상방연장부재(462c)의 걸림홈(462d)에 대한 압박돌기(442)의 억지끼워맞춤상태가 이루어진다. 보호캡(440)을 계속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제1원통부재(420) 및 브러시 지지체(460)와 함께 안내부재(421)도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브러시(410)는 제1원통부재(420)의 중공부에 내장된다.
이때, 기초단편부재(452)와 중간단편부재(454)의 개구에 대한 돌기의 억지끼움 상태가 해제되면서 길이가변부재(450)의 길이가 축소됨에 따라 탄성부재(470)의 길이도 축소된다. 그리고, 길이가변부재(450)가 최단길이까지 축소되도록 보호캡(440)에 하방으로 힘을 인가하면, 원통형 안내부재(421)의 하부면은 길이가변부재(450)의 지지판(458) 상에 접촉하게 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기초단편부재(452)의 결합단부가 원판(462)의 요홈(462a)에 결합되어 있고 또한 외측돌기(452a)가 원통형 안내부재(421)의 구멍에 억지로 끼워져 있으므로, 브러시(410)는 제1원통부재(420)의 중공부에 내장된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러시 지지체의 몸체와 원통형 안내부재가 억지로 끼워지고 또한 원통형 안내부재의 구멍에 기초단편부재의 외측돌기가 억지로 끼워져 있으므로 제1원통부재에 내장되어 있는 브러시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보호캡의 분리동작에 의해서 브러시를 제1원통부재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6)

  1.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결속부를 하부에 갖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가 상방으로 돌출가능하게 내장되는 제1원통부재와, 상기 제1원통부재의 하부가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원통부재와, 상기 제1원통부재의 상부에 씌워지는 보호캡을 갖는 화장용 브러시기구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가 안착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안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관통체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와 관통체는 구멍이 형성된 칸막이에 의해서 구분되고, 상기 원판에는 상기 브러시의 관통구멍을 관통하도록 상방으로 연장하고 하부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 걸림홈이 제공된 상방연장부재가 제공되어 있는 브러시 지지체;
    상기 관통체가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상태로 결합하고 상기 제1원통부재의 중공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하부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안내부재; 및
    상기 제2원통부재의 내측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부재의 구멍에 관통가능한 기초단편부재를 갖는 지지판과, 상기 기초단편부재의 중공부에 활주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원판의 요홈에 결합하는 최소단편부재를 구비하여 길이신축이 가능한 길이가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캡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장부의 걸림홈에 억지끼워맞춤이 가능한 압박돌기가 제공되어,
    상기 보호캡이 상기 제1원통부재의 상부에 완전히 씌워지고 상기 길이가변부재가 최단길이로 축소되었을 때 상기 보호캡에 제공된 압박돌기는 상기 걸림홈에 억지끼움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기초단편부재는 원통형 안내부재의 구멍에 억지끼움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이 상방으로 인출되도록 힘을 인가하였을 때 상기 브러시 지지체의 관통체와 안내부재가 분리된 후에 길이가변부재의 길이가 신장되고 상기 길이가변부재가 최장길이로 신장되었을 때 보호캡의 압박돌기는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체에는 수직하방으로 연장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절개부의 절개폭은 상기 관통체와 안내부재 사이의 결합여부에 따라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인접하는 기초단편부재의 하부에는 외측돌기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체와 안내부재의 중공부에는 상기 길이가변부재의 단편부재들을 둘러싸는 탄성부재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체의 외부면은 상기 안착부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한 후 하방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기구.
KR10-2002-0051964A 2002-08-30 2002-08-30 화장용 브러시기구 KR100469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964A KR100469309B1 (ko) 2002-08-30 2002-08-30 화장용 브러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964A KR100469309B1 (ko) 2002-08-30 2002-08-30 화장용 브러시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367A true KR20040020367A (ko) 2004-03-09
KR100469309B1 KR100469309B1 (ko) 2005-02-02

Family

ID=3732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964A KR100469309B1 (ko) 2002-08-30 2002-08-30 화장용 브러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3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662B1 (ko) * 2002-11-15 2005-03-11 최만수 화장용 브러시기구
WO2009093794A1 (en) * 2008-01-23 2009-07-30 Rnd Group Korea Inc. Cosmetic brush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5613A (ja) * 1987-12-29 1989-07-12 Toshiba Corp ポンプ制御装置
KR930001143Y1 (ko) * 1991-01-10 1993-03-13 변영광 휴대용 화장브러쉬
KR930001144Y1 (ko) * 1991-01-11 1993-03-13 변영광 휴대용 화장브러쉬
KR100360817B1 (ko) * 1999-12-01 2002-11-18 최만수 화장용 브러시기구
KR200197489Y1 (ko) * 2000-03-21 2000-09-15 변영광 화장용 브러쉬
KR100456267B1 (ko) * 2002-04-30 2004-11-09 최만수 화장용 브러시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662B1 (ko) * 2002-11-15 2005-03-11 최만수 화장용 브러시기구
WO2009093794A1 (en) * 2008-01-23 2009-07-30 Rnd Group Korea Inc. Cosmetic 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309B1 (ko)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8883Y1 (ko) 립스틱 용기
KR20010053726A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KR900017021A (ko) 광학디스크케이스 조립체
KR100325716B1 (ko) 화장용 브러시구
KR101798361B1 (ko) 화장용 브러시 기구
KR100469309B1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KR20050033097A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KR100472662B1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US5988919A (en) Lipstick case
KR100456268B1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EP1065666A3 (en) Disk storage case and disk tray
KR100456267B1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JP2004167249A (ja) 化粧用ブラシアセンブリ
KR20060013909A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KR200319261Y1 (ko) 화장용 브러시 조립체
KR200180208Y1 (ko) 립스틱홀더파지구
JP3012654U (ja) プッシュ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4427678B2 (ja) 化粧品収納容器
KR960000903Y1 (ko) 열쇠고리
JP4138955B2 (ja) 化粧用ブラシ等の保護装置
KR102078686B1 (ko) 화장품 용기
KR200277191Y1 (ko) 립스틱 케이스
JPH01240276A (ja) 固着具打機用マガジン
JP2582645Y2 (ja) 軸端に開閉自在な装飾を有する筆記具
JPS63388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