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268B1 - 화장용 브러시기구 - Google Patents

화장용 브러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268B1
KR100456268B1 KR10-2002-0044277A KR20020044277A KR100456268B1 KR 100456268 B1 KR100456268 B1 KR 100456268B1 KR 20020044277 A KR20020044277 A KR 20020044277A KR 100456268 B1 KR100456268 B1 KR 100456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length
cylindrical
protective cap
cylindr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9906A (ko
Inventor
최만수
Original Assignee
최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만수 filed Critical 최만수
Priority to KR10-2002-0044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268B1/ko
Publication of KR2004000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결속부를 하부에 갖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가 상방으로 돌출가능하게 내장되는 제1원통부재와, 상기 제1원통부재의 하부가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원통부재와, 상기 제1원통부재의 상부에 씌워지는 보호캡을 갖는 화장용 브러시기구는 상기 제2원통부재의 내측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연장하는 소정길이의 원통형 기초단편부재를 갖는 원형의 지지판과, 상기 기초단편부재의 중공부에 전체 길이가 신축가능하도록 중첩되어 있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원통형 단편부재들을 구비하고, 최장길이로 신장되었을 때 최소 직경을 갖는 최소단편부재의 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최단길이로 축소되었을 때 상기 기초단편부재의 내주면과 최소 단편부재의 외주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는 길이가변부재; 및 상기 브러시의 결속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원통부재에 내장되는 원판을 갖고, 상기 원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최소단편부재의 나사부가 나사결합하는 요홈과 상기 요홈에 인접하여 하방으로 연장한 후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1단편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된 갭에 억지끼워맞춤이 가능한 외향돌기가 제공되어 있는 브러시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지지체의 원판에는 상기 결속부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도록 상방으로 연장하고 상단부에 걸림홈이 제공된 상방연장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보호캡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장부의 걸림홈에 억지끼워맞춤이 가능한 걸림돌기를 하단부에 갖는 하방연장부재가 제공되어, 상기 보호캡이 상기 제1원통부재의 상부에 씌워지고 상기 브러시 지지체의 요홈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길이가변부재가 최단길이로 축소되었을 때 상기 보호캡에 제공된 하방연장부재의 걸림돌기는 걸림홈에 억지끼워맞춤되고 상기 브러시 지지체의 외향돌기는 상기 제1단편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된 갭에 억지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용 브러시기구{Cosmetic brush assembly}
본 발명은 브러시 보호캡의 개방동작에 의해서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브러시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화장용 브러시기구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보호캡이 브러시 내장형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용 브러시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 브러시기구는 분말상태의 화장품으로 화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구로서, 대체적으로 파지부재와, 파지부재의 일단에 장착된 브러시로 구성된다. 그리고, 브러시기구의 상부에는 브러시를 보관하기 위한 브러시 보호캡이 제공된다. 따라서, 브러시 보호캡을 브러시기구의 상부로부터 분리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브러시를 그 용도에 맞게 사용하며, 브러시의 사용이 끝난 후에는보호캡을 브러시기구의 상부에 결합시켜 브러시를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화장용 브러시기구는 파지부재와 브러시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길이가 길어서 핸드백 등에 보관하여 휴대하기가 어렵다. 브러시는 보호캡에 의해서만 덮혀있으므로, 보호캡을 분실하게 되면 브러시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방치되므로, 브러시는 손상받게 되거나 또는 이물질 등이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브러시기구의 파지부에 브러시를 내장시킨 상태로 보관한 후, 브러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브러시를 파지부의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브러시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보호캡이 브러시기구의 상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캡이 씌워지는 브러시기구의 상부의 외주면에는 돌기가 제공된다. 그러나, 보호캡을 반복하여 개폐시키면 서로 접촉하는 상기 돌기와 보호캡의 내측면이 마모되면서 스크랩이 생성된다. 이러한 스크랩은 브러시의 오염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상술된 마모결과 브러시기구의 외형미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호캡의 개방동작에 의해서 내장되어 있는 브러시를 외부에 용이하게 노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캡의 반복되는 개폐동작에 의해서도 스크랩이 발생되지 않는 화장용 브러시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기구의 분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기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보호캡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브러시가 완전히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브러시를 원통부재에 다시 내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보호캡을 원통부재의 상부에 씌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보호캡의 하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a는 길이가변부재의 신장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b는 축소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b에 표시된 선 A-A'을 취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기구의 분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기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브러시 노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브러시를 원통부재에 다시 내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브러시
20, 120 : 제1원통부재
30, 130 : 제2원통부재
40, 140 : 보호캡
50, 150 : 길이가변부재
60, 160 : 브러시 지지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결속부를 하부에 갖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가 상방으로 돌출가능하게 내장되는 제1원통부재와, 상기 제1원통부재의 하부가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원통부재와, 상기 제1원통부재의 상부에 씌워지는 보호캡을 갖는 화장용 브러시기구는 상기 제2원통부재의 내측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연장하는 소정길이의 원통형 기초단편부재를 갖는 원형의 지지판과, 상기 기초단편부재의 중공부에 전체 길이가 신축가능하도록 중첩되어 있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원통형 단편부재들을 구비하고, 최장길이로 신장되었을 때 최소 직경을 갖는 최소단편부재의 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최단길이로 축소되었을 때 상기 기초단편부재의 내주면과 최소 단편부재의 외주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는 길이가변부재; 및 상기 브러시의 결속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원통부재에 내장되는 원판을 갖고, 상기 원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최소단편부재의 나사부가 나사결합하는 요홈과 상기 요홈에 인접하여 하방으로 연장한 후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1단편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된 갭에 억지끼워맞춤이 가능한 외향돌기가 제공되어 있는 브러시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지지체의 원판에는 상기 결속부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도록 상방으로 연장하고 상단부에 걸림홈이 제공된 상방연장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보호캡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장부의 걸림홈에 억지끼워맞춤이 가능한 걸림돌기를 하단부에 갖는하방연장부재가 제공되어, 상기 보호캡이 상기 제1원통부재의 상부에 씌워지고 상기 브러시 지지체의 요홈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길이가변부재가 최단길이로 축소되었을 때 상기 보호캡에 제공된 하방연장부재의 걸림돌기는 걸림홈에 억지끼워맞춤되고 상기 브러시 지지체의 외향돌기는 상기 제1단편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된 갭에 억지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기구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기구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중공형 제1원통부재(20)를 갖는다. 제1원통부재(20)의 하부는 하단부가 폐쇄되어 있는 중공형 제2원통부재(30)에 수용되고, 제1원통부재(20)의 상부에는 원통형상의 보호캡(40)이 씌워진다.
제1원통부재(20)에는 바인더(12)에 의해서 결속된 결속부를 하부에 갖는 브러시(10)가 돌출가능하게 내장된다. 결속부의 중앙에는 소정 크기의 관통구멍(h)이 제공된다. 관통구멍(h)에는 관통부재(14)가 설치된다. 제1원통부재(20)의 중공부에는 브러시(10)가 안착되는 원판(62)을 갖는 브러시 지지체(60)가 활주이동이 가능하게 내장된다. 원판(62)의 하부면에는 요홈(62a)과, 요홈(62a)에 인접하여 하방으로 연장한 후 외측으로 돌출하는 외향돌기(62b)가 제공된다. 원판(62)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하는 상방연장부재(62c)가 제공되고, 상방연장부재(62c)의 상단부에는 걸림홈(62d)이 제공된다.
브러시 지지체(60)의 하부에는 원판(62)의 요홈(62a)에 결합하는 단부에 갖는 최소직경의 최소단편부재(56)를 구비한 길이가변부재(50)가 제공된다. 도면에는 최소단편부재(56)의 단부에 나사가 가공되어 있고 이러한 단부가 요홈(62a)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최소단편부재(56)의 단부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최소단편부재(56)의 단부는 나사가 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착제 등에 의해서 요홈(62a)에 결합될 수 있다.
길이가변부재(50)는 제1원통부재(20)의 하부가 수용되는 제2원통부재(30)의 내측바닥면에 고정되는 원형의 지지판(58)을 갖는다. 원형의 지지판(58)에는 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구멍에 연통하는 중공부를 구비하며 상방으로 연장하는 소정길이의 원통형 기초단편부재(52)가 제공된다. 기초단편부재(52)의 상단부에는 상기 구멍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개구가 형성된다. 기초단편부재(52)의 중공부에는 상기 개구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되고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단편부재(54, 56)들이 수용된다. 길이가변부재(50)의 최내측에는 최소 직경을 갖는 최소단편부재(56)가 위치한다.
도면에는 하나의 중간단편부재(54)가 기초단편부재(52)와 최소단편부재(56) 사이에 위치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중간단편부재(54)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이 개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간단편부재없이 기초단편부재(52)와 최소단편부재(56) 만이 존재할 수도 있다.
단편부재(54, 56)들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가 제공되고 최소단편부재(56)를 제외한 단편부재들의 상단부에는 그들 내측의 단편부재가 상방으로 돌출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는 단편부재(54, 56)들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길이가변부재(50)가 최장길이까지 신장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또한, 단편부재(54, 56)의 플랜지 상에는 하방외부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돌기(54a)가 제공된다. 돌기(54a)는 길이가변부재(50)가 최장길이로 신장되었을 때 단편부재들의 개구에 억지로 끼워져서 길이가변부재(50)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최소단편부재(56)는 그의 나사부가 기초단편부재(52)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여 돌출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고, 최소단편부재(56)를 제외한 중간단편부재(54)는 기초단편부재(52)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길이가변부재(50)가 최단길이로 축소되었을 때 기초단편부재(52)의 내주면과 최소단편부재(56)의 외주면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길이가변부재(50)가 최단길이로 축소되도록 제1원통부재(20)의 상부가 보호캡(40)에 의해서 완전히 씌워졌을 때 브러시 지지체(60)의 외향돌기(62b)는 갭(g)에 억지끼워맞춤된다.
보호캡(40)은 제1원통부재(20)의 상부에 씌워질 수 있는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보호캡(40)의 내측상부면에는 원형의 부착판이 제공되고, 부착판에는 하방으로 연장하고 브러시 지지체(60)의 걸림홈(62d)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압박돌기(42)가 제공된다. 압박돌기(42)의 단부(42a)는 날카로운 구조를 갖는다. 이는 보호캡(40)이 제1원통부재의 상부에 씌워질 때 압박돌기(42)에 의해서 브러시(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기구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를 참조하면, 제2원통부재(30)의 하부판 상에는 길이가변부재(50)의 원형의 지지판(58)이 고정되고, 기초단편부재(52)의 중공부에는 중간단편부재(54)와 최소단편부재(56)가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제2원통부재(30)에는 제1원통부재(20)의 하부가 내장된다. 제1원통부재(20)의 내측하부에는 하부판에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원통형 안내부재(21)가 고정된다.
이때, 길이가변부재(50)의 기초단편부재(52)는 원통형 안내부재(21)의 구멍을 관통한 상태로 유지된다.
브러시 지지체(60)는 그의 몸체(6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연장부가 원통형 안내부재(21)에 내장된 상태로 안내부재(21)의 상단부 상에 안착된다. 최소단편부재(56)의 나사부는 몸체(64)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원판(62)의 하부에 형성된 홈(62a)에 나사결합된다. 브러시 지지체(60)의 외향돌기(62b)는 기초단편부재(52)의 상부에 형성된 갭(g)에 억지끼워맞춤된다. 브러시 지지체(60) 상에는 상방연장부재(62c)가 관통구멍(h)을 관통하고 있는 상태로 브러시(10)가 고정된다.
제1원통부재(20)의 상부에는 하단부가 제2원통부재(30)의 상단부에 대면하고 있는 보호캡(40)이 씌워진다. 보호캡(40)의 압박돌기(42)는 관통구멍(h)을 관통하여 브러시(10)속에 내재되어 있는 상방연장부재(62c)의 걸림홈(62d)에 억지끼워맞춤된다. 이와 같은 억지끼워맞춤에 의해서 보호캡(40)은 제1원통부재(20)로부터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못할 정도로 견고하게 파지된다.
이제, 제1원통부재(20)에 내장되어 있는 브러시(10)를 인출하는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사용자(미도시)가 제2원통부재(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40)을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압박돌기(42)가 상방연장부재(62c)의 걸림홈(62d)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브러시 지지체(60)의 외향돌기(62b)가 길이가변부재(50)에 형성된 갭(g)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보호캡(40)의 상방이동에 연동하여 브러시 지지체(60)도 동일방향으로 이동한다. 최소단편부재(56)는 중간단편부재(54)의 중공부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최소단편부재(56)의 상방이동이 완료된 후에 중간단편부재(54)는 기초단편부재(52)의 중공부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호캡(40)의 하단부가 제1원통부재(20)의 상단부로부터 분리될 정도로 보호캡(40)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길이가변부재(50)는 최장길이로 신장되고 또한 브러시(10)는 제1원통부재(20)로부터 완전히 인출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 방향으로 보호캡(40)을 기울이면 상방연장부재(62c)의 걸림홈(62d)에 대한 압박돌기(42)의 억지끼워맞춤상태는 완만하게 분리된다. 이는 보호캡(40)의 내부가 부드러운 브러시(10)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한편, 길이가변부재(50)가 최장길이로 신장된 상태에서 최소단편부재(56)의 하부에 제공된 돌기(65a)는 중간단편부재(54)의 개구에 억지로 끼워지고 중간단편부재(54)의 하부에 제공된 돌기(54a)는 기초단편부재(52)의 개구에 억지로 끼워져있으므로 보호캡(40)을 제1원통부재(20)로부터 분리시켜도 길이가변부재(50)의 길이는 축소되지 않는다.
브러시(10)를 사용한 후에 다시 제1원통부재(20)에 브러시를 내장시키는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미도시)는 제2원통부재(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1원통부재(20)를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시켜 브러시(10)를 제1원통부재(20)에 내장시킨다. 이때, 길이가변부재(50)는 그의 지지판(58)이 제2원통부재(30)의 하부판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최장길이로 신장되어 있으므로, 제1원통부재(20)의 상방이동은 원통형 안내부재(21)의 상단부가 브러시 지지체(60)의 몸체(64)에 제공된 단턱부에 접촉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브러시 지지체(60)의 몸체(64)와 안내부재(21)는 브러시의 활주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작용할 뿐만 아니라 제1원통부재(20)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제2원통부재(30)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작용한다.
이 후에,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보호캡(40)을 제1원통부재(20)의 상부에 씌운 상태에서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원통부재(20)의 상단부가 보호캡(40) 내부의 부착판에 접촉하면 상방연장부재(62c)의 걸림홈(62d)에 대한 압박돌기(42)의 억지끼워맞춤상태가 이루어진다. 보호캡(40)을 계속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제1원통부재(20)와 브러시 지지체(60)도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기초단편부재(52)와 중간단편부재(54)의의 개구에 대한 돌기(54a, 46a)의 억지끼움 상태가 해제되면서 길이가변부재(50)의 길이는 축소된다.
길이가변부재(50)가 최단길이까지 축소되도록 보호캡(40)에 하방으로 힘을 인가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지지체(60)의 외향돌기(62b)는 원통형 안내부재(21)의 하부판에 제공된 구멍을 관통하여 기초단편부재(52)의 상부에 형성된 갭(g)에 억지로 끼워진다.
[제2실시예]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기구는 브러시 지지체(160) 및 제1원통부재(120)의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브러시 지지체(60) 및 제1원통부재(20)의 구조와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기구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1원통부재(160)는 내측면의 소정위치에 내측돌기(122)가 제공된다. 브러시 지지체(160)는 원판(162)의 테두리에 상방으로 연장하는 울타리(162e)를 갖는다. 울타리(162e)는 원판(162) 상에 안착되는 브러시(110)의 바인더(112)를 파지하도록 작용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브러시(110)가 제1원통부재(120)의 중공부에 내장되어 있고 보호캡(140)이 제1원통부재(120)의 상부에 씌워진 상태에서 브러시 지지체(160)의 원판(162)은 제1원통부재(120)의 내측돌기(122) 상에 안착된다. 외향돌기(162b)는 내측돌기(122) 사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길이가변부재(150)의 기초단편부재(152) 상에 형성된 갭(g)에 억지로 끼워진다. 브러시(110)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h)을 통해서 연장하고 있는 상방연장부재(162c)의 걸림홈(162d)에는 압박돌기(142)의 하단부(142a)가 억지로 끼워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호캡(140)을 상방이동시키면 브러시 지지체(16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원판(162)의 홈(162a)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길이가변부재(150)의 길이가 신장되면서 브러시(110)는 제1원통부재(120)의 외부에 노출된다. 브러시(110)가 완전히 노출된 후에 보호캡(140)을 제1원통부재(120)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단편부재들에 있어서, 돌기가 개구에 억지로 끼워지므로 길이가변부재(150)는 최장길이상태로 유지된다.
외부에 노출된 브러시(110)를 제1원통부재(120)에 다시 수용하기 위하여, 제1원통부재(120)를 상방으로 인출시킨 후 제1원통부재(120)의 상부에 보호캡(140)을 씌운다. 그리고, 길이가변부재(150)가 최단길이까지 축소되도록 보호캡(14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압박돌기(142)의 하단부(142a)는 상방연장부재(162c)의 걸림홈(162d)에 억지끼움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외향돌기(162b)는 기초단편부재(152)의 상부에 제공된 갭(g)에 억지로 끼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원통부재에 내장되는 브러시 지지체의 걸림홈과 외향돌기가 보호캡의 압박돌기와 길이가변부재의 갭에 억지로 끼워짐으로써 보호캡이 제1원통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보호캡(40)의 분리동작에 의해서 브러시를 제1원통부재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6)

  1.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결속부를 하부에 갖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가 상방으로 돌출가능하게 내장되는 제1원통부재와, 상기 제1원통부재의 하부가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원통부재와, 상기 제1원통부재의 상부에 씌워지는 보호캡을 갖는 화장용 브러시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2원통부재의 내측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연장하는 소정길이의 원통형 기초단편부재를 갖는 원형의 지지판과, 상기 기초단편부재의 중공부에 전체 길이가 신축가능하도록 중첩되어 있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원통형 단편부재들을 구비하고, 최단길이로 축소되었을 때 상기 기초단편부재의 상부 내주면과 최소단편부재의 상부 외주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는 길이가변부재; 및
    상기 브러시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원통부재에 내장되는 원판을 갖고, 상기 원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최소단편부재의 단부가 결합하는 요홈과 상기 요홈에 인접하여 하방으로 연장한 후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1단편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된 갭에 억지끼워맞춤이 가능한 외향돌기가 제공되어 있는 브러시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지지체의 원판에는 상기 결속부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도록 상방으로 연장하고 상단부에 걸림홈이 제공된 상방연장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보호캡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장부의 걸림홈에 억지끼워맞춤이 가능한 압박돌기가 제공되어,
    상기 보호캡이 상기 제1원통부재의 상부에 완전히 씌워지고 상기 길이가변부재가 최단길이로 축소되었을 때 상기 보호캡에 제공된 압박돌기는 상기 걸림홈에 억지끼워맞춤되고 상기 브러시 지지체의 외향돌기는 상기 기초단편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갭에 억지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이 상방으로 인출되도록 힘을 인가하였을 때 상기 브러시 지지체의 외향돌기가 상기 제1단편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된 갭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길이가변부재의 길이가 신장되고 상기 길이가변부재가 최장길이로 신장되었을 때 보호캡의 압박돌기는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변부재의 단편부재들의 하부 외측면에는 하방외부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돌기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편부재들의 내측면에는 상하면으로 연장하는 일자형 가이드홈이 가공되어 있고 상기 단편부재들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하는 가이드 돌기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통부재의 내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원판이 안착되는 내측돌기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압박돌기의 단부는 날카로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기구.
KR10-2002-0044277A 2002-07-26 2002-07-26 화장용 브러시기구 KR100456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277A KR100456268B1 (ko) 2002-07-26 2002-07-26 화장용 브러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277A KR100456268B1 (ko) 2002-07-26 2002-07-26 화장용 브러시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906A KR20040009906A (ko) 2004-01-31
KR100456268B1 true KR100456268B1 (ko) 2004-11-09

Family

ID=3731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277A KR100456268B1 (ko) 2002-07-26 2002-07-26 화장용 브러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2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520Y1 (ko) * 2000-03-31 2000-09-15 김금례 화장용품 케이스
KR20000074343A (ko) * 1999-05-20 2000-12-15 최만수 화장용 브러시구
KR200224628Y1 (ko) * 2000-10-07 2001-05-15 변영광 화장용 브러쉬
JP2002000354A (ja) * 2000-06-26 2002-01-08 Ikeda Bussan Kk 塗布具
KR20030085454A (ko) * 2002-04-30 2003-11-05 최만수 화장용 브러시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343A (ko) * 1999-05-20 2000-12-15 최만수 화장용 브러시구
KR200197520Y1 (ko) * 2000-03-31 2000-09-15 김금례 화장용품 케이스
JP2002000354A (ja) * 2000-06-26 2002-01-08 Ikeda Bussan Kk 塗布具
KR200224628Y1 (ko) * 2000-10-07 2001-05-15 변영광 화장용 브러쉬
KR20030085454A (ko) * 2002-04-30 2003-11-05 최만수 화장용 브러시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906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751B1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KR200388883Y1 (ko) 립스틱 용기
US8021068B2 (en) Cosmetics container structure
KR101798361B1 (ko) 화장용 브러시 기구
KR100456268B1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KR100522304B1 (ko) 화장품케이스
KR100469309B1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KR100456267B1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US6536441B2 (en) Composite cigar portable structure
JP2004167249A (ja) 化粧用ブラシアセンブリ
KR100472662B1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KR200319261Y1 (ko) 화장용 브러시 조립체
KR200413268Y1 (ko) 용기 안전 캡
JP3012654U (ja) プッシュ式シャープペンシル
KR200369899Y1 (ko) 화장솔
KR101468186B1 (ko) 줄넘기 운동구
KR102078686B1 (ko) 화장품 용기
KR200276363Y1 (ko) 3단 장도리
JPS6013429Y2 (ja) キ−ホルダ
WO1989000925A1 (en) Enclosure means for liquid applicators
KR0118270Y1 (ko) 화장 용기 조립체
KR200197519Y1 (ko) 화장용품 케이스
KR20000072209A (ko) 한 손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뚜껑이 마련된 필기구
KR200202816Y1 (ko) 화장용 브러쉬
KR200372894Y1 (ko) 아이섀도우 용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